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359B1 - 가스절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절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359B1
KR101260359B1 KR1020060133688A KR20060133688A KR101260359B1 KR 101260359 B1 KR101260359 B1 KR 101260359B1 KR 1020060133688 A KR1020060133688 A KR 1020060133688A KR 20060133688 A KR20060133688 A KR 20060133688A KR 101260359 B1 KR101260359 B1 KR 10126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bus
branch
main
b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050A (ko
Inventor
다카유키 가시와
료이치 시노하라
다케루 야마모토
요시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7006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의 사고발생시에 있어서의 해체 점검작업을 행하는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설치면적의 축소화를 가능하게 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모선(1, 2) 사이에 접속되는 3대의 차단기(3∼5) 중, 인접하는 2대의 차단기(3, 4) 사이에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통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의 위쪽부에 전압의 균형을 도모하여 절연 도출방향을 교차시킨 분기모선(14, 16)을 배치하고, 주모선(1, 2)의 축방향에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여도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과 분기모선(14, 16)의 배치를 공용함으로써 차단기 병치방향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 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대응하는 단선 결선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X-X선을 따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단상 결선도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주모선의 사이에 3대의 차단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복수의 다이어미터(diameter)를 구비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1/2 차단기방식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diameter)는, 세 개의 상(phase) U, V, W에 대해 세 개의 차단 유닛 셋트(circuit breaker set)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상기 차단 유닛 셋트(circuit breaker set)는 세 개의 차단 유닛(circuit breaker)를 포함하고, 각 상(phase)의 상기 차단 유닛(circuit breaker)은 직렬로 연력된다. 각각의 차단 유닛(circuit breaker)들은 차단 유닛(circuit breaker)과 상기 차단 유닛을 샌드위칭하는 2 개의 절연기(disconnector)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SF6가스 등의 절연성 가스를 충전하여 접지한 밀폐용기 내에 고전압 충전부를 절연 배치하여 구성한 차단기, 단로기, 모선 등으로 이루어지고,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설치면적을 대폭으로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중요계통에서는 1·1/2 차단기방식의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 쌍의 주모선 사이에 양쪽에 각각 단로기를 접속한 3대의 차단기를 접속하고, 또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변류기나 접지개폐기 등이 접속되고, 단로기와 단로기 사이에 분기모선을 접속하며, 또 단로기와 단로기 사이에 분기모선을 접속하고, 분기모선의 끝부를 케이블 헤드나 부싱에 의하여 절연 도출하여 하나의 다이어미터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는 주모선 사이에는 다른 다이어미터도 구성되고, 다이어미터에서는 분기모선이 주모선측에, 또 분기모선이 주모선측으로 도출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이 다이어미터에서는 분기모선이 주모선측으로, 또 분기모선이 주모선측으로 도출하여 부하의 균형을 도모하고 있다.
이 단선 결선도에 의거하는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일본국 특개평11-355923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선 결선도에 대응하도록 주모선을 소정거리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 주모선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각각 양쪽에 단로기를 가지는 3대의 차단기를 배치하고, 각 차단기의 양쪽에 접속한 단로기 사이에 분기모선 및 분기모선을 접속하고 있었다. 다이어미터와 함께 분기모선 및 분기모선을 각각 동일방향으로 도출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분기모선의 부하가 집중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은, 한쪽의 다이어미터에서는 분기모선 및 분기모선을 각각 상반하는 방향으로 도출하고, 다른 다이어미터에서는 분기모선 및 분기모선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하고 있는 예도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분기모선 및 분기모선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출하는 다이어미터를 가지는 경우, 한 쌍의 주모선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3대의 차단기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모선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큰 설치면적을 필요로 한다. 또한 다이어미터 사이에 분기모선이 배치되기 때문에 주모선의 축방향에도 큰 설치면적을 필요로 한다.
