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240A -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240A
KR20170025240A KR1020150121424A KR20150121424A KR20170025240A KR 20170025240 A KR20170025240 A KR 20170025240A KR 1020150121424 A KR1020150121424 A KR 1020150121424A KR 20150121424 A KR20150121424 A KR 20150121424A KR 20170025240 A KR20170025240 A KR 2017002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ta
reinforcement panel
panel
doo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030B1 (ko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030B1/ko
Priority to US15/203,347 priority patent/US10081231B2/en
Priority to DE102016213496.5A priority patent/DE102016213496A1/de
Priority to CN201610597255.XA priority patent/CN106476573B/zh
Publication of KR2017002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085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re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of special shape, e.g. beveled edges, holes for attachment, bent windows, peculiar curvatures such as when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roof, door,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에서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 구조에서도 델타 글라스 타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델타 인너 보강 패널;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채널; 및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델타 가니쉬; 를 포함하고, 델타 글라스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디비젼 채널과 상기 리어 채널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Structure for fixing delta glass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에서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 구조에서도 델타 글라스 타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글라스가 설치되고, 도어에서 도어 글라스가 출몰하는 부위에는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이 부착된다.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은 도어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이 구분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도어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 사이로 각종 소음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먼지나 빗물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승용차의 리어 도어 후단부에는 델타 가니쉬(delta garnish)가 장착되는데, 델타 가니쉬는 그리스 문자 "Δ"와 같은 삼각형 모양의 외관을 가지며, 도어 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장식물 역할을 하여 도어의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도어 글라스의 상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글라스 런(glass run)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리어 도어에 종래의 델타 가니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예에서, 리어 도어(10)의 도어 프레임(11)에서 C 필라(pillar)부(12)가 하측의 도어 인너 패널(미도시됨)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리어 도어(10)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도어 프레임(11)의 C 필라부(12)에 델타 가니쉬(13)가 조립된다.
또한, 델타 가니쉬(13)와 그 내측으로 위치되는 델타 보강 패널(14)이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채널의 내측으로 글라스 런(15)이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글라스 런(15)에는 도어 글라스(16)의 후단부가 삽입되는데, 이렇게 도어 글라스(16)의 후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글라스 런(15)은 도어 글라스(16)의 상승/하강을 가이드 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델타 글라스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델타 글라스 적용 타입에서는 도어 프레임(11)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디비젼 채널(17)이 설치되고, 디비젼 채널(17)의 일측에 도어 글라스(16)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글라스 런(15)이 장착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11)의 C 필라부(12)가 도어 인너 패널(미도시됨)에 결합되어 있으며, 도어 프레임(11)의 C 필라부(12)에 설치된 리어 채널(18)과 상기 디비젼 채널(17)의 타측 사이에는 델타 글라스(19)가 고정 장착된다.
이때, 델타 글라스(19)는 전단부가 디비젼 채널(17)에, 후단부가 도어 프레임(11)의 C 필라부(12)에 설치된 리어 채널(18)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11)의 C 필라부(12) 외측에는 리어 가니쉬(20)가 설치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벨트 라인이 후단부에서 위로 급격히 상승하도록 디자인된 차종에서 도어 프레임(11)의 형상 및 그 대응 부위인 차체 측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데, 특히 도어 프레임(11)에서 C 필라부를 적용하는 것이 경우에 따라 불가할 수 있다.
만약, 디비젼 채널(17)과 함께 델타 글라스(19)를 고정하는 C 필라부(리어 채널이 설치된 부분)의 적용이 불가하다면, 상술한 델타 글라스 타입의 적용은 불가해진다.
좀더 설명하면, 도 6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C 필라부의 급격한 꺾임 구조가 적용될 경우 차체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6)에 요구되는 형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사이드 아우터 패널 부분은 차체에서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도어 프레임 측과 접하게 되는 도어 프레임 대응 부위로서,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보여지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6)의 외관 형상을 도 6에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이드 아우터 패널(6)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작은 각도로 급격히 꺾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이드 아우터 패널(6)의 형상은 도어 프레임의 상부를 이루고 있는 어퍼(upper) 프레임으로부터 C 필라부가 급격히 꺾인 구조를 이루고 있을 때 요구되는 형상으로,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제작시 이러한 형상을 금형에서 성형하는 것이 어렵다.
