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558A - 통기 하우징 - Google Patents
통기 하우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8558A KR20210068558A KR1020217013650A KR20217013650A KR20210068558A KR 20210068558 A KR20210068558 A KR 20210068558A KR 1020217013650 A KR1020217013650 A KR 1020217013650A KR 20217013650 A KR20217013650 A KR 20217013650A KR 20210068558 A KR20210068558 A KR 202100685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member
- ventilation
- housing
- ventilation assembly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86 pull-ou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55 polyphenylene 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55 Adhesive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81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00 acrylic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26 co-polymer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TZKZFJDLAIYFH-UHFFFAOYSA-N ether Substances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3 fluoro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21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010 per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3 reinforcing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3 thermal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15 titanium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3—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onstructed for making articles provided with ho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통기 하우징은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며, 또한 하우징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 돌기를 구비하고, 통기 어셈블리는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의 내부 부재와, 내부 부재의 한쪽의 단부의 개구를 덮는 통기막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이고, 내측에 내부 부재가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내부 부재와 접합하는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단부의 개구에 돌기가 삽입되어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아 돌기에 고정되고, 내부 부재의 내부, 외부 부재의 내부 및/또는 양쪽의 부재 사이에 통기막과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제2 공간의 총 면적 S2min의 비가 1.0 이상, 면적 S1과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의 비가 1.0 초과. 이 통기 하우징은 하우징 내외의 투습 성능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기 어셈블리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램프,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배터리 팩, 레이더 및 카메라 등의 차량 탑재용 전장 부품, 그리고 가정용, 의료용, 오피스용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하우징의 내외의 통기를 확보하거나, 하우징 내부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기 위한 통기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어셈블리에는 통기성 이외에도, 고정되는 구체적인 전장 부품 등에 따라, 하우징 내로의 더스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진성,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성, 기름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유성 및 염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CCT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통기성 및 요구되는 각종 특성을 충족할 수 있는 통기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기 어셈블리를 도 28에 도시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01)는, 양쪽의 단부(108, 109)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102)와, 내부 부재(102)의 한쪽의 단부(108)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103)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인 외부 부재(104)를 구비한다. 내부 부재(102)는, 내부 부재(102)의 외주면(116)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7)를 갖는다. 외부 부재(104)는, 외부 부재(104)의 내측에 내부 부재(102)가 단부(108) 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이며, 또한 돌출부(117)의 선단면(118)이 외부 부재(104)의 내주면(119)과 맞닿음으로써, 내부 부재(102)와 접합되어 있다. 외부 부재(104)는, 통기 어셈블리(10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저부의 내면(105)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06)를 구비한다. 돌기부(106)는, 내부 부재(102)의 단부(108)에 배치된 통기막(103)에 맞닿아 있다. 돌기부(106)의 맞닿음에 의해, 외부 부재(104)와 통기막(103)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101)는, 통기 어셈블리(101)의 외부와 통기막(103)을 접속하는 통기로(115)로 되는 공간(107)을, 외부 부재(104)의 저부의 내면(105)과 통기막(103) 사이, 및 내부 부재(102)의 외주면과 외부 부재(104)의 내주면 사이에 갖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101)는, 하우징(111)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11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110)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112)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부재(102)의 다른 쪽의 단부(109)에 있어서의 개구로부터 돌기(112)를 내부 부재(102)에 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101)는 돌기(112)에 고정된다. 통기 어셈블리(101)가 고정된 상태로, 돌기(112) 및 통기 어셈블리(101)를 통한 하우징(111)의 내외의 통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하우징의 내외의 투습 성능이 우수한 통기 하우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이고, 내측에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부 부재와 접합하는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상기 통기막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2 공간의 단면의 면적을 상기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이 1.0 이상이고,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상기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이 1.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따르면, 상기 비율 S2min/S1 및 비율 S2out/S1에 대하여 상기 제어가 이루어진 통기 하우징은 우수한 투습 성능을 발현한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min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통기 하우징의 투습 성능(투습도)의 평가에 사용한 하우징 덮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하우징 덮개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하여, 비율 S2out/S1과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실시예 4 내지 12에 대하여, 투습도와 통기 거리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3은,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SS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 시에 내부 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인발된 참고예에 대하여, 비 H1/H2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5는, 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SS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참고예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7은, 실시예 5 내지 7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8은, 종래의 통기 어셈블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min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통기 하우징의 투습 성능(투습도)의 평가에 사용한 하우징 덮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하우징 덮개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하여, 비율 S2out/S1과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실시예 4 내지 12에 대하여, 투습도와 통기 거리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3은,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SS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 시에 내부 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인발된 참고예에 대하여, 비 H1/H2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5는, 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SS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참고예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7은, 실시예 5 내지 7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8은, 종래의 통기 어셈블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통기 하우징은,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이고, 내측에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부 부재와 접합하는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상기 통기막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2 공간의 단면의 면적을 상기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이 1.0 이상이고,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상기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이 1.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서는, 제1 양태의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6.0mm 이상 10mm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서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비율 S2out/S1이 1.5 이상이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양태의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상기 내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 부재에 의해 덮이는 부분의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6.0mm 이상 8.0mm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양태의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 및/또는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를 갖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 형태로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를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다. 도 1b에는, 도 1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는, 도 1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의 「O」는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A)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A)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의 분해 사시도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A)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통기 어셈블리(1A)는, 내부 부재(2)와 통기막(3)과 외부 부재(4)를 구비한다. 내부 부재(2)는, 양쪽의 단부(11A, 11B)에 개구(12A, 12B)를 갖는 통 형상체이다. 내부 부재(2)는, 양쪽의 단부가 개구로 된 개관 구조를 갖는다. 내부 부재(2)의 한쪽의 단부(11A)에 있어서의 개구(12A)를 덮도록, 통기막(3)은 당해 단부(11A)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부재(4)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이다. 외부 부재(4)는, 한쪽의 단부(42)가 개구이고, 다른 쪽의 단부가 저부(32)에 의해 폐쇄된 폐구인 폐관 구조를 갖는다. 외부 부재(4)는, 통기막(3)이 배치된 단부(11A) 측으로부터, 외부 부재(4)의 내측에 내부 부재(2)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 부재(2)와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부재(4)의 내측이란,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그 개구와 내주면(31)에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하고 있다. 외부 부재(4)는, 통기막(3)을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 비래하는 티끌이나 물 등의 이물로부터 통기막(3)을 보호하는 커버 부재로서 기능한다.
