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659B1 -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659B1
KR101253659B1 KR1020127020299A KR20127020299A KR101253659B1 KR 101253659 B1 KR101253659 B1 KR 101253659B1 KR 1020127020299 A KR1020127020299 A KR 1020127020299A KR 20127020299 A KR20127020299 A KR 20127020299A KR 101253659 B1 KR101253659 B1 KR 10125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leaning
frame
unit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249A (ko
Inventor
히데키 마츠모토
마사시 오타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32
    • B08B1/50
    • B08B1/52
    • B08B1/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6/00Cleaning by electro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6Cleaning or polishing of the conductive pattern

Abstract

[과제] 컴팩트한 구조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회수 유닛(17)은 클리닝 브러시(6) 및 금속 롤러(7)에 대하여 더스트 회수 상자(76, 77)를 각각 구비한다. 클리닝 블레이드(9)는 볼트(78)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79)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 유닛에 회수 유닛(17)을 넣을 때는, 회수 유닛(17)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레임 유닛(11)의 측판부(14B)의 위치 결정부(14Bbb)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회수 유닛(17)을 이동시킬 때에, 고정 볼트(85)를 풀어, 고정 와셔(86)의 직선부(86a)가 연직방향이 되도록 하고, 볼트(85)를 죄어 고정한다. 한편, 회수 유닛(17)을 고정할 때는, 고정 볼트(85)를 풀어, 고정 와셔(86)의 직선부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하고, 볼트를 죄어 고정한다.

Description

클리닝 장치{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피클리닝재의 표면에 정전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이물(異物)(진애 등)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피클리닝재가, 예를 들면, 유리 기판, 프린트 기판(PCB, PCBA 등), 필름, 시트, 플라스틱판 등의 비교적 표면 평활성이 높은 것일 경우에 적합하다.
종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유리 기판이나 프린트 기판, 첩합 필름 등의 얇은 피클리닝재에 대해 표면상에 부착되는 진애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로서는 점착 롤러를 사용하여, 그것의 점착력을 이용해서 상기 이물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점착 롤러에서는, 미소한 이물(예를 들면, 평균 직경 1㎛ 이하의 이물)을 제거할 수 없고, 또한 점착 롤러의 표면(점착층)에 일단 부착된 진애 등의 이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여, 메인티넌스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피클리닝재에 점착 롤러를 어느 정도 압력을 가하여 눌러, 이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피클리닝재가, 예를 들면, 필름이면, 상기 이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필름이 롤러 표면에 붙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출원인은 전자 사진 기술을 응용하여, 피클리닝재로부터 진애 등의 이물을 제거할 때에, 박리 대전(혹은 접촉 대전)에 의해 클리닝 롤러의 표면에 상기 이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할 수 있는 전하를 대전시켜 두면,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상기 이물을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별도 특허출원을 하였다(일본 특원 2008-271797 참조).
그러한 클리닝 롤러에서는, 표면에 상기 이물이 차례차례 축적되어 가므로, 그 표면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메인티넌스 작업을 정기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출원인은, 메인티넌스 작업을 정기적으로 행하지 않고, 클리닝 롤러에 의한 이물의 흡착 제거 동작을, 장기에 걸쳐 안정하게 계속할 수 있도록, 클리닝 롤러에 대하여 전사 롤러나 대전 제어 롤러를 설치한 클리닝 시스템도 앞에 출원했다(일본 특원 2009-069972호, 일본 특원 2009-138107호, 일본 특원 2009-138108호 참조).
