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696B1 - 식품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696B1
KR101296696B1 KR1020107027418A KR20107027418A KR101296696B1 KR 101296696 B1 KR101296696 B1 KR 101296696B1 KR 1020107027418 A KR1020107027418 A KR 1020107027418A KR 20107027418 A KR20107027418 A KR 20107027418A KR 101296696 B1 KR101296696 B1 KR 10129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tation
food
steam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306A (ko
Inventor
시게미 이시자키
다카아키 시부에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레온 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3Manipulating tins, pans etc., e.g. charging or discharging conveyors, trolleys 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식품처리장치(3)의 일측 근방에 래크반입 스테이션(7)을 구비함과 아울러 타측 근방에 래크반출 스테이션(9)을 구비하고, 래크(5)를 인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식품처리장치(3) 내로 래크(5)를 삽입할 수 있는 제1래크 이송장치(15)를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구비하고, 상기 식품처리장치(3) 내로부터 래크(5)를 인출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래크반출 스테이션(9)으로부터 외부로 압출할 수 있는 제2래크 이송장치(15A)를 상기 래크반출 스테이션(9)에 구비하고, 상기 래크 이송장치(15, 15A)에 구비된 래크 이송수단(23)은 각각 수평으로 선회할 수 있고,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품처리장치(3)의 반대측에, 래크(5)에 구비된 복수 단의 트레이 수용부(13)에 상부측으로부터 트레이(11)를 순차적으로 반입하기 위한 트레이 반입장치(55)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식품처리 시스템{FOOD PRODUCT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미리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면 빵의 생지(生地) 등과 같은 식품생지(食品生地)를, 예를 들면 스팀처리(steam 處理)나 발효처리(醱酵處理) 등과 같은 적절한 식품처리를 하기 위한 식품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상기 식품생지를 재치(載置)한 복수의 트레이(tray)를 복수 단으로 수용한 래크(rack)를, 적절한 식품처리를 하는 식품처리장치에 대한 반입, 반출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또한 전체 구성의 소형화, 간소화를 도모한 식품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식품생지의 식품처리로서, 예를 들면 빵 생지의 발효처리를 하는 경우에 빵 생지를 재치한 복수의 트레이를 래크 내에 복수 단으로 수용하고, 이 래크를 발효실(醱酵室)에 반입, 반출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구성은, 콘베이어(conveyor)에 의하여 반송되어 온 상판(上板)을 래크 로더(rack loader) 내에 복수 단으로 수용한 후에, 이 래크 로더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판 래크에 대하여, 로딩 푸셔(loading pusher)에 구비된 가압부(加壓部)에 의하여 모든 상판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상판 래크에 대하여 상판을 복수 단으로 이송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판을 수용한 상판 래크는, 모노레일 호이스트(monorail hoist) 및 로딩 콘베이어(loading conveyor)에 의하여 발효실 내로 반입된다.
그리고 상기 발효실 내의 상판 래크는, 발효실 내에 구비된 실내 모노레일 호이스트에 의하여 발효실 내의 소정 위치로 이송되어, 발효처리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발효처리가 이루어진 후의 상판 래크는, 상기 실내 모노레일 호이스트에 의하여 출구에 구비된 언로딩 콘베이어(unloading conveyor) 상으로 이송되고, 이 언로딩 콘베이어에 의하여 상기 발효실로부터 반출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는, 발효실 내로 복수의 상판 래크를 반입하여 대량의 식품생지의 발효처리를 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로딩 푸셔나 실내 모노레일 호이스트가 필요한 것으로서, 시스템 전체의 소형화,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측면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2102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목적은, 식품생지를 재치한 복수의 트레이를 복수 단으로 수용한 래크를, 적절한 식품처리를 하는 식품처리장치에 대한 반입, 반출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또한 전체 구성의 소형화,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식품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어스펙트는, 식품처리 시스템(食品處理 system)으로서 이하로 구성된다 : 식품생지(食品生地 ; food dough)를 식품처리하기 위한 상자 모양의 식품처리장치(食品處理裝置)의 일측(一側) 근방에 설치되는 래크반입 스테이션(rack 搬入 station); 및,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타측(他側) 근방에 설치되는 래크반출 스테이션(rack 搬出 sta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이,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래크(rack)를 인입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식품처리장치 내로 래크를 삽입할 수 있는 제1래크 이송장치(第一 rack 移送裝置)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래크반출 스테이션이, 상기 식품처리장치 내로부터 래크를 인출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래크반출 스테이션 내의 래크를 당해 래크반출 스테이션으로부터 외부로 압출할 수 있는 제2래크 이송장치(第二 rack 移送裝置)를 구비하고 있고; 및, 상기 제1, 제2래크 이송장치에 구비된 래크 이송수단(rack 移送手段)은 각각 수평으로 선회(旋回)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2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처리 시스템이 이하를 더 구비한다 :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위치하는 래크에 구비된 복수 단의 트레이 수용부(tray 收容部)에 상부측으로부터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반입하기 위한 트레이 반입장치(tray 搬入裝置).
