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784B1 -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784B1
KR102373784B1 KR1020210095732A KR20210095732A KR102373784B1 KR 102373784 B1 KR102373784 B1 KR 102373784B1 KR 1020210095732 A KR1020210095732 A KR 1020210095732A KR 20210095732 A KR20210095732 A KR 20210095732A KR 102373784 B1 KR102373784 B1 KR 10237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rts
flat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선
권장순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Priority to KR102021009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트레이부; 상기 복수의 트레이부 중 인접한 두 트레이부를 상기 일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에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 평판 형상의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일면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CABLE TRAY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높일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공사에서 전기 간선 케이블 또는 전원선의 배선을 위해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천정면 근처에 설치하고 케이블 트레이 상에 상기 전기 간선 케이블 또는 전원선을 포설한다. 일례로, 일반 건축물의 경우 전기실에서부터 각층 EPS까지 통상적으로 천정 하부면에 길이가 300mm인 케이블 트레이를 다수 개 이어서 설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때,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 트레이의 각 부재가 서로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각 부재 사이에 전기적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즉, 케이블 트레이는 그 목적이 고압의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케이블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곧바로 접지로 연결되게 하여 의도하지 않은 단락 및 이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경우,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1)의 일단을 인접한 케이블 트레이(1)의 타단과 맞대고, 각 케이블 트레이(1)에 천공된 체결홀과 정렬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을 가진 커넥터(2)를 배치하고, 다수의 체결홀에 볼트를 결합하여 인접한 케이블 트레이(1)를 물리적으로 체결한 후, 낮은 임피던스를 가진 본딩점퍼(3)를 각 케이블 트레이(1)에 연결하여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볼트를 이용한 체결에는 볼트 이외에도 너트와 워셔가 사용되고, 본딩점퍼를 결합함에 있어서도 볼트, 너트 및 워셔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설치 및 체결 작업에는 커넥터(2)와 본딩점퍼(3) 이외에도 많은 수의 볼트, 너트 및 워셔 등의 부품이 요구되는데, 작업자는 케이블 트레이(1)의 연결이 요구되는 곳마다 이러한 부품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위와 같은 부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수량을 잘못 준비하게 되는 경우 작업 중 다시 부품을 준비하기 위해 자재 보관장소로 되돌아가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축물 공사의 경우 건축물 축조와 관련된 여러 공정이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한 공정에서의 작업 지연은 건축물 공사 전체의 지연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을 간편하게 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트레이부; 상기 복수의 트레이부 중 인접한 두 트레이부를 상기 일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에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 평판 형상의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일면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의 일측 또는 양측 장변에서 상기 평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절곡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도어부재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고, 상기 도어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이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의 양단에 상기 커넥터부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가 연결될 때 어느 하나의 트레이부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지지되는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다른 하나의 트레이부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의 상측에서 돌출하는 상측 절곡부; 상기 평면부의 하측에서 돌출하는 하측 절곡부; 및 한 쌍의 상기 평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렁 부재는 상기 하측 절곡부에 지지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상기 평면부, 상기 상측 절곡부 및 상기 하측 절곡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상측 절곡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트레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본딩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본딩점퍼의 일단을 결합하기 위한 본딩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본딩홀은 상기 함몰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트레이부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부재를 트레이부 자체에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트레이부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커넥터부가 트레이부에 결합되어 제작되어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크게 트레이부(100) 및 커넥터부(500; 도 4 내지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부(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간선 케이블 및/또는 전원선(이하에서는 이를 총괄하여 "케이블"이라 지칭하기로 한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커넥터부(500)는 인접한 트레이부(10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100)는 평면부(110), 체결홀(115), 함몰부(120), 렁 부재(130), 결합볼트(135), 본딩홀(145), 절곡부(150, 155) 및 자성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부(100)는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평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한 쌍의 평면부(110)가 복수의 렁 부재(130)에 의해 연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평면부(110)는 케이블(미도시)이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면부(110)이 천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케이블(미도시)의 하부에 또는 하부 및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솔리드형 혹은 채널형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이룰 수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평면부(110)이 천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케이블(미도시)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렁 부재(130)로 연결되는 경우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이룰 수 있다.
