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331B1 - 통기 부재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31B1
KR101270331B1 KR1020137005344A KR20137005344A KR101270331B1 KR 101270331 B1 KR101270331 B1 KR 101270331B1 KR 1020137005344 A KR1020137005344 A KR 1020137005344A KR 20137005344 A KR20137005344 A KR 20137005344A KR 101270331 B1 KR101270331 B1 KR 10127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entilation
opening
cover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942A (ko
Inventor
사또루 후루야마
도시끼 야나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B01D46/2414End caps including additional functions or special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35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01D46/2422Mounting of the body within a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기 부재(100)는 통형 부품(11)과, 통기 필터(19)와, 커버 부품(31)을 구비한다. 통형 부품(11)을 커버 부품(31)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가 되었을 때, 커버 부품(31)의 바닥부(35)와 통기 필터(19) 사이, 및 커버 부품(31)의 측벽부(39)와 통형 부품(11)의 몸통부(17) 사이에, 통기로(AR2, AR3)로서 기능하는 공극이 형성된다. 통기 필터(19)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면내 방향(WL)에 관한 필터측 개구부(15)의 개구 면적(S2)이 면내 방향(WL)에 관한 접속측 개구부(13)의 개구 면적(S1)보다도 크다.

Description

통기 부재{VENTILATION MEMBER}
본 발명은,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통기 필터를 응용한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085536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435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기기(램프류, 모터, 센서, 스위치, ECU 등)에 사용되고 있는 통기 부재는, 통기성, 방진성 및 방수성을 겸비한 통기 필터(통기막)를 응용한 것이다. 요즘은, 이동 통신 기기, 카메라, 전기 면도기, 전동 칫솔 등의 전기 기기에도 이러한 통기 부재의 채용이 검토되기 시작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통기 부재는, 기기 내부로의 먼지나 물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기기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의 해소, 음성의 전파, 또는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기온의 변화에 따라 김서림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김서림의 발생을 방지 또는 해소할 목적으로 통기 부재가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방진 방수 성능이 동일하면, 기기 내부와 외부와의 압력차의 해소에 필요한 시간, 또는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방출에 필요한 시간이 짧은 통기 부재일수록 고성능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통기 부재의 단위 시간당 통기량을 크게 하면 좋다.
그러나, 통기 부재의 통기량을 크게 하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통기량의 보틀넥으로 되어 있는 것은, 통기 저항이 큰 통기 필터이지만, 통기 필터는 이미 손댈 수 없을 정도로 다 개량되어 있다.
물론, 통기 부재 자체의 사이즈를 크게 하면 통기량도 비례하여 커지지만, 통기 부재의 사이즈 변경은 상대측(기기측)의 설계 변경이 필요해지거나 하므로 간단하게는 채용할 수 없다.
또한, 최근에는, 물방울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에 보다 우수한 통기 부재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램프나 ECU의 하우징에 이용하는 통기 부재로서, 세차, 특히 고압 세차에도 견딜 수 있고, 하우징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통기 부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본 발명은, 단위 시간당 통기량이 보다 큰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방울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에 보다 우수한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환기를 필요로 하는 대상물을 위한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통형 부품과, 통형 부품의 한쪽 개구부에 배치되는 통기 필터와, 내측에 통형 부품이 끼워 넣어지는 커버 부품을 구비하고, 통형 부품은, 대상물을 접속하는 측의 개구부인 접속측 개구부와, 통기 필터로 막힌 개구부인 필터측 개구부와, 접속측 개구부와 필터측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커버 부품은, 통형 부품을 통기 필터의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 넣은 장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통기 필터와 마주보는 바닥부와, 필터측 개구부 및 몸통부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장착 상태에서 커버 부품의 바닥부와 통기 필터 사이, 및 커버 부품의 측벽부와 통형 부품의 몸통부 사이에, 외부로 통하는 통기로로서 기능하는 공극이 형성되고, 통기 필터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면내 방향에 관한 필터측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면내 방향에 관한 접속측 개구부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기 부재가 적용되는 대상물(예를 들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나 ECU)은, 통기 부재를 위해서만 설계 변경할 여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통기 부재의 접속측 개구부에 대해서는, 치수 등의 변경이 허용되지 않는 것이 통상이다. 그러나, 통기 필터를 장착하는 측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통형 부품의 양단부의 개구부 중, 통기 필터를 장착하는 측의 개구부인 필터측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의도적으로 크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측 개구부의 치수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환기에 기여하는 통기 필터의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기 필터의 면적이 확대되면, 그 확대량에 비례하여 단위 시간당의 통기량이 커진다.
