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876B1 - 개방 섹션을 갖고 플랭크가 비직선형 에지를 갖는 가로지지대를 구비한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및이를 장착한 차량 - Google Patents

개방 섹션을 갖고 플랭크가 비직선형 에지를 갖는 가로지지대를 구비한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및이를 장착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876B1
KR101293876B1 KR1020087003278A KR20087003278A KR101293876B1 KR 101293876 B1 KR101293876 B1 KR 101293876B1 KR 1020087003278 A KR1020087003278 A KR 1020087003278A KR 20087003278 A KR20087003278 A KR 20087003278A KR 101293876 B1 KR101293876 B1 KR 10129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support
flexible axle
edges
transvers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602A (ko
Inventor
폼피그나 알렉시 드
Original Assignee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filed Critical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Publication of KR2008003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02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 B60B35/08Dead axles, i.e. not transmitting torque of closed hollow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3Trailing arms connected by a U-shaped torsion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20Constructional features of semi-rigid axles, e.g. twist beam typ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60G2206/722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플렉시블 액슬은 개방 섹션을 갖는 가로 지지대(10)로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아암(20)을 포함하고,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11, 21)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4)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1, 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지(1, 2)는 상기 가로 지지대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이 접합 영역(4)에서 경감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 섹션을 갖고 플랭크가 비직선형 에지를 갖는 가로 지지대를 구비한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및 이를 장착한 차량{MOTOR VEHICLE FLEXIBLE AXLE, COMPRISING A CROSS BRACING WITH OPEN CROSS-SECTION WHEREOF THE FLANKS INCLUDE NON-RECTILINEAR EDGES, CROSS BRACING AND CORRESPONDING MOTOR VEHICLE}
본 발명의 분야는 차량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액슬은 두 개의 휠 사이에서 비틀림 요소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액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붙여진 용어인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렉시블 액슬은 휠 장착용 지지체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종방향 아암을 구비하고, 이들 종방향 아암은 가로 지지대 또는 프로파일 섹션으로 알려진 횡방향 연결 요소에 의해 연결된다.
액슬을 설계하는 동안에, 액슬의 품질을 평가할 때 특히 2가지 파라미터가 고려된다. 이 파라미터는 굽힘과 비틀림이다.
이러한 플렉시블 액슬의 원리는, 양호한 굽힘 강성과 상대적 비틀림 유연성 사이에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로 지지대의 단면의 형상을 통해, 그리고 가로 지지대의 굽힘 및 비틀림의 관성 모멘트에 의해, 굽 힘 강성과 (상대적) 비틀림 유연성 간의 바람직한 절충 값이 얻어진다.
강철(또는 그 밖의 등방성 재료)로 제조된 가로 지지대를 생산하기 위해 선택되는 단면은 대개 V자형, U자형, 또는 L자형인데, 이는 이러한 타입의 형상이 굽힘 관성과 비틀림 관성 사이에서 유익한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플렉시블 액슬이 보여주는 많은 장점 덕분에 플렉시블 액슬의 기술은 지난 수년간 차량 구조 영역 중 중앙과 하단부로 점점 확산된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러한 장점으로는 플렉시블 액슬이 제공할 수 있는 특징과 플렉시블 액슬의 구조 사이의 절충이 탁월하다는 점과, 플렉시블 액슬이 전(全) 용접 구조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전술한 장점은 지면 접촉 시스템의 설계자로 하여금 그들의 최신의 버전에 대한 기술적 개선을 항상 추구하게 하였다. 이는 플렉시블 액슬이 종방향 강성과 횡방향 강성 간의 정밀한 절충, 그리고 큰 탄성 변형을 받는 플렉시블 액슬의 각 구성 요소의 내구도에 의해 좌우되는 내구성 등을 비롯한 몇몇 한계에 당면하기 때문이다.