상기 제1어스펙트 또는 상기 제2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3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開閉門)이 구비되어 있고; 및, 상기 개폐문의 개폐동작에 연동(連動)되어 상기 래크 이송장치에 구비된 래크 가이드부(rack guide 部)에 정합(整合) 가능한 선회래크 가이드부재(旋回 rack guide 部材)가 수평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상기 제3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4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보통의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측이 상측이 되도록 가압되고,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으로부터 래크를 상기 식품처리장치로 반입할 때에, 당해 래크에 가압되어 수평 모양으로 쓰러져 상기 래크를 안내하기 위한 회전래크 가이드부재(回轉 rack guide 部材)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상기 제4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5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크 이송장치가, 상기 래크를 지지하는 다각형 모양의 래크지지 베이스(rack 支持 base)를 구비하고 있고; 및, 상기 래크 이송장치가,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래크를 당해 래크지지 베이스 상으로 인입할 때에 래크를 안내하기 위한 인입용의 래크 가이드부(rack guide 部)와, 당해 래크지지 베이스 상으로부터 래크를 압출할 때에 래크를 안내하기 위한 압출용의 래크 가이드부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상기 제5어스펙트 중 어느 하나의 어스펙트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6어스펙트는, 상기 식품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래크를 반입하기 위한 래크 반입로(rack 搬入路)는,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측이 높아지게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및,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측으로 래크가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역방향(逆方向)으로 래크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기구(stopper 機構)가 상기 래크 반입로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어스펙트 내지 제6어스펙트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처리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배치된 래크 이송장치에 의하여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으로 래크를 인입하는 것 및 상기 식품처리장치로 래크를 반입하는 것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품처리장치의 타측에 구비된 래크반출 스테이션에 배치된 래크 이송장치에 의하여 상기 식품처리장치로부터의 래크의 반출 및 래크반출 스테이션으로부터 외부로의 래크의 압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품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소형화,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식품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식품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다.
도3은,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구비된 래크 이송장치의 평면 설명도로서 래크를 인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구비된 래크 이송장치의 좌측 단면 설명도로서 래크를 인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도3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래크 이송장치 상에 래크를 인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6은, 도4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부터 래크 이송장치 상에 래크를 인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 도2를 참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식품처리 시스템(食品處理 system)(1)은, 예를 들면 빵의 생지(生地 ; dough) 등과 같은 식품생지(食品生地 ; food dough)에 있어서 식품처리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스팀공정(steam 工程) 처리 등과 같은 적절한 처리를 하기 위한 상자 모양의 식품처리장치(食品處理裝置)(3)를 구비하고 있고, 이 식품처리장치(3)의 일측(一側)(도1, 도2에 있어서 좌측, 동(同) 도면 및 동 도면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 「L」로 나타나 있는 측) 근방에는, 당해 식품처리장치(3)에 래크(rack)(5)를 반입하기 위한 래크반입 스테이션(rack 搬入 station)(7)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처리장치(3)의 타측(他側)(도1, 도2에 있어서 우측, 동 도면 및 동 도면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 「R」로 나타나 있는 측) 근방에는, 상기 식품처리장치(3)로부터 래크(5)를 반출하기 위한 래크반출 스테이션(rack 搬出 station)(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래크(5)의 구성은 주지(周知)된 것이지만,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래크(5)의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래크(5)는 4개의 지주(支柱)(5A)를 4각형 모양으로 배치하고, 각 지주(5A)를 프레임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한 구성으로서, 하부의 프레임(5B)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크(5) 내에는, 4각형 모양의 트레이(tray)(11)를 수용하는 트레이 수용부(tray 收容部)로서 트레이(11)의 전후 양쪽 테두리부를 지지하고 단면이 L형상인 트레이 지지레일(tray 支持 rail)(13)이 전후로 대향(對向)하여 복수 단(段)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래크(5)에 있어서 각 지주(5A)의 하부에는 각각 캐스터(caster)(5C)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5)는 