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80B1 -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80B1
KR101290680B1 KR1020107016287A KR20107016287A KR101290680B1 KR 101290680 B1 KR101290680 B1 KR 101290680B1 KR 1020107016287 A KR1020107016287 A KR 1020107016287A KR 20107016287 A KR20107016287 A KR 20107016287A KR 101290680 B1 KR101290680 B1 KR 101290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trim
hinge pillar
fro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154A (ko
Inventor
자비에 빌라르
에릭 주에나르
파스칼 니코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0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필러(2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42, 49, 55)이 상기 구조물을 따라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체(3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체(30)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42)용 안내 및 보유 수단(44, 46, 52, 53, 54, 57, 63); 상기 구조물의 트림(trim)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48, 49, 50); 카페트(carpet)를 인덱스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61); 및 전기 연결구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A support for at least one cable and at least one electrical connector which are to be fastened to a motor vehicle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자동차 구조물을 따라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 구조물은 자동차 전방 힌지 필러이고, 그 요소들은 전기 케이블들, 전기 연결구들, 제어부들 등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케이블"이라는 단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즉 그것은 전기 케이블, 다수의 관련 전기 도전체들로 형성된 끈, 하나 이상의 광섬유들 및 하나 이상의 전기 도전체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광섬유 또는 광섬유의 집합체, 또는 유체를 운반하는데에 이용되는 강성 또는 반강성(semi rigid)의 파이프 까지도 지칭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전방 힌지 필러"라는 용어는 차량의 몸체 외피의 측부들 각각 전방에 위치된 몸체틀의 강도에 기여하고 전방 문의 힌지들을 지지하는 금속 구조물이라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방 힌지 필러는 차량의 부재들의 일부를 위한 지탱용 구조물로서 기능한다.
자동차에서는,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를 배분하며, 또한 엔진의 구성 부품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일련의 전기 케이블들이 이용된다. 전기 연결구들의 장착에 관한 새로운 기준에 의하면, 자동차 제조사들은 차량의 전방 힌지 필러에 그 연결구들을 장착하여야 한다. 전기적 연결의 요망되는 품질 및 신뢰성은 설치되어야 하는 연결구들의 갯수를 상당히 증가시켜왔다.
전방 힌지 필러 영역은 매우 좁기 때문에, 이 영역에 요소들을 설치 및 고정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지 않다. 이 영역은 일반적으로, 엔진에 대한 접근성을 얻기 위하여 전방에서 보닛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부, 전방 힌지 필러 트림 고정구들, 케이블들을 위한 통로들, 선택적인 전방 및 후방 전기 연결부들, 및 전방 문을 위한 전기 분기를 위한 통로 구멍을 포함한다. 이 영역은 조립 및 설계의 관점에서 난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 에는 전방 힌지 필러(2)의 현재 상황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전방 문을 위한 전기 분기부(electrical branch off)를 위한 통로 구멍(8), 보닛(12)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부, 전기 연결구(14)들, 및 케이블(16)들이 도시되어 있다.
현재에는, 전방 힌지 필러 영역의 요소들이 시트 금속물(sheet metal work)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각 단계는 케이블들의 분리, 손상, 및 파손의 위험을 일으키기 쉽다. 그 단계들은:
1) 시트 금속물(10) 내의 구멍을 통하여 문을 위한 전기 분기부를 통과시키고 관련된 공백 부재(blanking piece)를 장착하는 단계;
2) 클립(clip)들을 이용하여 전선 분기부들 및 전기 연결구들을 시트 금속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 이 단계에서 작업자는 경로를 거꾸로 하여서 품질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3) 전방 보닛 제어부를 장착하고 이미 장착된 전선을 가압에 의하여 체결하는 단계 - 케이블이 응력을 받거나 또는 꼬인다면 보닛 개방 제어부를 작동시키는데에 필요한 노력이 증가될 가능성 및 소음의 가능성이 있다.