연결 요소, 즉 가로 지지대는 특히 내구도의 관점에서 개선하기가 가장 어려운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가로 지지대 본체의 무결성은 차치하더라도, 대개 용접되는 종방향 아암에 대한 접합 영역은 매우 큰 응력을 받으므로, 개발 엔지니어는 이러한 연결부의 조기 파손을 막기 위해 상기 접합 영역에 많은 집중을 기울여야 한다.
다양한 타입의 가로 지지대와, 플렉시블 액슬의 종방향 아암 사이에 가로 지 지대를 장착하는 다양한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 예시된 제1 공지 기술에서, 가로 지지대(10)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V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서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의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종방향 아암(20)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가 차지하는 범위를 증대시킨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예시된 제2 공지 기술에서, 가로 지지대(10)는 YZ 평면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다(따라서 대개 "바나나형" 가로보 지지대라 함). 이와 같은 가로 지지대는 장착시 후방을 향하는 개방 섹션을 갖고,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는 절취부가 마련되며, 이 절취부에는 종방향 아암(20)이 맞대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 종방향 아암은 대개 정사각형이고, 추가 비용이 상당히 발생하는데, 이는 소정의 굽힘 작용, 압좌(壓座) 작용 등에 의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예시된 제3 공지 기술에서, 가로 지지대(10)는 YZ 평면에 있어서 만곡되어 있고, 또한 가로 지지대의 중앙 영역에서는 V자 모양으로 시작하였다가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서는 사다리꼴 모양이 되는 변화하는 단면을 갖는다.
이 예에서는, 차량의 사용 방식에 따라 가로 지지대와 종방향 아암 사이의 용접 연결부의 상태가 쉽사리 악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 이러한 현상을 분석한 결과, 가로 지지대/종방향 아암 간의 계면에 있는 용접 비드가 "박리" 모드로 되고, 이와 같은 타입의 부하는 특히 시임 용접부의 냉각시에 시임 용접부가 그 금속 조직 구조의 방위를 잃게 된다는 공지된 시임 용 접부의 결점에 상응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다른 플렉시블 액슬 기술이 종래 기술에 제안되었고, 이를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 예시한다.
이 기술에 따르면, 일단 장착된 가로 지지대(10)는 아래로 향해 있는 개방 섹션을 갖고, 이러한 개방 섹션은 플렉시블 액슬의 중앙에서 비틀림을 증대시켜, 보다 나은 탄성 운동학적 거동을 제공한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 지지대(10)는 종방향 아암(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어 배치되고, 가로 지지대(10)의 단부는 종방향 아암(20)의 형상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로 지지대는 측방에 2개의 접합부(11)를 구비하고, 이 접합부는 종방향 아암의 형상(거의 원통형임)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접합부(11)는 통상적으로 가로 지지대가 종방향 아암(20)의 상부를 덮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도 4d는 가로 지지대의 2개의 접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4)가 각 접합부에 코너(111)를 형성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
이러한 타입의 해결책을 이용하면, 어김없이 시임 용접부의 단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지지대(10)의 코너(111)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시임 용접부에서 균열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균열에 의해 시임 용접부는 결국 둘로 쪼개어진다. 몇몇 예에서, 이러한 균열은 종방향 아암으로도 퍼진다.
이는 플렉시블 액슬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해당 플렉시블 액슬을 장착한 차량에 의해 제공되는 안전 레벨에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여하튼 전술한 품질 저하를 배제하거나, 적어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가로 지지대의 연속적인 굽힘의 결과로서, 큰 부하가 접합 영역에 가해질 때, 코너(111)는 종방향 아암의 벽에 구멍을 뚫는 경향이 있다. 환언하자면, 차량에 의해 전해지는 진동 및 요동의 영향을 받는 코너(111)는 종방향 아암의 내부를 향한 미세 운동을 경험하고, 결국에는 (센터 펀치 방식으로) 종방향 아암의 벽을 두드린다.
이와 같이 반복되는 두드림은 결국 종방향 아암의 벽의 균열 및/또는 시임 용접부의 박리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해결책으로는, 종방향 아암의 벽 두께를 증대시켜 종방향 아암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는 종방향 아암의 중량을 늘리는 결과를 갖는다.
