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682B1 -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682B1
KR101209682B1 KR1020100113255A KR20100113255A KR101209682B1 KR 101209682 B1 KR101209682 B1 KR 101209682B1 KR 1020100113255 A KR1020100113255 A KR 1020100113255A KR 20100113255 A KR20100113255 A KR 20100113255A KR 101209682 B1 KR101209682 B1 KR 101209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door glass
hol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901A (ko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3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6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6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플론트 도어 글래스를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에 고정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 마운팅시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에 도어 글래스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하우징을 마련하여, 홀더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글래스 전체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어 글래스 마운팅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도어 글래스의 조립성과 도어 글래스 장착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Door glass moun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플론트 도어 글래스를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에 고정시켜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는 도어패널 내측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며 개폐동작을 한다.
이러한 도어 글래스의 개폐력은 모터식 레귤레이터에 의하여 제공되며, 이를 위하여 도어 글래스에는 캐리어가 설치되고, 캐리어는 레귤레이터와 와이어로 연결되면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즉, 레귤레이터의 작동시 와이어가 움직이고, 캐리어는 와이어에 의해 레일상에서 위아래로 슬라이딩되면서 도어 글래스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이때, 도어 글래스를 캐리어가 속해 있는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가 제공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패널(10)의 내측에는 도어 글래스(1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위한 도어 모듈 어셈블리(12)가 양쪽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의 상단부에는 도어 글래스(11)의 고정을 위한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가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글래스(11)의 하단부는 양쪽의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 내에 수용되어 안착되고, 이렇게 도어 글래스(11)를 받치고 있는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가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의 상단부에 볼트로 체결되므로서, 도어 글래스(11)의 고정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도어 글래스(11)의 하단부를 잡고 있는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의 상단 글래스 수용부분은 볼트 체결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도어 글래스(11)측과 일체감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라인에서 작업자가 도어 글래스를 장착할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손으로 도어 글래스(11)의 상단을 잡은 상태에서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측에 볼트체결을 하게 되는데, 이때 도어 글래스(11)를 잡고 있는 양손 중에서 오른손으로 잡는 부분(A 부분)은 도어 프레임 등과의 간섭 등으로 잡기가 불편하고, 이로 인해 부주위 등으로 잡고 있는 부분을 놓치게 되면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결국 도어 글래스 장착시 앞쪽으로 회전된 상태로 도어 글래스가 마운팅되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글래스 상승시 앞쪽 글래스 상승량이 부족하여 바람소리, 수밀 등에 취약함을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 마운팅시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에 도어 글래스 홀더를 수용하는 홀더 하우징을 마련하여, 홀더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글래스 전체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도어 글래스 마운팅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도어 글래스의 조립성과 도어 글래스 장착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는 도어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도어 모듈 어셈블리에 도어 글래스의 하단부 양쪽을 각각 고정시켜주는 장치로서, 도어 글래스의 앞쪽 하단에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 및 이 글래스 홀더를 수용하면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의 홀더 하우징과, 뒷쪽은 도어 글래스의 뒷쪽 하단에 장착되면서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에 체결되는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로 이루어져 있어서, 도어 글래스 마운팅시 앞쪽에서 글래스 위치를 규제하여 조립성과 조립품질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글래스의 앞쪽 고정을 위한 홀더 하우징의 경우,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 일부는 볼트 체결을 위해 터져 있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여, 글래스 홀더를 포함하는 도어 글래스 전체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 글래스의 앞쪽 고정을 위한 홀더 하우징의 상단부 좌우측으로는 글래스 홀더의 하단부가 놓여지는 받침턱을 형성하여, 글래스 홀더를 포함하는 도어 글래스 전체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도어 글래스의 마운팅시 도어 글래스의 앞쪽에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고 뒷쪽은 규제를 없애는 타입으로 조립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도어 글래스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도어 글래스 앞쪽 부분 상승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등 도어 글래스 조립성 향상과 도어 글래스 장착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 글래스 마운팅시 좌우방향 위치 규제 효과로 승하강시 글래스 런과 균일한 갭 확보가 가능하고, 따라서 글래스 승하강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과 