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560B1 -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560B1
KR101199560B1 KR1020100088060A KR20100088060A KR101199560B1 KR 101199560 B1 KR101199560 B1 KR 101199560B1 KR 1020100088060 A KR1020100088060 A KR 1020100088060A KR 20100088060 A KR20100088060 A KR 20100088060A KR 101199560 B1 KR101199560 B1 KR 10119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liding member
sliding
fix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886A (ko
Inventor
정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이앤시
Priority to KR102010008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5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운송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마련되고, 다수의 이송바퀴가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보조 적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의 맞은 편이 되는 적재함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는 적재함의 후면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보조 적재용 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적재함의 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적재물을 일시에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레일러 {Trail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의 후방에 연결되어 텐트, 자전거와 같은 레저용 적재물을 적재하는 적재함의 후방에도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마련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 자전거와 같은 레저용 물건을 실어 나르는 데에 사용되는 레저용 트레일러는 레저용 승용차와 같은 운송수단의 후비에 연결된다.
트레일러는 통상적으로 전방에 승용차를 비롯한 운송수단의 후미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견인부가 하부 프레임의 전방에 제공되고, 후방에는 트레일러의 바퀴가 설치된다.
트레일러가 사용되지 않을 때, 하부 프레임에 제공되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전방이 지지되고, 이러한 지지대는 스크류바를 이용한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트레일러가 운송수단의 후미에 설치될 때, 견인부가 운송수단에 연결된 후에, 지지대는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지지대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4254호에서는 '승용차에 연결하여서 사용 가능한 소형 트레일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승용차에 연결하여서 사용 가능한 소형 트레일러는 전방에 공구박스가 부착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을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 및 이들을 이동시키는 바퀴,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조립되어 승용차 또는 화물차와 트레일러를 연결시켜 주는 체결장치와 수동 이동 및 트레일러의 수평상태로의 유지를 위한 보조바퀴장치 및 견인차량의 리어램프 시스템과 동일한 리어램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승용차에 연결하여서 사용 가능한 소형 트레일러는 적재함의 적재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적재함에 적재 가능한 적재물의 부피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량의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해 적재함의 후면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보조 적재용 적재수단이 마련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는 운송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마련되고, 다수의 이송바퀴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보조 적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맞은 편이 되는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후면에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내부로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면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적재함의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는 삽입슬롯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되게 제2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블럭과, 상기 제1 및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고정블럭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후면에, 일단부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봉과, 상기 슬라이딩봉들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후면에 외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통홀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제2관통홀에 대응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2 및 제3관통홀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분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결합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분의 일단부에 상기 결합부분의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파지부분을 구비하는 결합나사와, 상기 결합나사가 상기 고정블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 및 제3관통홀에 관통되게 삽입된 상기 결합부분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는 적재함의 후면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보조 적재용 슬라이딩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적재함의 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적재물을 일시에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슬라이딩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트레일러(100)는 승용차와 같은 운송수단(미도시)에 연결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300)과, 보조 적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에 대해 적재함(300)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400)와, 슬라이딩부재(400)의 슬라이딩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500)를 구비한다.
프레임(200)은 운송수단의 후미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00)의 후방 하면에는 운송수단에 의해 적재함(3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이송바퀴(2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이송바퀴(220)의 반경은 운송수단에 프레임(200)을 연결 시, 프레임(200)의 상면에 설치된 적재함(300)이 지면에 대해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운송수단의 연결지점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200)의 전방에는 운송수단의 후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210)와, 운송수단에서 분리 시에도 적재함(300)의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230)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2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반원형의 곡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위쪽 공간부 전후에는 돌출판이 돌출되어 있는 상부 버팀쇠와, 돌출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핀으로 조립되며 연장부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상부 버팀쇠의 구멍을 통해 핀이 관통되도록 하고 스프링을 걸 수 있는 구멍이 전방으로 형성된 핸들과, 제1핀과 상기 핸들의 구멍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핀의 원주에 코일링된 채 일측의 다리는 상기 제2핀에 그리고 타측의 다리는 상기 상부 버팀쇠의 내면에 걸리도록 한 제2스프링과, 상기 상부 버팀쇠의 앞부분을 관통하는 제2핀에 의해 지지된 채 전방으로 곡부가 형성된 조임쇠와, 제2핀의 원주에 코일링된 채 일측의 다리는 상기 조임쇠의 곡부 뒷면에 그리고 타측의 다리는 상부 버팀쇠의 내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한 스프링을 구비한다.