체결홀(115)은 평면부(110)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홀로서, 케이블 트레이(100)가 커넥터부(500)에 의해 다른 케이블 트레이(100)에 체결될 때 체결부재(525)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즉, 평면부(110)의 양측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115)이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부(500)에도 복수의 체결홀(515)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케이블 트레이(100)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100)의 일단이 다른 하나의 케이블 트레이(100)의 타단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커넥터부(500)가 두 케이블 트레이(100)의 대향하는 단부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500)에 형성된 체결홀(515)은 두 케이블 트레이(100)의 관통홀(115)과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정렬된 관통홀(115, 515)에는 볼트, 리벳 등의 체결부재(525)가 워셔 등을 개재하여 삽입되어 너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함몰부(120)는 평면부(110)의 일면에서 함몰된 부분이며, 이와 같이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일면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조립 및 설치하는 과정에는 커넥터부(500) 및 본딩점퍼(545)를 트레이부(100)에 결합하기 위한 수많은 체결부재(525) 및 워셔, 너트 등의 부속 부품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서는 트레이부(100)에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공간(140)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가 복수의 트레이부(100)에 커넥터부(500) 및 본딩점퍼(545)를 결합하는 과정 이전에 올바른 치수 및 개수의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부속 부품이 트레이부(100)의 수용공간(140)에 미리 준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커넥터부(500) 및 본딩점퍼(545)를 결합하는 과정 중에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부속 부품을 확인하거나 이를 준비하기 위해 이동하는 등의 이유로 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와 같이 한 쌍의 평면부(110)가 측벽을 이루는 실시예에서는 함몰부(120) 및 수용공간(140)이 한 쌍의 평면부(110) 중 어느 한쪽의 평면부(110)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한 쌍의 평면부(11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평면부(110)가 측벽을 이루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면부(110)가 예를 들어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하부를 이루고 수용공간(140)이 상측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렁 부재(130)는 한 쌍의 평면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는 평면부(110)가 측벽을 이루고 그 사이에 렁 부재(130)가 연장되며, 케이블(미도시)은 렁 부재(13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렁 부재(130)는 래더(ladder)형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렁(rung)에 해당할 수 있다.
결합볼트(135)는 렁 부재(130)를 평면부(11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평면부(110)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절곡부(155)가 돌출하고, 렁 부재(130)는 하측 절곡부(155)의 상면에 지지되며, 결합볼트(135)는 렁 부재(130)를 하측 절곡부(155)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렁 부재(130)가 한 쌍의 평면부(110)를 연결한다 함은 렁 부재(130)가 평면부(1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절곡부(155)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물론, 결합볼트(135)가 평면부(110)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을 통해 렁 부재(130)를 평면부(11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본딩홀(145)은 평면부(110)에 형성된 관통홀로서, 본딩점퍼(545)를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딩점퍼(545)는 낮은 임피던스를 갖도록 구성되고, 불의로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가 접지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한 두 트레이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딩점퍼(545)가 커넥터부(500)와 무관하게 인접한 트레이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본딩홀(145)은 평면부(110)에서 커넥터부(50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50, 155)는 평면부(110)의 일측 또는 양측 장변에서 평면부(1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다. 도 2에서는 평면부(110)의 상측 장변으로부터 상측 절곡부(150)가 돌출하고 하측 장변으로부터 하측 절곡부(155)가 돌출하고 있다. 절곡부(150, 155)는 평면부(110)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트레이부(10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평면부(110)와 커넥터부(500)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525)를 삽입하는 체결홀(115)이 절곡부(150, 155)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커넥터부(500)는 절곡부(150, 155)에 중첩되는 부분 및 이에 형성된 체결홀(5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절곡부(150, 155)가 동일한 한 방향으로만(즉, 내측으로만) 돌출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절곡부(150, 155)는 두 방향으로(즉,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할 수도 있고, 상측 절곡부(150)와 하측 절곡부(155)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할 수도 있다. 절곡부(150, 155)가 모두 두 방향으로(즉,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하는 경우, 평면부(110)와 절곡부(150, 155)는 함몰부(120)를 제외한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I"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150, 155)는 트레이부(100)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하측 절곡부(155)는 렁 부재(130)의 결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절곡부(150, 155)가 생략될 수도 있다.
