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689B1 -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689B1
KR101267689B1 KR1020117005987A KR20117005987A KR101267689B1 KR 101267689 B1 KR101267689 B1 KR 101267689B1 KR 1020117005987 A KR1020117005987 A KR 1020117005987A KR 20117005987 A KR20117005987 A KR 20117005987A KR 101267689 B1 KR101267689 B1 KR 10126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sunshade panel
slider
pane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765A (ko
Inventor
요시타카 나카무라
다카시 기타니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one or more sliding rigid plate or lam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one or more sliding rigid plate or lammellae
    • B60J7/003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one or more sliding rigid plate or lammellae stored in stacked fa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셰이드 패널을 격납하는 도중인 상태에서도 래틀이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 루프(11)에 형성한 개구부(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20)을 갖는 가이드 레일(18); 가이드홈(20)에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를 갖는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15, 16, 17); 전개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이행할 때에,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적어도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17)의 슬라이더가 가이드홈(20)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안내되는 안내기구(25); 및 차량 루프(11)에 설치되는 동시에,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17)의 슬라이더(28)가 안내기구(45)로 진입했을 때에, 선셰이드 패널(17)을 선셰이드 패널(17)보다 전측의 전측 선셰이드 패널(16)에 압압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23)를 구비하고,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에는 리브(50)가 설치되고, 상기 리브(50)의 상면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면(50a)과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상면(50b)을 가지며, 탄성부재(23)로부터 받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후방 상면과 전방 상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

Description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SUNSHAD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루프에 개구부를 형성한 선루프 장치에 있어서는, 루프 개구부에 투명한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고정 패널 또는 이동가능 패널이 설치된다. 그리고, 패널을 투과하여 차 실내로 받아들여지는 햇빛의 입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선셰이드 장치가 이용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셰이드 장치는,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의 후단측에,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고 후측(後側)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제1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 전측(前側)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제2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제2 안내부를 갖는 칸막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에는 후측 및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각각의 후단부의 안내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셰이드 패널의 폐쇄 상태에서는,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이 동일 평면 내에 같은 높이 상태로 배치되고, 선셰이드 패널의 개방시에는, 후측 및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제1 안내홈 및 제2 안내홈에 얹히고, 또한 후측 및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안내기구에 얹히면서 각 선셰이드 패널이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격납부 내에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선셰이드 장치에 있어서는, 각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부측은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로 나누어 슬라이더가 격납되므로, 각각의 슬라이더의 상방 및 하방에는 벽이 존재하게 되어 슬라이더와 벽 사이의 틈새가 억제됨으로써 래틀(rattle)이 억제된다. 그러나, 각 선셰이드 패널 후단부측의 슬라이더보다 큰 전단부측 슬라이더를 격납하는 안내기구에는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으므로 칸막이를 설치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후측 및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더가 안내기구에 걸리는 도중에는 상방에 벽, 즉 누르는 것이 없으므로 차량 주행시 등에 있어서 래틀이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13762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선셰이드 패널을 격납하는 도중인 상태에서도 래틀이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차량 루프에 형성한 개구부의 양측에 설치되도록 적합해지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를 가지며, 전개 상태에서는 같은 높이로 배치되고, 격납 상태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중합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 전개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이행할 때에, 상기 선셰이드 패널의 적어도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안내되는 안내기구; 및 상기 차량 루프에 설치되도록 적합해지는 동시에,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기구로 진입했을 때에,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을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보다 전측의 전측 선셰이드 패널에 압압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에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리브의 상면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면과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상면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받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후방 상면과 상기 전방 상면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각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전단 슬라이더 및 후단 슬라이더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단측에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 슬라이더를 상방의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전측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 슬라이더를 하방의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칸막이 부재; 및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 및 상기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전단 슬라이더를 각각의 상기 후단 슬라이더가 안내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기 안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기구로 진입했을 때에 상기 전측 선셰이드 패널을 하방으로 압압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면과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가 상기 안내기구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당접(當接)되어 하방으로의 가압이 개시되는 것이다.
