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97B1 -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 Google Patents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97B1
KR102364297B1 KR1020200107216A KR20200107216A KR102364297B1 KR 102364297 B1 KR102364297 B1 KR 102364297B1 KR 1020200107216 A KR1020200107216 A KR 1020200107216A KR 20200107216 A KR20200107216 A KR 20200107216A KR 102364297 B1 KR102364297 B1 KR 10236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plate
loading box
fram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이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섭 filed Critical 이진섭
Priority to KR102020010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문건은 화물차 적재함 벽에 틀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 가능한 틀체고정구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틀체고정구는, 로프후크가 구비된 화물차 적재함 벽에 설치되는 틀체고정구로서, 상면과 2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벽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이되, 상기 상면에는 틀체수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블록이 구비되는 제1 바디; 일측이 상기 로프후크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A ATTACHABLE FRAME FIXING DEVICE FOR TRUCK LOADING BOX, AND FRAME SET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The Disclosure)는 화물차 적재함 벽에 설치되는 틀체(또는 천막용 지지프레임)와 관련된다.
냉동차, 소방차, 제설차 등의 특수 목적의 화물차를 제외한 일반적인 화물차는 적재함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적재함이 개방된 상태로 화물을 수송하게 되면 수송 도중에 화물이 떨어지거나 눈이나 비로 인해 화물에 손상이 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물 운송자는 적재함에 추가로 커버장치를 설치하여 화물의 이탈 및 도난을 방지하여 화물을 보호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KR20-2001-0022704호(명칭 :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및 캐빈 전면유리 커버장치)에는 화물차 적재함의 커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동 커버장치는, 적재함이 마련되는 화물자동차에 있어서, 적재함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씌어지는 천막; 상기 천막이 권취된 천막 권취로울로; 및 상기 천막과 천막 권취로울러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지지프레임은 틀체라고 한다.
이러한 커버장치의 틀체는 화물차 적재함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적재함에 직접 용접되거나 적재함에 구멍을 뚫고 새들밴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로 인해, 틀체의 설치 작업 시 적재함이 변형되거나 적재함에 구멍이나 그을음 등의 손상이 가해지고 틀체의 철거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KR20-2001-0022704 (2001.11.23 공고)
화물차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틀체 세트에 있어서, 화물차 적재함 벽에 손상이 가는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화물차 적재함 벽에 틀체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 가능한 틀체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틀체고정구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는 로프후크가 구비된 화물차 적재함 벽에 설치되는 틀체고정구로서, 상면과 2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벽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이되, 상면에는 틀체수용부가 돌출 형성되고, 2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블록이 구비되는 제1 바디; 일측이 로프후크에 체결되고 타측이 블록에 체결되어 제1 바디를 벽에 고정시키는 제2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바디는 제1 판과, 제1 판의 하단에 제1 판의 일측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 판 및 제2 판의 중앙에 형성되고 로프후크를 수용하는 홀을 포함하는 지지브라켓; 제1 판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블록에 체결되는 드로우 래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로우 래치 유닛은 제1 판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힌지브라켓; 상부가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하우징; 및 하부가 하우징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로우 래치 유닛은 힌지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편; 및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걸림편과 잠금결합되는 키뭉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은 일측면에 바디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틀체 세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 복수 개의 틀체고정구를 매개로 벽에 고정되는 틀체;를 포함한다.
또한 틀체는 복수 개의 연결구와, 복수 개의 연결구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는 용접 없이 드로우 래치 유닛을 이용하여 화물차 적재함 벽에 설치되므로 화물차 적재함 벽에 아무런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는 적재함 벽에 구비된 로프후크에 설치되므로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는 키뭉치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틀체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의 설치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틀체고정구[이하 '틀체고정구'라 함], 및 실시예에 따른 틀체 세트[이하 '틀체 세트'라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틀체 세트(1)
틀체 세트의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틀체 세트(1)는 복수 개의 틀체고정구(10)와 복수 개의 틀체고정구(10)를 매개로 화물차 적재함(B)의 벽에 고정되는 틀체(20)로 구성될 수 있다.
틀체고정구(10)는 화물차 적재함(B)의 벽의 상부에 설치된다. 틀체고정구(10)는 화물차 적재함(B)에 설치되는 틀체(20)의 형식이나 모양에 따라 화물차 적재함(B)의 벽 상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틀체고정구(10)는 틀체(20)를 화물차 적재함(B)의 벽에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틀체(20)는 복수 개의 봉(21)과 복수 개의 봉(21)을 상호 연결해주는 복수 개의 연결구(22)로 구성될 수 있다.
