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547B1 - 통합형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통합형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547B1
KR101400547B1 KR1020080036398A KR20080036398A KR101400547B1 KR 101400547 B1 KR101400547 B1 KR 101400547B1 KR 1020080036398 A KR1020080036398 A KR 1020080036398A KR 20080036398 A KR20080036398 A KR 20080036398A KR 101400547 B1 KR101400547 B1 KR 10140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able
fixing part
hole
prese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745A (ko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54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0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the ends of the member and the fixing elements being placed on both sides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턱보다 더 돌출된 부위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의 종류를 일원화함으로써 작업자가 미리 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의 형상을 파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케이블의 재고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밴드케이블, 통합형

Description

통합형 밴드케이블{Integrated band cable}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크기나 모양이 각각 다른 구멍에 결합할 수 있는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전기장치에 관한 부품들을 탑재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부품들은 통상 와이어하니스라고 불리는 전선을 이용해 연결된다. 이러한 와이어하니스는 차량 내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전선들 중 유사한 연결부위로 배선되는 전선들을 한곳으로 묶은 다발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밴드케이블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전선을 묶어서 브래킷에 고정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브래킷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케이블은 베이스(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걸림턱(3a)이 형성되는 고정부(3) 및 베이스(1)의 다른 일면에 구비된 밴드(4)와 밴드 체결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케이블의 고정부(3)가 브래킷에 형성된 원형이 나 슬롯형의 관통공(5)에 완전히 삽입되면 고정부(3)에 형성된 걸림턱(3a)이 관통공(5)에 걸려서 밴드케이블이 관통공(5)에서 다시 빠지지 않는다. 또한 밴드케이블이 브래킷 안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못하도록 베이스(10)가 걸림턱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고정부의 형상이 일정하므로, 원형의 관통공 및 슬롯형의 관통공에 밴드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관통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밴드케이블을 각각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작업자는 관통공의 형상과 고정부의 형상을 일치시키기 위해 브래킷에 형성된 수많은 관통공의 형상을 미리 파악하여야 하며, 관통공의 형상과 대응되는 모양의 밴드케이블만을 이용하여 전선을 묶어야 한다. 나아가 실수로 관통공의 형상과 다른 형상의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선을 묶은 경우 번거롭게 케이블을 풀어서 다시 작업을 해야 한다.
이처럼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이용하면 작업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밴드케이블의 재고를 따로 유지해야 하는 관리상의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통공의 형상에 따라 그 종류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시 미리 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의 형상을 파악하지 않아도 되고, 밴드케이블의 종류를 일원화함에 따라 재고 관리에도 유리한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턱보다 더 돌출된 부위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20)는 상기 제2 고정부(30)를 중심으로 둘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20)는 상기 제2 고정부(3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20)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지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60)는,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2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부(30)의 하측 또는 베이스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밴드케이블의 종류를 일원화함으로써 작업자가 미리 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의 형상을 파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또한 밴드케이블의 종류를 잘못 선택하여 전선을 묶게 되어 케이블을 다시 해체하는 일도 없어지므로 작업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에 의하면 관통공 형상과 대응되는 밴드케이블을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케이블의 재고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걸림턱(20a)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20) 및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턱(20a)보다 더 돌출된 부위에 제2 걸림턱(30a)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고정부가 한 개였던 종래의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정부로 구성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원형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제2 고정부(30)는 원형의 관통공(50)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0)가 원형의 관통공(5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제2 고정부(30)에 마련된 제2 걸림턱(30a)이 관통공(50)에 걸려서 케이블은 다시 빠지지 않는다. 종래에는 밴드케이블이 브래킷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못하도록 베이스(10)가 걸림턱 역할을 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원형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경우 제1 고정부(20)가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브래킷이 제2 걸림턱(30a)과 제1 고정부(20) 사이에 맞물림으로써 밴드케이블은 브래킷에 고정된다.
한편,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슬롯형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을 원형의 관통공이 아닌 슬롯형의 관통공(50)에 삽입하는 경우, 제1 고정부(20)보다 더 돌출된 제2 고정부(30)는 그 횡단면의 크기가 슬롯형의 관통공(50)보다 작으므로 제2 고정부(30)는 관통공(50)에 구속되지 않고 통과한다. 이때 케이블이 더 깊이 삽입되면 슬롯형 관통공(5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고정부(20)가 관통공에 삽입된다. 제1 고정부(20)가 관통공(50)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1 걸림턱(20a)이 관통공에 걸려서 케이블은 다시 빠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슬롯형의 관통공(50)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케이블과 동일하게 베이스(10)가 걸림턱 역할을 한다. 따라서 브래킷이 제1 걸림턱(20a)와 베이스(10) 사이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밴드케이블은 브래킷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상기 제1 고정부(20)가 상기 제2 고정부(30)를 중심으로 둘 이상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정부(20)는 상기 제2 고정부(3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20)가 제2 고정부(30)를 중심으로 둘 이상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밴드케이블은 제2 고정부(30)에 의해 원형의 관통공(50)에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고정부(3)에 의해 슬롯형의 관통공(50)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의 관통공(50)에도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부(20)가 제2 고정부(3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경우 밴드케이블은 슬롯형의 관통공(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제1 고정부(20)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지지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밴드케이블이 슬롯형의 관통공(5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고정부(20)는 관통공(50)에 의해 제2 고정부(30)의 방향으로 힘을 받아 휘게 되는데, 이때 제1 고정부(20)의 강성이 크지 않을 경우 제1 고정부(20)가 부러질 수 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지지부(60)는 제1 고정부(20)가 부러지지 않도록 제1 고정부(20)를 지지함으로써 제1 고정부(20)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또한 지지부(60)는 제1 고정부(20)가 관통공(50)을 완전히 통과한 경우 제1 고정부(20)가 휜 상태에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밴드케이블이 원형의 관통공(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제1 고정부(20)가 걸림턱 역할을 하는데, 이때 제1 고정부(20)에 큰 수직하중이 가해지면 제1 고정부(20)가 휘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지부(60)가 제1 고정부(20)를 지지하게 되는 경우 제1 고정부(20)가 휘거나 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은 지지부(60)가 그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2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부(30)의 하측 또는 베이스(10)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60)가 제1 고정부(20)와 제2 고정부(30)에 경사지게 장착되지 않고 수직으로 장착되는 경우, 밴드케이블을 관통공에 삽입할 때 제1 고정부(20)가 관통공(50)으로부터 힘을 받더라도 그 힘은 지지부(60)에 수직하게 작용하므로 제1 고정부(20)는 잘 휘어지지 않는 다. 이 경우 밴드케이블의 삽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생긴다. 반면 지지부(60)가 제1 고정부(20)와 제2 고정부(30)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우, 제1 고정부(2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지지부(60)가 휨으로써 제1 고정부(20)가 적당한 운동성을 갖게 되므로 밴드케이블을 관통공(50)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이 브래킷에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케이블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20 : 제1 고정부
20a : 제1 걸림턱 30 : 제2 고정부
30a : 제2 걸림턱 40 : 밴드
50 : 브래킷 관통공 60 : 지지부

