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117A - 판형 부품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판형 부품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117A
KR20180113117A KR1020170044398A KR20170044398A KR20180113117A KR 20180113117 A KR20180113117 A KR 20180113117A KR 1020170044398 A KR1020170044398 A KR 1020170044398A KR 20170044398 A KR20170044398 A KR 20170044398A KR 20180113117 A KR20180113117 A KR 2018011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late
main body
pair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963B1 (ko
Inventor
황태은
이준석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to KR102017004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9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 부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판형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 상기 판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판형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본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역구배면;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상면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굽힘 강성 등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충분한 간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판형 부품용 트레이 {A Tray for Planar Parts}
본 발명은 판형 부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얇은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굽힘 강성 등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충분한 간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모바일 기기용 기판, 플렉서블 기판 등 다양한 형태의 기판 모듈 또는 글라스와 같이 얇고도 평평한 판형 부품(M)을 수납하기 위해서 직사각형 용기인 트레이(Tra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는, 제조 가격 및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원자재인 시트형 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을 경우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는, 다단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 및 운송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굽힘 강성 등 구조적 강도가 약할 경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가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면에서 전후좌우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트레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트레이의 일부가 기울어지거나 찌그러져서,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수용된 판형 부품(M)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판형 부품(M)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구조적 강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진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판형 부품용 트레이를 제작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트레이의 제조 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된 판형 부품(M)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적은 제조 비용으로 가볍고 굽힘 강성 등 구조적 특성이 우수한 판형 부품용 트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얇은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굽힘 강성 등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충분한 간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판형 부품용 트레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형 부품용 트레이는, 판형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 상기 판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판형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본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역구배면;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상면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구배면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역구배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무구배면;을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무구배면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판형 부품의 일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통로로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공기가 서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지지부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1 포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역구배면은 상기 제1 포켓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2 포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역구배면은 상기 제2 포켓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포켓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측면;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위치 고정 홈부;를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제2 포켓의 측면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위치 고정 홈부의 하단부를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 고정 홈부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바닥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3 포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역구배면은 상기 제3 포켓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 포켓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측면;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홈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홈부와 연결되어 있는 측면 홈부를 포함함으로써, 'ㄱ'자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 상기 판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판형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본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역구배면;을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상면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얇은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굽힘 강성 등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충분한 간격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판형 부품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형 부품용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형 부품용 수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포켓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테두리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판형 부품용 트레이가 다단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판형 부품용 트레이가 다단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단 적층된 상태에서의 도 2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판형 부품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형 부품용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형 부품용 수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모바일 기기용 기판, 플렉서블 기판 등 다양한 형태의 기판 모듈 또는 글라스와 같은 판형 부품(M)을 수납할 수 있는 사각형 용기인 트레이(Tray)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 본체(10)와, 제1 포켓(20)과, 제2 포켓(30)과, 제3 포켓(40)과, 제1 리브(50)와, 제2 리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트레이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진 용기로서, 본체부(11)와, 테두리부(12)와, 판형 부품 수용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는,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진 부분으로서, 상면(111)과 하면(112)을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부(12)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부(12)는, 상기 본체부(11)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면(121)과 측면(122)이 연결된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는, 상기 판형 부품(M)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에 형성된 직사각형 공간부이다.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판형 부품(M)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는, 바닥면(131)과 지지부(132)와 공기 통로(133)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면(131)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평면이다.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판형 부품(M)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하기 위한 띠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바닥(131)으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32)는, 상기 바닥면(13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132)는 4개 마련되어, 상기 바닥면(131)의 각 변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면(131)의 코너부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3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H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좌우 폭(W1)이 더 넓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판형 부품(M)의 중량 분산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기 통로(133)는, 상기 지지부(132)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공기가 서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통로로서, 상기 바닥면(131)의 코너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132)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포켓(20)은, "ㄴ"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이 제1 포켓(20)은, 바닥면(21)과 측면(22)과 역구배면(23)과 무구배면(24)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21)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보다 낮고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바닥면(13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22)은, 상기 바닥면(2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21)의 외곽 중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벽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22)은, 대략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역구배면(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상기 측면(2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곡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보면 보이지 않는 "음각형" 면이다.
