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277B1 - 광원 유닛,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원 유닛,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277B1
KR101268277B1 KR1020107020712A KR20107020712A KR101268277B1 KR 101268277 B1 KR101268277 B1 KR 101268277B1 KR 1020107020712 A KR1020107020712 A KR 1020107020712A KR 20107020712 A KR20107020712 A KR 20107020712A KR 101268277 B1 KR101268277 B1 KR 10126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unit
light
light source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214A (ko
Inventor
사또루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6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박형화할 수 있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갖는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LED 모듈(3, 3)과, 상기 복수의 LED 모듈(3, 3)에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는 정전류부(2)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광원 유닛(10)에 있어서, 복수의 LED 모듈(3, 3) 및 전자 부품을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에 병설하고 있다. 복수의 LED 모듈(3, 3)의 사이에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광원 유닛,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LIGHT SOURCE UNIT,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갖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사용한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간판, 표지 등의 표시 장치를 야간에서도 인식할 수 있도록 광원을 사용하여 밝게 드러나게 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름 또는 컬러 포스터를 평면 상에 부착하고, 전방면으로부터 광원에 의해 비추는 방법(외부 조명식), 플라스틱판 등의 투광재의 배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배면으로부터 비추는 방법(내부 조명식), 형광등, 네온관 등의 광원을 인식시키고자 하는 문자, 무늬 등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발광시키는 방법(자발광식) 등이 있다.
형광등, 네온관 등의 광원은 수명이 짧기 때문에, 광원을 교환하는 유지 보수의 빈도가 높아진다. 이로 인해, 옥외의 간판과 같이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히 사용자의 부담이 커서, 유지 보수의 빈도를 낮추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라고 함)의 고휘도화에 따라, 형광등, 네온관 등의 광원 대신에, 저소비 전력, 장수명 등의 특성을 갖는 LED가 광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식시키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무늬 등의 형상으로 광원을 배치하여, 상기 광원을 발광시킴으로써 표시시키는 내부 조명식 또는 자발광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특히 광원의 레이아웃의 높은 자유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LED는 소형의 광원이기 때문에, LED에 의한 발광면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LED를 광원으로서 사용하여, 개개의 LED를 문자 또는 무늬 등의 형상에 맞추어 배치하는 경우, 다수의 LED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설치 및 배선의 시공에 수고가 많이 간다. 따라서,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복수의 LED를 패키지화하여 이루어지는 광원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원 유닛을 복수 접속하여, 전원부에 설치한 정전류 회로에 의해 일정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한 경우, LED의 전압-전류 특성의 LED 제품간의 불균일, 열에 의한 LED의 순방향 전압의 변동 및 배선에서의 전압 저하의 변동 등에 의해, LED에 공급되는 전류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휘도 불균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각 광원 유닛 내에 정전류 회로를 내장하도록 구성된 광원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원 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LED와, 트랜스, 정류 회로, 정전압 회로 및 정전류 회로가 설치된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 광원 유닛에 있어서, 일정 전류가 LED에 공급되게 되므로,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확보하면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0090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광원 유닛에 있어서는, LED가 실장된 기판의 이면측에 트랜스 등의 전자 부품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LED와 전자 부품을 표리면에 실장한 기판을 수용하는 광원 유닛이 두꺼워져 버리게 되었다. 그리고, 광원 유닛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복수의 광원 유닛을 조합하여 구성된 간판, 표지 등의 표시 장치도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박형화할 수 있는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갖는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광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광원 유닛을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 사이에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공급용의 전선을 전자 부품에 접속하고, 전자 부품으로부터 또한 각 광원에 전선을 접속할 때에, 전자 부품으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선을 다른 광원을 걸치지 않고 배선할 수 있고, 광원 유닛 내의 배선을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는 정전류부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광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광원과, 정전류부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광원 유닛을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 사이에 전자 부품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공급용의 전선을 전자 부품에 접속하고, 전자 부품으로부터 또한 각 광원에 전선을 접속할 때에, 전자 부품으로부터 광원으로의 전선을 다른 광원을 걸치지 않고 배선할 수 있고, 광원 유닛 내의 배선을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체는 평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평면 상에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체의 평면 상에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병설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유닛을 박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전자 부품은, 전원 공급용의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상기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출사되는 측에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 부품의 전원 공급용의 전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복수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출사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를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는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에 형성하여, 지지체의 저면에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병설하도록 광원 유닛을 구성한 경우, 전선은 광원 유닛의 개구부의 측 또는 하우징의 측면 상부로부터 접속되게 된다. 