도 4는 종래의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시 문제점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서 도어 글래스와 글래스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B-B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서 글래스 홀더와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 홀더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 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 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서 도어 글래스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적용하여 조립한 도어 글래스와 글래스 런 간의 매칭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E-E 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서 도어 글래스와 글래스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B-B 선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는 도어 패널(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에 도어 글래스(11)의 하단부 양쪽을 각각 고정시켜주는 장치로서,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고정을 위한 글래스 홀더(14) 및 홀더 하우징(15)과 도어 글래스(11)의 뒷쪽 고정을 위한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를 포함하며, 도어 글래스 마운팅시 글래스 홀더(14)와 홀더 하우징(15) 간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도어 글래스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하는 방식으로 도어 글래스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더 하우징(15)은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의 상단부에 일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 일부는 볼트 체결을 위해 터져 있는 홈 형상, 예를 들면 볼트가 관통하게 되는 전면부의 일부가 절개되고 이와 일직선상의 후면에는 볼트 체결을 위해 홀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주머니(pocket)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의 홀더 하우징(15)의 내부로는 위로부터 글래스 홀더(14)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하우징(15)의 상단부 좌우측으로는 글래스 홀더(14)의 하단부가 놓여지는 받침턱(16)이 형성되며, 예를 들면 홈이 끝나는 가장자리로부터 좌우측으로 길게 수평 연장되는 형태의 받침턱(16)이 형성되며, 이곳에는 글래스 홀더(14)의 하단부가 놓여지면서 받쳐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글래스 홀더(14)는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하단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홀더 하단부에는 도어 글래스 마운팅시 홀더 하우징(15)의 내부로 수용되는 수납부(17)가 일체 형성되며, 이때의 수납부(17)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홀(18)이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 글래스(11)는 글래스 홀더(14)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홈부 내에 그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고, 이렇게 글래스 홀더(14)를 갖게 되는 도어 글래스(11)는 글래스 홀더(14)를 이용하여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측의 홀더 하우징(15)에 조립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글래스 홀더(14)와 홀더 하우징(15)은 서로 형합되는 긴밀한 구조로 밀착되므로서, 도어 글래스(11)의 상하방향 위치 규제 및 좌우방향 위치 규제가 동시에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위치 규제의 정확성과 작업의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글래스 홀더(14)의 하우징내 수납부(17)와 상기 홀더 하우징(15)의 바닥면은 모두 대략 "V"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때의 "V"자 형상의 아래쪽 꼭지부분은 호(弧)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 하우징(15)의 내부에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수납부(17)를 삽입하게 되면, 서로 꼭맞게 안착될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수납부(17)가 홀더 하우징(15)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글래스 홀더(14)의 하단부분이 홀더 하우징(15)의 좌우측에 마련되는 받침턱(16) 내에 놓여져 받쳐지게 되므로서, 도어 글래스(11)의 상하방향 위치 및 좌우방향 위치가 동시에 규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글래스(11)의 뒷쪽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 도어 글래스(11)의 뒷쪽 하단에 장착되면서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측에 체결되는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가 마련된다.
이때의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도어 글래스 뒷쪽 하단부를 잡아준 상태에서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측에 체결되는 구조로 도어 글래스(11)의 뒷쪽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서 글래스 홀더와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 홀더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도어 글래스측 글래스 홀더(14)와 도어 모듈 어셈블리측 홀더 하우징(15)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어 글래스(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14)의 수납부(17)는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더 하우징(15)의 내부로 수용되며, 이렇게 수용된 상태에서 수납부(17)의 하단 둘레면이 홀더 하우징(15)의 전체 바닥면에 걸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서, 글래스 홀더(14)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고, 결국 도어 글래스(11)의 좌우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글래스 홀더(14)의 수납부(17)가 홀더 하우징(15)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글래스 홀더(14)의 하단부, 즉 수납부(17) 좌우측의 하단부가 홀더 하우징(15)의 홈 가장자리 좌우측으로 마련되는 받침턱(18)에 놓여지게 되므로서, 글래스 홀더(14)가 상하방향, 즉 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되고, 결국 도어 글래스(11)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에서 도어 글래스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14)의 수납부(17)를 앞쪽의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의 상단에 있는 홀더 하우징(15)의 내부에 삽입 안착시키면,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위치가 규제된다.