4)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카페트(카페트는 그 기하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음)를 장착하는 단계 - 조립 중에 카페트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작업자에게 부가적인 일을 제공한다.
5) 이미 제 위치에 있는 전선을 조작하면서 사전에 결정된 고정 지점들에 대한 명확한 접근을 위하여 전방 힌지 필러 트림을 장착하는 단계 - 이 단계에서는 소음 및 품질 결함의 위험이 있다.
전방 힌지 필러 트림은, 선행하는 요소들이 그 뒤에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트림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긴 고정용 스터드(fixing stud)를 이용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전방 힌지 필러 트림의 기하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전방 힌지 필러 영역 장치를 제공함에 의하여 전술된 문제점들 모두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를 이용함에 의하여, 조립 라인의 작업자가 행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방 힌지 필러(front hinge pillar)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가 상기 전방 힌지 필러를 따라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체(support)에 의하여 달성되는바,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cable)용 안내 및 보유 수단(guiding and holding means);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트림(trim)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first trim fastening portion) 및 제2 트림 고정부(second trim fastening portion) 중의 적어도 하나;
카페트(carpet)의 배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페트 배치부(carpet positioning portion); 및
전기 연결구(electrical connector)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는, 차량의 전방에 있는 보닛(bonnet)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수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수용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와의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지체의 상측 절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용 안내 및 보유 수단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홈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U"자의 일 다리부의 일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움직이게끔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판을 포함할 수 있고, 개방 위치에서는 홈이 개방되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는 판이 홈을 폐쇄하여 상기 케이블을 제 위치에 보유한다.
카페트 배치부는 지지체의 기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 및 제2 트림 고정부는 각각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 및 제2 트림 고정부는, 트림으로부터 연장된 대응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요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용 안내 및 보유 수단 및 상기 케이블과 관련된 연결구들은, 케이블들 및 연결구들이 지지체 상의 관련 안내 수단에 바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하여, 유사한 식별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식별 수단은 예를 들어 색상과 같은 시각적인 것일 수 있다.
지지체는 전방 힌지 필러의 하측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체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합성 유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전방 힌지 필러 영역 장치가 제공되는바, 이로써 전술된 문제점들이 해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를 이용함에 의하여, 조립 라인의 작업자가 행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하기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 은 자동차의 전방 힌지 필러의 하측 부분을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방 힌지 필러에 고정되는 지지체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자동차의 전방 힌지 필러에 고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비슷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또한, 모든 도면들과 상세한 설명에 걸쳐서, 하나의 동일한 부호는 하나의 동일한 요소를 표시한다. 유사하게, 아래에서는, "상측"은 차량의 상부를 향하여, 즉 시트 쿠션(seat cushion)의 하측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지향된 요소의 면을 지칭하고, "하측"은 상기 "상측"면에 대해 반대인 면을 지칭한다.
하기의 설명은 차량의 운전자와 관련된 자동차의 좌측 부분에 장착되는 전방 힌지 필러에 관하여 기술되지만, 우측 전방 힌지 필러는 차량 구조물의 대칭의 자연 평면에 관하여 좌측 전방 힌지 필러에 대한 대칭 반대를 이루며, 따라서 전방 힌지 필러에 고정되는 다목적 지지체에 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3 에 도시된 전방 힌지 필러(20)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경금속의 합금으로 된 단일의 금속 주조물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전체적으로 U 형상 외관의 단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인 중앙 몸체(central body)로 이루어진다. "L"자의 다리 부분은 기반 벽(base wall; 22), 제1 측벽(24), 및 제2 측벽(26)으로 만들어진다. "L"자의 발 부분은 제3 측벽(28), 제1 측벽(24) 및 기반 벽(22)의 연속부로 이루어진다.