어퍼 프레임으로부터 C 필라부가 짧은 구간에서 급격히 아래로 꺾인 구조로 도어 프레임이 설계된 경우, 즉 어퍼 프레임과 C 필라부가 이루는 각도가 작은 각도로 설계된 경우, 이에 대응되는 차체 부위인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서도 도 6과 같이 원으로 표시된 부분이 작은 각도를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이 급격히 꺾인 구조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6)의 형상은 금형에서 성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 적용이 불가하고, 이에 급격히 꺾인 구조의 C 필라부를 적용하는 것 또한 불가한 실정이다.
특히, 급격히 꺾인 구조의 C 필라부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하다면 델타 글라스의 설치 또한 불가하다.
즉, 도어 프레임에서 디비젼 채널과 함께 델타 글라스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C 필라부를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델타 글라스 타입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에서 델타 글라스를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 구조에서도 델타 가니쉬 타입이 아닌 델타 글라스 타입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은,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델타 인너 보강 패널;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채널; 및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델타 가니쉬;를 포함하고, 델타 글라스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디비젼 채널과 상기 리어 채널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이 어퍼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상단부에는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에 접합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 단부가 커팅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가 어퍼 프레임의 상기 커팅된 단부를 감싸는 구조가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어퍼 프레임의 단부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 단부가 커팅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돌출부는 어퍼 프레임에서 상기 커팅된 단부 쪽으로 연장된 어퍼 프레임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돌출부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가, 상기 돌출부의 타면에 도어 아우터 패널의 상부가 접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은, 상기 델타 글라스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델타 글라스의 조립시 상측에 델타 글라스가 안착된 상태에서 델타 글라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가 리어 채널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도어 인너 패널에 접합 고정되는 부분인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측에서 꺾인 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델타 글라스가 안착되는 부분인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에는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을 통해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의 체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인너 보강 패널에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의 체결을 위한 공구가 델타 인너 보강 패널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공구 진입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델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브라켓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을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하는 차단부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체결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에는 델타 브라켓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간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툴이 델타 인너 보강 패널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용접툴 진입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인너 보강 패널에는 델타 브라켓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간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툴이 델타 인너 보강 패널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용접툴 진입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에 의하면,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에서도 델타 글라스의 고정 및 지지가 가능해짐에 따라 델타 글라스 타입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게 되고, 디자인성, 프레임 강성,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리어 도어에 종래의 델타 가니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델타 글라스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리어 도어에서 도어 벨트 라인이 후단부에서 위로 급격히 상승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C 필라부의 급격한 꺾임 구조가 적용될 경우 차체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 요구되는 형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이 적용된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을 도어 외측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바라본 설치 상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을 도어 내측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바라본 설치 상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서 델타 인너 보강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서 도어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돌출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 도어 아우터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 도어 인너 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돌출부와 도어 인너 패널, 도어 아우터 패널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a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체결용 공구의 진입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디비젼 채널과 가이드 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 의해 델타 글라스가 설치 및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에서 디비젼 채널과 함께 델타 글라스를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 구조에서도 델타 글라스 타입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C 필라부가 삭제된 도어 프레임에서 디비젼 채널에 델타 글라스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때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고정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벨트 라인이 후단부에서 위로 급격히 상승하도록 디자인된 리어 도어(1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고정 구조물이 적용되는 리어 도어(1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5에서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이 적용된 부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을 도어 외측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바라본 설치 상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을 도어 내측 위치에서 외측을 향해 바라본 설치 상태도이다.
또한,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에서 델타 인너 보강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디비젼 채널(17)이 설치되고, 디비젼 채널(17)의 일측에 도어 글라스(16)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는 글라스 런(15)이 장착된다.
