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020B1 -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020B1
KR101292020B1 KR1020087003047A KR20087003047A KR101292020B1 KR 101292020 B1 KR101292020 B1 KR 101292020B1 KR 1020087003047 A KR1020087003047 A KR 1020087003047A KR 20087003047 A KR20087003047 A KR 20087003047A KR 101292020 B1 KR101292020 B1 KR 10129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water
steam
valve
ri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208A (ko
Inventor
크리쉬난 모한쿠마르 발리얌바쓰
스위 엘. 엠. 탕
춘 에이치. 탄
몽 후아 탄
데릭 더블유. 티. 로크
코크 더블유. 마
찬드라 엠. 자나키라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2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22B1/28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the water being fed by a pump to the reservoi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2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supplied to the iron from an external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50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for draining or expell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Iron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스팀 다리미 시스템(2)은, 스팀 다리미(10)와, 스팀을 발생하기 위해 보일러(30)를 갖는 보일러 시스템(25)을 구비하고, 여기서, 스팀 다리미(10)와 보일러(30)는, 서로 스팀 호스(35)를 통해 연결된다. 보일러 시스템(25) 작동시에, 보일러(30)에는 물 때가 형성된다. 그 물 때를 보일러(3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헹굼 처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보일러 시스템(25)에서 수행된다. 헹굼 처리시에, 보일러(30)의 바닥에 위치된 물 출구(37)에 연결된 헹굼 밸브(38)가 개방되고, 물은 보일러(30)로부터 헹굼 용기(55)로 배출된다. 이 처리에서, 물 때 입자들은, 물의 흐름과 함께 반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은 헹굼 밸브(38)를 개방하기 전에 보일러(30) 안쪽에서 이루어져, 물은 보일러(30)로부터 강제로 분출되어서, 헹굼 처리의 효율성은 향상된다.
스팀 다리미, 보일러 시스템, 물 때, 헹굼 밸브.

Description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Boiler system for use with a steaming device}
본 발명은, 스팀 다리미 등의 스팀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을 헹구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일러 시스템은, 물을 들어오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스팀을 나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와, 물을 나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를 구비하고, 물을 담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드는 보일러와, 보일러 시스템 작동시에 상기 보일러를 상기 스팀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보일러로부터 상기 스팀장치에 스팀을 인도하기 위해 꼭 들어맞기에 적절한 상기 보일러의 스팀 출구에 접속된 스팀 호스와, 상기 보일러의 스팀 출구에 접속된 스팀 밸브와, 상기 보일러의 상기 물 출구에 접속된 헹굼(rinse) 밸브와, 물을 상기 보일러에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보일러의 상기 스팀 밸브와 상기 물 입구를 폐쇄한 채로 상기 헹굼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보일러의 상기 스팀 밸브와 상기 물 입구 중 하나를 개방하는 연속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상기 선행하는 문단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보일러 시스템은, 실제로 공지되어 있고, 스팀 다리미와 관련지어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때 보일러 시스템과 스팀 다리미간의 접속은 스팀 호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일러 시스템의 중요한 기능은 스팀을 발생하고 그 스팀을 스팀 다리미에 공급하는 것이고, 이 스팀 다리미는 밑판과, 다림질 될 대상으로 스팀을 나가게 하기 위해 상기 밑판에 배치된 스팀 출구를 구비한다. 보일러 시스템의 작동시에, 스팀은 보일러 내에서 생성되고, 스팀의 스팀 다리미로의 공급은 보일러의 스팀 출구에 접속된 스팀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많은 보일러 시스템에서는, 물을 보일러에 공급하고 물을 가압하여 보일러 안쪽에 넣기 위해서, 펌프를 배치한다.
완전을 기하기 위해서, 용어 "밸브"는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개방 상태에서, 밸브는 유체 또는 유체의 혼합물의 흐름을 통과되게 할 수 있다. 닫힘 상태에서, 밸브는 그러한 흐름을 차단한다.
보일러 시스템의 동작시에, 물은 보일러에 공급되어 보일러에서 가열되고, 이 때문에 물 때가 보일러에 형성된다. 이러한 물 때 형성은, 물 때 입자가 보일러로부터 스팀 다리미로 변위되어 다림질될 대상에 착륙하는 것이 일어나기도 하는 문제점을 일으켜서, 이 대상에 얼룩이 생기게 한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보일러에 있는 물은 점점 철로 오염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장치의 동작시에, 물만이 증발되고, 물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다른 성분이 뒤에 남겨진다는 사실에 의해 생긴다. 오수가 담겨진 보일러에서, 거품 현상은, 물을 가열하는 동안 일어나, 보일러에 의한 연속적인 스팀 공급을 방해하고, 보일러가 그 스팀과 함께 온수를 공급되게 하기도 한다.
상기 물 때가 주기적으로 보일러에서 제거되지 않으면, 물 입구와 스팀 출구가 막히고, 그 결과로서, 보일러 시스템의 성능은 저하되고, 결국 보일러 시스템은 더 이상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 때문에, 상기 보일러 시스템의 보일러는, 스팀을 내보내는 출구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물을 배수하는 출구도 구비한다. 보일러의 헹굼 처리를 위해 개방되는 헹굼 밸브는, 이 출구에 접속된다. 보일러 시스템의 정상 동작시에, 상기 헹굼 밸브는 닫혀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 출구는 보일러의 바닥에 위치되어, 그것은 보일러로부터 실질적으로 모든 물을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헹굼 밸브도 보일러의 바닥에 위치되어도 된다.