또 각 차단기의 사고발생시에 있어서의 해체나 점검작업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아, 이것을 실현하려고 하여 작업 공간을 확보하면 더욱 큰 설치면적을 가지는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되어 버린다. 따라서 해체 수리해야 할 차단기는, 주모선을 해체한 후에 위쪽으로 끌어 올려 반송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작업상 큰 문제가 염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기의 사고발생시에 있어서의 해체 점검작업을 행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설치면적의 축소화를 가능하게 한 가스절연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소정거리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주모선(1,2)과,
상기 주모선의 길이방향과 대략 병행으로 하나의 차단기(3-5)와 그것을 사이에 두고 직렬에 배치된 2개의 단로기(6-11)에 의하여 구성된 차단유닛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 복수의 다이어미터(A, B)와,
인접하는 다른 차단유닛의 단로기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용 모선(28)과,
가스절연 개폐기의 끝부에 위치하는 단로기(6, 11)와 보조모선(12)을 접속하는 접속용 모선(30, 31)으로 구성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서,
상기 접속용 모선(28, 30)과 분기모선(14-17)의 접속부는 상기 3개의 차단 유닛의 사이에 2개 형성되고, 제 1 접속부로부터는 상기 분기모선이 상기 주모선측으로 도출되고, 제 2 접속부로부터는 상기 다이어미터를 타고 넘어 상기 도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주모선측으로 도출되어 있고,
상기 접속용 모선(28, 30)의 축보다 상기 차단기의 밀폐용기의 축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용 모선과 대략 동일축상에 상기 단로기를 배치하고, 상기 차단기의 밀폐용기와 단로기의 밀폐용기를 접속하여 상기 제 2 접속부의 아래쪽에 적어도 하나의 작업 공간(S1)이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 공간(S1)은, 인접하는 차단기의 밀폐용기의 축방향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다이어미터의 접속용 모선의 끝부는 보조모선에 의하여 상기 주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공간(S1)에 인접하는 2개의 차단기를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반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평면도에 대응하도록 나타낸 단선 결선도이다.
주모선(1, 2)은 소정거리를 두고 대략 병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들 주모선(1, 2) 사이에 이루어진 공간에 2개의 다이어미터(A, B)를 구성하고 있다. 주모선(1)에 가까운 쪽의 다이어미터(A)는, 주모선(1)과 대략 평행한 중심선을 지나는 가상 수직평면 위에 3대의 차단기(3, 4, 5)를 소정거리를 두면서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차단기(3)의 한쪽에 접속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6)는 주모선(1, 2)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한 보조모선(12)에 접속하고, 차단기(3)의 다른쪽에 접속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7)는, 차단기(4)의 한쪽에 접속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8)에 접속하고 있다.
차단기(4)의 다른쪽에 접속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9)는 차단기(5)의 한쪽에 접속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10)에 접속되고, 차단기(5)의 다른쪽에 접속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11)는, 주모선(1, 2)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주모선(2)에 접속한 보조모선(13)에 접속하고 있다. 다이어미터(B)도 동일구성이고, 상기한 보조모선(12)과 보조모선(13)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주모선(1, 2)과 대략 평행한 중심선을 지나는 가상 수직평면 위에 3대의 차단기(3, 4, 5)를 마찬가지로 소정거리를 두면서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다이어미터(A)를 구성하는 차단기(3)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7)와 차단기(4)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8) 사이에는 분기모선(14)이 접속되어 주모선(2)으로 도출되고, 차단기(4)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9)와 차단기(5)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10) 사이에는 분기모선(15)이 접속되어 주모선(1)측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 다이어미터(B)를 구성하는 차단기(3)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7)와 차단기(4)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8) 사이에는 분기모선(16)이 접속되어 주모선(1)측으로 도출되고, 차단기(4)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9)와 차단기(5)의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10) 사이에는 분기모선(16)이 접속되어 주모선(2)측으로 도출되어 있다.