상기 특허출원한 것에서는, 전사 롤러에 흡착되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고, 전사 롤러의 기능을 장기에 걸쳐 유지시키기 위하여, 클리닝 브러시, 금속 롤러, 클리닝 블레이드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개 2008-168188호 공보(단락 0014)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와 같이, 클리닝 롤러, 전사 롤러 및 대전 제어 롤러에 더하여, 클리닝 브러시, 금속 롤러, 클리닝 블레이드 등을 설치하므로, 이 클리닝 브러시, 금속 롤러, 클리닝 블레이드 등을 가능한 한 컴팩트하게 정리하고 싶다고 하는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 피클리닝재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클리닝 롤러와, 이 클리닝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전사 롤러와, 이 전사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대전 제어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대전 제어 롤러에 대전되는 전하에 의해, 상기 피클리닝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이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전하를 클리닝 롤러 및 전사 롤러에 대하여 변경하여, 상기 피클리닝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진애 등의 이물을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정전기력을 이용해서 제거하여, 상기 클리닝 롤러에 부착된 상기 이물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의해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로서, 상기 클리닝 롤러, 전사 롤러 및 대전 제어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전사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여 회수하기 위한 회수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 롤러상의 이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브러시와, 이 클리닝 브러시로부터 상기 이물을 제거하는 금속 롤러와, 이 금속 롤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이물을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가 회수 프레임에 일정한 위치 관계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클리닝 브러시, 상기 금속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전사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 회수하기 위한 회수 유닛으로서 일체 구조로 함으로써 컴팩트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고, 프레임 유닛으로의 회수 유닛의 착탈의 용이화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2와 같이,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클리닝 브러시 및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로 긁어내어진 이물을 수납하는 이물 수납 상자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 프레임은, 좌우의 측판부 사이에 상기 클리닝 브러시 및 상기 금속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금속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브러시는, 그것들의 회전축의 축단부에, 상기 회수 프레임의 측판부 외측으로 노출하는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회수 프레임의 측판부의 외측면측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닛 프레임으로의 회수 유닛의 착탈 시에, 상기 전선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4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회수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걸어 고정할 수 있는(係止) 고정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와셔는 상기 회수 유닛의 프레임 유닛으로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회수 유닛의 프레임 유닛으로의 착탈을 금지하고 상기 회수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걸어 고정하는 제 2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회수 유닛의 프레임 유닛으로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아, 회수 유닛을 프레임 유닛에 확실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제 5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롤러,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가 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롤러 유닛으로 되고, 이 롤러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클리닝 롤러,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의 유닛화에 의해 컴팩트화가 도모되어, 프레임 유닛으로의 착탈의 용이화도 도모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롤러,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는 상기 롤러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전사 롤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조립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전사 롤러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롤러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클리닝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를 정밀도 좋게 조립할 수 있다.
제 7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롤러는 제 1 슬라이드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대전 제어 롤러는 제 2 슬라이드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러 프레임에는, 상기 전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블록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블록을,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를 상기 전사 롤러를 누르는 방향으로 가압(付勢)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전사 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롤러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클리닝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의, 정밀도 좋은 조립을 실현할 수 있다.
제 8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 프레임은 좌우의 측판부 사이에 상기 클리닝 롤러,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금속 대전 제어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좌우의 측판부에는 테이퍼 축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 축의 선단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탄성 가압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롤러 프레임의 좌우 측판부에는 상기 테이퍼 축이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롤러 유닛의 착탈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한 조립을 실현할 수 있다.
제 9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유닛과 상기 롤러 프레임 사이에, 상기 클리닝 롤러의, 피클리닝재로의 누름력(壓付力)을 생기게 하도록 상기 롤러 프레임에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롤러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클리닝 롤러의, 피클리닝재로의 누름력을 생기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닝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는 그것들의 회전축의 축단부에 상기 롤러 프레임의 측판부 외측에 노출되는 롤러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프레임의 측판부의 외측면측에 상기 롤러 전극에 접속되는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롤러 유닛의 조립시에, 상기 전선이 방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리닝 브러시, 금속 롤러 및 클리닝 블레이드를 전사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고 회수하기 위한 회수 유닛으로 하여 일체 구조로 했으므로, 컴팩트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한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 있어, 프레임 유닛으로의 회수 유닛의 착탈의 용이화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클리닝 장치를 도시하고,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상기 클리닝 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상기 클리닝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클리닝 장치의 다른 위치의 단면도.
도 6은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프레임 유닛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롤러 유닛을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상기 롤러 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상기 롤러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상기 롤러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넣은 상태의, 다른 위치의 단면도.
도 12는 상기 롤러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넣은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상기 롤러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상기 롤러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상기 롤러 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회수 유닛의 사시도.
도 17은 상기 회수 유닛의 사시도.
도 18은 상기 회수 유닛의 단면도.
도 19는 상기 회수 유닛의 단면도.
도 20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의 상기 회수 유닛을 넣는 수순의 설명도.
도 21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의 상기 회수 유닛을 넣는 수순의 설명도.
도 22는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의 상기 회수 유닛을 넣는 수순의 설명도.
