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556A -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 Google Patents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556A
KR20210068556A KR1020217013648A KR20217013648A KR20210068556A KR 20210068556 A KR20210068556 A KR 20210068556A KR 1020217013648 A KR1020217013648 A KR 1020217013648A KR 20217013648 A KR20217013648 A KR 20217013648A KR 20210068556 A KR20210068556 A KR 20210068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member
ventilation assembly
ventilation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995B1 (ko
Inventor
다이스케 기타가와
도모유키 가사기
요조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8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3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onstructed for making articles provided with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Ventilation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통기 어셈블리는,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인 외부 부재와, 내부 부재의 한쪽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를 덮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외부 부재는, 외부 부재의 내측에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부재와 접합되고, 내부 부재의 내부,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내부 부재와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통기막과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내부 부재는, 통기막에 대하여 다른 쪽의 단부측의 위치에,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통기 어셈블리는 박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에 고정할 때의 통기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본 발명은 하우징에 고정하여 사용되는 통기 어셈블리와, 통기 어셈블리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램프,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배터리 팩, 레이더 및 카메라 등의 차량 탑재용 전장 부품, 그리고 가정용, 의료용, 오피스용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하우징의 내외의 통기를 확보하거나, 하우징 내부의 압력 변동을 완화하거나 하기 위한 통기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통기 어셈블리에는 통기성 이외에도, 고정되는 구체적인 전장 부품 등에 따라, 하우징 내로의 더스트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진성,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성, 기름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유성 및 염의 침입을 방지하는 내CCT성 등의 각종 특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통기성 및 요구되는 각종 특성을 충족할 수 있는 통기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통기 어셈블리를 도 41에 도시한다.
도 41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01)는, 양쪽의 단부(108, 109)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102)와, 내부 부재(102)의 한쪽의 단부(108)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103)과,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인 외부 부재(104)를 구비한다. 외부 부재(104)는, 외부 부재(104)의 내측에 내부 부재(102)가 단부(108) 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내부 부재(102)와 접합되어 있다. 외부 부재(104)는, 통기 어셈블리(101)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저부의 내면(105)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106)를 구비한다. 돌기부(106)는, 내부 부재(102)의 단부(108)에 배치된 통기막(103)에 맞닿아 있다. 돌기부(106)의 맞닿음에 의해, 외부 부재(104)와 통기막(103)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101)는, 통기 어셈블리(101)의 외측과 통기막(103)을 접속하는 통기로(115)로 되는 공간(107)을, 외부 부재(104)의 저부의 내면(105)과 통기막(103) 사이, 및 내부 부재(102)의 외주면과 외부 부재(104)의 내주면 사이에 갖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101)는, 하우징(111)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11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110)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112)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부재(102)의 다른 쪽의 단부(109)에 있어서의 개구로부터 돌기(112)를 내부 부재(102)에 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101)는 돌기(112)에 고정된다. 통기 어셈블리(101)가 고정된 상태로, 돌기(112) 및 통기 어셈블리(101)를 통한 하우징(111)의 내외의 통기가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36874호 공보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에 고정되는 통기 어셈블리이며, 박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에 고정할 때의 통기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통기 어셈블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에 고정되는 통기 어셈블리이며,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인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의 내측에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부 부재와 접합되고,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상기 통기막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통기막에 대하여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의 위치에,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를 구비한, 통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으로부터, 본 발명은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상기 본 발명의 통기 어셈블리이고,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돌기를 상기 내부 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통기 어셈블리가 상기 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는, 상기 돌기의 선단과 상기 통기막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통기 하우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어셈블리의 내부 부재는, 통기막에 대하여 다른 쪽의 단부측의 위치, 즉 하우징의 돌기가 삽입되는 단부측의 위치에,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기 어셈블리에서는, 내부 부재에 삽입된 돌기의 선단(개구측의 단부)은, 통기막에 접촉하기 전에 제1 돌기부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내부 부재에 대한 상기 돌기의 한층 더한 삽입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통기 어셈블리는 박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돌기에 고정할 때의 통기막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적합하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내부 부재를,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관찰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내부 부재를,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관찰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b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a는,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8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9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는,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1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a는,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b는,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1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1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a는, 통기 하우징의 투습 성능(투습도)의 평가에 사용한 하우징 덮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하우징 덮개의 단면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6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참고예 1 내지 6에 대하여, 투습도와 통기 거리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28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b는, 도 28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b는, 도 29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a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b는, 도 30a의 통기 어셈블리가 구비하는 외부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min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예에서 제작한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면적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참고예 7 내지 11에 대하여, 비율 S2out/S1과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35는,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6은,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SS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7은,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 시에 내부 부재가 파손되지 않고 인발된 참고예에 대하여, 비 H1/H2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38은, 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에 있어서 얻어진 SS 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9는, 참고예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40은, 참고예 2 내지 4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41은, 종래의 통기 어셈블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는,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에 고정되는 통기 어셈블리이며,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인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의 내측에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부 부재와 접합되고,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상기 통기막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통기막에 대하여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의 위치에,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서는, 제1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2 이상의 상기 제1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2 이상의 제1 돌기부가,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의 공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에서는, 제1 또는 제2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통기막이 이격되어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의 높이가 6.0mm 이상 10mm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4 중 어느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상기 내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 부재에 의해 덮이는 부분의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6.0mm 이상 8.0mm 이하이다.
본 개시의 제6 양태에서는, 제1 내지 제5 중 어느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 및/또는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를 갖는다.
본 개시의 제7 양태의 통기 하우징은,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제1 내지 제6 중 어느 양태의 통기 어셈블리이고,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돌기를 상기 내부 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통기 어셈블리가 상기 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는, 상기 돌기의 선단과 상기 통기막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개시의 제8 양태에서는, 제7 양태의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2 공간의 단면의 면적을 상기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이 1.0 이상이다.
본 개시의 제9 양태에서는, 제7 또는 제8 양태의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상기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이 1.0 이상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 형태로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를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다. 도 1b에는, 도 1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는, 도 1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의 「O」는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이다. 도 1a 및 도 1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A)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A)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의 분해 사시도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A)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통기 어셈블리(1A)는, 내부 부재(2)와 통기막(3)과 외부 부재(4)를 구비한다. 내부 부재(2)는, 양쪽의 단부(11A, 11B)에 개구(12A, 12B)를 갖는 통 형상체이다. 내부 부재(2)는, 양쪽의 단부가 개구로 된 개관 구조를 갖는다. 내부 부재(2)의 한쪽의 단부(11A)에 있어서의 개구(12A)를 덮도록, 통기막(3)은 당해 단부(11A)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 부재(4)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이다. 외부 부재(4)는, 한쪽의 단부(42)가 개구이고, 다른 쪽의 단부가 저부(32)에 의해 폐쇄된 폐구인 폐관 구조를 갖는다. 외부 부재(4)는, 통기막(3)이 배치된 단부(11A) 측으로부터, 외부 부재(4)의 내측에 내부 부재(2)가 삽입된 상태로, 내부 부재(2)와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부재(4)의 내측이란,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그 개구와 내주면(31)에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하고 있다. 외부 부재(4)는, 통기막(3)을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 비래하는 티끌이나 물 등의 이물로부터 통기막(3)을 보호하는 커버 부재로서 기능한다.