이때, 디비젼 채널(17)의 반대쪽 타측에는 델타 글라스(19)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지지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11)의 어퍼 프레임(11a)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었던 종래의 C 필라부가 삭제되는데, 어퍼 프레임(11a)의 후단이 커팅된 구조를 가지도록 도어 프레임(11)이 성형되어 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11a)으로부터 하방으로 급격히 꺾인 구조의 C 필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을 성형 공정 등을 통해 성형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C 필라부를 삭제하여 어퍼 프레임(11a)의 후단이 커팅된 구조를 갖도록 하는 대신, 디비젼 채널(17)과 함께 델타 글라스(19)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므로, 델타 글라스(19)의 후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 구조물이 구성된다.
상기 고정 구조물은 도어 인너 패널(8)과 도어 아우터 패널(9), 도어 프레임(11)에 일체화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델타 글라스(19)를 고정하게 되는데, 디비젼 채널(17)과 고정 구조물의 리어 채널(18) 사이에 델타 글라스(19)가 고정 장착된다.
이때, 델타 글라스(19)의 전단부가 디비젼 채널(17)에, 그 후단부가 고정 구조물의 리어 채널(5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의 구성을 살펴보면, 리어 도어(10)의 도어 프레임(11) 후단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8)의 상부에 고정되는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과, 델타 글라스(19)의 후단부가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도록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리어 채널(50)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델타 가니쉬(6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고정 구조물이 적용될 경우, 델타 글라스(19)를 포함하는 델타 글라스 타입의 구조가 차량의 리어 도어에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델타 글라스(19)와 델타 가니쉬(60)가 조합된 구성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 구조물에서 리어 채널(50)은 디비젼 채널(17)과 함께 델타 글라스(19)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전술하는 바와 같이 델타 글라스(19)의 후단부가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결국,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디비젼 채널(17)과 리어 채널(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델타 글라스(19)는, 도어 프레임(11)의 어퍼 프레임(11a)과 미도시된 로워(lower) 프레임, 그리고 디비젼 채널(17)과 리어 채널(5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글라스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구조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델타 가니쉬(60)는 고정 구조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을 외측에서 덮을 수 있도록 조립된다.
이때, 델타 가니쉬(60)는 리어 도어(10)의 후단부에서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이하, '도어 벨트'라 약칭함)(7)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은 도어 프레임(11)의 상부가 되는 어퍼 프레임(11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데,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돌출부(31)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돌출부(3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퍼 프레임(11a)에서 커팅된 단부 쪽으로 연장된 어퍼 프레임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판 형상의 돌출부(31)가 어퍼 프레임(11a)의 외측면과 같은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는 도어 인너 패널(8) 및 도어 아우터 패널(9)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어 인너 패널(8) 및 도어 아우터 패널(9)과의 용접 좌면을 이루는 부분이 된다.
즉, 도어 인너 패널(8)의 상부와 도어 아우터 패널(9)의 상부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돌출부(31) 양면에 접합된 상태로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인너 패널(8)의 상부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돌출부(31)를 포함하여 어퍼 프레임(11a)의 커팅된 단부를 감쌀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접합된다.
이와 같이 도어 인너 패널(8)이 어퍼 프레임(11a)의 단부를 감싸는 감싸기 구조가 적용됨과 더불어, 도어 인너 패널(8)과 도어 아우터 패널(9), 그리고 이들 사이에 적층 개재되도록 접합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돌출부(31)를 함께 용접하는 3매 용접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프레임의 강성 증대 및 횡 변위 개선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감싸기 구조가 적용됨에 있어서, 도어 아우터 패널(9)의 상부는,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도 10에서 도면부호 30임)의 돌출부(도 11에서 도면부호 31임)에 접합된다.
또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에는 도어 벨트(7)의 엔드 피스(미도시됨)가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보강 패널로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이 내측과 외측에서 이중으로 겹쳐져 배치되는 더블 레이어(double layer)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이 내측과 외측으로 이중 배치되는 더블 레이어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리어 채널(50)의 지지 강성 확보 및 보강이 가능해진다.