다이어미터(A)의 분기모선(14)과 분기모선(15)의 도출방향은 역방향이고, 또 다이어미터(B)의 분기모선(16)과 분기모선(17)의 도출방향은 역방향이고, 또한 다이어미터(A)의 분기모선(14) 및 분기모선(15)과, 다이어미터(B)의 분기모선(16) 및 분기모선(17)의 도출방향은 각각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부하의 균형을 도모하고 있다.
도 3은, 다이어미터(A)에서의 1상분만을 나타내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다.
3대의 차단기(3∼5)는, 각각 원통형상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8∼20) 내에 구 성되고, 주모선(1)과 대략 평행한 동일 축선 위에 각 차단기용 밀폐용기(18∼20)의 중심축선을 맞추어서 배치하고, 각각 가대(21) 위에 지지하고 있다. 각 차단기(3∼5)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8∼20)는, 그 양쪽 끝부에서 위쪽부로 분기한 하나의 분기부를 가지고, 이 분기부에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6∼l1)를 각각 구성한 대략 수평한 단로기용 밀폐용기(22∼27)를 접속하고 있다.
차단기(3)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8)와, 이것에 인접하는 차단기(4)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9)와의 사이에는, 각각의 차단기(3, 4)를 교대로 해체 점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고, 이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로기용 밀폐용기(23)와 단로기용 밀폐용기(24) 사이는 동일 축선 위에 배치한 접속용 모선(28)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차단기(4)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9)와, 이것에 인접하는 차단기(5)의 차단기용 밀폐용기(20)의 사이에는, 차단기(5)의 해체 점검에 이용할 수 있는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S1, S2)을 확보하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로기용 밀폐용기(25)와 단로기용 밀폐용기(26) 사이는 동일 축선 위에 배치한 접속용 모선(29)에 의하여 접속하고 있다. 작업공간(S1)은 인접하는 2대의 차단기의 해체 점검작업, 반출을 공용하여 행할 수 있도록, 차단기의 밀폐용 축방향 길이 이상의 공간으로 한다. 또한 다른 공간(S2)은, 작업공간이 될 수 있으나, 해체, 반출 등을 위한 작업공간이 아니어도 좋다. 기본적으로 이 차단기에 대해서는 외부와의 관계에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S2에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6)의 단로기용 밀폐용기(22)와 보조모선(12) 사이도 접속용 모선(30)에 의하여 접속하고, 또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11)의 단로기용 밀폐용기(27)와 보조 모선(13) 사이도 접속용 모선(31)에 의하여 접속하고, 이들 접속용 모선(30, 31)도 상기한 접속용 모선(28, 29)과 대략 동일 중심축선 위에 배치하고 있다. 뒤에서 설명하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기(3∼5)를 중심으로 하는 구성은, 주모선(1)과 대략 평행한 중심선을 지나는 가상 수직평면 위에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면은 1상분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로는 3상분이 병치되기 때문에, 각 상은 주모선(1)과 대략 평행한 중심선을 지나는 3개의 가상 수직평면 위에 각각 구성되어 있게 된다. 다이어미터(B)도 도 3에 나타낸 다이어미터(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그 3상분이 병치되어 있다.
차단기(3)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8)와, 차단기(4)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9) 사이에는 차단기(3, 4)를 교대로 해체 점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이 확보되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에 대응하여 배치한 접속용 모선(28)은, 차단기(3∼5)의 중심축선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중심축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용 모선(28)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접속용 모선(28)의 하부에 해체 점검작업용의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차단기(4)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9)와, 차단기(5)의 차단기용 밀폐용기(20) 사이에도, 차단기(5)를 해체 점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이 확보되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에 대응하여 배치한 접속용 모선(29)은, 차단기(3∼5)의 중심축선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중심축선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용 모선(29)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접 속용 모선(29)의 하부에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차단기(5)는, 접속용 모선(29)의 하부에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사용하여 해체 점검작업을 행하나, 차단기(5)에서의 접속용 모선(31)의 하부를 사용하여 새로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하면, 차단기(4, 5) 사이를 더욱 근접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차단기(4)의 차단기용 밀폐용기(19)와, 차단기(5)의 차단기용 밀폐용기(20) 사이에 차단기(4, 5)를 교대로 해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차단기(3)는 접속용 모선(30)의 하부를 사용하여 전용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3대의 차단기(3∼5)를 사용하는 1·1/2 차단기방식에서는, 3대의 차단기(3∼5) 중 임의의 인접하는 2대 사이에 공통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면 좋다.