또한, 본 발명의 통기 부재는, 통형 부품의 몸통부의 내벽을 단차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고, 이 단차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을 기초로 하여 접속측 개구부와 필터측 개구부에 개구 면적차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부품의 치수 확대를 수반하지 않고, 큰 면적의 통기 필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 부품은, 통형 부품을 커버 부품의 내측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필터측 개구부를 따라 통형 부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커버 부품의 바닥부와 통기 필터 전체의 밀착이 저지되어, 커버 부품의 바닥부와 통기 필터 사이의 공극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부품에 의해 먼지, 물방울 및 물리적 쇼크로부터 통기 필터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 부품과 통기 필터 사이에 통기로로서의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통형 부품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분산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인접하는 스페이서 사이를 통기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형 부품의 몸통부는, 내측 몸통부와, 그 내측 몸통부를 둘러싸는 외측 몸통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 필터의 두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고,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필터측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을 전방측, 접속측 개구부가 위치하는 측을 후방측이라 정의하였을 때, 내측 몸통부의 전방측 단부를 외측 몸통부의 전방측 단부보다도 후방측으로 물러나게 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외측 몸통부의 전방측 단부를 통기 필터가 장착된 얇은 필터측 개구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몸통부와 외측 몸통부 사이에는, 양자와 일체 형성된 연결부를 주위 방향의 복수 부위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인접하는 연결부 사이에는, 축선 방향의 전방측으로 개방하여 당해 통형 부품의 통 내 공간에 연결되는 공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개구 면적의 변화를 발생시키면서, 내측 몸통부와 외측 몸통부 사이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통형 부품의 성형 시간(구체적으로는 냉각 시간)의 단축화로 이어지므로, 생산 효율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비용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축선 방향의 후방측에 있어서는, 내측 몸통부와 외측 몸통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직접 연결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접속측 개구부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환기를 행할 기기 등에의 장착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품과 통형 부품 중 적어도 한쪽은, 장착 상태에서 통형 부품과 커버 부품의 측벽부와의 사이의 주위 방향 복수 부위에 위치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고정편 사이에, 외부와 통하는 통기로로서 기능하는 공극을 형성하는 동시에, 통형 부품과 고정편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 변형에 의해 커버 부품과 통형 부품의 상대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편에 따르면, 커버 부품과 통형 부품의 상호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커버 부품과 통형 부품 사이의 통기로가 저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부품 및 통형 부품 중, 한쪽 소재를 엘라스토머로 하고, 다른 쪽 소재를 고무 탄성을 갖지 않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통형 부품을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하고, 커버 부품을 경질인 수지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통형 부품을 커버 부품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에서, 통형 부품에 접촉하는 고정편을 커버 부품의 측벽부의 주위 방향 복수 부위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장착 상태에서, 통형 부품은 고정편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탄성 변형한다. 통형 부품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통형 부품과 커버 부품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기를 필요로 하는 대상물을 위한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통형 부품과, 통형 부품에 장착된 통기 필터와, 통형 부품을 통기 필터의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 넣은 장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통기 필터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커버 부품을 구비하고, 통형 부품의 내부에 형성된 통기로는, 대상물의 내부 공간에 직접 연결되는 제1 통기로와, 그 제1 통기로로부터 분리된 제2 통기로를 포함하고, 통기 필터는, 적어도 제1 통기로를 기초로 하는 개구를 막도록 통형 부품에 장착되고, 공극 및 통기 필터를 통해 제1 통기로와 제2 통기로 사이를 가스가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은 환기를 행할 기기의 하우징에 도1 및 도2의 통기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4는 통형 부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필터측 개구부로부터 본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단면도와는 다른 단면의 통형 부품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7은 통형 부품을 끼워 넣는 측으로부터 본 커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커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9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1은 필터측 개구부로부터 본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12는 접속측 개구부로부터 본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13은 통형 부품을 끼워 넣는 측으로부터 본 커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커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15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17은 도15 및 도16의 통기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8은 다른 적합한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또 다른 적합한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또 다른 적합한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또 다른 적합한 통형 부품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은 환기를 행할 기기의 하우징에 도1 및 도2의 통기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00)를 기기의 하우징(51)에 설치된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53)에 장착함으로써, 물방울 등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면서 하우징(51) 내의 환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51) 내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1,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부재(100)는 통형 부품(11), 통기 필터(19) 및 커버 부품(31)을 구비하고 있다. 단 도1에서는 통기 필터(19)를 생략하고 있다. 통형 부품(11)은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기기의 하우징(51)에 직접 연결되는 통기로(AR1)를 통 내의 공간에 의해 만들어낸다. 통기 필터(19)는 통형 부품(11)의 한쪽 개구부(15)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 부품(31)은 통기 필터(19)를 장착한 통형 부품(11)이 통기 필터(19)의 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부품이다. 도1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부품(11)의 양단부의 개구부 중, 통기 필터(19)에 의해 막힌 개구부인 필터측 개구부(15)의 개구 면적(S2)은, 하우징(51)의 필터 피장착부(53)를 접속하는 개구부인 접속측 개구부(13)의 개구 면적(S1)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기 필터(19)의 유효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대하여, 단위 시간당의 통기량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기 필터의 유효 면적이라 함은, 통기 필터(19) 중, 통형 부품(11)의 내외의 통기에 실제로 기여하는 부분의 면적을 의미한다. 또한, 통기 필터(19)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면내 방향(WL)으로 정의하였을 때, 통형 부품(11)의 개구 면적은, 그 면내 방향(WL)에 관한 개구 면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1 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기 필터(19)의 두께 방향은, 통형 부품(11)의 중심 축선(O)에 평행한 방향과 일치한다. 중심 축선(O)에 평행한 방향을 축선 방향이라고도 한다. 또한, 중심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필터측 개구부(15)가 위치하는 측을 전방측(도3에서는 하방), 접속측 개구부(13)가 위치하는 측을 후방측(도3에서는 상방)이라 한다.
이하, 개별 부품의 상세한 설명을 행하면서, 각 부품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통기 부재(100)의 구조에 대해 언급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부품(11)은 환기를 행하는 기기를 접속하는 개구부인 접속측 개구부(13)와, 통기 필터(19)를 장착하는 개구부인 필터측 개구부(15)와, 접속측 개구부(13)와 필터측 개구부(15)를 연결하는 몸통부(17)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17)의 내부는 접속측 개구부(13)와 필터측 개구부(15)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이 통기로(AR1)를 구성하고 있다. 접속측 개구부(13)의 내주 부분에는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53)를 삽입하기 쉽도록 테이퍼(TP)를 부여하고 있다. 필터측 개구부(15)는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개구 직경이 접속측 개구부(13)보다도 크고, 반경 방향의 두께가 접속측 개구부(13)보다도 얇다.
또, 접속측 개구부(13)의 개구 직경은, 테이퍼(TP)의 내주연, 즉 필터 피장착부(53)와 통형 부품(11)의 접촉이 개시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개구 직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테이퍼(TP)가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53)의 설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설치된 것으로, 접속측 개구부(13)의 개구 직경은 필터 피장착부(53)와의 접속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위치에서 논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5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부품(11)의 몸통부(17)는, 내측 몸통부(171)와, 그 내측 몸통부(171)를 둘러싸는 외측 몸통부(173)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 몸통부(171)와 외측 몸통부(173)는 중심 축선(O)을 공유한 동심 형상의 배치로 되어 있다. 단 외측 몸통부(173)는 내측 몸통부(171)보다도 전방측으로 약간 연장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외측 몸통부(173)의 전방측 단부가 필터측 개구부(15)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관계를 만족하는 결과, 통형 부품(11)의 몸통부(17)의 내벽은 단차 형상을 나타낸다. 단차 형상을 가진 몸통부(17)는 중심 축선(O)에 평행한 방향에 관한 소정 위치에서, 면내 방향(WL)의 개구 면적에 단계적 변화를 발생시킨다. 즉, 몸통부(17)의 단차 형상을 기초로 하여, 접속측 개구부(13)와 필터측 개구부(15)의 개구 면적차(ΔS)(= S2 - S1)를 만들어낼 수 있다.