통기 어셈블리(1A)는, 통기막(3)과 통기 어셈블리(1A)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5)을 갖는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는, 내부 부재(2)에 접합된 외부 부재(4)의 외주면(40)과,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 사이에, 제2 공간(5)의 일부인 공간(5a)을 갖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1A)는, 접합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의 사이에 공간(5a)을 갖고 있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에서는,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통기막(3)이 이격되어 있다. 통기 어셈블리(1A)는, 서로 이격된 내면(33)과 통기막(3)의 사이에도, 제2 공간(5)의 일부로 되는 공간(5b)을 갖고 있다. 「통기로」는, 통기막과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의 사이를 기체가 왕래할 수 있는 경로이며, 예를 들어 통기막(3)을 투과하여 공간(5b)에 도달한 공기가, 공간(5b)으로부터 공간(5a)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통기 어셈블리(1A)의 외부에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체의 경로를 의미한다. 그 때문에, 공간(5a)과 같은 공간은, 접합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사이에 있는 것 외에, 내부 부재(2)의 내부나 외부 부재(4)의 내부에 있어도 「통기로」로 될 수 있다. 또한, 통기로는,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것의 기준으로서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내부 부재(2)의 다른 쪽의 단부(11B)에 있어서의 개구(12B)로부터 돌기(52)를 내부 부재(2)에 삽입하여,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과 돌기(52)의 외주면(58)이 맞닿은 상태로, 통기 어셈블리(1A)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된다. 통기 어셈블리(1A)의 고정 시에는, 내부 부재(2)의 관통 구멍(14)에는 돌기(52)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14)은,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에 둘러싸인, 단부(11A)와 단부(11B)를 접속하는 공간이다. 통기 어셈블리(1A)가 돌기(52)에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서는, 돌기(52)의 내측의 제1 공간(59), 내부 부재(2)의 관통 구멍(14), 통기막(3) 및 제2 공간(5)을 통하여, 하우징(51)의 내외의 통기를 확보 가능하다.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과 외주면(19) 사이의 거리인 두께 T1은 1.0mm 이상 3.0mm 이하여도 된다. 두께 T1의 하한은 1.1mm 이상, 1.2mm 이상, 나아가 1.3mm 이상이어도 된다. 두께 T1의 상한은 2.9mm 이하, 2.8mm 이하, 나아가 2.7mm 이하여도 된다. 이들 범위의 두께 T1을 내부 부재(2)가 갖는 경우, 통기 어셈블리(1)를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내부 부재(2)로서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예를 들어 내부 부재(2)에 외부 부재(4)를 접합할 때의 파손이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 T1은, 내부 부재(2)가 돌기(52)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내부 부재(2)는, 통기 어셈블리(1A)를 고정할 때 돌기(52)가 삽입되는 단부(11B)로부터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에 이르기까지, 두께 T1이 감소한 박육부(15)를 갖고 있다. 또한, 내부 부재(2)는, 박육부(15)와 그 이외의 부분의 경계에 단차(16)를 갖고 있다. 단차(16)는,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에 비하여,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단부(42)에 비하여 통기 어셈블리(1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 단차(16)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차(16)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의 거리가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와 동일한 위치에 있어도 된다(제5 실시 형태 참조). 박육부(15)를 갖는 내부 부재(2)에 따르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대한 통기 어셈블리(1A)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 효과는 박형화 등에 의해 내부 부재(2)의 내경이 작은 경우, 바꾸어 말하면, 돌기(52)에 삽입할 때 내부 부재(2)의 단부(11B)가 넓어지기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내부 부재(2)는, 통기막(3)이 배치된 단부(11A)측에 박육부(15)를 갖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외부 부재(4)를 내부 부재(2)에 접합하였을 때의 양쪽 부재(2, 4) 사이의 기욺이나, 하우징(51)의 돌기(52)에 삽입하였을 때의 내부 부재(2)의 기욺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내부 부재(2)의 두께 T1이 작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단차(16)에 있어서의 박육부(15)의 둘레면과 외주면(19)은, 중심축 O에 수직인 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데, 단차(16)에 있어서 박육부(15)의 둘레면과 외주면(19)을 접속하는 면은, 중심축 O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단부(11A)와 단부(11B) 사이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거리인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은 6.0mm 이상 10mm 이하여도 된다. 높이 H1의 상한은 9.5mm 이하, 9.0mm 이하, 나아가 8.5mm 이하여도 된다. 높이 H1의 하한은 6.0mm 이상, 6.5mm 이상, 7.0mm 이상, 나아가 7.5mm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 O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부재(2)의 중심축이다. 또한, 돌기(52)의 중심축은, 통상적으로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 O에 일치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내부 부재(2) 및 돌기(52)는 모두 원통이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돌기(52)의 외주면(58)의 직경 이하이다. 또한,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탄성체의 탄성률 및/또는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의 직경은, 예를 들어 돌기(52)에 대한 내부 부재(2)의 삽입의 용이성이나 하우징(51)-통기 어셈블리(1A) 사이의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 가능하다. 또한,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2)의 형상 및 통 형상인 돌기(52)의 형상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통인 내부 부재(2)의 내경은, 예를 들어 6.0 내지 8.0mm이다. 또한, 원통인 내부 부재(2)에 있어서, 외경에서 내경을 뺀 값의 절반이 상기 두께 T1에 상당한다.
외부 부재(4)는 바닥이 있는 원통이다.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그 주위벽(37)의 일부는, 외부 부재(4)의 내측을 향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주위벽(37)의 상기 돌출에 의해, 외부 부재(4)는, 중심축 O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홈(41)(41A, 41B, 41C, 41D)을 외주면(40)에 구비하고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각의 홈(41)은,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로부터 저부(32)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홈(41)의 부분 및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 주위벽(37)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단, 외주면(40)에 있어서의 홈(41)이 마련되는 위치, 인접하는 홈(41) 사이의 간격 및 홈(41)이 연장되는 방향, 그리고 외부 부재(4)의 단부(42)로부터 저부(32)까지의 사이에서 홈(41)이 연장되는 구간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홈(41)의 부분 및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 주위벽(37)의 두께는 달라도 된다.