이 차단기(3∼5)의 해체 점검작업용에 필요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의 위쪽부에 분기모선(14, 15)을 배치하고 있다. 도시한 경우, 인접하는 2대의 차단기(3, 4) 사이에 형성한 공통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의 위쪽부에 분기모선(14)을 배치하고, 차단기(5)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의 위쪽부에 분기모선(15)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주모선(1, 2)의 축방향에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여도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과 분기모선(14, 15)의 배치를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차단기 병치방향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의 결선도에 대응하여 2개의 다이어미터(A, B)를 가지고 구성한 경우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 다이어미터(A)와 다이어미터(B)는, 주모선(1, 2)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을 병치방향으로 함과 동시에 각각 3상분의 3대의 차단기(3∼5)를 주모선(1, 2)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다이어미터(A, B)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대로 차단기(3, 4)를 해체 점검하기 위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이 집중적으로 형성되고, 또 다이어미터(A, B)의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기(5)를 해체 점검하기 위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이 집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단기(3, 4) 사이를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에는 주모선(1, 2)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기모선(14, 16)을 배치하고, 또 차단기(4, 5) 사이를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에는 주모선(1, 2)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기모선(15, 17)을 각각 배치하고 있다. 분기모선(14)은 주모선(2)측으로, 분기모선(16)은 주모선(1)측으로, 또 분기모선(15)은 주모선(1)측으로, 또 분기모선(17)은 주모선(2)측으로 각각 도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다이어미터(A, B)의 각각 3상분의 차단기(3)가 병치되고, 다이어미터(A)의 차단기(3)의 상부에 접속한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7)의 밀폐용기(23)에는 각 차단기(3)의 상부에서 주모선(1, 2)을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분기모선(14)이 접속되어 있다. 이 분기모선(14)의 도중에는 도 2의 단선 결선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로기(32)를 거 쳐 계기용 변압기(VT)(33) 등이 접속되어 있으나, 회로구성에 의하여 이들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차단기(3∼5)의 해체 점검용으로 형성한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에 분기모선(14∼17)을 배치하고 있다. 도시한 경우, 인접하는 2대의 차단기(3, 4) 사이에 형성한 공통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에 3상분의 분기모선(14, 16)을 배치하고, 차단기(5)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에 3상분의 분기모선(15, 17)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여도,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과 분기모선(14∼17)의 배치를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단기 병치방향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특히, 각 차단기(3∼5) 사이에는 그것들의 해체 점검을 위하여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은 필수의 공간이고, 또한 이 해체검사 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동일부분의 위쪽부에 분기모선(14, 16)을 배치하고 있다. 즉, 인접하는 2대의 차단기(3, 4) 사이에 형성한 공통의 해체검사 작업용 공간을 더욱 활용하여 동일부분의 위쪽부에 전압의 균형을 도모하여 절연 도출방향을 교차함과 동시에,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접속도체(28)에 접속한 분기모선(14, 16)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여도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과 분기모선(14, 16)의 배치를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지 해체 점검작업용으로서의 공간을 확보한 경우에 비하여 차단기 병치방향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 1·1/2 차단기방식에서는 3대의 차단기(3∼5)를 대략 동일한 중심축선 위에 배치하기 때문에, 이 축방향에 어느 정도 설치면적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의 