EP 1 386 598에는, 상기 보일러의 온도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의 스팀 발생부의 보일러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자동 배수수단이 구비된 스팀 발생부를 갖는 스팀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보일러는, 배수통로를 통해 배수 수용 탱크에 접속되고, 전기밸브는 그 배수통로 위에 설치된다. 헹굼처리 동안에, 또 다른 밸브를 개방하여 공기를 상기 보일러 안으로 흐르게 한다. 상기 헹굼처리 결과, 상기 보일러로부터 물 때가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은 보일러 시스템을 헹구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헹굼 밸브를 개방하고 보일러를 냉각 상태로 하고, 보일러의 스팀 밸브와 물 출구가 닫혀져 있다. 상기 처리에서는, 보일러로부터 물이 헹굼 밸브를 통해 흐르게 할 수 있다. 특정 기간 후에, 또는 물의 흐름이 멈출 때, 보일러의 스팀 밸브와 물 출구 중 한쪽이 개방되어, 공기가 보일러에 들어가게 되고, 바깥으로 나가는 물의 흐름은 보일러가 완전히 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보일러에서 물 때 입자와 다른 가능한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보일러 시스템은 물을 가압하여 보일러 안쪽으로 보내기 위한 펌프를 구비하고, 여기서 헹굼 처리시에 상기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은 이로운 옵션이다. 이 경우에, 특정 기간동안 또는 소정의 압력이 보일러 안쪽에 이를 때까지 보일러에 물을 펌핑한다. 따라서, 상기 헹굼 밸브는 개방된다. 이 때문에, 물의 분사는 상기 헹굼 밸브를 통해 배출되고, 이것은 보일러로부터 물 때 입자와 다른 가능한 오염물과 함께 반송된다. 보일러의 압력으로 인해, 보일러의 물 출구를 막는 어떠한 물 때는 부서진다. 보일러가 비워진 후, 상기 헹굼 밸브는 다시 닫힌다. 제 1 라운드의 헹굼 후에 제 2 라운드의 헹굼을 하여 보일러에 있는 클리너 물을 얻는다. 이 경우에, 원리상, 상기 헹굼 밸브의 위치는 어떠한 위치이어도 되고, 보일러에 있는 실질적으로 모든 물이 확실하게 왈칵 흐르도록 상기 헹굼 밸브가 접속된 물 출구를 보일러의 저점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헹굼 처리는, 보일러를 가열하기 위해 전원의 공급을 포함한다. 이 가열은 물에 있는 물 때 입자를 휘젓는데 도움이 된다.
헹굼 처리동안 또는 헹굼 처리의 끝에서, 물 때 용매를 보일러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 때 용매의 영향을 받아, 상기 물 때는 용액에 있고, 물 때 박편이 감소된다. 바람직한 결과로서, 헹굼 처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헹굼 처리에서는, 하나 이상의 작은 물 때 입자들이 헹굼 밸브 자리의 끝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헹굼 처리동안 일어나는 물 배출의 끝을 향하여, 헹굼 밸브는 상기 물 때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서 여러 번 빠르게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헹굼 밸브의 완전한 폐쇄가 물 때 입자들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에 일 어나기도 하는 보일러의 동작중 헹굼 밸브의 누출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로부터의 물을 받아들여 담기 위한 헹굼(rinse) 용기를 구비하고, 이 헹굼 용기는 헹굼 밸브의 출구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헹굼 용기를 갖는 보일러 시스템이 헹굼처리가 되는 경우, 그 처리에서 사용된 물은, 상기 헹굼 용기에 수납되고 사용자가 보일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용기를 제거고 그 물을 쏟아 버릴 때까지 상기 용기 안쪽에 있게 된다. 상기 헹굼 용기의 적용의 이점은, 상기 헹굼 밸브의 출구측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없거나, 상기 헹굼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별도의 용기나 싱크 등보다 위에 상기 헹굼 밸브의 출구측에 접속된 배출부재의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상기 보일러 시스템은, 상기 헹굼 밸브의 출구측에 배치된 흐름 스무더너(smoothener)를 구비한다. 이 흐름 스무더너의 중요한 기능은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흐름 스무더너가 적용되는 경우, 안전성은, 특히 보일러 시스템이 헹굼 용기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개선된다. 이와는 달리, 소정의 단면 영역과 길이를 갖는 튜브 형태이어도 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얇은 층 모양의 흐름에 가까운) 흐름을 매끄럽게 하고 상기 헹굼 밸브의 출구측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여도 된다. 또한, 필터가 상기 헹굼 밸브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물 때 입자들에 의한 헹굼 밸브의 입구측이 막히지 않는다는 것이 이롭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헹굼 처리동안 취해지는 다양한 단계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보일러 시스템에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제어기나 메모리 IC와 같은 적절한 제어기가 구비되어도 된다. 헹굼 처리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거하여 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보일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기에 전달하는 푸시 버튼 등을 구비한다. 그러나, 헹굼 처리가 보일러 시스템의 작동의 특정 지속기간 후에 자동으로 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헹굼 처리는, 스티밍을 10시간 간격으로 시작되고, 즉 10시간 스팀 밸브가 개방된다. 이러한 경우에, 보일러 시스템은 스팀 밸브의 개방 상태의 시간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팀 밸브의 상기 개방상태의 시간의 총 길이를 계속 기록하고, 상기 스팀 밸브의 상기 개방상태의 시간의 총 길이를 10시간의 최대 시간 길이와 비교하고, 상기 스팀 밸브의 상기 개방상태의 시간의 총 길이가 10시간의 최대 시간 길이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헹굼 처리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헹굼 처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그 시간을 결정하는 정확한 방식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보일러는 하나보다 많은 스팀 출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스팀 밸브 모두가 개방하는 축적 시간의 합이 행굼처리가 일어날 적절한 순간을 결정하는 처리에서 고려되는 경우 이롭다. 