자성체(160)는 자성을 지닌 부분으로서 함몰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체(160)는 함몰부(120)에서 수용공간(140)의 내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고, 수용공간(140)의 내부에 자력이 미치는 한 수용공간(14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평면프레임(110)이 측벽을 이루도록 세로로 세워져 있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이 위를 향하게 하거나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지 않는 한 수용공간(140)에 수납된 부품들이 비교적 쉽게 수용공간(140) 내에서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함몰부(120)에 자성체(160)를 배치함으로써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된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은 자성체(160)의 자력에 의해 수용공간(14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의하면, 작업자는 복수의 트레이부(100)를 서로 연결할 때 트레이부(100)마다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사전에 수용공간(140)에 구비된 상태에서 트레이부(100)를 연결할 수 있으며, 함몰부(120)에 구비된 자성체(160)는 부품의 누락 또는 유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트레이부(100)의 수용공간(140)마다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을 수납하는 과정은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높은 효율로 빠른 시간 내에 완료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이 현저히 간편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작업 능률 향상 및 작업 기간 단축은 인력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며,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200)는 도어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재(17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위치에서는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고 제2 위치에서는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110)에서 함몰부(120)(혹은 수용공간(140))의 양측에 가이드부(175)가 형성될 수 있고, 도어부재(170)는 가이드부(175)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부재(170)는 수용공간(140)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175)는 도어부재(170)가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공간(140)에 인접하게 도어부재(170)를 지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어부재(170)를 한쪽으로 밀어 수용공간(140)을 개방하고 반대 방향으로 밀어 수용공간(140)을 폐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에서는 도어부재(17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부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수용공간(14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40)이 개방되는 방향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200)에서도 함몰부(120)에 자성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성체(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이 수용공간(14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도어부재(170)가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자성체(160)를 함몰부(120)의 일측에 배치하여 상기 자성체(160)의 자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부재(170)가 제1 위치(즉, 수용공간(140)을 폐쇄하는 위치)에 남아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의하면, 작업자는 복수의 트레이부(200)를 서로 연결할 때 트레이부(200)마다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사전에 수용공간(140)에 구비된 상태에서 트레이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함몰부(120)에 구비된 도어부재(170)는 위 부품들이 수납된 수용공간(140)을 폐쇄하여 부품의 누락 또는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자성체(160)의 자력보다 큰 힘을 가함으로써 도어부재(170)를 이동시켜 수용공간(140)을 개방할 수 있고,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을 인출하여 트레이부(2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서 자성체(160)를 이용하여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을 수용공간(140)에 수납하는 경우, 수납되는 부품들은 자성체(160)의 자성에 반응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부재(170)가 구비된 경우,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은 그 재질에 상관없이 수용공간(14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라 자성체(16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자성체(160)가 도어부재(170)로 하여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수용공간(140)에 수납된 부품들을 트레이부(2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에 사용한 후, 수용공간(140)에 다른 물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추후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자체 또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지지되는 케이블(미도시)의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 및/또는 도구를 수용공간(140) 내에 보관할 수도 있고, 해당 부분의 케이블(미도시)의 식별을 위한 태그 등의 표식을 도어부재(170)와 함몰부(120) 사이에 끼워 놓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이 현저히 간편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작업 능률 향상 및 작업 기간 단축은 인력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며,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서 커넥터부(500)는 트레이부(300)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500)는 제1 위치에서는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부(5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부(500)는 인접한 두 트레이부(300', 300'')를 연결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커넥터부(500)가 제2 위치에로 이동하면, 커넥터부(500)는 수용공간(140)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동시에 커넥터부(500)와 트레이부(300', 300'')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515, 115)이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서는 트레이부(300)가 평면부(110)의 양단에 가이드부(180, 19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부(300)에서 함몰부(120)(및 수용공간(140)이 형성된 일단에는 가이드부(180)가 비교적 길게 형성될 수 있고, 트레이부(300)의 타단에는 가이드부(190)가 비교적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5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부(500)는 일단의 가이드부(18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되, 수용공간(140)의 개구부를 온전히 폐쇄할 수 있다. 