방향성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는, 앞쪽(도1에 있어서 하측, 동 도면 및 동 도면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 「F」로 나타나 있는 측)으로부터 래크(5)를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7)으로 인입하고 또한 상기 식품처리장치(3)에 래크(5)를 삽입(반입)하기 위한 래크 이송장치(rack 移送裝置)(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래크 이송장치(15)는, 도3,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다각형 모양 즉 4각형 모양의 래크지지 베이스(rack 支持 base)(17)를 구비하고 있고, 이 래크지지 베이스(17)에 있어서 상면의 좌우 양측부(도3에 있어서 「L」 및 「R」로 나타나 있는 측의 양측부)에는, 상기 래크(5)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캐스터(5C)가 좌우방향(도3에 있어서 「L」 및 「R」로 나타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전후방향(도3에 있어서 「F」 및 「B」로 나타나 있는 방향, 도1 및 도4 내지 도6에 있어서 「F」 및 「B」로 나타나 있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인입용의 좌우 래크 가이드부(rack guide 部)(19A, 19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래크 가이드부(19A, 19B)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대향하도록 하여 구비한 구성 또는 홈(groove)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좌우 양측의 캐스터(5C)가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전측단(前側端)(입구측)은, 전단부(前端部)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팔자형(八字形)으로 열려 있다. 그리고 이 래크 가이드부(19A, 19B)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래크(5)에 구비된 좌우의 캐스터(5C)에 있어서의 전후방향(도3, 도4에 있어서 「F」 및 「B」로 나타나 있는 방향)의 간격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에 있어서 래크(5)의 전후 양측의 캐스터(5C)는, 상기 래크 가이드부(19A, 19B)의 전후 양단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에 있어서 상면의 전후 양측부(도3에 있어서 「F」 및 「B」로 나타나 있는 측의 양측부)에는, 래크(5)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의 캐스터(5C)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압출용(반입용)의 래크 가이드부(rack guide部)(21A, 21B)가 구비되어 있다. 이 반입용의 래크 가이드부(21A, 21B)는 인입용의 상기 래크 가이드부(19A, 19B)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반입용의 래크 가이드부(21A, 21B)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의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래크(5)를 인입하여, 상기 식품처리장치(3)로 래크(5)를 반입하기 위하여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는 래크 이송수단(rack 移送手段)(23)이 수평으로 선회(旋回)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의 중앙부에는, 로터리 액추에이터(rotary actuator)(25)에 의하여 수평으로 선회되는 선회대(旋回臺)(27)가 상기 래크 가이드부(19A, 19B : 21A, 21B)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대(27)에는, 선회대(27)로부터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slider)(2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29)는 상기 선회대(27)에 구비된 에어 실린더(air cylinder) 등과 같은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往復移動用 actuator)(31)에 의하여 왕복이동되는 것으로서, 이 슬라이더(29)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회전하도록 구비된 체인 스프로킷(chain sprocket) 등과 같은 회전체(回轉體)(33A, 33B)에 감긴 체인 등과 같은 엔드리스 부재(endless 部材)(35)의 일부는, 상기 선회대(27)의 선단부에 구비된 브래킷(bracket)(3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리스 부재(35)의 일부에는, 상기 슬라이더(29)에 의하여 안내되어 왕복이동 가능한 훅 지지부재(hook 支持部材)(38)가 연결되어 있고, 이 훅 지지부재(38)의 양측에는, 소형의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39)(도2, 도6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이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39)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피스톤 로드(piston rod)와 같은 상하 작동간(上下作動杆)(41)에는, 상기 래크(5)에 있어서의 하부재(下部材)(5B)의 일부를 결합할 수 있는 U자 형상의 훅(hook)(43)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크(5)에 있어서의 하부재(5B)의 일부에 상기 훅(43)을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31)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29)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의 외부로부터 당해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래크(5)를 인입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부터 래크 이송장치(15)의 외측으로 압출(반출)시킬 수 있다.