도 23은 상기 프레임 유닛으로의 상기 회수 유닛을 넣는 수순의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닝 장치는, 피클리닝재의 표면상에 클리닝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피클리닝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고, 피클리닝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진애 등의 이물(예를 들면, 도체 혹은 유전체)을 클리닝 롤러에 의해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 클리닝 장치(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레이아웃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2)에 대하여 클리닝 롤러(2)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전사 롤러(3)가 설치되고, 이 전사 롤러(3)에 대하여 전사 롤러(3)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대전 제어 롤러(4)가 설치되어 있다.
대전 제어 롤러(4)는 심금(4a)에 제 1 외부전원(5)이 접속되어 있어, 피클리닝재(S)의 표면(S1) 위에 부착되는 이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전하를 클리닝 롤러(2) 및 전사 롤러(3)에 대하여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클리닝 롤러(2)는 피클리닝재(S)의 표면(S1) 위에 부착되는 이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는 전하를 표면에 대전할 수 있는 것이며, 전사 롤러(3)는 클리닝 롤러(2)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는 전하를 표면에 대전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전사 롤러(3)는 클리닝 롤러(2)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함으로써 클리닝 롤러(2)와의 사이에서, 클리닝 롤러(2)와 전사 롤러(3)의 표면특성의 차이에 따라 전위차를 생기게 하는 것이다.
이 전사 롤러(3)에 대하여 동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클리닝 브러시(6)가 설치되고, 이 클리닝 브러시(6)에 대하여 동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금속 롤러(7)가 설치되고, 이 금속 롤러(7)에는 제 2 외부전원(8)이 접속되고, 이 금속 롤러(8)의 표면 근방에, 금속 롤러(8)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이물을 선단 긁어내기부로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9)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외부전원(5)은, 클리닝 롤러(2)에 의한 클리닝 시를 제외하고, 전사 롤러(3)에 의한 전사 동작 시에 전사 롤러(3)의 표면에 대전되는 전하와 역부호이고, 절대값이 큰 전압을 대전 제어 롤러(4)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되고, 제 2 외부전원(8)은 전사 롤러(3)와의 사이에 전위차를 생기게 하도록 클리닝 시에 전사 롤러(3)의 표면에 대전되는 전하와 동일 부호의 전위를 금속 롤러(7)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된다.
계속해서, 클리닝 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 유닛(11)은, 도 2~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유닛(12)의 하측에 상측 보강 앵글(13, 13)을 통하여 직사각형 판 형상의, 좌우의 측판부(14A, 14B)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좌우의 측판부(14A, 14B)의 하측 부분은 하측 보강 앵글(15, 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프레임 유닛(11)의 측판부(14A, 14B)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클리닝 롤러(2), 전사 롤러(3) 및 대전 제어 롤러(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유닛(16)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 구멍(22Ae, 22Be)과 테이퍼 축(51, 61)과의 끼워맞춤 관계에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측방으로부터, 클리닝 브러시(6), 금속 롤러(7) 및 클리닝 블레이드(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수 유닛(17)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와셔(86)를 사용하여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유닛(11)의 일방의 측판부(14B)의 외측면에는, 중앙부를 향하여 모터 축이 돌출하도록 모터(18)가 부착되고, 그 모터(18)의 모터 축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모터 기어(19)가 측판부(14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수 유닛(17)이 조립된 상태에서, 모터 기어(19)와 클리닝 브러시(6)의 브러시 기어(20)가 연직방향에서 상하로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수평으로 넣고 빼는 회수 유닛(17)의 고정 위치를 정함으로써, 축간 거리의 오차가 생기기 어려운 배치로 되어 있다. 브러시 기어(20)에 금속 롤러(7)의 기어(21)가 맞물려 있다.
