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747Y1 -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 Google Patents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747Y1
KR200302747Y1 KR20-2002-0031455U KR20020031455U KR200302747Y1 KR 200302747 Y1 KR200302747 Y1 KR 200302747Y1 KR 20020031455 U KR20020031455 U KR 20020031455U KR 200302747 Y1 KR200302747 Y1 KR 200302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loading box
loading
pair
safety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기봉
Original Assignee
왕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기봉 filed Critical 왕기봉
Priority to KR20-2002-0031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함에 화물을 보다 견실하게 적재하며 적재함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20)에 의하면; 적재함(10)의 측판(11L)(11R) 내면에 대향되게 장착되되 일단(21a)은 적재함(10) 측판(11L)(11R)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타단(21b)은 적재함(10) 측판(11L)(11R)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중심부위(21c)는 적재함(10)의 측판(11L)(11R) 상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금속파이프를 밴딩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과,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중심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진 브리지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이 적재함 안전가드(20)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운행 중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적재함 안전가드(20)의 장착으로 인해 적재함(10) 외형이 보다 수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CARRYING BOX GUARD OF PICK-UP TRUCK}
본 고안은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적재를 보다 견실하게 할 수 있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차량은 후방에 작은 적재함이 마련된 소형 트럭으로,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레저용 차량에도 적재함이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픽업차량의 적재함은 대부분 뚜껑이 없기 때문에, 적재화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밧줄로 묶어 매야 한다.
그러나 종래 픽업차량에서는 적재화물이 적재함 측판을 넘어 적재된 경우, 운행 중에 항상 떨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것이 교통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재함에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차량의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 안전가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 안전가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 적재함 안전가드의 장착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 안전가드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적재함 20..적재함 안전가드
21L,21R..측면프레임 22..브리지 프레임
23..쿠션커버 30..브래킷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에 있어서,
적재함 안전가드는 적재함의 측판 내면에 대향되게 장착되되, 일단은 적재함 측판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타단은 적재함 측판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중심부위는 적재함의 측판 상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금속파이프를 밴딩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재함 측판의 내면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장착고리가 고정되며,한 쌍의 측면프레임 일단과 타단에는 장착고리에 볼트를 통해 체결되도록 브래킷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재함 안전가드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 중심부위에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진 브리지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리지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마운팅볼트가 마련되며, 한 쌍의 측면프레임 중심부위에는 마운팅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 및 브리지 프레임에는 쿠션커버가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재함에 장착된 적재함 안전가드에 의해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차량 적재함의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픽업차량의 적재함(10)에는 적재된 화물이 측판(11L)(11R)을 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함 안전가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적재함 안전가드(20)는 적재함(10)의 측판(11L)(11R) 내면에 대향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과, 이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을 연결하기 위한 브리지 프레임(22)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및 브리지 프레임(22)에 씌워지는 쿠션커버(23)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은 그 외관이 대체로 역 U 자 모양으로 밴딩된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측면프레임(21L)(21R)의 일단(21a)은 적재함(10) 측판(11L)(11R)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이의 타단(21b)은 적재함(10) 측판(11L)(11R)의 후방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측면프레임(21L)(21R)의 중심부위(21c)는 적재함(10)의 측판(11L)(11R) 상방(上方)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측면프레임(21L)(21R)을 장착하기 위해, 적재함(10) 측판(11L)(11R)의 내면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장착고리(12)가 대향되게 마련되며, 측면프레임(21L)(21R)의 일단(21a)과 타단(21b)에는 장착고리(12)에 볼트(33)를 통해 체결되도록 브래킷(3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브래킷(30)에는 볼트(33)가 관통하도록 홀(31)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고리(12)를 사이에 두고 브래킷(30)과 와셔(32)를 배치한 후 브래킷(30)과 장착고리(12) 및 와셔(32)에 볼트(33)와 너트(34)를 체결하면,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은 적재함(10)의 양 측판(11L)(11R)에 대향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브리지 프레임(22)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1L)(21R)들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에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브리지 프레임(22)의 양단에는 마운팅볼트(22a)가 직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한쌍의 측면프레임(21L)(21R) 중심부위(21c)에는 마운팅볼트(22a)가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관통공(21d)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쿠션커버(23)는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진 