또한, 통형 부품(11)은 내측 몸통부(171)와 외측 몸통부(173)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43)를 포함한다. 연결부(43)는 내측 몸통부(171)와 외측 몸통부(173)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양자와 일체 형성된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위 방향의 복수 부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연결부(43)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연결부(43, 43) 사이에는 공극(SH)이 형성된다. 공극(SH)은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통형 부품(11)의 내부의 통기로(AR1)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내측 몸통부(171)와 외측 몸통부(173)는, 후방측에 있어서 주위 방향의 전체에서 연결되어 있다. 접속측 개구부(13)의 개구 직경은, 내측 몸통부(171)의 내경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통형 부품(11)은, 공지의 사출 성형법으로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도5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몸통부(171)와 외측 몸통부(173) 사이에 공극(SH)을 마련함으로써, 사출 성형시의 냉각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따르면, 공극(SH)을 마련하지 않는 형태와 본 실시 형태에서 냉각 시간이 2배 정도의 차이가 생긴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하면, 생산성의 향상을 기초로 하는 비용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 부품(11)의 소재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채용하고 있다. 통형 부품(11)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종류로서는,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불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모두 내열성, 내후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므로 적합하다.
또한, 통형 부품(11)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70 ℃ 22시간(JIS K6301)에 있어서의 압축 영구 왜곡이 70 % 이하(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또한 A형 스프링식 경도 시험기에 있어서의 경도가 100 이하(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영구 왜곡이 지나치게 크면, 진동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 기기의 필터 피장착부(53)(도3 참조)와 통형 부품(11)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경도가 지나치게 크면, 필터 피장착부(53)에 통형 부품(11)을 장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측 개구부(13)의 두께를 내측 몸통부(171)의 두께와 외측 몸통부(173)의 두께를 합한 두께 이상으로 조정하고 있으므로, 도3과 같이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53)를 삽입한 경우에, 필터 피장착부(53)에 충분한 긴축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필터 피장착부(53)로부터 통기 부재(100)가 간단하게는 탈락하지 않는다.
다음에, 통형 부품(11)의 필터측 개구부(15)에 고정하는 통기 필터(19)는 방진성, 방수성 및 통기성을 겸비한 소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물방울의 침입을 방지하는 정도이면,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네트, 구멍 직경 10 ㎛ 이상의 분말 소결 다공질체 또는 발포체를 통기 필터(19)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소재를 복수 종류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고, 다층화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표면이 친수성인 경우에는, 불소계나 실리콘계 등의 발수 발유제로 코팅하도록 해도 좋다.
높은 방수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지의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수지 다공질막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질막의 구멍 직경은 10 ㎛ 이하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전술한 발수 발유제를 코팅하도록 해도 좋다. 충분한 방수성을 기대하는 관점으로부터,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1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막을 통기 필터(19)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 필터(19)를 통형 부품(11)의 필터측 개구부(15)에 열 용착하고 있지만, 접착제를 이용하는 등의 다른 수단으로 고정해도 좋다. 또한, 통기 필터(19)를 통형 부품(11)에 고정하지 않고, 커버 부품(31)에 장착해 두도록 해도 좋다.
도7은 통형 부품을 끼워 넣는 측으로부터 본 커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커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품(31)은 대략 원 형상의 바닥부(35) 및 통형의 측벽부(39)에 의해 구성되고, 전체적으로는 물방울 등이 통기 필터(19)에 직접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적합한 캡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다. 커버 부품(31)의 바닥부(35)에는, 통기 필터(19)와 마주보는 측에 돌기 형상의 스페이서(33)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33)는 원 형상의 바닥부(35)의 주위 방향의 복수 부위(3군데 이상)에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1 및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부품(11)을 커버 부품(31)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스페이서(33)는 필터측 개구부(15)를 따라 통형 부품(11)을 지지하여, 통기 필터(19)가 커버 부품(31)의 바닥부(35)에 밀착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 결과, 통기로(AR2)로서 기능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 부품(31)의 측벽부(39)에는, 통형 부품(11)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3개 이상)의 고정편(37)이 바닥부(35)의 스페이서(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편(37)은 측벽부(39)의 내주면을 따라 후방측, 즉 커버 부품(31)이 개방되어 있는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다. 고정편(37)에는, 통형 부품(11)이 커버 부품(31)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한 테이퍼(TS)가 부여되어 있다. 고정편(37)의 내부 모서리가 스페이서(33)의 내부 모서리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므로, 통형 부품(11)을 커버 부품(31)에 밀어 넣었을 때, 스페이서(33)에 접촉할 때까지 통형 부품(11)을 전진시킬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부품(11)을 커버 부품(31)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에서는, 커버 부품(31)의 측벽부(39)가 통형 부품(11)을 주위 방향으로 둘러싼다. 중심 축선(O)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커버 부품(31)의 고정편(37)은 필터측 개구부(15)와 몸통부(17)에 걸쳐지는 넓은 범위에서 통형 부품(11)을 조인다. 통형 부품(11)의 탄성 변형에 의한 긴축력의 발휘에는, 내측 몸통부(171) 및 외측 몸통부(173)의 양방이 기여하므로, 커버 부품(31)과 통형 부품(11)의 조립은 견고한 것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버 부품(31)은 통형 부품(11)과 마찬가지로, 공지의 사출 성형법으로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커버 부품(31)의 소재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BS 등의 고무 탄성을 갖지 않는 경질의 열가소성 수지로 할 수 있다. 통형 부품(11)을 엘라스토머, 커버 부품(31)을 경질인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통형 부품(11)을 탄성 변형시켜 커버 부품(31)의 내측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변형하는 통형 부품(11)에 고정편을 설치하지 않고, 커버 부품(31)에 고정편(37)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통형 부품(11)을 커버 부품(31)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에서는, 경질의 고정편(37)은 중심 축선(O)을 향하는 방향의 강한 힘을 통형 부품(11)에 미치게 하기 때문에, 커버 부품(31)으로부터 통형 부품(11)을 뽑아내는 데 큰 힘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나사 고정 등의 다른 고정 수단은 물론, 탈락 방지용 스토퍼마저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통기 부재(100)에서 채용하는 통형 부품(11)과 같이, 필터측 개구부(15)의 개구 면적을 가능한 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필터측 개구부(15)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필터측 개구부(15)의 두께가 부족하면, 통형 부품(11)과 커버 부품(31)을 고정하는 데 필요한 탄성 복귀력이 약해진다고 생각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고정편(37)에 의하면, 그러한 문제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53)를 통형 부품(11)에 삽입하면, 통형 부품(11)의 내측으로부터도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커버 부품(31)만 탈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매우 어렵다.