삭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이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차폭방향을 축심으로 하여 설치되는 본체 원통부; 상기 본체 원통부로부터 접선상에 전방을 향해 연장된 일단부; 및 상기 일단부로부터 차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에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에는 탄성부재가 상면에 당접하여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을 가압하기 위한 리브가 설치되고, 리브의 상면은 높이가 서로 다른 후방 상면과 전방 상면을 갖고있다. 그리고,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슬라이더가 안내기구로 진입하여 안내기구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리브도 상방으로 이동하고, 탄성부재가 리브 및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을 전측 선셰이드 패널에 압압하도록 가압한다. 이에 따라,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슬라이더가 안내기구를 이동할 때에는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은 탄성부재에 의해 전측 선셰이드 패널에 압압되어 래틀이 억제된다. 또한,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안내기구에서의 이동량에 따라 탄성부재와 리브 상면의 당접부가, 높이가 서로 다른 리브의 후방 상면과 전방 상면 사이를 이동하여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에의 가압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이 안내기구를 따라 상방으로 크게 이동하여 탄성부재에 의한 전단부의 리브 상면에의 가압력이 충분히 커졌을 때에는, 탄성부재의 당접부가 리브의 후방 상면과 전방 상면 중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탄성부재의 응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있어서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 및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후단 슬라이더가 칸막이 부재의 상방의 안내홈과 하방의 안내홈으로 안내되고, 각각의 전단 슬라이더는 후단 슬라이더와 같은 방향으로 안내기구에 의해 안내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후단 슬라이더는 칸막이 부재의 상방의 안내홈과 하방의 안내홈에 의해 상하방향의 래틀이 억제되므로, 더욱 래틀이 억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의 리브의 상면과 탄성부재가,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가 안내기구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당접되어 하방으로의 가압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선셰이드 패널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에는 여분의 슬라이드 저항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래틀 없이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안내기구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하방으로 가압되어 압압되므로, 래틀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리브에 의해 탄성부재와의 당접면이 형성되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간이하게 충분한 억제 하중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설계 자유도가 상승하여 저비용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코일스프링이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에 직접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고 있으므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를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의 사시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의 가이드 레일 및 격납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3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 및 후단 슬라이더와 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3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 슬라이더부의 상면도이다(2점쇄선은 도 10의 (c)의 상태에 해당).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3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 슬라이더의 측면도이다(2점쇄선은 도 10의 (c)의 상태에 해당).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선셰이드 패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10)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10)는 차량 루프(11)에 형성된 개구부(12)의 양측에 적합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8), 가이드 레일(1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차광 조절용의 복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장)의 선셰이드 패널(15, 16, 17), 가이드 레일(18)의 후단측에 설치되고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 슬라이더(26b, 27b, 28b)를 격납하기 위한 후방격납부(21), 및 가이드 레일(18)의 후단측에서 후방격납부(21)의 전방에 설치되고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전단부에 설치된 전단 슬라이더(26a, 27a, 28a)를 격납하기 위한 전방격납부(22)에 의해 구성된다. 개구부(12)에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구성되는 패널(13)이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상방에 장착되고, 패널(13)을 투과하여 햇빛이 차 실내로 받아들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3장의 선셰이드 패널(15, 16, 17) 중,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선셰이드 패널을 제1 선셰이드 패널(15)로 칭하고, 차량 후방측의 최후단에 배치된 선셰이드 패널을 제3 선셰이드 패널(17)로 칭하고, 최후단의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측에 배치된 전측 선셰이드 패널을 제2 선셰이드 패널(16)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후에 전후 좌우 상하는 도 2 중에 나타낸 바와 같고, 차량에 있어서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18)은 차량 루프(11) 내측의 실내 천장부에, 개구부(12)의 차폭방향의 양측부에 대응하여 차량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8)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20)이 개구되어 있다. 가이드홈(20)은 서로 평행하게 상하에 나란히 설치되는 동시에 단면이 대략 コ자 형상의 상부홈(20a)과 하부홈(20b)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홈(20b)의 차량 후방의 단부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홈(20b)에 연속해서 후방격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홈(20a)의 차량 후방의 단부에는 상부홈(20a)에 연속해서 전방격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홈(20a)에 접속된 전방격납부(22)는 하부홈(20b)에 접속된 후방격납부(21)에 대해 차량 전방에 소정량, 즉, 후술하는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의 전단 슬라이더(27a, 28a)와 후단 슬라이더(27b, 28b)의 간격분만큼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더(26, 27, 2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26, 27, 28)의 차량 전후방향의 전단부에는 전단 슬라이더(26a, 27a, 28a)가 설치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후단 슬라이더(26b, 27b, 28b)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6, 27, 28)에는 각각 차량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도시생략)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 각각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이 협지됨으로써 슬라이더(26, 27, 28)와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은 일체화되어 있어 일체적으로 이동된다.
