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815B1 -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815B1
KR101283815B1 KR1020110101641A KR20110101641A KR101283815B1 KR 101283815 B1 KR101283815 B1 KR 101283815B1 KR 1020110101641 A KR1020110101641 A KR 1020110101641A KR 20110101641 A KR20110101641 A KR 20110101641A KR 101283815 B1 KR101283815 B1 KR 10128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uto lever
cylinder
p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305A (ko
Inventor
박은희
Original Assignee
박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희 filed Critical 박은희
Priority to KR102011010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8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2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stationary whilst being comp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오토레버의 티텐트핀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오토레버의 로드 길이의 검사가 용이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 및 검사 장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를 관통하여 오토레버의 디텐트핀이 상부에서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설치대와;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거치한 상태로 상기 디텐트핀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조립하는 디텐트핀 조립부와; 상기 설치대의 하부로 상기 테이블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으로 진입되는 상기 디텐트핀을 지지하면서 상기 디텐트핀의 하부 방향의 가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디텐트핀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는 조립위치 설정부와;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으로 돌출된 로드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로드 길이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로드길이 검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ASSEMBLING AND INSPECTING APPARATU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USING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오토레버를 조립하면서 검사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 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티텐트핀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오토레버의 로드 길이의 검사가 용이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클러치와 변속기의 조작을 사람대신에 유압 또는 전자제어 등을 이용하여 기계가 대신하도록 자동화한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종래에 사용되던 수동변속기의 단점인 운전미숙에 의한 엔진의 멈춤이나, 교통 혼잡시 발생되는 클러치 페달의 빈번한 조작에 의한 운전자의 피로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작되었으며, 최근 여성운전자의 증가 및 극심한 교통 혼합 등에 따라 그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상기한 자동변속기는 클러치 페달을 대신하여 운전석 일측에 설치된 오토레버를 P, R, L, N, D, 2속 레인지 등으로 변속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유압 및 전자제어 등으로 클러치 조작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이 용이성을 달성하였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오토레버의 일예를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레버(200)는 로드(201)와, 상기 로드(201)를 둘러싸는 관형부재(202)와, 상기 로드(201)의 끝단에 장착되는 하우징(203)과, 상기 로드(201)와 관형부재(20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핀설치공(205)에 끼워지는 디텐트핀(20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03)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로드(201)의 끝단에는 스프링(21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201)은 상기 하우징(203)에 형성되는 핀관통공(211)을 통해 삽입된 지지핀(212)에 의해 상기 하우징(203)의 내부에 지지된다.
상기 관형부재(202)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수평으로 설치홈(206)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3)은 그 외면에 자석(207)과 판스프링(208)이 삽입된 상태로 일부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3)은 그 외부면에 돌턱(209)이 형성되고, 상기 돌턱(209)의 반대측에 상기 하우징(203)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경사공(213)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오토레버는 디텐트핀과 지지핀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립됨에 따라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오토레버의 관형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는 로드의 길이와 상기한 오토레버의 외면에 형성되거나 장착되는 설치홈이나 자석 및 판스프링이나 돌턱 등과 같은 부분품들은 오토레버의 생산시에 작업자에 의한 육안 검사를 통해 그 유무를 검사하게 됨에 따라 부분품들의 검사의 정밀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검사 오류가 자주 발생하여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오토레버의 티텐트핀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오토레버의 로드 길이의 검사가 용이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의 유무의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자석과 판스프링 등의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지지핀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경사공의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탬퍼를 통해 합격 판정 로고를 스탬핑하여 검사 합격품과 불합격품의 구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를 관통하여 오토레버의 디텐트핀이 상부에서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이 거치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설치대와;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거치한 상태로 상기 디텐트핀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조립하는 디텐트핀 조립부와; 상기 설치대의 하부로 상기 테이블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으로 진입되는 상기 디텐트핀을 지지하면서 상기 디텐트핀의 하부 방향의 가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디텐트핀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는 조립위치 설정부와;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으로 돌출된 로드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로드 길이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로드길이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평판을 관통하여 상기 디텐트핀의 상단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는, 상기 설치대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판의 하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지지판과, 상기 제2 지지판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을 관통하여 상승되는 제2 작동로드와, 상기 제2 작동로드의 상단에 장착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티텐트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에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디텐트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는, 상기 설치판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직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설치판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상기 로드길이 검사부는,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3 실린더와, 상기 제3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3 