홈(41)의 부분에 있어서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은, 중심축 O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기둥(A)의 둘레면에 일치하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외주면(19)과, 홈(41)의 부분에 있어서의 내주면(31)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상기 가상의 원기둥(A)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홈(4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의 간극(6A)은, 공간(5a)의 일부이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은, 당해 면(19)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지 않다. 외주면(19)은, 그 둘레 방향의 전체에 걸쳐 원기둥의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간극(6A)의 수는 4이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극(6A)의 수는 1 또는 2 이상이면 되며, 2 내지 8, 나아가 3 내지 6이어도 된다.
중심축 O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에 덮이는 부분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길이 D8은, 예를 들어 3.5mm 이상 10.5mm 이하여도 되고, 3.5mm 이상 9.0mm 이하, 6.0mm 이상 8.0mm 이하여도 된다. 길이 D8의 하한은 4.0mm 이상, 4.5mm 이상, 나아가 5.0mm 이상이어도 된다. 길이 D8의 상한은 9.0mm 이하, 8.5mm 이하, 나아가 8.0mm 이하여도 된다. 길이 D8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접합이 보다 확실하게 되어,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A)를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로부터 외부 부재(4)가 탈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충분한 투습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의 외부로부터 제2 공간(5) 내로의 티끌이나 물 등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길이 D8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맞닿음에 의해 서로 접합된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에 있어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맞닿아 있는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길이(내외 접촉 길이) D4,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홈(41)의 부분의 내주면(31)이 맞닿아 있는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길이 D4는, 예를 들어 4.0 내지 8.0mm이다. 길이 D4가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접합이 보다 확실하게 되어,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A)를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로부터 외부 부재(4)가 탈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맞닿아 있는 부분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통기막(3)이 배치된 단부(11A)로부터 단차(16)에 이르기까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15) 이외의 부분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당해 부분은 외주면(19)의 둘레 방향의 전체에 걸친다.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개구측의 단부(하단)(42)와, 내부 부재(2)의 단부(11B) 사이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거리 D6은, 예를 들어 0 내지 3.0mm이며, 0.2 내지 2.0mm, 나아가 0.4 내지 1.0mm여도 된다. 거리 D6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접합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또한, 거리 D6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외부 부재(4)는,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저부(32)의 내면(33)으로부터 돌출된 2 이상의 제2 돌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제2 돌기부(34)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으로부터 중심축 O를 향하는 방향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외부 부재(4)와 내부 부재(2)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돌기부(34)와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맞닿음에 의해,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통기막(3)의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제2 돌기부(34)는, 외부 부재(4)와 내부 부재(2)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통기막(3)과 맞닿도록, 또는 내부 부재(2) 및 통기막(3)의 양쪽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 어셈블리(1A)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점을 통과하는 중심축 O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과,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점을 통과하는 중심축 O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 사이의 거리인 통기 어셈블리(1A)의 높이 H3은, 예를 들어 6.0mm 이상 12mm 이하이다. 높이 H3의 상한은 11mm 이하, 10.5mm 이하, 나아가 10mm 이하여도 된다. 높이 H3의 하한은 6.5mm 이상, 7.0mm 이상, 나아가 7.5mm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높이 H3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점은 내부 부재(2)의 단부(11B)에 위치하고,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점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외면(35)에 위치한다.
돌기(52)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 S1은, 5㎟ 이상 60㎟ 이하여도 된다. 면적 S1의 하한은 10㎟ 이상, 12㎟ 이상, 14㎟ 이상, 나아가 16㎟ 이상이어도 된다. 면적 S1의 상한은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나아가 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돌기(52)의 중심축은, 통상적으로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 O에 일치한다.
통기 어셈블리(1A)가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 S1에 대한 제2 공간(5)의 단면의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은 1.0 이상이다. 비율 S2min/S1의 하한은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나아가 1.4 이상이어도 된다. 비율 S2min/S1의 상한은, 예를 들어 3.0 이하이며, 2.5 이하, 나아가 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면적 S1은, 돌기(52)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이다. 면적 S2min은,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2 공간(5)의 단면의 면적을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단면의 총 면적이다. 「통기로」는, 통기막과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 사이를 기체가 왕래할 수 있는 경로이며, 「통기 방향」은, 제2 공간을 통기로로서 생각한 경우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기체가 가야 할 진행 방향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통기 방향은 제2 공간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이다. 또한,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은,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통기막이 점 대칭의 형상인 경우에는, 통기막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는 위치군의 제2 공간(5)의 단면에 관하여, 그 단면적을 합계하여 총 면적으로서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면적 S2min은, 이 총 면적 중 면적값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을 나타낸다. 또한, 면적 S2min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제2 돌기부(34)와, 홈(41)에 있어서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가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의 둘레 방향의 단부(46)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2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2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1개의 제2 돌기부(34)와 1개의 단부(46)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4개의 제2 돌기부(34)와 8개의 단부(46)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8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면적 S2min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통기 어셈블리(1A)가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 S1에 대한 제2 공간(5)의 단면의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은 1.0보다 크다. 비율 S2out/S1의 하한은 1.2 이상, 1.3 이상, 1.5 이상, 1.8 이상, 2.0 이상, 나아가 2.2 이상이어도 된다. 비율 S2out/S1의 상한은, 예를 들어 4.0 이하이며, 3.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면적 S2out는,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을 따라 다른 쪽의 단부(11B)측으로부터 제2 공간(5)을 관찰하였을 때, 시인할 수 있는 제2 공간(5) 중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이다. 또한, 면적 S2out는,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에 위치한다(도 1b의 단면(48)을 참조). 단, 도 1b에서는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홈(41C, 41D)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8)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4개의 홈(4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단면(48)의 면적의 4배가 면적 S2out에 상당한다. 면적 S2out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전장 부품 및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비교적 높은 흡습성을 갖는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수지가 사용된 하우징은 주위의 수증기를 흡수하는데, 흡수된 수증기는, 하우징 내부의 열원으로부터의 열이나 태양광 등의 외부로부터의 열에 의해 방출되며, 그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체류한다. 체류된 하우징 내부의 수증기는, 하우징 내부에 흐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52) 및 통기 어셈블리(1A)를 통하여 빠르게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할 것이 요망된다. 투습 성능이 우수한 통기 어셈블리 및/또는 통기 하우징에 따르면,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의 흐림을 억제하거나, 하우징 내부에 발생한 흐림의 해소를 촉진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기(52)의 선단(54)까지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거리인 돌기(52)의 높이 H2는, 예를 들어 5.0 내지 12mm이며, 4.0mm 이상 8.0mm 이하여도 된다.