경우, 주모선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중심축선 위에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고, 주모선의 중심축선방향으로 3상분 또는 복수의 다이어미터를 배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주모선의 브리징(bridging)방향으로도 축방향으로도 큰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주모선의 축방향으로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고, 주모선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3상분 또는 복수의 다이어미터를 배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특히 주모선의 대향 방향을 축소할 수 있어, 설치면적이 작은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 도 1에 나타낸 분기모선(14, 17)은 각 케이블 헤드를 거쳐 각각 절연 도출되고, 그후 각 케이블에 접속되고, 한편 분기모선(15, 16)은 각 부싱을 거쳐 절연 도출되고, 그후 예를 들면 각 송전선에 접속된다. 케이블측은 그 피복에 의하여 절연이 유지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각 부싱측은 비교적 큰 기중 절연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접속용 모선(28, 29)과 분기모선(14∼17)의 접속위치는, 각 부싱 사이의 기중 절연거리를 고려하면서 접속용 모선(28, 29)의 축방향의 다양한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기모선(14)과 분기모선(16)을 주모선(1, 2)의 축방향위치를 교체하면, 분기모선(16)에 접속하는 3상분의 부싱과, 분기모선(15)에 접속하는 3상분의 부싱과의 사이에 충분한 절연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7)와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8)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용 모선(28)의 축 길이는, 분기모선(14)과 분기모선(16)과의 배치에 의하여 대략 결정되고,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이 약간 커져 있으나, 분기모선(14, 16) 중 어느 한쪽을 접속용 모선(28)의 위쪽에, 또 어느 다른 한쪽을 접속용 모선(28)의 아래쪽에 배치하고, 분기모선(16)의 3상분은 상기한 바와 같이 부싱 사이의 기중 절연거리를 고려하여 미리 도시한 것보다 큰 상간 간격을 확보하도록 하면, 분기모선(14, 16)을 주모선(1, 2)의 축방향에서 어긋나게 함과 동시에,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필요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에 맞추어서 접속용 모선(28)의 축 길이를 단축하면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접속용 모선(28)의 아래쪽에 배치한 분기모선(14) 또는 분기모선(16)은, 차단기(3)와 차단기(4)의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높이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생각에서 분기모선(14, 16)의 양쪽을 차단기(3)와 차단기(4)의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높이에서 접속용 모선(28)의 아래쪽에 배치하거나, 3상 사이를 다소 넓힌 분기모선(16)의 각 상 사이에 분기모선(14)의 각 상이 얽히도록 하여 분기모선(14, 16)을 주모선(1, 2)의 축방향에서어긋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분기모선(15, 17)을 동일한 조건으로 접속용 모선(29)의 상하로 분산 배치하거나, 그 아래쪽에 배치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차단기(5)의 해체 점검작업은 보조모선(13)측으로부터 행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차단기(4, 5) 사이에 반드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확보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접속용 모선(29)의 하부의 공간을 분기모선(15, 17)의 배치를 위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평면도에 대응하도록 나타낸 단선 결선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의 단선 결선도에 대하여 다이어미터(C, D)를 더 추가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것과의 동등물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주모선(1, 2)은 소정의 대향거리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이들 주모선(1, 2)의 축방향에 일부를 나타낸 다이어미터(A)의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고, 3대의 차단기(3∼5)의 한쪽 끝측은 보조모선(12)에 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하고, 이것과 병치하여 다이어미터(B)의 3대의 차단기(3∼5)도 동일하게 배치하고 있다.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이어미터(A)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접속한 분기모선(14)은 주모선(1)측으로 도출되고, 다이어미터(B)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접속한 분기모선(16)은 주모선(1)측으로 도출하고 있다.