작동로드와, 상기 제3 작동로드의 끝단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내측에 수평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오토레버의 선단에 돌출된 로드가 끼워지는 수평단차공과, 상기 오토레버의 로드의 선단이 맞닿도록 상기 수평단차공의 내부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길이측정로드와, 상기 길이측정로드의 둘레로 상기 수평단차공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측정로드를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길이측정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감지부재와, 상기 감지부재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재의 수평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로드를 둘러싸는 관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의 유무를 검사하는 설치홈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홈 검사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장착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홈에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재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와, 상기 설치홈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에 장착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제1 작동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작동로드의 하강과 함께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과 판스프링의 유무를 검사하는 하우징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검사부는,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작동로드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센서설치판과, 상기 오토레버에 설치되는 상기 자석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센서설치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자력을 통해 상기 자석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센서와, 상기 오토레버에 설치되는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자기센서의 일측으로 상기 센서설치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과의 접촉을 통해 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접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상기 하우징 검사부는,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돌턱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자기센서의 타측으로 상기 센서설치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턱과의 접촉을 통해 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로드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핀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핀을 조립하는 지지핀 조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 조립부는, 상기 하우징의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4 실린더와, 상기 제4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4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끝단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는 제4 작동로드와, 상기 지지핀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4 작동로드의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홈과, 상기 핀관통공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5 실린더와, 상기 제5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5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핀관통공의 일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5 작동로드와, 상기 제5 작동로드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핀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핀의 일단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와, 상기 핀관통공의 타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6 실린더와, 상기 제6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6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핀관통공의 타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6 작동로드와, 상기 제6 작동로드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핀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핀의 타단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공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경사공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공 검사부는, 상기 경사공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7 실린더와, 상기 제7 실린더에 구비되고 상기 제7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경사공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7 작동로드와, 상기 제7 작동로드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공으로 삽입 또는 삽입 불가능을 통해 상기 경사공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삽입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오토레버의 하우징이 일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검사 합격 판정을 위한 로고를 스탬핑하는 스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용 오토레버의 티텐트핀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오토레버의 로드 길이의 검사가 용이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오토레버의 생산성이 향상되면서 불량률이 극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오토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의 유무의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설치홈의 부재에 따른 불량품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자석과 판스프링 등의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자석과 판스프링 등의 부품의 부재에 따른 불량품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지지핀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오토레버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오토레버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경사공의 검사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경사공의 크기 차이에 의한 조립 불량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스탬퍼를 통해 합격 판정 로고를 스탬핑하여 검사 합격품과 불합격품의 구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종래의 오토레버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도 1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c는 도 1의 B-B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디텐트핀 조립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로드길이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설치홈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c는 도 5a에 따른 설치홈 검사부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하우징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지지핀 조립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7b는 도 7a에 따른 지지핀 조립부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경사공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따른 경사공 검사부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스탬퍼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에 설치되는 설치대(20)와, 상기 테이블(10)에 설치되고 오토레버(200)의 디텐트핀을 조립하는 디텐트핀 조립부(30)와, 상기 테이블(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디텐트핀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는 조립위치 