상기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일측, 예컨대 상단부나 하단부, 또는 가장자리부 등과 접합되는 접합면을 형성하여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는 접합면 간 용접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 있으며, 또는 후술하는 델타 브라켓(70)을 매개로 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 도 9a 및 도 9b에서 도면부호 33, 41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에 용접툴(용접건)이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용접툴 진입용 홀로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용접툴 진입용 홀(33)을 통해서는 용접툴(미도시)을 삽입하여 델타 브라켓(7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접합면 간을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용접툴 진입용 홀(41)을 통해서는 용접툴을 삽입하여 델타 브라켓(70)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접합면 간을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용접툴 진입용 홀(41)은 도어 벨트(7)의 엔드 피스를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에 체결하기 위한 공구 진입용 홀로도 사용될 수 있다(도 14 참조).
다음으로, 리어 채널(50)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 사이의 간극에 설치되며, 델타 글라스(19)의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 즉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전단부와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전단부 사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도록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리어 채널(50)은 용접을 이용하거나, 스크류, 볼트 및 너트, 패스너(fastener)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 접착수단, 그 밖의 일체화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나 결합구조 등을 이용하여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에는 도어 벨트(7)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32)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32)은 도어 벨트(7)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어 벨트(7)의 엔드 피스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에 체결하기 위한 홀이다.
이때, 도어 벨트(7)의 엔드 피스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외측면에 접합한 후 상기 체결홀(32)을 통해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며, 스크류의 체결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내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체결용 공구(1)를 두 보강 패널(30,4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공구 진입용 홀로서 상기 용접툴 진입용 홀(41)을 이용하게 되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접툴 진입용 홀(41)을 통해 스크류가 결합되어 있는 체결용 공구(1)를 삽입하여 진입시킨 뒤,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체결홀(32)을 통해 스크류를 삽입하여 엔드 피스에 체결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고정 구조물은, 도 9a 및 도 9b,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 사이의 공간에 고정 설치되는 델타 브라켓(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구조물에서 델타 브라켓(70)은 도어 벨트(7)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 간을 체결하는 하드웨어 부품인 스크류(도어 벨트의 엔드 피스에 체결되는 것임)가 체결 작업 중 공구(1)로부터 뜻하지 않게 분리될 경우 스크류의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델타 브라켓(70)은 서로 마주하고 있는 양측 델타 보강 패널(30,40)의 표면에 각각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델타 브라켓(70)의 상부에는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표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되는 접합부(7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델타 브라켓(70)의 접합부에는 접합 상태에서 도어 벨트(7) 체결을 위한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체결홀(32)과 일치되는 관통홀(7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델타 브라켓(70)의 하부 역시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표면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델타 브라켓(70)은 체결홀(32) 및 관통홀(71)의 하측으로 양측 보강 패널(30,40) 사이를 차체 방향 기준으로 대략 내, 외측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차단부(73)를 가지며, 이러한 델타 브라켓(70)의 차단부(73)는 양측 보강 패널(30,40) 사이의 공간을 상측 공간과 하측 공간으로 구획해주게 된다.
