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595B1 - 이동체의 작동기구 - Google Patents

이동체의 작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595B1
KR101263595B1 KR1020117009842A KR20117009842A KR101263595B1 KR 101263595 B1 KR101263595 B1 KR 101263595B1 KR 1020117009842 A KR1020117009842 A KR 1020117009842A KR 20117009842 A KR20117009842 A KR 20117009842A KR 101263595 B1 KR101263595 B1 KR 101263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moving
rotating
gea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4893A (ko
Inventor
타케히코 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07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10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hats, clothes or clothes 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47G25/065Clothes hooks preventing knocking against, e.g. comprising a collapsible or retractable hook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24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means biasing the closing member about the pivot
    • F16B45/026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and having means biasing the closing member about the pivot and including a coil typ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2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 F16B45/034Hooks with pivoting or elastically bending closing member the closing member constituting the hook shaped portion of the hoo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4Hooks with sliding clos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pring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열린 상태 후에,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이동체의 작동기구를 얻는다.
후크부재(12)에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을 설치하여,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을 기어부재(54)에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후크부재(12)를 압입 위치로부터 압압하는 것으로 기어부재(54)가 회전하여,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샤프트(24))에 대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위치(가압 위치)를 바꾼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12)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비틀림 스프링(32)에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이동체의 작동기구{Operation Mechanism For Movable Body}
본 발명은 후크 등 개폐 가능한 이동체의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 등에는, 갈고리 모양(대략 L자 모양)의 후크가 설치되어 있어, 실내 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의복이나 가방을 걸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나, 후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후크가 실내로 돌출한 상태에서는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에서는, 후크가 수용되는 케이스와 후크에 가압수단(付勢手段, pressing means)을 연결시켜, 후크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r가압되도록 하고 있다. 후크의 사용시에는, 손가락 등으로 가압수단의 가압력(付勢力, pressing force)에 저항하여 후크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것으로 후크가 실내 측으로 돌출하고, 손을 떼면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크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본체에는 개구(開口)가 설치되어 있어, 문에 의해상기 개구가 개폐 가능해지고 있다. 이 문에는 외부 톱니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문과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체에는, 고정부재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에는 회전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기어에는 댐퍼 기어가 서로 맞물려 있어, 상기 댐퍼 기어가 외부 기어 톱니바퀴에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문이 이동하면, 외부 기어 톱니바퀴 및 댐퍼 기어를 통하여 회전 기어가 회전한다.
한편, 고정부재에는 캠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캠 홈 내를 핀이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이 핀의 위치에 의해서, 본체와 회전 기어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가 가압력의 크기가 변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스프링 부재에는 가압력에 의해서 문을 폐지(閉止)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특허 공개 2006-35994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허 공개 2006-19388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고, 이동체의 열린 상태 후, 자동적으로 이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는 이동체의 작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입 위치,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회전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일단(一端)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타단(他端)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가압부재(付勢部材, pressing member)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하는 위치를 바꾸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된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체의 작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형태에서는, 이동체를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이동체를 압입 위치,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지체에는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동체에는 가압부재의 일단이 설치되어, 가압부재의 타단은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있어,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한다.
또한, 조작부재에 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이동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작용선 상에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이동체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작용선 상에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없는 경우, 이동체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모멘트가 이동체의 회전 중심 주위에 작용하는 것이 된다.
즉, 상기 형태에 의하면,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이동체의 회전 중심과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와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이동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바꾸어, 이동체를 닫힘 방향 또는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의 열린 상태 후, 상기 이동체를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조작부재가,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고,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이동체를 압입 위치로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는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의 닫힘 위치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회전부재를 통하여 이동체에 작용하는 이동체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력과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동체에 작용하는 이동체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한 이동체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력과 가압부재에 의한 이동체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이동체가 폐지 위치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4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가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겹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여도 좋다.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작용선상(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이동체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체로의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형태에 의하면, 이동체의 열림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이동시키고, 이동체의 열림 방향에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위치로부터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중립 위치(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겹치는 위치)까지의 사이, 이동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4의 태양에 있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겹치는 위치로부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가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겹치는 위치로부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체에 대한 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위치를 경계로,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제6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체를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이동체에 밀려 그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압압부(押壓部)를 갖추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부재에 압압부를 설치하고 있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압압부가 이동체에 밀리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회전부재에 기어부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체에 상기 기어부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부재가 회전할 때, 댐퍼 기어에 의한 감쇠력이 기어부를 통하여 회전부재에 작용하기 때문에, 회전부재는 조용하게 이동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제8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7의 태양에 있어, 상기 기어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압압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기어부의 곡률 반경을, 압압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 반경보다도 크게 하는 것으로, 압압부의 이동량에 대한 기어부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어, 그만큼, 회전부재를 통하여 댐퍼 기어에 의해 이동체에 감쇠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회전부재가, 제 1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이동체에 밀려 회전하는 제 1 기어부재와, 상기 제 1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2 기어를 회전 중심부에 갖추어 상기 제 1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부재가 제 1 기어부재와 제 2 기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기어부재에는 제 1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이동체에 밀려 제 1 기어부재가 회전한다. 제 2 기어부재에는, 제1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2 기어를 제 2 기어부재의 회전 중심부에 갖추고 있어, 제1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부재가 회전한다.
즉,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이동체에 밀려 제 1 기어부재가 회전한다. 이 때, 제 1 기어도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2 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기어부재가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9의 태양에 있어, 상기 제 2 기어부재의 외주부(外周部)에 제 3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에 상기 제 3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제 2 기어부재의 외주부에 제 3 기어를 설치하여, 지지체에는 제 3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기어부재가 회전할 때는 댐퍼 기어를 통하여, 제 2 기어부재의 회전력이 감쇠되어, 제 2 기어부재는 조용하게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1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0의 태양에 있어, 상기 제 3 기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 2 기어의 곡률 반경보다 커지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제 3 기어의 곡률 반경을 제 2 기어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하는 것으로, 제 2 기어의 이동량에 대한 제 3 기어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어, 그만큼, 댐퍼 기어에 의해서 제 2 기어부재를 통하여 이동체에 감쇠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가압부재가, 중앙부에 비틀림부를 갖춘 비틀림 스프링이며,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에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가압부재가, 중앙부에 비틀림부를 갖춘 비틀림 스프링이며, 이동체의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에서 그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고 있어, 이동체의 회전 중심과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이동체로 작용하는 가압력의 방향을 바꾼다.
본 발명의 제13의 태양에 있어서,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지지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된 피니언부가 맞물리는 로크부를 갖추어, 슬라이드하여, 압입 위치,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슬라이드 하는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를 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상기 가압부재의 부세 위치를 바꾸어, 회전체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키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체의 작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체를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지지체에는 회전체에 설치된 피니언부가 서로 맞물리는 랙크부를 갖추고 있어, 상기 랙크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동체는 압입 위치,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어, 지지체에는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회전체를 통하여 회전한다.
또한, 회전체에는, 가압부재의 일단이 설치되어, 가압부재의 타단은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에 의해서,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회전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회전체를 통하여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작용선 상에 회전체의 회전 중심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회전체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작용선 상에 회전체의 회전 중심이 없는 경우, 회전체에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한 모멘트가 회전체의 회전 중심 주위에 작용하는 것이 된다.
즉, 상기 형태에 의하면,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회전체의 회전중심과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이동체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바꾸어, 회전체를 통하여 이동체를 닫힘 방향 또는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의 열린 상태 후, 상기 이동체를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4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3의 태양에 있어, 상기 조작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고,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어도 좋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이동체를 압입 위치로 이동시키면,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는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가압력)에 의해서, 회전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응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에 있어, 지지체에 대해서, 기준 위치와 돌출 위치의 사이의 이동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와 반대의 소정 위치로의 이동을 가지는 이동체를 갖추게 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체의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로의 압압에 의해,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축적되어, 상기 압압을 해제하면, 상기 이동체가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기준 위치에 돌아오도록 한 이동체의 작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형태에 의하면, 기준 위치에 있는 이동체를 소정 위치로 압압하면, 이동체는 돌출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축적된다. 이 때문에, 이동체로의 압압력을 해제하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자연히 기준 위치로 돌아온다.
본 발명의 제16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에 있어, 상기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압하는 방향전환기구에 의해서,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되어,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이동체가 기준 위치로 복귀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가압 방향전환기구에 의해서,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되어 있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시켜,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르렀을 때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이 전환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가 기준 위치에 복귀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17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6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가압 방향전환기구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가압 방향전환기구에 의해서,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하여 곧바로 이동체가 기준 위치로 돌아오는 것은, 이동체를 손으로 누른 상태로 의복 등을 걸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른 상태로, 상기 이동체를 일정시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8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6의 태양에 있어, 상기 가압 방향전환기구는, 상기 이동체와 연동하는 회전체 혹은 이동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회전체의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된 가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체의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로의 압압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작용부를 묶는 가상선이, 회전체의 회전 중심의 반대측에 이동하는 것으로 회전체의 가압 방향을 전환, 돌출 위치에 이동한 후에, 다시 회전체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에 이동하는 것으로 회전체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작용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이동체 또는 이동체와 연동하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 주위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체 또는 회전체에 작용하는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체를 자동적으로 기준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9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8의 태양에 있어,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작용을 받는 소직경 기어부재와, 상기 소직경 기어부재와 서로 맞물려 이동량이 소직경 기어부재보다 큰 대직경 기어부재로부터 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부재에는 소직경 기어부재와 대직경 기어부재를 설치하여, 소직경 기어부재가 회전체로부터 작용을 받는다. 이 소직경 기어부재에는, 대직경 기어부재가 맞물려 있어, 소직경 기어부재의 이동량보다 커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0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9의 태양에 있어, 상기 대직경 기어부재는, 회전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소직경 기어부재와 서로 맞물리는 소직경 기어와 외주부에 설치된 대직경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직경 기어에 댐퍼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가압 방향이 바뀌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대직경 기어부재에는, 회전 중심에 설치되어 소직경 기어부재와 서로 맞물리는 소직경 기어와, 외주부에 설치된 대직경 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대직경 기어에 댐퍼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것으로,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가압 방향이 바뀐다.