이러한 두드림 현상을 제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은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 상대적 유연성을 도입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는 예컨대 가로 지지대의 각 단부에 절취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가로 지지대에 프레스 작업을 행하기 이전에 가로 지지대를 기계 가공하거나 잘라내는 단계의 수행을 필요로 하여, 플렉시블 액슬의 제조 일정에 추가 단계를 부가하고, 플렉시블 액슬의 가격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특유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플렉시블 액슬의 종방향 아암과 가로 지지대 사이의 연결에 대한 신뢰성 및 내구성을 종래 기술의 해결책에 비해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특히, 가로 지지대에 의해 종방향 아암에 균열이 발생할 위험, 그리고 가로 지지대와 종방향 아암이 맞닿아 있는 영역에서 시임 용접부가 박리되는 현상을 없애거나 혹은 적어도 제한하는 플렉시블 액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의 통상적인 해결책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갖고 조립의 용이성 및/또는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는 플렉시블 액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운 플렉시블 액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이하에서 명백해질 그 밖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고, 본 발명의 주체는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로서, 개방 섹션을 갖는 가로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아암을 포함하고,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는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에지는 가로 지지대가 비틀림을 받을 때 상기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을 상기 접합 영역에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에지가 2개의 종방향 아암 간의 이격 거리보다 길다.
이러한 "잉여" 길이는 에지에 상대적 유연성을 유발한다. 환언하자면, 에지는 응력을 받지 않는 "이완" 상태에서 필요한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잉여" 길이를 이용한다면 단지 작은 수고를 들여, 플렉시블 액슬이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를 인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에지의 인장 강도는 낮기 때문에, 응력이 에지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에서 소산되어, 가로 지지대와 종방향 아암이 맞닿아 있는 접합 영역에 인가되는 응력이 상당히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연결부에 대한 손상 위험이 제한되므로, 플렉시블 액슬의 내구성이 증대된다(맞닿은 조인트에서의 연결부의 내구도가 이론상 현저히 늘어난다).
또한, 이와 같은 결과는 플렉시블 액슬의 탄성 운동학적 특징을 유지하는 것과 더불어 확보되는데, 이러한 점은 이하에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해결책에 따르면, 상기 에지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실질적인 중앙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접합 영역을 향해 갈수록 서로에 대해 점진적으로 발산한다.
유익한 해결책에 따르면, 상기 점진적 발산은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기 접합 영역을 향해 갈수록 증대된다.
그러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지지대의 중앙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에지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것을 전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로 지지대는 밑에서 보면 불룩한 모양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는 접합 영역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가 종방향 아암 상에서 차지하는 범위를 충분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로 지지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증대시키는 경향 있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지는 각각 곡선 형상을 갖고, 이 곡선의 곡률 반경은 가로 지지대의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상기 접합 영역을 향해 갈수록 증대된다.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지는 각각 원호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개방 섹션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상기 종방향 아암에 고정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조는 플렉시블 액슬의 중앙에서의 비틀림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제조 사양에서 요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플랭크를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탄부를 가로 지지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구비한다.
이 경우에, 상기 가로 지지대는 중앙 영역에서 V자형 단면을 갖고 그 양단부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 지지대의 단면이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 비틀림 유연성이 유지되는 동시에, 플렉시블 액슬의 종방향 아암과 가로 지지대 간의 연결부를 확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접합 영역에서 가로 지지대가 넓어지는 것이 허용된다.
V자형 단면에 있어서 분지를 연결하는 평탄부의 길이가 양단부의 사다리꼴 단면에 있어서 분지를 연결하는 평탄부의 길이보다 눈에 띄게 짧다는 것을 유의하라.
유익한 해법에 따르면, 상기 종방향 아암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갖도록, 상기 평탄부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상기 양단부 각각에서 확장된다.