커넥터부(50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커넥터부(500)가 이동함으로써 노출되는 부분에서 수용공간(14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부(500)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도어부재(170)의 역할을 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두 트레이부(300', 300'')가 연결을 위해 인접하게 배치되면, 어느 하나의 트레이부(300')의 일단의 가이드부(180)가 다른 하나의 트레이부(300'')의 타단의 가이드부(190)에 인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부(300')의 일단에 결합된 커넥터부(50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커넥터부(500)는 도 5에서와 같이 다른 트레이부(300'')의 가이드부(190)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부(500)가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면, 커넥터부(500)에 형성된 체결홀(515)은 트레이부(300')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홀(115) 및 인접한 트레이부(30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115)과 정렬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트레이부(300', 3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정렬된 체결홀(115, 515)에 체결부재(525)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커넥터부(500) 양측의 본딩홀(145)에 본딩점퍼(545)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500)를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커넥터부(500)가 필요한 위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수용공간(1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므로 작업자는 개방된 수용공간(140) 내에 수납된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을 인출하여 트레이부(300', 3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의하면, 작업자는 복수의 트레이부(300', 300'')를 서로 연결할 때 트레이부(300)마다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사전에 수용공간(140)에 구비된 상태에서 트레이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트레이부(300) 자체에 결합된 커넥터부(500)를 트레이부(300', 300'')의 단부에 중첩된 위치로 이동시킬 때 동시에 개방되는 수용공간(140)으로부터 필요한 부품들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이부(3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든 부품들을 트레이부(300)의 수용공간(140)에 사전에 준비해 놓을 수 있으므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이 현저히 간편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작업 능률 향상 및 작업 기간 단축은 인력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트레이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며, 이하에서는 제4 실시예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서 커넥터부(500)는 트레이부(400)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되, 트레이부(4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트레이부(400)는 평면부(110)의 양측 장변에서 평면부(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절곡부(150, 155)를 포함할 수 있고, 절곡부(150, 155)는 평면부(110)의 상측에서 돌출하는 상측 절곡부(150)와 하측에서 돌출하는 하측 절곡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렁 부재(130)가 하측 절곡부(155)에 지지되되 렁 부재(130)를 결합하는 볼트(137)는 평면부(11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렁 부재(130)를 평면부(110)에 결합하고 있다. 여기서, 렁 부재(13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137)는 납작한 헤드를 갖고, 평면부(110)의 해당 관통홀에는 볼트(137)의 헤드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137)가 평면부(110)의 표면 너머로 돌출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커넥터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110)의 외면 및 절곡부(150, 155)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볼트(137)가 평면부(110)의 표면 너머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커넥터부(500)는 트레이부(40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커넥터부(500)는 트레이부(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측 돌출부(550) 및 하측 돌출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돌출부(550)는 트레이부(400)의 상측 절곡부(150)에 접촉할 수 있는데, 상측 돌출부(550)는 상측 절곡부(150)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측 돌출부(55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절곡부(150)의 상면 및 하면의 일부와도 접촉하여 상측 절곡부(15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500)가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경우 트레이부(4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커넥터부(500)가 쉽게 이탈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커넥터부(500)의 하측 돌출부(555)는 트레이부(400)의 하측 절곡부(155)에 접촉할 수 있다. 