KR19980039854U -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854U
KR19980039854U KR2019960052927U KR19960052927U KR19980039854U KR 19980039854 U KR19980039854 U KR 19980039854U KR 2019960052927 U KR2019960052927 U KR 2019960052927U KR 19960052927 U KR19960052927 U KR 19960052927U KR 19980039854 U KR19980039854 U KR 199800398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argo
corner
load
rubb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2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854U/ko
Publication of KR19980039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85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이 로프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되며 각 모서리부위와 양측 중앙부위를 버클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적잭물을 고정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인출시키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형성한 사각형상의 화물고정부와; 상기 화물고정부의 측단부를 따라 장착되며 모서리부에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탄성력을 발생하는 모서리고정부와; 상기 모서리고정부의 중간부위에서 수직으로 화물고정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중간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이 로프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되며 각 모서리부위와 양측 중앙부위를 버클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적잭물을 고정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인출시키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은 일반 차량과는 달리 화물칸이 구비되어 있어 많은 물품이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적재된 물품은 일정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상기한 화물차량에 적재된 물품을 고정시키는 종래의 로프를 일률적으로 이용한다면, 다양한 적재물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네트를 사용하여 각 모서리를 화물칸의 측면 외부에 형성된 레일후크에 끼워 고정시키는 적재물 고정장치가 고안되었다.
도6은 종래의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네트(62)의 측면을 따라 고무밴드(64)를 포함하여 네트를 일방향으로 접은 후에 재봉으로 장착하고, 각 모서리는 상기 고무밴드(64)를 굽혀 굽힘부의 하단을 고정시켜서 고리(66)를 형성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60)는 화물차량의 적재물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적재물을 상측에서 덮고, 화물차량이 측면 외부에 형성된 레일후크에 고리(66)를 끼워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적재된 물품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60)은 각 모서리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적재된 물품을 견고히 고정시키지는 못하고, 아울러 고정된 물품종의 일부 물품을 선택하여 하역하고자 할 때에 중간부위에서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일측면의 양 모서리를 고정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전체적으로 고정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는 적재물의 견고한 고정이 어렵고, 선택적으로 적재물을 하역할 시에 고정상태에서 벗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이 로프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되며 각 모서리부위와 양측 중앙부위를 버클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적잭물을 고정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인출시키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형성한 사각형상의 화물고정부와; 상기 화물고정부의 측단부를 따라 장착되며 모서리부에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탄성력을 발생하는 모서리고정부와; 상기 모서리고정부의 중간부위에서 수직으로 화물고정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중간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이다.
상술한 본 고안에 있어서,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는 화물고정부를 적재물의 상측으로 씌우고 모서리고정부를 당겨 탄성력을 발생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차량의 화물칸 측면의 외부에 형성된 레일후크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며, 또한 화물고정부의 중간부위를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중간고정부를 당겨서 양측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레일후크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화물칸의 적재물은 안정되게 고정되고, 또한 선택적으로 적재물을 꺼내고자 할 때 모서리고정부의 고정수단을 레일후크로부터 해제하여 화물고정부를 중간고정부를 중심으로 접어서 화물을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인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를 사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인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의 전체도면,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모서리고정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5는 도2의 중간고정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6은 종래의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를 설명하기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10:화물고정부
20:모서리고정부22:고무밴드
24:고정수단30:중간고정부
32:고무밴드34:고정수단
이하,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인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1)를 화물차량(100)에 사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1)는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을 상측에서 씌워 차량의 레일후크(102)에 각 모서리를 탄성적으로 고정시키고, 그와 함께 중간부위를 탄성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화물을 더욱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인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1)의 전체도면이다.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1)는 화물을 상측에서 전체적으로 포함하여 씌우는 화물고정부(10)와, 상기 화물고정부(10)의 측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모서리고정부(20) 및 상기 화물고정부(10)의 중간부위를 가로질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중간고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화물고정부(10)는 상기한 바와같이 화물을 고정시킬 때 적재된 화물을 상측에서 전체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화물칸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있으나. 화물칸의 면적을 포함하며 측면의 레일후크보다 작은 면적을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고정부(20)는 상기 화물고정부(10)의 상하 좌우의 각 측단부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고무밴드(22)와, 상기 화물고정부(10)의 모서리부에 접혀진 고무밴드(22)에 장착된 고정수단(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고정부(30)는 상기 모서리고정부(20)의 고무밴드(22)중에 화물차량의 적재물을 고정시킬 때 좌측 또는 우측의 중앙에 위치하는데, 이는 상기 화물고정부(10)의 폭을 가로질러 고무밴드(32)가 장착되며, 고정수단(34)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상기 중간고정부(30)의 고정수단(34)은 고무밴드(32)의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20)의 고무밴드(22)가 접히면서 생긴 부위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고정부(30)의 고무밴드(32)는 양끝단부가 일측으로 굴곡되어 모서리 고정부(20)의 고정수단(24)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고정부(30)의 고무밴드(32)는 고정수단(34)과 동축선상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상기 고정수단(34)을 당겨 레일후크에 장착했을 경우에 고정수단(34)에 의해 고무밴드(32)가 탄성력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모서리고정부(20)의 고무밴드(22)에 중간고정부(30)을 중심으로 도면에서 좌측방향의 고무밴드(22a)는 중간고정부(30)의 고정수단(34)을 장착한 것으로 일체되고, 우측방향의 고무밴드(22b)는 중간고정부(30)의 고무밴드(32)와 일체되어 있으며, 각각 모서리에 고정수단(24)를 장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모서리고정부(20)와 중간고정부(30)의 장착상태는 별도의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화물고정부(10)은 비닐이나 천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네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4)(34)는 후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하게 버클을 선택하였다.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로서, 이는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1)에서 중간고정부(30)가 장착된 부위, 즉 고정작업중에 화물칸의 측면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해당된다.