설정부(40)와,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의 길이를 검사하는 로드길이 검사부(50)와, 상기 로드길이 검사부(50)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설치홈의 유무를 검사하는 설치홈 검사부(60)와,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을 검사하는 하우징 검사부(70)와,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에 지지핀을 조립하는 지지핀 조립부(80)와,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경사공을 검사하는 경사공 검사부(9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10)은 컨트롤러(C)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대(20)는 상기 테이블(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검사 및 조립 대상물인 상기 오토레버(200)가 수평이 되게 지지된 상태로 상기 테이블(10)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토레버(200)의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거치한 상태로 상기 디텐트핀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설치대(20)의 하부로 상기 테이블(10)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대(20)를 관통하여 진입되는 상기 디텐트핀을 지지하면서 상기 디텐트핀의 하부 방향의 가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디텐트핀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핀설치공에 끼워지는 상기 디텐트핀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디텐트핀이 일정한 압입력으로 상기 핀설치공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로드길이 검사부(50)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으로 돌출된 로드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로드 길이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홈 검사부(60)는 상기 로드길이 검사부(5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를 둘러싸는 관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의 유무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 검사부(70)는 상기 제1 작동로드(34)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의 하강과 함께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과 판스프링 및 돌턱의 유무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핀 조립부(8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핀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핀을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공 검사부(9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공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오토레버(200)에 상기 디텐트핀과 지지핀을 자동으로 조립하면서 동시에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의 길이, 설치홈의 유무, 자석과 판스프링 및 돌턱의 유무, 경사공의 크기를 검사하여 상기 오토레버(200)의 부분품의 신속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설치된 부품의 검사가 정밀하게 이루어져 상기 오토레버(200)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디텐트핀 조립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20)는 하부에서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오토레버(200)의 디텐트핀(204)이 상부에서 삽입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이 거치되는 거치홈(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은 상기 디텐트핀(204)이 상부측에서 진입되면서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의 지지봉(48)이 하부측에서 진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며, 상기 거치홈(22)은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이 삽입되어 상기 오토레버(200)가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1)와, 상기 수직지지대(31)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수평판(32)과,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실린더(33)와, 상기 제1 실린더(33)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평판(32)을 관통하여 상기 디텐트핀(204)의 상단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작동로드(34)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지지대(31)는 상기 제1 실린더(33)를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수평판(32)은 상기 제1 실린더(33)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실린더(33)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작동로드(3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작동로드(34)는 상기 제1 실린더(33)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디텐트핀(204)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는 상기 제1 실린더(33)가 작동되면서 상기 제1 작동로드(34)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핀설치공(205)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디텐트핀(204)의 상단을 상기 제1 작동로드(34)가 가압하여 상기 핀설치공(205)의 내부로 상기 디텐트핀(204)이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설치대(20)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지지판(41)과, 상기 제1 지지판(41)의 하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봉(42)과, 상기 수직봉(42)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지지판(43)과, 상기 제2 지지판(43)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2 실린더(44)와, 상기 제2 실린더(44)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43)을 관통하여 상승되는 제2 작동로드(45)와, 상기 제2 작동로드(45)의 상단에 장착되는 설치판(46)과, 상기 설치판(46)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티텐트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셀(47)과, 상기 로드셀(47)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21)에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디텐트핀(204)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봉(4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판(41)은 상기 수직봉(42)의 상단을 상기 테이블(10)의 하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직봉(42)은 상기 제1 지지판(41)에서 하부측으로 이격되게 상기 제2 지지판(43)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지지판(43)은 그 하면에 상기 제2 실린더(4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실린더(44)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작동로드(4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작동로드(45)는 상기 제2 실린더(44)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설치판(4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판(46)은 상기 로드셀(47)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로드셀(47)은 상기 핀설치공(205)에 끼워지면서 하향하는 상기 디텐트핀(204)의 하면을 지지하여 그 압입력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봉(48)은 상기 로드셀(47)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디텐트핀(204)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설치판(46)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관(49)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관(49)은 상기 수직봉(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설치판(4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제2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작동로드(45)가 상승되면서 상기 설치판(46)과 함께 상기 로드셀(47)과 상기 지지봉(48)이 일체로 상승되어 상기 지지봉(48)의 상단이 상기 관통공(21)의 내측에 진입되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의 