물을 보일러에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 보일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헹굼 처리를 기동하는 적절한 순간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은, 펌프의 총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그 총 시간을 최대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헹굼 처리가 시작되는 순간을 결정하는 간접 방법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일러 시스템이 작동되는 횟수를 세고, 그 총 작동 횟수가 소정의 최대수에 도달하는 경우 헹굼처리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 시스템 은 보일러의 작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때 제어기는, 총 작동 횟수를 계속 기록하고, 그 총 작동 횟수를 최대 횟수와 비교하고, 그 총 작동 횟수가 최대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헹굼 처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간접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보일러나 스팀장치의 온도를 여러 위치에서 측정한다. 물 때가 보일러 안쪽에 형성되므로, 그것은 열 장벽처럼 동작하고, 이 때문에 온도 분배가 방해된다. 그래서, 여러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온도 분배가 정상 한계치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찾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 상기 헹굼 처리가 수행되는 것의 표시가 얻어진다. 상술한 내용의 관점에서, 보일러 시스템이 헹굼 처리를 시작하는 적절한 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일러나 스팀장치의 여러 위치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이 설치되고, 제어기는, 상기 측정된 온도와 소정의 온도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온도차이와 최대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계산된 온도차이가 최대 차이에 도달한 경우에 헹굼 처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일러 시스템은, 보일러의 헹굼 처리에 관해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시수단은, 헹굼 처리가 진행 중이거나, 헹굼 처리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도 된다. 상기 표시수단은, 어떠한 특징을 가져도 되고, 예를 들면 기계적, 전기적, 전자 또는 전기 기계적이어도 된다. 더욱이, 상기 표시수단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피드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제,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여기서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팀 다리미와 보일러 시스템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을 다이어그램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스팀 다리미와 제1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을 다이어그램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스팀 다리미와 제2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을 다이어그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팀 다리미(10)와 보일러 시스템(20)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1)을 다이어그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보일러 시스템(20)은, 물을 담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드는 보일러(30)를 구비한다. 물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보일러(30)는, 물 입구(31)를 구비한다. 이 물 입구(31)의 위치에는, 물 충전(filling) 캡(32)이 배치되어 있다. 보일러(30)의 바닥에는, 가열부재(33)가 배치되어 있다. 보일러 시스템(20)의 동작시에, 상기 가열부재(33)는 활성화되고, 이 때문에 보일러(30) 안쪽 물은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된다.
사용자의 주문시에, 보일러(30)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 다리미(10)에 공급되어, 그 스팀은 스팀 다리미(10)의 도움으로 수행되는 스팀 다리미 처리 중에 인가되어도 된다. 보일러(30)는, 스팀을 나가게 하는 스팀 출구(34)를 구비하고, 스팀 다리미(10)는, 스팀 출구(34)에 배치된 스팀 호스(35)와 스팀 밸브(36)를 통해 보일러(30)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보일러(30)로부터 스팀 다리미(10)로 스팀이 공급되길 바라는 경우, 스팀 밸브(36)는 개방된 상태로 놓이고, 이때 스팀 밸브(36)는, 스팀의 흐름이 통과되게 할 수 있다. 보일러(30)로부터 스팀 다리미(10)로 스팀을 공급할 필요가 없는 경우, 스팀 밸브(36)는 닫힌 상태로 놓이고, 이때 스팀 밸브(36)는 보일러(30)의 스팀 출구(34)를 차단한다.
보일러 시스템(20)은, 스팀 밸브(36)의 상태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제어기나 메모리 IC 등의 제어기(4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다리미(10)는, 스팀을 공급하기를 바라는 것을 상기 제어기(40)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나, 그것은, 원리상, 상기 수단이 또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는 사실을 바꾸지 못한다.