상기 역구배면(23)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상기 제1 포켓(20)의 바닥면(21)까지 상하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2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구배면(23)은,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중앙부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역구배면(2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2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23)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구배면(24)은,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직면으로서, 상기 바닥면(21)과 상기 역구배면(23)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2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23)의 하단부를 직접 지지하지 않고,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무구배면(24)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무구배면(24)의 높이는, 상기 역구배면(23)의 높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대략 상기 역구배면(23)의 높이의 5% 내지 30%의 값을 가진다.
상기 제2 포켓(30)은, "ㄴ"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12)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이 제2 포켓(30)은, 바닥면(31)과 측면(32)과 역구배면(33)과 무구배면(34)과 위치 고정 홈부(35)를 포함한다. 다만 일부의 제2 포켓(30)은 상기 역구배면(33) 및 무구배면(34)를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 바닥면(31)은,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보다 낮고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바닥면(13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32)은, 상기 바닥면(3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31)의 외곽 중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벽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32)은, 대략 "ㄷ"자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역구배면(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상기 측면(3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곡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보면 보이지 않는 "음각형" 면이다.
상기 역구배면(33)은,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으로부터 상기 제2 포켓(30)의 바닥면(31)까지 상하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3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구배면(33)은,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의 중앙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하여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의 중앙부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역구배면(3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3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33)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구배면(34)은,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직면으로서, 상기 바닥면(31)과 상기 역구배면(33)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3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33)의 하단부를 직접 지지하지 않고,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무구배면(34)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무구배면(34)의 높이는, 상기 역구배면(33)의 높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대략 상기 역구배면(33)의 높이의 5% 내지 30%의 값을 가진다.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는, 상기 바닥면(31)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홈부로서, 상기 측면(32)과 상기 바닥면(31)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바닥면(31)의 좌우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위치 고정 홈부(35)는 서로 최대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는,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의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제2 포켓(30)의 측면(32)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의 하단부를 구속한다. 따라서, 상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제2 포켓(30)이 상기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에 대하여 상기 테두리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제3 포켓(40)은, "U"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1)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3 포켓(40)은, 바닥면(41)과 측면(42)과 역구배면(43)과 무구배면(44)과 라운드부(45)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41)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으로서,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면(41)의 하면은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의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측면(42)은, 상기 바닥면(4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41)의 외곽 전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벽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또는 육각형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측면(4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경사져 있다.
상기 역구배면(4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상기 측면(42)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곡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보면 보이지 않는 "음각형" 면이다.
상기 역구배면(43)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상기 제3 포켓(40)의 중간부까지 상하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42)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구배면(43)은, 상기 바닥면(41)의 외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하여 상기 바닥면(41)의 중앙부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역구배면(43)은, 도 8의 상기 역구배면(23)과 마찬가지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4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43)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구배면(44)은,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직면으로서, 상기 바닥면(41)과 상기 역구배면(43)의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상기 역구배면(23)과 마찬가지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4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43)의 하단부를 직접 지지하지 않고,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무구배면(44)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무구배면(44)의 높이는, 상기 역구배면(43)의 높이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대략 상기 역구배면(43)의 높이의 5% 내지 30%의 값을 가진다.
상기 라운드부(45)는, 상기 측면(42)과 상기 바닥면(41)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측면(42)과 상기 바닥면(41)이 만나는 지점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3 포켓(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를 다단 적층시키는 경우에, 서로 인접한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면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하면을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리브(50)는, "ㄴ"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12)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이 제1 리브(50)는 바닥면(51)과 측면(52)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면(51)은, 상기 테두리부(12)의 측면(122)에 형성된 수평면으로서, 다양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52)은, 상기 바닥면(5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51)의 외곽 중 일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52)은, 수직면으로 형성되거나 5 내지 10도 정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60)는, "ㄱ"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12)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이 제2 리브(60)는 상면 홈부(61)와 측면 홈부(62)를 구비한다.
상기 상면 홈부(61)는,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에 형성된 홈부로서, 미리 정한 깊이로 함몰되어 있다.