후단 슬라이더(26b, 27b, 28b) 및 전단 슬라이더(26a)는 가이드 레일(18)의 하부홈(20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후단 슬라이더(27b, 28b)는 동일한 형상이며, 도 7의 후단 슬라이더(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을 전후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원호상으로 굴곡된 대략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 슬라이더(27b, 28b)는 선셰이드 패널의 개방시에 후방격납부(21) 내에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전단 슬라이더(27a, 28a)는 가이드 레일(18)의 상부홈(20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전단 슬라이더(27a, 28a)는 동일한 형상이며, 도 7의 전단 슬라이더(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을 전후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완만하게 원호상으로 굴곡된 대략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개방시에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의 전단 슬라이더(27a, 28a)가 전방격납부(22) 내에 격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선셰이드 패널(15)의 전단 슬라이더(26a) 및 후단 슬라이더(26b)는 상면과 하면을 전후방향으로 바깥방향으로 완만하게 원호상으로 굴곡된 대략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개방시에 하부홈(20b)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측면에는 전단 슬라이더(28a)의 후방 내측에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0)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50)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리브(50) 좌우의 면(50c, 50d)이 차량 전후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단 슬라이더(28a)보다 제3 선셰이드 패널(17) 중심측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리브(50)의 상면인 상면부(50u)는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면(50a), 전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면(50a)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는 전방 상면(50b), 및 후방 상면(50a)과 전방 상면(50b) 사이의 경사면(50e)으로 형성된다. 상면부(50u)는 후술하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23) 일단부(23a)의 당접부(23g)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당접되어 코일스프링(23)으로부터의 하방으로의 하중을 받는 면이 되므로 적절한 하중이 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면부(50u)의 후방 상면(50a)과 전방 상면(50b)의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은 코일스프링(23)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조절하기 위함이며, 보다 높은 하중을 받는 전방 상면(50b)의 높이를 약간 낮게 설정하여 코일스프링(23)의 응력을 저감시키고 있다. 전단 슬라이더(28a) 및 리브(50)와, 전단 슬라이더(28a)와 리브(50)를 연결하는 연결부(51)는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리브(50)는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이동에 대해 전단 슬라이더(28a)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된다. 또, 제1 선셰이드 패널(15)의 전단 슬라이더(26a)는 후술하는 구동 슬라이더를 겸용하고 있다.
제1 및 제2 선셰이드 패널(15, 16)과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은 후술하는 구성의 연결기구(30)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폐쇄 상태(전개 상태)에서는,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이, 그것들이 연장된 면 내에서 서로 같은 높이로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또, 도 3에 있어서는, 제1 선셰이드 패널(15)이 생략되어 나타나 있다. 또한, 개방 상태(격납 상태)에서는,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이 서로 평행하게 중합해서 배치된다.
이어서,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각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기구(3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 및 제2 선셰이드 패널(15, 16)을 연결하는 연결기구(30)나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을 연결하는 연결기구(30) 모두 동일한 구성을 이루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을 연결하는 연결기구(30)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에는 지지축(35)이 부착되고, 이 지지축(35)에 링크 부재(36)가 차량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인 축선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링크 부재(36)에는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7)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훅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35)에는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후단면에 대응하여 고무 롤러(38)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 부재(36)는 지지축(35)을 축심으로 해서 형성되어 배치된 코일스프링(39)의 스프링력에 의해 훅부(36a)가 결합부(37)에 결합하도록 반시계방향(도 5의 화살표방향)의 가압력이 항상 부여되어 있다. 또, 코일스프링(39)의 일단(39b)은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일부에 결합되고, 타단(39a)은 링크 부재(36)의 일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다.
링크 부재(36)의 훅부(36a)가 결합부(37)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후단면이 고무 롤러(38)에 당접되고, 이에 따라,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의 상대 이동이 구속되어,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이동에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일체적으로 추종되도록 되어 있다. 또, 링크 부재(36)의 훅부(36a)가 결합부(37)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제3 선셰이드 패널(17)에 대해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상대 이동이 가능해진다.