이 경우, 상기 평탄부는 고정부를 마련한 상기 가로 지지대의 상기 양단부에서 각각 종방향 아암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가로 지지대를 종방향 아암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용접 길이가 종래 기술에서 비해 길어서, 플렉시블 액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변형 형태에 따르면, 플렉시블 액슬은 상기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 각각의 부근에서 상기 플랭크 사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조정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 각각의 부근에서 실질적인 직선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강성 조정 부재는 상기 에지의 실질적인 직선 부분에서 상기 플랭크 사이에 부착된다.
이에 의하면, 강성 조정 부재를 가로 지지대에 고정하기 위한 신뢰 가능한 고정 영역(이 영역에서 플랭크는 평평하거나 혹은 거의 평평하다)이 주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종방향 아암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개방 섹션을 구비하며, 플랭크는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 가로 지지대에서 상기 에지는 상기 가로 지지대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을 상기 접합 영역에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 섹션을 갖는 가로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아암을 구비하고,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는 상기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인 플렉시블 액슬 장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이 차량에서 상기 에지는 상기 가로 지지대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을 상기 접합 영역에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장점은 단순히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읽으면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액슬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액슬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액슬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액슬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 가로 지지대를 아래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슬 가로 지지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 가로 지지대의 중앙 영역과 단부 영역에 각각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슬 가로 지지대의 다른 사시도.
도 9는 액슬 가로 지지대와 종방향 아암 사이의 접합부를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부분도.
도 10은 액슬 가로 지지대와 종방향 아암 사이에 부착된 거싯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부분도.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리는 가로 지지대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로 하여금 인장되게 함으로써 에지에서 비틀림 응력의 일부를 소산시킬 수 있는 에지 형상을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가 갖고 이러한 소산이 가로 지지대/아암 조인트에 인가되는 응력을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 가로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 5 내지 도 8에 예시되어 있다.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로 지지대(10)의 플랭크(11, 21)의 에지(1, 2)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는데, 이는 가로 지지대가 연결하는 2개의 종방향 아암 간의 이격 거리보다 에지의 길이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플랭크(11, 21)는 도 6 및 도 8에 뚜렷이 보이는(도 6에서는 명료한 도시를 목적으로 하여 의도적으로 과장되어 있음) 만곡부를 구비하고, 이 만곡부는 에지(1, 2)에서 곡선 형상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만곡부는, 차량이 횡방향-추락(가로 지지대가 종방향 아암에 대하여 맞닿아 있는 2개의 접합 영역 사이의 거리를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음)을 경험할 때 에지가 비틀어지도록, 비틀림이 가로 지지대에 인가될 때 사용될 수 있는 잉여 길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횡방향-추락은 에지로 하여금 직선(또는 덜 만곡된) 형상을 취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차량이 횡방향-추락을 경험할 때 가로 지지대의 단부에 있어서의 임의의 "당김"(상기 에지의 길이가 상기 2개의 종방향 아암 간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관찰되는 현상이 당김이다)이 회피되므로, 가로 지지대의 접합 영역(4)에 인가되는 응력이 줄어든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에지(1, 2)는 대응 만곡부를 구비하는데, 이들 만곡부는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에지 간의 이격 거리(a)가 접합 영역(4) 부근에서의 에지 간의 이격 거리(b)보다 크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지 간의 이격 거리는 가로 지지대의 중앙 부분에서 접합 영역을 향해 갈수록 점점 증대된다.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에지(1, 2)의 만곡부는 가로 지지대의 중앙 부분에서 접합 영역을 향해 갈수록 점점 증대되는 곡률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가로 지지대의 각 단부 부근에서, 플랭크(11, 21)는 실질적으로 평 평한 부분(110, 210)(이 부분에서 에지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다)을 구비하는데, 이 부분은 가로 지지대의 강성 조정 부재를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 사이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부분이다.