이 결과, 하우징의 측면 하부로부터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원 유닛을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광원 유닛을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에 적용한 경우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이 광원으로부터 적당한 길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광원 및 확산판간의 간극에 전선이 위치하게 되므로,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을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과 상기 전자 부품과의 간격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자 부품을 복수의 광원 각각과의 간격이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유닛간의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짐과 함께, 광원 유닛 내의 배선의 시공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지지체와 상기 복수의 광원 및/또는 전자 부품과의 사이에 열전도 시트가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체와 복수의 광원 및/또는 전자 부품과의 사이에 열전도 시트를 개재 장착하고 있고, 광원 등의 발열원으로부터의 열이 열전도 시트를 통하여 지지체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고휘도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고휘도의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광원 유닛을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에 적용한 경우에, 사용하는 광원 유닛의 수를 저감할 수 있고, 광원 유닛의 설치 및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지지체는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고,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덮도록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지체의 내부에 수지를 충전하여, 상기 지지체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수지에 의해 덮고 있으므로, 옥외 등의 비, 이슬에 노출되는 환경하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 각각을 구획하는 구획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구획하는 구획판을 설치하고 있고,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부분에만 수지를 충전하기 때문에,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덮기 위해 충전하는 수지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복수의 광원은, 직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광원을 직렬로 접속하고 있고, 광원 및 전자 부품에서의 소비 전력에 따라 적절하게 전원 전압을 설정함으로써, 각 광원을 병렬로 접속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류량을 저감할 수 있어, 전원 공급용의 전선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동일한 굵기의 전선을 사용한 경우에는, 보다 많은 광원 유닛을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원 유닛은,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를 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LED를 병렬 접속하여 광원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LED가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도 점등할 수 있어, 광원 유닛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는, 전술한 발명에 기재된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원 유닛을 사용하여 조명 장치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에의 광원 유닛의 설치 및 배선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에 이격하여 대향하고,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광원과 상기 확산판과의 간격 이하인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광원이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 유닛을, 광원과 확산판과의 간격 이하인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광원이 배치되도록 설치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광원을 점 광원으로서가 아니라, 중첩된 하나의 면 광원으로서 사람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사람에게 위화감 또는 불쾌감을 주지 않고 끝낸다. 또한, 광원간의 간격을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박형화 및 출사광의 균일화 등을 고려한 조명 장치의 최적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전술한 발명에 기재된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원 유닛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의 광원 유닛의 설치 및 배선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형상을 따라, 상기 광원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형상을 따라, 광원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광원 유닛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에서 나타내고 있는 문자, 무늬 등의 형상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 유닛에 이격하여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간의 간격은, 상기 광원과 상기 확산판과의 간격 이하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원간의 간격을 광원과 확산판과의 간격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광원을 점 광원으로서가 아니라, 중첩된 하나의 면 광원으로서 사람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사람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하우징에서 나타내고 있는 문자, 무늬 등의 형상을 하나의 발광면에서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 유닛, 상기 광원 유닛을 갖는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3은,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광원 유닛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4는, LED 모듈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전기 회로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간판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화살표 방향으로 본 모식적인 측면도.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광원 유닛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의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12는,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광원 유닛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광원 유닛의 모식적인 평면도.