제1 선셰이드 패널(15)에 설치된 전단 슬라이더(구동 슬라이더)(26a)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케이블(32)을 통해 구동기구(33)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구(33)의 모터가 구동되면, 그 구동방향에 따라, 기어 케이블(32)은 가이드 레일(18)을 따라 차량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기어 케이블(32)에 연결된 전단 슬라이더(구동 슬라이더)(26a)와 함께 제1 선셰이드 패널(15)이 가이드 레일(18)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 선셰이드 패널(15)은 구동기구(33)의 구동력에 의해, 차량 루프(11)에 대해 차량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후방격납부(21)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20)의 하부홈(20b)에 연속하며 차량 후방을 향해 서서히 밀려올라가는 경사벽(21a), 및 이 경사벽(21a)의 상단에 연속하며 차량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벽(21b)을 갖는 도어 포켓(40)을 구비하고 있다. 도어 포켓(40) 내에는 차량의 차폭방향으로 평행한 힌지 핀(41)을 중심으로 하여 칸막이 부재인 칸막이 프레임(42)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칸막이 프레임(42)은 하부홈(20b)과 대략 동일 폭의 안내홈(42a)을 일단에 개구한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포켓(40) 내의 하방에서 칸막이 프레임(42)의 후방에는 칸막이 프레임(42)을 힌지 핀(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6의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34)은 차량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인 축선을 갖는 지지축(43)을 축심으로 하여 배치된다. 지지축(43)은 도어 포켓(40) 좌우 외측의 측벽(40a)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34)의 일단(34a)이 도어 포켓(40)의 일부에 고정되고 타단(34b)이 칸막이 프레임(4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칸막이 프레임(42)은 보통 칸막이 프레임(42)의 한 변(42b)이 경사벽(21a)에 평행하고, 또 경사벽(21a)에 대해 하부홈(20b)의 폭 치수와 동일한 치수만큼 사이를 둔 도 6에 나타낸 실선의 각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칸막이 프레임(42)의 한 변(42b)과 경사벽(21a) 사이에서 경사진 안내로(44)가 형성되고, 이 안내로(44)가 하부홈(20b)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하부홈(20b)을 슬라이드하는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후단 슬라이더(28b)가 안내로(44)를 따라 밀어올려진다. 그리고, 후단 슬라이더(28b)가 안내로(44) 상단의 수평벽(21b)에 당접하여 더욱 차량 후방으로 이동되면, 칸막이 프레임(42)이 코일스프링(3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힌지 핀(41)을 지점으로 하여 도 6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도 6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수평 상태로 자세 변환된다. 이 결과, 후방격납부(21)의 수평벽(21b)과 칸막이 프레임(42) 사이에 수평인 안내홈(44a)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 6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수평상태에서는, 칸막이 프레임(42)의 한 변(42b)이 경사벽(21a)의 중간부에 연속하고, 칸막이 프레임(42)의 다른 변(42c)이 하부홈(20b)의 하부벽에 연속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후방격납부(21)의 도어 포켓(40) 내에는 칸막이 프레임(42)의 한 변(42b)에 의해 구획된 상하 2단의 안내부가 형성된다.
한편, 전방격납부(2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의 전단 슬라이더(27a, 28a)를 격납하기 위한 도어 포켓(46),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가 전방격납부(22)로 진입해 왔을 때에, 제3 선셰이드 패널(17) 전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적합하게 배치되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23), 및 코일스프링(23)을 수용하는 스프링실(室)(24)로 이루어진다. 코일스프링(23)은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 측면에 설치된 리브(50)를 통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도어 포켓(46)은 안내기구(45)를 가지며, 안내기구(45)는 가이드홈(20) 상부홈(20a)의 상부벽에 연속하며 차량 후방을 향해 밀려올라가는 경사벽(22a), 및 가이드홈(20) 상부홈(20a)의 하부벽에 연속하며 차량 후방을 향해 밀려올라가는 경사벽(22b)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실(24)은 도어 포켓(46)의 후방에 연속해서 배치되는 상부벽(24a), 차량 전후방향으로 직교하는 후방벽(24b), 및 후방벽(24b)의 외측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전방으로 굴곡된 측벽(24c)에 의해 형성된다. 스프링실(24)에 있어서 측벽(24c)의 대향측에는 훅부(24e)가 형성되어 있다. 훅부(24e)는 코일스프링(23)의 일단부(23a)를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되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평부(24f)와 코일스프링(23)의 어긋남 방지를 위한 소정 높이까지 세워서 설치되는 혀부(24g)로 이루어진다.
