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808B1 -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808B1
KR101269808B1 KR1020120104468A KR20120104468A KR101269808B1 KR 101269808 B1 KR101269808 B1 KR 101269808B1 KR 1020120104468 A KR1020120104468 A KR 1020120104468A KR 20120104468 A KR20120104468 A KR 20120104468A KR 101269808 B1 KR101269808 B1 KR 101269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electromagnetic relay
electromagnet
win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490A (ko
Inventor
요시히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2011/0881Components of the circuit not provided for by previous groups
    • F02N2011/0892Two coils being used in the starting circuit, e.g. in two windings in the starting relay or two field windings in the star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6Details concerning isolation between driving and switch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Abstract

[과제]
전자 계전기와 전자석을 동축상 직렬로 배치함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 수단]
모터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 계전기와,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과 상기 전자석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과 상기 전자석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이 일체로 구성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관통하여 계합되고, 상기 전자석의 여자 코일의 구출선을 보호하는 구출부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FOR START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엔진을 시동하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엔진 시동용 스타터가 특히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자동차인데, 근래, 자동차의 연비 개선 방법으로서 아이들 스톱 기능을 탑재하는 자동차가 증가하고 있다. 통상의 엔진 시동과 마찬가지로 스타터를 아이들 스톱 후의 재시동에 이용하는 구성이 채용된 경우, 스타터의 사용 회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스타터의 내구성 향상이 필요해진다.
한편, 자동차의 엔진 룸은 엔진 본체와 스타터 이외에, 그 엔진을 운전하기 위해 필요 불가결한 장치나, 엔진으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을 타이어에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변속기 등, 매우 많은 구성 부품이 배치되기 때문에, 스타터가 설치되는 주위는 다른 구성 부품으로 밀집하여 있다. 근래, 엔진의 성능 향상을 위해 구성 부품수는 증가, 구성 부품이 대형화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터의 소형화의 중요도가 늘어나 있다.
종래의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공소56-42437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에 나타난 엔진 시동용의 스타터 구조가 알려져 있다. 그 구조는, 피니언을 링 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전자력 수단과, 이 전자력 수단과 별체로 병렬적으로 마련되는 전자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는,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의 맞물림 불량을 방지하는 기술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 스톱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차에의 탑재에 대해서는 유효하지만, 전자력 수단과 전자 스위치가 모터의 지름 방향 외주에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터 전체로서의 소형화와는 상반되어 있다는 과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전자 계전기와 전자석을 동축상 직렬로 배치함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는, 모터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 계전기와,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과 상기 전자석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繼鐵)과 상기 전자석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이 일체로 구성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관통하여 계합되고, 상기 전자석의 여자 코일의 구출선(口出線)을 보호하는 구출부(口出部)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는, 모터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 계전기와,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과 상기 전자석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과 상기 전자석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이 일체로 구성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로서, 배터리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는 배터리 단자와, 모터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는 모터 단자를 가지며, 상기 배터리 단자와 상기 모터 단자의 중심을 이은 선으로 분할한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의 영역에 상기 전자석의 여자 단자와 상기 전자 계전기의 여자 단자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는, 전자 계전기와 전자석을 동축상 직렬로 배치함과 함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관통하여 계합되고, 전자석의 여자 코일의 구출선을 보호하는 구출부를 구비함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와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와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가 있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는, 배터리 단자와 모터 단자의 중심을 이은 선으로 분할한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의 영역에 전자석의 여자 단자와 전자 계전기의 여자 단자를 설치함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탑재한 스타터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탑재한 스타터의 결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도 3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계철의 저부측에서 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의 A-A선에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의 B-B선에서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의 C-C선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를 계철의 저부측에서 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5의 A-A선에 대응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5의 B-B선에 대응한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5의 C-C선에 대응한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탑재한 스타터를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탑재한 스타터의 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도 3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계철의 저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의 B-B선에서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도 5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를 계철의 저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들 각 도면에서, 스타터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1), 이 모터(1)로부터 회전력을 취출하는 출력축(2), 이 출력축(2)상에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고 출력축(2)으로부터 모터(1)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오버 러닝 클러치(3), 이 오버 러닝 클러치(3)의 구성 부품이고 오버 러닝 클러치(3)에 전달된 모터(1)의 회전력을 엔진의 링 기어(4)에 전달하는 피니언 기어(5), 모터 회로를 구성하는 주접점(主接点)(6)을 구비하고, 주접점(6)을 개폐하는 전자 계전기(7)와, 이 전자 계전기(7)와 동축 직렬로 축방향 시프트 레버(8)측에 배치되고 축방향 시프트 레버(8)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5)를 링 기어(4)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9)을 구비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3부터 도 6에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는, 크게 나누어서, 계철(12), 전자 계전기(7), 전자석(9)으로 나눠진다. 계철(12) 내에 전자석(9), 전자 계전기(7)의 순서로 수납되고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로서 구성되어 기능한다.