도 14a는, 광원 유닛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4b는, 광원 유닛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14c는, 광원 유닛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10)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의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후술하는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광원 유닛(10)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이다. 모듈 케이스(1)는, 직사각형 판부(11)와, 상기 직사각형 판부(11)의 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주위벽(12)으로 이루어진다. 모듈 케이스(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직사각형 판부(11)의 짧은 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상기 짧은 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고정부(13, 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3, 13)에는, 나사 구멍(13a, 1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의 중앙 및 양단부에는, 나사 구멍(11a, 11b, 11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의 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정전류부(2)가 설치되어 있다. 정전류부(2)는 직사각형 판 형상을 갖는 에폭시 수지제의 기판(2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판(21)에는, 가변형 레귤레이터 IC(22) 및 저항(23)의 전자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정전류 회로, 퓨즈(24), 콘덴서(25), 배리스터(26) 등의 전자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전류 회로 및 보호 회로를 정전류부(2)로 하고 있는데, 정전류부는 정전류 회로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기판(21)의 대략 중앙에는, 기판(21)의 폭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고 2개의 접지 접속 단자(27a, 27a)가 배치되어 있고, 접지 접속 단자(27a, 27a)에 평행을 이루고 2개의 전원 접속 단자(27b, 27b)가 배치되어 있다. 접지 접속 단자(27a, 27a) 및 전원 접속 단자(27b, 27b)에는, 전원 공급용의 전선인 접지용의 전선(51, 51) 및 24V 전원용의 전선(52, 52)이 모듈 케이스(1)의 상측으로부터 각각 접속되어 있다. 기판(2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2개의 접속 단자(27c, 27c …)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27c, 27c …)에는, 후술하는 LED 모듈(광원)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28, 28 …)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판(21)의 대략 중앙에는, 나사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21)은, 상기 기판(21) 및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 구멍(21a, 11a)에 나사(29)를 결합함으로써, 모듈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판(21)과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열전도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의 상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기판(21)을 사이에 둔 대칭의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LED 모듈(3, 3)이 적당한 길이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LED 모듈(3, 3)은, 약 10c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LED 모듈(3)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면 중, 도면 부호 31은, 예를 들어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제의 LED 기판이다. LED 기판(31)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LED 기판(31)의 대향하는 2 코너에는 나사 구멍(31a, 31a)이 형성되어 있다.
LED 기판(31)의 중앙부에는, 배선 패턴(32)이 포토 에칭법 등을 이용하여 평행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 패턴(32)을 따라 형성된 LED 실장 목표 표시(33)에 대응하여, 복수의 청색의 LED(예를 들어, 36개)(34, 34 …)가 3열 병렬로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LED(34, 34 …)는, 배선 패턴(32)에 와이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예를 들어 1열에 3개의 LED(34, 34 …)가 직렬로 접속된 12열의 LED열이, 병렬로 접속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31)의 내부에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층(도시하지 않음)이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LED(34, 34 …)로부터 LED 기판(31)의 내부로 투과해 오는 광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반사된다.
이와 같이 실장된 복수의 LED(34, 34 …)는, LED(34, 34 …)로부터의 광에 여기되어 황색으로 발광하는 황색 형광체가 분산된 에폭시 수지 등의 밀봉 수지(35)에 의해 덮여져 밀봉된다. 이들 복수의 LED(34, 34 …) 및 황색 발광체가 분산된 밀봉 수지(35)에 의해 LED 모듈(3)의 발광부(3a)가 구성된다.
또한, LED 기판(31)의 대향하는 2 코너에는, 입력 단자(36a) 및 출력 단자(36b)가 설치되어 있다. LED 기판(31)의 입력 단자(36a) 및 출력 단자(36b)는, 전선(28, 28)에 의해 기판(21)의 접속 단자(27c, 27c)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LED 모듈(3, 3)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LED 모듈(3, 3)은, 상기 LED 모듈(3, 3)의 LED 기판(31, 31) 및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에 각각 형성된 나사 구멍(31a, 31a …, 11b, 11b …)에 나사(37, 37 …)를 결합함으로써, 모듈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LED 기판(31, 31)과 직사각형 판부(11)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의 전기 절연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열전도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정전류부(2) 및 LED 모듈(3, 3)이 설치된 모듈 케이스(1)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류부(2) 및 LED 모듈(3, 3)을 덮도록, 방수성이 우수한 투명한 수지(4)가 충전되어 있다. 수지(4)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가 사용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10)의 전기 회로도이다. 24V 전원용의 전선(52)은, 전원 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24V 전원용의 전선(52)에는, 전원 회로부에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한 후의 24V의 전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고 있는 LED 모듈(3, 3)의 순방향 전압은, 각각 10.6V이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24V는, 직렬 접속된 LED 모듈(3, 3)의 순방향 전압을 가산한 21.2V와 정전류부(2) 및 전선(52)에서의 전압 강하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다.