상기 중간고정부(30)가 장착된 부위는 전후부위와는 달리 모서리고정부(20)와 중간고정부(30)의 장착에 따라 탄성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천이나 비닐 등의 장착부재(28)로 상기 고무밴드(22)는 네트(10)의 끝단에 자유로운 상태에서 장착되어 신장과 복원을 자유롭게 한다.
도4는 도2의 모서리고정부(2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 또는 후측면에서 연장된 고무밴드(22)와 중간고정부(30)가 형성된 좌 또는 우측면에서 연장된 고무밴드(2')가 서로 겹쳐서 생기 부위에 버클(24)이 장착된다.
상기 버클(24)는 일측에 열리는 부위를 형성한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상기 고리를 개폐하는 수단이 장착되어 형성된 것이다.
도5는 도2의 중간고정부(3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중간고정부(30)의 버클(34)가 고무밴드(32)에 장착되지 않고 모서리고정부(20)에서 연장된 고무밴드(2)가 장착부위에서 겹치면서 생긴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중간고정부(30)의 고무밴드(32)는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는 화물고정부를 적재물의 상측으로 씌우고 모서리고정부를 당겨 탄성력을 발생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차량의 화물칸 측면의 외부에 형성된 레일후크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며, 또한 화물고정부의 중간부위를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된 중간고정부를 당겨서 양측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레일후크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화물칸의 적재물은 안정되게 고정되고, 또한 선택적으로 적재물을 꺼내고자 할 때 모서리고정부의 고정수단을 레일후크로부터 해제하여 화물고정부를 중간고정부를 중심으로 접어서 화물을 쉽게 노출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은,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이 로프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없을 경우에 사용되며 각 모서리부위와 양측 중앙부위를 버클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하며 아울러 적잭물을 고정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인출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실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화물칸에 적재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형성한 사각형상의 화물고정부(10)와;
    상기 화물고정부(10)의 측단부를 따라 장착되며 모서리부에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탄성력을 발생하는 모서리고정부(20)와; 그리고
    상기 모서리고정부(20)의 중간부위에서 수직으로 화물고정부(10)를 가로질러 장착되며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중간고정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고정부(20)는 상기 화물고정부(10)의 상하 좌우의 각 측단부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고무밴드(22)와; 그리고
    상기 화물고정부(10)의 모서리부에 접혀진 고무밴드(22)에 장착된 고정수단(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4)는 버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고정부(30)는 상기 모서리고정부(20)의 고무밴드(22)중에 화물차량의 적재물을 고정시킬 때 좌측 또는 우측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화물고정부(10)의 폭을 가로질러 장착되며 고정작업시 탄성력을 발생시킨는 고무밴드(32)와; 그리고,
    상기 고무밴드(32)와 동일 축상에 장착되며 모서리고정부(20)의 고무밴드(22)에 장착되는 고정수단(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밴드(32)는 양단부가 일방향으로 굴곡되어 모서리고정부(20)의 고정수단(24)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4)은 일측에 열리는 부위를 형성한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상기 고리를 개폐하는 수단이 장착되어 형성된 버클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KR2019960052927U 1996-12-20 1996-12-20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KR199800398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927U KR19980039854U (ko) 1996-12-20 1996-12-20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927U KR19980039854U (ko) 1996-12-20 1996-12-20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854U true KR19980039854U (ko) 1998-09-15

Family

ID=5399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927U KR19980039854U (ko) 1996-12-20 1996-12-20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85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626A (ko) * 2004-04-14 2004-06-23 권오술 안전그물망
WO2013122290A1 (ko) * 2012-02-15 2013-08-22 Huh Man-Chul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626A (ko) * 2004-04-14 2004-06-23 권오술 안전그물망
WO2013122290A1 (ko) * 2012-02-15 2013-08-22 Huh Man-Chul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1958A (en) Cargo freight partition
CA1289112C (en) Load restraint net
US5452973A (en) Truck bed cargo net
US5207260A (en) Adjustable restrain system for articles
US4964771A (en) Cargo restrainer
US5340183A (en) Cargo partition
US6183036B1 (en) Convertible load cover for trucks and trailers
US6070775A (en) Collapsible storage compartment with universal attachment system for trucks of all sizes
US6349865B1 (en) Collapsible storage compartment with universal attachment system for trucks of all sizes
US4007862A (en) Car rack for holding surfboards or the like
US4792239A (en) Flexible case hanging device
US20040145206A1 (en) Rear vehicle storage system
US5058786A (en) Portable load securing device
GB2229982A (en) Load securing device for vehicles
US5620124A (en) Attachment method of load bag in pickup truck
KR19980039854U (ko) 화물차량의 적재물 고정장치
GB2033849A (en) A device for transversely partitioning a vehicle, e.g. a motor car
US3143264A (en) Luggage carriers
US8992146B2 (en) Cargo securing device
KR100806206B1 (ko) 화물차량용 호로
KR102444218B1 (ko) 화물차량용 롤바
KR100478052B1 (ko) 자동차용 화물 고정 네트
JP4120120B2 (ja) 車両用インナルーフラック装置
KR100418503B1 (ko) 승합차용 네트구조
JPH05278515A (ja) 車両用ロープフ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