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의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래크(5)가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의 앞쪽(도3, 도4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뒤쪽(래크지지 베이스(17)측)이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경사진 경사대(傾斜臺)(4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사대(45)의 경사면에는, 상기 래크(5)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캐스터(5C)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의 인입용의 상기 래크 가이드부(19A, 19B)로 안내하는 좌우의 래크 반입로(rack 搬入路)(47A, 47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래크 반입로(47A, 47B)의 소정 위치에는, 이 래크 반입로(47A, 47B)에 반입된 래크(5)의 캐스터(5C)를 접촉하여 결합할 수 있는 스토퍼(stopper)(4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49)는 상기 래크 이송장치(15) 방향으로 래크(5)가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상기 래크 반입로(47)의 경사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역방향으로) 래크(5)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토퍼(49)는 예를 들면 적절한 스프링 등과 같은 가압수단(加壓手段)(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상기 래크 반입로(47A, 47B)에 항상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크 반입로(47A, 47B) 내를 래크(5)의 캐스터(5C)가 상기 래크 이송장치(15)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캐스터(5C)와 간섭하여 래크 반입로(47)로부터 침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수동으로 래크(5)를 상기 경사대(45)의 래크 반입로(47A, 47B)를 따라 가압하여 전진시키고, 상기 래크(5)의 캐스터(5C)가 상기 스토퍼(49)를 가압하여 후퇴시켜서 스토퍼(49)를 넘으면, 스토퍼(49)가 래크 반입로(47A, 47B)로 돌출되어 캐스터(5C)를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래크 반입로(47A, 47B)가 앞쪽(도4에 있어서 우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래크(5)는 경사를 따라 하강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 슬라이더(29)를,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이동시키고, 훅(43)을 래크(5)에 있어서의 하부재(5B)에 대응시킨 후에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39)를 작동시켜서 상기 훅(43)을 상승시키면, 상기 훅(43)이 상기 하부재(5B)의 일부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훅(43)을 하부재(5B)의 일부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슬라이더(29)를 상기 선회대(27) 상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래크(5)는 앞쪽으로부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인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래크(5)가 인입될 때에 래크(5)의 캐스터(5C)는,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에 구비된 인입용의 래크 가이드부(19A, 19B)로 안내되어 좌우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에 있어서의 래크(5)의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은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9)의 복귀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래크(5)의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에 있어서의 래크(5)의 전후방향의 위치결정도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구비된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의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앞쪽으로부터 래크(5)를 인입한 후에, 훅(43)을 하강시켜서 래크(5)의 하부재(5B)로부터 이탈시킨다. 그 후에 로터리 액츄에이터(25)의 작동에 의하여 선회대(27)를 도3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선회시켜서,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9)를 좌우방향 즉 상기 식품처리장치(3)에 대하여 접근이반(接近離反)하도록 위치결정하고, 상기 훅(43)을 상승시켜서 하부재(5B)에 있어서의 좌측부의 일부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선회대(27)로부터 슬라이더(29)를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래크(5)는 상기 식품처리장치(3) 방향으로 반출된다.
상자 모양의 상기 식품처리장치(3)는,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측으로부터 래크(5)가 반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의 반대측으로 래크(5)가 반출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즉 도1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래크(5)를 반입하여 우측으로 반출하기 때문에, 상기 식품처리장치(3)의 좌우 양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전후의 개폐문(開閉門)(51A, 51B)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품처리장치(3)의 좌우 양측부에는,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등과 같은 가압수단(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내측방향으로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된 전후 한 쌍의 선회래크 가이드부재(旋回 rack guide 部材)(53A, 53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는,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구비된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의 전후의 상기 반입용 래크 가이드부(21A, 21B)와 좌우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정합(整合)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개폐문(51A, 51B)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개폐문(51A, 51B)의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51A, 51B)이 전후방향으로 열리면, 가압수단의 가압에 의하여 수평으로 회전하여,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의 상기 래크 이송장치(15)로부터 반입되는 래크(5)를 안내하도록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구비된 전후의 래크 가이드부(21A, 21B)와 직선 모양으로 정합한다.