본 발명의 제21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고,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의 이동, 또는 이동체의 소정위치로부터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는 것으로, 이동체의 위치에 의해서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을 통과하면,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작용하는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에 대해 이동체의 동작이 정지할 뿐이기 때문에, 상기 형태에서는,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이동체를 걸리게 하는 걸림기구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동체의 이동을 정지시켜, 이동체의 열린 상태 또는 돌출 상태(이동체가 열림 위치 또는 돌출 위치에 있는 상태)가 길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동체를 후크로서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체에 코트 등을 걸 때에, 이동체가 정지하고 있으면 코트가 걸리기 쉽게 된다.
그리고, 이동체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체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는,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닫힘 위치 또는 기준 위치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이동체를 후크로서 이용하는 경우, 이동체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이동체에 코트 등을 걸면, 이동체의 걸림 상태는 해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동체로부터 코트를 떼어내면, 이동체는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 또는 기준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22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3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가 걸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돌출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21의 태양과 대략 동일한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3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가 걸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돌출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21의 태양과 대략 동일한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4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가 걸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열림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한 후, 이동체가 닫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체가 걸려서 이동체의 이동을 정지시켜 이동체의 열린 상태 또는 돌출 상태가 길게 유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어 닫힘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25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3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가 걸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열림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24의 태양과 대략 동일한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6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체를 기준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가 걸려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돌출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24의 태양과 대략 동일한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7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또는 닫힘 위치로의 이동이 회전 이동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8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의 돌출 위치로의 이동 또는 기준 위치로의 이동이 회전 이동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9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3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또는 닫힘 위치로의 이동이 슬라이드 이동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30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1의 태양에 있어,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려,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 및 회전부재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혹은, 지지체 및 이동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체의 회전 도중(이동체가 열림 위치로 회전하는 도중)에, 핀 부재가 캠 홈의 로크부에 걸린다. 이 상태로, 이동체는 이동 정지하여, 이동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로부터,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 홈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닫힘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31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3의 태양에 있어,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려,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돌출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 및 회전부재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혹은, 지지체 및 이동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의 회전 도중(이동체가 돌출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핀 부재가 캠 홈의 로크부에 걸린다. 이 상태로, 이동체는 이동 정지하여, 이동체의 돌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로부터, 이동체를 돌출 위치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 홈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기준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32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2의 태양에 있어,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드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려 이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린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 및 회전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혹은, 지지체 및 이동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의 슬라이드 도중(이동체가 열림 위치로 슬라이드 하는 도중)에 핀 부재가 캠 홈의 로크부에 걸린다. 이 상태로, 이동체는 이동 정지하여, 이동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로부터,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시키면, 핀 부재의 로크 홈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닫힘 위치로 슬라이드 한다.
본 발명의 제33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4의 태양에 있어,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도랑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려,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 및 회전부재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혹은, 지지체 및 이동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의 회전 도중(열림 위치로 회전 이동한 이동체가 닫힘 위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도중)에, 핀 부재가 캠 홈의 로크부에 걸린다. 이 상태로, 이동체는 이동 정지하여, 이동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로부터,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 홈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닫힘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34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6의 태양에 있어,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려,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돌출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 및 회전부재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혹은, 지지체 및 이동체의 한편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의 회전 도중(돌출위치로 회전 이동한 이동체가 기준 위치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도중)에, 핀 부재가 캠 홈의 로크부에 걸린다. 이 상태로, 이동체는 이동 정지하여, 이동체의 돌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로부터, 이동체를 돌출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 홈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기준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제35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25의 태양에 있어,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드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트부에 걸리게 되어 이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 및 회전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 되어 있다. 혹은, 지지체 및 이동체의 일방에 캠 홈이 설치되어, 타방에 핀 부재가 지지 되어 있다. 또한, 이동체의 슬라이드 도중(열림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한 이동체가 닫힘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중)에 핀 부재가 캠 홈의 로크부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로, 이동체는 이동 정지하여, 이동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로부터,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핀 부재의 로크 홈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이동체는 닫힘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본 발명의 제36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15의 태양에 있어,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소정 위치로의 압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가압부재에 가압력을 축적시키는 회전부재를 갖추어,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체에 접촉시키고, 이동체를 상기 기준 위치에 되돌리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지지체에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동체의 소정 위치로의 압압에 의해 그 회전부재가 회전한다. 이동체를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로 압압하면, 가압부재에는 가압력이 축적된다. 이동체로의 압압력을 해제하여,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가압부재의 가압력(복원력)에 의해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이동체에 접촉한다.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부재를 통하여, 이동체를 자연스럽게 기준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7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36의 태양에 있어, 상기 이동체가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이동체 또는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하여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회전부재 또는 이동체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부재(또는 이동체)에 규제부를 마련하여, 이동체가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규제부가 이동체(또는 회전부재)에 접촉하고,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체가 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8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37의 태양에 있어, 상기 규제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로 압압하는 압압력을 상기 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이동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체로 전달하는 제 2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이동체를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로 압압하는 압압력을 제 1 접촉부에 의해서 회전부재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회전부재가 회전하여, 가압부재에는 가압력이 축적되게 된다.
또한,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회전부재는 회전하지만, 회전부재에 설치된 제 2 접촉부가 이동체에 접촉하여, 상기 제 2 접촉부에 의해서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이동체에 전달시키는 것으로, 이동체가 기준 위치로 돌아온다.
본 발명의 제39의 태양은, 본 발명의 제36의 태양에 있어, 상기 회전부재에는 기어부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에 상기 기어부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회전부재가 회전할 때, 댐퍼 기어에 의한 감쇠력이 기어부를 통하여 회전부재에 작용하기 때문에, 회전부재는 조용하게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으로 한 것으로, 이동체의 열린 상태(돌출 상태) 후,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기준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의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의 후크부재의 열림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1의 4A-4A단면도이며, 도 4(b)는 압입 위치에 이동한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도 4(a)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5(a)는 도 1의 5A-5A단면도이며, 도 5(b)는 압입 위치에 이동한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도 5(a)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6(a)는 도 2의 6A-6A단면도이며, 도 6(a)-(b)는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제2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a)는 도 7의 8A-8A 단면도, 도 8(b)는 도 7의 8B-8B단면도, 도 8(c)는 도 7의 8C-8C단면도.
도 9(a)는 도 7의 8C-8C 단면에 대응하는 후크 장치의 단면도, 도 9(a)-(b)는 도 4(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단면도.
도 10(a)는 도 7의 8A-8A 단면에 대응하는 후크 장치의 단면도, 도 10(a)-(b)는 도 5(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단면도.
도 11(a)는 도 7의 8A-8A 단면에 대응하는 후크 장치의 단면도, 도 11(a)-(b)는 도 6(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단면도.
도 12(a)는 도 7의 8B-8B 단면에 대응하는 후크 장치의 단면도, 도 12(a)-(b)는 도 4(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단면도.
도 13은 제3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a)는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b)는 압입 위치에 이동한 후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a)는 후크부재의 열림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a)-(b)는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제4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7(a)는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도 16의 A-A단면도, 도 17(b)는 후크부재의 압입 위치를 나타내는 도 16의 A-A단면도이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b)는 도 17(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도 16의 B-B단면도이며, 캠 홈과 트레이스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a)는 후크부재가 이동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의 A-A 단면도, 도 19(b)는 후크부재를 열림 위치에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의 A-A 단면도이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a)-(b)는 도 19(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도 16의 B-B단면도이며, 캠 홈과 트레이스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a)는 후크부재가 폐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6의 A-A단면도, 도 21(b)는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도 16의 A-A단면도이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a)-(b)는 도 21(a)-(b)의 동작에 각각 대응하는, 도 16의 B-B단면도이며, 캠 홈과 트레이스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은 제5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a)는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b)는 압입 위치로 이동한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 및 캠 홈과 트레이스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a)는 후크부재가 이동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b)는 후크부재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 및 캠 홈과 트레이스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a)는 후크부재가 폐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6(b)는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비틀림 스프링의 가압 위치의 변화 및 캠 홈과 트레이스부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제6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의 후크부재의 닫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제6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의 후크부재의 열림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는 제6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의 정면 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30은 제6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후크 장치의 이면 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31(a)는 도 27의 31A-31A단면도이며, 도 31(b)는 압입 위치로 이동한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도 31(a)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2(a)는 도 27의 32A-32A 단면도이며, 도 32(b)는 압입 위치로 이동한 후크부재를 나타내는 도 32(a)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3(a)는 도 28의 33A-33A 단면도이며, 후크부재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3(b)는 후크부재가 닫힘 위치로 돌아오기 직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a)는 도 28의 34A-34A 단면도이며, 후크부재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4(b)는 후크부재가 닫힘 위치로 돌아오기 직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이동체로서의 후크부재의 작동기구(후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의 바디 패널(body panel) 등에는,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후크 장치(10)가 설치되어 있어, 실내로 향하여 후크부재(이동체)(12)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 도 3에 나타난 방향을 기준으로 후크 장치(10)의 상하 좌우(U, D, L, R로 나타냄)를 설정하여, 이것에 따라서 설명한다.