돌기(52)의 높이 H2에 대한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의 비 H1/H2는 1.00 이상 1.70 이하여도 된다. 비 H1/H2의 하한은 1.00 초과, 1.02 이상, 1.04 이상, 1.06 이상, 1.08 이상, 나아가 1.10 이상이어도 된다. 비 H1/H2의 상한은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5 이하, 1.22 이하, 1.20 이하, 1.18 이하, 1.16 이하, 나아가 1.14 이하여도 된다. 상기 범위의 비 H1/H2를 갖는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은, 통기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돌기로부터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는, 내부 부재(2)의 다른 쪽의 단부(11B)에 있어서의 개구(12B)로부터 돌기(52)에 삽입되어 이용되지만, 가능한 한 안쪽까지 돌기(5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내부 부재(2)를 돌기(52)에 고정한 상태에서,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기(52)를 덮는 부분의 높이에 상당하는 길이 D5는, 예를 들어 4.0 내지 8.0mm이다. 길이 D5가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하우징(51)의 돌기(52)로부터 통기 어셈블리(1)가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내부 부재(2)를 돌기(52)에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하우징(51)의 외표면(53)과, 외부 부재(2)에 있어서의 개구측의 단부(42) 사이의 거리 D9는, 예를 들어 0.5mm 이상 4.0mm 이하이다. 거리 D9가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하우징(51)의 돌기(52)로부터의 통기 어셈블리(1A)의 탈락이 방지되면서도, 적절한 통기량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거리 D9는,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통기막(3)은, 두께 방향으로 기체(전형적으로는 공기)를 투과시킴과 함께, 이물의 투과를 방지하는 막이다. 이 때문에, 통기 어셈블리(1A)에 의해, 하우징(51)의 내외의 통기가 확보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부로의 티끌, 물, 기름 및 염과 같은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막(3)의 형상은 원이다. 단, 통기막(3)의 형상은 원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통기막(3)을 배치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선택 가능하며, 예를 들어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부재(2)의 단부(11A)에 있어서의 단부면에 통기막(3)이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통기막(3)이 배치되는 위치는, 단부(11A)의 개구(12A)를 통기막(3)이 덮는 한, 단부(11A)의 단부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3)에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또는 네트, 혹은 수지 다공질막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기체를 투과시킴과 함께, 액체 등의 이물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는 한, 통기막(3)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다공질막과 통기성을 갖는 보강층을 적층한 통기막(3)이 사용되고 있다. 보강층에 의해 통기막(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은, 예를 들어 공지된 연신법 또는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 및 폴리올레핀 다공체이다. 불소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이며, 이들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인 폴리올레핀을 통기막(3)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또는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를 통기막(3)에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51)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능력이 높은 PTFE 다공체를 통기막(3)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FE 다공체의 평균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10㎛ 이하이다. 보강층은,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및 다공체이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은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통기막(3)은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3)의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포함하는 발액제를 통기막에 도포하고, 도포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건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발액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폴리머를 상기 물질로서 포함한다. 발액제의 도포는, 예를 들어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트법,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커튼 플로우 코트법, 함침법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3)의 두께는, 강도 및 내부 부재(2)에 대한 고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1㎛ 이상 5mm 이하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통기막(3)의 통기도는, 일본 공업 규격(JIS) L1096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B법(걸리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공기 투과도(걸리 통기도)로서, 예를 들어 0.1 내지 300초/100mL이다.
통기막(3)은 내부 부재(2)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에 대한 통기막(3)의 접합은, 예를 들어 열용착법, 초음파 용착법, 레이저 용착법 등의 각종 용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3)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내부 부재(2)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3)을 내부 부재(2)와 함께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내부 부재(2)의 단부(11A)에 통기막(3)을 배치해도 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이다. 외부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는, 전형적으로는 수지이다. 이들 부재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분말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통기 어셈블리(1A)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사출 성형에 의한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성형이 바람직하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할 수 있는 탄성체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탄성 수지)이다. 엘라스토머는 고무여도 된다.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고무 및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외부 부재(4)를 구성할 수 있는 수지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상술한 엘라스토머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페닐렌에테르(PPE)이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탄성체 및/또는 외부 부재(4)를 구성하는 수지는, 카본 블랙, 티타늄 화이트 등의 안료류; 유리 입자, 유리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및 발수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 및/또는 외부 부재(4)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발액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는, 통기막(3)의 발액 처리법으로서 상술한 방법, 전착 도장법, 혹은 플라스마 중합에 의한 피막 형성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내부 부재(2) 및/또는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걸림 기구는, 예를 들어 갈고리부, 나사부, 끼워 맞춤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하우징(51)은,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돌기(52)도 마찬가지이다. 돌기(52)를 구성하는 수지는, 통상적으로 탄성체는 아니다. 돌기(52)를 구성하는 수지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탄성체를 제외함), 열경화성 수지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외부 부재(4)를 구성할 수 있는 수지로서 상기 예시한 각종 열가소성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 등이다. 하우징(51)의 구성은, 돌기(52)를 구비하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B)를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다. 도 3b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B)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3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B)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B)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B)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B)의 분해 사시도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B)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B)는, 외부 부재(4)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B)의 외부 부재(4)는 바닥이 있는 원통이며,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4)의 내측을 향하여 내주면(31)으로부터 돌출된 2 이상의 제3 돌기부(43)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내주면(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로부터 저부(32)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제3 돌기부(43)가 연장되는 방향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저부(32)에 있어서 제2 돌기부(34)와 접속되어 있다. 단, 제3 돌기부(43)가 연장되는 방향, 및 단부(42)에서 저부(32)까지의 사이에서 제3 돌기부(43)가 연장되는 구간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3 돌기부(43)와 제2 돌기부(34)는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외부 부재(4)는, 서로 독립된 제2 돌기부(34) 및 제3 돌기부(43)를 가져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제3 돌기부(43)의 선단면(44)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3 돌기부(43)의 선단면(44)은 중심축 O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기둥(C)의 둘레면에 일치하고 있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상기 가상의 원기둥(C)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단, 외주면(19)과 선단면(44)의 맞닿음에 의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 가능한 한, 각각의 제3 돌기부(43)의 선단면(44)은 가상의 원기둥(C)의 둘레면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의 간극(6B)은, 공간(5a)의 일부이다. 또한,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각의 간극(6B)은 내주면(31)과 외주면(19)과 제3 돌기부(4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외부 부재(4)는 12의 제3 돌기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돌기부(43)의 수는, 예를 들어 6 내지 16이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인접하는 제2 돌기부(34)에 있어서의 중심축 O 측의 선단(49)끼리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4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4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12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12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제3 돌기부(43)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3b의 단면(48)을 참조). 