코일스프링(23)은 차폭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축(25)을 축심으로 하여 소정 하중으로 적합하게 배치된다. 지지축(25)은 전방격납부(22)를 구성하는 스프링실(24)의 측벽(24c)의 내측면 후방측 상방부에 측벽(24c)과 수직으로 고정된다. 코일스프링(23)의 일단부(23a)는 코일스프링(23)의 본체 원통부(23c)로부터 접선상에 차량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연장된 일단부(23a)가 코일스프링(23)의 어긋남 방지를 위한 혀부(24g)의 전단을 약간 넘은 곳에서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좌우방향(차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측을 향해 직각으로 굴곡된다. 그리고, 굴곡 후에 일단부(23a)는 훅부(24e)의 수평부(24f)를 넘고, 리브(50)의 상면부(50u)와 당접하기 위한 수평인 당접부(23g)가 형성된 후, 리브(50)의 단면(50c)을 조금 넘어 연장되어 하방으로 굴곡된다. 소정량 하방으로 연장된 후, 차량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굴곡되어 수평부(23h)가 약간량 확보될 때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후방측에 원호부가 형성되도록 상방을 향해 굴곡되어 리브(50)의 단면(50c)과 약간의 틈새를 갖고 대향하는 굴곡부(23j)가 설치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코일스프링(23)은 훅부(24e)의 수평부(24f) 상면에 일단부(23a)의 당접부(23g) 하단이 당접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23)의 타단부(23b)는 스프링실(24)의 상부벽(24a)에 형성된 구멍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23)의 당접부(23g) 하단 높이는 수평부(24f)의 상면 높이로 결정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23)의 당접부(23g) 하단 높이는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 슬라이더(28a)가 안내기구(45)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후술하는 도 10의 (b)의 상태)에서, 최후단에 배치된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 슬라이더(28a)에 설치된 리브(50)의 후방 상면(50a)과 코일스프링(23) 당접부(23g)의 하단이 당접하여 제3 선셰이드 패널(17)에의 하방으로의 가압이 개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훅부(24e)의 수평부(24f)의 상면 높이가 결정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이란 엄밀한 점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전후로 폭을 갖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선셰이드 패널(15)의 전단 슬라이더(26a)가 가이드 레일(18)의 하부홈(20b)에 결합되고, 선셰이드 패널(16, 17)의 전단 슬라이더(27a, 28a)가 가이드 레일(18)의 상부홈(20a)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단 슬라이더(26b, 27b, 28b)가 가이드 레일(18)의 하부홈(20b)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이 차량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같은 높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d)는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이 전개 상태에서 완전 개방 상태로 이행해 가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또는 그 근방에 배치한 선셰이드 패널 개방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구동기구(33)의 모터가 구동되면,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전단 슬라이더(구동 슬라이더)(26a)를 통해 제1 선셰이드 패널(15)에 전달되고, 제1 선셰이드 패널(15)이 가이드 레일(18)의 가이드홈(20)을 따라 차량 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제1 선셰이드 패널(15)로부터 연결기구(30)를 통해 구동력을 받고,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도 가이드 레일(18)의 가이드홈(20)을 따라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처음에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 슬라이더(28a) 및 후단 슬라이더(28b)가 가이드 레일(18)의 후방에 설치된 전방격납부(22) 및 후방격납부(21)에 삽입된다. 이때는 아직 전단 슬라이더(28a) 및 후단 슬라이더(28b)의 상방으로의 이동은 시작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20)의 상부홈(20a)과 전단 슬라이더(28a) 및 하부홈(20b)과 후단 슬라이더(28b) 사이에는 큰 틈새가 없어 래틀이 억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선셰이드 패널(15)이 더욱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 슬라이더(28a)가 전방격납부(22)의 경사벽(22a, 22b)으로 형성되는 안내기구(45)로 안내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기 시작하여 도 10의 (b)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때 전단 슬라이더(28a)에 설치된 리브(50)의 후방 상면(50a)과 전방격납부(22)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3) 당접부(23g)의 하단이 당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것들이 당접하고, 코일스프링(23)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화살표로 나타낸 하방으로의 가압을 개시하여, 래틀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이때 후단 슬라이더(28b)도 후방격납부(21)에 삽입되어 안내로(44)를 따라 밀어올려지기 시작한다.