상기 측면 홈부(62)는, 상기 테두리부(12)의 측면(122)에 형성된 홈부로서, 미리 정한 깊이로 함몰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 홈부(6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면 홈부(61)과 상기 측면 홈부(62)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리브(60)는 'ㄱ'자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상면과 미리 정한 간격(H)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격 간격(H)은, 도 8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포켓(20), 제2 포켓(30), 제3 포켓(40), 역구배면(23, 33, 43) 등의 형상 수치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판형 부품(M)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로서,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12); 상기 판형 부품(M)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에 형성된 판형 부품 수용부(13)를 포함하는 트레이 본체(10);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역구배면(23, 33, 43);을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2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역구배면(23)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상면과 미리 정한 간격(H)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얇은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제조하더라도 굽힘 강성 등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 사이의 충분한 간격(H)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역구배면(23, 33, 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보면 보이지 않는 "음각형" 면이므로, 외측으로 돌출된 "양각형" 돌기와는 달리, 판형 부품(M)의 삽입 및 인출 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역구배면(23)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닥면(21); 상기 바닥면(21)과 상기 역구배면(23)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무구배면(24);을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역구배면(23)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무구배면(24)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므로, 상기 무구배면(24)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역구배면(23) 및 그 근방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하여, 다단 적층 시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쉽게 찌그러지지 않으며,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가,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131); 상기 바닥면(131)으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131)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판형 부품(M)의 일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에 형성되는 통로로서, 상기 지지부(132)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공기가 서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통로(133);를 포함하므로, 흡착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판형 부품(M)을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으로부터 인출하는 자동화 공정에서, 상기 판형 부품(M)의 하면과 상기 바닥면(131) 및 상기 지지부(132)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 판형 부품(M)이 원활하게 인출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지지부(132)가 복수 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133)는 상기 지지부(132)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 통로(133)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1 포켓(20);하므로,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13) 외곽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역구배면(23)은 상기 제1 포켓(20)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의 판형 부품 수용부(13) 사이의 간격(H)을 안정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12)를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2 포켓(30);을 포함하므로, 상기 테두리부(12)의 굽힘 강성 등의 구조적 강도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역구배면(33)이 상기 제2 포켓(30)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의 테두리부(12) 사이의 간격(H)을 안정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제2 포켓(30)이,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31); 상기 바닥면(3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31)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측면(32); 상기 측면(32)과 상기 바닥면(31)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31)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위치 고정 홈부(35);를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기 제2 포켓(30)의 측면(32)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의 하단부를 구속하므로, 상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제2 포켓(30)이 상기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에 대하여 상기 테두리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역구배면(33)만으로는 상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가 상기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상면에서 전후좌우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나,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에 의하여 그러한 2차원 평면상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가,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바닥면(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100b)의 측면(32)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100a)의 상기 위치 고정 홈부(35)의 하단부를 상기 테두리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1)에 마련되어 있는 제3 포켓(40);을 포함하므로, 상기 본체부(11)의 굽힘 강성과 같은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역구배면(43)이 상기 제3 포켓(40)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100a, 100b)의 제3 포켓(40) 사이의 간격(H)을 안정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상기 역구배면(43)이 없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42)에 의해서만 상기 제3 포켓(40)들이 다단 적층될 것인데, 이럴 경우에는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3 포켓(40)들이 서로 미끄러지거나 변형됨으로써,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3 포켓(40) 사이의 간격(H)을 안정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상기 제3 포켓(40)이, 상기 본체부(11)의 상면(111)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41); 상기 바닥면(41)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41)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측면(42); 상기 측면(42)과 상기 바닥면(41)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라운드부(45);를 포함하므로, 진공성형시에 불량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12)를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2 리브(6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60)는,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에 형성된 상면 홈부(61)와, 상기 테두리부(12)의 측면(122)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홈부(61)와 연결되어 있는 측면 홈부(62)를 포함함으로써, 'ㄱ'자 형상을 구비하므로, 상기 테두리부(12)의 측면(122)에만 형성되어 있는 제1 리브(50)에 비하여,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121)과 측면(122)를 서로 연동시켜 전체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형 부품용 트레이(100)는,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으나, 사출성형법 등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통로(133)가 상기 바닥면(131)의 코너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132)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부(132)에 형성되거나 그 외의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판형 부품용 트레이