우선, 계철(12)은 전자 계전기(7)와 전자석(9)의 자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자성 재료이고, 전자 계전기(7)와 전자석(9)의 외주를 일체로 형성하는 컵 형상의 부품으로, 코킹부(12b), 감합부(12c), 몸통부(12d), 저부(12a), 암나사(12e), 관통 구멍(12f)을 구비하고 있다. 코킹부(12b)는 개구부 단(端)에 마련되고, 단자대(11)를 삽입 후 내주측으로 접어 절곡되는 박육 원통형상이고, 감합부(12c)는 전자 계전기(7)의 제 1의 고정 철심(14)이 감합되고, 몸통부(12d)의 내주에 전자석(9)과 전자 계전기(7)가 삽입된다. 저부(12a)는 프런트 브래킷(15)에 맞닿고, 암나사(12e)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 나사로 프런트 브래킷(15)에 체결하기 위해 설치되고, 관통 구멍(12f)은 지지 부재(16)가 관통하고, 축방향 시프트 레버(8)와 결합하는 전자석(9)의 가동 철심(17)이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음에, 전자 계전기(7)에 관해 설명한다. 전자 계전기(7)는 가동 철심(18), 여자 코일(19), 감는 테두리(20), 지지 부재(21), 제 1의 고정 철심(14), 제 2의 고정 철심(22), 패킹(23), 로드(24), 복귀 스프링(25), 단자대(11), 비자성 부재(13)를 구비한다.
가동 철심(18)은 자성 재료이고,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복귀 스프링(25)의 힘으로 축방향의 제 2의 고정 철심(22)측으로 가세되고, 지지 부재(21)의 내주면에 축방향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자 코일(19)은 도전재이고, 감는 테두리(20)에 감겨지고, 여자 코일(19)의 단부는 구출선(19a, 19b)으로서 감는 테두리(20)의 구출부(20a, 20b)로부터 인출된다. 도 7은 도 5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고, 감는 테두리(20)로부터 인출된 구출선(19a, 19b)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단인 감기시작측 구출선(19a)은 구출부(20a), 고정 부재(26)를 통과하여 단자대(11)의 외부에 인출되고, 여자 단자(27)에 도전(導電) 가능하게 고정된다. 타단인 감기끝측 구출선(19b)은 구출부(20b)를 통과하여 고정 철심(14)의 단자대(11)측에 인출되고, 고정 철심(14)의 단자대(11)측 단면(端面)에 도통 가능하게 고정된다.
감는 테두리(20)는 절연재이고, 몸통부, 단자대(11)측의 벽, 전자석(9)측의 벽으로 구성된다. 몸통부는 중공 원통형상이고, 몸통부와 단자대(11)측의 벽, 전자석(9)측의 벽으로 구성되는 공간에 여자 코일(19)이 감겨진다. 단자대(11)측의 벽은 고정 철심(14)의 당접면과, 단자대(11)측으로 돌출한 구출부(20a, 20b)를 구비하고, 이 구출부(20a, 20b)에 마련된 홈으로부터 여자 코일(19)의 구출선(19a, 19b)이 인출된다. 구출부는 전자 계전기(7)의 감기시작측 구출선(19a)을 인출하는 구출부(20a)와, 전자 계전기(7)의 감기끝측 구출선(19b)과 함께 전자석(9)의 여자 코일(28)의 감기시작측 구출선(28a)을 인출하는 구출부(20b)가 있고, 180°대향한 위치에 마련되고, 제 1의 고정 철심(14)의 노치(14a)를 관통하고, 단자대(11)의 감합구멍(11a)에 감합함으로써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다. 구출부(20b)는 내부에 벽(20c)을 설치하여 전자석(9)의 구출선(28a)과 전자 계전기(7)의 구출선(19b)의 사이를 절연하고 있다. 또한 외주측에도 벽이 있어, 구출선(28a)과 계철(12)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있다. 전자석(9)측의 벽에는 후술하는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의 구출부(29a)가 관통하는 노치(20d)가 마련되고, 이 전자석(9)의 구출부(29a)와 감는 테두리(20)의 노치(20d)로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와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의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다. 또한, 20e는 삽통 홈이고, 구출선(19a)이 삽통한다. 20f는 감합부이고, 지지 부재(21)가 도시하지 않은 외주 차양부가 감합된다. 20g는 감는 테두리(20)의 중공부이다. 20h는 삽통 구멍이고, 구출선(28a)이 삽통한다.