또 상기 개폐문(51A, 51B)이 원래의 상태로 닫힐 때에는,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개폐문(51A, 51B)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전하여 복귀되어, 개폐문(51A, 51B)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래크 이송장치(15) 상으로부터 상기 식품처리장치(3) 내로 래크(5)를 반입할 때에, 당해 식품처리장치(3)에 있어서의 좌측의 개폐문(51A, 51B)은 열린 상태로 있고, 좌측의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는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구비된 전후의 래크 가이드부(21A, 21B)에 좌우방향으로 직선 모양으로 정합된 상태에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를 식품처리장치(3)측에 구비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는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식품처리장치(3)와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의 사이에 다소의 간격이 존재하는 경우이더라도,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측으로부터 식품처리장치(3)측으로 래크(5)를 원활하게 반입(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래크 가이드부재(53A, 53B)를 대신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래크 가이드부재(回轉 rack guide 部材)로 할 수도 있다. 즉 회전래크 가이드부재의 기단부(基端部)측을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측에 구비함과 아울러 선단측(우단측(右端側))이 상승하도록 토션 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으로 가압한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으로부터 상기 식품처리장치(3)로 래크(5)를 반입할 때에, 래크(5)에 구비된 캐스터(5C)에 의하여 가압되어 수평상태로 쓰러지는 구성으로 한다.
즉 보통의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측이 상측이 되도록 가압되고, 래크반입 스테이션(7)으로부터 래크(5)를 식품처리장치(3)로 반입할 때에, 당해 래크(5)에 가압되어 수평 모양으로 쓰러져 래크(5)를 안내하기 위한 회전래크 가이드부재를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또 이러한 회전래크 가이드부재를 상기 식품처리장치(3)의 래크반출 스테이션(9)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회전래크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식품처리장치(3)로부터 래크반출 스테이션(9)으로 반출되는 래크(5)를 안내한다.
그런데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의 래크지지 베이스(17)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래크지지 베이스(17)의 중앙부에 래크 이송수단(23)을 수평으로 선회하도록 구비한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에 래크(5)를 재치(載置)한 상태에 있어서 래크지지 베이스(17) 및 래크 이송수단(23)을 일체로 수평으로 선회시키는 경우의 구성과 비교하여,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17)를 상기 식품처리장치(3)에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전체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처리장치(3) 내로 반입된 래크(5)를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래크반출 스테이션(9)에는,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와 동일한 구성의 래크 이송장치(15A)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당해 래크 이송장치(15A)에 있어서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여, 래크 이송장치(15A)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 식품처리장치(3)에 있어서의 우측의 개폐문(51A, 51B)이 열리면, 상기 래크 이송장치(15A)가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있어서의 상기 래크 이송장치(15)의 반입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식품처리장치(3) 내로부터 래크(5)를 래크반출 스테이션(9)에 구비된 래크 이송장치(15A)에 있어서의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으로 래크(5)를 반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래크 이송장치(15A)의 앞쪽에 배치된 경사대(45A) 상으로 래크(5)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경사대(45A)는 상기한 경사대(45)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송출된 상기 래크(5)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토퍼는 상기 경사대(45A)에 수동으로 착탈(着脫)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사대(45A) 상으로 송출된 래크(5)는, 상기 스토퍼를 떼어냄으로써 경사대(45A) 상으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래크(5)는,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구비된 래크 이송장치(15)에 의하여 식품처리장치(3) 내로 반입되고, 그리고 래크반출 스테이션(9)에 구비된 래크 이송장치(15A)에 의하여 상기 식품처리장치(3) 내로부터 래크(5)를 반출한다. 그 후에 래크(5)를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수동으로 되돌릴 수 있다. 즉 래크(5)를 순환이동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처리장치(3) 내로 반입되는 래크(5)에 있어서의 복수 단의 트레이 지지레일(13)에 복수의 트레이(11)를 수용하는 경우에, 수동으로 트레이(11)를 수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래크(5)에 대한 트레이(11)의 수용을 자동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인접한 위치에는 트레이 반입장치(tray 搬入裝置)(55)가 구비되어 있다. 