후크 장치(10)에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지지체)(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4) 내에 후크부재(12)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14)의 측벽(側壁)의 단면(端面)에서는, 케이스(14)의 전 둘레에 걸쳐 플랜지부(16)를 외측으로 향하여 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4)의 긴 방향의 측벽에는, 케이스(14)의 상하로 축을 지지하는 구멍(18, 2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축을 지지하는 구멍(18, 20)에는 각각 샤프트(이동체의 회전 중심)(22, 24)가 고정되어 있다.
후크부재(12)는, 선단측(先端側)이 갈고리 모양으로 절곡된 후크부(26)와, 후크부(26)의 후단측(後端側) 내면에 설치되어 후크부재(12)를 개폐시키기 위한 회전 중심이 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드럼부(28)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후크부(26)의 선단측 외면에는, 돔 형상의 오목부(26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후크부재(12)를 압압하기 위한 목적이 표시가 되고, 또한 손가락이 닿기 쉽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26)의 선단부에는 접힘부(26B)가 설치되어 있어, 후크부(26)의 선단부를 드럼부(28)측으로 향하여 접혀서, 후크부(26)에 건 의복 등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후크부(26)의 후단 측에는, 장착부(30)가 설치되어 있어, 중앙부에 비틀린 부(32A)를 갖춘 비틀림 스프링(가압부재)(32)의 일단부(一端部)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드럼부(28)는,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34)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후크부재(12)의 성형 후, 드럼부(28)의 표면을 끌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드럼부(28)의 중심부에는, 샤프트(24)가 삽입하여 통과 가능한 축 구멍(36)이 관통하고 있고, 드럼부(28)는 샤프트(2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드럼부(28)를 통하여, 후크부재(12)가 샤프트(24) 주위에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드럼부(28)에는, 도 3 중 우측으로 결합 홈(38)(도 4(a)참조)이 설치되어 있어, 후술하는 기어부재(제1 기어부재, 소직경 기어부재, 회전부재)(40)에 설치된 결합 핀(압압부)(42)이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4) 내에는 커버부(44)가 설치되어 있어, 케이스(14) 내에 수용되는 각 부품이 보이지 않고, 후크부재(12)가 개방된 상태로 각 부품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후크 장치(10)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또한 각 부품을 쓰레기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44)의 단면을 볼 때, 케이스(14)의 중앙 상부에서 케이스(14)의 저부(底部;14A)(또한 이 저부(14A)는 비틀림 스프링(32)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개구(開口;15)가 형성됨)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선단부가 케이스(14)의 개구부(46)측으로 향하여 기울어져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케이스(14)의 상부에는, 케이스(14) 상부벽(14B)의 내면과 커버부(44)의 사이에 공간(48)이 설치되어 있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가 폐지된 상태(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기준 위치))에서, 상기 공간(48) 내에는 후크부(26)의 선단부가 수용 가능해진다.
또한, 후크부재(12)가 폐지(閉止)된 상태에서는, 후크부재(12)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하여,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4) 내에 압입 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가능해지고 있어, 후크부(26)가 커버부(44)에 접촉하여 이동규제될 때(압입 위치, 소정 위치)까지 후크부재(12)는 회전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44)의 표면에는, 고무 부재로 형성된 쿠션(50)이 고착되어 있어, 후크부(26)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크부(26)는 쿠션(50)을 통하여 커버부(44)에 접촉하게 되지만, 상기 쿠션(50)에 의해서 후크부(26)가 접촉할 때의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쿠션(50)을 통하여 후크부(26)가 커버부(44)에 접촉할 때,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후크부(26)의 선단부도 원호 형상의 이동 궤적을 그리게 되지만, 이 때에, 후크부(26)의 선단부가 케이스(14)의 내벽 및 커버부(44)에 간섭하지 않게, 케이스(14) 상부벽(14B)의 내면에는 퇴피부(退避部;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4)에는, 기어부재(40)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이 기어부재(40)에는, 샤프트(24)가 삽입 통과 가능한 축 구멍(52)과, 드럼부(28)에 형성된 결합 홈(38)에 결합하는 결합 핀(42)과, 후술하는 기어부재(제 2 기어부재, 대직경 기어부재, 회전부재)(54)에 설치된 기어부(제 2 기어, 소직경 기어)(56)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제 1 기어)(58)가 설치되어 있어, 결합 핀(42)을 중심으로, 기어부(58)와 축 구멍(52)은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에서, 드럼부(28)의 결합 홈(38)의 단부에 기어부재(40)의 결합 핀(42)은 접촉하고 있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를 압입 방향으로 압압하면, 결합 홈(38)을 통하여 결합 핀(42)이 압압된다. 이것에 의해, 기어부재(40)가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22)에는, 기어부재(54)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기어부재(4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축부(6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축부(60)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 구멍(60A)에 샤프트(22)가 삽입하여 통과된다.
또한, 축부(60)에는, 긴 방향의 중앙부에 수용부(62)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용부(62) 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조작부재)(64)이 수용 가능해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코일부(64A) 내에 샤프트(22)가 내삽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은 일단부가 기어부재(54)에 접촉하여, 타단부가 케이스(14) 측에 고정되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54)를 화살표 A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기어부재(54)의 축부(60)의 근방에는, 기어부재(40)의 기어부(58)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56)가 형성되어 있어, 기어부재(54)의 자유단(自由端) 측에는, 후술하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 제3 기어, 대직경 기어)(68)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재(12)의 회전에 의해서, 기어부재(40)가 회전하면, 기어부재(40)의 기어부(58)를 통하여 기어부(56)가 회전하여, 기어부(56)가 설치된 기어부재(54)가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기어부재(54)의 기어부(68)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66)가 회전한다.
댐퍼 기어(66)는 댐퍼 유닛(6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 원통 형상의 하우징(70)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70) 내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유체가 충전되어 있어, 댐퍼 기어(66)에는 정회전 및 역회전 모두, 점성 유체에 의한 점성 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부(68)를 통하여 기어부재(54)에는, 상기 점성 저항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기어부재(54)는 조용하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하우징(70)의 외주면에서는 1개의 고정편(固定片;71)이 연장되어 있어, 고정편(71)에 설치된 고정구멍(71A)에 고정핀(73)이 삽입하여 통과되어, 상기 고정핀(73)을 통하여 댐퍼 유닛(65)이 케이스(1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70)의 주위 방향의 1개소에 댐퍼 유닛(65)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댐퍼 유닛(65)은 고정핀(7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고정핀(73)의 단단히 조인 힘에 의해서, 기어부(68)와 댐퍼 기어(66)의 사이에 유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어부(68)의, 케이스(14)의 개구부(46) 측에는, 장착부(72)가 설치되어 있어,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他端部)가 장착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一端部)는, 전술한 것처럼, 후크부재(12)의 후단 측에 설치된 장착부(30)에 장착되어 있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양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기어부재(54)의 장착부(72)에서는, 케이스(14)의 개구부(46)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연장편(延出片;74)이 설치되어 있어, 후크부재(12)가 폐지된 상태로, 후크부재(12)의 내면이 접촉 가능해지고 있다.
(후크부재의 동작 설명)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기준 위치)에서는, 후크부재(12)의 장착부(30)는 케이스(14)의 개구부(46)의 내연(內緣) 하부 측에 위치하고 있어, 기어부재(54)의 장착부(72)는, 케이스(14)의 안쪽을 향하여 장착부(30)의 경사 상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장착부(30)와 장착부(72)에는, 비틀림 스프링(32)의 단부가 각각 장착되어 있어, 비틀림 스프링(32)의 양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탄성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다).
여기서, 기어부재(54)의 기어부(68)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리고 있어, 댐퍼 기어(66)에 의한 점성 저항에 의하여, 기어부재(54)는 소정치 이상의 응력까지는 그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후크부재(12)는 닫힘 위치에 있고, 스토퍼 등의 이동 규제 부재에 의한 이동 규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후크부재(12) 및 기어부재(54)에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32)은, 일단부(후크부재(12)의 장착부(30))의 방향이 타단부(기어부재(54)의 장착부(72))보다 이동하기 쉽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은 화살표 B방향을 향하여 작용하게 된다.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은 샤프트(24)이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후크부재(12)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또한, 기어부재(54)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일단부가 접촉하고, 기어부재(54)를 화살표 A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킬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에서는, 후크부재(12)의 폐지 방향으로의 응력과 후크부재(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응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로부터,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를 압입 위치(소정위치)를 향하여 압압하면, 드럼부(28)의 결합 홈(38)을 통하여, 기어부재(40)의 결합 핀(42)이 밀려, 기어부재(40)가 샤프트(2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어부재(40)의 회전에 의해, 기어부재(40)의 기어부(58)를 통하여, 기어부(56)가 회전하여, 기어부(56)가 설치된 기어부재(54)가 샤프트(22) 주위에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은 가압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이 저항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가 된다.