작동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디텐트핀(204)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디텐트핀(204)의 압입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셀(47)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디텐트핀(204)의 압입력이 소정 크기가 되면 상기 제1 실린더(33)와 제2 실린더(44)는 반대로 작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디텐트핀(204)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디텐트핀(204)은 상기 핀설치공(205)에 정밀하게 삽입되어 조립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로드길이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길이 검사부(50)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3 실린더(51)와, 상기 제3 실린더(51)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3 작동로드(52)와, 상기 제3 작동로드(52)의 끝단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부재(53)와, 상기 수평부재(53)의 내측에 수평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에 돌출된 로드(201)가 끼워지는 수평단차공(54)과,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201)의 선단이 맞닿도록 상기 수평단차공(54)의 내부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길이측정로드(55)와, 상기 길이측정로드(55)의 둘레로 상기 수평단차공(54)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측정로드(55)를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부재(56)와, 상기 길이측정로드(55)의 단부에 장착되는 감지부재(57)와, 상기 감지부재(57)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재(57)의 수평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58)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실린더(51)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3 작동로드(5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작동로드(52)는 상기 제3 실린더(51)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수평부재(53)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부재(53)는 상기 길이측정로드(55)와 탄성부재(56)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평단차공(54)은 상기 길이측정로드(55)가 상기 탄성부재(56)에 의해 탄성복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수평단차공(54)은 그 내부의 단차진 부위에 상기 탄성부재(56)가,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길이측정로드(55)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일단에 노출된 상기 로드(201)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53)의 상기 수평단차공(54)에서 일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로드(201)의 노출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상기 로드(201)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상기 길이측정로드(55)가 상기 로드(201)가 상기 수평단차공(54)에서 이탈될 때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부재(57)는 상기 길이측정로드(55)의 수평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변위센서(58)가 감지하는 대상물의 역할을 한다. 상기 변위센서(58)는 상기 감지부재(57)의 수평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로드(201)의 길이가 적정한지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변위센서(58)가 상기 감지부재(57)의 수평 이동되는 변위를 검출하여 그 변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로드(201)가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된 것이므로 상기 로드(201)의 길이의 불량을 검출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변위센서(58)가 상기 감지부재(57)의 변위를 감지하지 못하면 이는 상기 로드(201)가 너무 짧게 형성된 것이므로, 이 또한 상기 로드(201)의 길이의 불량으로 검출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설치홈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따른 설치홈 검사부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홈 검사부(60)는 상기 수평부재(53)의 상면에 장착되는 설치부재(61)와, 상기 설치홈(206)에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재(61)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62)와, 상기 설치홈(206)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62)에 장착되는 발광부(63)와, 상기 발광부(63)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62)에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63)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재(61)는 상기 수평부재(53)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재(62)를 배치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돌출부재(62)는 상기 발광부(63)와 수광부(64)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부(63)는 상기 수광부(64)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수광부(64)는 상기 발광부(63)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감지하거나 감지하지 못하여 상기 오토레버(200)의 상기 관형부재(20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홈(206)의 유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발광부(63)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설치홈(206)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64)로 전도되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63)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수광부(64)가 받아서 감지하면 이는 상기 관형부재(202)의 외부면에 상기 설치홈(20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발광부(63)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기 수광부(64)가 받지 못하면 이는 상기 관형부재(202)의 외부면에 상기 설치홈(20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므로 상기 설치홈(206)이 없는 불량품으로 판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하우징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검사부(70)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작동로드(34)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센서설치판(71)과, 상기 오토레버(200)에 설치되는 상기 자석(207)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센서설치판(7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자력을 통해 상기 자석(207)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센서(72)와, 상기 오토레버(200)에 설치되는 상기 판스프링(208)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자기센서(72)의 일측으로 상기 센서설치판(7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208)과의 접촉을 통해 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접촉센서(73)와,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에 형성되는 돌턱(209)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자기센서(72)의 타측으로 상기 센서설치판(7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턱(209)과의 접촉을 통해 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접촉센서(74)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설치판(71)은 상기 자기센서(72) 및 제1 접촉센서(73)와 제2 접촉센서(74)가 상기 제1 작동로드(34)의 일측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기센서(72)는 자기력을 통해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에 설치되는 상기 자석(207)의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자기센서(72)는 상기 자석(207)이 상기 하우징(203)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상기 자석(207)의 자기력을 통해 감지하게 되고, 상기 자석(207)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불량품으로 판별하게 된다.