24V 전원용의 전선(52)에는, 퓨즈(2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과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퓨즈(24)가 빠르게 용단되기 때문에, 발연, 발화로부터 회로가 보호된다. 퓨즈(24)의 타단부에는, 가변형 3 단자 레귤레이터 IC(22)와 저항(23)으로 이루어지는 정전류 회로(2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가변형 3 단자 레귤레이터 IC(22)는, 가변형 3 단자 레귤레이터 IC의 출력 단자 및 조정 단자간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저항(23)의 저항값에 따른 일정한 전류값이 되도록 출력 전압이 조정된다.
정전류 회로(2a)의 타단부에는, 한쪽의 LED 모듈(3)의 발광부(3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LED 모듈(3)의 발광부(3a)의 타단부에는, 다른쪽의 LED 모듈(3)의 발광부(3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다른쪽의 LED 모듈(3)의 발광부(3a)의 타단부에는, 접지용의 전선(51)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퓨즈(24)의 타단부에는, 콘덴서(25) 및 배리스터(26)의 일단부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5) 및 배리스터(26)의 타단부에는, 접지용의 전선(51)이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5)는 소위 바이패스 콘덴서이며, 콘덴서(25)에 의해 고주파 성분의 노이즈가 제거된다. 또한, 일정 전압을 초과하면 저항값이 변화하여 전류를 흘리는 배리스터(26)에 의해, 과도 이상 전압이 흡수되기 때문에, 노이즈 흡수, 전자 회로의 오동작 방지, 전자 부품의 파괴가 방지되어, 회로가 보호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원 유닛(10)에 있어서, 전원의 투입에 따라서, 전원 회로부로부터 정류된 직류 전류가 공급되었을 때, 공급된 전류는 정전류부(2)에서 일정한 전류값이 되도록 조정된 후, 직렬 접속된 발광부(3a, 3a)에 공급되어, 발광부(3a, 3a)가 대략 동일한 밝기로 안정되게 점등하게 된다.
광원 유닛(10)의 내부에 정전류부(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전류값이 안정되게 LED(34, 34 …)에 공급되어,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LED 모듈(3, 3) 및 정전류부(2)를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의 상면에 병설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유닛(10)을 박형화할 수 있다.
광원으로서 사용되는 LED 모듈(3,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청색의 LED(예를 들어, 36개)(34, 34 …)를 LED 기판(31) 상에 밀집시켜 실장하여 이루어지는 고휘도의 LED 모듈이기 때문에, LED 모듈(3, 3)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약 10cm 이격하여 설치하여도 충분한 조도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광원 유닛(10) 내부의 LED 모듈(3, 3)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정전류부(2)를 구성하는 가변형 레귤레이터 IC(22), 저항(23), 퓨즈(24), 콘덴서(25), 배리스터(26) 등의 전자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유닛(10)을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에 적용한 경우에, 소수의 광원 유닛(10)으로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에, LED 모듈(3, 3)의 사이에 정전류부(2)가 위치하도록 정전류부(2) 및 LED 모듈(3, 3)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류부(2)로부터 각 LED 모듈(3, 3)에 전선(28, 28 …)을 접속할 때에, 다른 LED 모듈(3)을 걸치지 않고 배선할 수 있고, 광원 유닛(10) 내의 배선을 짧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진다. 정전류부(2)를 복수의 LED 모듈(3, 3) 각각과의 간격이 대략 동일해지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광원 유닛(10, 10 …)을 접속할 때에 광원 유닛(10, 10 …)간의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짐과 함께, 광원 유닛(10) 내의 배선의 시공도 용이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접지용의 전선(51) 및 24V 전원용의 전선(52)을 모듈 케이스(1)의 주위벽(12)의 하측으로부터 접속하는 경우, 기판(21)과 모듈 케이스(1)의 직사각형 판부(11)와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는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지용의 전선(51) 및 24V 전원용의 전선(52)을 모듈 케이스(1)의 상측으로부터 정전류부(2)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 유닛(10)을 박형화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와 복수의 LED 모듈(3, 3) 및 정전류부(2)와의 사이에 열전도 시트를 개재 장착하고 있고, LED 모듈(3, 3) 등의 발열원으로부터의 열이 열전도 시트를 통하여 모듈 케이스(1)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휘도의 LED를 사용할 수 있다. 고휘도의 LED를 사용함으로써, 광원 유닛(10)을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에 적용한 경우에, 사용하는 광원 유닛(10)의 수를 저감할 수 있어, 광원 유닛(10)의 설치 및 배선의 시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모듈 케이스(1)의 내부에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4)를 충전하여, 상기 모듈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한 복수의 LED 모듈(3, 3) 및 정전류부(2)를 수지(4)에 의해 덮고 있기 때문에, 옥외 등의 비, 이슬에 노출되는 환경하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LED 모듈(3, 3)을 직렬로 접속하고 있고, 광원 유닛(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직렬 접속된 LED 모듈(3, 3)의 순방향 전압을 가산한 21.2V와 정전류부(2) 및 전선(52)에서의 전압 강하분을 고려하여 24V로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LED 모듈(3, 3)을 병렬로 접속한 경우에 비교하여, 필요한 전류량을 저감할 수 있어, 전선을 가늘게 할 수 있다. 동일한 굵기의 전선을 사용한 경우에는, 보다 많은 광원 유닛(10)을 접속할 수 있다.
