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165A - 초소형전기차 차체 - Google Patents

초소형전기차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165A
KR20230077165A KR1020210164125A KR20210164125A KR20230077165A KR 20230077165 A KR20230077165 A KR 20230077165A KR 1020210164125 A KR1020210164125 A KR 1020210164125A KR 20210164125 A KR20210164125 A KR 20210164125A KR 20230077165 A KR20230077165 A KR 2023007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micro electric
loading
coupling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제
함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쎄보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1016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165A/ko
Publication of KR2023007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는,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에 연결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된 채 다각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상측바디부, 상기 상측바디부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측바디부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을 연결하는 연결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바디부는, 내부에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실내부, 상기 실내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런트부, 상기 실내부의 후방에 장착된 채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소형전기차 차체{Body frame for micro electric car}
본 발명은 초소형전기차 차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에 연결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초소형 전기차 등과 같은 친환경 차량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초소형 차량은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품종 소량 생산이 적합하다.
따라서,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생산을 위한 투자비와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구조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665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에 조립이 가능한 초소형전기차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는,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에 연결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된 채 다각형의 골격을 형성하는 상측바디부, 상기 상측바디부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상측바디부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을 연결하는 연결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바디부는, 내부에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실내부, 상기 실내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런트부, 상기 실내부의 후방에 장착된 채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적재부는, 상기 실내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실내부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프런트부는, 전방 충돌의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프런트부는, 상기 실내부의 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실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실내부를 연결시키는 전방연결부 및 상기 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실내부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흡수공간은, 상기 전방프레임부, 상기 전방연결부 및 상기 실내부의 전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연결바디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바 및 상기 길이방향바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폭방향바로 사각형을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런트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전방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후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상기 실내부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는 제1 전방결합부 상기 제1 전방결합부로부터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채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제2 전방결합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전방결합부를 지지하는 전방받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실내부 하측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실내부와 체결되는 실내체결부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후방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받침부, 상기 제1 후방받침부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후방받침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는 제2 후방받침부, 상기 제1 후방받침부와 상기 제2 후방받침부를 연결하는 적재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제1 후방받침부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적재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는 제1 후방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후방받침부는, 각 모서리에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는 제2 후방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실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면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측면프레임 및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 측면어셈블리,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의 상측을 연결하는 루프어셈플리, 상기 전면부의 하측단에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바닥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제2 전방결합부는, 상기 보강부와 결합되는 제1 전방결합편 및 상기 실내부의 전면과 결합되는 제2 전방결합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결합연결부 및 상기 적재연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기 적재부는, 물건이 적재되는 평면을 제공하는 평면제공부, 상기 평면제공부에 장착된 채, 상기 평면제공부에 적재되는 물건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평면제공부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연결바디부와 결합되는 적재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결합부는, 상기 평면제공부로부터, 상기 연결바디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바디부에 복수 개의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연결바디부와 상측바디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의 차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측바디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연결바디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의 차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상측바디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연결바디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소형전기차 차체(1)는,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에 연결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일 수 있다.
상기 초소형전기차 차체(1)는, 상측바디부(10) 및 연결바디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바디부(10)는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미도시)의 상측에 배치된 채 초소형전기차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부(20)는, 상기 상측바디부(10)와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상측바디부(10)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측바디부(10)는, 실내부(11), 프런트부(13) 및 적재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내부(11)는, 내부에 실내공간(S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런트부(13)는, 상기 실내부(11)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5)는, 상기 실내부의 후방에 장착된 채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S1)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5)는, 상기 실내부(11)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실내부(11)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초소형전기차의 배터리가 상기 적재부(15)의 하측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적재부(15)를 상기 실내부(11)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도록 하였으므로 운전자는 상기 적재부(15) 하측에 배치된 배터리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부(13)는, 상기 실내부(11)의 