단, 도 3b에서는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제3 돌기부(43)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8)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12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단면(48)의 면적의 12배가 면적 S2out에 상당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C)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다. 도 5b에는, 도 5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C)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도 5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C)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C)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C)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C)의 분해 사시도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C)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C)는, 내부 부재(2)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B)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C)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의 두께 T1은, 외부 부재(4)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부재(2)의 상단부(단부(11A))로부터 하단부(단부(11B))를 향함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11A)로부터 박육부(15)와의 단차(16)에 이르기까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내부 부재(2)는 하방측으로 넓어진 슬로프를 외주면(19)으로서 갖고 있다(도 6 참조). 도 6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두께 T1은, 내부 부재(2)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11A)로부터 단차(16)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당해 증가의 상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단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도 되고, 감소하는 부분이 존재해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증대되는 원뿔대의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외부 부재(4)가 접합된 상태(도 5a 및 도 5b 참조)에 있어서,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을 압축하면서 당해 외주면(19)을 조이고 있고, 그 선단면(44)은, 외부 부재(4)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외주면(19)의 위치에 비하여 내부 부재(2)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 각각의 제3 돌기부(43)가 외주면(19)을 조이는 정도는, 외부 부재(4)의 저부(32)로부터 단부(42)를 향함에 따라, 또한 내부 부재(2)의 상단부(단부(11A))로부터 하단부(단부(11B))를 향함에 따라 증대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조합에 의하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쪽 부재간의 하방으로의 압축률을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 부재(2)에 대한 외부 부재(4)의 접합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을 갖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조합에 의하면, 외부 부재(4)의 접합에 의해 내부 부재(2)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슬로프의 면에 수직인 방향, 즉 하우징(51)의 외표면(53)측에 내부 부재(2)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돌기(52)로부터의 통기 어셈블리(1C)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C)에 있어서, 단부(11A)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의 두께 T1(T1a)이 상술한 T1의 범위에 있어도 되며, 이 경우, 내부 부재(2)로서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예를 들어 내부 부재(2)에 외부 부재(4)를 접합할 때의 내부 부재(2)의 파열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를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다. 도 7b에는, 도 7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D)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D)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D)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D)의 분해 사시도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7a, 도 7b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D)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D)의 내부 부재(2)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8)를 외주면(19)에 갖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의 맞닿음에 의해 접합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이기 때문에,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또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와 리브(18)는 맞닿아 있다.
외부 부재(4)의 주위벽(37)의 내부에는 간극(6C)이 마련되어 있다. 간극(6C)은 공간(5a)의 일부이다.
외부 부재(4)의 주위벽(37)에 있어서의 간극(6C)보다 중심축 O측의 부분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38)에 의해, 복수의 빔부(39)로 분할되어 있다.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2 돌기부(34)는, 각각의 빔부(39)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외부 부재(4) 및 통기 어셈블리(1D)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8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인접하는 제2 돌기부(34)에 있어서의 중심축 O 측의 선단(49)끼리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8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8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8개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8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도 7a, 도 7b 및 도 8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중심축 O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간극(6C)의 단면에 상당한다(도 7b의 단면(48)을 참조).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E)를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다. 도 9b에는, 도 9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E)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E)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E)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E)의 분해 사시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E)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E)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E)의 내부 부재(2)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2)의 외측을 향하여 외주면(19)으로부터 돌출된 2 이상의 돌출부(21)를 갖고 있다. 돌출부(21)는, 외주면(1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21)는, 내부 부재(2)의 한쪽의 단부(11A)로부터 단차(16)에 이르기까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내부 부재(2)의 한쪽의 단부(11A)로부터 다른 쪽의 단부(11B)까지의 사이에서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부(21)가 연장되는 구간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21)는, 외주면(19)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적은 부분(23)을 다른 쪽의 단부(11B)측에 갖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21)의 둘레면(22)과,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둘레면(22)은, 중심축 O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기둥(D)의 둘레면에 일치하고 있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상기 가상의 원기둥(D)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내주면(31)의 직경 이상이다. 단, 둘레면(22)과 내주면(31)의 맞닿음에 의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 가능한 한, 각각의 돌출부(21)의 둘레면(22)은, 가상의 원기둥(D)의 둘레면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의 간극(6D)은, 공간(5a)의 일부이다. 또한,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각의 간극(6D)은, 내주면(31)과 외주면(19)과 돌출부(2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내부 부재(2)는 6개의 돌출부(21)를 갖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21)의 수는 1 또는 2 이상이면 되며, 3 내지 8이어도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가 외부 부재(4)와 맞닿아 있으면 된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돌출부(21)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10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10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돌출부(21)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6개의 돌출부(21)의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6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돌출부(21)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10의 단면(48)을 참조). 단, 도 10에서는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돌출부(21)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8)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6개의 돌출부(2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단면(48)의 면적의 6배가 면적 S2out에 상당한다.
또한, 도 9a, 도 9b 및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외부 부재(4)는, 외부 부재(4)의 내측을 향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갈고리(45)를 개구측의 단부(42)측의 말단에 갖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갈고리(45)는 내부 부재(2)의 부분(23)에 걸려, 외부 부재(4)와 내부 부재(2)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로서 기능한다. 당해 걸림 기구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분(23)으로의 갈고리(45)의 걸림에 의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를 보다 확실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E)를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로부터의 외부 부재(4)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단부(11B)로부터, 단부(11B)에 가까운 측의 돌출부(21)의 단부까지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거리는 0mm 이상 4.4mm 이하이다. 당해 거리의 상한은 4.0mm 이하, 3.5mm 이하, 3.0mm 이하, 2.5mm 이하, 2.0mm 이하, 1.5mm 이하, 1.0mm 이하, 나아가 0.5mm 이하여도 된다.