상기 제1 접촉센서(73)는 상기 하우징(203)에 설치된 상기 판스프링(208)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접촉센서(73)는 상기 판스프링(208)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208)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판스프링(208)이 없는 경우에 불량품으로 판별하게 된다.
상기 제2 접촉센서(74)는 상기 하우징(203)에 형성되는 상기 돌턱(209)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 접촉센서(74)는 상기 돌턱(209)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돌턱(209)의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돌턱(209)이 없는 경우에 불량품으로 판별하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지지핀 조립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따른 지지핀 조립부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핀 조립부(80)는 상기 하우징(203)의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4 실린더(81)와, 상기 제4 실린더(81)에 구비되고 상기 제4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203)의 끝단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210)을 가압하는 제4 작동로드(82)와, 상기 지지핀(212)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4 작동로드(82)의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홈(83)과, 상기 핀관통공(211)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5 실린더(84)와, 상기 제5 실린더(84)에 구비되고 상기 제5 실린더(8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핀관통공(211)의 일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5 작동로드(85)와, 상기 제5 작동로드(85)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핀관통공(21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핀(212)의 일단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86)와, 상기 핀관통공(211)의 타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6 실린더(87)와, 상기 제6 실린더(87)에 구비되고 상기 제6 실린더(87)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핀관통공(211)의 타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6 작동로드(88)와, 상기 제6 작동로드(88)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핀관통공(21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핀(212)의 타단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89)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실린더(81)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4 작동로드(8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4 작동로드(82)는 상기 제4 실린더(81)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오토레버(200)의 스프링(210)을 일측으로 밀어 상기 핀관통공(211)에서 이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홈(83)은 상기 제4 작동로드(82)에 의해 상기 스프링(210)이 이탈된 상기 핀관통공(211)으로 상기 지지핀(212)이 삽입될 때 상기 제4 작동로드(82)의 선단을 통과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5 실린더(84)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5 작동로드(85)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5 작동로드(85)는 상기 제5 실린더(84)에 의해 작동되면서 그 끝단에 설치되는 제1 가압부재(86)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가압부재(86)는 상기 제5 작동로드(85)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핀(212)의 일단을 일측으로 밀어 상기 핀관통공(211)으로 상기 지지핀(212)을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6 실린더(87)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6 작동로드(88)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6 작동로드(88)는 상기 제6 실린더(87)에 의해 작동되면서 그 끝단에 설치되는 제2 가압부재(89)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가압부재(89)는 상기 제6 작동로드(88)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핀(212)의 타단을 지지하여 상기 핀관통공(211)에서 상기 지지핀(21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지지핀 조립부(80)는 상기 제4 실린더(81)의 작동으로 상기 제4 작동로드(82)에 의해 상기 스프링(210)을 가압하여 상기 핀관통공(211)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5 실린더(84)와 제6 실린더(87)를 작동시켜 상기 핀관통공(211)의 내부로 상기 지지핀(212)을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4 실린더(81)를 반대로 작동시켜 상기 스프링(210)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스프링(210)이 상기 지지핀(21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한 후에 상기 제5 실린더(84)와 제6 실린더(87)를 반대로 작동시켜 상기 지지핀(212)에서 상기 제1 가압부재(86)와 제2 가압부재(89)를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핀관통공(211)에 상기 지지핀(212)을 조립하는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경사공 검사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따른 경사공 검사부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공 검사부(90)는 상기 경사공(213)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7 실린더(91)와, 상기 제7 실린더(91)에 구비되고 상기 제7 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경사공(213)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7 작동로드(92)와, 상기 제7 작동로드(92)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공(213)으로 삽입 또는 삽입 불가능을 통해 상기 경사공(213)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삽입봉(93)을 포함한다.