한편, 연결부(21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트레일러(100)와 운송수단을 연결하는 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바퀴(2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측 내부로 나사홀이 형성된 봉체와, 상기 봉체에 용접된 연결쇠와, 상기 연결쇠를 관통하는 제3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연결쇠에 설치된 휠부재와, 상기 봉체의 나사홀 내측으로 결합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과 봉체의 조립상태를 고정시켜 주는 보호관과, 상기 나사봉의 상단에 조립된 연결쇠의 단부에 조립된 노브를 구비한다.
한편, 보조바퀴(23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트레일러의 평행유지용 보조바퀴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300)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재함(300)은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311)이 마련되며, 상측에 2개의 투입구(312)가 형성된 본체(310)와, 본체(310)의 투입구(31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20)를 구비한다. 적재함(300)의 상면에는 적재함(300)의 상면에 적재물을 적재시 적재함(300)의 전후방향으로 적재물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추락방지바(3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추락방지바(313)는 적재함(300)의 상면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방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적재함(300)의 폭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310)는 프레임(200)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311)이 마련된 사각의 단면을 갖는 박스형으로 형성된다.
투입구(312)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적재공간(311)으로 적재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본체(310)의 상면 좌우측 단부에는 각각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312)는 적재함(3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또한, 투입구(312)는 작업자가 적재함(300)의 좌우측방에서도 용이하게 적재물을 적재공간(311)에 투입할 수 있도록 적재함(300)의 좌우측면으로 연장형성되되, 적재함(300)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310)의 후방면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딩부재(40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310)의 삽입홈은 2개가 마련되며, 본체(310)의 하측 후방면에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재(320)는 적재함(3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구(312)를 개폐하는 덮개부재(321)와, 개폐부재(3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쇽업쇼바(322)를 구비한다.
덮개부재(321)는 본체(310)의 상면에 형성된 투입구(312)를 덮기 위해 일단부가 투입구(312)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310)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310)의 좌우방향으로 투입구(312)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된 제1연장부재(323)와, 본체(310)의 좌우측면으로 연장형성된 투입구(312)의 측면을 덮기 위해 제1연장부재(323)의 타단부에 제1연장부재(323)에 대해 하방으로 절곡되게 연장형성된 제2연장부재(324)를 구비한다.
제1연장부재(323)의 상면 타단부에는 본체(310)의 상면에 적재물을 적재시, 상기 적재물이 본체(31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추락방지바(3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추락방지바(325)는 제1연장부재(323)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적재함(30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장부재(324)의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덮개부재(321)를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3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연장부재(324)의 하단부에는 제2연장부재(324)를 본체(610)에 구속할 수 있도록 구속걸쇠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재함(300)에는 구속걸쇠에 대응되는 구속고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덮개부재(321)는 본체(3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투입구(3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2개가 마련되되, 각 투입구(312)에 대응되게 본체(31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쇽업쇼바(322)는 일단은 제1연장부재(323)의 후방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투입구(312)의 후방에 대응되는 본체(3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덮개부재(321)를 개방시 상방으로 제1연장부재(323)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압식 쇽업쇼바(32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쇽업쇼바(322)가 제1연장부재(323)의 후방단부에 1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쇽업쇼바(322)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부재(4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부재(400)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본체(310) 후면에, 일단부가 후술되는 고정부(500)의 고정블럭(510)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딩봉(410)과, 슬라이딩봉들(410)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후면에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421)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42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봉(410)은 사각단면을 갖고, 적재함(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봉(410)의 상면에는 적재함(30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제1관통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봉(410)은 2개의 본체(310)의 삽입홈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500)의 고정블럭(510)에 일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2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슬라이딩봉(410)이 2개가 도시된 예를 구비하였으나, 슬라이딩봉(410)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슬라이딩봉(4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플레이트(4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면에 슬라이딩봉들(410)의 타단부가 용접고정되고, 후방면에는 반사판(421)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슬라이딩봉(410)의 상면에 적재된 적재물이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봉(410)으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420)의 상단부가 슬라이딩봉(41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플레이트(42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420)의 후방면에 반사판(421)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야간에 슬라이딩봉(410)의 인출에 의한 트레일러(100)의 길이변화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5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500)는 적재함(300)의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슬라이딩봉(410)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본체(310)의 삽입홈으로 인입될 수 있게 본체(310)의 삽입홈에 연통되는 삽입슬롯(513)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슬라이딩봉(410)의 제1관통홀(411)에 대응되게 제2 및 제3관통홀(511,512)이 형성된 고정블럭(510)과, 제1관통홀(411) 및 제2,3관통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400)를 상기 고정블럭(5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20)를 구비한다.