한편, 기어부재(54)의 회전에 의해서, 장착부(72)가 샤프트(24)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32)에는 탄성 에너지가 더 축적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력은,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또한, 기어부재(54)의 기어부(56)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려 있어, 기어부재(54)는 소정치 이상의 응력까지는 그 이동을 규제시키기 위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한 가압력보다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한 가압력이 먼저 후크부재(12)에 작용한다.
즉,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후크부재(12)의 장착부(30))가,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기어부재(54)의 장착부(72)) 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어, 장착부(30)를 통하여,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케이스(14)에는, 스토퍼(76)(도 4(a)참조)가 설치되어 있어, 스토퍼(76)의 하면에는, 고무 부재로 형성된 쿠션(78)이 고착되어 있다. 이 쿠션(78)은, 후크부재(12)가 개방된 상태로 접촉할 수 있어, 상기 쿠션(78)에 의해서 후크부재(12)의 접촉시의 충격이 흡수된다.
후크부재(12)가 개방된 상태(후크부재(12)의 열림 위치 또는 돌출 위치)에서는, 후크부재(12)는 대략 수평이 되어, 후크부(26)에는 의류 등이 걸릴 수 있다. 이 때,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후크부재(12)의 장착부(30))는, 케이스(14)의 안쪽 방향을 향하여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기어부재(54)의 장착부(72))의 기울어진 아래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12)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도 닫힘 위치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양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은 화살표 E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상기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는 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의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 기어부재(54)가 샤프트(22) 주위를 서서히 회전한다.
이 기어부재(54)의 회전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서서히 어긋나게 된다. 여기서, 기어부재(54)가 샤프트(22) 주위를 회전하면, 기어부(68)를 통하여 댐퍼 기어(66)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어부재(54)에는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후크부재(12)의 장착부(30))와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기어부재(54)의 장착부(72))를 연결하여,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가상선) P가, 후크부재(12)의 샤프트(24)와 겹치는 위치(변곡점)에 도달했을 때,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12)는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상태로부터 기어부재(54)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 P가 작용선 Q로 이동하여,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후크부재(12)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즉,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가상선) P가, 후크부재(12)의 샤프트(24)와 겹치는 위치를 경계로,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바뀌어(가압 방향전환기구), 후크부재(12)에는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한 폐지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후크부재(12)가 폐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12)가 폐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때, 기어부재(54)도 샤프트(24) 주위를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어부(68)를 통하여 댐퍼 기어(66)가 회전하여, 기어부재(54)에는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또한, 비틀림 스프링(32)을 통하여, 후크부재(12)에도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후크부재(12)는 조용하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68)를, 기어부재(54)의 자유단 측에 설치하여, 기어부재(40)의 기어부(58)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56)를, 기어부재(54)의 회전 중심 측에 설치하고, 기어부(68)의 곡률 반경이 기어부(56)의 곡률 반경보다도 커지게 되도록 하고 있다. 즉, 기어부(56)의 이동량에 대해서 기어부(68)의 이동량이 커지게 되도록 하고, 댐퍼 기어(66)에 의해서 후크부재(12)에 감쇠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에서, 후크부재(12)의 내면에 기어부재(54)의 연장편(74)이 접촉하여, 후크부재(12)는 이동 규제된다.
(후크부재의 작용)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12)에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을 설치하여,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을 기어부재(54)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를 압입 위치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해 기어부재(54)가 회전하여,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샤프트(24))에 대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위치(가압 위치)가 바뀐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12)를 닫힘 위치(도 5(a)참조) 또는 열림 위치(도 6(a)참조)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비틀림 스프링(32)에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일단을 케이스(14) 측에 설치하여, 타단을 기어부재(54)에 설치하고, 후크부재(12)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이 기어부재(54)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후크부재(12)를 압입 위치로 회전시켜, 기어부재(54)를 회전시키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탄성 에너지를 축적시킨다.
이 때, 비틀림 스프링(32)에도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지만, 후크부재(12)를 개방시킬 때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한 가압력을 이용한다. 그래서, 후크부재(12)가 개방된 상태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을 이용한다.
즉,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작용선 P상에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샤프트(24))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후크부재(12)에는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한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 P상에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이 없는 경우, 예를 들면,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 Q상에 있는 경우,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한 모멘트(화살표 C방향)가 후크부재(12)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 기어부재(54)를 회전시켜,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에 대한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 위치를 바꾸는 것으로, 후크부재(12)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방향을 바꾸어, 후크부재(12)를 닫힘 방향 또는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상기 비틀림 스프링(32)에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해서, 후크부재(12)로 작용하는 가압력의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후크부재(12)의 열린 상태 후, 소정 시간 경과후에(후크부재(12)로 작용하는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면), 상기 후크부재(12)를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이나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에 의해서 조정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방향을 후크 장치(10)의 상하로 하여, 이것에 따라서 설명했지만, 상기 후크 장치(10)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서는, 케이스(14)의 플랜지부(16)를 위쪽 면으로 해서 후크장치(10)를 배치 하여도 좋고, 플랜지부(16)를 하면으로서 후크 장치(10)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후크부재(12)의 후크부(26)의 형상은 이것에 따라서 바뀌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12)의 회전 중심(샤프트(24))에 대한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후크부재(12)를 닫힘 위치(도 5(a) 참조) 또는 열림 위치(도 6(a)참조)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비틀림 스프링(32)에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좋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형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를 예로서 들 수 있다. 제1 실시형태로는, 기어부재(40),(54)를 이용하고, 후크부재(12)의 동작과 연동시키도록 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 장치(이동체의 작동기구)(79)에 대해, 1개의 회전부재(80)를 이용하고, 후크부재(12)의 동작과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8(a)~(c)에는, 도 7에 나타낸 회전부재(80)의 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80)에는 축부(82)가 설치되어 있어, 축부(82)에는 접촉부(82A)가 설치되어, 상기 접촉부(82A)가 후크부재(이동체)(84)의 드럼부(86)의 상부에 설치된 돌기부(突起部;88)에 접촉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84)가 닫힘 위치 상태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를 압입 방향으로 압압하면, 돌기부(88)를 통하여 접촉부(82A)가 압압된다. 이것에 의해,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80)가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부재(80)의 자유단 측에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부(90)가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린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후크부재(84)의 동작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고,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크부재(12)의 동작과 대략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 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후크부재(12)를 회전시키도록 했지만, 후크부재(12)의 동작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3 실시형태>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나는 제3 실시형태를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교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 장치(이동체의 작동기구)(100)에 대해서, 후크부재(이동체)(10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한다. 후크부재(101)는, 후크부(26)와 랙크부(102)로 구성되어 있어, 랙크부(102)는 후크부재(12)의 내면에 설치되어, 후크부(26)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랙크부(102)에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니언부(106)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체(104)는 샤프트(2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회전체(104)의 회전에 의해서, 피니언부(106)를 통하여, 랙크부(102)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랙크부(102)를 통하여 후크부재(101)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104)에는, 장착부(108)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장착부(108)에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가 장착된다.
또한, 후크 장치(100)에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지지체)(112)를 갖출 수 있어, 케이스(112)의 개구부(46)에는, 뚜껑부(114)가 설치되어, 후크부재(101)가 폐지된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10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뚜껑부(114)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뚜껑부(114)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후크부재(101)는 그 가이드부에 의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또한, 케이스(14)의 하부에서는, 수납벽(收納壁;116)이 아래로 내려 뜨려져서, 후크부재(101)가 폐지된 상태(후크부재(101)의 닫힘 위치, 기준 위치)로, 후크부(26)를 수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01)의 닫힘 위치에서는, 후크부(26)와 케이스(112)의 하측벽(112A)과의 사이에는, 간극(118)이 설치되어 있어,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01)를 위쪽으로 더 이동 가능하게 하여, 후크부재(101)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4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며, 후크부재(이동체)(200)를 열림 위치(돌출 위치)로 이동시키는(왕이동(往移動)) 도중에 후크부재(200)를 이동 정지시키는 로크기구(걸림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는, 선단 측이 갈고리 모양으로 꺾여진 후크부(26)와, 후크부(26)의 후단측 내면에 설치된, 후크부재(12)를 개폐 시키기 위한 회전 중심이 되는 대략 반원 기둥 형상의 반원 기둥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반원 기둥부(204)로 하고 있지만, 도 7과 같은 모양으로 대략 원기둥 형상의 드럼(86)을 이용해도 좋고, 특히 형상은 특정되는 것이 아니다.
후크부(26)의 내면에는, 반원 기둥부(204)의 아래쪽에, 후술하는 회전부재(206)에 접촉 가능한 스토퍼(208)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208)에는 장착부(3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장착부(30)에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가 장착된다.