상기 제7 실린더(91)는 공지된 공압 실린더로서 공압 작동에 의해 상기 제7 작동로드(92)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7 작동로드(92)는 상기 제7 실린더(91)에 의해 작동되면서 그 끝단에 설치되는 상기 삽입봉(93)을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삽입봉(93)은 상기 제7 작동로드(92)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203)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공(213)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공(213)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삽입봉(93)이 상기 경사공(213)에 삽입되면 상기 경사공(213)을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삽입봉(93)이 상기 경사공(213)에 삽입되지 않으면 불량품으로 판별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검사 장치의 스탬퍼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토레버(200)의 조립 및 검사 장치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이 일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스탬퍼(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탬퍼(100)는 상기 하우징(203)의 외면에 검사 합격 판정을 위한 로고를 스탬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스탬퍼(100)는 스탬핑 작동에 의해 인장이나 도장을 날인하는 공지된 기기로서,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으로 상기 하우징(203)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상기 오토레버(200)가 불량이 없는 합격품으로 판별되면 상기 스탬퍼(100)가 작동되어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203)의 외면에 합격 표시를 날인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스탬퍼(100)는 불량품에 대한 불량표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오토레버(200)의 검사에서 불량이 발견된 경우에 불량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불량표시를 날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테이블
20 : 설치대
21 : 관통공 22 : 거치홈
30 : 디텐트핀 조립부
31 : 수직지지대 32 : 수평판
33 : 제1 실린더 34 : 제1 작동로드
40 : 조립위치 설정부
41 : 제1 지지판 42 : 수직봉
43 : 제2 지지판 44 : 제2 실린더
45 : 제2 작동로드 46 : 설치판
47 : 로드셀 48 : 지지봉
49 : 가이드관
50 : 로드길이 검사부
51 : 제3 실린더 52 : 제3 작동로드
53 : 수평부재 54 : 수평단차공
55 : 길이측정로드 56 : 탄성부재
57 : 감지부재 58 : 변위센서
60 : 설치홈 검사부
61 : 설치부재 62 : 돌출부재
63 : 발광부 64 : 수광부
70 : 하우징 검사부
71 : 센서설치판 72 : 자기센서
73 : 제1 접촉센서 74 : 제2 접촉센서
80 : 지지핀 조립부
81 : 제4 실린더 82 : 제4 작동로드
83 : 관통홈 84 : 제5 실린더
85 : 제5 작동로드 86 : 제1 가압부재
87 : 제6 실린더 88 : 제6 작동로드
89 : 제2 가압부재
90 : 경사공 검사부
91 : 제7 실린더 92 : 제7 작동로드
93 : 삽입봉
100 : 스탬퍼
C : 컨트롤러
200 : 오토레버
201 : 로드 202 : 관형부재
203 : 하우징 204 : 디텐트핀
205 : 핀설치공 206 : 설치홈
207 : 자석 208 : 판스프링
209 : 돌턱 210 : 스프링
211 : 핀관통공 212 : 지지핀
213 : 경사공

Claims (11)

  1.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를 관통하여 오토레버(200)의 디텐트핀이 상부에서 삽입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이 거치되는 거치홈(22)이 형성되는 설치대(20)와;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거치한 상태로 상기 디텐트핀을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핀설치공에 상기 디텐트핀을 조립하는 디텐트핀 조립부(30)와;
    상기 설치대(20)의 하부로 상기 테이블(10)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21)으로 진입되는 상기 디텐트핀을 지지하면서 상기 디텐트핀의 하부 방향의 가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디텐트핀의 조립 위치를 설정하는 조립위치 설정부(40)와;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으로 돌출된 로드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로드 길이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로드길이 검사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핀 조립부(30)는,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1)와,
    상기 수직지지대(31)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는 수평판(32)과,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실린더(33)와,
    상기 제1 실린더(33)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3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평판(32)을 관통하여 상기 디텐트핀의 상단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작동로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설치대(20)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1 지지판(41)과,
    상기 제1 지지판(41)의 하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봉(42)과,
    상기 수직봉(42)의 하단 사이에 장착되는 제2 지지판(43)과,
    상기 제2 지지판(43)의 하면에 장착되는 제2 실린더(44)와,
    상기 제2 실린더(44)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실린더(44)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지지판(43)을 관통하여 상승되는 제2 작동로드(45)와,
    상기 제2 작동로드(45)의 상단에 장착되는 설치판(46)과,
    상기 설치판(46)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티텐트핀의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셀(47)과,