물론, 커버 부품(31)을 엘라스토머로 형성하고, 통형 부품(11)을 경질의 수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편을 통형 부품(11)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대상인 하우징(51)에 설치된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53)는 경질의 수지제나 금속제이다. 따라서, 통형 부품(11)을 엘라스토머로 형성해 두면, 이러한 필터 피장착부(53)에 간단히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통기 부재(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기기의 하우징(51)의 필터 피장착부(53)에 통기 부재(100)를 장착하였을 때에, 통기 부재(100)가 초래하는 작용을 설명한다. 이제, 하우징(51)의 내압이 외압보다도 높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하우징(51) 내의 가스(공기)는 접속측 개구부(13)로부터 통형 부품(11)의 통기로(AR1)에 침입한다. 가스는 내측 몸통부(171)의 전단부면(171a)과 통기 필터(19) 사이의 간극으로도 퍼진다. 통기 필터(19)를 통과(투과)한 가스는, 통기 필터(19)와 커버 부품(31)의 바닥부(35) 사이의 통기로(AR2)에 도달한다. 통기로(AR2)에 도달한 가스는 인접하는 고정편(37, 37) 사이에 형성된 통기로(AR3)를 경유하여 통기 부재(100)의 외부로 확산된다.
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형 부품(12)을 채용한 통기 부재(101)도 적합하다. 통기 부재(101)는 도1 등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커버 부품(31)을 구비한다. 다른 것은, 통형 부품(12)의 내부 구조이다.
도4에 도시하는 통형 부품(12)은, 접속측 개구부(14)의 개구 면적보다도 필터측 개구부(16)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통형 부품(11)과 공통된다. 구체적으로, 통형 부품(12)은 중심 축선(O)을 포함하는 단면(도4의 단면)에 있어서, 접속측 개구부(14)와 필터측 개구부(16) 사이의 몸통부(18)의 내주면(18p)이 중심 축선(O)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몸통부(18)는 필터측 개구부(16)의 측(전방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주면(18p)을 테이퍼시킴으로써 양단부의 개구 직경(개구 면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형 부품(12)은 사출 성형시의 냉각 시간이라는 관점에서는 전술한 통형 부품(11)에 미치지 않지만, 형상이 비교적 단순하므로 금형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9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제2 실시 형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통기 부재의 사시도이다. 단 도9에서는 통기 필터(19)를 생략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200)의 적용 대상 및 기능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통기 부재(100)와 마찬가지이다. 필터측 개구부(65)의 개구 면적을 접속측 개구부(63)의 개구 면적보다도 크게 하고, 이에 의해 통기 필터(19)의 유효 면적의 확대를 도모하여, 단위 시간당의 통기량을 높이는 점도 공통된다. 앞의 실시 형태와의 주요한 차이점은, 통형 부품(61)과 커버 부품(81)의 상대 위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정편(97)을, 통형 부품(61)과 일체 형성한 점이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부재(200)는 통형 부품(61), 통기 필터(19) 및 커버 부품(81)을 구비하고 있다. 통형 부품(61)은 환기를 행하는 기기를 접속하는 개구부인 접속측 개구부(63)와, 통기 필터(19)를 장착하는 개구부인 필터측 개구부(65)와, 접속측 개구부(63)와 필터측 개구부(65) 사이의 몸통부(67)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67)의 내부는, 접속측 개구부(63)와 필터측 개구부(65)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 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이 통기로(AR4)를 구성하고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부품(61)의 몸통부(67)는, 관통 구멍[통기로(AR4)] 내에 노출되는 단차면(61p)을 갖는 단차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차면(61p)을 경계로 하여 몸통부(67)가 직경 확대되어, 개구 면적이 큰 필터측 개구부(65)와, 개구 면적이 작은 접속측 개구부(63)를 만들어내고 있다.
도13 및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품(81)은 제1 실시 형태의 커버 부품(31)으로부터 고정편(37)을 생략한 것이다. 즉, 커버 부품(81)의 바닥부(95)에는 스페이서(93)가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93)에 통형 부품(61)이 착좌됨으로써, 통기 필터(19)가 바닥부(95)에 밀착하는 것이 방지되고, 통기로(AR5)가 형성된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 부품(61)과 커버 부품(81)을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고정편(97)은, 단차면(61p)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통형 부품(61)의 몸통부(67)의 주위 방향 복수 부위에 일정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고정편(97)은 중심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고 있다. 외측 방향으로의 고정편(97)의 돌출량은, 필터측 개구부(65)의 외경보다도 크게 조정되고 있다. 따라서, 커버 부품(81)에 통형 부품(61)을 끼워 넣은 장착 상태에서는, 고정편(97)이 커버 부품(81)의 측벽부(99)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고정편(97) 및 몸통부(67)가 탄성 변형된다. 이 결과로서, 통형 부품(61)에 긴축력이 작용하여, 통형 부품(61)은 커버 부품(81)의 내측에 고정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부품(61)을 커버 부품(81)에 끼워 넣은 장착 상태에서는, 통기 필터(19)(도시 생략)와 커버 부품(81)의 바닥부(95) 사이에 통기로(AR5)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통형 부품(61)의 외주면과 커버 부품(8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통기로(AR6)가 형성된다. 통기 필터(19)를 개재시켜, 통기로(AR4)와 통기로(AR5, AR6) 사이에서 가스가 유통 가능하다.