보일러(30)의 작동시에, 물 때는 주로 보일러(30)의 벽의 내측 상의 침전물로서 보일러(30) 안쪽에 형성된다. 물 때 침전물의 형성은, 이롭지 못한 결과가 많다. 예를 들면, 물 때 입자들이 보일러(30)의 작동시에 부서지기도 하고 스팀과 함께 스팀 다리미(10)로 반송되기도 한다. 이러한 물 때 입자들은, 스팀 다리미(10)에 의해 내뿜어져 스팀 다림질이 되는 대상에 착륙되고, 이 때문에 상기 대상은 얼룩이 생기게 된다. 또한, 보일러(30) 안쪽의 물 때의 존재는, 보일러(30) 안쪽에 있는 물의 가열처리의 효율성을 떨어뜨려서, 물을 스팀으로 만드는 처리는 시간과 에너지가 보다 많이 소비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여, 보일러(30) 안쪽의 물은 오염되고, 이 때문에 거품 현상이 물을 가열할 때 일어나서, 보일러(30)에 의해 연속적인 스팀 공급을 방해하여, 보일러(30)가 스팀 출구(34)를 통해 스팀과 함께 온수를 나가게 하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물과 물 때를 보일러(3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적용 가능한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일러 시스템(20)에서, 이 수단은, 보일러(30)의 바닥 근처에 배치된 보일러(30)의 물 출구(37)와, 물 출구(37)에 배치된 헹굼 밸브(38)를 구비한다. 더욱이, 보일러 시스템(20)은, 흐름 스무더너(50)와 헹굼 용기(55)를 구비한다.
상기 물 출구(37)와 상기 헹굼 밸브(38)로 인해, 보일러 시스템(20)에서 헹굼 처리가 수행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보일러 시스템(20)에서, 상기 헹굼 처리는, 스팀 다리미 세션의 시작전에 실행된다. 헹굼 처리동안, 헹굼 밸브(38)는 개방되어, 물은, 주로 중력의 영향을 받아서 물 출구(37)와 헹굼 밸브(38)를 통해 보일러(30)로부터 배출된다. 특정 기간 후에, 또는 물의 흐름이 멈춘 경우에, 스팀 밸브(36)나 물 충전 캡(32)이 개방되어, 공기는 보일러(30)에 들어가게 되고, 물이 바깥으로 나가는 흐름은 보일러(30)가 완전히 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렇게 하여, 보일러(30)로부터 물 때 입자들과 다른 가능한 오염물을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물 때 입자들에 의해 물 출구(37)가 막히지 않도록, (미도시된) 필터를 물 출구(37)에 배치한다.
보일러(30)로부터 배출된 물은, 상기 흐름 스무더너(50)를 통해 흘러, 결국 헹굼 용기(55)에 수납된다. 상기 흐름 스무더너(50)가 있기 때문에, 밖으로 나가는 물의 흐름의 교류(turbulence)가 감소되고, 물이 튀기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헹굼 용기(55)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스팀 다리미 시스템(1)의 사용자가 헹굼 용기(55)를 비우기가 편리하고, 이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히 헹굼 용기(55)를 갖고서, 싱크 등으로 반송하여, 그것을 비우고, 그 빈 헹굼 용기(55)를 다시 적소에 되돌려 놓기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표시수단은, 헹굼 용기(55)가 가득 차서 비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헹굼 처리의 끝에서, 헹굼 밸브(38)는 다시 닫히고, 스팀 다리미 시스템(1)은 스팀 다림질 세션에서 사용되기에 꼭 맞게 된다.
보일러 시스템(20)은, 제어기(40)에 헹굼 처리 시작의 필요성을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그러나, 헹굼 처리가 스팀 다리미 시스템(1)의 사용의 소정의 지속기간 후에 자동으로 시작되는 경우에 더 선호되고, 상기 제어기(40)는 검출된 사용의 지속기간이 소정의 사용 지속기간에 도 달한 경우 헹굼 처리를 자동으로 시작하기에 충분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기(40)는, 보일러 시스템(20)에 전원 공급이 일어난 횟수를 계속 기록하고, 총 횟수와 소정의 횟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다. 그 총 횟수가 상기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헹굼 처리가 실행될 시간이고, 그 헹굼 처리는 스팀 다림질 세션의 시작 전에 제어기(40)에 의해 시작된다. 정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 작동 횟수만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만 이롭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측정은, 마찬가지로 보일러(30)나 스팀 다리미(10)의 여러 위치에서 수행되어도 된다. 물 때가 보일러(30) 안쪽에 형성될 때, 물 때는 열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정상이 아닌 온도가 온도 측정시에 발견된 경우, 헹굼 처리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표시를 한다.
제어기(40)가 스팀 밸브(36)의 개방된 상태의 총 시간을 계속 기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헹굼 처리를 시작할 필요성은, 스팀 밸브(36)의 개방된 상태의 총 시간이 발생된 스팀의 총량과 물 때의 총량에 직접 관련되므로, 아주 정확한 방식으로 결정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개방된 상태의 총 시간은 제어기(40)에 의해 소정의 총 시간과 비교되고, 상기 헹굼 처리는 측정된 것과 같은 총 시간이 소정의 총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난 경우에 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일러 시스템(20)의 제어기(40)가 헹굼 처리를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구성되지 않는 경우에, 보일러 시스템(20)은 사용자에게 헹굼 처리가 실행되게 할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보일러 시스템(20)은, 스팀 다리미(10)와 또 다른 스팀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보일러 시스템(20)은, 스팀 공급장치를 갖는 수동의 다리미 판에 실장되어도 된다. 보통, 상기 다리미 판은, 다림질 되는 대상을 지지하는 다림질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림질 표면을 통해 공기를 부는 기능이나 공기를 빨아들이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다림질 표면을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재를 구비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스팀장치는 의복 스티머이어도 된다.