여기서, 회전부재(206)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부재(206)는 도 7에 나타낸 회전부재(80)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어, 회전부재(206)의 자유단부에는, 기어부(90)가 설치되어, 상기 기어부(90)가 케이스(14)의 긴 방향의 측벽에 설치된 수납부(210)에 설치된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기어부(68)의, 케이스(14)의 개구부(46)측의 치(齒) 근방에는, 장착부(72)가 설치되어 있어,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어부(90)를 사이에 두고, 장착부(30)의 반대측에는 회전부재(206)의 자유단부(自由端部)로부터 연장편(212)이 연장해 있어, 상기 연장편(212)이 스토퍼(208)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206)의 중앙부에는, 대략 하트 형상을 이루는 볼록한 형상의 하트부(214)를 가지는 캠 홈(걸림기구)(216)이 설치되어 있어, 케이스(14)에 장착된 대략 U자 형상의 핀 부재(걸림기구)(218)가 결합 가능해지고 있다.
이 핀 부재(218)는 케이스(14)에 설치된 장착부(219)에 끼워 넣어져 있어, 중앙부가 지지부(218A)로 되고, 상기 지지부(218A)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핀 부재(218)의 일단부에는, 지지부(218A)의 반대측을 향하여 지지부(218A)와 평행으로 연장하는 트레이스부(218B)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트레이스부(218B)가 캠 홈(216)과 결합한다.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216)은, 회전부재(206)의 후크부재(200)의 반대측에 형성된 도입부(22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도입부(220)를 통해 트레이스부(218B)가 캠 홈(216)으로 안내된다. 도입부(220) 측에 위치하는 하트부(214)의 정상부(214A)는, 도입부(220)보다 기어부(90) 측에 위치하고 있어, 도입부(220)로부터 안내된 트레이스부(218B)는 하트부(214) 위쪽 경사면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즉, 캠 홈(216)의 형상 및 회전부재(206)의 이동에 의해서, 핀 부재(218)는 지지부(218A)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또한, 하트부(214)의 위쪽 경사면의 정상부(214B)의 안쪽 방향(회전부재(206)의 후크부재(200)측)에는, 트레이스부(218B)가 진입 가능한 진입로(216A)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재(206)가 회전하여, 트레이스부(218B)가 캠 홈(216)의 하트부(214)의 정상부(214B)를 통과하면, 트레이스부(218B)는 진입로(216A)로 진입한다.
또한, 캠 홈(216)의 도입부(220)의 대략 반대측에는, 하트부(214)의 로크부(걸림기구)(222)가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스부(218B)가 이 로크부(222)에 도달하면, 상기 트레이스부(218B)는 걸리게 되어, 이른바 잠김 상태가 된다. 또한, 트레이스부(218B)가 잠김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트레이스부(218B)는 캠 홈(216)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후크부재(200)의 닫힘 위치(기준 위치)에서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부재(218)에는, 외력이 거의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며, 핀 부재(218)가 대략 수평 상태가 되어 있다. 그러나,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을 압입 위치(소정 위치)로 회전시키면, 후크부재(20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부재(206)가 회전하여, 전술한 것처럼, 하트부(214) 위쪽 경사면을 따라서 트레이스부(218B)가 위쪽으로 안내되어, 트레이스부(218B)를 통하여 지지부(218A)를 중심으로 핀 부재(218)가 요동하지만, 이 때, 핀 부재(218)에는 탄성 에너지(가압력)가 축적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스부(218B)에는 원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 즉, 하방으로 향하는 가압력이 작용한다.
후크부재(200)를 압입 위치로 회전시킨 후, 후크부재(200)로의 압압력을 해제하면, 도 17(b) 및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크부재(200)는 열림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회전부재(20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206)도 화살표 A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스부(218B)는 진입로(216A)로부터 빠져나온다. 여기서, 트레이스부(218B)에는, 하방으로 향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스부(218B)가 진입로(216A)로부터 빠져나오면,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스부(218B)는 캠 홈(216)의 로크부(222)에 걸리게 되어, 회전부재(206)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후크부재(200)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에 설치된 스토퍼(208)가 회전부재(206)의 연장편(212)에 접촉하여, 후크부재(200)가 회전 정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후크부재(200)를 열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208) 및 연장편(212)을 통하여 회전부재(206)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스부(218B)와 캠 홈(216)의 로크부(22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후크부재의 동작 설명)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기준 위치)에서는, 비틀림 스프링(32)의 양단부는 서로 근접할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탄성 에너지가 축적되고 있다). 또한, 기어부재(54)의 기어부(68)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려 있어, 댐퍼 기어(66)에 의한 점성 저항을 받고 있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후크부재(12)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한다. 또한, 회전부재(20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일단부가 접촉하고, 회전부재(206)를 화살표 A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에서는, 후크부재(12)의 폐지 방향으로의 응력과 후크부재(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응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어,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도 17(a) 및 도 18(a)에 나타낸 후크부재(12)의 닫힘 위치로부터, 도 17(b)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를 압입 위치(소정 위치)를 향하여 압압하면, 돌기부(88)(도 9(a) 참조)를 통하여 접촉부(82A)가 압압되어, 회전부재(206)가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은 가압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의 저항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탄성 에너지(가압력)가 축적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206)의 회전에 의해서, 트레이스부(218B)가 캠 홈(216)을 따라서 위쪽으로 안내되어, 진입로(216A)에 진입한다. 이 때, 트레이스부(218B)를 통하여 지지부(218A)를 중심으로 핀 부재(218)가 요동하여, 핀 부재(218)에는 탄성 에너지(가압력)가 축적된다.
또한, 도 17(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206)의 회전에 의해서, 장착부(72)가 샤프트(24)의 뒤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32)에는 탄성 에너지(가압력)가 더 축적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력은,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재(206)의 기어부(90)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리고 있어, 회전부재(206)는 소정치 이상의 응력까지는 그 이동을 규제시키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한 가압력보다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한 가압력이 먼저 후크부재(12)에 작용한다.
즉,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후크부재(12)의 장착부(30))가,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회전부재(206)의 장착부(72)) 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어, 장착부(30)를 통하여, 도 17(b) 및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2)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회전부재(206)도 화살표 A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하여, 핀 부재(218)의 트레이스부(218B)는 진입로(216A)로부터 빠져나오고,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216)의 로크부(222)에 걸리게 되어 회전부재(206)의 화살표 A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후크부재(200)가 열림 위치로 회전하면,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에 설치된 스토퍼(208)가 회전부재(206)의 연장편(212)에 접촉한다. 회전부재(206)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편(212) 및 스토퍼(208)를 통하여 후크부재(200)의 이동도 규제되어, 후크부재(200)는 회전 정지한다. 이 상태로 후크부(26)에는 의류 등이 걸릴 수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를 열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즉, 후크부재(200)에 의류 등을 걸거나 손가락으로 후크부재(200)를 눌러 내리거나 하면, 후크부재(200)의 스토퍼(208) 및 연장편(212)을 통하여, 회전부재(206)가 화살표 A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도 2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스부(218B)와 캠 홈(216)의 로크부(222)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은 화살표 E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어,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D방향(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상기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는 후크부재(12)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 기어부재(54)가 샤프트(22) 주위를 서서히 회전한다.
이 기어부재(54)의 회전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가압력의 작용 방향이 서서히 어긋나게 된다. 여기서, 기어부재(54)가 샤프트(22) 주위를 회전하면, 기어부(68)를 통하여 댐퍼 기어(66)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어부재(54)에는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
또한,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후크부재(12)의 장착부(30))와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기어부재(54)의 장착부(72))를 연결하고,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 P가, 후크부재(12)의 샤프트(24)와 겹치는 위치(변곡점)에 도달했을 때,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는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태로부터 기어부재(54)가 화살표 A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선 P가 작용선 Q로 이동하여, 후크부재(12)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후크부재(12)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12)가 폐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때, 회전부재(206)도 샤프트(24)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기어부(90)를 통하여 댐퍼 기어(66)가 회전하여, 회전부재(206)에는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비틀림 스프링(32)을 통하여, 후크부재(12)에도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후크부재(12)는 조용하게 회전하게 된다.
(후크부재의 작용)
제1 실시형태 ~ 제3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200)를 닫힘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에 이동시키면(후크부재(200)를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크부재(200)를 열림 위치(돌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어, 후크부재(200)의 위치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을 통과하면, 후크부재(200)를 닫힘 위치(기준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있다.
즉,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의 작용 방향이 바뀌는 변곡점에 대해 후크부재(200)의 동작이 정지할 뿐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부(222)가 설치된 캠 홈(216)을 회전부재(206)에 설치하여, 상기 캠 홈(216)에 결합 가능한 핀 부재(218)를 케이스(14)에 장착시켜,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부재(206)의 회전 도중에 핀 부재(218)의 트레이스부(218B)가 로크부(222)에 걸리도록 하고, 회전부재(206)를 회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206)를 통하여 후크부재(200)를 회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후크부재(200)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도중에 후크부재(200)가 회전 정지하기 때문에, 후크부재(200)의 열린 상태(후크부재(20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후크부재(200)에 코트등을 걸 때, 후크부재(200)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코트가 걸리기 쉬워진다.