전방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전방 충돌의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부(13)는, 전방프레임부(131), 전방연결부(132) 및 보강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부(131)는, 상기 실내부(11)의 전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결부(132)는, 상기 전방프레임부(131)와 상기 실내부(1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프레임부(131) 및 상기 실내부(1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133)는, 상기 전방프레임부(131) 및 상기 실내부(11) 사이에 상기 전방프레임부(131)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전방연결부(132)를 연결하며, 이를 통해 상기 프런트부(13)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충격흡수공간(S2)을 확보하지 않는다면, 차량의 전방충돌 시 그 충격이 상기 실내부(11)로 온전히 전달되어 상기 실내부(11)가 크게 파손되고, 운전자 또한 큰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격흡수공간(S2)을 형성하여, 차량의 전방충돌 시 그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공간(S2)은, 상기 전방프레임부(131), 상기 전방연결부(132) 및 상기 실내부(11)의 전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실내부(11)는, 전면부(111), 측면어셈블리(112), 루프어셈블리(113) 및 바닥어셈블리(114)를 구비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전면부(11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전방프레임부(131)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어셈블리(112)는, 제1 측면프레임(1121) 및 제2 측면프레임(1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프레임(1121)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11)의 일측단에 상기 전면부(11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프레임(1122)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11)의 타측단에 상기 전면부(11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루프어셈블리(113)는, 상기 제1 측면프레임(1121)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1122)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측면프레임(1121)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1122)의 상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바닥어셈블리(114)는, 상기 전면부(111)의 하측단에 상기 전면부(111)와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간(S3)은, 상기 전면부(111), 상기 측면어셈블리(112), 상기 루프어셈블리(113) 및 상기 바닥어셈블리(114)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부(20)는, 베이스부(21), 전방연장부(23) 및 후방연장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1)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바(211) 및 상기 길이방향바(211)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폭방향바(212)로 구성되며,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장부(23)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1)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런트부(13)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방연장부(25)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적재부(15)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연장부(23)는, 제1 전방결합부(231), 제2 전방결합부(232), 전방받침부(233) 및 결합연결부(2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131)의 상기 실내부(11)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초소형전기차 차체(1)가 전방으로부터 힘을 받을 경우, 상기 전방연결부(132)가 그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전방연결부(132)를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2)는,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로부터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채 상기 프런트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 및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2)는 상기 충격흡수공간(S2)에 수용된 채 상기 프런트부(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방받침부(233)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1)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를 지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방받침부(233)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상기 초소형전기차의 차체(1)가 수직방향의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가 상기 전방프레임부(131)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방받침부(233)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를 지지함으로써, 초소형전기차 차체(1)가 수직 방향의 힘을 받았을 경우 경우,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가 상기 전방프레임부(1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연결부(234)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전방결합부(231)와 상기 베이스부(2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실내부(11) 하측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실내부(11)와 체결되는 실내체결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방연장부(25)는, 제1 후방받침부(251), 제2 후방받침부(252) 및 적재연결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는,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1)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후방받침부(252)는,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연결부(253)는,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 및 상기 제2 후방받침부(252)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와 상기 제2 후방받침부(25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는, 제1 후방결합부(25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결합부(2511)는,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적재부(1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부(1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5)가 상기 실내부(11)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후방결합부(2511)가 상기 제1 후방받침부(2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후방받침부(252)는, 제2 후방결합부(25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후방결합부(2521)는, 상기 제2 후방받침부(252)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채 상기 적재부(1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방결합부(232)는, 제1 전방결합편(2321) 및 제2 전방결합편(23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결합편(2321)은 상기 보강부(133)와 결합되고, 상기 제2 전방결합편(2322)는, 상기 실내부(11)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결합편(2321)은, 상기 보강부(133)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보강부(133)의 외주면 일부를 포위함으로써, 상기 보강부(13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전방결합편(2321) 및 상기 제2 전방결합편(232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방연장부(23)과 상기 프런트부(13)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연결부(234) 및 상기 적재연결부(253)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연결부(234) 및 상기 적재연결부(253)를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상측바디부(10)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연결부(234) 및 상기 적재연결부(253)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상측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상기 상측바디부(10)가 상기 연결바디부(2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15)는, 평면제공부(151), 이탈방지부(152) 및 적재결합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평면제공부(151)는, 물건이 적재되는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이탈방지부(152)는, 상기 평면제공부(151)에 장착된 채, 상기 평면제공부(151)에 적재되는 물건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재결합부(153)는, 상기 평면제공부(151)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연결바디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재결합부(153)는, 상기 평면제공부로(151)부터, 상기 연결바디부(20)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적재부(15)가 상기 베이스부(11)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적재결합부(153)를, 상기 연결바디부(20)를 향해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바디부(20)와 상기 적재부(15)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초소형전기차 차체 10: 상측바디부
11: 실내부 13: 프런트부
15: 적재부 20: 연결바디부
21: 베이스부 23: 전방연장부
25: 후방연장부