다만, 하측 절곡부(155)의 상면은 렁 부재(130)가 지지되는 부분이므로, 하측 돌출부(555)가 하측 절곡부(155)의 상면 전체를 감싸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측 돌출부(555)가 하측 절곡부(155) 상면의 일부분을 접촉할 수는 있다. 하측 돌출부(555) 중 하측 절곡부(155) 상면의 일부분을 접촉하는 부분은 커넥터부(5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하더라도 렁 부재(13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부위에 위치하여 커넥터부(500)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측 절곡부(155)가 내측으로만 돌출하지 않고 외측으로도 돌출하는 경우, 커넥터부(500)의 하측 돌출부(555)는 하측 절곡부(155) 중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상면 및 하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트레이부(400)가 상측 절곡부(15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커넥터부(500)는 평면부(110)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평면부(110)의 내면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트레이부(400)의 상부를 감싸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부(5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부(500)는 트레이부(400)의 외면 및 상부를 감싸며 수용공간(140)의 개구부를 온전히 폐쇄할 수 있다. 커넥터부(500)는 트레이부(400)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커넥터부(50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커넥터부(500)가 이동함으로써 노출되는 부분에서 수용공간(140)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두 트레이부(400', 400'')가 연결을 위해 인접하게 배치되면, 어느 하나의 트레이부(400')의 일단이 다른 하나의 트레이부(400'')의 타단에 인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부(400')의 일단에 결합된 커넥터부(50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7에서와 같이 다른 트레이부(400'')의 타단이 커넥터부(500)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커넥터부(500)가 트레이부(400'')의 외면 및 하측 절곡부(155)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다른 트레이부(400'')의 상측 절곡부(150)가 커넥터부(500)의 상측 돌출부(55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부(500)가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면, 커넥터부(500)에 형성된 체결홀(515)은 트레이부(400')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홀(115) 및 인접한 트레이부(400'')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홀(115)과 정렬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트레이부(400', 4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정렬된 체결홀(115, 515)에 체결부재(525)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커넥터부(500) 양측의 본딩홀(145)에 본딩점퍼(545)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500)를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커넥터부(500)가 필요한 위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수용공간(1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므로 작업자는 개방된 수용공간(140) 내에 수납된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을 인출하여 트레이부(400', 4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커넥터부(500)의 외면은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그 상하부에 돌출부(550, 555)가 형성되므로 커넥터부(500)는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400) 일단에서는 본딩홀(145)이 함몰부(120)에, 즉 수용공간(14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딩점퍼(545)의 일단을 사전에 본딩홀(145)에 결합해 놓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일반적인 경우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설치 또는 조립하기 전에 본딩점퍼(3)를 미리 케이블 트레이(1)에 결합해 놓으면, 케이블 트레이(1)의 보관 및 운반시 외부 충격에 의해 본딩점퍼(3)가 분리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고, 특히 본딩점퍼(3)는 누전 사고를 대비한 안전 장치이므로 분리 또는 손상이 발견되지 않은 채 사용될 수 있다. 하자가 있는 본딩점퍼(3)를 사용하게 되면 누전 사고 발생시 큰 위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1)를 조립하기 전에 본딩점퍼(3)를 미리 결합해 놓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딩점퍼(545)의 일단을 트레이(400)에 결합하더라도 결합된 본딩점퍼(545)를 수용공간(140) 내에 배치하고 수용공간(140)을 커넥터부(500)로 폐쇄하여 내부에 수납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본딩점퍼(545)를 사전에 결합해 놓더라도 본딩점퍼(545)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은 미미한 수준에 머무른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의하면, 작업자는 복수의 트레이부(400', 400'')를 서로 연결할 때 트레이부(400)마다 본딩점퍼(545), 체결부재(525) 및 기타 부속 부품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사전에 수용공간(140)에 구비된 상태에서 트레이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트레이부(400) 자체에 결합된 커넥터부(500)를 트레이부(400', 400'')의 단부에 중첩된 위치로 이동시킬 때 동시에 개방되는 수용공간(140)으로부터 필요한 부품들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이부(400)의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모든 부품들을 트레이부(400)의 수용공간(140)에 사전에 준비해 놓을 수 있으며, 본딩점퍼(545)도 하나의 트레이부(400)에 미리 결합해 놓을 수 있으므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의 설치 및 조립 과정이 현저히 간편하게 되며, 이에 따른 작업 능률 향상 및 작업 기간 단축은 인력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 각각에 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트레이부
110: 평면부 115: 체결홀
120: 함몰부 130: 렁 부재
140: 수용공간 150, 155: 절곡부
160: 자성체 170: 도어부재
175, 180, 190: 가이드부
500: 커넥터부 515: 체결홀
525: 체결부재 545: 본딩점퍼
550, 555: 돌출부

Claims (9)