도 2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3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수단에 의하여 전방 힌지 필러(20)의 하측 영역에 고정된다. 특히, 그것은 전체적으로 U자 형상 외관의 단면을 가지고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인 중앙 몸체를 구비한다. 중앙 몸체의 치수는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방 힌지 필러(20)의 치수보다 작다. "L"자의 다리 부분(leg)은 기반 벽(32), 제1 측벽(34), 및 제2 측벽(36)으로 이루어진다. "L"의 발 부분은 제3 측벽(38), 제1 측벽(34), 및 기반 벽(32)의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절반부에서 지지체(30)는 중앙 절개부(central cutout; 40)를 구비하는데, 중앙 절개부는, 전방 힌지 필러(20)의 구조적 환경에 맞도록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며, 또한 지지체의 상측 단부를 두 개의 부분들로 구분한다.
벽(36)에 인접한 제1 부분은 케이블용 안내 및 보유 수단을 포함한다. 그것은 기반 벽(32)으로부터 돌출된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홈(44)의 형태를 갖는데, 그것의 상기 "U"자의 일 가지부의 일 단부는 판(46)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도록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판(46)을 포함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홈이 개방되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는 판이 홈을 폐쇄하여 케이블(42)을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 홈(44) 아래에는 좌측 전방 힌지 필러 트림(미도시)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트림 고정부(48)가 위치된다. 설명하자면, 트림은 차량의 내부 공간을 보다 매력적으로 만드는 플라스틱 구성요소이고, 전술된 트림은 지지체(30)에 배치된 모든 요소들을 부분적으로 숨길 수 있다. 제2 트림 고정부(48)는 요부(49)를 포함하는바, 이 요부는 상기 트림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응 요소(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대응 요소는 상기 요부에서 강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트림을 고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상기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50)가 이 지지체에 배치되는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L"자의 관절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트림 고정부(50)는 지지체의 요부(51)들 각각에서 트림을 강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돌출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두 개의 개별 요부(51)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트림 고정부(50)는 제1 측벽(34)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2 트림 고정부(48)는 제2 측벽(36)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벽(34)에 인접한 제2 부분(second part)은 케이블(42)용 안내 및 보유 수단(52)을 포함하는데, 그 안내 및 보유 수단은 기반 판(baseplate; 53) 및 기반 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벽(54)을 구비한다. 따라서, 벽(54)은 지지체(30)를 따라서 케이블을 안내한다.
수단(52) 위에는 차량의 전방에서 보닛(미도시)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부(55)를 수용하기 위한 제어부 수용부(56)가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이 제어부(55)는, 케이블을 거쳐서 보닛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작동시키는 사람을 향하여 당겨져야 하는 실질적으로 "크레센트-형상(crescent-shape)" 레버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부 수용부(56)는 제어부를 이루는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요부로서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요부들 중의 하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그 너트는 지지체 내에 몰딩(molding)될 수 있다. 두 개의 제어부 수용부(56)들은 벽(34)에 인접한 제2 부분의 각 측부에 하나씩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보닛 개방용 제어부를 어느 정도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환경적 제약이 해소될 수 있는데, 상기 환경적 제약은 보닛이 개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의 작동에 있어서 관련된 노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꼬일 수 있는 전선으로 인한 것이다. 또한, 보닛 개방용 제어부를 어느 정도 위에 위치시키는 것은 보닛 개방용 케이블이 주위의 전기 케이블에 대한 움직임으로 인한 소음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지지체의 상측 절반부, 즉 카페트 배치부(61)의 위에는 전기 연결구(59)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58)에 결합된 케이블(42)용 안내 및 보유 수단(57)이 있다. 두 개의 수단들(57, 58)은 절개부(40) 아래에 위치되고 그에 인접하게 있다. 전술된 안내 및 보유 수단(57)은 판(60)을 이용하여 닫혀질 수 있는 홈의 형태를 갖는다. 도 3 에는 케이블(42)이 판(60) 아래의 위치에 보유된 것이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지지체(30)의 상측 절반부 및 하측 절반부가 만나는 곳, 즉 지지체의 전체 구조물에 대한 실질적으로 중간에는, 카페트(미도시)를 배치하기 위한 카페트 배치부(61)가 있다. 전술된 카페트는 운전자 시트의 근처에 위치되는 것이고, 따라서 운전자 좌석과 관련된 바닥을 덮는 것이다. 이 수단(61)은 지지체의 주벽(main wall; 32)으로부터 돌출된 튜브의 형태를 갖는다. 지지체에 유지되는 다양한 요소들의 통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형상은 지지체에서의 공간을 가능한 적게 점유하도록 선택된다. 그 튜브의 자유 단부는 예를 들어 부동화용 돌출부(immobilizing protrusion)와 같은, 대응되는 카페트 배치용 요소를 수용하기 위하여 원형의 개구를 갖는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카페트가 확정적으로 고정되기 전에 카페트의 기하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튜브(tube; 61)의 개구에 카페트와 관련된 부동화용 돌출부를 위치시켜야 한다.