통기 어셈블리(1A)는, 통기막(3)과 통기 어셈블리(1A)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5)을 갖는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는, 내부 부재(2)에 접합된 외부 부재(4)의 외주면(40)과,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 사이에, 제2 공간(5)의 일부인 공간(5a)을 갖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1A)는, 접합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의 사이에 공간(5a)을 갖고 있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에서는,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통기막(3)이 이격되어 있다. 통기 어셈블리(1A)는, 서로 이격된 내면(33)과 통기막(3)의 사이에도, 제2 공간(5)의 일부로 되는 공간(5b)을 갖고 있다. 「통기로」는, 통기막과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의 사이를 기체가 왕래할 수 있는 경로이며, 예를 들어 통기막(3)을 투과하여 공간(5b)에 도달한 공기가, 공간(5b)으로부터 공간(5a)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통기 어셈블리(1A)의 외부에 이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체의 경로를 의미한다. 그 때문에, 공간(5a)과 같은 공간은, 접합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사이에 있는 것 외에, 내부 부재(2)의 내부나 외부 부재(4)의 내부에 있어도 「통기로」로 될 수 있다. 또한, 통기로는,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것의 기준으로서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내부 부재(2)의 다른 쪽의 단부(11B)에 있어서의 개구(12B)로부터 돌기(52)를 내부 부재(2)에 삽입하여,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과 돌기(52)의 외주면(58)이 맞닿은 상태로, 통기 어셈블리(1A)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된다. 통기 어셈블리(1A)의 고정 시에는, 내부 부재(2)의 관통 구멍(14)에는 돌기(52)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14)은,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에 둘러싸인, 단부(11A)와 단부(11B)를 접속하는 공간이다. 통기 어셈블리(1A)가 돌기(52)에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서는, 돌기(52)의 내측의 제1 공간(59), 내부 부재(2)의 관통 구멍(14), 통기막(3) 및 제2 공간(5)을 통하여, 하우징(51)의 내외의 통기를 확보 가능하다.
통기 어셈블리(1A)에 있어서 내부 부재(2)는, 통기막(3)에 대하여 다른 쪽의 단부(11B)측, 즉 고정할 때 돌기(52)가 삽입되는 측의 위치에, 내주면(13)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기부(7)를 구비한다. 내부 부재(2)에 삽입된 돌기(52)의 선단(54)은, 통기막(3)에 접촉하기 전에 제1 돌기부(7)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내부 부재(2)에 대한 돌기(52)의 한층 더한 삽입이 억제된다. 따라서, 통기 어셈블리(1A)를 박형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돌기(52)에 고정할 때의 통기막(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단부(11A)와 단부(11B) 사이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거리인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은, 예를 들어 3.0 내지 13.0mm이다. 높이 H1의 상한은 11.0mm 이하, 10.0mm 이하, 9.5mm 이하, 9.0mm 이하, 나아가 8.5mm 이하여도 된다. 높이 H1의 하한은 3.5mm 이상, 4.0mm 이상, 5.0mm 이상, 6.0mm 이상, 6.5mm 이상, 7.0mm 이상, 나아가 7.5mm 이상이어도 된다.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은 6.0mm 이상 10mm 이하여도 된다. 이들 범위의 높이 H1을 내부 부재(2)가 갖는 경우, 특히 높이 H1이 10mm 이하인 경우에, 제1 돌기부(7)에 기초하는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장점이 크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 O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부재(2)의 중심축이다. 내부 부재(2)의 중심축과 돌기(52)의 중심축은, 통상적으로 일치한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내주면(13)과 외주면(19) 사이의 거리인 내부 부재(2)의 두께 T1은, 예를 들어 0.5 내지 3.0mm이다. 두께 T1의 하한은 0.6mm 이상, 0.7mm 이상, 0.8mm 이상, 나아가 0.9mm 이상이어도 된다. 두께 T1의 상한은 2.5mm 이하, 2.0mm 이하, 1.5mm 이하, 나아가 1.2mm 이하여도 된다. 이들 범위의 두께 T1을 내부 부재(2)가 갖는 경우, 통기 어셈블리(1A)를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내부 부재(2)로서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예를 들어 내부 부재(2)에 외부 부재(4)를 접합할 때의 내부 부재(2)의 파손이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 T1은, 내부 부재(2)가 돌기(52)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내부 부재(2)는, 통기 어셈블리(1A)를 고정할 때 돌기(52)가 삽입되는 단부(11B)로부터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일정 높이에 이르기까지, 두께 T1이 감소한 박육부(15)를 갖고 있다. 또한, 내부 부재(2)는, 박육부(15)와 그 이외의 부분의 경계에 단차(16)를 갖고 있다. 단차(16)는,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에 비하여,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다(단부(42)에 비하여 통기 어셈블리(1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단, 단차(16)의 위치는,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육부(15)를 갖는 내부 부재(2)에 따르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대한 통기 어셈블리(1A)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 효과는 박형화 등에 의해 내부 부재(2)의 내경이 작은 경우, 바꾸어 말하면,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의 단부(11B)가 넓어지기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내부 부재(2)는, 통기막(3)이 배치된 단부(11A)측에 박육부(15)를 갖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외부 부재(4)를 내부 부재(2)에 접합하였을 때의 양쪽 부재(2, 4) 사이의 기욺이나, 하우징(51)의 돌기(52)에 삽입하였을 때의 내부 부재(2)의 기욺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박형화 등에 의해 내부 부재(2)의 두께 T1이 작은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단차(16)에 있어서의 박육부(15)의 둘레면과 외주면(19)은, 중심축 O에 수직인 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데, 단차(16)에 있어서 박육부(15)의 둘레면과 외주면(19)을 접속하는 면은, 중심축 O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기(52)의 선단(54)까지의 거리인 돌기(52)의 높이 H2에 비하여,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은 작다. 이 경우, 제1 돌기부(7)에 기초하는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장점이 특히 커진다. 단, 돌기(52)에 대하여 통기 어셈블리(1A)가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높이 H1 및 H2의 관계가 상기 이외인 경우에도, 상기 효과는 얻어진다.
돌기(52)의 높이 H2에 대한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의 비 H1/H2는 0.20 이상 1.70 이하여도 된다. 비 H1/H2의 하한은 0.40 이상, 0.60 이상, 0.80 이상, 1.00 이상, 1.05 이상, 나아가 1.10 이상이어도 된다. 비 H1/H2의 상한은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5 이하, 1.22 이하, 1.20 이하, 1.18 이하, 1.16 이하, 나아가 1.14 이하여도 된다. 상기 범위의 비 H1/H2를 갖는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은, 통기 어셈블리의 하우징의 돌기로부터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는, 내부 부재(2)의 다른 쪽의 단부(11B)에 있어서의 개구(12B)로부터 돌기(52)에 삽입되어 이용되는데, 가능한 한 안쪽까지 돌기(5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의 내부 부재(2) 및 돌기(52)는 모두 원통이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돌기(52)의 외주면(58)의 직경 이하이다. 또한,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탄성체의 탄성률 및/또는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의 직경은, 예를 들어 돌기(52)에 대한 내부 부재(2)의 삽입의 용이성이나 하우징(51)-통기 어셈블리(1A) 사이의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 가능하다. 또한,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2)의 형상 및 통 형상인 돌기(52)의 형상은, 원통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통인 내부 부재(2)의 내경은, 예를 들어 6.0 내지 13.0mm이다. 당해 내경의 하한은 6.5mm 이상, 7.0mm 이상, 7.5mm 이상, 나아가 8.0mm 이상이어도 된다. 당해 내경의 상한은 12.5mm 이하, 12.0mm 이하, 11.5mm 이하, 나아가 11.0mm 이하여도 된다. 또한, 원통인 내부 부재(2)에 있어서, 외경에서 내경을 뺀 값의 절반이 상기 두께 T1에 상당한다.
외부 부재(4)는 바닥이 있는 원통이다.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그 주위벽(37)의 일부는, 외부 부재(4)의 내측을 향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주위벽(37)의 상기 돌출에 의해, 외부 부재(4)는, 중심축 O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홈(41)(41A, 41B, 41C, 41D)을 외주면(40)에 구비하고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각의 홈(41)은,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고,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로부터 저부(32)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홈(41)의 부분 및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 주위벽(37)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단, 외주면(40)에 있어서의 홈(41)이 마련되는 위치, 인접하는 홈(41) 사이의 간격 및 홈(41)이 연장되는 방향, 그리고 외부 부재(4)의 단부(42)로부터 저부(32)까지의 사이에서 홈(41)이 연장되는 구간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홈(41)의 부분 및 그 밖의 부분에 있어서, 주위벽(37)의 두께는 달라도 된다.