도 2는 스팀 다리미(10)와 제 1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25)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2)을 다이어그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 1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 25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보일러 시스템 20과 상당한 정도로 유사하다. 중요한 차이는, 제 1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 25는 보일러(30)를 물로 채우기 위해서 물 탱크(60)와 펌프(65)의 설비를 구비하는 반면에, 종래기술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 20은 물 충전 캡(32)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 1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 25가 적용되는 경우, 보일러(30)가 채워질 필요가 있을 때 보일러(30)에 사용자가 물을 부을 필요가 없다. 물 탱크(60)가 비어 있거나 거의 빈 경우에만, 사용자가 물을 물 탱크(60)에 부을 필요가 있다. 공지된 방식에서, 표시수단은, 물 탱크(60)를 채울 필요가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팀 다리미 시스템(2)이 스팀 다림질 세션 동안 작동되는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팀 다리미 시스템(1)이 작동되는 방식이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보일러(30)의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고, 그 스팀은 스팀 밸브(36)와 스팀 호스(35)를 통해 스팀 다리미(10)에 공급된다. 스팀 다리미 시스템(2)의 작동시에, 스팀이 스팀 다리미(10)에 공급될 필요가 없는 경우, 스팀 밸브(36)는 닫힌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일러 시스템(20)과 마찬가지로, 보일러(30)의 헹굼 처리를 실행할 가능성의 관점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일러 시스템(25)은, 보일러(30)의 바닥 근처에 배치된 보일러(30)의 물 출구(37)와, 그 물 출구(37)에 배치된 헹굼 밸브(38)와, 흐름 스무더너(50)와, 헹굼 용기(5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헹굼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순간을 결정하는 처리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20)과 관련지어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어도 된다. 그렇지만, 상기 헹굼 처리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될 방식 중 하나로 수행되어도 된다.
제 1 가능성에 의하면, 헹굼 처리는, 스팀 다림질 세션의 시작 전에 수행된다. 헹굼 처리가 시작되는 경우, 펌프(65)는, 특정 기간 동안 또는 소정의 압력이 보일러(30) 안쪽에 도달할 때까지 물을 보일러(30)에 펌핑하도록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헹굼 밸브(38)는 개방된다. 이 때문에, 물은 보일러(30)로부터 강력하게 분출되고, 여기서, 물의 분출이 이루어져, 그 물과 함께 물 때 입자들과 다른 가능한 오염물을 보일러(30)로부터 반송한다. 보일러(30)의 압력으로 인해, 보일러의 물 출구(37)를 차단하는 어떠한 물 때도 부서진다. 헹굼 처리의 효율을 증대하 기 위해서, 펌프(65)는, 헹굼 밸브(38)가 개방되는 시간 동안 그 동작은 계속되거나 재시작될 수 있고, 이때의 물의 흐름은 개선되고, 보일러(30)의 왈칵 흐르는 것이 향상된다. 보일러(30)가 비워진 후, 헹굼 밸브(38)는 다시 닫힌다. 제 1 라운드의 헹굼 후 제 2 라운드의 헹굼을 수반하여 보일러(30)에 있는 클리너 물을 얻기도 한다.
제 2 가능성에 의하면, 보일러(30)는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되고, 물을 가열하고 펌프(65)를 작동시키는 가압작용이 겸비된다. 이 가열은 그 물에 있는 물 때 입자들을 휘젓는데 도움이 된다.
제 1의 바람직한 보일러 시스템(25)에 있어서, 보일러(30)의 헹굼은, 효과적인 방식으로 일어난다. 더욱이, 보일러 시스템(25)이 물 출구(37)를 갖는 보일러(30)와 그 물 출구(37)에 연결된 헹굼 밸브(38)를 구비한다는 사실로 인해, 보일러(30)의 안전하고 번거롭지 않은 헹굼을 언제든지 행한다.
삭제
삭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은,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부 수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스팀 다리미 시스템(2)이 펌프(65)를 구비하므로, 헹굼 밸브(38)가, 보일러(30)의 물 출구(37)에 위치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헹굼 밸브(38)는 어떠한 위치이어도 되고, 여기서, 물 출구(37)는 헹굼 처리시에 모든 물이 실제 확실히 왈칵 흐르도록 보일러(30)의 저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에 의해, 제 2의 바람직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 3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이 시스템은, 제 1의 바람직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 2와 크게 유사하고, 그 차이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팀 다리미 시스템 3에서, 헹굼 밸브(38)가 물 출구(37)에 배치되지 않고, 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완벽을 기하기 위해서, 상기 흐름 스무더너(50)와 헹굼 용기(5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시스템(20,25)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한다.