또, 통기 필터(19), 통형 부품(61) 및 커버 부품(81)의 소재에 관한 설명은, 앞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한다.
통형 부품과 커버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에 관하여 말하면,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커버 부품측에 설치하는 경우와,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통형 부품측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조합의 예로서, 통형 부품과 커버 부품의 각각에 고정편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15는 본 발명의 통기 부재의 제3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의 통기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부재(300)는 통형 부품(102), 통기 필터(19) 및 커버 부품(110)을 구비하고 있다. 통형 부품(102)은 대략 원통형이며, 그 내부에는 제1 통기로(BR1)와, 그 제1 통기로(BR1)로부터 분리된 제2 통기로(BR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통기로(BR1)는 기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직접 연결되는 통기로이다. 제2 통기로(BR2)는 기기의 하우징 및 통기 부재(300)의 외부의 공간에 직접 연결되는 통기로이다. 커버 부품(110)은 내측에 통형 부품(102)이 끼워 넣어지는 부품이며, 통기 필터(19)와의 사이에 공극(TH)을 형성하는 바닥부(112)와, 통형 부품(102)을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바닥부(11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측벽부(114)와, 통형 부품(102)이 바닥부(112)에 밀착하는 것을 저지하여 공극(TH)의 형성을 돕는 스페이서(116)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부품(110)은,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대략 공통의 구조를 갖는다.
통기 필터(19)는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 및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를 막도록 통형 부품(102)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필터(19)와 커버 부품(110) 사이의 공극(TH) 및 통기 필터(19)를 개재시켜, 제1 통기로(BR1)와 제2 통기로(BR2) 사이를 가스가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통기로(BR1)로부터 제2 통기로(BR2)의 방향 또는 그 역방향을 향하는 가스는, 통형 부품(102)의 내부 및 통기 필터(19)를 각각 2회 통과하는 것이 되어,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에 보다 우수한 통기 부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16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114)와 통형 부품(102)은 주위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간극없이 밀착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300)에 따르면, 제2 통기로(BR2)를 유통하는 가스만이 기기의 하우징의 내외를 왕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커버 부품(110)과 통형 부품(102)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되므로, 이물질에 대한 내구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구체적으로, 통형 부품(102)은, 제1 통기로(BR1)가 형성된 내측 부분(106)과, 그 내측 부분(106)과의 사이에 제2 통기로(BR2)를 형성하는 외측 부분(108)을 포함한다. 내측 부분(106)은 기기의 하우징이 직접 접속되는 부분이며, 외측 부분(108)은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114)에 직접 밀착하는 부분이다. 이들 내측 부분(106) 및 외측 부분(108)은 서로 동심 형상의 배치를 취하고 있고, 통기 필터(19)를 장착하는 측에 있어서, 내측 부분(106)의 단부면과 외측 부분(108)의 단부면이 동일면이다. 그리고,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와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가 공통의 통기 필터(19)에 의해 막혀 있다. 즉, 통기 필터(19)와 커버 부품(110) 사이의 공극(TH)과 제1 통기로(BR1)가 통기 필터(19)에 의해 구획되는 동시에, 상기 공극(TH)과 제2 통기로(BR2)가 마찬가지로 통기 필터(19)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만일, 통기 필터(19)의 일부에 손상이 생겼다고 해도, 제1 통기로(BR1)를 막고 있는 영역 부분과, 제2 통기로(BR2)를 막고 있는 영역 부분의 어느 한쪽이 건재하는 한, 당해 통기 부재(300)의 기능은 잃게 되지 않아 문제없이 사용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부분(106)과 외측 부분(108) 사이에는, 양자와 일체 형성된 연결부(109)가 주위 방향의 복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연결부(109, 109)끼리의 사이에 복수의 제2 통기로(BR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109)에 따르면, 내측 부분(106)과 외측 부분(108) 사이에 제2 통기로(BR2)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연결부(109)는 내측 부분(106) 및 외측 부분(108)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구성할 수 있다. 통형 부품(102)을 커버 부품(110)의 내측에 끼워 넣었을 때, 연결부(109)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114)와 통형 부품(102)이 주위 방향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간극없이 밀착한다. 그로 인해, 통형 부품(102)을 커버 부품(110)의 내측에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하우징(51)의 필터 피장착부(53)(도3 참조)에의 통기 부재(300)의 장착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 부품(110)의 스페이서(116)의 위치를 연결부(109)의 위치에 대응시키면, 즉 스페이서(116)의 배치 간격과 연결부(109)의 배치 간격을 일치시키면 좋다. 이렇게 하면, 제2 통기로(BR2)가 스페이서(116)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형 부품(102)의 축선(O)을 포함하도록 제1 통기로(BR1)를 중앙에 1개만 형성하고, 그 제1 통기로(BR1)를 둘러싸도록 제2 통기로(BR2)를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복수 부위(5군데)에 형성하고 있다. 제2 통기로(BR2)의 형성수는, 통형 부품(102)과 커버 부품(110)의 조립 강도를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 내지 15군데(바람직하게는 3 내지 8군데)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통형 부품(102)과 커버 부품(110)의 조립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과, 공간 절약화를 양립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에 관한 내측 부분(106)의 두께 및 외측 부분(108)의 두께는, 각각 예를 들어 0.5 ㎜ 이상 1.0 ㎜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통기 필터(19)의 두께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고,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통기 필터(19)가 위치하는 측을 전방측, 기기의 하우징이 위치하는 측을 후방측으로 정의한 경우, 내측 부분(106)의 후방측 단부(106t)가 외측 부분(108)의 후방측 단부(108t)보다도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통기 부재(300)를 기기의 하우징에 장착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과 통형 부품(102)의 외측 부분(108)과의 거리를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한 물방울이나 오일 방울이 표면 장력의 작용으로 통형 부품(102)의 외측 부분(108)에 도달하여, 제2 통기로(BR2)가 물방울이나 오일 방울에 의해 막히거나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내측 부분(106)의 후방측 단부(106t)의 돌출량(h)을, 예를 들어 0.5 ㎜ 이상 2 ㎜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통기 부재(300) 전체의 치수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상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의 면적과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의 면적의 대소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하기 (1) 내지 (3)의 어떤 패턴도 채용 가능하다.