실시예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1>
(실시예 1)
올레핀계 열가소 엘라스토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밀라스토머(등록 상표), 경도 71, 밀도 880kg/㎥)를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11a의 형상의 내부 부재(2)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내부 부재(2)의 최대 두께는 2.4mm, 최소 두께는 1.1mm, 최대 두께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2mm, 최소 두께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0mm, 내경은 7.5mm, 높이 H1은 8.0mm였다. 도 11a의 내부 부재(2)는, 내부 부재(2)의 내부 공간에 돌출된 돌기부(교량)(62)를 단부(11A)에 갖는 것 이외에는, 도 3a, 도 3b 및 도 4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프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11a 및 도 11b의 형상의 외부 부재(4)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외부 부재(4)의 최대 두께는 2.5mm, 최소 두께는 0.6mm, 외경은 16mm, 최대 두께를 갖는 부분의 내경은 11.1mm, 최소 두께를 갖는 부분의 내경은 13.3mm, 높이는 9.0mm였다. 도 11a 및 도 11b의 외부 부재(4)는, 중심축 O의 방향으로 돌출된 갈고리(45)를 제3 돌기부(43)에 있어서의 단부(42)측의 말단에 갖는 것 이외에는, 도 3a, 도 3b 및 도 4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외부 부재(4)의 개구측)으로부터 보고 있다.
다음에, PTFE 연신 다공질막과 PE/PET 복합 섬유의 부직포의 적층체(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TEMISH 「NTF1026-L01」, 통기량: 50㎤/min)를 재료로서 사용하고, 이것을 직경 12mm의 원형으로 펀칭하여 통기막(3)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내부 부재(2)의 관통 구멍(14)을 완전히 덮도록 통기막(3)을 배치하고, 온도 200℃ 및 압력 20N으로 2초간 압착 및 가열하여, 통기막(3)을 내부 부재(2)에 용착시켰다. 그리고, 통기막(3)이 용착된 내부 부재(2)를 외부 부재(4)에 압입(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 A를 얻었다.
통기 어셈블리 A에 대하여,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2 공간의 단면 중,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면적 S2min을 측정하였다. 또한,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으로서, 각 도면의 단면(47)을 참조할 수 있다. 단, 각 도면에서는,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최소 단위로 되는 당해 단면의 일부가 단면(47)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통기 어셈블리 A에 있어서,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면적 S2min은, 단면(47)의 면적의 12배였다. 또한, 후술하는 통기 어셈블리 B 내지 E에서는 각각 3배(통기 어셈블리 B), 6배(통기 어셈블리 C) 및 8배(통기 어셈블리 D)였다. 측정의 구체적인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을 포함하도록 외부 부재(4)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다음에, 화상의 치수의 계측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인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ImageJ에 얻어진 화상을 도입하고, 통기 어셈블리의 치수(실측값)에 일치하도록 화상 데이터에 스케일을 설정하였다. 다음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치수를 측정하여 면적 S2min을 산출하였다. S2min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일례로서, 통기 어셈블리 A에 대한 S2min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 12에 도시한다. 화상 중의 백선(71)이,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에 대응한다.
다음에, 통기 어셈블리 A에 대하여,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다른 쪽의 단부측(하방측)으로부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를 측정하였다. 측정의 구체적인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통기 어셈블리 A에 대하여 저면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다음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ImageJ에 얻어진 화상을 도입하고, 화상 해상도를 8비트로 설정하고, 통기 어셈블리의 하방측의 단부가 명확하게 비추어지도록 콘트라스트를 조정하고, 또한 통기 어셈블리의 치수(실측값)에 일치하도록 화상 데이터에 스케일을 설정하였다. 다음에, 통기로의 가장 좁아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면만이 추출되도록 2치화 처리를 위한 역치를 설정하고, 당해 단부만이 흑색으로 비추어진 화상을 작성하였다. 당해 단부 이외의 부분이 흑색으로 된 경우에는, 그 부분을 삭제하여 화상을 완성시켰다. 통기 어셈블리 A에 대한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 및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 13에 도시한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 A에 있어서의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 14에 도시한다. 도 14에는, 후술하는 통기 어셈블리 B 내지 E에 있어서의 2치화 처리 후의 화상도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당해 화상에 있어서의 흑색 부분의 면적을 산출하여 면적 S2out를 산출하였다. S2out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D 프린터(Objet30 Prime)를 이용하고, 재료로서 경질 수지 「Vero Black Plus(RGD875)」를 사용하여,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를 구비한 하우징 덮개(61)를 제작하였다. 도 15b에는, 도 15a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돌기(52)의 외경은 8.5mm, 내경은 5.0mm, 높이 H2는 6.0mm였다. 돌기(52)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1 공간의 단면적 S1은 19.6㎟였다. 다음에, 통기 어셈블리 A의 내부 부재(2)의 개구(하방측의 단부의 개구)에 하우징 덮개(61)의 돌기(52)를 삽입(내부 부재(2)의 하방측의 단부가 하우징(61)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 A가 돌기(52)에 고정된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를 준비하였다.
미리 습도 50% 및 온도 40℃의 항온 항습조 내에 정치한 투습 컵(일본 공업 규격(JIS) L1099-A2(워터법)에 준거한 직경 60mm의 개구 및 내경을 가짐)에 물 42g을 수용하고,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를, 컵의 개구면의 전체를 간극 없이 덮도록 컵의 개구부에 배치하여 설치하였다. 돌기(52) 및 통기 어셈블리는 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수면과 하우징 덮개(61)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10mm로 하고, 통기 어셈블리의 투습 면적은 44㎟로 하였다. 다음에, 컵을 상기 항온 항습조 내에 1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컵을 항온 항습조로부터 취출하여,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마다 컵의 질량 W1(g)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상기 항온 항습조 내에 24시간 정치하고, 다시 컵을 취출하여,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마다 컵의 질량 W2(g)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2회째의 항온 항습조로의 정치 전후의 컵의 질량의 차를 A(g)(=W1-W2)라 하고, 컵의 개구면의 면적을 B(㎡)라 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통기 하우징의 투습 성능으로서 투습도를 산출하였다.