봉(21)은 일단부가 틀체고정구(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구(22)를 매개로 봉(21')에 결합되거나 양단부가 서로 다른 연결구(22, 22')를 매개로 서로 다른 봉(21', …)에 결합될 수 있다.
틀체고정구(10)
틀체고정구의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틀체고정구(1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를 포함한다.
제1 바디(100)는 상면(110), 제1 측면(120) 및 제2 측면(130)을 포함하며, 제1 바디(100)의 단면은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면(110)은 판 형상이되, 윗방향으로 틀체수용부(1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틀체수용부(111)는 봉(21)과 결합하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측면(120)은 상면(110)의 일측 모서리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 바디(100)가 화물차 적재함(B)의 벽의 상부에 얹혀졌을 때, 제1 측면(120)은 화물차 적재함(B)의 외측에 위치하며 블록(121)이 돌출 형성된다. 블록(121)은 이후에 설명할 래치(223)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돌출 형성된다.
제2 측면(130)은 상면(110)의 타측 모서리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1 바디(100)가 화물차 적재함(B)의 벽의 상부에 얹혀졌을 때, 제2 측면(130)은 화물차 적재함(B)의 내측에 위치한다.
틀체고정구의 사시도인 도 2와 제2 바디의 분해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바디(200)는 지지브라켓(210)과 드로우 래치 유닛(220)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210)은 제1 판(211)과 제2 판(2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판(211)의 일측면은 블록(121)이 형성된 제1 바디(100)의 제1 측면(120)과 접하고 제1 판(211)의 일측면에는 바디후크(211a)가 구비될 수 있다. 바디후크(211a)는 제1 바디(100)의 제1 측면(120)의 단부가 걸릴 수 있는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제2 바디(200)가 제1 바디(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폭 방향으로 이격하여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판(212)은 제1 판(211)의 하단에서 제1 판(211)의 일측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2 판(212)의 중앙에는 화물차 적재함(B)의 로프후크(H)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홀(212a)이 형성된다. 제2 판(212)은 화물차 적재함(B)의 벽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 제1 판(211)과 가장 거리가 먼 모서리가 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드로우 래치 유닛(220)은 힌지브라켓(221), 하우징(222) 및 래치(223)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221)은 제1 판(211)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걸림편(221a)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 힌지턱(221b)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22)은 상부가 제1 힌지축(222b)에 의해 힌지브라켓(221)의 제1 힌지턱(221b)에 결합된다. 하우징(222)의 내부에는 회전한 뒤 걸림편(221a)에 삽입되어 잠금결합되는 키뭉치(22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축(222b)에는 토션스프링(222d)이 구비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222d)은 일측이 하우징(222)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힌지브라켓(221)의 상부에 고정되어 하우징(222)에 탄성을 제공한다.
래치(223)는 하부에 제2 힌지턱(223a)이 형성되고 제2 힌지턱(223a)은 제2 힌지축(222c)에 의해 하우징(222)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틀체고정구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인 도 4와 틀체고정구의 설치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인 도 5를 참조하면, 틀체고정구(10)는 제1 바디(100)가 화물차 적재함(B)의 벽 상부에 얹혀진 뒤, 제2 바디(200)의 홀(212a)에 화물차 적재함(B)에 구비된 로프후크(H)가 수용되고, 드로우 래치 유닛(220)의 래치(223)가 제1 바디(100)의 블록(121)에 체결되서 고정된다.
제1 바디(100)에 제2 바디(200)가 고정되는 자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 바디(200)를 제1 바디(100)의 제1 측면(120)에 위치한 블록(121)에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제1 판(211)의 바디후크(211a)를 제1 바디(100)의 제1 측면(120)의 단부에 결속시킨다(도 5 (a)).
이어서 드로우 래치 유닛(220)의 하우징(222)을 상방향으로 들어준다(도 5 (b)).
이어서 드로우 래치 유닛(220)의 래치(223)를 제1 측면(120)의 블록(121)에 체결해주고 드로우 래치 유닛(220)의 하우징(222)을 하방향으로 내려준다(도 5 (c)).
이어서 드로우 래치 유닛(220)의 키뭉치(222a)를 회전하여 힌지브라켓(221)의 하부에 위치한 걸림편(221a)에 삽입되게 한다(도 5 (d) 내지 (e)).
키뭉치(222a)는 걸림편(221a)에 삽입되어 걸리기 때문에, 하우징(222)을 힌지브라켓(221)에 잠금 및 고정시킬 수 있다(도 5 (f)).