이와 같은 강성 조정 부재는, 도 10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 아암(20)과 가로 지지대(10)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거싯(gusset)(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거싯은 한편에서는 아암(20)에 용접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두 개의 분지(51)를 통해 가로 지지대(10)에 용접되는데, 상기 분지 사이에는 가로 지지대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링 방지 바아(6)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이 남아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분지(51)는 가로 지지대와 종방향 아암 사이에서 가로 지지대의 뒤틀림 작용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전이부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뒤틀림 작용은 분지(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자유도를 갖는)에서는 허용되고 종방향 아암에 대하여 맞닿는 일체형 거싯 부분에서는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거싯은 2개의 평면, 즉 단부가 종방향 아암에 용접되는 접합면(52)(또한, 이 접합면의 측면은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에 용접됨)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제1 평면과, 분지(51)가 연장되는 제2 평면에서 연장되는데, 상기 분지는 접합면(52)으로부터 가로 지지대(10)의 내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분지(51)는 또한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에 용접됨].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강성 조정 부재가 없는 경우에는, 가로 지지대의 에지가 원호 형상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라.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가로 지지대는 또한 그 단면이 변화하는데, 가 로 지지대의 중앙 부분(도 7a)에서 가로 지지대의 단면은 V자형이고,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도 7b 참조)를 향해 갈수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변화한다.
이는 가로 지지대의 상부에 평탄부(3)가 존재하고, 이 평탄부가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를 향해 갈수록 넓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평탄부(3)는 가로 지지대의 각 단부에서 러그(31)를 형성하도록 확장된다. 이러한 러그는 가로 지지대를 종방향 아암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을 구성한다.
도 9에 예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지지대의 각 단부는 접합 영역(4)을 구비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접합 영역은 소정 형상의 종방향 아암을 받아들이도록 플랭크에 만들어지는 절취부로 형성된다.
가로 지지대의 개방 섹션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가로 지지대를 종방향 아암에 장착한 상태에서, 종방향 아암을 절취부(4)에 끼워 맞추고, 그 후에 플랭크의 절취부(4)와 대응하는 종방향 아암(20) 사이의 계면을 시임 용접한다.
또한, 러그(31)는 종방향 아암(20)의 상부와 접촉하게 되며, 러그(31)와 종방향 아암(20) 사이의 계면도 시임 용접한다.

Claims (14)

  1. 개방 섹션을 갖는 가로 지지대(10)로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아암(20)을 포함하고,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11, 21)는 가로 지지대(10)의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4)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1, 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로서,
    에지(1, 2)는 가로 지지대(10)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을 접합 영역(4)에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로 지지대(10)는, 중앙 영역에서 V자형 단면을 갖고 양단부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 지지대의 단면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2. 제1항에 있어서, 에지(1, 2)는 가로 지지대(10)의 실질적인 중앙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접합 영역(4)을 향해 갈수록 서로에 대해 점진적으로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진적 발산은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접합 영역(4)을 향해 갈수록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지(1, 2)는 각각 곡선 형상을 갖고, 이 곡선의 곡률 반경은 가로 지지대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접합 영역(4)을 향해 갈수록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지(1, 2)는 각각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10)는 상기 개방 섹션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상기 종방향 아암(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10)는 플랭크(11, 21)를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탄부(3)를 가로 지지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종방향 아암(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1)를 갖도록, 평탄부(3)가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서 각각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10. 제9항에 있어서, 평탄부(3)는 가로 지지대(10)의 양단부 각각에서 대응하는 종방향 아암(20)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11. 제9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액슬은 가로 지지대(10)의 양단부 각각의 부근에서 플랭크(11, 21) 사이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강성 조정 부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12. 제11항에 있어서, 에지(1, 2)는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 각각의 부근에서 실질적인 직선 부분(110, 210)을 구비하고, 강성 조정 부재(5)는 에지의 실질적인 직선 부분(110, 210)에서 플랭크(11, 21) 사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13. 2개의 종방향 아암(20)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고, 개방 섹션을 구비하며, 플랭크(11, 21)는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4)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1, 2)를 각각 구비하는 것인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로서,
    에지(1, 2)는 가로 지지대(10)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을 접합 영역(4)에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로 지지대(10)는, 중앙 영역에서 V자형 단면을 갖고 양단부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 지지대의 단면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14. 개방 섹션을 갖는 가로 지지대(10)에 의해 연결되는 2개의 종방향 아암(20)을 구비하고, 가로 지지대의 플랭크(11, 21)는 가로 지지대의 양단부에 있는 접합 영역(4)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인 플렉시블 액슬 장착 차량으로서,
    에지(1, 2)는 가로 지지대가 비틀림을 받을 때 에지의 인장을 조장하는 비직선형 형상을 갖고, 이러한 인장은 상기 비틀림에 기인한 응력을 접합 영역(4)에서 경감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로 지지대(10)는, 중앙 영역에서 V자형 단면을 갖고 양단부에서 각각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을 갖도록, 가로 지지대의 단면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액슬 장착 차량.