지지 부재(21)는 비자성 재료이고, 감는 테두리(20)의 몸통부 내주에 설치되고, 내주면이 가동 철심(18)의 활주면을 형성하고, 제 2의 고정 철심(22)측의 단부는 제 2의 고정 철심(22)의 내주에 감합된다. 지지 부재(21)의 제 1의 고정 철심(14)측의 단부의 내주면은 제 1의 고정 철심(14)의 외주에 감합된다. 제 1의 고정 철심(14)측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제 1의 고정 철심(14)과 감는 테두리(2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된다. 단자대(11)측의 감합부를 제외한 내주면은 가동 철심(18)의 활주면을 형성한다.
제 1의 고정 철심(14)은 자성 재료이고,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외경이 작은 부분이 지지 부재(21)의 내주에 감합되고, 외경이 큰 부분이 계철(12)에 감합되고, 단자대(11)측의 단면은 패킹(23)의 접촉면이면서 여자 코일(19) 감기끝측 구출선(19b)을 도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면, 가동 철심(18)측의 단면은 가동 철심(18)의 당접면(當接面), 중심부에는 로드(24)가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제 1의 고정 철심(14)에는 단자대(11)에 가해지는 외력(배터리 단자(30), 모터 단자(31)에 너트(32)를 체결할 때의 체결 토오크)을 감는 테두리(20)의 구출부(20a, 20b)를 통하여 받아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계철(12)의 내경과 제 1의 고정 철심(14)의 외경은 억지끼워맞춤(interference fit)의 치수 설정이다. 예를 들면, 계철(12)의 내경 < 제 1의 고정 철심(14)의 외경의 치수 설정이다.
제 2의 고정 철심(22)은 자성 재료이고,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내주면에 지지 부재(21)가 감합되고, 외주부가 계철(12)에 감합된다. 제 1의 고정 철심(14)과 달리 외력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철(12)의 내경과 제 2의 고정 철심(22)의 외경은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의 치수 설정이지만, 감합부(22a)가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간극은 극력 작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계철(12)의 내경 > 제 2의 고정 철심(22)의 외경의 치수 설정이다.
패킹(23)은 탄성을 갖는 절연 재료이고, 제 1의 고정 철심(14)과 단자대(11) 사이의 틈에 접촉압을 준 상태로 설치되고, 단자대(11)의 내벽과 제 1의 고정 철심(14) 사이에서 구성되는 공간인 접점실(接点室)(37b)을 방수(防水)한다.
로드(24)에는 고정 부재(33)에 의해 접점 스프링(34), 절연재(35a, 35b), 가동 접점(36)이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접점 스프링(34)은 가동 접점(36)을 고정 접점(30a, 31a) 방향으로 가세, 절연재(35a, 35b)는 가동 접점(36)을 절연하도록, 가동 접점(36)은 고정 접점(30a, 31a)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복귀 스프링(25)은 로드(24)와 가동 철심(18)을 제 2의 고정 철심(22) 방향으로 가세하도록 단자대(11)와 고정 부재(33)의 사이에 설치된다.
단자대(11)에는 절연 부재(37), 전자 계전기(7)의 여자 단자(27), 전자석(9)의 여자 단자(38), 여자 단자(27, 38)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26), 배터리 단자(30), 모터 단자(31), 패킹(39), 배터리 단자(30)와 모터 단자(31)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40)를 구비한다.
절연 부재(37)는 절연 재료이고, 여자 단자(27, 38), 배터리 단자(30), 모터 단자(31)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37a), 고정 접점(30a, 31b) 방향으로 가동 접점(36)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인 접점실(37b), 제 1의 고정 철심(14)측의 단면에 패킹(23)의 당접면(37c)을 구비한다. 여자 단자(27, 38)는 차량측의 배선과 여자 코일(19, 28)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단자이고, 고정 부재(26)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내부를 구출선(19a, 28a)이 관통함과 함께 단부를 눌러 넓힘으로써 여자 단자(27, 38)를 고정하고, 배터리 단자(30)는 가동 접점(36)측에 주접점(6)을 구성하는 고정 접점(30a)과 그 반대측에 차량측의 배터리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는 나사부(30b)를 구비하고, 모터 단자(31)는 가동 접점(36)측에 주접점(6)을 구성하는 고정 접점(31a)과 그 반대측에 모터(1)로부터의 배선이 접속되는 나사부 31b를 구비하고, 배터리 단자(30)와 모터 단자(31)는 고정 부재(40)로 절연 부재(37)에 고정된다.
비자성 부재(13)는 비자성 재료이고, 전자 계전기(7)와 전자석(9)의 자기 회로를 분리하고, 전자 계전기(7)측의 단면이 가동 철심(18)과 제 2의 고정 철심(22)에 맞닿고, 전자석(9)측의 단면이 고정 철심(41)에 맞닿고, 내주는 제 2의 고정 철심(22)과 억지끼워맞춤의 치수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비자성 부재(13)의 내경 < 제 2의 고정 철심(22)의 외경의 치수 관계에 있다.