이때, 차단부(73)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체결홀(32)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결국, 도어 벨트 체결 작업 중 공구(1)를 델타 인너 보강 패널(40)의 용접툴 진입용 홀(41)을 통해 양측 보강 패널(30,4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도어 벨트의 엔드 피스에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해 공구(1)에 먼저 결합해놓은 스크류가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공구(1)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게 되면, 상기 델타 브라켓(70)의 차단부(73) 위로 떨어져 올라가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다시 차단부(73) 위로 떨어진 스크류를 주워 공구(1)에 다시 결합한 후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30)의 체결홀(32)을 통해 그 바깥쪽으로 위치한 엔드 피스에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델타 브라켓(70)은 작업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크류가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작업성 및 조립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구조물은 델타 글라스(19)의 장착시 델타 글라스(19)를 받쳐준 상태에서 조립 정 위치로 이동되는 델타 글라스(19)를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브라켓(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80)은 델타 글라스(19)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면서 델타 글라스(19)의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비젼 채널(17)이 마운팅 브라켓(17a)에 의해 도어 인너 패널(8)에 장착됨과 더불어, 델타 글라스(19)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브라켓(80)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80)은 스크류, 볼트 및 너트, 또는 패스너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거나 용접을 통해 도어 패널, 보다 명확히는 도어 인너 패널(8)에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브라켓(80)은 그 상부에, 즉 도어 인너 패널(8)의 표면에 접합 및 체결되는 접합부(81)의 상측으로 대략 수평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8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82)는 조립되는 델타 글라스(19)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작업 중 델타 글라스(19)를 가이드 브라켓(80)의 지지부(82) 위에 안착시킨 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델타 글라스(19)의 후단부가 리어 채널(5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상기 지지부(82)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델타 글라스(19)를 조립할 때, 작업자가 델타 글라스(19)를 직접 들고 조립 위치에 끼워 넣는 방식 대신, 델타 글라스(19)를 가이드 브라켓(80) 위에 먼저 안착시킨 뒤 조립 정 위치로 밀어 넣어주도록 할 경우, 작업자가 보다 쉽게 작업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7 :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도어 벨트) 8 : 도어 인너 패널
9 : 도어 아우터 패널 10 : 리어 도어
11 : 도어 프레임 11a : 어퍼 프레임
12 : C 필라부 13 : 델타 가니쉬
14 : 델타 보강 패널 15 : 글라스 런
16 : 도어 글라스 17 : 디비젼 채널
17a : 마운팅 브라켓 18 : 리어 채널
19 : 델타 글라스 20 : 리어 가니쉬
30 :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31 : 돌출부
32 : 체결홀 33 : 용접툴 진입용 홀
40 : 델타 인너 보강 패널 41 : 용접툴 진입용 홀
50 : 리어 채널 60 : 델타 가니쉬
70 : 델타 브라켓 71 : 관통홀
72 : 접합부 73 : 차단부
80 : 가이드 브라켓 81 : 접합부
82 : 지지부

Claims (14)

  1.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에 고정되는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델타 인너 보강 패널;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채널; 및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델타 가니쉬를 포함하고,
    델타 글라스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디비젼 채널과 상기 리어 채널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이 어퍼 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상단부에는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에 접합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 단부가 커팅된 구조로 되어 있고,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가 어퍼 프레임의 상기 커팅된 단부를 감싸는 구조가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어퍼 프레임의 단부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단부에서 도어 프레임의 어퍼 프레임 단부가 커팅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돌출부는 어퍼 프레임에서 상기 커팅된 단부 쪽으로 연장된 어퍼 프레임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의 돌출부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도어 인너 패널의 상부가, 상기 돌출부의 타면에 도어 아우터 패널의 상부가 접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델타 글라스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되는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델타 글라스의 조립시 상측에 델타 글라스가 안착된 상태에서 델타 글라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델타 글라스의 후단부가 리어 채널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도어 인너 패널에 접합 고정되는 부분인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상측에서 수평으로 꺾인 형상을 가지면서 상측으로 델타 글라스가 안착되는 부분인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에는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을 통해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의 체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델타 인너 보강 패널에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몰딩의 체결을 위한 공구가 델타 인너 보강 패널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공구 진입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를 연결하는 델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델타 브라켓은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을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하는 차단부를 가지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체결홀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에는 델타 브라켓과 델타 인너 보강 패널 간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툴이 델타 인너 보강 패널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용접툴 진입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델타 인너 보강 패널에는 델타 브라켓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간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툴이 델타 인너 보강 패널과 델타 아우터 보강 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용접툴 진입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KR1020150121424A 2015-08-28 2015-08-28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KR10176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424A KR101766030B1 (ko) 2015-08-28 2015-08-28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US15/203,347 US10081231B2 (en) 2015-08-28 2016-07-06 Structure for fixing delta glass for vehicle