    상기 로드셀(47)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관통공(21)에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디텐트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봉(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위치 설정부(40)는,
    상기 설치판(46)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직봉(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설치판(4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관(4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길이 검사부(50)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3 실린더(51)와,
    상기 제3 실린더(51)에 구비되고 상기 제3 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3 작동로드(52)와,
    상기 제3 작동로드(52)의 끝단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부재(53)와,
    상기 수평부재(53)의 내측에 수평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오토레버(200)의 선단에 돌출된 로드가 끼워지는 수평단차공(54)과,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의 선단이 맞닿도록 상기 수평단차공(54)의 내부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길이측정로드(55)와,
    상기 길이측정로드(55)의 둘레로 상기 수평단차공(54)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측정로드(55)를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부재(56)와,
    상기 길이측정로드(55)의 단부에 장착되는 감지부재(57)와,
    상기 감지부재(57)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재(57)의 수평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53)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를 둘러싸는 관형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의 유무를 검사하는 설치홈 검사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홈 검사부(60)는,
    상기 수평부재(53)의 상면에 장착되는 설치부재(61)와,
    상기 설치홈에 양측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부재(61)의 양측에서 수평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62)와,
    상기 설치홈에 대응하여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62)에 장착되는 발광부(63)와,
    상기 발광부(63)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돌출부재(62)에 장착되고 상기 발광부(63)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로드(34)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작동로드(34)의 하강과 함께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는 자석과 판스프링의 유무를 검사하는 하우징 검사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검사부(70)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작동로드(34)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센서설치판(71)과,
    상기 오토레버(200)에 설치되는 상기 자석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센서설치판(7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자력을 통해 상기 자석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센서(72)와,
    상기 오토레버(200)에 설치되는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자기센서(72)의 일측으로 상기 센서설치판(7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과의 접촉을 통해 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접촉센서(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검사부(70)는,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돌턱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자기센서(72)의 타측으로 상기 센서설치판(71)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턱과의 접촉을 통해 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접촉센서(7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로드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지지되도록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핀관통공에 삽입되는 지지핀을 조립하는 지지핀 조립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 조립부(80)는,
    상기 하우징의 끝단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4 실린더(81)와,
    상기 제4 실린더(81)에 구비되고 상기 제4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끝단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는 제4 작동로드(82)와,
    상기 지지핀이 관통되도록 상기 제4 작동로드(82)의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홈(83)과,
    상기 핀관통공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5 실린더(84)와,
    상기 제5 실린더(84)에 구비되고 상기 제5 실린더(84)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핀관통공의 일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5 작동로드(85)와,
    상기 제5 작동로드(85)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핀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핀의 일단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86)와,
