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630B1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630B1
KR101250630B1 KR1020107010149A KR20107010149A KR101250630B1 KR 101250630 B1 KR101250630 B1 KR 101250630B1 KR 1020107010149 A KR1020107010149 A KR 1020107010149A KR 20107010149 A KR20107010149 A KR 20107010149A KR 101250630 B1 KR101250630 B1 KR 101250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sk
top plate
insertion hol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792A (ko
Inventor
히로야 모리
하루노부 사이토
카오루 나카무라
히데키 다치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ublication of KR2010008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03Writing-tables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Abstract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넓게 확보한 채로 안정성이 높은 지주 장착 구조를 가지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책상면으로서 사용되는 천판(3)과, 천판(3)을 지지하는 다리부(2)와, 천판(3)의 상방에 대상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6)와, 다리부(2)에 설치된, 지주(6)가 삽입되는 삽입공(7)으로서, 적어도 지주(6)의 측면의 일부를 따르는 내측면(71)을 가지는 삽입공(7)을 구비하고, 삽입공(7)에 삽입된 지주(6)는 내측면(71)에 고정되는 책상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책상{DESK}
본 발명은 천판(天板) 및 당해 천판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 책상에 데스크탑 패널(desktop panel) 등을 장착하기 위해서, 책상의 상부 후단부에 데스크탑 패널 장착부와 막판(幕板) 장착용의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브래킷(bracket)을 설치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또, 책상의 천판 하방에 배치된 후부 가로 빔(beam)에 책상측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 책상측 브래킷에 백 패널(back panel)에 고정된 패널측 브래킷을 보지(保持)시킴으로써 책상에 백 패널을 장착하는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6-13665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5-876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33745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6-26305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2982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144006호 공보
종래, 책상에 백 패널을 설치하거나 책상의 천판 상방에 선반을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책상의 천판의 일부 또는 후부 가로 빔에 백 패널 장착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나, 책상의 천판 상에 선반을 얹어 놓는 방법 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사용자에 있어서 가능한 한 넓게 사용하고 싶은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좁히게 되고, 또 강도나 안정성의 문제로부터 천판 상방에 설치된 선반 등에의 수납물의 중량은 엄격히 제한될 필요가 있었다. 또, 종래의 지주 장착 방법에 있어서, 장착되는 선반 등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려고 한 경우,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더욱 좁히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넓게 확보한 채로 안정성이 높은 지주 장착 구조를 가지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리부에 설치된 삽입공 내에 지주를 고정함으로써,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넓게 확보한 채로 안정성이 높은 지주 장착 구조를 가지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책상면으로서 사용되는 천판과, 상기 천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천판의 상방에 대상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와, 상기 다리부에 설치된, 상기 지주가 삽입되는 삽입공으로서, 적어도 상기 지주의 측면의 일부를 따르는 내측면을 가지는 삽입공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지주는 상기 내측면에 고정되는, 책상이다.
여기서, 천판의 상방에 설치되는 대상 부재라는 것은 예를 들면 패널(panel), 선반, 수납구, 조명 기구 등이다. 단, 이 대상 부재는 책상의 사용에 있어서 천판 상방에 설치되는 것이면 좋고,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대상 부재를 설치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지주를, 다리부에 삽입공을 설치하여 이 삽입공 내에 고정함으로써, 천판을 사용하지 않고 지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내측면은 상기 다리부가 뻗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삽입공의 깊이를 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지주를 삽입공의 내측면에서 지지하는 경우, 지주와 내측면의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지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다리부는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된 외곽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외곽을 이루는 금속판의 내벽의 일부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리부와 삽입공을 구성하는 부재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비용이나 제조 공정의 간략화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 통상 다리부는 천판 등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응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이 강도를 지주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지주는 당해 지주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지주는 상기 피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에 고정되어도 좋다. 종래의, 천판이나 책상의 배면 빔(beam)을 이용하여 지주를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소망의 높이에 맞추어 지주를 교환하든지, 지주 그 자체에 신축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주가 피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고정되기 때문에, 지주의 고정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주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삽입공에 상기 지주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주 고정용의 구멍을 가지고, 상기 지주는, 상기 홈의 내측 양측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홈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는 부세(付勢) 부재와, 상기 고정용의 구멍에 상기 부세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내측면에 고정되어도 좋다.