고정블럭(510)은 사각단면을 갖고, 중앙부분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삽입슬롯(51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블럭(510)은 2개가 마련되며, 본체(310)의 삽입홈이 형성된 적재함(300)의 후방면에 본체(310)의 삽입홈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된다. 제3관통홀(512)은 후술되는 고정부재(520)의 결합나사(521)가 용이하게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관통홀(511)에 대향되는 고정블럭(5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510)은 후방으로 소정거리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블럭(510)으로부터 인출된 슬라이딩봉(410)에 적재물을 적재시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봉(410)에 발생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슬라이딩봉(41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봉(410)을 지지한다.
고정부재(520)는 제1,2 및 제3관통홀(511,511,512)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분(523)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결합부분(52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분(523)의 일단부에 결합부분(523)의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파지부분(524)을 구비하는 결합나사(521)와, 결합나사(521)가 고정블럭(5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2 및 제3관통홀(511,511,512)에 관통되게 삽입된 결합부분(523)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522)를 구비한다.
체결너트(522)는 중앙부에 결합부분(523)이 체결될 수 있게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는 결합부분(523)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슬라이딩부재(400)에 적재할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고정블럭(510)의 삽입슬롯(513)으로부터 슬라이딩봉(410)을 인출한 다음 제1,2 및 제3관통홀(511,511,512)에 결합나사(521)를 관통되게 삽입하고, 관통된 결합나사(521)의 단부에 체결너트(522)를 체결하여 슬라이딩봉(410)을 고정블럭(510)에 고정시킨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결너트(526)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체결너트(526)는 결합나사(521)에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블럭(5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체결너트(526)는 제3관통홀(512)에 대응되게 고정블럭(510)의 하면에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결합나사(521)의 결합부분(523)에 대응되게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부(500)는 슬라이딩봉(41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600)을 더 구비한다.
지지유닛(600)은 적재공간(311) 내로 인입된 슬라이딩봉(410)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311)에 대응되는 본체(310)의 후방 내측면에, 본체(310)의 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형성되어 있다.
지지유닛(600)의 중앙부분에는 슬라이딩봉(41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310)의 삽입홈에 연통되며, 슬라이딩봉(410)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홈(61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유닛(600)은 적재공간(311) 내측으로 소정거리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봉(410)에 적재물을 적재시,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봉(410)에 발생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슬라이딩봉(41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봉(410)을 지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부재(400)를 적재물의 보조 적재용으로 사용할 경우, 슬라이딩봉(410)을 고정블럭(510)의 삽입슬롯(513)으로부터 인출시킨다. 슬라이딩부재(400)에 적재하는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봉(410)을 고정블럭(510)으로부터 인출시킨 다음, 슬라이딩봉(410)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제1관통홀(411) 중 제1관통홀(411)에 제2 및 제3관통홀(511,512)이 연통되게 슬라이딩봉(4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1,2 및 제3관통홀(511,511,512)이 상호 연통되면 결합나사(521)를 제1,2 및 제3관통홀(511,511,512)에 삽입시킨다. 제1,2 및 제3관통홀(511,511,512)을 통과한 결합나사(521)의 단부에 체결너트(522)를 체결하여 슬라이딩봉(410)을 고정블럭(5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100)는 적재함(300)의 후면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보조 적재용 슬라이딩부재(40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부재(400)가 적재함(300)의 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적재물을 일시에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고정부(500)는 슬라이딩부재(400)에 적재물을 적재시 슬라이딩부재(400)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700)를 더 구비한다. 도 5에는 상기 언급된 보강부(7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강부(700)는 적재함(300)의 상면 후방측에 형성된 제1고리(710)와, 제1고리(710)에 대향되는 위치의 고정플레이트(420) 상면에 형성된 제2고리(720)와, 제1고리(710) 및 제2고리(72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걸고리(731)가 마련된 와이어부재(730)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및 제2고리(710,720)와 와이어부재(730)가 2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고리(710,720)와 와이어부재(730)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부재(400)에 적재물을 적재한 다음, 와이어부재(730)의 양단에 마련된 걸고리(731)를 각각 제1 및 제2고리(710,720)에 연결한다. 제1 및 제2고리(710,720)에 연결된 와이어부재(730)는 슬라이딩봉(410)에 적재물을 적재시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봉(410)에 발생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슬라이딩봉(41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봉(410)을 지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트레일러