롤러 유닛(16)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측판부(22A, 22B) 사이에, 보강 앵글(23)과 지주(24)과 걸쳐지고, 클리닝 롤러(2), 전사 롤러(3) 및 대전 제어 롤러(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프레임(25)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유닛(16)은 측판부(22A, 22B) 사이에 베어링(31)을 통하여 전사 롤러(3)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리닝 롤러(2)의 회전축은 각각 베어링(32, 32)을 통하여 한 쌍의 제 1 슬라이드 블록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방의 제 1 슬라이드 블록(33)이 측판부(22B)(롤러 프레임(25))의 제 1 끼워맞춤 홈부(22B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끼워맞춤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 볼트(34)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슬라이드 블록(33)에는, 단차 부착 구멍부(33a)가 형성되고, 이 단차 부착 구멍부(33a)에 압축스프링(35)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 압축스프링(35)의 타단이 고정 볼트(34)에 의해 고정된 스프링 가이드(3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스프링 가이드(36) 및 고정 볼트(34)는 슬라이드 블록(33)의 단차 부착 구멍부(33a)를 관통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스프링(35)이 압축 고정됨으로써, 제 1 슬라이드 블록(33)은 항상 클리닝 롤러(2)에 전사 롤러(3)를 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대전 제어 롤러(4)의 회전축은 베어링(37, 37)을 통하여 한 쌍의 제 2 슬라이드 블록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방의 제 2 슬라이드 블록(38)도, 좌우의 측판부(22B)(롤러 프레임(25))의 제 2 끼워맞춤 홈부(22B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고, 끼워맞춤 상태에서 고정 볼트(39)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제 2 슬라이드 블록(38)에는, 제 2 끼워맞춤 홈부(22Bb)가 연장되는 방향(전사 롤러(3)를 향하는 방향)으로, 구멍부(38a)가 형성되고, 이 구멍부(38a)에 제 2 압축스프링(39)을 압축상태에서 조립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록(38)이 대전 제어 롤러(4)를 전사 롤러(3)에 항상 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 롤러(2), 전사 롤러(3) 및 대전 제어 롤러(4)는, 롤러 유닛(16)에 있어서, 롤러 프레임(25)에 대하여 전사 롤러(3)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여 조립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부(22B)의 외측에는 클리닝 롤러(2) 및 대전 제어 롤러(4)의 회전축의 각 단부에 대하여 롤러 전극(41, 42)이 설치되고, 그들 롤러 전극(41, 42)에 접속되는 전선(도시 생략)을 수납하는 전선 수납 홈(22Bc, 22Bd)가 형성되고, 그 수납 홈(22Bc, 22Bd)에 전선을 수납해 둠으로써 롤러 유닛(16)을 프레임 유닛(11)에 조립 때에 회전 운동해도, 전선이 걸려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측판부(22A)의 외측에는 롤러 전극(42) 및 전선 수납 홈(22A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부(14B)의 내측에는 위치 결정용의 상측 및 하측 볼록부(14Aa, 14Ba, 14Bb, 14Bb)가 형성되고, 이 하측 볼록부(14b)의 끝면에 롤러 유닛(16)의 측판부(22B)의 하부가 접촉함으로써 롤러 유닛(16)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 롤러 유닛(16)은 프레임 유닛(11)(브래킷(44))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43)에 의해, 하측 볼록부(14b)의 끝면으로 누르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가압력이 클리닝 롤러(2)를 피클리닝재(S)의 표면으로 누르는 힘도 되고 있다. 상측 및 하측 볼록부(14Aa, 14Ba, 14Bb, 14Bb) 사이가 회수 유닛(17)을 프레임 유닛(11)에 조립할 때에 회수 유닛(17)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안내부로 되어 있다.
도 13~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 유닛(16)의 측판부(22A, 22B)의 외측에 테이퍼 구멍(22Ae, 22Be)이 형성되는 한편, 프레임 유닛(11)의 측판부(14Aa, 14Ba, 14Bb, 14Bb)에 중앙측으로 돌출하는 테이퍼 축(51, 61)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테이퍼 구멍(22Ae, 22Be)에 테이퍼 축(51, 61)이 착탈 가능하게 테이퍼 끼워맞춤함으로써 프레임 유닛(11)에 롤러 유닛(16)이 고정되어 있다.
측판부(14A)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하우징(53)이 관통된 상태에서 4개의 볼트(54)로 고정되고, 이 하우징(53)의 중앙측에 미끄럼 베어링(52)을 통하여 테이퍼 축(51)이 축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에 통 형상의 스프링 시트(55)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테이퍼 축(51)은 선단부가 측판부(22A)의 테이퍼 구멍(22Ae)에 테이퍼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시트(55)(내측 플랜지부(55a))와 테이퍼 축(51)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6)이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테이퍼 축(51)이 측판부(14A)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와셔(57)를, 내측 플랜지부(55a)를 관통하는 테이퍼 축(51)의 중심축부(51a)의 단부에 볼트(58)로 고정하고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스프링 시트(55)는 하우징(53)의 구멍부(53a)와는 간극을 갖는 헐거운 끼워맞춤이며, 회전 가능한 끼워맞춤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3)에 설치된 홈부(53b)에 핸들(59)을 90도 회전시켜 걸어서, 압축스프링(56)을 압축하면서, 그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측판부(14B)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하우징(60)이 볼트(도시 생략)로 고정되어 있다. 이 하우징(60)에 미끄럼 베어링(62) 및 플랜지 부착 미끄럼 베어링(63)을 통하여 테이퍼 축(6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스러스트력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테이퍼 축(61)의 선단부가 측판부(22B)의 테이퍼 구멍(22Be)에 테이퍼 끼워맞춤된다.