전기 연결구(59)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58)들은 지지체의 하측 절반부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용 판(62)은 제3 측벽(38)과 "L"자의 관절 영역(제1 트림 고정부(50)가 위치되는 영역) 사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 개의 연결구(59)들은 고정용 판(6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그 고정용 판은 연결구들을 지지하는 제1 기능을 가지고, 또한 케이블을 보유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고정용 판(62)은 기반 벽(32)에 관하여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데, 이것은 케이블(42)이 놓여져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부가적인 고정 수단(58)은 고정용 판(62)보다 아래에서 지지체(30)의 주벽(32)에 위치된다. 연결구(59)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은, 전기 연결구를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마지막으로, 지지체의 하측 단부에서는, 벽(34)에 인접한 안내 및 보유 수단(63)이 안내 및 보유 수단(42)과 유사하게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홈을 가지며, 그 홈은 기반 벽(32)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U"자의 일 가지부의 일 단부는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판(63)을 구비하여, 판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개방 위치에서는 홈이 개방되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는 판이 홈을 폐쇄하여 케이블(42)을 보유 위치에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힌지 필러 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지지체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분포되어서, 환경과 관련된 제약과 간섭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체를 이용하기를 원하는 작업자는 다양한 요소들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장착시킨다:
1) 시트 금속물(10)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문을 위한 전기 분기부를 통과시키고, 관련된 공백 부재를 장착시킴;
2) 제공된 홈들 내에 전기 연결구들 및 전선 분기부들을 고정시킴 -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관련된 연결구를 포함하는 홈은, 지지체의 관련 홈들에서의 케이블 및 연결구들의 정확한 배치를 도모하기 위하여 유사한 식별 수단을 포함한다. 그 식별 수단은, 예를 들어 색상 코드(color code)와 같이 시각적인 것일 수 있다;
3) 환경적 제약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닛 제어부를 어느 정도 높게 장착시킴;
4) 차량 내부에서 사용되는 카페트를 장착함 - 이것은 조립 중에 카페트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업무를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5) 통제하에 있고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전방 힌지 필러 라이닝(front hinge pillar lining)를 장착함 - 이것은, 라이닝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긴 고정용 스터드들을 이용할 필요를 없애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앞선 요소들이 서로 적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소음 및 품질 결함의 위험을 없애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 및 예로서만 제시된 도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와는 반대로, 본 발명은 그 취지에 따라 이루어지는 모든 기술적으로 동등한 수단 및 그 수단들의 조합을 포괄한다.
따라서, 지지체의 다양한 기능들의 레이아웃(layout)은 차량의 전방 힌지 필러가 상이한 응력 분포를 받는 경우들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지지체는 자동차 전방 힌지 필러의 근처에 배치된 요소들의 최적화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바, 이로써 조립이 용이해지고, 조립 시간을 최적화시키며, 차량 소음을 개선하고, 케이블들의 분리, 손상, 파손의 위험을 저감시키며, 전방 힌지 필러의 전체적인 기하형태적 품질을 개선시킨다.