(1)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의 면적을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의 면적(합계 면적)보다도 크게 한다.
(2)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의 면적을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의 면적(합계 면적)보다도 작게 한다.
(3) 양 면적을 동일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의 면적을 20 ㎟ 이상 130 ㎟ 이하(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60 ㎟ 이하)로 하고,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의 면적을 5 ㎟ 이상 140 ㎟ 이하(바람직하게는 5 ㎟ 이상 60 ㎟ 이하)로 할 수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방의 통기로(BR1, BR2)를 통기 필터(19)로 막고 있으므로, 한쪽 통기로를 기초로 하는 개구의 면적을 다른 쪽 통기로를 기초로 하는 개구의 면적에 비해 지나치게 크게 하면, 통기 저항의 증대가 우려된다. 따라서,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의 면적(S3)과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의 면적(S4)과의 비(S3/S4)를, 0.3 이상(바람직하게는 0.8 이상)으로 하고, 또한 양자의 면적차의 절대값|S3 - S4|를 120 ㎟ 이하(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제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6의 단면도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통형 부품(102)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선(O)을 포함하는 단면을 관찰하였을 때, 통형 부품(102)의 외주면 및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114)의 내주면이 축선(O)에 대해 약간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통형 부품(102)과 커버 부품(110)의 조립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51)의 필터 피장착부(53)(도3 참조)와 통기 부재(300)의 조립 강도도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면에 나타나는 통형 부품(102)의 외주면[또는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114)의 내주면]과 축선(O)이 이루는 각도가 2°이상 15°이하(더 바람직하게는 3°이상 10°이하)로 하는 것이다.
또한, 도17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300')와 같이,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03)만을 통기 필터(19)로 막고,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04)를 통기 필터(19)로 막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통기로(BR2)는, 통기 필터(19)를 개재시키지 않고, 통기 필터(19)와 커버 부품(110)의 바닥부(112)와의 사이의 공극(TH)에 직접 연결된다. 즉,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외부 또는 그 반대로 향하는 가스는, 통기 필터(19)를 1회만 통과하게 되어, 통기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통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통기로(BR2) 중 적어도 하나를 통기 필터(19)로 막도록 하고, 나머지를 도17의 예와 같이 막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15 내지 도17에서 설명한 통형 부품(102) 대신에, 이하에 설명하는 통형 부품을 채용할 수 있다.
도18에 도시하는 통형 부품(120)은 제2 통기로(BR2)의 형상을 고안한 것이다. 즉, 이 통형 부품(120)에서는,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25)의 형상과,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26)의 형상을 공통의 원형으로 하고 있다. 내측 부분(121)에 제1 통기로(BR1)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부분(121)과 외측 부분(122) 사이에 제2 통기로(BR2)가 형성되어 있는 점은, 이미 설명한 통형 부품과 공통이다.
다음에, 도19에 도시하는 통형 부품(130)은, 외측 부분(132)이 내측 부분(131)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내측 부분(131)과 외측 부분(132)에 개재되는 연결부(138)는 외측 부분(132)과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가 대략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통기 필터(19)는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35)만을 막도록 내측 부분(131)에 장착할 수 있다.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36)는 통기 필터(19)에 의해 막히지 않고, 축선 방향의 전방측에 노출된다. 즉, 이 연결부(138)는 커버 부품(110)과 통기 필터(19)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스페이서에 겸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커버 부품(110)의 스페이서(116)가 불필요하다.
또한, 통형 부품(130)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리브(137)를 외측 부분(132)의 외주면 상에 갖는다. 이와 같은 리브(137)가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면, 통형 부품(130)과 커버 부품(110)의 조립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리브(137)를 도15에 도시하는 통형 부품(102)이나 도18에 도시하는 통형 부품(120)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리브를 커버 부품(110)의 측벽부의 내주면 상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리브(137)는 1열만 설치해도 좋지만, 통형 부품(130)과 커버 부품(110) 사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도19의 통형 부품(130)과 같이, 축선 방향의 상하로 복수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20에 도시하는 통형 부품(140)은, 내측 부분(141)이 외측 부분(142)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기 필터(19)는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45)만을 막도록 내측 부분(141)에 장착할 수 있다.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46)는 통기 필터(19)로 막지 않도록 하면, 높은 통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리브(147)는 통형 부품(140)과 커버 부품(110)의 조립 강도를 높인다.
다음에, 도21 도시하는 통형 부품(150)은, 제1 통기로(BR1) 및 제2 통기로(BR2)가 각각 1군데씩 형성된 것이다.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55)의 크기는, 지금까지 설명해 온 통형 부품과 같지만,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56)의 면적은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통기로(BR1)를 기초로 하는 개구(155)만을 막도록 통기 필터(19)의 치수 조정을 행하고 있고, 제2 통기로(BR2)를 기초로 하는 개구(156)는 통기 필터(19)에 의해 막혀 있지 않다. 따라서, 이 통형 부품(150)에 의해서도 우수한 내구성과 양호한 통기 성능과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통형 부품(150)도 축선 방향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부분(151)과, 그 내측 부분(151)과의 사이에 제2 통기로(BR2)를 형성하는 외측 부분(152)을 갖는다. 물론, 리브(157)를 설치할 수 있다.