10: 트레이 본체
11: 본체부
12: 테두리부
13: 판형 부품 수용부
131: 바닥면
132: 지지부
133: 공기 통로
20: 제1 포켓
21: 바닥면
22: 측면
23: 역구배면
24: 무구배면
30: 제2 포켓
31: 바닥면
32: 측면
33: 역구배면
34: 무구배면
35: 위치 고정 홈부
40: 제3 포켓
41: 바닥면
42: 측면
43: 역구배면
44: 무구배면
45: 라운드부
50: 제1 리브
51: 바닥면
52: 측면
60: 제2 리브
61: 상면 홈부
62: 측면 홈부
H : 트레이 적층 간격
H1: 지지부 높이
W1: 지지부 폭

Claims (14)

  1. 판형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트레이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부; 상기 판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판형 부품 수용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본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경사진 형상의 역구배면;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상면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면의 하방에 배치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상기 역구배면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무구배면;을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역구배면의 상단부가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무구배면의 하단부를 받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판형 부품의 일면을 받쳐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통로로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공기가 서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지지부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5. 제 1항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판형 부품 수용부의 외곽을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1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면은 상기 제1 포켓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7. 제 1항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2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면은 상기 제2 포켓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켓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측면;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위치 고정 홈부;를 포함하며,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제2 포켓의 측면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기 위치 고정 홈부의 하단부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홈부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바닥면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11. 제 1항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는 제3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역구배면은 상기 제3 포켓들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포켓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깊이에 형성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측면;
    상기 측면과 상기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는 곡면 형상의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14. 제 1항에 있어서,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나열되어 있는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홈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 홈부와 연결되어 있는 측면 홈부를 포함함으로써, 'ㄱ'자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20170044398A 2017-04-05 2017-04-05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193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398A KR101934963B1 (ko) 2017-04-05 2017-04-05 판형 부품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398A KR101934963B1 (ko) 2017-04-05 2017-04-05 판형 부품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17A true KR20180113117A (ko) 2018-10-15
KR101934963B1 KR101934963B1 (ko) 2019-01-04

Family

ID=6386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398A KR101934963B1 (ko) 2017-04-05 2017-04-05 판형 부품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9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4814A (zh) * 2018-12-10 2020-06-16 瑞仪(广州)光电子器件有限公司 承载盘及承载盘堆叠组件
WO2021167193A1 (ko) * 2020-02-19 2021-08-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2373784B1 (ko) * 2021-07-21 2022-03-1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08293D1 (de) * 1993-12-27 1998-03-05 Gold Ind Co Ltd Behältereinrichtungen-Zusammenbau zum Transportieren von Präzisionsvorrichtung
KR200464274Y1 (ko) * 2012-08-16 2012-12-31 주식회사 성곡 기판 적재용 트레이
KR101426898B1 (ko) * 2013-12-06 2014-08-05 주식회사 성곡 표시패널 운반용 트레이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4814A (zh) * 2018-12-10 2020-06-16 瑞仪(广州)光电子器件有限公司 承载盘及承载盘堆叠组件
WO2021167193A1 (ko) * 2020-02-19 2021-08-26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20210105532A (ko) * 2020-02-19 2021-08-27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2373784B1 (ko) * 2021-07-21 2022-03-1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963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5951978B2 (ja) 収納トレー
CN103038872B (zh) 用于电子器件的可剥离混合托盘系统
US8162147B1 (en) Box for transporting
KR200464274Y1 (ko) 기판 적재용 트레이
JP5983988B2 (ja) 輸送用トレイ、それを用いた輸送資材及び輸送方法
US20110132789A1 (en) Tra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workpieces
JP2011140339A (ja) 部品包装用トレイ
KR102356344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JP5186340B2 (ja) 板材搬送用トレイの緩衝部材、およびその緩衝部材が取付けられた板材搬送用トレイ
US20110259840A1 (en) Semiconductor package magazine
KR200476256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US20160083173A1 (en) An apparatus for packaging the front frames of lcd modules
JP2008044636A (ja) 収納用トレー
JP2008100693A (ja) 収納トレイ
TW201401403A (zh) 承載裝置與承載裝置及被載物之組合
US20140339235A1 (en) Materials tray
TWI703075B (zh) 緩衝包裝裝置
JP4941224B2 (ja) 板状物用トレイと板状物の積層方法
CN106169438B (zh) 半导体芯片托盘
JP5357261B2 (ja) 収納トレイ
KR100819172B1 (ko) 플레이트 적재 트레이
JP2011162235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KR101634263B1 (ko) 반도체칩 트레이
JP2004359343A (ja) 基板収納用トレ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