20: 전방 힌지 필러 22: 기반 벽
24: 제1 측벽 26: 제2 측벽
28: 제3 측벽(28) 30: 지지체
32: 기반 벽 34: 제1 측벽
36: 제2 측벽 38: 제3 측벽
40: 중앙 절개부

Claims (12)

  1. 자동차의 전방 힌지 필러(front hinge pillar; 20)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42)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59)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자동차의 전방 힌지 필러(20)에 고정되는 지지체(support; 30)로서,
    상기 지지체(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cable; 42)용 안내 및 보유 수단(guiding and holding means; 44, 46, 52, 53, 54, 57, 63);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트림(trim)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50) 및 제2 트림 고정부(48) 중의 적어도 하나;
    카페트(carpet)를 배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페트 배치부(61);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electrical connector; 59)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판(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30)는, 자동차의 전방에 있는 보닛(bonnet)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부(55)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수용부(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수용부(56)는, 상기 케이블(42) 및 전기 연결구(59)에 관한 환경적 제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카페트 배치부(61)의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용 안내 및 보유 수단(44, 46, 52, 53, 54, 57, 63)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홈(44)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U"자의 일 다리부의 일 단부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움직이게끔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판(46, 60)을 포함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홈이 개방되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에서는 판이 홈을 폐쇄하여 상기 케이블을 제 위치에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트 배치부(61)는 지지체의 기반 표면(32)으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50) 및 제2 트림 고정부(48)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1 측벽(34) 및 제2 측벽(36)에 인접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트림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트림 고정부(50) 및 제2 트림 고정부(48)는 그 각각에 개별적으로 형성된 요부(51, 49)를 포함하고, 그 요부들은 상기 트림으로부터 연장되는 대응 요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용 안내 및 보유 수단(44, 46, 52, 53, 54, 57, 63) 및 상기 케이블과 관련된 연결구(59)들은, 케이블들 및 연결구들이 지지체 상의 관련 안내 수단에 바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도모하기 위하여, 유사한 식별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은 시각적인 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전방 힌지 필러의 하측 부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합성 유기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KR1020107016287A 2007-12-20 2008-09-26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 KR101290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60105 2007-12-20
FR0760105A FR2925425B1 (fr) 2007-12-20 2007-12-20 Support d'un ou de plusieurs elements destines a etre fixe sur une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PCT/FR2008/051728 WO2009080921A1 (fr) 2007-12-20 2008-09-26 Support d'un ou de plusieurs elements destines a etre fixe sur une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154A KR20100101154A (ko) 2010-09-16
KR101290680B1 true KR101290680B1 (ko) 2013-07-31

Family

ID=3967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287A KR101290680B1 (ko) 2007-12-20 2008-09-26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85682B2 (ko)
EP (1) EP2222507B1 (ko)
JP (1) JP5241851B2 (ko)
KR (1) KR101290680B1 (ko)
CN (1) CN101903212B (ko)
BR (1) BRPI0821633A2 (ko)
FR (1) FR2925425B1 (ko)
RU (1) RU2470804C2 (ko)
WO (1) WO2009080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0435B2 (en) * 2012-05-23 2015-09-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ire harness protector
US20150001884A1 (en) * 2013-06-28 2015-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ne piece front hinge pill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R3076510B1 (fr) * 2018-01-05 2021-02-19 Psa Automobiles Sa Structure de support d’un element adapte pour etre fixe sur un pied avant d’un vehicule.