복수의 LED(34, 34 …)를 병렬 접속하여 LED 모듈(3)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LED(34)가 고장난 경우에 있어서도 점등할 수 있어, 광원 유닛(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원 유닛(10)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여러가지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10)을 구비하는 간판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화살표 방향으로 본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간판은, 투광재의 배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배면으로부터 비춤으로써 문자, 무늬 등의 형상을 표시하는 내부 조명식 간판의 예이다.
도면 중, 도면 부호 6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의 간판 하우징이다. 간판 하우징(6)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부(61)와, 상기 판부(61)의 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주위벽(6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간판 하우징(6)의 판부(6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발광부(3a, 3a)가 대략 동일한 간격 P가 되도록, 복수의 광원 유닛(10, 10 …)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 유닛(10)은, 모듈 케이스(1)의 고정부(13, 13)에 형성된 나사 구멍(13a, 13a) 및 간판 하우징(6)의 판부(61)에 형성된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간판 하우징(6)에 고정되어 있다. 광원 유닛(10, 10 …) 사이에는, 접지용의 전선(51) 및 24V 전원용의 전선(52)이 접속되어 있고, 광원 유닛(10, 10 …)은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광원 유닛(10, 10 …)의 발광부(3a, 3a …)를 중심으로 한 직경 P의 보조 원을, 도면 중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H자 형상을 따라 보조 원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부(3a, 3a …)를 점등하였을 때에, H의 문자가 대략 동일한 명도로 선명하게 표시되게 된다.
간판 하우징(6)의 개구측에는, 판부(61)와 동일 형상을 갖는 확산판(63)이 설치되어 있다. 확산판(63)은, 유백색의 아크릴 수지제이며, 반사율과 투과율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태양광이 확산판(63)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밝은 낮에도 간판을 인식할 수 있다.
주위벽(62)의 높이는, 확산판(63)과 광원 유닛(10, 10 …)과의 간격 L이, 발광부(3a, 3a …)간의 간격 P와 대략 동일(L≒P)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이하의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부(3a, 3a …)로부터의 광이 중첩하여, 개개의 점 광원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면 광원으로서 사람에게 인식됨과 함께, 하나의 발광면에서 문자를 선명하게 표시하기 위해, 발광부(3a, 3a …)간의 간격 P가, 확산판(63)과 광원 유닛(10, 10 …)의 상면(보다 상세하게는 발광부(3a, 3a …)의 광 출사면)과의 간격 L 이하(P≤L)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간판의 두께를 억제하기 위해, 확산판(63)과 광원 유닛(10, 10 …)과의 간격 L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비 전력을 억제함과 함께, 간판으로서 적절한 휘도를 얻기 위해, 발광부(3a, 3a …)를 적당한 길이로 이격하여 배치하고자, 즉 발광부(3a, 3a …)간의 간격 P를 그다지 작게 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발광부(3a, 3a …)간의 간격 P, 확산판(63)과 광원 유닛(10, 10 …)과의 간격 L이 각각 약 10cm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LED 모듈(3, 3 …)간의 간격을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박형화 및 출사광의 균일화 등을 고려한 간판의 최적 설계를 행할 수 있다. 발광부(3a, 3a …)간의 간격 P를 확산판(63)과 광원 유닛(10, 10 …)과의 간격 L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부(3a, 3a …)를 점 광원으로서가 아니라, 중첩된 하나의 면 광원으로서 사람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사람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고, 간판 하우징(6)에서 나타내고 있는 문자, 무늬 등의 형상을 하나의 발광면에서 보다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10, 10 …)간에는, 접지용의 전선(51) 및 24V 전원용의 전선(52)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전선(51, 52)을 확산판(63)과 광원 유닛(10, 10 …)과의 간극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판을 박형화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10, 10 …)의 다른 배치예이다. 도 8은, A 형상으로 형성된 간판 하우징(6a)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발광부(3a, 3a)가 대략 동일한 간격 P가 되도록, 복수의 광원 유닛(10, 10 …)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부(3a, 3a …)를 중심으로 한 직경 P의 보조 원을, 도면 중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자 형상을 따라 보조 원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부(3a, 3a …)를 점등하였을 때에, A의 문자가 대략 동일한 명도로 선명하게 표시되게 된다.