홈(41)의 부분에 있어서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은, 중심축 O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기둥(A)의 둘레면에 일치하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외주면(19)과, 홈(41)의 부분에 있어서의 내주면(31)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상기 가상의 원기둥(A)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홈(4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의 간극(6A)은, 공간(5a)의 일부이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은, 당해 면(19)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지 않다. 외주면(19)은, 그 둘레 방향의 전체에 걸쳐 원기둥의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다.
중심축 O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에 덮이는 부분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길이 D8은, 예를 들어 3.5mm 이상 9.5mm 이하여도 되고, 6.0mm 이상 8.0mm 이하여도 된다. 길이 D8의 하한은 4.0mm 이상, 4.5mm 이상, 나아가 5.0mm 이상이어도 된다. 길이 D8의 상한은 9.0mm 이하, 8.5mm 이하, 나아가 8.0mm 이하여도 된다. 길이 D8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접합이 보다 확실하게 되어,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A)를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로부터 외부 부재(4)가 탈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충분한 투습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1A)의 외부로부터 제2 공간(5) 내로의 티끌이나 물 등의 이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길이 D8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홈(41)의 부분의 내주면(31)이 맞닿아 있는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길이(내외 접촉 길이) D4는, 예를 들어 4.0 내지 8.0mm이다. 길이 D4의 하한은 4.5mm 이상, 5mm 이상, 나아가 5.5mm 이상이어도 된다. 길이 D4의 상한은 7.5mm 이하, 7mm 이하, 나아가 6.5mm 이하여도 된다. 길이 D4가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접합이 보다 확실하게 되어,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A)를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로부터 외부 부재(4)가 탈리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맞닿아 있는 부분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통기막(3)이 배치된 단부(11A)로부터 단차(16)에 이르기까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육부(15) 이외의 부분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당해 부분은 외주면(19)의 둘레 방향의 전체에 걸친다.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개구측의 단부(하단)(42)와, 내부 부재(2)의 단부(11B) 사이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거리 D6은, 예를 들어 0.1 내지 3.0mm이며, 0.5 내지 2.5mm, 나아가 1.0 내지 2.0mm여도 된다. 거리 D6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의 접합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또한, 거리 D6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외부 부재(4)는,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저부(32)의 내면(33)으로부터 돌출된 2 이상의 제2 돌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제2 돌기부(34)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으로부터 중심축 O를 향하는 방향으로도 돌출되어 있다. 외부 부재(4)와 내부 부재(2)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돌기부(34)와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맞닿음에 의해,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통기막(3)의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제2 돌기부(34)는, 외부 부재(4)와 내부 부재(2)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통기막(3)과 맞닿도록, 또는 내부 부재(2) 및 통기막(3)의 양쪽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부 부재(2)는 1개의 제1 돌기부(7)를 구비한다. 제1 돌기부(7)는 내부 부재(2)의 내부 공간에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돌기부(7)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돌기부(7)는,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제1 돌기부는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의 전체(10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돌기부(7)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링형이다. 제1 돌기부(7)는 일부가 결여된 링의 형상이어도 된다. 제1 돌기부(7)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의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에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의 경우, 돌기(52)의 과잉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52)에 대하여 통기 어셈블리(1A)가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에도, 돌기(52)의 과잉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1 돌기부(7)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두께 T3은, 예를 들어 0.8 내지 1.1mm이며, 나아가 0.7 내지 1.5mm여도 된다. 제1 돌기부(7)의 두께 T3이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돌기(52)의 과잉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 제1 돌기부(7)는, 통기막(3)에 대하여 단부(11B)측의 위치에 있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7)의 위치는,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A)를 고정할 때 내부 부재(2)에 대하여 돌기(52)를 삽입해야 하는 깊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단부(11B)와 제1 돌기부(7)의 하면 사이의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의 길이 D5는, 내부 부재(2)의 높이 H1에 대하여, 예를 들어 70 내지 98%이며, 75 내지 95%, 나아가 80 내지 90%여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돌기부(7)와 통기막(3)은 이격되어 있다. 통기 어셈블리(1A)의 고정 시, 돌기(52)의 선단(54)이 제1 돌기부(7)에 접촉하였을 때, 선단(54)에 눌린 제1 돌기부(7)가 단부(11A)의 방향으로 휘는 경우가 있다. 제1 돌기부(7)와 통기막(3)이 이격되어 있으면, 제1 돌기부(7)의 상기 휨에 따른 통기막(3)의 변형이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제1 돌기부(7)와 통기막(3)이 접촉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제1 돌기부(7)와 통기막(3)이 접촉하고 있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 및 통기 하우징은, 제1 돌기부(7)와 통기막(3)이 접촉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A) 및 통기 하우징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제1 돌기부(7)와 통기막(3)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 양자의 이격 거리는, 예를 들어 0 내지 1.0mm이며, 0.1 내지 0.9mm, 나아가 0.2 내지 0.8mm여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부 부재(2)의 제1 돌기부(7)와 돌기(52)의 선단(5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중심축 O로부터 제1 돌기부(7)의 선단까지의 거리 D1과, 중심축 O로부터 돌기(52)의 내주면(57)까지의 거리 D2는 동등하다. 이 경우, 통기 어셈블리(1A)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돌기(52)의 과잉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단, 돌기(52)에 대하여 통기 어셈블리(1A)가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는 경우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돌기(52)의 과잉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거리 D1은 거리 D2 이하여도 된다.
통기 어셈블리(1A)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점을 통과하는 중심축 O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과,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점을 통과하는 중심축 O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 사이의 거리인 통기 어셈블리(1A)의 높이 H3은, 예를 들어 5.0 내지 12mm이다. 높이 H3의 상한은 11mm 이하, 10.5mm 이하, 10mm 이하, 나아가 9.5mm 이하여도 된다. 높이 H3의 하한은 7.5mm 이상, 8.0mm 이상, 8.5mm 이상, 나아가 9mm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높이 H3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점은 내부 부재(2)의 단부(11B)에 위치하고,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점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외면(35)에 위치한다.
돌기(52)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 S1은, 5㎟ 이상 60㎟ 이하여도 된다. 면적 S1의 하한은 10㎟ 이상, 12㎟ 이상, 14㎟ 이상, 나아가 16㎟ 이상이어도 된다. 면적 S1의 상한은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나아가 20㎟ 이하여도 된다. 또한, 돌기(52)의 중심축은, 통상적으로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 O에 일치한다.