다음에, 전자석(9)에 관해 설명한다. 전자석(9)은 여자 코일(28), 감는 테두리(29), 지지 부재(16), 고정 철심(41), 복귀 스프링(42), 가동 철심(17)을 구비한다.
여자 코일(28)은 도전재이고, 감는 테두리에 감겨지고, 여자 코일(28)의 단부는 구출선으로서 감는 테두리의 구출부로부터 인출된다. 도 10은 도 5의 단면 C-C이고 전자석(9)의 구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단인 감기시작측 구출선(28a)은 전자석(9)의 구출부(29a), 전자 계전기(7)의 구출부(20b), 고정 부재(26)를 통과하여 단자대(11)의 외부까지 인출되고 여자 단자(38)에 도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타단인 감기끝측 구출선(28b)은 구출부(29b)를 통과하여 고정 철심(41)의 전자 계전기(7)측에 인출되고, 고정 철심(41)의 전자 계전기(7)측의 단면에 도통 가능하게 고정된다.
감는 테두리(29)는 절연재이고, 몸통부, 고정 철심(41)측의 벽, 저부측의 벽으로 구성되는 공간에 여자 코일(28)이 감겨지고, 고정 철심(41)측의 벽부터 돌출한 구출부(29a, 29b)로부터 여자 코일(28)의 구출선이 인출된다. 도 11이 감는 테두리(29)를 도 3의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2가 감는 테두리(29)를 도 6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구출부는 감기시작측 구출선(28a)을 인출하는 구출부(29a)와 감기끝측 구출선(28b)을 인출하는 구출부(29b)가 180°대향한 위치에 마련되고, 고정 철심(41)의 노치를 관통하고 있다. 감기시작측 구출선(28a)을 인출하는 구출부(29a)에 관해서는 전자 계전기(7)의 여자 코일(19)과 계철(12)과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감기끝측 구출선(28b)을 인출하는 구출부(29b)보다도 길게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의 단자대(11)측의 벽 부근까지 돌출하고 있다. 이 구출부(29a)는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의 노치(20d)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구출부(29a)와 노치부(20d)로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와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 사이의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이 구성된다. 또한 저부(12a)측에는 계철(12)의 암나사(12e)를 관통한 체결 나사(12e)의 릴리프부(29c)가 설치된다. 또한, 29d는 저부(12a)측의 릴리프부(29c)와 이어지는 평탄부이다. 29e는 삽통 홈이고, 구출선(28b)이 삽통한다. 29f는 감합부이고, 지지 부재(16)가 도시하지 않은 외주 차양부가 감합된다. 29g는 감는 테두리(29)의 중공부이다. 29h는 삽통 홈이고, 구출선(28a)이 삽통한다.
지지 부재(16)는 비자성 재료이고, 감는 테두리(29)의 몸통부 내주에 설치되고, 내주면이 가동 철심(17)의 활주면을 형성하고, 저부(12a)측의 단부는 계철(12)의 내주에 감합되고, 고정 철심(41)측의 단부의 내주면은 고정 철심(41)의 외주에 감합된다. 고정 철심(41)측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정 철심(41)과 감는 테두리(29) 사이에 끼어져서 고정된다.
고정 철심(41)은 자성 재료이고,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외경이 작은 부분이 지지 부재(16)의 내주에 감합되고, 외경이 큰 부분이 계철(12)에 감합되고, 전자 계전기(7)측의 단면은 비자성 부재(13)의 접촉면이면서 구출선(28b)을 도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면, 가동 철심(17)측의 단면은 가동 철심(17)의 당접면과 복귀 스프링(42)의 당접면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은 전자 계전기(7)의 제 1의 고정 철심(14)과 달리 단자 체결시의 외력을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철(12)의 내경과 고정 철심(41)의 외경은 헐거운 끼워맞춤의 치수 설정이지만, 감합부(41a)가 자기 회로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간극은 극력 작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계철(12)의 내경 > 고정 철심(41)의 외경의 치수 설정이다.
복귀 스프링(42)은 고정 철심(41)과 가동 철심(17)의 사이에 설치되고 가동 철심(17)을 축방향 시프트 레버(8)측으로 가세한다.
가동 철심(17)은 자성 재료이고, 계합부(43), 피니언 가세 스프링(44), 고정 부재(45)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 부재(16)의 내주면 축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복귀 스프링(42)의 힘으로 축방향 시프트 레버(8)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계합부(43)는 축방향 시프트 레버(8)와 가동 철심(17)을 계합하는 부재이고, 가동 철심(17)측 일단의 대경부가 피니언 가세 스프링(44)과 맞닿고, 타단은 축방향 시프트 레버(8)와 계합한다. 피니언 가세 스프링(44)은 계합부(43)와 고정 부재(45)의 사이에 마련되고, 계합부(43)보다도 가동 철심(17)의 고정 철심(41) 방향의 이동량이 큰 경우에 축방향 시프트 레버(8)를 고정 철심(41) 방향으로 가세한다.