이후, 제1 선셰이드 패널(15)이 더욱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은 대략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선셰이드 패널(16)에 대해 더욱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의 이동 중간 상태가 되고,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고무 롤러(38)가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상면에 얹혀진다. 그리고,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 슬라이더(28a)에 설치된 리브(50)의 전방 상면(50b)과 전방격납부(22)의 후방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23)의 당접부(23g) 하단이 당접하고, 제3 선셰이드 패널(17)은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에 설치된 리브(50)의 전방 상면(50b)에 대해 하방으로 가압된 하중은 고무 롤러(38)를 통해 제2 선셰이드 패널(16)을 도면 중의 화살표방향으로 압압하여, 래틀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이때 당접부(23g) 하단과 리브(50)의 낮은 쪽의 전방 상면(50b)이 당접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데 맞추어 코일스프링(23)의 비틀림각이 늘어나고, 응력도 증가하므로,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소정량을 넘어 상방으로 들어올려졌을 때에는, 당접하는 리브(50)의 상면을 후방 상면(50a)에서 전방 상면(50b)으로 이동하여 코일스프링(23)의 발생 응력을 저감시켜 코일스프링(23)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더욱 제1 선셰이드 패널(15)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후단 슬라이더(27b)가 후방격납부(21)로 진입한다. 후방격납부(21)로 진입한 후단 슬라이더(27b)는 상방으로 안내되어 이미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후단 슬라이더(28b)의 안내로(44)에의 진입에 의해 수평 상태에 회동되어 유지된 칸막이 프레임(42)(도 6 참조)의 안내홈(42a) 내로 진입한다. 이에 따라,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후단 슬라이더(28b)는 도어 포켓(40)의 수평벽(21b)과 칸막이 프레임(42)의 한 변(42b) 사이로 진입하여 상하방향의 이동을 구속받고, 또한,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후단 슬라이더(27b)는 칸막이 프레임(42)의 안내홈(42a) 내로 진입하여 상하방향의 이동을 구속받아 래틀이 억제된다.
또한, 동시에 제2 선셰이드 패널(16)의 전단 슬라이더(27a)가 전방격납부(22)의 안내기구(45)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술한 제2,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과 동일한 작용에 의해 제2 선셰이드 패널(16)에 설치된 고무 롤러(38)가 제1 선셰이드 패널(15)의 상면에 얹혀져 도 10의 (d)에 나타낸 완전 격납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23)에 의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에 설치된 리브의 전방 상면(50b)에 대해 하방으로 가압된 하중은 고무 롤러(38, 38)를 통해 제2 선셰이드 패널(16) 및 제1 선셰이드 패널(15)을 각각 화살표방향으로 압압하여 래틀이 억제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후단의 제3 선셰이드 패널(17) 전단부의 전단 슬라이더(28a)에는 리브(50)가 설치되고, 전단 슬라이더(28a)가 안내기구(45)를 따라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리브(50)의 상면부(50u)와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23)의 일단부(23a)의 당접부(23g) 하단이 당접되어 하방으로의 가압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에는 여분의 슬라이드 저항이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동시에, 안내기구(45)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래틀이 억제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리브(50)에 의해 코일스프링(23)과의 당접면이 형성되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어 비용을 억제한 설계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23)이 사용되므로 간이하게 충분한 억제 하중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설계 자유도가 상승하여 비용을 억제한 설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최후단의 제3 선셰이드 패널(17) 및 전측의 제2 선셰이드 패널(16) 각각의 후단 슬라이더(28b, 27b)가 칸막이 부재인 칸막이 프레임(42) 상방의 안내홈(44a)과 하방의 안내홈(42a)으로 안내되고, 각각의 전단 슬라이더(28a, 27a)는 후단 슬라이더(28b, 27b)와 같은 방향으로 안내기구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제3 및 제2 선셰이드 패널(17, 16)의 후단부에서는 안내홈(44a) 및 안내홈(42a)에 의해 후단 슬라이더(28b, 27b)의 래틀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전단부에서는 전단부가 상방으로 안내되면서 코일스프링(23)에 의해 하방으로 계속 가압되게 된다. 따라서, 제3 선셰이드 패널(17)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하중은 제3 선셰이드 패널(17)에 설치된 제2 선셰이드 패널(16)상에 얹혀진 고무 롤러(38)를 통해 제2 선셰이드 패널(16)을 압압한다. 그리고, 제2 선셰이드 패널(16)에 설치된 제1 선셰이드 패널(15)상에 얹혀진 고무 롤러(38)를 통해 제1 선셰이드 패널(15)을 압압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5, 16, 17)의 래틀이 더욱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23) 일단부(23a)의 당접부(23g) 하단이 높이가 서로 다른 후방 상면(50a)과 전방 상면(50b)을 갖는 리브(50)의 상면에 당접하여 제3 선셰이드 패널(17)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17) 전단부의 리브(5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그에 따라 코일스프링(23)의 비틀림각이 커지고, 제3 선셰이드 패널(17) 전단부의 리브(50)에의 가압력이 커진다. 