도 16~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 유닛(17)의 회수 프레임(70)도, 2개의 측판부(71A, 71B)의 사이를 보강 바(72)나 보강 앵글(73)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판부(71B)에는, 전극(74, 75)이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그것들의 전극(74, 75)에 접속되는 전선을 수납하기 위한 전선 수납 홈(71Bc, 71Bd)이 형성되어, 회수 유닛(17)의 조립·조립 해제를 전선이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클리닝 브러시(6) 및 금속 롤러(7)에 대하여, 제거된 이물을 수납하기 위한 이물 수납 상자(76, 7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71A, 71B)에는, 후술하는 고정금구(86)가 걸리고 풀릴 수 있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17Aa, 17B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리닝 블레이드(9)는 볼트(78)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79)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9)와 금속 롤러(7)의 접촉압은 홀더 고정 볼트(80)를 풀어 보강 앵글(81)과 블레이드 홀더(79) 사이에 심(shim)을 끼움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앵글(81)에 암 나사부를 설치하고, 볼트 등을 통하여, 블레이드 홀더를 리프트 업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프레임 유닛(11)에 회수 유닛(17)을 조립할 때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수 유닛(17)을 상측 및 하측 볼록부(14Aa, 14Ba, 14Bb, 14Bb)의 사이를 따라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측판부(71A, 71B)에 대하여 하면 단부(71Ab, 71Bb)를 하측 볼록부(14Ab, 14Bb)의 위치 결정면(14Bbb)에 접촉시켜,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한 프레임 유닛(11)의 측판부(14A, 14B)에는, 일부가 절제되어 직선부(86a)로 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고정 와셔(86)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그 고정 와셔(86)의 직선부(86a)의 위치에 의해, 회수 유닛(17)의 조립·조립 해제를 허용하거나, 금지하거나 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 와셔(86)는 고정 볼트(85)에 의해 그 회전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즉, 회수 유닛(17)을 조립할 때 혹은 조립을 해제할 때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볼트(85)를 풀어, 프레임 유닛(11)의 측판부(14A, 14B) 고정 와셔(86)의 직선부(86a)가 연직방향이 되도록 하고, 고정 볼트(85)를 죄어 고정한다(제 1 위치). 이 상태에서는, 직선부(86a)가 측판부(14A, 14B)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측가장자리와 일치하여, 측판부(14A, 14B)로부터 고정 와셔(86)가 돌출하지 않으므로, 회수 유닛(17)의 조립 혹은 조립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회수 유닛(17)을 고정할 때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볼트(85)를 풀어, 고정 와셔(86)의 직선부(86a)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고정 볼트(85)를 죄어 고정한다(제 2 위치). 이 상태에서는 측판부(14A, 14B)로부터 고정 와셔(86)의 일부가 돌출하여, 회수 유닛(17)의 조립 혹은 조립 해제가 금지된다.