Claims (10)

  1.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에 연결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상측에 배치된 채 초소형전기차의 골격을 형성하는 상측바디부;
    상기 상측바디부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측바디부와 상기 초소형전기차 플랫폼을 연결하는 연결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바디부는,
    내부에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실내부,
    상기 실내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프런트부,
    상기 실내부의 후방에 장착된 채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제공하는 적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실내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실내부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프런트부는,
    상기 초소형전기차 차체의 전방 충돌의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부는,
    상기 실내부의 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프레임부,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실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 및 상기 실내부를 연결시키는 전방연결부 및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상기 실내부 사이에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전방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흡수공간은,
    상기 전방프레임부, 상기 전방연결부 및 상기 실내부의 전면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디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길이방향바 및 상기 길이방향바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폭방향바로 구성된 채,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런트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전방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후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방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프레임부의 상기 실내부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는 제1 전방결합부,
    상기 제1 전방결합부로부터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채 상기 프런트부에 연결되는 제2 전방결합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전방결합부를 지지하는 전방받침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전방결합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전방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결합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실내부 하측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실내부와 체결되는 실내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후방받침부,
    상기 제1 후방받침부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후방받침부보다 지면으로부터 높게 배치되는 제2 후방받침부,
    상기 제1 후방받침부와 상기 제2 후방받침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제1 후방받침부와 상기 제2 후방받침부를 연결하는 적재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방받침부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적재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는 제1 후방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후방받침부는,
    각 모서리에 형성된 채 상기 적재부와 연결되는 제2 후방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부는,
    상기 전방프레임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면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일측단에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1 측면프레임 및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의 타측단에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 측면어셈블리,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제2 측면프레임의 상측을 연결하는 루프어셈플리,
    상기 전면부의 하측단에 상기 전면부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바닥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방결합부는,
    상기 보강부와 결합되는 제1 전방결합편 및
    상기 실내부의 전면과 결합되는 제2 전방결합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방결합편은,
    상기 보강부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보강부의 외주면 일부를 포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연결부 및 상기 적재연결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물건이 적재되는 평면을 제공하는 평면제공부,
    상기 평면제공부에 장착된 채, 상기 평면제공부에 적재되는 물건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평면제공부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연결바디부와 결합되는 적재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재결합부는,
    상기 평면제공부로부터, 상기 연결바디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전기차 차체.
KR1020210164125A 2021-11-25 2021-11-25 초소형전기차 차체 KR20230077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25A KR20230077165A (ko) 2021-11-25 2021-11-25 초소형전기차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125A KR20230077165A (ko) 2021-11-25 2021-11-25 초소형전기차 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165A true KR20230077165A (ko) 2023-06-01

Family

ID=8677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125A KR20230077165A (ko) 2021-11-25 2021-11-25 초소형전기차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1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594B1 (ko) 2018-12-28 2020-10-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594B1 (ko) 2018-12-28 2020-10-16 현대제철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999B2 (en) Lower vehicle body structure
US20180126835A1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CN101356077B (zh) 车辆的防钻撞装置安装结构
US7900983B2 (en) Underrun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US8328272B2 (en) Lower structure of vehicle body rear portion
KR101297463B1 (ko) 램프 장착 구조 및 이를 사용하여 램프가 장착되는 차량
US20200398895A1 (en) Vehicle longitudinal beam arrangement
JP4394782B2 (ja) 車両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US8020925B2 (en) Front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KR101585484B1 (ko) 차체 구조
US8662566B1 (en) Multi extension front bumper beam
JP2017100692A (ja) 車両の物品支持構造
JP6584457B2 (ja) 車体前部構造
CN108100043B (zh) 后车身结构
CN112455546B (zh) 车辆用副车架
CN111169544B (zh) 用于车辆的载荷分布结构
US20230311793A1 (en) Vehicle structure with battery
JPH09175433A (ja) 支持構造付きの乗用車の前部構造
CN113169404A (zh) 电池盒
CN100463830C (zh) 汽车的车身结构
KR20230077165A (ko) 초소형전기차 차체
CN110341801B (zh) 车辆骨架构造
CN110155182B (zh) 车身结构
CN211918363U (zh) 车辆前部结构
US10046633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