그리고,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더욱 후방이면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이동하면 코일스프링(23) 일단부(23a)의 당접은 후방 상면(50a)에서 후방 상면(50a)보다 낮은 전방 상면(50b)으로 이동하여 코일스프링(23)의 비틀림각을 작게 하여 코일스프링(23)의 응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23)이 최후단의 제3 선셰이드 패널(17)에 직접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고 있으므로,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를 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방격납부(22) 및 후방격납부(21)가 가이드홈(20)으로부터 연속해서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제2 및 제3 선셰이드 패널(16, 17)이 상방으로 안내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상방에 고정된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23)에 의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이 제3 선셰이드 패널(17)에 고정된 리브(50)를 통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래틀이 억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방격납부(22) 및 후방격납부(21)를 가이드홈(20)으로부터 연속해서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연장시켜, 제3 및 제2 선셰이드 패널(17, 16)을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단, 이때 코일스프링(23)은 제3 선셰이드 패널(17)의 하방에 고정하고, 코일스프링(23)에 의해 제3 선셰이드 패널(17)을 상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래틀을 억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셰이드 장치를 3장의 선셰이드 패널(15, 16, 17)로 구성했지만, 전측 선셰이드 패널과 최후단인 후측 선셰이드 패널의 2장의 선셰이드 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이때 전측 선셰이드 패널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후방격납부(21)에는 칸막이 프레임(42)에 의해 2단의 안내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스프링(23)을 탄성부재로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판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브(50)의 상면부(50u)와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23)의 일단부(23a)를 직접 당접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면부(50u)와 일단부(23a)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개재시켜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선셰이드 장치는, 차량 주행시에,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선셰이드 패널의 래틀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승용차, 버스 및 트럭 등의 차량에 적합하다.
10: 선셰이드 장치
11: 루프
12: 개구부
13: 패널
15: 제1 선셰이드 패널
16: 제2 선셰이드 패널
17: 제3 선셰이드 패널
18: 가이드레일
20: 가이드홈
20a: 상부홈
20b: 하부홈
21: 후방격납부
22: 전방격납부
23: 탄성부재(코일스프링)
24: 스프링실
26a, 27a, 28a: 전단 슬라이더
26b, 27b, 28b: 후단 슬라이더
30: 연결기구
33: 구동기구
34: 코일스프링
36: 링크 부재
40: 도어 포켓
42: 칸막이 부재(칸막이 프레임)
46: 도어 포켓
50: 리브

Claims (6)

  1. 차량 루프에 형성한 개구부의 양측에 설치되도록 적합해지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를 가지며, 전개 상태에서는 같은 높이로 배치되고, 격납 상태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중합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선셰이드 패널;
    전개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이행할 때에, 상기 선셰이드 패널의 적어도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안내되는 안내기구; 및
    상기 차량 루프에 설치되도록 적합해지는 동시에,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기구로 진입했을 때에,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을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보다 전측의 전측 선셰이드 패널에 압압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에는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리브의 상면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상면과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상면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받는 하중을 조절하도록 상기 후방 상면과 상기 전방 상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고,
    상기 리브의 상면과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가 상기 안내기구에 의해 상방으로 안내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당접되어 하방으로의 가압이 개시되는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각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는 전단 슬라이더 및 후단 슬라이더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후단측에 축 주위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 슬라이더를 상방의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전측 선셰이드 패널의 후단 슬라이더를 하방의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칸막이 부재; 및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 및 상기 전측 선셰이드 패널 각각의 전단 슬라이더를 각각의 상기 후단 슬라이더가 안내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상기 안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의 전단 슬라이더가 상기 안내기구로 진입했을 때에 상기 전측 선셰이드 패널을 하방으로 압압하는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차폭방향을 축심으로 하여 설치되는 본체 원통부;
    상기 본체 원통부로부터 접선상에 전방을 향해 연장된 일단부; 및
    상기 일단부로부터 차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최후단 선셰이드 패널에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는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6. 삭제
KR1020117005987A 2008-12-05 2009-11-30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KR101267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0563 2008-12-05