통기 어셈블리(1A)가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 S1에 대한 제2 공간(5)의 단면의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은, 예를 들어 0.8 이상이다. 비율 S2min/S1의 하한은 1.0 이상, 1.1 이상, 1.2 이상, 1.3 이상, 나아가 1.4 이상이어도 된다. 비율 S2min/S1의 상한은, 예를 들어 3.0 이하이며, 2.5 이하, 나아가 2.0 이하여도 된다. 상기 범위의 비 S2min/S1을 갖는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은 통기성 및/또는 투습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면적 S1은, 돌기(52)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이다. 면적 S2min은,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2 공간(5)의 단면의 면적을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단면의 총 면적이다. 「통기로」는, 통기막과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 사이를 기체가 왕래할 수 있는 경로이며, 「통기 방향」은, 제2 공간을 통기로로서 생각한 경우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기체가 가야 할 진행 방향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통기 방향은 제2 공간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것이다. 또한,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은,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통기막이 점 대칭의 형상인 경우에는, 통기막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는 위치군의 제2 공간(5)의 단면에 관하여, 그 단면적을 합계하여 총 면적으로서 생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면적 S2min은, 이 총 면적 중 면적값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을 나타낸다. 또한, 면적 S2min은,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제2 돌기부(34)와, 홈(41)에 있어서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가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의 둘레 방향의 단부(46)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2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2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1개의 제2 돌기부(34)와 1개의 단부(46)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4개의 제2 돌기부(34)와 8개의 단부(46)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8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면적 S2min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통기 어셈블리(1A)가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공간(59)의 단면의 면적 S1에 대한 제2 공간(5)의 단면의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은, 예를 들어 0.8 이상이며, 1.0 이상, 1.2 이상, 1.3 이상, 1.5 이상, 1.8 이상, 2.0 이상, 나아가 2.2 이상이어도 된다. 비율 S2out/S1의 상한은, 예를 들어 4.0 이하이며, 3.0 이하여도 된다. 상기 범위의 비 S2out/S1을 갖는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은 통기성 및/또는 투습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면적 S2out는, 통기 어셈블리(1A)의 중심축을 따라 다른 쪽의 단부(11B)측으로부터 제2 공간(5)을 관찰하였을 때, 시인할 수 있는 제2 공간(5) 중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이다. 또한, 면적 S2out는, 외부 부재(4)가 가능한 한 안쪽까지 내부 부재(2)에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에 위치한다(도 1b의 단면(48)을 참조). 단, 도 1b에서는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홈(41C, 41D)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8)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4개의 홈(4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단면(48)의 면적의 4배가 면적 S2out에 상당한다. 면적 S2out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전장 부품 및 전자 기기의 하우징에,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비교적 높은 흡습성을 갖는 수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수지가 사용된 하우징은 주위의 수증기를 흡수하는데, 흡수된 수증기는, 하우징 내부의 열원으로부터의 열이나 태양광 등의 외부로부터의 열에 의해 방출되며, 그 일부가 하우징의 내부에 체류한다. 체류된 하우징 내부의 수증기는, 하우징 내부에 흐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52) 및 통기 어셈블리(1A)를 통하여 빠르게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할 것이 요망된다. 투습 성능이 우수한 통기 어셈블리 및/또는 통기 하우징에 따르면,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의 흐림을 억제하거나, 하우징 내부에 발생한 흐림의 해소를 촉진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51)의 돌기(52)의 높이 H2는, 예를 들어 8.0 내지 12.0mm이다. 높이 H2의 하한은 8.2mm 이상, 8.4mm 이상, 8.6mm 이상, 나아가 8.8mm 이상이어도 된다. 높이 H2의 상한은 11.8mm 이하, 11.6mm 이하, 11.4mm 이하, 나아가 11.2mm 이하이다.
길이 D5는, 내부 부재(2)의 제1 돌기부(7)와, 돌기(52)의 선단(54)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기(52)를 덮는 부분의 높이에 상당한다. 길이 D5는, 예를 들어 3.0 내지 9.0mm이다. 길이 D5의 상한은 8.5mm 이하, 8.0mm 이하, 나아가 7.0mm 이하여도 된다. 길이 D5의 하한은 3.5mm 이상, 4mm 이상, 나아가 4.5mm 이상이어도 된다. 길이 D5가 이들 범위에 있는 경우, 하우징(51)의 돌기(52)로부터 통기 어셈블리(1A)가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통기막(3)은, 두께 방향으로 기체(전형적으로는 공기)를 투과시킴과 함께, 이물의 투과를 방지하는 막이다. 이 때문에, 통기 어셈블리(1A)에 의해, 하우징(51)의 내외의 통기가 확보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부로의 티끌, 물, 기름 및 염과 같은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기막(3)의 형상은 원이다. 단, 통기막(3)의 형상은 원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통기막(3)을 배치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 선택 가능하며, 예를 들어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부재(2)의 단부(11A)에 있어서의 단부면에 통기막(3)이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 통기막(3)이 배치되는 위치는, 단부(11A)의 개구(12A)를 통기막(3)이 덮는 한, 단부(11A)의 단부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3)에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또는 네트, 혹은 수지 다공질막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기체를 투과시킴과 함께, 액체 등의 이물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는 한, 통기막(3)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다공질막과 통기성을 갖는 보강층을 적층한 통기막(3)이 사용되고 있다. 보강층에 의해 통기막(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은, 예를 들어 공지된 연신법 또는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 및 폴리올레핀 다공체이다. 불소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이며, 이들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인 폴리올레핀을 통기막(3)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또는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를 통기막(3)에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51)의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능력이 높은 PTFE 다공체를 통기막(3)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FE 다공체의 평균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10㎛ 이하이다. 보강층은, 예를 들어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및 다공체이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은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통기막(3)은 발액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3)의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포함하는 발액제를 통기막에 도포하고, 도포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건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발액제는,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폴리머를 상기 물질로서 포함한다. 발액제의 도포는, 예를 들어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트법,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커튼 플로우 코트법, 함침법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3)의 두께는, 강도 및 내부 부재(2)에 대한 고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1㎛ 이상 5mm 이하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통기막(3)의 통기도는, 일본 공업 규격(JIS) L1096에 정해진 통기성 측정 B법(걸리형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공기 투과도(걸리 통기도)로서, 예를 들어 0.1 내지 300초/100mL이다.
통기막(3)은 내부 부재(2)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에 대한 통기막(3)의 접합은, 예를 들어 열용착법, 초음파 용착법, 레이저 용착법 등의 각종 용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통기막(3)은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 의해 내부 부재(2)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통기막(3)을 내부 부재(2)와 함께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내부 부재(2)의 단부(11A)에 통기막(3)을 배치해도 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이다. 외부 부재(4)를 구성하는 재료는, 전형적으로는 수지이다. 이들 부재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분말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통기 어셈블리(1A)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사출 성형에 의한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성형이 바람직하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할 수 있는 탄성체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탄성 수지)이다. 엘라스토머는 고무여도 된다.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고무 및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외부 부재(4)를 구성할 수 있는 수지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상술한 엘라스토머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페닐렌에테르(PPE)이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탄성체 및/또는 외부 부재(4)를 구성하는 수지는, 카본 블랙, 티타늄 화이트 등의 안료류; 유리 입자, 유리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및 발수제와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내부 부재(2) 및/또는 외부 부재(4)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발액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발액 처리는, 통기막(3)의 발액 처리법으로서 상술한 방법, 전착 도장법, 혹은 플라스마 중합에 의한 피막 형성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내부 부재(2) 및/또는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걸림 기구는, 예를 들어 갈고리부, 나사부, 끼워 맞춤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하우징(51)은,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돌기(52)도 마찬가지이다. 돌기(52)를 구성하는 수지는, 통상적으로 탄성체는 아니다. 돌기(52)를 구성하는 수지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탄성체를 제외함), 열경화성 수지이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외부 부재(4)를 구성할 수 있는 수지로서 상기 예시한 각종 열가소성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ABS) 등이다. 하우징(51)의 구성은, 돌기(52)를 구비하는 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B),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B)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B)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B)는, 내부 부재(2)가 구비하는 제1 돌기부(7)의 수 및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부재(2)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7)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내부 부재(2)에서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인접하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7A, 7B)의 간격이, 당해 2 이상의 제1 돌기부(7A, 7B)의 단부(62A, 62B)와 중심축 O를 통과하는 직선(61A, 61B)이 이루는 각도 θ에 의해 표시하여 45도 이하이다. 제1 돌기부(7A, 7B)의 단부(62A, 62B)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며, 또한 중심축 O와 제1 돌기부(7A, 7B)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직선을 중심축 O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 당해 직선이 최초로 맞닿는 제1 돌기부(7A, 7B)의 부분으로서 각각 정해진다. 상기 각도 θ는, 바람직하게는 3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도 이하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부재(2) 및 통기 어셈블리(1B)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돌기(52)의 과잉 삽입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각각의 제1 돌기부(7)는, 내부 부재(2)의 내부 공간에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제1 돌기부(7)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돌기부(7)는,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으로부터 중심축 O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내부 부재(2)는 6개의 제1 돌기부(7)를 구비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7)의 수는, 예를 들어 2 내지 8이며, 3 내지 6이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C),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C)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C)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C)는, 내부 부재(2)가 구비하는 제1 돌기부(7)의 수 및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내부 부재(2)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7(7A, 7B, 7C)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1 돌기부(7)는, 내부 부재(2)의 내부 공간에 돌출되어 있다.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제1 돌기부(7A, 7B, 7C)는, 내부 부재(2)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서로 접합된 제1 돌기부(7A, 7B, 7C)에 의해, 내부 부재(2)의 내주면(13)에 있어서의 2 이상의 영역을 서로 접속하는 교량이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돌기부(7)에 의해 내부 부재(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 부재(2)의 강성이 향상되면, 내부 부재(2)의 변형에 따른 통기막(3)의 변형 및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내부 부재(2)는 3개의 제1 돌기부(7)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7)의 수는, 예를 들어 3 내지 5이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를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다. 