도 9는, S 형상으로 형성된 간판 하우징(6b)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발광부(3a, 3a)가 대략 동일한 간격 P가 되도록, 복수의 광원 유닛(10, 10 …)이 배치되어 있다. 발광부(3a, 3a …)를 중심으로 한 직경 P의 보조 원을, 도면 중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S자 형상을 따라 보조 원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부(3a, 3a …)를 점등하였을 때에, S의 문자가 대략 동일한 명도로 선명하게 표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관한 광원 유닛(10)을 사용함으로써, 문자와 같이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간판에 대하여, 발광부(3a, 3a)가 대략 동일한 간격이 되도록 광원 유닛(10, 10 …)을 배치할 수 있어, 대략 동일한 명도로 선명하게 표시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광원 유닛(20)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선에 의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광원 유닛(20)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a는,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이다. 모듈 케이스(1a)는, 직사각형 판부(11)와, 상기 직사각형 판부(11)의 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주위벽(12)과, 직사각형 판부(11)에 세워 설치된 복수의 구획판(14, 14 …)으로 이루어진다. 구획판(14, 14 …)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LED 모듈(3, 3) 및 정전류부(2) 각각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1a) 내부의 구획판(14, 14 …)으로 구획된 부분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전류부(2) 및 LED 모듈(3, 3)을 덮도록, 방수성이 우수한 투명한 수지(4)가 충전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원 유닛(20)은, 복수의 LED 모듈(3, 3) 및 정전류부(2) 각각을 구획하는 구획판(14, 14 …)을 설치하고, 구획판(14, 14 …)으로 구획된 부분에만 수지(4)를 충전하고 있기 때문에, LED 모듈(3, 3) 및 정전류부(2)를 덮기 위해 충전하는 수지(4)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광원 유닛(30)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지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b는, 알루미늄, 구리 등의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제의 모듈 케이스이다. 모듈 케이스(1b)는, 직사각형 판부(11)와, 상기 직사각형 판부(11)의 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주위벽(12)으로 이루어진다. 모듈 케이스(1b)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직사각형 판부(11)의 짧은 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상기 짧은 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고정부(13)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3)에는, 나사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1b)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는, 직사각형 판부(11)의 짧은 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상기 짧은 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부(1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5)에는 2개의 나사 구멍(15a, 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5)에 형성된 2개의 나사 구멍(15a, 15b)은, 한쪽의 고정부(13)의 나사 구멍(13a)과 다른쪽의 고정부(15)의 모듈 케이스(1b)에 근접하는 측의 나사 구멍(15a)과의 간격이 6×a(a는 변수)인 경우, 한쪽의 고정부(13)의 나사 구멍(13a)과 다른쪽의 고정부(15)의 모듈 케이스(1b)와 이격한 측의 나사 구멍(15b)과의 간격이 5×a×(2)0.5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광원 유닛(30)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광원 유닛(30)이 고정되는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의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고정판의 고정면에, 동일한 피치 a로 격자 형상으로 나사 구멍을 형성한다. 도 14a 또는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30)을 나사 구멍의 배열을 따라, 도면에 있어서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광원 유닛(30)은, 모듈 케이스(1)의 한쪽의 고정부(13)에 형성된 나사 구멍(13a)과 다른쪽의 고정부(15)의 모듈 케이스(1b)에 근접하는 측의 나사 구멍(15a)에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유닛(30)을 나사 구멍의 배열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 광원 유닛(30)은, 모듈 케이스(1)의 한쪽의 고정부(13)에 형성된 나사 구멍(13a)과 다른쪽의 고정부(15)의 모듈 케이스(1b)와 이격한 측의 나사 구멍(15b)에 나사를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나사 구멍의 피치 a는, 예를 들어 20mm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광원 유닛(30) 및 광원 유닛(30)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광원 유닛(30)을 임의의 위치에 45°피치로 각도를 바꾸어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광원 유닛(30)의 하우징에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LED 모듈(3, 3)의 간격을 10cm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유닛이 적용되는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등의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 유닛을 2개의 LED 모듈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LED 모듈을 3개 이상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LED 모듈의 수는, 짝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으로서 