JP7153037B2 (ja) * 2020-01-17 2022-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647A (ja) * 2001-02-05 2002-08-14 Fuji Heavy Ind Ltd 固定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2195A (en) * 1970-01-22 1971-11-23 Gen Motors Corp Vehicle frame and body construction
US4007536A (en) * 1973-02-28 1977-02-15 Gosta Soderberg Method of using a sealing strip to mount a glass panel in a sheet metal body
US4440434A (en) * 1981-12-24 1984-04-03 Aldo Celli Vehicle body construction
JPS59170978U (ja) * 1983-04-30 1984-11-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誤配線防止付リ−ド線接続装置
JPH0213687U (ko) * 1988-07-12 1990-01-29
US5288121A (en) * 1993-02-25 1994-02-22 Grant Industries, Inc. Automobile trim strip and carpet retaining clip
US5613327A (en) * 1995-02-24 1997-03-25 Chrysler Corporation Door sill garnish trim
JP3296180B2 (ja) * 1996-03-29 2002-06-24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の回路接続構造
DE19636505C1 (de) * 1996-09-09 1998-01-22 Daimler Benz Ag Türeinstiegbereich für ein Kraftfahrzeug
JPH1125781A (ja) * 1997-07-03 1999-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仮結束サブ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JP3266838B2 (ja) * 1997-09-26 2002-03-1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フロアのハーネス組付け構造
JP4112685B2 (ja) * 1998-06-04 2008-07-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
JP2000355253A (ja) * 1999-06-14 2000-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のカウルサイドのトリム固定構造
JP4044406B2 (ja) * 2002-09-30 2008-02-06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フロアカーペ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留め具
US6908140B1 (en) * 2004-02-24 2005-06-21 Arvinmeritor Technology, Llc Door module cable holder
RU2268829C2 (ru) * 2004-03-12 2006-01-27 Михаил Викторович Ерещенко Автомобильная бортов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FR2897808B1 (fr) * 2006-02-28 2009-01-16 Renault Sas Goulotte electr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US8534744B2 (en) * 2011-09-01 2013-09-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Pillar garnishments, interior garnishment assemblies incorporating the sam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lignment of interior garnishment assemblies
US8668253B2 (en) * 2012-06-12 2014-03-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oor scuff plate and wire shie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647A (ja) * 2001-02-05 2002-08-14 Fuji Heavy Ind Ltd 固定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2507A1 (fr) 2010-09-01
US8985682B2 (en) 2015-03-24
RU2470804C2 (ru) 2012-12-27
JP5241851B2 (ja) 2013-07-17
CN101903212B (zh) 2013-07-10
BRPI0821633A2 (pt) 2015-06-16
CN101903212A (zh) 2010-12-01
JP2011508697A (ja) 2011-03-17
FR2925425B1 (fr) 2009-12-11
RU2010130268A (ru) 2012-01-27
EP2222507B1 (fr) 2012-06-27
WO2009080921A1 (fr) 2009-07-02
KR20100101154A (ko) 2010-09-16
FR2925425A1 (fr) 2009-06-26
US20110017878A1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3536B2 (en) Wire harness routing device for sliding seat
KR101290680B1 (ko)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
JP5616696B2 (ja) 自動車の照明装置のハウジング内部にケーブルハーネスのケーブルを案内し敷設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375194B1 (ko) 자동차 하부에 대한 고정 장치
JP2002281650A (ja) ハーネス弛み吸収構造
US20140056014A1 (en) Pickup truck bed lighting system
EP3763574B1 (en) Wire harness routing structure for panel, harness module, and wire harness routing method for panel
CN106571708B (zh) 将动力线固定于基础部件的固定用具、固定组件以及固定方法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US11465572B2 (en) Clamp and wire harness
US10286858B2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ic wires, and sliding seat
US7976095B2 (en) Integrated switch mount and harness hook
KR101824401B1 (ko)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20150133044A (ko) 자동차용 박스
JP3116827U (ja) 線材保持具
JP6788313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2655222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밴드클립
WO2018062014A1 (ja) 車両の支柱構造
RU2636031C2 (ru) Привод для при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KR101209682B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JP6281893B2 (ja) もつれ易いケーブルの位置を固定する位置決め手段を備えたコンタクト収容部
KR102373784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JP61353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ベース体
JP5147117B2 (ja) 照明器具
KR200431362Y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