도 8b에는, 도 8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D)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에는, 도 8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D)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D)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D)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D)의 분해 사시도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D)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는, 외부 부재(4)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D)의 외부 부재(4)는 바닥이 있는 원통이며, 중심축 O를 따라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4)의 내측을 향하여 내주면(31)으로부터 돌출된 2 이상의 제3 돌기부(43)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내주면(3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42)로부터 저부(32)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제3 돌기부(43)가 연장되는 방향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이다. 또한,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저부(32)에 있어서 제2 돌기부(34)와 접속되어 있다. 단, 제3 돌기부(43)가 연장되는 방향, 및 단부(42)에서 저부(32)까지의 사이에서 제3 돌기부(43)가 연장되는 구간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3 돌기부(43)와 제2 돌기부(34)는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외부 부재(4)는, 서로 독립된 제2 돌기부(34) 및 제3 돌기부(43)를 가져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제3 돌기부(43)의 선단면(44)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3 돌기부(43)의 선단면(44)은 중심축 O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기둥(C)의 둘레면에 일치하고 있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인 점에서, 상기 가상의 원기둥(C)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단, 외주면(19)과 선단면(44)의 맞닿음에 의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 가능한 한, 각각의 제3 돌기부(43)의 선단면(44)은 가상의 원기둥(C)의 둘레면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 사이의 간극(6B)은, 공간(5a)의 일부이다. 또한,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각각의 간극(6B)은 내주면(31)과 외주면(19)과 제3 돌기부(4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하는 외부 부재(4)는 12의 제3 돌기부(43)를 구비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돌기부(43)의 수는, 예를 들어 6 내지 16이다.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인접하는 제2 돌기부(34)에 있어서의 중심축 O 측의 선단(49)끼리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9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9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12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12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도 8a, 도 8b 및 도 9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과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제3 돌기부(43)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8b의 단면(48)을 참조). 단, 도 8b에서는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제3 돌기부(43)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8)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12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단면(48)의 면적의 12배가 면적 S2out에 상당한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E),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E)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E)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E)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함과 함께, 외부 부재(4)가 갈고리(45)를 갖는 것 이외에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외부 부재(4)의 제3 돌기부(43)는, 외부 부재(4)의 내측을 향하여,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축 O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갈고리(45)를 단부(42)측의 말단에 갖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갈고리(45)는 내부 부재(2)의 단차(16)에 걸려, 상술한 걸림 기구로서 기능한다. 단차(16)에 대한 갈고리(45)의 걸림에 의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를 보다 확실하게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어 통기 어셈블리(1E)를 하우징(51)의 돌기(52)에 고정할 때, 내부 부재(2)로부터의 외부 부재(4)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E)에서는, 외부 부재(4)가 갈고리(45)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되며, 이 경우, 통기 어셈블리(1E)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와 동일하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F),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F)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F)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6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F)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7 실시 형태)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G)를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다. 도 12b에는, 도 12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G)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는, 도 12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G)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G)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G)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G)의 분해 사시도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2a, 도 12b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G)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G)는, 내부 부재(2)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D)와 동일하다. 제4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G)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의 두께 T1은, 외부 부재(4)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부재(2)의 상단부(단부(11A))로부터 하단부(단부(11B))를 향함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11A)로부터 박육부(15)와의 단차(16)에 이르기까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내부 부재(2)는 하방측으로 넓어진 슬로프를 외주면(19)으로서 갖고 있다(도 13 참조).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두께 T1은, 내부 부재(2)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부(11A)로부터 단차(16)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당해 증가의 상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단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도 되고, 감소하는 부분이 존재해도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증대되는 원뿔대의 둘레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외부 부재(4)가 접합된 상태(도 12a 및 도 12b 참조)에 있어서,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3 돌기부(43)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에 있어서의 맞닿는 부분을 압축하면서 당해 외주면(19)을 조이고 있고, 그 선단면(44)은, 외부 부재(4)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외주면(19)의 위치에 비하여 내부 부재(2)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 각각의 제3 돌기부(43)가 외주면(19)을 조이는 정도는, 외부 부재(4)의 저부(32)로부터 단부(42)를 향함에 따라, 또한 내부 부재(2)의 상단부(단부(11A))로부터 하단부(단부(11B))를 향함에 따라 증대되어 있다. 상기 형상을 갖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조합에 의하면,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양쪽 부재간의 하방으로의 압축률을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 부재(2)에 대한 외부 부재(4)의 접합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을 갖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조합에 의하면, 외부 부재(4)의 접합에 의해 내부 부재(2)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슬로프의 면에 수직인 방향, 즉 하우징(51)의 외표면(53)측에 내부 부재(2)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돌기(52)로부터의 통기 어셈블리(1A)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G)에 있어서, 단부(11A)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2)의 두께 T1(T1a)이 상술한 T1의 범위에 있어도 되며, 이 경우, 통기 어셈블리(1G)를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도 내부 부재(2)로서의 충분한 강도가 확보된다.
(제8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H),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H)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14에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H)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8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H)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G)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 및 제7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9 실시 형태)
제9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J),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J)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15에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J)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9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J)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7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G)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 및 제7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0 실시 형태)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K)를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다. 도 16b에는, 도 16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K)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K)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K)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K)의 분해 사시도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K)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K)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K)의 내부 부재(2)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8)를 외주면(19)에 갖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의 맞닿음에 의해 접합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이기 때문에,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또한,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가 접합된 상태에 있어서, 외부 부재(4)의 개구측의 단부와 리브(18)는 맞닿아 있다.
외부 부재(4)의 주위벽(37)의 내부에는 간극(6C)이 마련되어 있다. 간극(6C)은 공간(5a)의 일부이다.
외부 부재(4)의 주위벽(37)에 있어서의 간극(6C)보다 중심축 O측의 부분은, 중심축 O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38)에 의해, 복수의 빔부(39)로 분할되어 있다. 외부 부재(4)에 있어서의 각각의 제2 돌기부(34)는, 각각의 빔부(39)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외부 부재(4) 및 통기 어셈블리(1K)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인접하는 제2 돌기부(34)에 있어서의 중심축 O 측의 선단(49)끼리와, 외부 부재(4)의 저부(32)의 내면(33)과, 내부 부재(2)의 단부(11A)의 사이에 위치한다(도 17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17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인접하는 1조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8개의 제2 돌기부(34)의 사이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8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중심축 O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간극(6C)의 단면에 상당한다(도 16b의 단면(48)을 참조).
(제11 실시 형태)
제1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L),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L)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18에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L)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L)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K)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 및 제10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2 실시 형태)
제1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M),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M)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19에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M)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2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M)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10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K)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 및 제10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3 실시 형태)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G)를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한다. 도 20b에는, 도 20a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N)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에는, 도 20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N)의 단면 A-O-A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a 및 도 20b에는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N)가 고정된 상태,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N)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하는 통기 어셈블리(1N)의 분해 사시도를 도 21에 도시한다. 도 20a, 도 20b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N)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N)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A)와 동일하다.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통기 어셈블리(1N)의 내부 부재(2)는 원통이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과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의 맞닿음에 의해 접합된다. 내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탄성체이기 때문에,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의 직경은, 통상적으로 내부 부재(2)의 외주면(19)의 직경 이하이다.
내부 부재(2)의 주위벽(20)의 내부에는, 단부(11A)와 단부(11B)를 접속하는 간극(6D)이 마련되어 있다. 간극(6D)은 공간(5a)의 일부이다. 도 20a, 도 20b 및 도 21에 도시하는 내부 부재(2)는 4개의 간극(6D)을 갖고 있다.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간극(6D)의 수는, 예를 들어 2 내지 8이다.