1 클리닝 장치
2 클리닝 롤러
3 전사 롤러
4 대전 제어 롤러
6 클리닝 브러시
7 금속 롤러
9 클리닝 블레이드
11 프레임 유닛
14A, 14B 측판부
14Aa, 14Ba 상측 볼록부
14Bb, 14Bb 하측 볼록부
14Bbb 위치 결정면
16 롤러 유닛
17 회수 유닛
22A, 22B 측판부
22Ba 제 1 끼워맞춤 홈부
22Bb 제 2 끼워맞춤 홈부
22Bc 전선 수납 홈
22Ad, 22Bd 전선 수납 홈
22Ae, 22Be 테이퍼 구멍
33 제 1 슬라이드 블록
38 제 2 슬라이드 블록
41, 42 롤러 전극
43 코일스프링(스프링 부재)
51, 61 테이퍼 축
70 회수 프레임
71A, 71B 측판부
71Bc, 71Bd 전선 수납 홈
74, 75 전극
76, 77 이물 수납 상자
86 고정 와셔

Claims (10)

  1. 피클리닝재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대 이동하는 클리닝 롤러와, 이 클리닝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전사 롤러와, 이 전사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대전 제어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대전 제어 롤러에 대전되는 전하에 의해, 상기 피클리닝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이물을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기 위한 전하를, 클리닝 롤러 및 전사 롤러에 대하여 변경하고, 상기 피클리닝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진애 등의 이물을 상기 클리닝 롤러에 의해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에 부착된 상기 이물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의해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로서,
    상기 클리닝 롤러, 전사 롤러 및 대전 제어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전사 롤러에 부착되는 이물을 제거하여 회수하기 위한 회수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 롤러상의 이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브러시와, 이 클리닝 브러시로부터 상기 이물을 제거하는 금속 롤러와, 이 금속 롤러의 표면상에 부착되는 이물을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닝 브러시가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 롤러가 상기 클리닝 브러시에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상기 금속 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클리닝 브러시, 상기 금속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가 회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유닛은, 상기 회수 프레임에, 상기 클리닝 브러시 및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로 긁어내어진 이물을 수납하는 이물 수납 상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프레임은 좌우의 측판부 사이에 상기 클리닝 브러시 및 상기 금속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금속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브러시는 그것들의 회전축의 축단부에 상기 회수 프레임의 측판부 외측에 노출되는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회수 프레임의 측판부의 외측면측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은 상기 회수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와셔는 상기 회수 유닛의 프레임 유닛으로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회수 유닛의 프레임 유닛으로의 착탈을 금지하고 상기 회수 유닛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 대하여 걸어 고정하는 제 2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가 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롤러 유닛으로 되고,
    이 롤러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유닛은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에 상기 클리닝 브러시가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롤러 유닛에서, 상기 대전 제어 롤러 및 상기 클리닝 롤러가 상기 전사 롤러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사 롤러의 회전축 중심과 동축상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롤러 유닛이 선회 가능한 위치에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제 1 슬라이드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상기 대전 제어 롤러는 제 2 슬라이드 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롤러 프레임에는 상기 전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블록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 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블록이 상기 제 1 및 제 2 끼워맞춤 홈부에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블록을,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를 상기 전사 롤러를 누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 및 제 2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프레임은 좌우의 측판부 사이에 상기 클리닝 롤러, 상기 전사 롤러 및 상기 금속 대전 제어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좌우의 측판부에는 테이퍼 축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 축의 선단이 상기 프레임 유닛의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탄성 가압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롤러 프레임의 좌우 측판부에는, 상기 테이퍼 축이 끼워맞추어지는 테이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닛과 상기 롤러 프레임 사이에, 상기 클리닝 롤러의, 피클리닝재로의 누름력을 생기게 하도록 상기 롤러 프레임을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 및 상기 대전 제어 롤러는 그것들의 회전축의 축단부에 상기 롤러 프레임의 측판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롤러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롤러 프레임의 측판부의 외측면측에 상기 롤러 전극에 접속되는 전선이 수납되는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KR1020127020299A 2010-02-15 2011-02-14 클리닝 장치 KR101253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0401 2010-02-15
JPJP-P-2010-030401 2010-02-15
PCT/JP2011/000802 WO2011099307A1 (ja) 2010-02-15 2011-02-14 クリーニ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249A KR20120113249A (ko) 2012-10-12