상기에는, 스팀 다리미(10)와 보일러 시스템(25)을 구비한 스팀 다리미 시스템(2,3)이 개시되어 있다. 보일러 시스템(25)은,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보일러(30)를 갖고, 스팀 다리미(10)와 보일러(30)는 서로 스팀 호스(35)를 통해 연결된다. 보일러 시스템(25)의 작동시에, 보일러(30)에는 물 때가 형성된다. 그 물 때를 보일러(30)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헹굼 처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보일러 시스템(25)에서 수행된다. 헹굼 처리시에, 보일러(30)의 바닥에 위치된 물 출구(37)에 연결된 헹굼 밸브(38)는 개방되고, 물은 보일러(30)로부터 헹굼 용기(55)로 배출된다. 상기 처리에서, 물 때 입자들은, 물의 흐름과 함께 반송된다. 상기 처리에서, 압력은, 헹굼 밸브(38)를 개방하기 전에 보일러(30) 안쪽에 가해져서, 물은 보일러(30)로부터 강제로 분출되어서, 헹굼 처리의 효율성이 개선된다.

Claims (22)

  1. 스팀 장치(10)에서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25) 헹굼 방법으로서,
    상기 보일러 시스템(25)은,
    물을 들어오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31)와, 스팀을 나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팀 출구(34)와, 물을 나가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 출구(37)를 구비하여, 물을 담고 물을 가열하여 스팀으로 만드는 보일러(30)와,
    보일러 시스템(20,25)의 작동시에 상기 보일러(30)를 상기 스팀장치(10)에 접속하고 상기 보일러(30)로부터 상기 스팀장치(10)에 스팀을 인도하기 위해 상기 보일러(30)의 스팀 출구(34)에 접속된 스팀 호스(35)와,
    상기 보일러(30)의 스팀 출구(34)에 접속된 스팀 밸브(36)와,
    상기 보일러(30)의 물 출구(37)에 접속된 헹굼 밸브(38)와,
    상기 보일러(30)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65)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보일러(30)의 상기 스팀 밸브(36)와 상기 물 입구(31)를 폐쇄한 채로 상기 헹굼 밸브(38)를 개방하고, 상기 보일러(30)의 상기 스팀 밸브(36)와 상기 물 입구(31) 중 하나를 개방하는 연속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헹굼 밸브(38)를 개방하기 전에 상기 펌프(65)를 작동시켜서 상기 보일러(30)에 물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헹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30)에서 상기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헹굼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물 때 용매를 상기 보일러(30)에 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헹굼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밸브(38)를 다수 회 빠르게 개방 및 폐쇄하는 시퀀스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헹굼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087003047A 2005-07-11 2006-07-06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KR101292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6296 2005-07-11
EP05106296.6 2005-07-11
PCT/IB2006/052273 WO2007007241A1 (en) 2005-07-11 2006-07-06 Boiler system for use with a steam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08A KR20080026208A (ko) 2008-03-24
KR101292020B1 true KR101292020B1 (ko) 2013-08-01

Family

ID=3741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047A KR101292020B1 (ko) 2005-07-11 2006-07-06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79564B2 (ko)
EP (1) EP1910739B1 (ko)
JP (1) JP5053272B2 (ko)
KR (1) KR101292020B1 (ko)
CN (1) CN101218470A (ko)
BR (1) BRPI0612836B1 (ko)
RU (1) RU2395033C2 (ko)
WO (1) WO2007007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1885B2 (en) 2006-06-09 2011-05-17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dry spin pre-wash
US7765628B2 (en) 2006-06-09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a dual speed spin pre-wash
US7730568B2 (en) 2006-06-09 2010-06-08 Whirlpool Corporation Removal of scale and sludge in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665332B2 (en) 2006-08-15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7886392B2 (en) 2006-08-15 2011-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sanitizing a fabric load with steam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41219B2 (en)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7707859B2 (en) 2006-08-15 2010-05-0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681418B2 (en)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US7753009B2 (en) 2006-10-19 2010-07-13 Whirlpool Corporatio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EP1944404A1 (en) * 2006-12-18 2008-07-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device for supplying superheated water
US8393183B2 (en) 2007-05-07 2013-03-12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control panel and associated steam operations
US7861343B2 (en) 2007-08-31 2011-01-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918109B2 (en) 2007-08-31 2011-04-0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8555676B2 (en)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7905119B2 (en) 2007-08-31 2011-03-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8037565B2 (en) 2007-08-31 2011-10-1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having a steam generator
US7966683B2 (en) 2007-08-31 2011-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8555675B2 (en)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7690062B2 (en) 2007-08-31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steam generator
WO2009069099A2 (en) 2007-11-30 2009-06-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eaming device with a rinsing feature
ITBS20080144A1 (it) * 2008-07-28 2010-01-29 Gemme Italian Producers S R L Apparato di stiro
GB2456615B (en) * 2008-10-21 2009-12-09 Richards Morphy N I Ltd Iron steam generator with opening boiler
GB0901855D0 (en) 2009-02-05 2009-03-11 Strix Ltd Electric steam generation
CN101839468B (zh) * 2009-03-19 2012-07-25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可去除钙质水垢的蒸汽站
ITRM20090247A1 (it) * 2009-05-18 2010-11-19 Axana 2000 S R L Apparato pulitore con erogazione di vapore.
