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898U - 차량용 카고스크린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고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898U
KR20120002898U KR2020100010700U KR20100010700U KR20120002898U KR 20120002898 U KR20120002898 U KR 20120002898U KR 2020100010700 U KR2020100010700 U KR 2020100010700U KR 20100010700 U KR20100010700 U KR 20100010700U KR 20120002898 U KR20120002898 U KR 201200028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support
housing
fastening par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운 고
최병기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898U/ko
Publication of KR20120002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8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카고스크린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고스크린은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커튼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커튼부를 지지하는 사이드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는, 상기 커튼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고스크린{Cargo screen assembly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카고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미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렁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나, 밴(van) 형 차량의 경우 통상 차량의 뒷좌석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 룸(luggage room)이 마련된다.
일반 승용차에 마련되는 트렁크의 경우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는데 반해, 밴 형 차량에 마련되는 러기지 룸은 차량의 실내와 연결된 개방 구조이다. 또한, 트렁크의 경우 외부에서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볼 수 없으나,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은 외부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따라서 밴 형 차량의 경우, 차량의 운행 중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이 차량 뒷좌석으로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또한, 외부에서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을 쉽게 볼 수 있어 도난 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밴 형 차량의 러기지 룸에는 카고스크린이 장착된다. 카고스크린은 일종의 커튼과 유사한 장치로, 스크린이 러기지 룸의 후방으로 전개되어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을 가리는 장치이다.
따라서 카고스크린은 러기지 룸에 적재된 화물을 감싸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뿐만 아니라, 화물의 노출을 막아 도난 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통상, 카고스크린은 하우징부와 커튼부를 포함한다. 커튼부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커튼부는 일측에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를 사용하여 커튼부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커튼부는 하우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손잡이부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커튼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카고스크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커튼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커튼부를 지지하는 사이드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는, 상기 커튼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고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하우징부의 일측에 사이드 서포터를 체결함으로써 커튼부가 커튼부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고스크린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서포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고스크린(100)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서포터(11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차량용 카고스크린(100)은 사이드 서포터(110)를 포함한다. 사이드 서포터(110)는 지지부(111)를 포함한다. 지지부(111) 커튼부(13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튼부(130)는 일측에 손잡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31)는 커튼부(13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31)를 사용하여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삽입된 커튼부(130)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커튼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3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32)은 커튼부(130)의 양측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턱(132)은 손잡이부(13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커튼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턱(132)은 커튼부(130)가 하우징부(1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튼부(130)는 일측에 손잡이부(131)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32)이 체결될 수 있다. 커튼부(130)는 손잡이부(131) 및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132)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질 수 있다.
이때, 사이드 서포터(110)는 걸림턱(132)이 커튼부(130)에 체결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하우징부(12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20)에 체결되는 사이드 서포터(110)의 수량은 커튼부(130)에 체결되는 걸림턱(132)의 수량에 대응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터(110)가 걸림턱(132)의 위치에 대응됨으로써 지지부(111)는 걸림턱(13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커튼부(130)가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걸림턱(132)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서포터(110)는 커튼부(130)가 걸림턱(132)의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도가 높은 재질은 강화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강도가 높은 재질이 상기 강화플라스틱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111)는 상기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상기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됨으로써 걸림턱(132)의 하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1)는 걸림턱(132)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1)는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지지부(111)의 높이가 감소됨으로써 지지부(111)를 만들 때 사용되는 강화플라스틱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서포터(111)의 제작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지지부(111)의 일측은 소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튼부(13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안 지지부(11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튼부(13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안 지지부에(11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는 커튼부(130)가 접촉되는 부분이 소정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튼부(130)는 지지부(110)의 곡률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하우징부(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튼부(130)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안 지지부(11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 하면, 사이드 서포터(110)는 체결부(112)를 포함한다. 체결부(112)는 지지부(1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지지부(11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하우징부(12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12)가 하우징부(120)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부(111)는 하우징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120)는 체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체결홀(12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지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112)는 체결홀(121)에 효과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제 1 체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는 지지부(1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는 일측에 제 1 걸림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는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제 2 체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5)는 지지부(1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5)는 제 1 체결부(113)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5)는 일측에 제 2 걸림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돌기(116)는 제 1 체결부(113)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14)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5)는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12)는 제 1 체결부(113) 및 제 2 체결부(115)에 제 1 걸림돌기(114) 및 제 2 걸림돌기(116)가 형성되어 후크(Hook)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서포터(110)는 제 1 체결부(113) 및 제 2 체결부(115)에 의해 하우징부(120)의 일측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돌기(114) 및 제 2 걸림돌기(116)는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걸림돌기(114) 및 제 2 걸림돌기(116)는 단면이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서포터(110)가 하우징부(130)에 체결되는 동안 제 1 체결부(113)는 제 1 걸림돌기(114)에 의해 체결부(112)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서포터(110)가 하우징부(130)에 체결되는 동안 제 2 체결부(115)는 제 2 걸림돌기(116)에 의해 체결부(112)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제 1 체결부(113)와 제 2 체결부(115)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113)와 제 2 체결부(115)는 체결홀(1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1 걸림돌기(114) 및 제 2 걸림돌기(116)가 체결홀(121)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1 체결부(113)는 복원력에 의해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의 위치가 복원되면 제 1 걸림돌기(114)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113)가 하우징부(120)의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걸림돌기(114) 및 제 2 걸림돌기(116)가 체결홀(121)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2 체결부(115)는 복원력에 의해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제 2 체결부(115)의 위치가 복원되면 제 2 걸림돌기(116)는 하우징부(120)의 내부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 2 체결부(115)가 하우징부(120)의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3) 및 제 2 체결부(115)가 하우징부(120)의 외부로 빠지지 않음으로써 사이드 서포터(110)는 하우징부(120)의 일측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서포터(110)는 커튼부(130)의 걸림턱(132)을 지지하는 동안 하우징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카고스크린
110: 사이드 서포터
120: 하우징부
130: 커튼부