도 20a, 도 20b 및 도 2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은, 중심축 O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4개의 간극(6D)의 단면이다(도 21의 단면(47)을 참조). 단, 도 21에서는 면적 S2min으로 되는 단면의 일부(1개의 간극(6D)에 대응하는 단면(47)만)가 도시되어 있다. 간극(6D)은 4개 있기 때문에, 단면(47)의 면적의 4배가 면적 S2min에 상당한다.
도 20a, 도 20b 및 도 2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은, 중심축 O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4개의 간극(6D)의 단면이다(도 21의 단면(48)을 참조). 단, 도 21에서는 면적 S2out로 되는 단면의 일부(1개의 간극(6D)에 대응하는 단면(48)만)가 도시되어 있다. 간극(6D)은 4개 있기 때문에, 단면(48)의 면적의 4배가 면적 S2out에 상당한다.
(제14 실시 형태)
제8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P),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P)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22에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P)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4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P)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N)와 동일하다. 제2 실시 형태 및 제13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5 실시 형태)
제1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Q), 및 하우징(51)의 돌기(52)에 통기 어셈블리(1Q)가 고정된 통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돌기(52)의 근방의 분해 사시도를 도 23에 도시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기 어셈블리(1Q)는, 하우징(51)의 외표면(53)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하우징(51)의 내외를 연통하는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15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Q)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1 돌기부(7)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제13 실시 형태의 통기 어셈블리(1N)와 동일하다. 제3 실시 형태 및 제13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1>
(참고예 1)
올레핀계 열가소 엘라스토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밀라스토머(등록 상표), 경도 71, 밀도 880kg/㎥)를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24a의 형상의 내부 부재(2)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내부 부재(2)의 최대 두께는 2.4mm, 최소 두께는 1.1mm, 최대 두께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2mm, 최소 두께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0mm, 내경은 7.5mm, 높이 H1은 8.0mm였다. 도 24a의 내부 부재(2)는, 도 11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프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24a 및 도 24b의 형상의 외부 부재(4)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외부 부재(4)의 최대 두께는 2.5mm, 최소 두께는 0.6mm, 외경은 16mm, 최대 두께를 갖는 부분의 내경은 11.1mm, 최소 두께를 갖는 부분의 내경은 13.3mm, 높이는 9.0mm였다. 도 24a 및 도 24b의 외부 부재(4)는, 중심축 O의 방향으로 돌출된 갈고리(45)를 제3 돌기부(43)에 있어서의 단부(42)측의 말단에 갖는 것 이외에는, 도 11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4a 및 도 24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외부 부재(4)의 개구측)으로부터 보고 있다.
다음에, PTFE 연신 다공질막과 PE/PET 복합 섬유의 부직포의 적층체(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TEMISH 「NTF1026-L01」, 통기량: 50㎤/min)를 재료로서 사용하고, 이것을 직경 12mm의 원형으로 펀칭하여 통기막(3)을 제작하였다. 다음에, 내부 부재(2)의 관통 구멍(14)을 완전히 덮도록 통기막(3)을 배치하고, 온도 200℃ 및 압력 20N으로 2초간 압착 및 가열하여, 통기막(3)을 내부 부재(2)에 용착시켰다. 그리고, 통기막(3)이 용착된 내부 부재(2)를 외부 부재(4)에 압입(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를 얻었다.
3D 프린터(Objet30 Prime)를 이용하고, 재료로서 경질 수지 「Vero Black Plus(RGD875)」를 사용하여,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하는, 제1 공간(59)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52)를 구비한 하우징 덮개(61)를 제작하였다. 도 25b에는, 도 25a의 단면 B-B가 도시되어 있다. 돌기(52)의 외경은 8.5mm, 내경은 5.0mm, 높이 H2는 8.0mm였다. 다음에, 통기 어셈블리의 내부 부재(2)의 개구(하방측의 단부의 개구)에 하우징 덮개(61)의 돌기(52)를 삽입(내부 부재(2)의 하방측의 단부가 하우징(61)에 접촉할 때까지 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가 돌기(52)에 고정된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를 준비하였다.
미리 습도 50% 및 온도 40℃의 항온 항습조 내에 정치한 투습 컵(일본 공업 규격(JIS) L1099-A2(워터법)에 준거한 직경 60mm의 개구 및 내경을 가짐)에 물 42g을 수용하고,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를, 컵의 개구면의 전체를 간극 없이 덮도록 컵의 개구부에 배치하여 설치하였다. 돌기(52) 및 통기 어셈블리는 컵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다.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수면과 하우징 덮개(61)의 하면의 간격은 10mm로 하고, 통기 어셈블리의 투습 면적은 44㎟로 하였다. 다음에, 컵을 상기 항온 항습조 내에 1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컵을 항온 항습조로부터 취출하여,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마다 컵의 질량 W1(g)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상기 항온 항습조 내에 24시간 정치하고, 다시 컵을 취출하여,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마다 컵의 질량 W2(g)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2회째의 항온 항습조로의 정치 전후의 컵의 질량의 차를 A(g)(=W1-W2)라 하고, 컵의 개구면의 면적을 B(㎡)라 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통기 하우징의 투습 성능으로서 투습도를 산출하였다.
투습도[gm-2h-1]=A/B/24 … (1)
투습도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의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는,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에 있어서의 외부 부재에 의해 덮이는 부분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내외 접촉 길이」는,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외부 부재와 내부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통기 거리」는, 내부 부재의 높이 H1과,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를 더한 거리를 의미한다. 「통기 거리」는, 실질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서부터 통기 어셈블리의 출구까지의 거리에 대응한다.
(참고예 2 내지 5)
내부 부재(2)의 높이 H1, 돌기(52)의 높이 H2, 통기막(3)의 통기량, 외부 부재(4)의 높이, 외부 부재(4)의 삽입 깊이 및 내외 접촉 길이를 표 1에 기재된 값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투습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습도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참고예 6)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투습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습도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참고예 6의 내부 부재(2)의 높이 H1, 돌기(52)의 높이 H2, 통기막(3)의 통기량, 외부 부재(4)의 높이, 외부 부재(4)의 삽입 깊이 및 내외 접촉 길이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26a의 내부 부재(2)는,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관찰하였을 때, 내부 부재(2)의 외측을 향하여 외주면(19)으로부터 돌출된 4개의 돌출부(21)를 갖고 있다. 돌출부(21)는, 외주면(19)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21)는, 내부 부재(2)의 한쪽의 단부(11A)로부터 단차(16)에 이르기까지,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었다. 또한, 도 26a의 내부 부재(2)는, 제1 돌기부(7)를 갖고 있지 않다. 도 26a 및 도 26b의 외부 부재(4)는, 개구측의 단부(42)의 위치가,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아, 내부 부재(2)의 다른 쪽의 단부(11B)에 비하여 하방에 있으며, 또한 내주면(31)으로부터 중심축의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연장되는 3개의 제2 돌기부(34)를 저부(32)의 내면(33)에 갖는 것 이외에는, 도 20a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내부 부재(2)와 외부 부재(4)는,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21)의 둘레면과, 외부 부재(4)의 내주면(31)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26a 및 도 26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Figure pct00001
참고예 1 내지 6에 대하여, 투습도와 통기 거리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27에 도시한다. 그래프 중 검정색 동그라미(●)는,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8.0mm, 통기막의 통기량이 50㎤/min인 참고예 1 내지 4의 플롯이다. 흑색 삼각형(▲)은,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8.0mm, 통기막의 통기량이 13000㎤/min인 참고예 5의 플롯이다. 동그라미(○)는,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12mm, 통기막의 통기량이 50㎤/min인 참고예 6의 플롯이다.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2>
[통기 어셈블리의 준비]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8.0mm, 외부 부재의 높이가 9.0mm 및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가 7.0mm인 통기 어셈블리 A를 얻었다.