JP2008310563A JP5168114B2 (ja) 2008-12-05 2008-12-05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PCT/JP2009/070095 WO2010064595A1 (ja) 2008-12-05 2009-11-30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765A KR20110043765A (ko) 2011-04-27
KR101267689B1 true KR101267689B1 (ko) 2013-05-24

Family

ID=42233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987A KR101267689B1 (ko) 2008-12-05 2009-11-30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92358B2 (ko)
EP (1) EP2319717B1 (ko)
JP (1) JP5168114B2 (ko)
KR (1) KR101267689B1 (ko)
CN (1) CN102149553B (ko)
WO (1) WO2010064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5785B (zh) * 2010-09-25 2012-12-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折叠式天窗遮阳板
US8235460B2 (en) * 2010-11-02 2012-08-0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assembly
DE102011007004B8 (de) * 2011-04-07 2013-01-10 Bos Gmbh & Co. Kg Rollobau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CN104790858B (zh) * 2015-05-07 2016-11-30 吕瑶 一种多功能组合遮阳板系统
KR101662549B1 (ko) * 2015-07-02 2016-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의 전기전달장치
WO2018047614A1 (ja) * 2016-09-09 2018-03-15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スライドウィンドウ
CN108297654B (zh) * 2018-03-22 2023-10-20 江阴万事兴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拉杆式汽车遮阳板
JP7178192B2 (ja) * 2018-07-12 2022-11-25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CN112092592A (zh) * 2020-08-11 2020-12-18 上海知开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适用于新能源汽车使用的防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527A (ja) * 2006-06-14 2007-12-27 Aisin Seiki Co Ltd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JP2008213762A (ja) * 2007-03-07 2008-09-1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8002B2 (ja) * 1997-01-08 2002-06-04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JP3533557B2 (ja) * 1998-06-15 2004-05-3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DE10029718A1 (de) * 2000-06-16 2001-12-2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stellbarer Himmel für ein Fahrzeugdach
US6802560B2 (en) * 2002-04-02 2004-10-12 Yachiyo Kogyo Kabushiki Kaisha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FR2841186B1 (fr) * 2002-06-21 2005-01-14 Webasto Systemes Carrosserie Dispositif d'occulation pour un pavillon en verre de vehicule automobile
CN1715087A (zh) * 2004-06-28 2006-01-04 爱信精机株式会社 车用遮阳装置
JP2006044637A (ja) * 2004-06-28 2006-02-1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4747814B2 (ja) * 2005-12-01 2011-08-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JP4578421B2 (ja) 2006-03-03 2010-11-1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開閉体のスライ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527A (ja) * 2006-06-14 2007-12-27 Aisin Seiki Co Ltd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JP2008213762A (ja) * 2007-03-07 2008-09-18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49553B (zh) 2013-06-12
US8292358B2 (en) 2012-10-23
KR20110043765A (ko) 2011-04-27
EP2319717A1 (en) 2011-05-11
EP2319717B1 (en) 2013-03-27
JP5168114B2 (ja) 2013-03-21
US20110221237A1 (en) 2011-09-15
WO2010064595A1 (ja) 2010-06-10
CN102149553A (zh) 2011-08-10
JP2010132157A (ja) 2010-06-17
EP2319717A4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689B1 (ko) 차량용 선셰이드 장치
CN102205856B (zh) 车辆的行李舱盖装置
US7850231B2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JP6491802B2 (ja) パワースライドウィンドウ
US7641256B2 (en) Tonneau cover device
US7393048B2 (en) Sunshade panel apparatus
CN108944379B (zh) 天窗设备
JP5671914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JP5040373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5309922B2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JP4902629B2 (ja)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スライドパネルの衝動規制装置
JP4578421B2 (ja) 開閉体のスライド構造
CN212579582U (zh) 天窗装置
JP50605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491766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544011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581840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4250178B2 (ja) 多板サンシェード装置
US11390149B2 (en) Guide rail for a guide assembly for an open-roof system
KR102484933B1 (ko) 틸팅 선루프 구조
JP4840123B2 (ja) サンバイザ装置
JP2019025998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7302034A (ja) シェード装置
JP2011079448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