고휘도의 LED 모듈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고휘도의 LED 칩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으로서 LED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부 조명식 간판에 광원 유닛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광원 유닛은, 내부 조명식 간판에 한정되지 않고, 자발광식 간판, 표지 등의 표시 장치, 표시 장치 이외의 조명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옥외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듈화되어, 레이아웃이 자유롭기 때문에 쇼 케이스 내의 상품을 조명하는 조명 장치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방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는 장소 또는 결로되기 쉬운 장소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후자의 예로서, 냉장고의 내부, 발밑을 비추기 위해 건물의 내외벽이나 도로의 하부 등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그 본질적인 특성의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지, 이들 특허청구범위에 선행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특허청구범위의 경계 및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변경, 또는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의 경계 및 범위의 균등물은, 본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삭제

Claims (15)

  1. 직사각형의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에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는 정전류부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실장한 기판이 병설되어 있는 광원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출사되는 측에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광원에 급전하는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전원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를 실장한 LED 모듈이며, 상기 기판과 간격을 두고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기판이 구비한 상기 접속 단자와 배선으로 각각 접속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고정부를 각각 구비하고,
    한쪽의 고정부에 2개의 나사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근접하는 측의 나사 구멍과 다른 쪽의 고정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과의 간격이 6×a 인 경우(단, a는 변수임), 상기 한쪽의 고정부에 설치된 타측의 나사구멍과 상기 다른 쪽의 고정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과의 간격이 5×a×(2)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각각과 상기 전자 부품과의 간격이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열전도 시트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을 덮도록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및 전자 부품 각각을 구획하는 구획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은, 직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LED를 병렬 접속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유닛.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에 이격되어 대향하고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광원과 상기 확산판과의 간격 이하의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광원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원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광원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에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 간의 간격은, 상기 광원과 상기 확산판과의 간격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07020712A 2008-02-19 2009-02-13 광원 유닛,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1268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7842A JP4794587B2 (ja) 2008-02-19 2008-02-19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JP-P-2008-037842 2008-02-19
PCT/JP2009/052375 WO2009104518A1 (ja) 2008-02-19 2009-02-13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214A KR20100116214A (ko) 2010-10-29
KR101268277B1 true KR101268277B1 (ko) 2013-06-04

Family

ID=4098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712A KR101268277B1 (ko) 2008-02-19 2009-02-13 광원 유닛,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2326B2 (ko)
EP (1) EP2251593A4 (ko)
JP (1) JP4794587B2 (ko)
KR (1) KR101268277B1 (ko)
CN (1) CN101946123A (ko)
WO (1) WO2009104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5931B2 (ja) * 2009-04-24 2014-06-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WO2011040633A1 (ja) * 2009-09-30 2011-04-07 三洋電機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
JP5375552B2 (ja) * 2009-11-24 2013-12-2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4681071B1 (ja) 2009-12-17 2011-05-11 株式会社スズデン 照明器具