CN101581030A (zh) * 2009-06-15 2009-11-18 陈炯芳 一种挂烫机
FR2947892B1 (fr) * 2009-07-10 2012-08-10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comportant un generateur de vapeur
EP2325381A1 (en) * 2009-11-19 2011-05-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eam generator for use in a laundry care appliance, and laundry care appliance
WO2011110979A2 (en) 2010-03-09 2011-09-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team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scale in such steam generation device
ES2396373B1 (es) * 2010-06-15 2014-01-02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Plancha de vapor con sistema de limpieza y descalcificación automático.
JP5510123B2 (ja) * 2010-06-30 2014-06-04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ボイラの運転方法
CN103052847B (zh) 2010-07-22 2015-06-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防止或者减少热水器的加热器元件上的水垢化
EP2596294B1 (en) 2010-07-22 2015-12-09 Koninklijke Philips N.V. Prevention or reduction of scaling on a heater element of a water heater
BR112013016796A2 (pt) 2011-01-03 2016-10-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arelho para gerar vapor e sistema de ferro à vapor
CN102182053B (zh) * 2011-04-29 2013-05-0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式蒸汽熨斗
EP2527733B1 (de) * 2011-05-25 2019-07-10 Miele & Cie. KG Dampferzeuger für eine Bügelstation
EP2527732B1 (de) 2011-05-25 2016-07-13 Miele & Cie. KG Dampferzeuger für eine Bügelstation
US9233402B2 (en) 2011-11-22 2016-01-1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caling reduction in a boiler used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DE102012100070A1 (de) * 2012-01-05 2013-07-11 Alfred Kärcher Gmbh & Co. Kg Dampfreinigungsgerät
CN102605599B (zh) * 2012-03-21 2014-02-2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挂烫机及其控制方法
CN103015144A (zh) * 2012-12-11 2013-04-03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蒸汽站电熨斗
CN105874117B (zh) * 2013-12-31 2019-01-2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蒸汽熨斗
JP6508839B2 (ja) * 2014-03-31 2019-05-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蒸気生成器を含む装置及び該装置を制御する方法
FR3020818B1 (fr) 2014-05-06 2016-05-20 Seb Sa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appareil de repassage comportant une cuve pour la generation de vapeur sous pression
FR3020817B1 (fr) 2014-05-06 2016-05-13 Seb Sa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appareil de repassage comportant une cuve pour la generation de vapeur sous pression
CN107687079B (zh) * 2016-08-03 2021-01-26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及控制方法
CN106192338B (zh) * 2016-09-29 2020-03-17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生成装置、挂烫机和蒸汽生成装置的除垢方法
CN106192339B (zh) * 2016-09-30 2019-04-19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挂烫机、蒸汽发生器及其蒸汽发生方法
IT201700104917A1 (it) * 2017-09-20 2019-03-20 De Longhi Appliances Srl Caldaia
CN108170042B (zh) * 2018-01-09 2021-03-16 厦门芯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挂烫机蒸汽量控制电路及控制方法
CN111254684B (zh) * 2018-11-30 2023-04-14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熨烫设备
US11117820B2 (en) 2019-03-29 2021-09-14 Rheem Manufacturing Company Automatic descaling system
EP3977010B1 (de) * 2019-06-03 2023-12-20 Swisslogo AG Einrichtung zur erzeugung von dampf
CN113598626B (zh) * 2021-08-16 2022-12-13 海信家电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蒸烤设备及其除垢提醒方法
DE102021211174A1 (de) * 2021-10-04 2023-04-06 BSH Hausgeräte GmbH Verdampfer für ein Dampfbehandlungsgerät sowie Haushalts-Dampfbehandlungsgerä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14036U1 (de) * 1977-05-04 1977-08-25 Jennewein, Manfred A., 6083 Walldorf Vorrichtung zum Abdämpfen von Materialien aller Art
WO1998000596A1 (en) 1996-07-01 1998-01-08 Peter Muncan Garment finishing appliance with water recycling system
EP1319743A2 (en) * 2001-12-17 2003-06-18 De' Longhi S.P.A. Ironing Apparatus
EP1386598A1 (en) * 2002-07-30 2004-02-04 Naomoto Industry Co., Ltd. Steam-supplying apparatus for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9175A (en) * 1919-12-23 1921-12-06 White William Monroe Electrical boiler
US3869816A (en) * 1974-01-30 1975-03-11 Gen Electric Steam iron
US4017988A (en) * 1976-04-07 1977-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cleaning steam iron
JPS5990000A (ja) * 1982-11-14 1984-05-24 Shigeru Miyauchi 循環式風呂釜の洗滌方法と器具装置
JPS63502771A (ja) * 1986-03-11 1988-10-13 リ−バ、ギュンタ− 蒸気発生装置
JP2595704B2 (ja) 1989-01-25 1997-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チームアイロン
DE8901904U1 (ko) * 1989-02-17 1989-07-20 Lechmetall Landsberg Gmbh, 8910 Landsberg, De
DE4034239A1 (de) * 1990-10-27 1992-04-30 Juno Grosskue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dampferzeugers fuer gargeraete
DE69113771D1 (de) * 1990-12-26 1995-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ügelvorrichtung.