새롭게 추가한 다이어미터(C)는, 다이어미터(A)의 차단기(3)에 인접하도록 동일방향으로 나열하여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고, 그것들의 한쪽 끝을 보조모선(34)에 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하고, 그것들의 다른쪽 끝을 보조모선(35)에 의하여 주모선(2)에 접속하고 있다. 또 새롭게 추가한 다이어미터(C)는, 다이어미터(C)와 병치하여 3대의 차단기(3∼5)를 동일하게 배치하고, 그것들의 한쪽 끝을 보조모선(34)에 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하고, 그것들의 다른쪽 끝을 보조모선(35)에 의하여 주모선(2)에 접속하고 있다.
다이어미터(C)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접속한 분기모선(36)은 주모선(1)측으로 도출하고, 또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에 접속한 분기모선(37)은 주모선(1)측으로 도출하고 있다. 다이어미터(D)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접속한 분기모선(38)은 주모선(1)측으로 도출되고, 또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에 접속한 분기모선(39)은 주모선(2)측으로 도출하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단선 결선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주모선(1, 2)은 소정의 대향거리를 사이를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주모선(1, 2) 사이에 도 1에 나타낸 다이어미터(A)와 다이어미터(B)를 구성하고, 그 끝부를 보조모선(12)에 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는, 각각을 위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보조모선(12)의 하부는 차단기(3)를 위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으로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동일부에 새롭게 추가한 다이어미터(C)와 다이어미터(D)의 한쪽 끝을 주모선(2)에 접속하는 보조모선(35)을 배치하고 있다.
보조모선(12) 및 보조모선(35)을 상하에 배치함으로써,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축소화하고 있다.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이용하여, 이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높이위치에 분기모선(14, 16)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한층 소형으로 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하고 있다.
새롭게 추가한 다이어미터(C)는, 다이어미터(A)의 각 차단기(3∼5)와 대략 동일 축선 위에 3상분의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고, 그것들의 한쪽 끝을 보조모선(35)에 의하여 주모선(2)에 접속하고, 그것들의 다른쪽 끝을 보조모선(34)에 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하고 있다. 또 새롭게 추가한 다이어미터(D)는, 다이어미터(C)와 병치하여 3상분의 3대의 차단기(3∼5)를 동일하게 배치하고, 그것들의 한쪽 끝을 보조모선(35)에 의하여 주모선(2)에 접속하고, 그것들의 다른쪽 끝을 보조모선(34)에 의하여 주모선(1)에 접속하고 있다.
다이어미터(C) 및 다이어미터(D)는,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에 차단기(5)를 위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확보하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에서 차단기(5)의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높이 위치에 분기모선(37)과 분기모선(39)을 설치하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도출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의 다이어미터(A, B)의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 다이어미터(C, D)에서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는, 차단기(3, 4)를 위한 집중적인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하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에서 차단기(3, 4)의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높이 위치에 분기모선(36)과 분기모선(38)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한 실시형태에서의 다이어미터(A, B)의 차단기(3, 4)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고, 도출방향을 제외하면 분기모선(14, 16)의 구성도 대략 동일하다. 여기서도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이용하여 분기모선(36) 및 분기모선(38)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축소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주모선(1, 2)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3대의 차단기(3∼5)를 배치하여 복수의 다이어미터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를 주모선(1, 2)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병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모선(1, 2) 사이의 폭방향으로 작은 설치면적의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차단기(3, 4) 사이에 양자의 공통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확보하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의 해체 점검작업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전압의 균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반되는 방향으로는 되지 않는 분기모선(14, 16) 또는 분기모선(36, 38)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활용하면서 분기모선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도 축소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주모선(1, 2)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2개의 다이어미터(A, B)를 병치하고, 그것 이상의 다이어미터(C, D)가 설치되는 경우는,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모선(1, 2)의 축방향에서의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과 분기모선(14, 16), 또는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형성한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과 분기모선(36, 38)의 밸런스가 취해져, 양자를 효과적으로 동일부에 구성할 수 있고,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축소화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즉, 