투습도[gm-2h-1]=A/B/24 … (1)
(실시예 2)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B를 얻었다. 도 16a의 내부 부재(2)는, 돌출부(21)의 수가 4인 것 이외에는, 도 9a, 도 9b 및 도 10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6a 및 도 16b의 외부 부재(4)는, 갈고리(45)를 갖지 않고, 개구측의 단부(42)의 위치가,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 단차(16)에 비하여 하방에 있으며, 또한 내주면(31)으로부터 중심축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되는 3개의 제2 돌기부(34)를 저부(32)의 내면(33)에 갖는 것 이외에는, 도 9a, 도 9b 및 도 10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 B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면적 S2min, 면적 S2out 및 투습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C를 얻었다. 도 17a의 내부 부재(2)는, 리브(18)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7a, 도 7b 및 도 8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의 외부 부재(4)는, 제2 돌기부(34)의 위치 및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도 7a, 도 7b 및 도 8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외부 부재(4)의 주위벽의 내부에는, 공간(5a)의 일부인 간극(6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 C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면적 S2min, 면적 S2out 및 투습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D를 얻었다. 도 18a의 내부 부재(2)는, 도 7a, 도 7b 및 도 8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의 외부 부재(4)는, 도 7a, 도 7b 및 도 8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8a 및 도 18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 D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면적 S2min, 면적 S2out 및 투습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E를 얻었다. 도 19a의 내부 부재(2)는, 돌출부(21)의 수가 3인 것 이외에는, 도 9a, 도 9b 및 도 10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9a 및 도 19b의 외부 부재(4)는, 갈고리(45)를 갖지 않고, 개구측의 단부(42)의 위치가,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 단차(16)에 비하여 하방에 있으며, 또한 내주면(31)으로부터 중심축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되는 3개의 제2 돌기부(34)를 저부(32)의 내면(33)에 갖는 것 이외에는, 도 9a, 도 9b 및 도 10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9a 및 도 19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 E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면적 S2min, 면적 S2out 및 투습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 E의 면적 S2min은 면적 S2out로 되지만, 면적 S2out의 위치를 제외한 경우의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은, 단면(47)의 면적을 3배로 한 것이다.
통기 어셈블리 B 내지 E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의 높이 H1, 외부 부재의 높이 및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는, 통기 어셈블리 A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에 대하여, 비율 S2out/S1과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20에 도시한다. 비율 S2min/S1이 1.0 이상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에서는, 비율 S2out/S1의 증가와 함께 투습도가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S2out/S1이 1.0보다 크면, 양호한 투습도가 달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2>
(실시예 4 내지 9)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갖는 통기 어셈블리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하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갖는 통기 어셈블리를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였다.
제작한 실시예 4 내지 12의 통기 어셈블리에 대하여, 전술한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투습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습도의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단, 내부 부재의 높이 H1, 돌기의 높이 H2, 통기막의 통기량, 외부 부재의 높이,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 및 내외 접촉 길이는 표 2에 기재된 값으로 하였다. 표 2의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는,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에 의해 덮이는 부분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내외 접촉 길이」는,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와 내부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통기 거리」는, 내부 부재의 높이 H1 및 돌기의 높이 H2로부터 선택되는 것보다 큰 값을 갖는 높이와,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를 더한 거리를 의미한다. 「통기 거리」는,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서부터 통기 어셈블리의 출구까지의 거리에 대응한다.
실시예 4 내지 12에 대하여, 투습도와 통기 거리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21에 도시한다. 그래프 중, 검정색 동그라미(●)는,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8.0mm, 통기막의 통기량이 50㎤/min인 실시예 4 내지 7의 플롯이다. 흑색 삼각형(▲)은,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8.0mm, 통기막의 통기량이 13000㎤/min인 실시예 8, 9의 플롯이다. 동그라미(○)는,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12mm, 통기막의 통기량이 50㎤/min인 실시예 10 내지 12의 플롯이다.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
(참고예 1)
올레핀계 열가소 엘라스토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밀라스토머(등록 상표), 경도 71, 밀도 880kg/㎥)를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16a의 형상의 내부 부재(2)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두께는 4.2mm, 돌출부(21)를 갖지 않는 부분(비돌출부)의 두께는 2.3mm,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6mm, 비돌출부의 외경은 12mm, 내경은 7.5mm, 높이 H1은 6.0mm였다.
다음에, 하우징이 구비할 수 있는 통 형상의 돌기(52)로서 폴리프로필렌(PP)제 돌기(52)를 준비하였다(도 22 참조). 돌기(52)의 외경은 8.5mm, 내경은 5.0mm, 높이 H2는 6.0mm였다.
내부 부재(2)의 상부(돌기에 삽입하는 측과 반대측)에 직경 0.5mm의 핀으로 구멍을 뚫고, 클립을 통과시켰다. 다음에, 내부 부재(높이 6.0mm)의 안쪽까지 돌기(높이 6.0mm)를 삽입하였다.
다음에,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오토그래프 AGS-X)의 한쪽의 파지구에 클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의 파지구에, 인장 시험기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내부 부재(2)에 대한 돌기의 삽입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돌기를 고정하였다. 그 후, 인장 속도 200mm/min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이에 의해 돌기(52)로부터의 내부 부재(2)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도 22 참조). 인장 시험에 의해 얻은 SS 커브를 도 23에 도시한다. SS 커브에 있어서의 하중의 최댓값을 내부 부재(2)의 인발력(수평 인발력)으로 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참고예 2 내지 29)
내부 부재(2)의 높이 H1 및 돌기(52)의 높이 H2를 표 3에 기재된 값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인장 시험(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내부 부재(2)가 파손되지 않고 인발된 참고예에 대하여, 비 H1/H2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24에 도시한다. 그래프의 범례의 수치는,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이다.
<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
(참고예 30)
올레핀계 열가소 엘라스토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밀라스토머(등록 상표), 경도 71, 밀도 880kg/㎥)를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16a의 형상의 내부 부재(2)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두께는 4.2mm, 돌출부(21)를 갖지 않는 부분(비돌출부)의 두께는 2.3mm,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6mm, 비돌출부의 외경은 12mm, 내경은 7.5mm, 높이 H1은 6.0mm였다.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프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16a 및 도 16b의 형상의 외부 부재(4)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외부 부재(4)의 두께는 1.0mm, 외경은 17.5mm, 내경은 15.6mm, 높이는 12mm였다.