이 트레이 반입장치(55)는,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의 래크 이송장치(15)에 있어서의 래크지지 베이스(17) 상에 위치하는 래크(5)의 복수 단의 트레이 수용부인 트레이 지지레일(13)에 상부측으로부터 트레이(11)를 순차적으로 반입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는, 도1에 있어서는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품처리장치(3)의 반대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는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의 뒤쪽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에 의하여 래크(5)로 반입되는 트레이(11) 상에, 예를 들면 팥빵이나 찐빵 등과 같은 포피식품(包皮食品) 등의 식품생지(食品生地)(57)를 공급하기 위한 포피식품 공급장치(包皮食品 供給裝置)(59)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포피식품 공급장치(59)는 주지(周知)된 것이기 때문에, 포피식품 공급장치(59)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포피식품 공급장치(59)로부터 잇달아 공급되는 식품생지(57)를 재치하기 위한 트레이(11)를 공급하기 위하여 트레이 피더(tray feeder)(61)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트레이 피더(61)로부터 이송된 트레이(11) 상에 상기 식품생지(57)를 복수 열, 복수 행으로 정렬하여 재치하기 위한 식품생지 정렬재치장치(食品生地 整列載置裝置)(63)가 구비되어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트레이 피더(61) 및 식품생지 정렬재치장치(63)는 공지(公知)의 것이더라도 좋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식품생지 정렬재치장치(63)를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식품생지(57)를 재치한 트레이(11)를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로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의 반대측에는, 트레이 반송장치(tray 搬送裝置)(65)가 구비되어 있다. 이 트레이 반송장치(65)는 당해 트레이 반송장치(65)의 테이블(table)(67) 상으로 이송된 트레이(11)를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로 반송하기 위하여 상기 테이블(67)의 상방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 등과 같은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6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69)에는 당해 액추에이터(69)에 의하여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슬라이더(71)가 구비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71)에는, 당해 슬라이더(71)에 구비된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푸셔(pusher)(73)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푸셔(73)는, 하강되었을 때에 상기 테이블(67) 상의 트레이(11)의 좌측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높이 위치가 되어, 상기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69)에 의하여 도2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트레이(11)를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로 반송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트레이 반입장치(55)는, 상기 트레이 반송장치(65)로부터 반송된 트레이(11)를 받는 수취 콘베이어(受取 conveyor)(75)를 구비한 엘리베이터(elevator)(77)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77)는, 트레이 반입장치(55)에 구비된 서보모터(servo motor) 또는 브레이크(brake)가 부착된 모터 등과 같은 적절한 모터(motor)(79)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동기(同期)하여 주행이동되는 복수의 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 등과 같은 엔드리스 부재(endless 部材)(81)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위치하는 래크(5)에 있어서 복수 단으로 구비된 각 트레이 지지레일(13)에 대응한 높이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취 콘베이어(75) 상의 트레이(11)를 상기 래크(5)로 반입하기 위하여 상기 수취 콘베이어(75)의 상방 위치에는, 상기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69)와 동일한 왕복이동용 액추에이터(83)가 구비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71)와 동일한 슬라이더(8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셔(73)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85)에 구비된 상하이동용 액추에이터(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푸셔(8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반송장치(65)로부터 수취 콘베이어(75) 상으로 트레이(11)가 반송될 때마다 엘리베이터(77)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위치하는 래크(5)의 트레이 지지레일(13)에 상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반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래크(5)의 각 트레이 지지레일(13)에 트레이(11)를 수용할 때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11) 상으로 예를 들면 수용하려고 하는 트레이(11)에 부착되어 있는 밀가루 등 여분의 것을 낙하시키는 것과 같은 경우는 없어, 이미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11) 상의 식품생지(57)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