DE102016213496.5A DE102016213496A1 (de) 2015-08-28 2016-07-22 Struktur zum fixieren einer dreiecksscheibe für ein fahrzeug
CN201610597255.XA CN106476573B (zh) 2015-08-28 2016-07-26 用于固定车辆三角玻璃的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424A KR101766030B1 (ko) 2015-08-28 2015-08-28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240A true KR20170025240A (ko) 2017-03-08
KR101766030B1 KR101766030B1 (ko) 2017-08-07

Family

ID=5801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424A KR101766030B1 (ko) 2015-08-28 2015-08-28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1231B2 (ko)
KR (1) KR101766030B1 (ko)
CN (1) CN106476573B (ko)
DE (1) DE102016213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5182B (zh) * 2018-05-24 2023-12-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侧门c柱防水组件
CN109677243A (zh) * 2019-01-17 2019-04-26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后车门c柱辊压窗框结构
CN113911551B (zh) * 2021-09-29 2023-02-03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滑移门车型侧围外板转运工装
FR3142167A1 (fr) * 2022-11-18 2024-05-24 Psa Automobiles Sa Équipement à paroi anti-chute, pour un systè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7130A (en) * 1954-01-04 1957-06-25 Motor Products Corp Vehicle body door structure
US3961821A (en) * 1975-06-23 1976-06-08 Ford Motor Company Vehicle body having a window opening
JP2519740Y2 (ja) * 1990-07-20 1996-12-1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JP3177987B2 (ja) * 1994-12-02 2001-06-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ドアパネル構造
JPH10193967A (ja) 1997-01-16 1998-07-28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クォーターウインドガラス取付構造
DE10035912C2 (de) * 2000-07-21 2003-05-15 Webasto Vehicle Sys Int Gmbh Kunststoffdeckel für Fahrzeuge
JP2003104057A (ja) 2001-09-28 2003-04-09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デルタカバー取付け構造
JP4716890B2 (ja) * 2006-02-16 2011-07-06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ウエザストリップの型成形部の取付構造
JP4778936B2 (ja) * 2007-06-22 2011-09-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自動車におけるピラー部構造
CN101544174A (zh) * 2008-03-28 2009-09-30 丰田合成株式会社 用于车门的玻璃滑槽和密封结构
JP4729087B2 (ja) 2008-09-18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JP2010234952A (ja) 2009-03-31 2010-10-21 Toyota Boshoku Corp 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CN201433655Y (zh) * 2009-06-10 2010-03-31 陈东升 一种新型门窗边封型材
KR101283021B1 (ko) 2011-06-09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프레임
JP6284293B2 (ja) * 2012-05-23 2018-02-2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4398B2 (ja) * 2012-06-01 2016-09-21 スズキ株式会社 ドアトリム上部構造
US10023029B2 (en) * 2012-08-31 2018-07-17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JP6150573B2 (ja) * 2013-03-21 2017-06-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
US9290083B2 (en) * 2013-12-18 2016-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lass sealing system
KR101526746B1 (ko) * 2013-12-18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디비젼 채널 소음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6573A (zh) 2017-03-08
US20170057329A1 (en) 2017-03-02
CN106476573B (zh) 2021-05-07
DE102016213496A1 (de) 2017-03-02
KR101766030B1 (ko) 2017-08-07
US10081231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6875B2 (ja) 車両用サイドドア
KR101766030B1 (ko)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US8979166B2 (en)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EP2653332B1 (en) Resin vehicle door structure
US20160303959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nd fastening a decorative cover on a window frame of a vehicle door of a vehicle
EP1582421A2 (en) Roll bar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MX2014015330A (es) Sistema de sellado de cristales.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10793100B2 (en) Automobile cowl grille structure
KR101526746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디비젼 채널 소음 차단 장치
KR102440731B1 (ko) 자동차 루프 지지구조
US10994593B2 (en) Mounting structure for doorframe molding
US20120216965A1 (en) Window element for a side door, in particular a rear side door, of a motor vehicle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KR100795699B1 (ko) 자동차의 도어 몰딩
JP4118831B2 (ja) ストライカの取付構造
US20120292123A1 (en) Splash cover mounting structure
JP2009113705A (ja) 車両用ドアのハーネス止着構造
KR100897332B1 (ko) 차량용 펜더 인슐레이터
KR101559052B1 (ko) 도어 가니쉬 어셈블리
JP4378630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KR20190113221A (ko)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루프 접합부의 보강구조
JP2001063484A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JP2017196957A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537000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