  1.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로서,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트레이부;
    상기 복수의 트레이부 중 인접한 두 트레이부를 상기 일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에 중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에 형성된 본딩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본딩점퍼를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장방형 평판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평면부;
    상기 한 쌍의 평면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렁 부재;
    상기 평면부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일면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본딩점퍼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 위치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범위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커넥터부와 상기 트레이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이 정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부는 자성에 반응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자력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상기 제1 위치에 남아 있어 상기 체결부재 및 상기 본딩점퍼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트레이부에 형성된 상기 본딩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의 일측 또는 양측 장변에서 상기 평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상기 평면부와 상기 절곡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의 양단에 상기 커넥터부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접한 두 트레이부가 연결될 때 어느 하나의 트레이부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지지되는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다른 하나의 트레이부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트레이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평면부의 상측에서 돌출하는 상측 절곡부; 및
    상기 평면부의 하측에서 돌출하는 하측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렁 부재는 상기 하측 절곡부에 지지되고,
    상기 트레이부에 형성된 체결홀은 상기 평면부, 상기 상측 절곡부 및 상기 하측 절곡부 상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상측 절곡부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트레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9. 삭제
KR1020210095732A 2021-07-21 2021-07-21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37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32A KR102373784B1 (ko) 2021-07-21 2021-07-21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32A KR102373784B1 (ko) 2021-07-21 2021-07-21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784B1 true KR102373784B1 (ko) 2022-03-14

Family

ID=8082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32A KR102373784B1 (ko) 2021-07-21 2021-07-21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7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374A (ko) * 2016-05-02 2017-11-10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알루미늄 케이블 트레이
KR20180113117A (ko) *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2240297B1 (ko) * 2020-04-24 2021-04-1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374A (ko) * 2016-05-02 2017-11-10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알루미늄 케이블 트레이
KR20180113117A (ko) * 2017-04-05 2018-10-15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2240297B1 (ko) * 2020-04-24 2021-04-1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1705B1 (en) Cable management rack
KR20130005216A (ko) 배선 도구, 배선 하네스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49856A1 (en) Cable support hook
KR101657939B1 (ko) 렁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373784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CN214280757U (zh) 缆线槽和保护导体组件
US6176735B1 (en) Accommodation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mprising the block
WO2018001890A1 (en) Cable tray assembly for a vehicle body of a rail vehicle and its method of assembly
US5321203A (en) Wiring structure for interior units
KR101586709B1 (ko) 조명기구 고정용 레이스 웨이
KR101290680B1 (ko)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위한 지지체 및 자동차 구조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연결구
KR20180016135A (ko) 변류기
US11728630B2 (en) Method of electric wire routing
KR102032719B1 (ko) 브라켓과 선반을 포함하는 거치대
KR20150000644U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KR101197645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전기분전함
CN107534803B (zh) 安装在电子设备中的天线
JP5283840B2 (ja) 分岐ユニット及びバスダクトシステム
KR101400547B1 (ko) 통합형 밴드케이블
KR102361497B1 (ko) 건축물 공동주택의 전기케이블 트레이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CN111385999B (zh) 一种插框及通信设备
KR102361398B1 (ko) 케이블 결속용 클립 및 이를 포함한 케이블 트레이
KR200470697Y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열수축 공정용 지그
JP7370824B2 (ja) 機器固定機構、機器固定方法
CN217063127U (zh) 一种拼接托盘式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