Claims (4)

  1.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커튼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커튼부를 지지하는 사이드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서포터는,
    상기 커튼부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카고스크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카고스크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은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카고스크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용 카고스크린.
KR2020100010700U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카고스크린 KR201200028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00U KR20120002898U (ko)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카고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700U KR20120002898U (ko)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카고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98U true KR20120002898U (ko) 2012-04-27

Family

ID=4660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700U KR20120002898U (ko) 2010-10-19 2010-10-19 차량용 카고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89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44A (ko)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2144852B1 (ko) 2019-10-01 2020-08-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2213608B1 (ko) 2019-10-11 2021-02-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의 제조방법
KR20210041244A (ko)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44A (ko)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102144852B1 (ko) 2019-10-01 2020-08-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카고 스크린
KR20210041244A (ko)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13608B1 (ko) 2019-10-11 2021-02-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103B1 (ko) 접철식 분리 장치
JP4852115B2 (ja) 車両用カーゴネット
CN208264121U (zh) 车辆和货物组件
US6550654B1 (en) Cargo net assembly
JP2017504511A (ja) 多用途自動車用の積載領域拡張部を備えたテールゲートおよび自動車
US20170144614A1 (en) Vehicle rear surface protector
KR20120002898U (ko) 차량용 카고스크린
JPH09193716A (ja) 荷物室構造
US10946806B2 (en) Mesh pocket for vehicle
CN103204108A (zh) 车辆的行李箱构造
US10703182B2 (en) Loading space cover and motor vehicle
JP2010179784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US20230100118A1 (en) Cargo assist system
KR101198836B1 (ko)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US20120263552A1 (en) Vehicle cargo retention system
KR101630647B1 (ko) 차량용 적재함 커버
KR102015841B1 (ko) 자동차용 러기지룸 행거 및 그의 보관장치
JP4247407B2 (ja)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US20100301626A1 (en) Cargo cage for an automobile
JP5391180B2 (ja) トラック用収納構造
JP5209995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7131278A (ja) 車両用デッキボード
JP5386469B2 (ja) トラック用収納構造
JP3053557B2 (ja) 車載用テーブルおよびその取付構造
KR101973266B1 (ko)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