주모선(1, 2)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는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다이어미터를 병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각각 3개의 분기모선을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에 배치하게 되기 때문에, 동일부에서의 해체 점검작업 용 공간과 분기모선(36, 38)의 밸런스가 무너져, 3개의 분기모선의 도출을 위하여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결국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약간 큰 가스절연 개폐장치가 되어 버린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로부터 도출하는 분기모선(15, 17) 또는 분기모선(37, 39)은 각각 상반되는 방향으로 도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의 공간은 작아져 있으나, 분기모선(15, 17) 또는 분기모선(37, 39)이 전압의 균등을 도모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교차하도록 도출하는 경우, 이 부분의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를, 차단기(4, 5)를 위한 공통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으로 하면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3대의 차단기(3∼5)를 등간격이 아니라, 차단기(4)와 차단기(5) 사이보다 차단기(3)와 차단기(4) 사이를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크게 한 부분에 양자 겸용의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을 이용하여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분기모선(14, 16) 또는 분기모선(36, 38)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3대의 차단기(3∼5)의 배치방향, 즉 주모선(1, 2)의 축방향으로 축소화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서는, 각 차단기(3∼5)의 양쪽에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6∼11)를 사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접지 개폐기부착 단로기(6∼11)를 접지 개폐기와 단로기로 구성한 것 등, 그 밖의 구성의 가스절연 개폐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주모선 및 접속용 모선보다 낮은 위치에 차단기를 배치하고, 차단기의 밀폐용기의 양쪽 끝에 접속되는 단로기를 접속용 모선, 주모선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함으로써, 분기모선과 접속용 모선의 제 2 접속부의 분기모선은, 제 1 접속부에서의 분기모선과는 반대방향으로, 다른 다이어미터의 접속용 모선과 교차하도록 도출하여 주모선과 접속된다. 그리고 그 분기모선 및 접속용 모선의 아래쪽에, 작업용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차단기의 밀폐용기의 길이 이상의 크기)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유닛의 3개의 차단기 중의 2개의 차단기의 해체작업 및 반출작업을, 주모선을 해체하거나 위쪽으로 끌어 올림 등을 하지 않고 상기 작업공간을 공용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공간에 인접하지 않는 차단기는, 그대로 외부로 인출하여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이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를 분기모선 배치를 위하여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주모선의 축방향으로 축소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또, 해체 점검작업용 공간의 위쪽부에 배치한 양 분기모선을, 한쪽의 주모선측에 배치한 다이어미터에서는 다른쪽의 주모선측으로, 또 다른쪽의 주모선측에 배치한 다이어미터에서는 한쪽의 주모선측으로 각각 도출하였기 때문에, 각 분기모선을 부하의 균형을 도모하도록 다른 방향으로 도출하여도 주모선의 축방향으로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주모선과,
    상기 주모선의 길이방향과 병행으로, 하나의 차단기와 그것을 사이에 두고 직렬로 배치된 2개의 단로기에 의하여 구성된 3개의 차단유닛을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 복수의 다이어미터와,
    인접하는 다른 차단유닛의 단로기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용 모선과,
    가스절연 개폐기의 끝부에 위치하는 단로기와 보조모선을 접속하는 접속용 모선으로 구성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모선과 분기모선의 접속부는, 상기 3개의 차단유닛의 사이에 2개 형성되어, 제 1 접속부로부터는 상기 분기모선이 상기 주모선측으로 도출되고, 제 2 접속부로부터는 상기 다이어미터를 타고 넘어 상기 도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상기 주모선측으로 도출되어 있고,
    상기 접속용 모선의 축보다 상기 차단기의 밀폐용기의 축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용 모선과 동일축 위에 상기 단로기를 배치하고, 상기 차단기의 밀폐용기와 단로기의 밀폐용기를 접속하여 상기 제 2 접속부의 아래쪽에 적어도 하나의 작업 공간이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 공간은, 인접하는 차단기의 밀폐용기의 축방향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이어미터의 접속용 모선의 끝부는, 보조모선에 의하여 상기 주모선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공간에 인접하는 2개의 차단기를, 상기 작업 공간 내에서 반출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20060133688A 2005-12-27 2006-12-26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260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4304 2005-12-27
JP2005374304 200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50A KR20070069050A (ko) 2007-07-02
KR101260359B1 true KR101260359B1 (ko) 2013-05-07

Family

ID=3822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688A KR101260359B1 (ko) 2005-12-27 2006-12-26 가스절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14827B2 (ko)
KR (1) KR101260359B1 (ko)
CN (1) CN1010137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887B2 (ja) * 2005-03-22 2010-10-13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US8089020B2 (en) * 2006-12-05 2012-01-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insulated switching apparatus
EP3048682B1 (en) * 2007-05-11 2018-08-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 insulated switchgear