다음에, 이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의 조립에는 조립 치구를 이용한다. 조립 치구는 계철(12)의 저부가 맞닿는 평면, 암나사(12e)와 감합하는 위치 결정 핀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핀의 길이는 감는 테두리(29)의 릴리프부(29c)와 감합되는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계철(12)과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 사이의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우선, 계철(12)의 개구부를 하늘방향(天方向)을 향하게 하여 조립 치구에 싣는다. 다음에 전자석(9)을 계철(12)의 개구부로부터 저부(12a)를 향하여 삽입한다(전자석(9)의 복귀 스프링(42)과 가동 철심(17)은 그 밖의 부품 조립 완료 후에 조립하여도 좋다). 계철(12)과 고정 철심(41) 사이는 헐거운 끼워맞춤의 치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삽입하는데 즈음하여 큰 힘은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계철(12)의 내경 > 고정 철심(41)의 외경의 치수 관계에 있다.
계철(12)에 대한 전자석(9)의 위치는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와 저부(12a)가 맞닿음에 의해, 높이 방향의 위치, 계철(12)의 내경과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의 외경에서 지름 방향의 위치, 조립 치구의 위치 결정 핀과 감는 테두리(29)의 릴리프부(29c)로 둘레 방향(회전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계속해서, 전자 계전기(7)를 삽입하는데, 우선, 단자대(11)와 복귀 스프링(25)을 제외한 부분을 삽입한다. 이 때, 전자석(9)의 구출부(29a)와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의 노치(20d)로 회전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삽입 완료 후, 고정 철심(14)을 계철(12)에 압입 고정한 것으로 지름 방향의 위치와 높이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계속해서, 복귀 스프링(25), 단자대(11)를 삽입하고, 단자대(11)를 복귀 스프링(25)의 반력과 패킹(23)의 반력을 합친 하중 이상의 하중으로 고정 철심(14) 방향으로 압압한 상태에서 계철(12)의 코킹부(12b)를 코킹하여, 단자대(11)를 고정한다.
다음에, 전자 계전기(7)와 전자석(9)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전자 계전기(7)의 동작인데, 여자 단자(27)에 전압이 인가되면 여자 코일(19)에 전류가 흐르고, 자계가 발생한다. 이 전류가 소정의 전류 이상이 되면, 가동 철심(18)과 고정 철심(14)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복귀 스프링(25)과 접점 스프링(34) 및 마찰 저항을 극복하여,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4)에 흡착된다. 로드(24)는 가동 철심(18)의 고정 철심(14)측의 단면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4) 방향으로 움직이면 로드(24)도 함께 이동한다. 로드(24)가 이동한다면 로드(24)에 지지되어 있는 가동 접점(36)도 움직이고, 가동 철심(18)이 소정량 움직이면 가동 접점(36)과 고정 접점(30a, 31a)이 접촉한다.
또한, 가동 철심(18)이 고정 철심(14) 방향으로 움직이면, 접점 스프링(34)의 하중이 가동 접점(36)과 고정 접점(30a, 31a) 사이에 주어진다. 가동 접점(36)과 고정 접점(30a, 31a)이 맞닿면, 배터리로부터 모터(1)에 전력이 공급되고 모터(1)가 회전한다. 여자 단자(27)에의 전압 인가를 멈추면, 여자 코일(19)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자계가 사라지고, 복귀 스프링(25)과 접점 스프링(34)의 하중으로 로드(24)와 가동 철심(18)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가동 접점(36)과 고정 접점(30a, 31a)은 떨어지고,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없어지기 때문에 모터(1)는 정지한다.