US5885364A (en) * 1991-05-16 1999-03-23 H.E.R.C. Products Incorporated Method of cleaning and maintaining potable water distribution pipe systems
US5511950A (en) * 1994-08-05 1996-04-30 Shin-Ei Kabushiki Kaisha Vacuum pumps for recovering condensates from steam-using apparatus
US5567313A (en) * 1994-12-16 1996-10-22 Almeida; Juan G. Condensate filter housing
US5841826A (en) * 1995-08-29 1998-11-2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hod of using a chemical solution to dislodge and dislocate scale, sludge and other deposits from nuclear steam generators
JP3488039B2 (ja) 1997-03-11 2004-01-19 株式会社サムソン 蒸気発生器の缶水排出装置
JP3119212B2 (ja) 1997-09-24 2000-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イロン
US5842295A (en) * 1997-06-30 1998-12-01 U. S. Philips Corporation Ironing machine having an iron and a stand
CN1134565C (zh) 1998-09-22 2004-01-1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具有钙化指示的蒸汽熨斗
CH691948A5 (de) * 2000-06-28 2001-12-14 V Zug Ag Boiler und Dampfgargerät mit einem derartigen Boiler.
DE20017279U1 (de) * 2000-10-07 2001-01-11 Hoesch Metall & Kunststoffwerk Dampfgenerator für eine Dampfbadekabine mit Einrichtung zum Entkalken
GB0122856D0 (en) * 2001-09-22 2001-11-14 Imi Plc Liquid heating apparatus
US20030136032A1 (en) * 2002-01-17 2003-07-24 Leung Albert Yat-Cheong Self-cleaning steam iron
FR2835041B1 (fr) * 2002-01-24 2004-03-19 Seb Sa Kit de vidange et de nettoyage pour generateur de vapeur electrodomestique
DE10234625B4 (de) * 2002-07-29 2005-02-24 Rational Ag Dampferzeuger mit Reaktor zur Kalkkristallkeimbildung
US6833032B1 (en) * 2002-11-05 2004-12-21 Blodgett Holdings, Inc. Automatic deliming process
DE10259829B4 (de) 2002-12-19 2005-10-06 Convotherm Elektrogeräte GmbH Verfahren zum Entkalken von Dampferzeugern für Gargeräte
EP1516554B1 (en) * 2003-09-19 2007-11-14 Naomoto Industry Co., Ltd. Hair ir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14036U1 (de) * 1977-05-04 1977-08-25 Jennewein, Manfred A., 6083 Walldorf Vorrichtung zum Abdämpfen von Materialien aller Art
WO1998000596A1 (en) 1996-07-01 1998-01-08 Peter Muncan Garment finishing appliance with water recycling system
EP1319743A2 (en) * 2001-12-17 2003-06-18 De' Longhi S.P.A. Ironing Apparatus
EP1386598A1 (en) * 2002-07-30 2004-02-04 Naomoto Industry Co., Ltd. Steam-supplying apparatus for hairdressing and beauty c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104916A (ru) 2009-08-20
KR20080026208A (ko) 2008-03-24
RU2395033C2 (ru) 2010-07-20
EP1910739A1 (en) 2008-04-16
JP5053272B2 (ja) 2012-10-17
CN101218470A (zh) 2008-07-09
WO2007007241A1 (en) 2007-01-18
EP1910739B1 (en) 2013-04-10
US20080189992A1 (en) 2008-08-14
BRPI0612836A2 (pt) 2012-05-08
BRPI0612836A8 (pt) 2016-10-04
US7779564B2 (en) 2010-08-24
BRPI0612836B1 (pt) 2019-09-17
JP2009500589A (ja)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020B1 (ko)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KR100781274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RU2428917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измерением электропроводности
JP5772048B2 (ja) 浴槽洗浄装置
EP2396595B1 (en) Steaming device with a rinsing feature
JP7022548B2 (ja) 浴槽洗浄装置
JP2011024943A (ja) 浴槽自動洗浄装置
KR10072201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04076757A1 (ja) トイレ装置
JP2007089744A (ja) 浴槽洗浄装置
JP2011083478A (ja) 浴槽自動洗浄装置
US20180340693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 degree of soiling of a cooking appliance interior
JP3461677B2 (ja) 蒸気発生器の缶水濃縮防止装置
JP3172591B2 (ja) 浴槽洗浄方法
JP7085366B2 (ja) 洗浄装置
JP3662426B2 (ja) 風呂給湯機
KR20000002181A (ko)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JPH0556907A (ja) 浴槽洗浄の洗剤投入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用した洗剤投入方法および洗剤投入状態検知方法
JP2980360B2 (ja) 浴槽洗浄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自動風呂釜
JP2832396B2 (ja) 浴槽蓋の開閉状態検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利用した風呂装置と浴槽洗浄装置並びにそれら装置の運転方法
JP2552596B2 (ja) 風呂装置
JP2929017B2 (ja) 風呂装置による浴槽への湯張り方法
JPH11173658A (ja) 風呂釜洗浄装置
JP2021042867A (ja) 水張りシステム
KR2021009991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