다음에, 하우징이 구비할 수 있는 통 형상의 돌기(52)로서, 폴리프로필렌(PP)제 돌기(52)를 준비하였다(도 22 참조). 돌기의 외경은 8.1mm, 내경은 5.0mm, 높이 H2는 10mm였다.
다음에, 외부 부재(4)의 저부(32)(내부 부재(2)에 삽입하는 측과 반대측)에 구멍을 뚫고, 나사를 통과시켰다. 다음에, 내부 부재(2)를 외부 부재(4)에 압입(삽입)하여(외부 부재(4)의 삽입 깊이 10mm), 통기 어셈블리를 얻었다. 다음에, 내부 부재(2)에 돌기를 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를 안쪽까지 돌기(높이 10mm)에 씌웠다.
다음에,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오토그래프 AGS-X)의 한쪽의 파지구에 나사를 고정하고, 다른 쪽의 파지구에, 인장 시험기의 변위 방향과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돌기의 삽입 방향이 일치하도록 돌기를 고정하였다. 그 후, 인장 속도 200mm/min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이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로부터의 외부 부재(4)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에 의해 얻은 SS 커브의 예를 도 25에 도시한다. SS 커브에 있어서의 하중의 최댓값을 외부 부재(4)의 인발력으로 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하중의 최댓값이 큰 순으로, 참고예 No.31, No.32, No.33, No.34, No.35의 SS 커브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예 31 내지 41)
돌기의 외경, 외부 부재의 높이 및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를 표 4에 기재된 값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30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인장 시험(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의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내외 접촉 길이」는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2>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참고예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26에 도시한다. 도 26의 범례의 수치는 돌기의 외경이다. 또한, 상술한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2>의 실시예 5 내지 7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27에 도시한다. 도 27의 범례의 수치는 돌기의 외경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통기 하우징은, 종래의 통기 하우징과 마찬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이고, 내측에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부 부재와 접합하는 외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상기 통기막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2 공간의 단면의 면적을 상기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이 1.0 이상이고,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상기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이 1.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6.0mm 이상 10mm 이하인, 통기 하우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 S2out/S1이 1.5 이상인, 통기 하우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상기 내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 부재에 의해 덮이는 부분의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6.0mm 이상 8.0mm 이하인, 통기 하우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 및/또는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를 갖는, 통기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92352 | 2018-10-11 | ||
JP2018192352 | 2018-10-11 | ||
PCT/JP2019/040316 WO2020075857A1 (ja) | 2018-10-11 | 2019-10-11 | 通気筐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8558A true KR20210068558A (ko) | 2021-06-09 |
Family
ID=7016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3650A KR20210068558A (ko) | 2018-10-11 | 2019-10-11 | 통기 하우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45503A1 (ko) |
JP (2) | JP7489320B2 (ko) |
KR (1) | KR20210068558A (ko) |
CN (1) | CN111316766B (ko) |
DE (1) | DE112019005081T5 (ko) |
WO (1) | WO202007585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995B1 (ko) | 2018-10-11 | 2024-02-16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
CN111316765B (zh) * | 2018-10-11 | 2023-02-21 | 日东电工株式会社 | 通气组件及通气壳体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6874A (ja) | 2002-05-15 | 2003-11-28 | Nitto Denko Corp |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43674B2 (ja) * | 1999-11-18 | 2008-02-06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
JP4425067B2 (ja) * | 2004-06-14 | 2010-03-03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通気部材の製造方法 |
JP4517227B2 (ja) | 2004-07-13 | 2010-08-04 | 有限会社中島工業 |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内圧調整用フィルタ |
KR101121269B1 (ko) * | 2004-12-07 | 2012-03-23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통기 부재와 이를 이용한 통기 하우징 및 전장 부품 |
CN100587332C (zh) * | 2005-08-24 | 2010-02-03 | 日东电工株式会社 | 透气构件 |
JP4836677B2 (ja) | 2005-08-24 | 2011-12-14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通気部材 |
EP3151642A4 (en) * | 2014-05-28 | 2018-05-02 | Nitto Denko Corporation | Metal case and ventilation structure using same |
JP6721978B2 (ja) * | 2015-12-15 | 2020-07-15 | 日東電工株式会社 | 通気部材、ランプ |
JP6269907B1 (ja) * | 2016-07-29 | 2018-01-31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バルブ、気体制御装置 |
TWM562930U (zh) * | 2018-03-28 | 2018-07-01 | 久鐵工業股份有限公司 | 汽機車燈具用之透氣防水構件 |
CN111316765B (zh) * | 2018-10-11 | 2023-02-21 | 日东电工株式会社 | 通气组件及通气壳体 |
BR112021005609A2 (pt) * | 2018-10-11 | 2021-06-22 | Nitto Denko Corporation | alojamento de ventilação |
KR102636995B1 (ko) * | 2018-10-11 | 2024-02-16 |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
-
2019
- 2019-10-11 CN CN201980003087.9A patent/CN111316766B/zh active Active
- 2019-10-11 US US17/283,157 patent/US20210345503A1/en active Pending
- 2019-10-11 JP JP2020551252A patent/JP7489320B2/ja active Active
- 2019-10-11 WO PCT/JP2019/040316 patent/WO202007585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0-11 DE DE112019005081.8T patent/DE112019005081T5/de active Pending
- 2019-10-11 KR KR1020217013650A patent/KR2021006855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4
- 2024-01-29 JP JP2024010811A patent/JP2024042043A/ja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36874A (ja) | 2002-05-15 | 2003-11-28 | Nitto Denko Corp |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20075857A1 (ja) | 2021-09-02 |
CN111316766A (zh) | 2020-06-19 |
JP2024042043A (ja) | 2024-03-27 |
WO2020075857A1 (ja) | 2020-04-16 |
US20210345503A1 (en) | 2021-11-04 |
DE112019005081T5 (de) | 2021-07-22 |
CN111316766B (zh) | 2022-12-20 |
JP7489320B2 (ja) | 2024-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68556A (ko) |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 |
KR20210070356A (ko) | 통기 하우징 | |
KR20210068557A (ko) |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 |
EP1363069B1 (en) | Ventilation member and vented housing using the same | |
JP2024042043A (ja) | 通気筐体 | |
KR102592662B1 (ko) | 통기 부재 | |
CN112806107B (zh) | 通气壳体 | |
CN114930993A (zh) | 通气部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