200: 프레임
300: 적재함
310: 본체
311: 적재공간
312: 투입구
320: 개폐부재
321: 덮개부재
322: 쇽업쇼바
400: 슬라이딩부재
500: 고정부
600: 지지유닛
700: 보강부

Claims (4)

  1. 운송수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마련되고, 다수의 이송바퀴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과;
    보조 적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의 맞은 편이 되는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후면에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내부로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면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적재함의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는 삽입슬롯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기 제1관통홀에 대응되게 제2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블럭과,
    상기 제1 및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고정블럭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적재함 후면에, 일단부가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봉과;
    상기 슬라이딩봉들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후방면에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통홀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제2관통홀에 대응되는 제3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2 및 제3관통홀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분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결합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분의 일단부에 상기 결합부분의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파지부분을 구비하는 결합나사와;
    상기 결합나사가 상기 고정블럭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 및 제3관통홀에 관통되게 삽입된 상기 결합부분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KR1020100088060A 2010-09-08 2010-09-08 트레일러 KR10119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60A KR101199560B1 (ko) 2010-09-08 2010-09-08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060A KR101199560B1 (ko) 2010-09-08 2010-09-08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86A KR20120025886A (ko) 2012-03-16
KR101199560B1 true KR101199560B1 (ko) 2012-11-12

Family

ID=4613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060A KR101199560B1 (ko) 2010-09-08 2010-09-08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34U (ko) 2015-08-26 2017-03-08 최창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박스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34U (ko) 2015-08-26 2017-03-08 최창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한 박스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886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013B2 (en) Recreational vehicle loading and carrying apparatus
US10479284B1 (en) Load-bearing system for supporting cargo from a vehicle
US3458073A (en) Road vehicle mounted rack for stowing a motorcycle or the like
US6550836B2 (en) Vehicle bed modular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8857880B2 (en) Cargo box extension assembly for vehicle
US7641086B2 (en) Motorcycle rack for pickup trucks and trailers
US6095387A (en) Multipurpose carrier
US8678457B1 (en) Telescoping grab handle for pickup trucks and the like
CA2332230A1 (en) Underbed gooseneck hitch assembly
US20040191037A1 (en) Pivoting RAMP devic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a motorcycle
US20120139281A1 (en) Modular ramp assembly for vehicle
EP3251898A1 (en) Pivoting hitch-type vehicle-mounted equipment carrier with equipment weight compensation feature
CA2619164A1 (en) Equipment rack for trailers
CA2806422C (en) Atv ramp
US20060045645A1 (en) Tie dow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3655082A (en) Camper cycle carrier
KR101801470B1 (ko) 인입인출형 경사로 탑재 트레일러
US20110049207A1 (en) Hitch mounted cargo carrier
US7703825B2 (en) Truck bed extender
US20150274087A1 (en) Tow bar attachment
US9783398B1 (en) Hoist system for ATVS and ATV with hoist system
KR101199560B1 (ko) 트레일러
US10486611B1 (en) Assembly and adapter for supporting an apparatus on a vehicle tow hitch assembly
US20040004099A1 (en) Motorcycle lifting device and carrier rack assembly
US7040643B1 (en) Truck bed exte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