그리고, 후크부재(200)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후크부재(200)를 열림 위치(돌출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트레이스부(218B)가 로크부(222)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200)는,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닫힘 위치(기준 위치)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후크부재(200)를 후크로서 이용하는 경우, 후크부재(200)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상기 후크부재(200)에 코트 등을 걸면, 후크부재(200)는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트레이스부(218B)와 로크부(222)의 걸림 상태는 해제된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200)로부터 코트를 떼어내면, 후크부재(200)는 자동적으로 닫힘 위치(기준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도 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를 열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의 스토퍼(208) 및 연장편(212)을 통하여, 회전부재(206)가 화살표 A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부재(20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만, 기어부(90)에는 댐퍼 기어(66)가 서로 맞물리고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206)는 화살표 A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이 기어부재(54)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32)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가압력의 작용 방향이 서서히 어긋나게 된다. 또한, 상기 비틀림 스프링(32)의 변곡점을 통과할 때까지는, 후크부재(200)는 폐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19(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가 회전 정지된 상태로부터, 후크부재(200)를 열림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것으로, 회전부재(206)를 화살표 A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후크부재(200)의 열림 위치에 있고, 후크부재(200)를 폐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까지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후크부재(200)에 걸었던 것을 떼어내고 나서 후크부재(200)가 천천히 돌아오게 되므로 걸었던 것을 꺼내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재(206)에 캠 홈(216)을 형성하여, 케이스(14)에 핀 부재(218)를 장착시켰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는 하지 않지만, 케이스에 캠 홈을 형성하여, 회전부재에 핀 부재를 장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후크부재의 드럼부에 캠 홈을 설치하여, 지지체에 핀 부재를 설치해도 좋고, 드럼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여, 지지체에 캠 홈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200)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도중에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222)에 걸리게 되도록 했지만,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222)에 걸리게 되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캠 홈(216)의 형상을 바꾸는 것으로 트레이스부(218B)가 로크부(222)에 걸리게 되는 타이밍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후크부재(200)를 일단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 후, 후크부재(200)가 닫힘 위치로 돌아오는 도중에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222)에 걸리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222)에 걸리는 횟수가 복수로 있어도 좋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5 실시형태는, 제4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며, 제3 실시형태와 유사한 구성이다. 또한,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10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하게 되어 있어, 후크부재(101)의 랙크부(102)에는 회전체(300)에 형성된 피니언부(106)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 회전체(104)에 하트부(302)를 가지는 캠 홈(걸림기구)(304)이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체(300)의 외주 측에는, 압압핀(306)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부재(80)의 축부(82)의 접촉부(82A)에 접촉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도 2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200)를 닫힘 위치(기준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소정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회전체(300)의 회전에 의해서, 압압핀(306)이 접촉부(82A)를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4)에는 핀 부재(218)가 지지부(218A)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캠 홈(304)에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캠 홈(304)의 형상 및 회전체(300)의 이동에 의해서, 핀 부재(218)는 지지부(218A)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또한, 하트부(302)에는 로크부(308)가 형성되어 있어, 트레이스부(218B)가 이 로크부(걸림기구)(308)에 도달하면, 상기 트레이스부(218B)는 걸리게 되어, 이른바 잠김 상태가 되어, 회전체(300)가 이동 정지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101)가 이동 정지한다.
또한, 트레이스부(218B)가 잠김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트레이스부(218B)는 캠 홈(304)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회전체(300)를 통하여 후크부재(101)가 이동 가능해진다.
도 2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01)를 닫힘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로 슬라이드시키면, 회전체(300)가 회전하여, 압압핀(306)이 축부(82A)를 압압하여 회전체(300)을 회전시킨다.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01)를 압입 위치로 슬라이드 시킨 후, 후크부재(101)로의 압압력을 해제하면, 도 24(b) 및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에 의해서, 회전체(300)를 통하여 후크부재(101)가 열림 위치(돌출 위치)로 이동한다.
회전체(300)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스부(218B)가 캠 홈(304)을 따라서 요동하여,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304)의 로크부(308)에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300)가 회전 정지하고, 후크부재(101)가 이동 정지한다. 여기서, 회전체(30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에 의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80)도 화살표 A방향으로 서서히 회전한다.
이 상태로부터, 후크부재(101)를 열림 방향으로 더 슬라이드시키면,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101)를 통하여 회전체(300)가 회전하여, 트레이스부(218B)와 캠 홈(304)의 로크부(308)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서 회전부재(80)가 원래의 위치(도 24(a) 참조)에 돌아온 상태에서는, 비틀림 스프링(32)의 가압력은 화살표 F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어, 회전체(300)에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후크부재(101)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101)는 위쪽으로 슬라이드하여 닫힘 위치로 돌아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300)에 캠 홈(304)을 형성하여, 케이스(112)에 핀 부재(218)를 장착시켰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는 하지 않지만, 케이스에 캠 홈을 형성하여, 회전체에 핀 부재를 장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후크부재에 캠 홈을 설치하여, 지지체에 핀 부재를 설치해도 좋고, 후크부재에 핀 부재를 설치하여, 지지체에 캠 홈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101)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도중에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308)에 걸리게 되도록 했지만,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308)에 걸리게 되는 타이밍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캠 홈(304)의 형상을 바꾸는 것으로 트레이스부(218B)가 로크부(308)에 걸리게 되는 타이밍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후크부재(101)를 일단 열림 위치로 이동시킨 후, 후크부재(101)가 닫힘 위치로 돌아오는 도중에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308)에 걸리도록 하여도 좋고, 트레이스부(218B)를 로크부(308)에 걸리게 되는 횟수가 복수로 있어도 좋다.
< 제6 실시형태 >
다음에, 제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6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변형 예이다. 이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동등한 부위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29 ~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31(a)는 도 27의 31A-31A선 단면도), 후크 장치(이동체의 작동기구)(320)에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지지체)(322)를 갖출 수 있어, 상기 케이스(322) 내에 후크부재(이동체)(324)가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322)의 저벽의 중앙보다 약간 상부에, 각진 형상의 돌출부(突設部;326)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어, 돌출부(326)의 중앙부에는 암나사부(3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26)는 후크 장치(320)를 설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피부착부에 설치된 각진 형상의 결합 돌기에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결합 돌기에 돌출부(326)가 결합된 상태로, 암나사부(326A)와 함께 결합 돌기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고정나사(도시 생략)가 넣어진 것으로, 피부착부에 후크 장치(320)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322)의 측벽(322A)의 각진 부분(角部)은 각이 둥글게 되어 있어, 측벽(322A)의 단면(端面)에서는, 측벽(322A)의 형상에 맞추어 케이스(322)의 주위 전체에 걸쳐 플랜지부(328)를 외측을 향하여 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22)의 긴 방향(상하 방향)의 측벽에는, 케이스(322)의 상하에 축지지구멍(330, 332)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축지지구멍(330, 332)에는 각각 샤프트(334, 336)가 고정되어 있다.
후크부재(324)의 일단(一端) 측에는, 샤프트(336)가 삽입하여 통과할 수 있는 축 구멍(338)이 관통하고 있어, 샤프트(336)가 삽입하여 통과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336)에 대해 후크부재(324)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크부재(324)는,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33(a)는 도 28의 33A-33A선 단면도), 열림 위치(돌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후크부재(324)의 윗면이 되는 측에 홈부(340)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이른바 살빼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324)의 성형 후에 생기는 표면의 깎음 등을 방지한다. 또한, 후크부재(324)에 홈부(340)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후크부재(324)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후크부재(324)를 성형하는 수지의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재(324)의 자유단측(타단측) 외면에는,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가 케이스(322) 내에 수용된 상태로, 측면에서 볼 때, 케이스(322)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324A)가 설치되어 있어, 후크부재(324)를 압압하기 위한 표적이 됨과 아울러 손가락이 닿기 쉬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재(324)의 자유단에는,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려진 후크부(342)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후크부(342)에 의복 등을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후크부재(324)의 회전 중심측(일단측)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의 일단부(一端部)가 장착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의 타단부(他端部)는, 케이스(322)의 저벽하부에 설치된 장착부(366)에 장착되어 있어,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기준 위치)에 있고, 대략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어 있다.
여기서, 후크부재(324)는, 샤프트(336)가 삽입하여 통과된 위치보다도 케이스(322)의 외측에 중심이 설치되어 있어,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샤프트(336)를 중심으로 열림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에서는, 후크부재(324)에는 후술하는 기어부재(회전부재)(344)가 접촉하여, 후크부재(324)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도 29 및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22)의 상부에는, 후크부재(324)의 후크부(342)가 수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케이스(322)의 저벽 상부에는, 고무 부재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쿠션 고무(346)가 고착되어 있다.
이 쿠션 고무(346)에는,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의 후크부(342)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어, 후크부(342)가 쿠션 고무(346)에 접촉하는 것으로, 후크부(342)의 케이스(322)의 안쪽벽으로의 충격을 방지함과 아울러, 쿠션 고무(346)의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서, 후크부재(324)가 열림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그런데, 샤프트(334)에는, 기어부재(344)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에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348)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축부(348)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 구멍(350)에 샤프트(334)가 삽입하여 통과되어 있다.