이미 이해한 바와 같이 래크반입 스테이션(7)에 있어서 식품생지(57)를 재치한 트레이(11)를 복수 단으로 수용한 래크(5)를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처리장치(3) 내로 반입함으로써, 식품생지(57)의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처리장치(3)로부터 래크반출 스테이션(9)측으로 반출된 래크(5)로부터 트레이(11)를 꺼냄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래크(5)를 순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11) 상으로부터 처리된 후의 식품생지(57)를 다음 공정에서 제거한 후에, 트레이(11)를 상기 트레이 피더(61)로 반입시킴으로써 트레이(11)를 순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설명에 의하여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식품처리장치(3)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래크반입 스테이션(7) 및 래크반출 스테이션(9)에 각각 래크 이송장치(15, 15A)를 배치하여, 식품처리장치(3)에 대한 래크(5)의 반입, 반출만을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는 식품처리장치(3)와 동일한 구성의 래크 이송장치(15, 15A)가 되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어, 소량 생산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포피식품 공급장치(59), 트레이 피더(61), 식품생지 정렬재치장치(63), 트레이 반송장치(65) 및 트레이 반입장치(55)의 각 구성요소를 추가한 구성의 시스템으로 함으로써, 트레이(11)에 대한 식품생지(57)의 이송, 래크(5)에 대한 트레이(11)의 반입 수용 등도 자동화 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의 기재 내용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35730호(2008년 5월 23일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변경을 함으로써 그 이외의 다양한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食品의 steam 및 醱酵 處理 system)으로서,
    식품생지(食品生地 ; food dough)에 대하여 스팀/발효처리를 하기 위한 상자 모양의 식품스팀/발효처리장치(食品steam/醱酵處理裝置)의 일측(一側) 근방에 설치되는 래크반입 스테이션(rack 搬入 station); 및
    상기 식품스팀/발효처리장치의 타측(他側) 근방에 설치되는 래크반출 스테이션(rack 搬出 station);을
    포함하고,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이,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의 외부로부터 래크(rack)를 인입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식품스팀/발효처리장치 내로 래크를 삽입할 수 있는 제1래크 이송장치(第一 rack 移送裝置)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래크반출 스테이션이, 상기 식품스팀/발효처리장치 내로부터 래크를 인출할 수 있고 또한 당해 래크반출 스테이션 내의 래크를 당해 래크반출 스테이션으로부터 외부로 압출할 수 있는 제2래크 이송장치(第二 rack 移送裝置)를 구비하고 있고; 및
    상기 제1, 제2래크 이송장치에 구비된 래크 이송수단(rack 移送手段)은 각각 수평으로 선회(旋回)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위치하는 래크에 구비된 복수 단의 트레이 수용부(tray 收容部)에 상부측으로부터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반입하기 위한 트레이 반입장치(tray 搬入裝置)를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인접한 위치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스팀/발효처리장치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평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開閉門)이 구비되어 있고; 및
    상기 개폐문의 개폐동작에 연동(連動)되어 상기 래크 이송장치에 구비된 래크 가이드부(rack guide 部)에 정합(整合) 가능한 선회래크 가이드부재(旋回 rack guide 部材)가 수평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보통의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측이 상측이 되도록 가압되고, 당해 래크반입 스테이션으로부터 래크를 상기 식품스팀/발효처리장치로 반입할 때에, 당해 래크에 가압되어 수평 모양으로 쓰러져 상기 래크를 안내하기 위한 회전래크 가이드부재(回轉 rack guide 部材)가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 이송장치가, 상기 래크를 지지하는 다각형 모양의 래크지지 베이스(rack 支持 base)를 구비하고 있고; 및
    상기 래크 이송장치가, 상기 래크지지 베이스의 상면에, 상기 래크를 당해 래크지지 베이스 상으로 인입할 때에 래크를 안내하기 위한 인입용의 래크 가이드부(rack guide 部)와, 당해 래크지지 베이스 상으로부터 래크를 압출할 때에 래크를 안내하기 위한 압출용의 래크 가이드부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에 래크를 반입하기 위한 래크 반입로(rack 搬入路)는,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측이 높아지게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및
    상기 래크반입 스테이션측으로 래크가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역방향(逆方向)으로 래크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기구(stopper 機構)가 상기 래크 반입로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스팀 및 발효 처리 시스템.
KR1020107027418A 2008-05-23 2009-05-21 식품처리 시스템 KR101296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5730A JP2009278935A (ja) 2008-05-23 2008-05-23 食品処理システム
JPJP-P-2008-135730 2008-05-23
PCT/JP2009/059336 WO2009142261A1 (ja) 2008-05-23 2009-05-21 食品処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6A KR20110005306A (ko) 2011-01-17
KR101296696B1 true KR101296696B1 (ko) 2013-08-19

Family

ID=4134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418A KR101296696B1 (ko) 2008-05-23 2009-05-21 식품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9278935A (ko)
KR (1) KR101296696B1 (ko)
CN (1) CN102026548B (ko)
TW (1) TWI457077B (ko)
WO (1) WO2009142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5108A (zh) * 2012-10-29 2013-01-23 上海伟隆机械设备有限公司 酥性食品舒缓醒发装置
ITBO20130060A1 (it) * 2013-02-13 2014-08-14 Minipan S R L Gruppo per la gestione di carrelli ed impianto di produzione di alimenti provvisto di tale gruppo.