계속해서, 전자석(9)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전자석(9)의 여자 단자(38)에 전압이 인가되면 여자 코일(28)에 전류가 흐르고, 자계가 발생한다. 이 전류가 소정의 전류 이상이 되면, 가동 철심(17)과 고정 철심(41) 사이에 작용하는 흡인력이 복귀 스프링(42)과 피니언 가세 스프링(44) 및 마찰력을 극복하여, 가동 철심(17)이 고정 철심(41)에 흡착된다. 가동 철심(17)이 고정 철심(41) 방향으로 흡인되면, 축방향 시프트 레버(8)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5)는 링 기어(4)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피니언 기어(5)와 링 기어(4)의 단면끼리가 맞닿아 피니언 기어(5)가 링 기어(4)의 치면(齒面)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는, 가동 철심(17)만이 더욱 움직임으로써 피니언 가세 스프링(44)의 휨량이 발생하고, 피니언 가세 스프링(44)의 하중으로 축방향 시프트 레버(8)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5)를 링 기어(4) 방향으로 가세한다.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전자 계전기(7)의 가동 철심(18)의 중심축과 전자석(9)의 가동 철심(17)의 중심축을 동축상에 직렬로 배치하고, 전자 계전기(7)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12)과 전자석(9)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12)을 일체로 구성함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를 관통하여 계합되고, 전자석(9)의 여자 코일(28)의 구출선(28a)을 보호하는 구출부(29a)를 구비함에 의해,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와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의 둘레 방향(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전자 계전기(7)의 전자석(9)과 축방향 반대측에 설치되고, 주회로를 구성하는 주접점(6)이 설치되는 단자대(11)에 마련된 감합구멍(11a)에,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로부터 돌출한 구출부(20a, 20b) 또는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로부터 돌출한 구출부(29a, 29b)가 감합함에 의해,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와 단자대(11)의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자 계전기(7)의 외주에 위치하는 계철(12)의 내경은, 전자석(9)의 외주에 위치하는 계철(12)의 내경보다도 크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자 계전기(7)의 제 1의 고정 철심(14)의 외경은,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의 외경보다도 크게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계철(12)의 몸통부(12d)의 내경은 예를 들면 6단계로 나뉘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계철(12)의 몸통부(12d)의 내경의 크기는, 제 1의 몸통부(12d1) < 제 2의 몸통부(12d2) < 제 3의 몸통부(12d3) < 제 4의 몸통부(12d4) < 제 5의 몸통부(12d5) < 제 6의 몸통부(12d6)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제 1의 몸통부(12d1)는 전자석(9)의 여자 코일(28)의 외주에 위치하고, 제 2의 몸통부(12d2)에는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이 감합되고, 제 3의 몸통부(12d3)는 비자성 부재(13)의 외주에 위치하고, 제 4의 몸통부(12d4)는 전자 계전기(7)의 제 2의 고정 철심(22)이 감합되고, 제 5의 몸통부(12d5)는 전자 계전기(7)의 여자 코일(19)의 외주에 위치하고, 제 6의 몸통부(12d6)는 전자 계전기(7)의 제 1의 고정 철심(14)이 감합된다. 제 2의 몸통부(12d2), 제 3의 몸통부(12d3), 제 6의 몸통부(12d6)의 내경과 각각에 감합되는 고정 철심(41), 비자성 부재(13), 제 2의 고정 철심(22)의 외경은 억지끼워맞춤의 치수 관계에 있다. 예를 들면, 제 2의 몸통부(12d2)의 내경 < 고정 철심(41)의 외경의 치수 관계에 있다.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전자석(9) 외주의 계철(12) 내경보다도 전자 계전기(7) 외주의 계철(12) 내경을 크게 구성함에 의해,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을 계철(12)에 압입 감합한 후에, 전자석(9)의 위에 전자 계전기(7)를 조립할 수가 있어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보다 전자 계전기(7)의 제 1의 고정 철심(14)의 외경을 크게 함에 의해, 전자석(9)의 고정 철심(41)을 계철(12)에 압입 감합한 후에, 전자석(9)의 위에 전자 계전기(7)를 조립할 수가 있어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14 내지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5의 A-A선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5의 B-B선에 대응한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를 도 5의 C-C선에 대응한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서의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를 단자대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에서, 배터리 단자(30)와 모터 단자(31) 사이의 중심을 잇는 직선으로 분할한 영역의 어느 한쪽의 영역,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하는 중심선(P)보다 상측을 영역(D)으로 하고, 다른쪽의 영역,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하는 중심선(P)보다 하측을 영역(E)으로 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전자 계전기(7)의 여자 단자(27)는 영역(D), 전자석(9)의 여자 단자(38)는 영역(E)에 배치된 구성이였지만,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전자석(9)의 여자 단자(38)와 전자 계전기(7)의 여자 단자(27)를 어느 한쪽의 영역, 도면은 한 예로서, 도 14에 도시하는 중심선(P)보다 하측의 영역(E)에 마련하고, 전자 계전기(7)의 여자 단자(27)와 전자석(9)의 여자 단자(38)를 2극의 커넥터로서 하우징(46)에 장착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7)의 감기시작측 구출선(19a)과 구출부(20a)를 영역(D)으로부터 영역(E)으로 이동하고, 전자 계전기(7)의 감기끝측 구출선(19b)과 감는 테두리(20)의 구출부(20b)를 영역(E)으로부터 영역(D)으로 이동하고, 전자 계전기(7)의 구출부(20b)를 통과하고 있던 전자석(9)의 감기시작측 구출선(28a)을 전용의 구출부(20i)로서 영역(E)에 마련하여, 전자 계전기(7)의 감기시작측 구출부(20a)의 오른편에 설치하였다. 또한, 20j는 삽통 홈이고, 구출선(19b)이 삽통한다. 20f는 감합부이고, 지지 부재(21)의 도시하지 않은 외주 차양부가 감합된다. 20g는 감는 테두리(20)의 중공부이다. 20k는 삽통 홈이고, 구출선(19a)이 삽통한다. 20l은 삽통 구멍이고, 구출선(28a)이 삽통한다.