KR20100043168A (ko) * 2010-04-09 2010-04-28 엔엘티테크주식회사 백색광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JP2011233356A (ja) * 2010-04-27 2011-11-17 Sharp Corp 光源モジュール、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CN204577466U (zh) * 2012-09-26 2015-08-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发光模块
EP3080512B1 (en) * 2014-02-10 2017-06-0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mfortable distributed led lighting
JP6202441B2 (ja) * 2014-02-20 2017-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照明器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090A (ja) * 2003-04-03 2004-11-04 Atto Co Ltd 照明看板用発光ダイオード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4766A (en) * 1985-06-21 1987-03-31 Tung Kung Chao Structure for a string of bulbs
US5128842A (en) * 1991-06-03 1992-07-07 Sunarrow Co., Inc. Uniform illumination plate
US6027952A (en) * 1997-01-21 2000-02-22 Liu; Ming-Hsu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ing of electrically connected light emitting diodes
US6017241A (en) * 1998-01-26 2000-01-25 Tivoli Industries, Inc. Aisle lighting lampholder
US6371629B1 (en) * 1998-10-13 2002-04-16 John R. Martinez Decorative lights and method
US6505956B1 (en) * 2000-12-22 2003-01-14 Lektron Industrial Supply, Inc. Reeled L.E.D. assembly
DE10106961A1 (de) * 2001-02-15 2002-08-29 Happich Fahrzeug & Ind Teile Bleuchtungseinrichtung
US6578986B2 (en) * 2001-06-29 2003-06-17 Permlight Products, Inc. Modular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light emitting diodes
JP3928387B2 (ja) * 2001-08-28 2007-06-13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4565307B2 (ja) * 2001-09-12 2010-10-2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ed照明装置
US6932495B2 (en) * 2001-10-01 2005-08-23 Sloanled, Inc. Channel letter lighting using light emitting diodes
US6566824B2 (en) * 2001-10-16 2003-05-20 Teledyne Lighting And Display Products, Inc. Flexible lighting segment
EP1509722A2 (en) * 2002-06-03 2005-03-02 Everbrite, LLC Led accent lighting units
US7036962B2 (en) * 2003-04-09 2006-05-02 Kwok Hung Chan Light-up accessory
DE102004004777B4 (de) * 2004-01-30 2013-08-2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ormbares Beleuchtungsmodul
US7273300B2 (en) * 2004-08-06 2007-09-25 Lumination Llc Curvilinear LED light source
US7165863B1 (en) * 2004-09-23 2007-01-23 Pricilla G. Thomas Illumination system
JP2006100052A (ja) * 2004-09-29 2006-04-13 Moriyama Sangyo Kk 発光装置
CN100565948C (zh) 2005-06-30 2009-12-02 松下电工株式会社 发光装置
JP5054331B2 (ja) * 2005-06-30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edを用いた照明器具
JP4828886B2 (ja) * 2005-07-29 2011-11-30 株式会社光波 面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面発光装置
JP2007213881A (ja) 2006-02-08 2007-08-23 Aristo Engineering Pte Ltd 照明装置ユニット、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090A (ja) * 2003-04-03 2004-11-04 Atto Co Ltd 照明看板用発光ダイオードアセンブ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214A (ko) 2010-10-29
CN101946123A (zh) 2011-01-12
WO2009104518A1 (ja) 2009-08-27
EP2251593A4 (en) 2013-11-13
EP2251593A1 (en) 2010-11-17
US8382326B2 (en) 2013-02-26
JP4794587B2 (ja) 2011-10-19
US20100327752A1 (en) 2010-12-30
JP2009198597A (ja)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277B1 (ko) 광원 유닛,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81412B1 (ko) 가요성 조립체
JP5813053B2 (ja) 一体的に形成された一体成形発光ダイオード光ワイヤー及びその使用
JP4996998B2 (ja) 照明装置
EP2772681B1 (en) Illuminating apparatus
JP2007036132A (ja) 面発光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面発光装置
KR101266680B1 (ko) 광원 장치 및 조명 장치
JP2015057791A (ja) 照明装置
JP5559649B2 (ja) 照明装置
JP6635251B2 (ja) 照明装置
KR101683771B1 (ko) 발광 면적의 확장이 가능한 투명전광판
KR20060112432A (ko) 발광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JP5506856B2 (ja) 照明装置
JP6945168B2 (ja) 照明装置
JP2009110926A (ja) 照明装置
KR20110116074A (ko) 바아형 엘이디 조명등
KR200390857Y1 (ko) 발광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JP6186664B1 (ja) 蓄光表示装置
KR20080030725A (ko) 렌즈 부착형 엘이디 모듈
JP2020198163A (ja) 照明装置
JP2020198161A (ja) 照明装置
JP2016004697A (ja) 複合部品、面実装複合部品、ledランプ及びled照明装置
JP2020198158A (ja) 照明装置
JP5655170B2 (ja) 照明装置
JP2011108808A (ja) 発光モジュール、発光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2

Effective date: 201304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