IT201700122788A1 (it) * 2017-10-27 2019-04-27 Linco S R L Impianto per la gestione di vassoi
CN107969451B (zh) * 2017-12-21 2022-11-11 成都松川雷博机械设备有限公司 烧麦成型装置
CN108850051B (zh) * 2018-06-13 2020-08-11 合肥中农科泓智营养健康有限公司 一种连续式醒发装置
KR102339174B1 (ko) * 2020-05-08 202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872A (ja) * 1991-06-29 1993-09-07 Werner & Pfleiderer Gmbh 通過型発酵棚
JPH09140317A (ja) * 1995-11-24 1997-06-03 World Seiki:Kk 焼成物の焼成方法及び自動オーブン
JPH1077106A (ja) * 1996-09-03 1998-03-24 Sanmei:Kk 天板積降設備
JP2005021022A (ja) 2003-06-30 2005-01-27 Sanko Kikai Kk パン生地発酵ラインの搬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77879A (zh) * 2005-10-03 2008-10-01 日精株式会社 托架移送机构和利用所述机构的物品储存装置
JP4837386B2 (ja) * 2006-01-23 2011-12-14 北川精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用ローダ及びプレス装置システム
JP2008306934A (ja) * 2007-06-12 2008-12-25 Sanko Kikai Kk パン生地発酵ラインの搬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7872A (ja) * 1991-06-29 1993-09-07 Werner & Pfleiderer Gmbh 通過型発酵棚
JPH09140317A (ja) * 1995-11-24 1997-06-03 World Seiki:Kk 焼成物の焼成方法及び自動オーブン
JPH1077106A (ja) * 1996-09-03 1998-03-24 Sanmei:Kk 天板積降設備
JP2005021022A (ja) 2003-06-30 2005-01-27 Sanko Kikai Kk パン生地発酵ラインの搬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7077B (zh) 2014-10-21
KR20110005306A (ko) 2011-01-17
CN102026548B (zh) 2012-12-19
WO2009142261A1 (ja) 2009-11-26
CN102026548A (zh) 2011-04-20
JP2009278935A (ja) 2009-12-03
TW201016138A (en) 201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696B1 (ko) 식품처리 시스템
CN1899143B (zh) 成批处理和传送烟草制品的方法和设备
DK2019278T3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n outlet plate by a freeze-drying plant
CN100584230C (zh) 成批处理和传送烟草制品的方法和设备
KR101946510B1 (ko) 다목적 팬 핸들링시스템
CN105905605A (zh) 一种电子产品物料自动化运输生产线
US20100251905A1 (en) Feed system for multiple-tier baking oven
CN110790180A (zh) 一种托盘升降机构
KR101511242B1 (ko) 대차에 부품을 자동적재 하는 시스템
JPH1017115A (ja) 多段式循環移動ラック
JP2862225B2 (ja) 印刷物等の各種ワークの循環移動式保持装置
JPH01308305A (ja) 物品の収納排出装置
US6349815B1 (en) In-line stacker machine for stacking cookies
KR100526325B1 (ko) 아이스크림 용기 공급장치
CN110023212B (zh) 在两个工作站之间移动移动支撑元件的装置和方法
JPH0322179Y2 (ko)
KR102019636B1 (ko) 에어컨 부품 공급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CN214024416U (zh) 全自动滚轮组装设备
JPH0432405A (ja) 物品収容装置
CN114632848A (zh) 一种往复式网片加工设备
KR860000622B1 (ko) 팔레트(pallet) 하적(荷積)장치
JPH0718669Y2 (ja) 刷版脱荷装置
JPH02127205A (ja) 食品の包装方法及び装置
JP2003238230A (ja) 瓦素地の移載方法
JPH0729647B2 (ja) カップ麺自動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