또한, 축부(348)에는, 긴 방향의 중앙부에 수용부(352)가 잘라내어져 있어, 상기 수용부(352) 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가압부재)(354)이 수용 가능해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의 코일부(354A) 내에 샤프트(334)가 삽입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는 일단부가 기어부재(344)에 접촉하여, 타단부가 케이스(322) 측에 고정되고,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를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 29 및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32(a)는 도 27의 32A-32A선 단면도), 기어부재(344)의 자유단 측에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리는 기어부(358)가 형성되어 있다. 댐퍼 기어(66)는 댐퍼 유닛(6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어, 원통 형상의 하우징(70)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70) 내에는 실리콘 오일 등의 점성 유체가 충전되어 있어, 댐퍼 기어(66)에는 정회전 및 역회전 모두, 점성 유체에 의한 점성 저항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댐퍼 기어(66)의 기어부(68)를 통하여 기어부(358)에는, 상기 점성 저항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기어부재(344)는 조용하게 회전하게 된다.
케이스(322)의 측벽(322A)의 하부에는, 측벽(322A)을 관통함과 아울러, 측벽(322A)에 댐퍼 유닛(65)을 고정하는 고정부(3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댐퍼 유닛(65)의 하우징(70)의 외주면에서는 1개의 고정편(固定片;71)이 연장하여 있어, 고정편(71)에 설치된 고정구멍(71A)에 고정핀(73)이 삽입하여 통과되어, 고정부(325)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70)의 주방향의 한 개소에서 댐퍼 유닛(65)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댐퍼 유닛(65)은 고정핀(7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고정핀(73)의 조여진 힘에 의해서, 기어부(358)와 댐퍼 기어(66)의 사이에 놀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의 회전 중심 측에는, 후크부재(324) 측으로 향한 접촉부(제1 접촉부, 규제부)(360)가 돌출하여 있어, 후크부재(324)의 홈부(340)의 저면(底面)에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부(360)의 선단부에는, 원호면(362)이 설치되어 있어,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에서는, 접촉부(360)의 원호면(362)의 정상부(頂部;362A)가 홈부(340)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다.
도 3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를 닫힘 위치(기준 위치)로부터 압압하면, 홈부(340)의 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360)의 원호면(362)의 정상부(362A)의 위치가 어긋나고, 접촉부(360)의 원호면(362)을 통하여, 기어부재(344)가 샤프트(33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기어부재(344)의 기어부(358)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66)도 회전한다.
또한,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의 기어부(358)에서는, 접촉편(제2 접촉부, 규제부)(364)이 연장되어 있다. 이 접촉편(364)은,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가 폐지된 상태로, 후크부재(324)의 일단부(회전 중심측)가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것처럼, 후크부재(324)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후크부재(324)의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34(a)는 도 28의 34A-34A선 단면도), 케이스(322)의 장착부(366)는 후크부재(324)의 일단부가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후크부재(324)가 장착부(366)에 접촉하는 것으로, 후크부재(324)는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장착부(366)의 하면에는, 도시 하지 않지만 고무 부재로 형성된 쿠션 고무가 고착되어 있다. 이 쿠션 고무는, 후크부재(324)가 개방된 상태로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쿠션 고무에 의해서 후크부재(324)의 접촉시의 충격이 흡수된다.
(후크부재의 동작 설명)
도 31(a) 및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기준위치)에서는, 후크부재(324)의 일단부(회전 중심측)에는 접촉편(364)이 접촉하여, 후크부재(324)의 타단측(자유단측)에는 접촉부(360)가 접촉하고 있다.
후크부재(324)는, 축 구멍(338)이 형성된 위치보다 케이스(322)의 외측에 중심이 설치되어 있어,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에 있고, 샤프트(336)를 중심으로 열림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지만, 접촉편(364)이 후크부재(324)에 접촉하는 것으로, 후크부재(324)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접촉부(360)가 후크부재(324)에 접촉하는 것으로, 후크부재(324)의 압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접촉부(360, 364)에 의해서, 후크부재(324)가 닫힘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기어부재(344)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의 일단부가 접촉하고 있어, 기어부재(344)를 화살표 B방향(화살표 A방향과 역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360) 및 접촉편(364)을 확실히 후크부재(324)에 접촉시켜, 후크부재(324)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한다.
다음에,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로부터, 도 31(b) 및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의 돌출부(324A)를 압입 위치(소정 위치)로 향해서 압압하면, 후크부(342)가 쿠션 고무(346)에 접촉하여 탄성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쿠션 고무(346)에는 가압력이 축적된다.
또한, 이 때,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의 일단부(후크부재(324)측)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의 타단부(케이스(322)의 장착부(366))로부터 조금 이반(離反)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에는 가압력이 조금 축적된다.
또한, 후크부재(324)가 압입 위치(소정 위치)로 이동하면, 접촉부(360)의 원호면(362)이 홈부(340)의 저면과 접촉하는 위치가 어긋나지만, 이것에 의해, 기어부재(344)가 샤프트(33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어부재(344)의 접촉편(364)이 후크부재(324)로부터 이반한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324)의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후크부재(324)는, 도 33(a) 및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어부재(344)가 회전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은 가압력(후크부재(324)를 개방시키는 방향)이 저항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기 위해, 가압력이 축적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32(a) 및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의 기어부(358)는, 댐퍼 기어(66)와 서로 맞물리고 있어, 기어부재(344)가 회전하면, 댐퍼 기어(66)에 의한 점성 저항에 의해, 기어부재(344)에는 감쇠력이 작용한다. 또한, 상기 댐퍼 기어(66)에 의한 점성 저항에 의하여, 기어부재(344)는 소정치 이상의 응력까지는 그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에 의한 복원력(가압력)보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이나 쿠션 고무(346)에 의한 복원력(가압력)이 먼저 후크부재(12)에 작용하게 된다.
즉, 후크부재(324)에는, 상기 자기 중량에 의한 회전력, 쿠션 고무(346)에 축적된 가압력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에 축적된 가압력에 의해서, 도 33(a) 및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부재(324)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한다.또한, 후크부재(324)가 개방된 상태(후크부재(324)의 열림 위치)로, 후크부(342)에는 의류 등을 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크부재(324)가, 상기 자기 중량에 의해 열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크부재(324)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 쿠션 고무(346)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343)에 의한 가압력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도 34(a)의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에는 후크부재(324)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축적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서, 도 3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가 샤프트(334) 주위를 서서히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기어부(358)를 통하여 댐퍼 기어(66)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어부재(344)에는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기어부재(344)는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도 3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의 접촉편(364)의 이동 궤적상으로는, 후크부재(324)의 일단부가 배치되어 있어, 기어부재(344)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부재(344)의 접촉편(364)이 후크부재(324)의 일단부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기어부재(344)가 더 회전하면, 기어부재(344)의 접촉편(364)을 통하여 후크부재(324)에는 샤프트(336)를 중심으로 화살표 C방향(후크부재(324)를 폐지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것이 되어, 후크부재(324)가 폐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후크부재(324)가 폐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이 때, 도 34(b) 및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재(344)도 샤프트(336) 주위를 회전한다. 이 때문에, 기어부(358)를 통하여 댐퍼 기어(66)가 회전하여, 기아 부재(344)에는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작용하여, 후크부재(324)는 조용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후크부재(324)의 닫힘 위치에서는, 후크부재(324)의 일단부에는 접촉편(364)이 접촉하여, 후크부재(324)의 타단 측에는 접촉부(360)가 접촉하고, 후크부재(324)는 이동 규제된다.
(후크부재의 작용)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부재(344)에 접촉부(360) 및 접촉편(364)을 설치하여, 후크부재(324)가 닫힘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접촉부(360) 및 접촉편(364)이 후크부재(324)에 접촉하는 것으로, 후크부재(324)가 닫힘 위치(기준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재(324)를 닫힘 위치로부터 압입 위치(소정 위치)에 압압하는 압압력을 접촉부(360)에 의해서 기어부재(344)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기어부재(344)가 회전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에는 가압력이 축적되는 것이 된다.
후크부재(324)으로의 압압력을 해제하여, 후크부재(324)가 열림 위치(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비틀림 코일 스프링(354)의 가압력에 의해서, 기어부재(344)는 회전하지만, 접촉편(364)이 후크부재(324)에 접촉하여, 상기 접촉편(364)에 의해서 기어부재(344)의 회전력을 후크부재(324)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상기 기어부재(344)를 통하여, 후크부재(324)를 자연스럽게 닫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여기서, 기어부재(344)가 회전할 때, 댐퍼 기어(66)에 의한 감쇠력이 기어부(358)를 통하여 기어부재(344)에 작용하기 때문에, 기어부재(344)는 조용히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접촉부(360)를 기어부재(344)에 설치했지만, 후크부재(324)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기어부재(344)에 전달시킬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접촉부(360)를 후크부재(324)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형태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주된 내용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체로서 후크를 이용했지만, 케이스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이동체이면 좋기 때문에, 후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9)

  1. 지지체(支持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입 위치,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회전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일단(一端)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타단(他端)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키는 조작부재
    를 가지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이동체의 작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회전부재를 통하여 이동체에 작용하는 이동체의 열림 방향으로의 회전력과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이동체에 작용하는 이동체의 닫힘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가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겹치는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이동체의 회전 중심이 겹치는 위치로부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가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체를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이동체에 밀려 그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압압부(押壓部)를 갖추고 있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기어부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에 상기 기어부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압압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 반경보다 큰 이동체의 작동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제 1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이동체에 밀려 회전하는 제 1 기어부재와,
    상기 제 1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2 기어를 회전 중심부에 갖추어, 상기 제 1 기어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 2 기어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부재의 외주부(外周部)에 제3 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에 상기 제 3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댐퍼 기어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어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 2 기어의 곡률 반경보다 큰 이동체의 작동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가, 중앙부에 비틀림부를 갖춘 비틀림 스프링이며,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 및 닫힘 위치에서 그 비틀림 스프링의 양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13.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와,
    상기 지지체에 슬라이드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된 피니언부가 맞물리는 랙크부를 갖추어, 슬라이드하고, 압입 위치, 닫힘 위치, 및 열림 위치로 슬라이드 하는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체를 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에 대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바꾸어, 회전체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 또는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가압부재에 발생시키는 조작부재,
    를 가지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이동체의 작동기구.