    상기 핀관통공의 타측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6 실린더(87)와,
    상기 제6 실린더(87)에 구비되고 상기 제6 실린더(87)의 작동에 의해 상기 핀관통공의 타측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6 작동로드(88)와,
    상기 제6 작동로드(88)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핀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핀의 타단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공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경사공 검사부(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공 검사부(90)는,
    상기 경사공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7 실린더(91)와,
    상기 제7 실린더(91)에 구비되고 상기 제7 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경사공을 향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7 작동로드(92)와,
    상기 제7 작동로드(92)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경사공으로 삽입 또는 삽입 불가능을 통해 상기 경사공의 크기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삽입봉(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레버(200)의 하우징이 일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검사 합격 판정을 위한 로고를 스탬핑하는 스탬퍼(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KR1020110101641A 2011-10-06 2011-10-06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KR10128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41A KR101283815B1 (ko) 2011-10-06 2011-10-06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41A KR101283815B1 (ko) 2011-10-06 2011-10-06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05A KR20130037305A (ko) 2013-04-16
KR101283815B1 true KR101283815B1 (ko) 2013-07-08

Family

ID=4843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41A KR101283815B1 (ko) 2011-10-06 2011-10-06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6802A (zh) * 2017-08-16 2019-03-01 天津敏驰汽车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杆类产品组装设备
CN107553129B (zh) * 2017-09-20 2024-04-26 马鞍山甬兴模塑有限公司 一种咖啡机冲泡总成的装配装置
KR102475858B1 (ko) * 2021-05-10 2022-12-07 김기준 자동차 오토레버 자동조립장치
CN114654232B (zh) * 2022-04-08 2023-07-25 无锡市神力齿轮冷挤有限公司 一种汽车单向离合器定套组装设备
CN116652593B (zh) * 2023-07-31 2023-10-13 山东莱芜科瑞迪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板簧自动组装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333A (ja) * 1991-09-30 1993-04-16 Mitsubishi Motors Corp 部品組立て自動機
KR20090062035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조립장치
KR20100093244A (ko) * 2009-02-16 2010-08-25 현대위아 주식회사 디텐트핀 조립구조
KR20100128599A (ko) * 2009-05-28 2010-12-08 (주)태현메가텍 자동변속기용 캐리어의 핀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333A (ja) * 1991-09-30 1993-04-16 Mitsubishi Motors Corp 部品組立て自動機
KR20090062035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조립장치
KR20100093244A (ko) * 2009-02-16 2010-08-25 현대위아 주식회사 디텐트핀 조립구조
KR20100128599A (ko) * 2009-05-28 2010-12-08 (주)태현메가텍 자동변속기용 캐리어의 핀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05A (ko) 201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815B1 (ko)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KR101014364B1 (ko) 차량용 선루프 검사용 측정장치
KR101214185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외경 측정장치
KR102099399B1 (ko) 내경 측정장치
KR100851724B1 (ko) 기어 검사 장치
KR101549050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CN104722698B (zh) 一种手刹铆合装置
CN104089783A (zh) 一种楔形制动扩张器总成的测试装置
JP2011111159A (ja) 力センサーを備える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439971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볼베어링 조립 및 검사장치
KR101172765B1 (ko) 솔레노이드밸브 홀더의 검사 지그
KR101682012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JP4737449B2 (ja) 組立体検査装置及び組立体検査方法
CN113654785B (zh) 一种衬套安装检测装置
KR100647242B1 (ko)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JP4214408B2 (ja) スナップリング組付検査装置及びスナップリング組付検査方法
KR100604416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검사용 장치
KR20170123001A (ko) 쇽업쇼바 검사장치
KR102195814B1 (ko) 케리어의 패드스프링 체결 홈의 규격 측정장치
KR101751492B1 (ko) 자동변속기 플레이트앗세이 검사장치
KR101750734B1 (ko) 부품 검사장치
CN110153378A (zh) 检测砂芯组芯安装合格的辅助装置
KR20150079018A (ko) 볼트 나사산 감지장치
CN220230779U (zh) 一种前侧支撑横梁综合检具
CN211086123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冲压检测工作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