측면프레임(21L)(21R) 및 브리지 프레임(22) 외면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적재화물이 이들과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스폰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쿠션커버(23)는 지퍼(23a)를 통해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과 브리지 프레임(22)에 별도로 씌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쿠션커버(23)는 우레탄 발포액과 같은 발포체를 통해 발포 성형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적재함 안전가드의 작용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적재함 안전가드(20)가 장착된 적재함(10)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화물들이 적재함(10) 측판(11L)(11R)의 높이보다 높게 적재되더라도 이들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에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보다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당량의 화물이 적재되어 밧줄을 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적재함(10)에 마련된 고리 이외에 안전가드(20)의 측면프레임(21L)(21R) 및 브리지 프레임(22)을 통해 밧줄을 보다 견실하게 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을 연결하는 브리지 프레임(22)이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높이가 높은 화물도 적재할 수 있다. 즉, 마운팅볼트(22a)에 이물림된 너트(22b;도 2참조)를 풀어 브리지 프레임(2)을 분해하면(도 4참조), 적재함(10)의 상부공간을 보다 여유 있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측면프레임(21L)(21R) 및 브리지 프레임(22)에는 쿠션커버(23)가 씌워져 있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하는 중에 이들과 부딪쳐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함 안전가드(20)의 장착으로 차량의 적재함 외형이 보다 수려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에 의하면, 적재함의 측판 내면에 대향되게 장착되되 일단은 적재함 측판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타단은 적재함 측판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중심부위는 적재함의 측판 상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금속파이프를 밴딩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양측 단부가 한 쌍의 측면프레임 중심부위에 각각 고정되며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진 브리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적재함 안전가드를 통해 지지됨으로써 운행 중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적재함 안전가드의 장착으로 인해 적재함 외형이 보다 수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안전가드(20)는,
    상기 적재함(10)의 측판(11L)(11R) 내면에 대향되게 장착되되, 일단(21a)은 상기 적재함(10) 측판(11L)(11R)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타단(21b)은 상기 적재함(10) 측판(11L)(11R)의 후방측에 장착되며, 중심부위(21c)는 상기 적재함(10)의 측판(11L)(11R) 상방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금속파이프를 밴딩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 측판(11L)(11R)의 내면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각각 장착고리(12)가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일단(21a)과 타단(21b)에는 상기 장착고리(12)에 볼트(33)를 통해 체결되도록 브래킷(3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안전가드(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중심부위(21c)에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되며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진 브리지 프레임(2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프레임(22)의 양단부에는 마운팅볼트(22a)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중심부위(21c)에는 상기 마운팅볼트(22a)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관통공(21d)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21L)(21R) 및 브리지 프레임(22)에는 쿠션커버(23)가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KR20-2002-0031455U 2002-10-22 2002-10-22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KR200302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55U KR200302747Y1 (ko) 2002-10-22 2002-10-22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55U KR200302747Y1 (ko) 2002-10-22 2002-10-22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747Y1 true KR200302747Y1 (ko) 2003-01-30

Family

ID=4939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55U KR200302747Y1 (ko) 2002-10-22 2002-10-22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7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07B1 (ko) 2005-06-20 2006-07-18 이원학 자동차 외장 바용 완충패드
KR102444218B1 (ko) * 2022-04-11 2022-09-15 하도겸 화물차량용 롤바
KR20230010912A (ko) 2021-07-13 2023-01-20 김성배 픽업 차량 적재함 안전가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807B1 (ko) 2005-06-20 2006-07-18 이원학 자동차 외장 바용 완충패드
KR20230010912A (ko) 2021-07-13 2023-01-20 김성배 픽업 차량 적재함 안전가드
KR102444218B1 (ko) * 2022-04-11 2022-09-15 하도겸 화물차량용 롤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4782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US4378127A (en) Rack and shell combination for pickup truck
JP2001097149A (ja) 車両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US4420058A (en) Radiator guard structure for vehicles
US4102432A (en) Step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tanks
US20050000121A1 (en) Construction equipment
KR200302747Y1 (ko) 픽업차량의 적재함 안전가드
CN213676492U (zh) 一种新型配有绑绳沟皮卡防滚架装置
JPH0752658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
US6962388B1 (en) Inflatable air spoiler
US20090224566A1 (en) Floor mat for loading platform and vehicle equipped with it
US3338326A (en) Automotive vehicle hood and fender assembly
JP4392836B2 (ja) ホイールローダ
KR0127467Y1 (ko) 화물 자동차용 작업대
JP2000033888A (ja) トレーラー及びそれに用いる車軸取付装置
KR102344932B1 (ko) 트랙터의 캐빈 지지장치
KR100559555B1 (ko) 화물 차량의 캐빈 마운팅 구조
CN215322368U (zh) 一种汽车底盘防护装置
JPH08156845A (ja) 作業車両のキャビン支持装置
KR102611948B1 (ko) 픽업 차량용 롤바
JPS6225951Y2 (ko)
JPS6237000Y2 (ko)
KR20230077165A (ko) 초소형전기차 차체
JPH1035541A (ja) 車両のラゲッジルーム構造
KR200199454Y1 (ko) 대형버스의 선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