KR101253659B1 true KR101253659B1 (ko) 2013-04-11

Family

ID=44367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99A KR101253659B1 (ko) 2010-02-15 2011-02-14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79338B2 (ko)
EP (1) EP2537599B1 (ko)
JP (1) JP4886097B2 (ko)
KR (1) KR101253659B1 (ko)
CN (1) CN102725076B (ko)
TW (1) TWI408012B (ko)
WO (1) WO2011099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5483B2 (ja) * 2012-02-13 2016-0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押圧装置および電池押圧方法
JP2015135456A (ja) * 2014-01-20 2015-07-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
KR102340314B1 (ko) * 2016-03-09 2021-12-15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클리닝 장치
JP2020204721A (ja) 2019-06-18 2020-12-24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電気バイアスを用いる画像形成システム
CN114311116A (zh) * 2021-12-31 2022-04-12 德清新源恒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功能的聚四氟乙烯的切割设备
CN115338217B (zh) * 2022-08-16 2023-08-25 安徽省耀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模组显示屏在加工过程中的除尘装置
KR102562611B1 (ko) * 2023-04-24 2023-08-01 조정선 엔진 풀리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851A (ja) * 1995-01-27 1996-08-09 Sony Corp 清浄化装置
JP2003225625A (ja) * 2002-02-05 2003-08-12 Reyoon Kogyo:Kk 基板又はシート等の除塵方法とその方法を使用した基板又はシート等の除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1861A (en) * 1973-08-10 1975-01-21 Xerox Corp Fuser roll cleaning apparatus
US4440082A (en) * 1978-11-13 1984-04-03 Dayco Corporation Electrostatically assisted printing system
JPS5872981A (ja) * 1981-10-28 1983-05-02 Toshiba Corp 接触帯電クリ−ニング装置
JPH09244499A (ja) * 1996-03-04 1997-09-19 Ricoh Co Ltd 帯電ローラのクリーニング装置
US6085061A (en) * 1998-12-22 2000-07-04 Xerox Corporation Active electrostatic cleaning brush
US6169872B1 (en) * 1999-09-28 2001-01-02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ic cleaning belt brush
JP2005081297A (ja) * 2003-09-10 2005-03-31 Yodogawa Medekku Kk 基板表面清掃装置
US6980765B2 (en) * 2003-11-25 2005-12-27 Xerox Corporation Dual polarity electrostatic brush cleaner
TWM271341U (en) * 2004-11-03 2005-07-21 Jean Herl Technologies Co Substrate dusting machine
JP2008168188A (ja) 2007-01-10 2008-07-24 Mitsuma Giken Kk 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8271797A (ja) 2007-04-25 2008-11-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5058729B2 (ja) 2007-09-11 2012-10-24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分類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2009088244A (ja) * 2007-09-28 2009-04-23 Tokyo Electron Ltd 基板クリーニング装置、基板処理装置、基板クリーニング方法、基板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5251098B2 (ja) 2007-12-06 2013-07-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熱可塑性組成物成形体の製造方法
JP5446088B2 (ja) 2007-12-06 2014-03-19 国立大学法人群馬大学 内部循環型流動床式低温接触ガス化炉装置とそれを用いた家畜排せつ物のガス化分解処理方法
TWI483789B (zh) * 2009-03-23 2015-05-11 Bando Chemical Ind Clea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851A (ja) * 1995-01-27 1996-08-09 Sony Corp 清浄化装置
JP2003225625A (ja) * 2002-02-05 2003-08-12 Reyoon Kogyo:Kk 基板又はシート等の除塵方法とその方法を使用した基板又はシート等の除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7599B1 (en) 2013-11-13
KR20120113249A (ko) 2012-10-12
EP2537599A4 (en) 2013-01-09
TW201143917A (en) 2011-12-16
US8479338B2 (en) 2013-07-09
CN102725076B (zh) 2014-01-08
JPWO2011099307A1 (ja) 2013-06-13
WO2011099307A1 (ja) 2011-08-18
EP2537599A1 (en) 2012-12-26
JP4886097B2 (ja) 2012-02-29
CN102725076A (zh) 2012-10-10
TWI408012B (zh) 2013-09-11
US20120304404A1 (en)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659B1 (ko) 클리닝 장치
CN101424917B (zh) 处理盒再制造方法
CN101201580B (zh) 激光打印机处理盒再生方法
TW201540382A (zh) 清潔裝置
US9258936B2 (en) Adsorption head for surface mounting device
CN103698993A (zh) 处理盒
JP2013059707A (ja) 基板洗浄装置
JP5044061B1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4181024A (ja) 帯電防止塵埃除去装置
CN210174200U (zh) 清洁机构
JP3264737B2 (ja) 静電式塵埃吸着装置
JP3165573U (ja) 除塵装置
CN217329133U (zh) 一种图书馆公共服务用的电子信息一体机
CN206351133U (zh) 检针机
JPH087146Y2 (ja) 軸受間における回転軸上の装着部品の着脱装置
CN211333179U (zh) 一种多媒体宣教机器人用移动座
CN109986942B (zh) 一种汽车发动机安装支架
JP2005208405A (ja)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JPH0730659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60440A (ja) 紡機の単錘駆動用モータ及び清掃用補助具
KR100577688B1 (ko) 화상형성기기의 현상장치
KR20100008373U (ko) 정전기 및 이물질 제거 장치
JP2004011854A (ja) 筒状体ユニット、作像モジュー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05018A (ja) 画像形成装置
JPH0493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