앞서 설명된 틀체고정구(10)는 용접 없이 드로우 래치 유닛(220)을 이용하여 화물차 적재함(B) 벽에 설치되므로 화물차 적재함(B) 벽에 아무런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고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틀체고정구(10)는 화물차 적재함(B)의 벽에 구비된 로프후크(H)에 설치되므로 더욱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틀체고정구(10)는 키뭉치(222a)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 틀체 세트
10... 틀체고정구
100... 제1 바디
110... 상면
111... 틀체수용부
120... 제1 측면
121... 블록
130... 제2 측면
200... 제2 바디
210... 지지브라켓
211... 제1 판
211a... 바디후크
212... 제2 판
212a... 홀
220... 드로우 래치 유닛
221... 힌지브라켓
221a... 걸림편
222... 하우징
222a... 키뭉치
223... 래치
20... 틀체
21... 봉
22... 연결구
B... 화물차 적재함
H... 로프후크

Claims (7)

  1. 로프후크가 구비된 화물차 적재함 벽에 설치되는 틀체고정구로서,
    상면과 2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벽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이되, 상기 상면에는 틀체수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블록이 구비되는 제1 바디;
    일측이 상기 로프후크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블록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바디를 상기 벽에 고정시키는 제2 바디;를 포함하는 틀체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제1 판과, 상기 제1 판의 하단에 상기 제1 판의 일측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 판 및 상기 제2 판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로프후크를 수용하는 홀을 포함하는 지지브라켓;
    상기 제1 판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블록에 체결되는 드로우 래치 유닛;을 포함하는 틀체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래치 유닛은,
    상기 제1 판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힌지브라켓;
    상부가 상기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는 하우징; 및
    하부가 상기 하우징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체고정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우 래치 유닛은,
    상기 힌지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편;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편과 잠금결합되는 키뭉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체고정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의 일측면에는 바디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체고정구.
  6. 복수 개가 구비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틀체고정구; 및 상기 복수 개의 틀체고정구를 매개로 상기 벽에 고정되는 틀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복수 개의 연결구와, 상기 복수 개의 연결구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복수 개의 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체 세트.
KR1020200107216A 2020-08-25 2020-08-25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KR10236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216A KR102364297B1 (ko) 2020-08-25 2020-08-25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216A KR102364297B1 (ko) 2020-08-25 2020-08-25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297B1 true KR102364297B1 (ko) 2022-02-17

Family

ID=80493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216A KR102364297B1 (ko) 2020-08-25 2020-08-25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2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97202A1 (en) * 2014-01-13 2015-07-16 Craig Harrison Truck headache rack
US20150258940A1 (en) * 2014-03-13 2015-09-17 Winston Products Llc Folding ladder rack
US10207650B1 (en) * 2017-11-21 2019-02-19 Arnold Banegas Adjustable utility rack for truc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97202A1 (en) * 2014-01-13 2015-07-16 Craig Harrison Truck headache rack
US20150258940A1 (en) * 2014-03-13 2015-09-17 Winston Products Llc Folding ladder rack
US10207650B1 (en) * 2017-11-21 2019-02-19 Arnold Banegas Adjustable utility rack for tru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824A (en) Flexible tarpaulin support device
US9981537B2 (en) Truck cover system
US5971465A (en) Tailgate ramp system
US5762455A (en) Tension strap device
US10112465B2 (en) Vented tonneau cover for a cargo bed of a pickup truck
US20200062095A1 (en) Latch structure of tonneau cover
US5085326A (en) Load lock holder
US6805395B2 (en) Tarpaulin rod securing device
US9039049B2 (en) Mounting bracket for link attachment
KR102364297B1 (ko) 화물차 적재함 벽에 탈부착되는 틀체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틀체 세트
KR100314929B1 (ko) 차량구속장치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US10300834B1 (en) Tailgate latching system
US20100007164A1 (en) Universal sleeve for T-stakes in a flatbed trailer sidewall system
KR20030029298A (ko) 다기능 차량용 커버장치
KR200419201Y1 (ko)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JP3174949B2 (ja) ロープやワイヤ等の掛止用支持金具
KR102167580B1 (ko) 차량용 화물 적재함
US7476070B1 (en) Chain tiedown for transportation vehicle
JP5283670B2 (ja) ラッシングフックの取り付け構造
KR102444218B1 (ko) 화물차량용 롤바
KR102454211B1 (ko)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JP7221432B1 (ja) 荷台用あおり板取付構造
KR101199560B1 (ko) 트레일러
KR102454212B1 (ko)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