KR1020087003278A 2005-07-13 2006-07-10 개방 섹션을 갖고 플랭크가 비직선형 에지를 갖는 가로지지대를 구비한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및이를 장착한 차량 KR10129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7566A FR2888530B1 (fr) 2005-07-13 2005-07-13 Essieu soupl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traverse a section ouverte dont les flancs presentent des chants non rectilignes, traverse et vehicule correspondant
FR0507566 2005-07-13
PCT/FR2006/050693 WO2007007002A2 (fr) 2005-07-13 2006-07-10 Essieu soupl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traverse a section ouverte dont les flancs presentent des chants non rectilignes, traverse et vehicul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602A KR20080036602A (ko) 2008-04-28
KR101293876B1 true KR101293876B1 (ko) 2013-08-07

Family

ID=3633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278A KR101293876B1 (ko) 2005-07-13 2006-07-10 개방 섹션을 갖고 플랭크가 비직선형 에지를 갖는 가로지지대를 구비한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및이를 장착한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78518B2 (ko)
EP (1) EP1904316B1 (ko)
JP (1) JP5011288B2 (ko)
KR (1) KR101293876B1 (ko)
CN (1) CN101263016B (ko)
FR (1) FR2888530B1 (ko)
RU (1) RU2421342C2 (ko)
WO (1) WO20070070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4115A1 (en) * 2009-04-22 2010-10-28 V-Vehicle Company Shear center raising twist axle with internal and tunable transitioning gussets
DE102009049117A1 (de) * 2009-10-12 2011-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eibgeschweißter Verbundlenker
DE102010036949A1 (de) * 2010-08-11 2012-02-16 Muhr Und Bender Kg Querträger für eine Verbundlenkerachse
WO2012120057A1 (de) 2011-03-08 2012-09-13 Sanofi Neue substituierte phenyl-oxathiazi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deren verwendung
WO2013171828A1 (ja) * 2012-05-14 2013-11-21 株式会社ヨロズ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6431897B2 (ja) * 2014-03-27 2018-11-28 株式会社ヨロズ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101909464B1 (ko) 2014-03-27 2018-10-18 가부시키가이샤 요로즈 토션 빔 서스펜션
JP6363402B2 (ja) * 2014-06-03 2018-07-25 フタバ産業株式会社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DE102014221472A1 (de) * 2014-10-22 2016-04-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Querträger für eine Verbundlenkerachse
CN104648069B (zh) * 2014-11-18 2017-03-01 上海汇众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后轴横梁
KR101673343B1 (ko) * 2015-05-06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DE102016210458B4 (de) 2015-06-30 2022-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squerträger, insbesondere für eine Verbundlenkerachse und Kraftfahrzeug aufweisend den Torsionsquerträger
JP6996829B2 (ja) * 2017-11-30 2022-02-2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リヤサスペンション
JP7083325B2 (ja) * 2019-03-28 2022-06-1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中間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FR3095780A1 (fr) * 2019-05-07 2020-11-13 Renault S.A.S Essieu arrière comprenant un organe de renfort monté entre un bras longitudinal, une traverse transversale et une barre de stabilis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504A (ja) * 1981-09-22 1983-03-3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US5409254A (en) * 1992-05-11 1995-04-25 A. O. Smith Corporation Rear suspension with aligned coil springs and twist beam axle