WO2009084111A1 (ja) * 2007-12-28 2009-07-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ガス絶縁開閉装置
CN102576987B (zh) * 2009-10-05 2015-04-08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绝缘开关装置
JP2013005549A (ja) * 2011-06-15 2013-01-07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FR3002701B1 (fr) * 2013-02-25 2015-04-10 Alstom Technology Ltd Procede d'extraction d'une enveloppe d'un poste a isolation gazeuse sous enveloppe metallique (psem)
CN103633567B (zh) * 2013-11-22 2016-01-20 国家电网公司 Gis配电装置的线路布置结构
CN104076207A (zh) * 2014-06-26 2014-10-01 天津市松正电动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绝缘检测电路
EP3627641B1 (en) * 2017-05-19 2021-04-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insulated switchgear
CN110729635B (zh) * 2018-07-17 2022-04-19 河南平芝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516A (ja) 1997-11-04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2186124A (ja) 2000-12-11 2002-06-28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009320A (ja) 2001-06-20 2003-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189430A (ja) 2001-12-18 2003-07-04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05A (ja) * 1983-06-15 1985-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S6212309A (ja) * 1985-07-08 1987-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62513A (ja) * 1992-08-06 199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密閉形開閉装置
JPH0818218A (ja) * 1994-01-06 1996-01-19 Sun Microsyst Inc チップパッケージと基板との間隔を維持する装置及び方法
JP3206305B2 (ja) * 1994-07-05 2001-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3136932B2 (ja) * 1994-12-28 2001-0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1355923A (ja) 1998-06-08 1999-12-24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TW465158B (en) * 1998-07-31 2001-11-21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KR100428556B1 (ko) * 2000-03-13 2004-04-2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스절연개폐장치
JP4099992B2 (ja) * 2000-03-31 2008-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111222A (ja) * 2001-09-27 2003-04-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US6556428B1 (en) * 2002-01-14 2003-04-29 Hitachi, Ltd. Gas insulated switchgear
JP2003230208A (ja) * 2002-01-31 2003-08-15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JP4275365B2 (ja) * 2002-08-06 2009-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JP4559887B2 (ja) * 2005-03-22 2010-10-13 株式会社東芝 ガス絶縁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516A (ja) 1997-11-04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2186124A (ja) 2000-12-11 2002-06-28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009320A (ja) 2001-06-20 2003-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189430A (ja) 2001-12-18 2003-07-04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3799A (zh) 2007-08-08
CN101013799B (zh) 2010-08-11
KR20070069050A (ko) 2007-07-02
US7414827B2 (en) 2008-08-19
US20070153449A1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35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840956B1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US8000087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JPH011851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6624372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US8228665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US4745522A (en) Gas-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JP468639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4836770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101752798B (zh) 金属封闭的高压配电站
US8605412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JP5547694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548077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による母線構成
WO2018109915A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5546425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670748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6915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1919332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031241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16950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30804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9121413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126242B2 (ko)
JPH079377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08002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