100: 통기 부재
11: 통형 부품
13: 접속측 개구부
15: 필터측 개구부
17: 몸통부
31: 커버 부품
33: 스페이서
35: 바닥부
37: 고정편

Claims (6)

  1. 환기를 필요로 하는 대상물을 위한 통기로가 내부에 형성된 통형 부품과,
    상기 통형 부품의 한쪽 개구부에 배치되는 통기 필터와,
    내측에 상기 통형 부품이 끼워 넣어지는 커버 부품을 구비한 통기 부재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품은, 상기 대상물을 접속하는 측의 개구부인 접속측 개구부와, 상기 통기 필터로 막힌 개구부인 필터측 개구부와, 상기 접속측 개구부와 상기 필터측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몸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품은, 상기 통형 부품을 상기 통기 필터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끼워 넣은 장착 상태로 되었을 때에 상기 통기 필터와 마주보는 바닥부와, 상기 필터측 개구부 및 상기 몸통부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품의 바닥부와 상기 통기 필터 사이, 및 상기 커버 부품의 측벽부와 상기 통형 부품의 몸통부 사이에, 외부로 통하는 통기로로서 기능하는 공극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부품은, 고무 탄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통형 부품은, 엘라스토머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 부품은, 상기 측벽부의 내벽 상에 상기 커버 부품의 개구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고정편을 갖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품의 상기 몸통부는 외주면 및 내주면을 갖고,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이 상기 외주면에 접하며,
    노즐 형상의 필터 피장착부가 상기 내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통기 부재를 상기 피장착부에 끼워 넣었을 때, 상기 피장착부와 상기 고정편 사이에 상기 몸통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탄성 변형하는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품은 커버 부품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한 테이퍼가 부여되어 있는 통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품은 상기 장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필터측 개구부를 따라 상기 통형 부품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커버 부품의 바닥부와 상기 통기 필터 전체의 밀착이 저지되어, 상기 커버 부품의 바닥부와 상기 통기 필터 사이의 공극이 확보되는 통기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필터는 상기 통형 부품에 고정되어 있는 통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탄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ABS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엘라스토머는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또는 불소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기 부재.
KR1020137005344A 2005-08-24 2006-08-23 통기 부재 KR101270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243271 2005-08-24
JP2005243271 2005-08-24
JPJP-P-2006-166686 2006-06-15
JP2006166686A JP4836677B2 (ja) 2005-08-24 2006-06-15 通気部材
PCT/JP2006/316473 WO2007023842A1 (ja) 2005-08-24 2006-08-23 通気部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46A Division KR101270328B1 (ko) 2005-08-24 2008-03-21 통기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942A KR20130038942A (ko) 2013-04-18
KR101270331B1 true KR101270331B1 (ko) 2013-05-31

Family

ID=377715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344A KR101270331B1 (ko) 2005-08-24 2006-08-23 통기 부재
KR1020087006846A KR101270328B1 (ko) 2005-08-24 2008-03-21 통기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846A KR101270328B1 (ko) 2005-08-24 2008-03-21 통기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414672B2 (ko)
EP (2) EP2236918B1 (ko)
JP (1) JP4836677B2 (ko)
KR (2) KR101270331B1 (ko)
TW (1) TWI433713B (ko)
WO (1) WO2007023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0529B2 (ja) * 2007-09-03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5122347B2 (ja) * 2008-04-04 2013-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4986961B2 (ja) * 2008-09-05 2012-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CN102239351B (zh) * 2008-11-06 2016-04-13 日本奥亚特克斯股份有限公司 通气栓
JP5352253B2 (ja) * 2009-01-21 2013-11-2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06126B1 (ko) 2009-07-22 2011-01-07 (주)위즈덤 세미컨덕터 조명기구
DE102009054038A1 (de) * 2009-11-20 2011-05-26 Neoperl Gmbh Wasserführender Leitungsabschnitt mit einem Belüftungskanal
JP2011181220A (ja) * 2010-02-26 2011-09-1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DE102010003256B4 (de) * 2010-03-25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ruckausgleichselemente für ein gegenüber der Umgebung abgeschlossenes Gehäuse und Gehäuse
JP5684634B2 (ja) * 2010-04-09 2015-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2011233580A (ja) * 2010-04-23 2011-11-1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気筐体
KR101637913B1 (ko) * 2010-09-17 2016-07-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5666336B2 (ja) * 2011-02-15 2015-02-12 東海興業株式会社 複合成形品
JP5791784B2 (ja) * 2011-04-27 2015-10-07 ピールブルグ パンプ テクノロジ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Pierburg Pump Technology GmbH 自動車分野で使用する電気的なコンポーネントのためのハウジングユニット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JP5792603B2 (ja) * 2011-11-28 2015-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DE102012204653A1 (de) * 2012-03-22 2013-09-26 Trilux Gmbh & Co. Kg Leuchte mit Druckausgleichsvorrichtung
ITMI20120654A1 (it) * 2012-04-19 2013-10-20 Gvs Spa Elemento di ventilazione di un involucro contenente un organo elettrico, meccanico o elettromeccanico
KR101284669B1 (ko) * 2012-08-22 2013-07-16 (주)마루엠씨에스 산업용 배터리의 어댑터 플러그
JP2014102970A (ja) 2012-11-20 2014-06-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2015033682A (ja) 2013-08-09 2015-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及び通気部材
USD763083S1 (en) 2013-11-08 2016-08-09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USD748472S1 (en) 2013-11-08 2016-02-02 W.L. Gore & Associates Gmbh Vent
DE102013019181B3 (de) * 2013-11-18 2015-03-19 Mann + Hummel Gmbh Tankbelüftungsfilter
DE102013019328B4 (de) * 2013-11-20 2019-02-21 Mann+Hummel Gmbh Tankbelüftungsfilter mit einer Einschnürung im Lufteinlassbereich
USD748227S1 (en) 2014-02-24 2016-01-26 W. 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USD749197S1 (en) 2014-02-24 2016-02-09 W. L. Gore & Associates Gmbh Vent cap
JP2015170473A (ja) * 2014-03-06 2015-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US9332662B2 (en) 2014-04-24 2016-05-03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US9242198B2 (en) * 2014-04-24 2016-01-26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JP5944955B2 (ja) * 2014-07-24 2016-07-05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通気非透水装置
WO2016112273A1 (en) * 2015-01-08 2016-07-14 Trafalgar Associates, LLC Filtration devices for use in automotive airbag applications and related methods