US20040032106A1 (en) 2002-08-16 2004-02-19 Hyundai Mobis, Co., Ltd. Torsion beam suspens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9076B4 (de) * 1996-11-27 2006-10-05 Bente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lenkerachse für Kraftfahrzeuge und Verbundlenkerachse
DE29720207U1 (de) * 1997-11-14 1998-01-02 Benteler Werke Ag Verbundlenkerachse für Kraftfahrzeuge
JP2000052733A (ja) * 1998-08-13 2000-02-22 Toyota Motor Corp トーションビーム式リヤサスペンション及びトーションビームの製造方法
DE19911282A1 (de) * 1999-03-13 2000-09-21 Thyssen Krupp Automotive Gmbh Verbundlenkerhinterachse
JP3605534B2 (ja) * 1999-10-21 2004-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2002019438A (ja) * 2000-07-04 2002-01-23 Mitsubishi Motors Corp サスペンション
JP2002120534A (ja) * 2000-10-16 2002-04-23 Mitsubishi Motors Corp リヤサスペンション
DE10122998A1 (de) * 2001-05-11 2002-11-2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bundlenkerach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Querträgers
EP1314587B1 (de) * 2001-11-22 2006-07-19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bundlenkerachse für ein Kraftfahrzeug
ITTO20020959A1 (it) * 2002-11-07 2004-05-08 Sistemi Sospensioni Spa Ponte torcente per la sospensione posteriore di un
FR2857299B1 (fr) * 2003-07-08 2005-10-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rain arriere pour vehicule automobile, a traverse de section elliptiqu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504A (ja) * 1981-09-22 1983-03-30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US5409254A (en) * 1992-05-11 1995-04-25 A. O. Smith Corporation Rear suspension with aligned coil springs and twist beam axle
US20040032106A1 (en) 2002-08-16 2004-02-19 Hyundai Mobis, Co., Ltd. Torsion beam susp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4316A2 (fr) 2008-04-02
JP2009501113A (ja) 2009-01-15
US7878518B2 (en) 2011-02-01
RU2421342C2 (ru) 2011-06-20
WO2007007002A3 (fr) 2007-05-31
WO2007007002A2 (fr) 2007-01-18
JP5011288B2 (ja) 2012-08-29
RU2008105316A (ru) 2009-08-20
FR2888530A1 (fr) 2007-01-19
FR2888530B1 (fr) 2008-10-24
CN101263016B (zh) 2010-05-26
CN101263016A (zh) 2008-09-10
KR20080036602A (ko) 2008-04-28
US20090066050A1 (en) 2009-03-12
EP1904316B1 (fr)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876B1 (ko) 개방 섹션을 갖고 플랭크가 비직선형 에지를 갖는 가로지지대를 구비한 차량용 플렉시블 액슬, 가로 지지대 및이를 장착한 차량
JP5533436B2 (ja)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メンバーの構造
JP4751620B2 (ja) 車体の前部構造
US2006028365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motorcycle
JP2007196875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ブラケット
JP5070010B2 (ja) 車両用のシャシフレーム構造
JP4589775B2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833575B2 (ja) 車体の側骨構造
CN107554223B (zh) 扭转梁及后悬架总成
JP4688023B2 (ja) 車両用パネルの補強構造
KR100462682B1 (ko) 레저용 승합차량의 플로어 보강구조
KR20070032133A (ko) 후륜 커플 토션빔 액슬 구조
KR100527713B1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JP7083325B2 (ja) 中間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5912619B2 (ja) 車体構造
KR102178445B1 (ko) 차량 프레임
CN217872322U (zh) 一种尾门门锁加强板、尾门结构和车辆
JP4732993B2 (ja) 車両用パネル構造体
JPH11301518A (ja) ステアリングサポート
JP6558507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100411490B1 (ko) 트레일링 암 고정부
EP4219264A1 (en) Frame structure for a bogie
JP4457643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支持部構造
JP2011093347A (ja) 車両の前部構造
JP3196442B2 (ja) シートブラケット取付部の車体フロアへの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