Claims (5)

  1.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걸림턱(20a)이 형성되는 제1 고정부(20); 및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걸림턱(20a)보다 더 돌출된 부위에 제2 걸림턱(30a)이 형성되는 제2 고정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밴드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20)는 상기 제2 고정부(30)를 중심으로 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20)는 상기 제2 고정부(3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20)의 휨강도를 보강하는 지지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0)는, 일단이 상기 제1 고정부(20)의 상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부(30)의 하측 또는 베이스(10)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KR1020080036398A 2008-04-18 2008-04-18 통합형 밴드케이블 KR10140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98A KR101400547B1 (ko) 2008-04-18 2008-04-18 통합형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398A KR101400547B1 (ko) 2008-04-18 2008-04-18 통합형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45A KR20090110745A (ko) 2009-10-22
KR101400547B1 true KR101400547B1 (ko) 2014-05-28

Family

ID=4153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398A KR101400547B1 (ko) 2008-04-18 2008-04-18 통합형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435B1 (ko) * 2020-01-02 2021-08-13 주식회사 경신 밴드케이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132U (ja) * 1992-01-29 1993-08-13 株式会社フジクラ バンドクリップ
JPH0673577U (ja) * 1993-03-30 1994-10-18 日産車体株式会社 ハーネスクリップ
KR100588748B1 (ko) 2005-06-30 2006-11-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132U (ja) * 1992-01-29 1993-08-13 株式会社フジクラ バンドクリップ
JPH0673577U (ja) * 1993-03-30 1994-10-18 日産車体株式会社 ハーネスクリップ
KR100588748B1 (ko) 2005-06-30 2006-11-2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745A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KR101400547B1 (ko) 통합형 밴드케이블
JP4312042B2 (ja) 結束バンドの固定構造
KR200388148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20070112867A (ko) 제어 장치
KR20043110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JP6339607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プロテ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JP4010496B2 (ja) 固定具
JP5473572B2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バスダクト支持装置の付勢低減用治具、及びバスダクト支持装置の施工方法
JP2000270448A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バンド
KR200431313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100637696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CN103403987A (zh) 配备外部构件的电线和具有所述配备外部构件的电线的线束
KR101532853B1 (ko) 엘리베이터의 케이블 처리장치
KR100588748B1 (ko)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KR200435064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JP2009248676A (ja) 車両シートにおける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KR20037896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200343000Y1 (ko) 차량용 커넥터 고정클립
KR200391766Y1 (ko) 고정용 클립
JP6831826B2 (ja) 挿込み結合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3674706B2 (ja) テレビジョンおよびテレビジョンキャビネット
JP2009177859A (ja) ワイヤハーネスへのプロテクタ取付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へのプロテ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