참고예 6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내부 부재의 높이 H1이 8.0mm, 외부 부재의 높이가 9.0mm 및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가 7.0mm인 통기 어셈블리 B를 얻었다.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28a 및 도 28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C를 얻었다. 도 28a의 내부 부재(2)는, 리브(18) 및 제1 돌기부(7)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16a, 도 16b 및 도 17 내지 도 19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8a 및 도 28b의 외부 부재(4)는, 제2 돌기부(34)의 위치 및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도 16a, 도 16b 및 도 17 내지 도 19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외부 부재(4)의 주위벽의 내부에는, 공간(5a)의 일부인 간극(6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8a 및 도 28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D를 얻었다. 도 29a의 내부 부재(2)는, 제1 돌기부(7)를 갖지 않는 것 이외에는, 도 16a, 도 16b 및 도 17 내지 도 19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9a 및 도 29b의 외부 부재(4)는, 도 16a, 도 16b 및 도 17 내지 도 19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9a 및 도 29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의 형상을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E를 얻었다. 도 30a의 내부 부재(2)는, 돌출부(21)의 수가 3인 것 이외에는, 통기 어셈블리 B의 내부 부재(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0a 및 도 30b의 외부 부재(4)는, 통기 어셈블리 B의 외부 부재(4)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30a 및 도 30b에서는 내부 부재(2) 및 외부 부재(4)를 하방으로부터 보고 있다.
통기 어셈블리 C 내지 E에 있어서의 내부 부재의 높이 H1, 외부 부재의 높이 및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는, 통기 어셈블리 A와 동일하게 하였다.
각 통기 어셈블리에 대하여,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2 공간의 단면 중,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면적 S2min을 측정하였다. 또한,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으로서, 각 도면의 단면(47)을 참조할 수 있다. 단, 각 도면에서는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최소 단위로 되는 당해 단면의 일부가 단면(47)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각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면적 S2min은, 단면(47)의 면적의 12배(통기 어셈블리 A), 3배(통기 어셈블리 B), 6배(통기 어셈블리 C) 및 8배(통기 어셈블리 D)였다. 측정의 구체적인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또한, 통기 어셈블리 E의 면적 S2min은 후술하는 면적 S2out로 되지만, 면적 S2out의 위치를 제외한 경우의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은 단면(47)의 면적을 3배로 한 것이다.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을 포함하도록 외부 부재(4)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다음에, 화상의 치수의 계측이 가능한 소프트웨어인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ImageJ에 얻어진 화상을 도입하고, 통기 어셈블리의 치수(실측값)에 일치하도록 화상 데이터에 스케일을 설정하였다. 다음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의 치수를 측정하여 면적 S2min을 산출하였다. S2min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일례로서, 통기 어셈블리 A, B에 대한 S2min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을 도 31에 도시한다. 도 31의 (a)가 통기 어셈블리 A, (b)가 통기 어셈블리 B이다. 화상 중의 백선(71)이, 면적이 최소로 되는 단면에 대응한다.
다음에, 각 통기 어셈블리에 대하여,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다른 쪽의 단부측(하방측)으로부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를 측정하였다. 측정의 구체적인 조작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각 통기 어셈블리에 대하여 저면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다음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ImageJ에 얻어진 화상을 도입하고, 화상 해상도를 8비트로 설정하고, 통기 어셈블리의 하방측의 단부가 명확하게 비추어지도록 콘트라스트를 조정하고, 또한 통기 어셈블리의 치수(실측값)에 일치하도록 화상 데이터에 스케일을 설정하였다. 다음에, 통기로의 가장 좁아지는 위치를 나타내는 면만이 추출되도록 2치화 처리를 위한 역치를 설정하고, 당해 단부만이 흑색으로 비추어진 화상을 작성하였다. 당해 단부 이외의 부분이 흑색으로 된 경우에는, 그 부분을 삭제하여 화상을 완성시켰다. 일례로서, 통기 어셈블리 A, B에 대한 S2out의 측정에 사용한 화상 및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 32에 도시한다. 도 32의 (a)가 통기 어셈블리 A, (b)가 통기 어셈블리 B이다. 또한, 각 통기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2치화 처리 후의 화상을 도 33에 도시한다. 다음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에 의해, 당해 화상에 있어서의 흑색 부분의 면적을 산출하여 면적 S2out를 산출하였다. S2out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각 통기 어셈블리에 대하여, 전술한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 구비 하우징 덮개를 준비하고, 투습 시험을 실시하였다. 투습도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돌기(52)의 외경은 8.5mm, 내경은 5.0mm, 높이는 6.0mm로 하였다. 돌기(52)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제1 공간의 단면적 S1은 19.6㎟였다.
Figure pct00002
참고예 7 내지 11에 대하여, 비율 S2out/S1과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34에 도시한다.
<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
(참고예 12)
올레핀계 열가소 엘라스토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밀라스토머(등록 상표), 경도 71, 밀도 880kg/㎥)를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26a의 형상의 내부 부재(2)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두께는 4.2mm, 돌출부(21)를 갖지 않는 부분(비돌출부)의 두께는 2.3mm,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6mm, 비돌출부의 외경은 12mm, 내경은 7.5mm, 높이 H1은 6.0mm였다.
다음에, 하우징이 구비할 수 있는 통 형상의 돌기(52)로서 폴리프로필렌(PP)제 돌기(52)를 준비하였다(도 35 참조). 돌기(52)의 외경은 8.5mm, 내경은 5.0mm, 높이 H2는 6.0mm였다.
내부 부재(2)의 상부(돌기에 삽입하는 측과 반대측)에 직경 0.5mm의 핀으로 구멍을 뚫고, 클립을 통과시켰다. 다음에, 내부 부재(높이 6.0mm)의 안쪽까지 돌기(높이 6.0mm)를 삽입하였다.
다음에,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오토그래프 AGS-X)의 한쪽의 파지구에 클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의 파지구에, 인장 시험기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내부 부재(2)에 대한 돌기의 삽입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돌기를 고정하였다. 그 후, 인장 속도 200mm/min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이에 의해 돌기(52)로부터의 내부 부재(2)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도 35 참조). 인장 시험에 의해 얻은 SS 커브를 도 36에 도시한다. SS 커브에 있어서의 하중의 최댓값을 내부 부재(2)의 인발력(수평 인발력)으로 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참고예 13 내지 40)
내부 부재(2)의 높이 H1 및 돌기(52)의 높이 H2를 표 3에 기재된 값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2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인장 시험(내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내부 부재(2)가 파손되지 않고 인발된 참고예에 대하여, 비 H1/H2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37에 도시한다. 그래프의 범례의 수치는, 내부 부재(2)의 높이 H1이다.
<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
(참고예 41)
올레핀계 열가소 엘라스토머(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밀라스토머(등록 상표), 경도 71, 밀도 880kg/㎥)를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26a의 형상의 내부 부재(2)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내부 부재(2)에 있어서의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두께는 4.2mm, 돌출부(21)를 갖지 않는 부분(비돌출부)의 두께는 2.3mm, 돌출부(21)를 갖는 부분의 외경은 16mm, 비돌출부의 외경은 12mm, 내경은 7.5mm, 높이 H1은 6.0mm였다.
폴리프로필렌(니혼 폴리프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재료로서 사용하여, 도 26a 및 도 263b의 형상의 외부 부재(4)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였다. 얻어진 외부 부재(4)의 두께는 1.0mm, 외경은 17.5mm, 내경은 15.6mm, 높이는 12mm였다.
다음에, 하우징이 구비할 수 있는 통 형상의 돌기(52)로서, 폴리프로필렌(PP)제 돌기(52)를 준비하였다(도 35 참조). 돌기의 외경은 8.1mm, 내경은 5.0mm, 높이 H2는 10mm였다.
다음에, 외부 부재(4)의 저부(32)(내부 부재(2)에 삽입하는 측과 반대측)에 구멍을 뚫고, 나사를 통과시켰다. 다음에, 내부 부재(2)를 외부 부재(4)에 압입(삽입)하여(외부 부재(4)의 삽입 깊이 10mm), 통기 어셈블리를 얻었다. 다음에, 내부 부재(2)에 돌기를 삽입하여, 통기 어셈블리를 안쪽까지 돌기(높이 10mm)에 씌웠다.