  15. 지지체와,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준 위치와 돌출 위치 사이의 이동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와 반대의 소정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연동하는 회전체 혹은 이동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회전체의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된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압 방향전환기구로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로의 압압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의 작용부를 연결한 가상의 선이, 회전체의 회전 중심의 반대측에 이동하는 것으로 회전체의 가압 방향을 전환,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회전체의 회전중심의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회전체의 가압 방향을 전환하는 가압 방향전환기구를 가지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회전체로부터 작용을 받는 소직경 기어부재와, 상기 소직경 기어부재와 맞물려 이동량이 소직경 기어부재보다 큰 대직경 기어부재로부터 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기어부재는, 회전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소직경 기어부재와 맞물린 소직경 기어와, 외주부에 설치된 대직경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직경 기어에 댐퍼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에 이른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가압 방향이 바뀌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열림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돌출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돌출 위치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열림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2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열림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체를 닫힘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열림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2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이동체를 기준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이동체를 걸리게 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돌출 위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체가 걸림 해제되는 걸림기구가 설치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또는 닫힘 위치로의 이동이 회전 이동인 이동체의 작동기구.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돌출 위치로의 이동 또는 기준 위치로의 이동이 회전 이동인 이동체의 작동기구.
  2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열림 위치로의 이동 또는 닫힘 위치로의 이동이 슬라이드 이동인 이동체의 작동기구.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돌출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드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3.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회전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돌출 위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회전부재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또는,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이동체의 일방에 설치된 캠 홈과 타방에 지지된 핀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이동체의 슬라이드 도중에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캠 홈에 형성된 로크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태로 이동체를 열림 위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핀 부재의 상기 로크부와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소정 위치로의 압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가압부재에 가압력을 축적시키는 회전부재를 갖추어,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으로,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체에 접촉시키고, 이동체를 상기 기준위치로 되돌리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기준 위치로 되돌린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하여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회전부재에 설치된 규제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위치로 압압하는 압압력을 상기 회전부재로 전달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회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가 돌출 위치로 이동한 후, 이동체에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이동체로 전달하는 제 2 접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체의 작동기구.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기어부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에 상기 기어부와 맞물린 댐퍼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체의 작동기구.
KR1020117009842A 2008-09-30 2009-09-30 이동체의 작동기구 KR101263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53324 2008-09-30
JPJP-P-2008-253324 2008-09-30
JP2008326568 2008-12-22
JPJP-P-2008-326568 2008-12-22
JPJP-P-2009-179904 2009-07-31
JP2009179904A JP5254151B2 (ja) 2008-09-30 2009-07-31 移動体の作動機構
PCT/JP2009/067101 WO2010038811A1 (ja) 2008-09-30 2009-09-30 移動体の作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893A KR20110074893A (ko) 2011-07-04
KR101263595B1 true KR101263595B1 (ko) 2013-05-10

Family

ID=4207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842A KR101263595B1 (ko) 2008-09-30 2009-09-30 이동체의 작동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43216B1 (ko)
JP (1) JP5254151B2 (ko)
KR (1) KR101263595B1 (ko)
CN (1) CN102164776B (ko)
WO (1) WO20100388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724B1 (ko) 2017-04-28 2018-12-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8741B2 (ja) * 2011-08-31 2015-10-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フック装置
EP2617603B1 (en) * 2012-01-19 2015-03-18 Volvo Car Corporation A fixing point assembly for vehicles
WO2013169058A1 (ko) 2012-05-10 2013-11-14 주식회사 에스씨디 냉장고용 제빙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488708B1 (ko) * 2013-10-18 2015-02-11 주식회사 비긴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장착부의 클램프장치
US9566912B2 (en) * 2014-06-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atic closing arrangement for vehicle stowage compartments
CN106032128B (zh) * 2015-03-11 2020-08-07 标致·雪铁龙汽车公司 自动式衣物挂钩系统
JP6513477B2 (ja) * 2015-05-21 2019-05-15 株式会社中尾製作所 ハンガーフック
CN104943618B (zh) * 2015-06-24 2017-10-03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顶棚衣帽挂钩
GB201514357D0 (en) * 2015-08-13 2015-09-30 Jaguar Land Rover Ltd Hook assembly
JP6718624B2 (ja) * 2017-10-20 2020-07-08 株式会社栃木屋 ハンガーフック
TWD197290S (zh) * 2018-04-09 2019-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腦主機
CN108953442A (zh) * 2018-08-15 2018-12-07 上海恩坦华汽车门系统有限公司 偏心弹簧机构
KR102650975B1 (ko) * 2018-09-12 202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JP6983742B2 (ja) * 2018-10-03 2021-12-17 株式会社ニフコ アシストグリップ
CN110126748B (zh) * 2019-05-27 2021-03-26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用的衣架及其使用方法
JP7112742B2 (ja) * 2019-09-05 2022-08-04 株式会社栃木屋 ハンガーフック
CN111106663A (zh) * 2020-01-06 2020-05-05 新昌县韵母电子有限公司 一种可定时关机的自充电遥控器
KR102419448B1 (ko) * 2020-10-27 2022-07-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버튼 후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025A (ja) 2001-09-19 2003-04-03 Piolax Inc 格納式フック装置
JP2004183736A (ja) 2002-12-02 2004-07-02 Howa Kasei Kk フック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56Y2 (ko) * 1984-10-23 1990-01-29
JP2512605Y2 (ja) * 1989-12-25 1996-10-02 マツダ株式会社 車輌用格納式フック装置
JP2592951Y2 (ja) * 1993-09-02 1999-03-31 和光化成工業株式会社 格納式フック装置
JPH0737812U (ja) * 1993-12-24 1995-07-1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小物収納装置
US6422524B1 (en) * 2001-08-13 2002-07-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tractable nonlinear garment hook
JP4293897B2 (ja) * 2003-12-19 2009-07-08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の開閉装置
JP4280199B2 (ja) * 2004-05-14 2009-06-17 株式会社ニフコ 2部材駆動装置および乗り物用遮蔽体
JP4730876B2 (ja) 2004-07-26 2011-07-20 株式会社ニフコ フック装置
JP2008029367A (ja) * 2006-07-26 2008-02-14 Howa Kasei Kk 格納式フック装置
JP4820316B2 (ja) * 2007-03-13 2011-11-24 株式会社ニフコ 回動体の回動制御装置
JP3142083U (ja) * 2008-03-19 2008-06-05 株式会社ベスト 物掛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025A (ja) 2001-09-19 2003-04-03 Piolax Inc 格納式フック装置
JP2004183736A (ja) 2002-12-02 2004-07-02 Howa Kasei Kk フック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724B1 (ko) 2017-04-28 2018-12-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68028A (ja) 2010-08-05
EP2343216A4 (en) 2012-06-13
CN102164776A (zh) 2011-08-24
WO2010038811A1 (ja) 2010-04-08
KR20110074893A (ko) 2011-07-04
JP5254151B2 (ja) 2013-08-07
EP2343216B1 (en) 2013-07-31
EP2343216A1 (en) 2011-07-13
CN102164776B (zh)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595B1 (ko) 이동체의 작동기구
JP5180831B2 (ja) ダンパー装置
JP6736572B2 (ja) 家庭用電気器具及び家庭用電気器具のヒンジ
US7127778B2 (en) Hinge
EP2971421B1 (en) Decelerated hinge for furniture
EP2536986B1 (de) Haushaltsgerät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CN102292512B (zh) 炉门打开和关闭装置
JP5680831B2 (ja) 家具の蝶番
RU2624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одки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тросика
JP6709790B2 (ja) 家具用減速ヒンジ
CN103452414A (zh) 门开关用支撑条
EP2007268B1 (en) Device for dispensing a washing agent in a washing machine, particularly a dishwasher
EP1961901A2 (en) Hinge for wings or doors
EP2730726B1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CN105625831B (zh) 闭合装置和车辆用门锁装置
JP2017519137A (ja) ヒンジ
US9777789B2 (en) Device for damping the movement of a movably mounted component
JP5823610B2 (ja) ステー
CN113710865B (zh) 用于家具的铰接门的打开和关闭的铰接件
ITRM20120055A1 (it) Dispositivo blocco-porta per un portello di un elettrodomestico.
WO2010082028A1 (en) Damped hinge assemblies
KR101805762B1 (ko) 차량용 도어체커
JP6498456B2 (ja)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EP2589736A1 (en) Damper device for furniture hinges, in particular for hinges of the toggle type, and furniture hinge, in particular a hinge of the toggle type, comprising such a dam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