US10687431B2 (en) 2015-02-18 2020-06-16 Gvs S.P.A. Element for improved ventilation of a housing containing an electrical, electronic, mechanical or similar device
JP6390531B2 (ja) * 2015-06-11 2018-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収容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電子装置
DE102015217112B4 (de) * 2015-09-08 2021-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tlüftung für ein Getriebe
JP6721978B2 (ja) 2015-12-15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ランプ
JP7034581B2 (ja) * 2016-08-30 2022-03-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KR101885138B1 (ko) * 2016-12-14 2018-08-03 (주)코멤텍 통기성 캡
KR102021145B1 (ko) * 2017-01-25 2019-09-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캡 타입 벤트
KR102452791B1 (ko) * 2018-02-20 2022-10-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통기성 캡
CN111937503B (zh) * 2018-04-16 2023-10-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通气过滤器和射频拉远单元
US20190331312A1 (en) * 2018-04-25 2019-10-31 Jute Industrial Co., Ltd. Breathable element for lighting of vehicle
US10281107B1 (en) * 2018-06-26 2019-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p assembly and vent body for a light housing on a vehicle
JPWO2020075856A1 (ja) * 2018-10-11 2021-09-02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アセンブリ及び通気筐体
US11346524B2 (en) 2018-10-11 2022-05-31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housing
CN111316763B (zh) 2018-10-11 2023-03-07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组件及通气壳体
KR20210068558A (ko) *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CN111316764B (zh) 2018-10-11 2022-12-02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壳体
DE112019005772T5 (de) * 2019-01-17 2021-07-29 Hitachi Astemo, Ltd. Elektronische steuereinheit
JP6762630B1 (ja) * 2020-01-08 2020-09-30 東和化学株式会社 通気防水構造体
CN111359063B (zh) * 2020-03-27 2021-11-12 成都远控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雾疗用器具
KR20210121783A (ko) * 2020-03-31 2021-10-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기성 캡
DE102021102444A1 (de) * 2021-02-03 2022-08-04 Carl Freudenberg Kg Druckausgleichsvorrichtung und Gehäuse, das die Druckausgleichsvorrichtung umfass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4A (ja) 1999-11-18 2001-05-25 Nitto Denko Corp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030A (en) 1978-09-11 1980-03-17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US4256474A (en) * 1978-11-20 1981-03-17 Finite Filter Company, Inc. Filter housing and filter assemblies utilizing the same
US4401093A (en) * 1982-06-09 1983-08-30 Ford Motor Company Oil fill/air breather cap with integral oil separator
JPS609522A (ja) * 1983-06-28 1985-01-18 Nippon Steel Corp Uo鋼管のcプレス成形用金型交換法及び装置
JPS609522U (ja) * 1983-07-01 1985-01-23 東洋電装株式会社 防水型空気濾過器
US4673423A (en) * 1985-07-23 1987-06-16 Mack Trucks, Inc. Split flow particulate filter
JPS62163671A (ja) 1986-01-10 1987-07-20 Takizawa Ham Kk 肉加工食品の製造方法
US4765499A (en) * 1987-12-29 1988-08-23 Von Reis Charles Filter cap
EP0377067A1 (de) * 1989-01-05 1990-07-11 W.L. Gore & Associates GmbH Sperrvorrichtung für abgedichtete Gehäuse
US4957518A (en) * 1989-06-06 1990-09-18 Brassell Gilbert W Assembly useful for retaining components such as a filter to a container and a corresponding combination
JP2699203B2 (ja) 1989-09-18 1998-01-19 羽田ヒューム管株式会社 穴明け位置の罫書装置
US5348570A (en) * 1993-04-05 1994-09-2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xle housing breather
US5509949A (en) * 1994-09-19 1996-04-23 Eaton Corporation Apparatus for venting a transmission
JP3219700B2 (ja) 1996-09-18 2001-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ベントフィルタ部材
US5891223A (en) * 1997-08-20 1999-04-06 Ultratech International, Inc. Multi-stage vent filter
US6015444A (en) * 1998-02-27 2000-01-18 Eaton Corpor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venting a transmission
US6274209B1 (en) * 1998-06-25 2001-08-14 Argo Ag Plastic Packaging Semipermeable venting closure
US6521024B1 (en) * 1999-03-18 2003-02-18 Nok Corporation Seal plate and pressure adjusting mechanism for the seal plate
US6524361B1 (en) * 2000-10-26 2003-02-25 Hubbell Incorporated Micro-porous filter
DE10053681B4 (de) * 2000-10-28 2004-08-26 W.L. Gore & Associates Gmbh Gehäuse mit mindestens einem EMI abschirmender Kunststoffkörper bzw. Be- und Entlüft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unststoffkörpers
US6447565B1 (en) * 2001-05-03 2002-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vent assembly
JP2003336874A (ja) *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US20050051476A1 (en) * 2003-09-10 2005-03-10 Tsao-Shin Chen Filtering device for a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7678169B1 (en) * 2006-07-12 2010-03-16 Cummins Filtration Ip Inc. Oil fill cap with air/oil sepa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4A (ja) 1999-11-18 2001-05-25 Nitto Denko Corp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36677B2 (ja) 2011-12-14
TWI433713B (zh) 2014-04-11
US8414672B2 (en) 2013-04-09
US9168489B2 (en) 2015-10-27
US20140090561A1 (en) 2014-04-03
US8715382B2 (en) 2014-05-06
TW200724218A (en) 2007-07-01
JP2007087929A (ja) 2007-04-05
KR20130038942A (ko) 2013-04-18
EP1939523A1 (en) 2008-07-02
EP1939523B1 (en) 2018-06-06
US20130139484A1 (en) 2013-06-06
KR101270328B1 (ko) 2013-05-31
EP2236918B1 (en) 2014-12-17
EP2236918A2 (en) 2010-10-06
WO2007023842A1 (ja) 2007-03-01
KR20080052603A (ko) 2008-06-11
US20090084078A1 (en) 2009-04-02
EP2236918A3 (en) 2014-01-22
EP1939523A4 (en) 201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31B1 (ko) 통기 부재
JP5335035B2 (ja) 通気部材
JP4953663B2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4672530B2 (ja) 通気部材
JP2007087666A (ja)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KR101381129B1 (ko) 하우징용 압력 보상 소자 및 상기 압력 보상 소자를 구비한 차량 전기 부품
JP2004298870A (ja) フィルタ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020009528A (ko) 에어밴트와 그 에어밴트 결합방법
JP7399893B2 (ja) 通気部品及び通気構造
JP4325289B2 (ja) 磁石発電機の回転子
KR101701473B1 (ko) 자동차용 통기 캡
JP2022040632A (ja) 電子装置
JP2005222856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