다음에,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 오토그래프 AGS-X)의 한쪽의 파지구에 나사를 고정하고, 다른 쪽의 파지구에, 인장 시험기의 변위 방향과 통기 어셈블리에 대한 돌기의 삽입 방향이 일치하도록 돌기를 고정하였다. 그 후, 인장 속도 200mm/min으로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이에 의해, 통기 어셈블리로부터의 외부 부재(4)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에 의해 얻은 SS 커브의 예를 도 38에 도시한다. SS 커브에 있어서의 하중의 최댓값을 외부 부재(4)의 인발력으로 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하중의 최댓값이 큰 순으로, 참고예 No.42, No.43, No.44, No.45, No.46의 SS 커브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예 42 내지 52)
돌기의 외경, 외부 부재의 높이 및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를 표 4에 기재된 값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4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인장 시험(외부 부재의 인발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발력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의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내외 접촉 길이」는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4
참고예 41 내지 52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인발력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39에 도시한다. 도 39의 범례의 수치는 돌기의 외경이다. 또한, 상술한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의 투습 시험 1>의 참고예 2 내지 4에 대하여, 외부 부재의 삽입 깊이와 투습도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를 도 40에 도시한다. 도 40의 범례의 수치는 돌기의 외경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은, 종래의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과 마찬가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에 고정되는 통기 어셈블리이며,
    양쪽의 단부에 개구를 갖는 통 형상체인 내부 부재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체인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의 한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를 덮는 통기막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부재는, 상기 외부 부재의 내측에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한쪽의 단부 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상기 내부 부재와 접합되고,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 상기 외부 부재의 내부, 및 접합한 상기 내부 부재와 상기 외부 부재의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상기 통기막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외부를 접속하는 통기로로 되는 제2 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통기막에 대하여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의 위치에,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2 이상의 상기 제1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2 이상의 제1 돌기부가, 상기 내부 부재의 내부의 공간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는, 통기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통기막이 이격되어 있는, 통기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의 높이가 6.0mm 이상 10mm 이하인, 통기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상기 내부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 부재에 의해 덮이는 부분의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6.0mm 이상 8.0mm 이하인, 통기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부재 및/또는 상기 내부 부재가, 상기 외부 부재와 상기 내부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접합하는 걸림 기구를 갖는, 통기 어셈블리.
  7. 하우징과 통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통기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제1 공간을 내측에 갖는 통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기 어셈블리이고,
    상기 내부 부재의 다른 쪽의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돌기를 상기 내부 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내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의 외주면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통기 어셈블리가 상기 돌기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상기 1 또는 2 이상의 제1 돌기부는, 상기 돌기의 선단과 상기 통기막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통기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로로서의 통기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2 공간의 단면의 면적을 상기 통기막으로부터의 거리마다 합계한 총 면적이 최소로 되는 위치의 총 면적 S2min의 비율 S2min/S1이 1.0 이상인, 통기 하우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제1 공간의 단면의 면적 S1과, 상기 통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다른 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을 관찰하였을 때, 상기 제2 공간이 가장 좁아지는 위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평면의 총 면적 S2out의 비율 S2out/S1이 1.0 이상인, 통기 하우징.
KR1020217013648A 2018-10-11 2019-10-11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KR102636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2350 2018-10-11
JP2018192350 2018-10-11
PCT/JP2019/040314 WO2020075855A1 (ja) 2018-10-11 2019-10-11 通気アセンブリ及び通気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556A true KR20210068556A (ko) 2021-06-09
KR102636995B1 KR102636995B1 (ko) 2024-02-16

Family

ID=7016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648A KR102636995B1 (ko) 2018-10-11 2019-10-11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63317B2 (ko)
JP (1) JP7389046B2 (ko)
KR (1) KR102636995B1 (ko)
CN (1) CN111316763B (ko)
BR (1) BR112021006494A2 (ko)
DE (1) DE112019005103T5 (ko)
MX (1) MX2021004086A (ko)
WO (1) WO2020075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558A (ko) *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CN111316765B (zh) * 2018-10-11 2023-02-21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组件及通气壳体
EP3936583A1 (en) * 2020-06-05 2022-01-12 W. L. Gore & Associates, Inc. Articles comprising adhesive membranes with improved geometry and water entry pressure
TWI765624B (zh) * 2021-03-26 2022-05-2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鎖附固定結構
CN115199988A (zh) * 2022-09-16 2022-10-18 常州通宝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红外探测技术的车灯组件及照明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4A (ja) * 1999-11-18 2001-05-25 Nitto Denko Corp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JP2003336874A (ja)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2005349362A (ja) * 2004-06-14 2005-12-22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通気部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筐体。
JP2007087929A (ja) * 2005-08-24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11023206A (ja) * 2009-07-15 2011-02-03 Japan Gore Tex Inc 通気栓
JP2013114829A (ja) * 2011-11-28 2013-06-10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KR20170083339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용 마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975Y1 (ko) * 2002-03-27 2002-07-13 정인석 에어밴트
US7833647B2 (en) 2004-04-28 2010-11-16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vent seal and assembly
JP4517227B2 (ja) 2004-07-13 2010-08-04 有限会社中島工業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内圧調整用フィルタ
CN100510525C (zh) 2004-12-07 2009-07-08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部件及使用它的通气壳体和电子元件
CN100587332C (zh) * 2005-08-24 2010-02-03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气构件
WO2007069387A1 (ja) 2005-12-14 2007-06-21 Nitto Denko Corporation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4855203B2 (ja) 2005-12-14 2012-01-1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5508044B2 (ja) 2010-01-22 2014-05-28 大成プラス株式会社 通気キャップとその製造方法
JP5714403B2 (ja) 2011-04-27 2015-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KR101555402B1 (ko) * 2011-10-19 2015-09-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다공질 기능성 막.
CN203036605U (zh) 2012-11-01 2013-07-03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气构件
JP2015033682A (ja) 2013-08-09 2015-0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及び通気部材
EP3151642A4 (en) 2014-05-28 2018-05-02 Nitto Denko Corporation Metal case and ventilation structure using same
KR102401681B1 (ko) 2015-02-18 2022-05-24 지브이에스 에스.피.에이. 전기, 전자, 기계 또는 유사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개선된 환기를 위한 요소
JP6721978B2 (ja) 2015-12-15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ランプ
JP6269907B1 (ja) 2016-07-29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バルブ、気体制御装置
KR101701469B1 (ko) * 2016-09-09 2017-02-03 (주)상아프론테크 자동차용 통기 캡
KR102021145B1 (ko) 2017-01-25 2019-09-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캡 타입 벤트
CN111316765B (zh) 2018-10-11 2023-02-21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组件及通气壳体
KR20210068558A (ko) 2018-10-11 2021-06-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하우징
JP7489321B2 (ja) * 2018-10-11 2024-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筐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4A (ja) * 1999-11-18 2001-05-25 Nitto Denko Corp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JP2003336874A (ja)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JP2005349362A (ja) * 2004-06-14 2005-12-22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通気部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筐体。
JP2007087929A (ja) * 2005-08-24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11023206A (ja) * 2009-07-15 2011-02-03 Japan Gore Tex Inc 通気栓
JP2013114829A (ja) * 2011-11-28 2013-06-10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KR20170083339A (ko) * 2016-01-08 2017-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용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6763A (zh) 2020-06-19
US11963317B2 (en) 2024-04-16
JP7389046B2 (ja) 2023-11-29
JPWO2020075855A1 (ja) 2021-09-09
WO2020075855A1 (ja) 2020-04-16
CN111316763B (zh) 2023-03-07
KR102636995B1 (ko) 2024-02-16
DE112019005103T5 (de) 2021-07-08
MX2021004086A (es) 2021-06-04
BR112021006494A2 (pt) 2021-07-06
US20220201878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8556A (ko)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KR20210070356A (ko) 통기 하우징
KR20210068557A (ko) 통기 어셈블리 및 통기 하우징
JP2024042043A (ja) 通気筐体
KR102592662B1 (ko) 통기 부재
CN112806107B (zh) 通气壳体
CN114930993A (zh) 通气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