또한, 전자 계전기(7)의 감는 테두리(20)의 노치(20d)의 위치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출부(20i)와 같은 방향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9)의 감는 테두리(29)의 구출부(29a)도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출부(20i)와 같은 방향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단자대(11)를 배터리 단자(30), 모터 단자(31)측에서 보아 배터리 단자(30)와 모터 단자(31) 사이의 중심을 이은 선으로 분할한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의 영역에, 전자 계전기(7)의 여자 단자(27)와 전자석(9)의 여자 단자(38)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차량측의 배선을 접속하는 작업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 의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10)를 사용한 스타터의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특허 문헌1과 마찬가지이지만, 이것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전자석(9)과 전자 계전기(7)를 개개로 다른 타이밍에서 작동시키는 제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와 전자석을 동축상 직렬로 배치함에 의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의 실현에 알맞다.
1 : 모터 4 : 링 기어
5 : 피니언 기어 7 : 전자 계전기
9 : 전자석 10 :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11 : 단자대 11a : 감합구멍
12 : 계철 14 : 제 1의 고정 철심
17 : 가동 철심 18 : 가동 철심
20 : 감는 테두리 22 : 제 2의 고정 철심
27 : 여자 단자 28 : 여자 코일
28a : 구출선 28b : 구출선
29 : 감는 테두리 29a : 구출부
29b : 구출부 30 : 배터리 단자
31 : 모터 단자 38 : 여자 단자
41 : 고정 철심

Claims (1)

  1. 모터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 계전기와, 피니언 기어를 링 기어 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 철심과 고정 철심을 갖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과 상기 전자석의 가동 철심의 중심축이 동축상에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과 상기 전자석의 자기 회로이며 바깥테두리를 구성하는 계철이 일체로 구성된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계전기는 감는 테두리에 권착된 여자 코일을 가지며, 상기 전자석은 감는 테두리에 권착된 여자 코일을 가지며, 배터리 단자와 모터 단자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전자 계전기의 상기 감는 테두리측에 감합 구멍이 형성된 단자대를 가지며,
    상기 전자석의 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를 관통하여 계합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상기 감는 테두리와 상기 전자석의 상기 감는 테두리의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전자석의 상기 여자 코일의 구출선을 보호하는 구출부와,
    상기 전자 계전기의 감는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자 계전기의 상기 고정 철심을 관통함과 함께 단자대의 감합 구멍에 계합되고, 상기 단자대와 상기 전자 계전기의 상기 감는 테두리의 회전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함과 함께 상기 전자 계전기의 상기 여자 코일의 구출선을 보호하는 구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대의 상기 배터리 단자와 상기 모터 단자의 중심을 이은 선으로 분할한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의 영역에 상기 전자석의 여자 단자와 상기 전자 계전기의 여자 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KR1020120104468A 2009-10-27 2012-09-20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KR101269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6506A JP4931983B2 (ja) 2009-10-27 2009-10-27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JPJP-P-2009-246506 2009-10-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309A Division KR101235536B1 (ko) 2009-10-27 2010-10-14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490A KR20120120490A (ko) 2012-11-01
KR101269808B1 true KR101269808B1 (ko) 2013-05-30

Family

ID=43859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309A KR101235536B1 (ko) 2009-10-27 2010-10-14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KR1020120104468A KR101269808B1 (ko) 2009-10-27 2012-09-20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309A KR101235536B1 (ko) 2009-10-27 2010-10-14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31983B2 (ko)
KR (2) KR101235536B1 (ko)
CN (3) CN102797609B (ko)
FR (3) FR2951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2002B2 (ja) * 2009-10-28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装置
JP5043914B2 (ja) * 2009-10-30 2012-10-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JP5594184B2 (ja) * 2011-02-25 2014-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装置
CN102530849B (zh) * 2012-03-09 2013-04-24 方平 基于动铁式电-机械转换器的大幅面微结构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JP2013224618A (ja) * 2012-04-20 2013-10-31 Isuzu Motors Ltd Dpfの再生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920045B2 (ja) * 2012-06-18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用電磁ソレノイド装置
JP6064577B2 (ja) * 2012-12-19 2017-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6043655B2 (ja) * 2013-02-28 2016-12-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CN103311054B (zh) * 2013-05-16 2016-01-13 广州汽车集团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磁开关与继电器的一体化结构及应用该一体化结构的起停电机
JP5578257B1 (ja) * 2013-07-11 201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JP5668804B2 (ja) * 2013-07-16 2015-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装置