다음, 도어 글래스(11)의 뒷쪽 하단부에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때의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를 뒷쪽의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에 볼트로 체결하면, 도어 글래스(11)의 뒷쪽이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도어 글래스(11)의 앞쪽에 있는 글래스 홀더(14)와 홀더 하우징(15)을 관통하여 볼트로 체결하면, 도어 글래스(11)의 앞쪽이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에 고정되고, 이것으로 도어 글래스(11)의 앞뒤쪽 마운팅 작업을 모두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글래스의 마운팅시 도어 글래스의 앞쪽 위치를 선(先) 규제한 상태에서 뒷쪽을 체결하고 계속해서 앞쪽마저 체결하면 도어 글래스 마운팅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도어 글래스가 회전되는 등의 현상을 막을 수 있고, 결국 도어 글래스를 정확한 위치에 마운팅할 수 있고 작업 또한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 글래스의 마운팅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글래스(11)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함으로 인해 글래스 단부와 글래스 런(19) 간의 균일한 갭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글래스 승하강시 종전과 같이 글래스 런의 마모로 인해 "삑", "삑" 소리가 나는 노이즈 발생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등 글래스 승하강 내구(3만회)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도어 패널 11 : 도어 글래스
12 : 도어 모듈 어셈블리 13 :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
14 : 글래스 홀더 15 : 홀더 하우징
16 : 받침턱 17 : 수납부
18 : 홀 19 : 글래스 런

Claims (4)

  1. 도어 패널(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에 도어 글래스(11)의 하단부 양쪽을 각각 고정시켜주는 장치로서,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하단에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14) 및 이 글래스 홀더(14)를 수용하면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는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측의 홀더 하우징(15)과, 뒷쪽은 도어 글래스(11)의 뒷쪽 하단에 장착되면서 도어 모듈 어셈블리(12)측에 체결되는 도어 레귤레이터 클램프(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고정을 위한 홀더 하우징(15)의 상단부 좌우측으로는 글래스 홀더(14)의 하단부가 놓여지는 받침턱(16)으로 이루어져, 글래스 홀더를 포함하는 도어 글래스 전체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래스(11)의 앞쪽 고정을 위한 홀더 하우징(15)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 일부는 볼트 체결을 위해 터져 있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글래스 홀더를 포함하는 도어 글래스 전체의 좌우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래스(11)의 하단에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14)의 하우징내 수납부(17)와 홀더 하우징(15)의 바닥면은 아래쪽 꼭지부분이 호(弧) 모양으로 되어 있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홀더 하우징 내에 글래스 홀더의 하우징내 수납부(17)가 꼭맞게 안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KR1020100113255A 2010-11-15 2010-11-15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KR101209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55A KR101209682B1 (ko) 2010-11-15 2010-11-15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55A KR101209682B1 (ko) 2010-11-15 2010-11-15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901A KR20120051901A (ko) 2012-05-23
KR101209682B1 true KR101209682B1 (ko) 2012-12-10

Family

ID=4626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255A KR101209682B1 (ko) 2010-11-15 2010-11-15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81B1 (ko) 2020-07-06 2021-04-30 채수동 자동차 조립라인용 자동차 도어 체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454A (ja) * 2000-04-26 2001-10-31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454A (ja) * 2000-04-26 2001-10-31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ドア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81B1 (ko) 2020-07-06 2021-04-30 채수동 자동차 조립라인용 자동차 도어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901A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073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1459465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로딩 지그장치
US7721487B2 (en) Glass attachment for movable vehicle window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20090051193A1 (en) Window regulator system for a vehicle door assembly
KR101676596B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결속 기구
KR101405231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증타 지그장치
KR101209682B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US5430977A (en) Structure and method of mounting window regulator
US11286705B1 (en) Cable guide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JP2005531454A (ja) モジュール支持材により保持される窓昇降レール付き自動車ドア
KR20170025240A (ko)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CN108116208A (zh) 车顶封闭组件和组装车顶封闭组件的方法
US8528259B1 (en) Method of adjusting door glass cross car for frameless window systems
KR20100101154A (ko)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될 것으로 의도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위한 지지체
JP2011174337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の取付構造
KR101735026B1 (ko) 조절 가능한 힌지
KR20170119959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JP5710285B2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20170050676A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플레이트
KR20090089110A (ko) 자동차 몰딩용 클립 장착장치
KR100737478B1 (ko) 차량의 도어 글라스용 클램핑 유닛
JP6045251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3241036U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モジュール及び車両用ドア
RU220290U1 (ru) Шаблон для установки элементов кузова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