JP6236988B2 (ja) * 2013-08-23 2017-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DE102014225491A1 (de) * 2014-12-10 2016-06-16 Robert Bosch Gmbh Elektromagnetisches Relais, insbesondere Starterrelais für eine Startvorrichtung
US10147576B2 (en) * 2015-04-07 2018-12-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for starter
KR101943364B1 (ko) * 2015-04-23 2019-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기
CN105118742B (zh) * 2015-08-24 2017-04-26 锦州汉拿电机有限公司 起动机用触点防粘连电磁开关
EP3144951A1 (en) * 2015-09-18 2017-03-22 Mahle International GmbH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R3043834A1 (fr) * 2015-11-16 2017-05-19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de puissance muni d'au moins une bobine realisee en aluminium
CN109306931B (zh) * 2017-07-26 2024-02-20 北京佩特来电器有限公司 一种起动机中盖以及包括该中盖的起动机
GB2579848A (en) 2018-12-18 2020-07-08 Eaton Intelligent Power Ltd Electromagnetic drive unit for a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494A (ja) 2006-01-31 2007-08-16 Mitsuba Corp 電磁継電器
JP2007305468A (ja)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2009032591A (ja) 2007-07-27 2009-02-12 Mitsuba Corp 電磁継電器
JP2009191843A (ja) * 2008-01-18 2009-08-27 Denso Corp スタ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687A (en) * 1955-06-13 1957-09-24 Bulova Res And Dev Lab Inc Jeweled electric relay
KR940002670B1 (ko) * 1990-04-27 1994-03-28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스위치 장치
JP3166559B2 (ja) * 1994-10-25 2001-05-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の電磁石装置
JP3885568B2 (ja) * 2001-11-26 2007-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2003328912A (ja) * 2002-05-10 2003-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
CN101122273B (zh) * 2006-08-13 2010-11-03 吴建刚 起动机及起动继电器
JP4631843B2 (ja) * 2006-11-29 2011-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
JP2009104951A (ja) * 2007-10-24 2009-05-14 Mitsuba Corp 電磁継電器
EP2080898B1 (en) * 2008-01-18 2020-03-11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compact structure
JP4606490B2 (ja) * 2008-11-17 2011-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スイッチ
JP4807430B2 (ja) * 2009-03-30 2011-11-02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5387296B2 (ja) * 2009-09-30 2014-01-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494A (ja) 2006-01-31 2007-08-16 Mitsuba Corp 電磁継電器
JP2007305468A (ja) 2006-05-12 2007-11-22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2009032591A (ja) 2007-07-27 2009-02-12 Mitsuba Corp 電磁継電器
JP2009191843A (ja) * 2008-01-18 2009-08-27 Denso Corp スタ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7609B (zh) 2015-04-29
FR2965100A1 (fr) 2012-03-23
FR3003393B1 (fr) 2017-12-22
KR20120120490A (ko) 2012-11-01
KR20110046280A (ko) 2011-05-04
JP4931983B2 (ja) 2012-05-16
CN102797609A (zh) 2012-11-28
FR2965100B1 (fr) 2022-07-22
FR2951862A1 (fr) 2011-04-29
CN102052224A (zh) 2011-05-11
CN103258690A (zh) 2013-08-21
CN102052224B (zh) 2013-10-16
FR3003393A1 (fr) 2014-09-19
FR2951862B1 (fr) 2020-02-07
KR101235536B1 (ko) 2013-02-21
CN103258690B (zh) 2015-10-28
JP2011094489A (ja)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808B1 (ko)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EP2711959B1 (en) Electromagnetic switch equipped with built-in electronic control circuit
JP4661721B2 (ja) スタータ
JP5447122B2 (ja) 電磁スイッチ
JP4038507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5249395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US5508566A (en) Starter for starting an engine
US8446025B2 (en) Biaxial type of starter for star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90079836A (ko)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타터
JP3885640B2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EP0660356A2 (en) A magnet switch and a starter using same
JP2013256870A (ja) 電磁ソレノイド装置
US6201311B1 (en) Vehicle starter with separate terminals for the motor and the excitation coil
JP3317061B2 (ja) スタータ
JP2003208840A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2014163370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5578257B1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RU2736972C1 (ru) Стартер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6756453B1 (ja) 補助リレーおよび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KR20110123195A (ko) 스타터용 전자석 장치
JP6983300B1 (ja) スタータ用補助スイッチ
JP4844551B2 (ja) スタータ及びスタータの製造方法
JP5873758B2 (ja) スタータ
KR20050001498A (ko) 시동전동기용 전자스위치 케이스
CN113851353A (zh) 起动器用电磁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