홈 내에 고정되는 부세 부재, 및 이 부세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지주를 고정함으로써, 지주의 설치 높이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 경우 등에, 홈 내에 고정된 부세 부재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지주의 설치 높이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더욱 넓게 취하기 위해서, 상기 다리부는 상부에 있어서 소정의 전후 폭을 가지고, 당해 상부의 후단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천판을 지지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다리부 상부의 후단에 개구해도 좋다. 삽입공의 개구가 다리부 후단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지주가 방해로 되는 일 없이 천판을 넓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천판의 사용 가능한 면적을 넓게 확보한 채로 안정성이 높은 지주 장착 구조를 가지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삽입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지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지주에서 사용되는 고정용의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지주에서 사용되는 고정용의 슬라이딩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슬라이딩 블록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제1의 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슬라이딩 블록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제2의 도이다.
도 9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다리부에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a이다.
도 9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다리부에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b이다.
도 9c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다리부에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c이다.
도 9d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다리부에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d이다.
도 9e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다리부에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e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리부에의 지주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다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의 한 쌍의 다리부에 지주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된 지주에 빔(beam)을 장착하는 경우의 변형(variation)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에 설치되는 삽입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리부에의 지주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다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삽입공에 고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a이다.
도 17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삽입공에 고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b이다.
도 17c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삽입공에 고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c이다.
도 17d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를 삽입공에 고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 d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L자 책상의 다리부에 지주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된 지주에 빔을 장착하는 경우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 a이다.
도 19b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된 지주에 빔을 장착하는 경우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 b이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에 설치되는 삽입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리부에의 지주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다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L자 책상의 다리부에 지주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위에서 보았을 때 굴절각이 135°인 천판을 구비하는 L자 책상의 다리부에 지주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책상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지주 장착 구조(지주 지지 장치)는 책상의 천판 상에 패널(panel)이나 선반 등의 대상 부재를 설치하기 위해서 이용되지만, 마찬가지의 지주 장착 구조를 책상 이외의 것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display)나 조명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 지지 장치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지주 장착 구조를 설치하여도 좋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1a)은 좌우에 설치된 측면 L자 모양의 한 쌍의 다리부(2)와, 다리부(2)에 의해 지지되는 천판(天板)(3)을 구비한다. 또한, 책상(1a)은 선반이나 패널 등의 설치에 이용되는 지주(6)와, 지주(6)가 삽입되는 삽입공(7)과, 지주(6)의 사이에 접속되는 빔(beam)(9)을 구비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와 같이 하여 설치된 지주(6) 또는 빔(9)을 이용하여 천판(3) 상에 패널이나 선반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다리부(2)는 금속판이 휨가공됨으로써 형성된 외곽(암부(arm portion)(21), 몸통부(23), 배면부(22), 족부(24))에 암부 커버(cover)(25), 족 커버(26), 배면 커버(27), 개구 테두리(28), 개구 커버(29), 및 접지족(30)이 설치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다리부(2)의 외곽은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그 외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어도 좋다. 또, 다리부(2)는 천판(3)을 지지하는 상부에 있어서, 가로 폭보다도 긴 소정의 전후 폭(안길이)을 가짐으로써 천판(3)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천판(3)은 사용자의 작업 공간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부(2) 상부의 후단을 제외한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이것은 다리부(2)의 상부 후단에 삽입공(7)의 개구가 설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천판(3)은 다리부(2) 상부의 개구 앞까지의 안길이를 가지지만, 개구가 없는 부분(즉, 천판(3)의 좌우단을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는, 천판(3)은 다리부(2)의 후단과 동일하든지, 그것보다도 뒤의 위치까지의 안길이를 가져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삽입공(7)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리부(2)의 후단에는 지주(6)가 삽입되는 삽입공(7)이 설치된다. 삽입공(7)의 내측면 중 책상(1a)의 배면측의 내측면(71)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을 이용하여 지주(6)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설치공(72), 및 배면 커버(27)를 걸기 위한 복수의 걸림공(73)이 설치된다(도 2를 참조). 도시는 생략하지만, 배면 커버(27)의 내측에는 후크(hook)가 설치되어 있고, 걸림공(73)에 걸림으로써 배면 커버는 다리부(2)의 배면에 장착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지주(6)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주(6)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이고, 삽입공(7)의 단면 형상도 지주(6)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장방형이다. 그리고, 지주(6) 및 삽입공(7)은 지주(6)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주(6)의 4면의 측면과 삽입공(7)의 4면의 내측면이 꼭 접촉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지주(6)는 단면 대략 직사각형이고, 또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을 가진다. 지주(6)는 패널이나 선반 등을 책상(1a)의 천판(3) 상에 설치하기 위한 부재이다. 지주(6)의 단면 형상은 베이스부(base portion)(60)로부터 네 방향으로 격벽(61)이 뻗어 있고, 지주(6)의 단면에 있어서의 네 귀퉁이에 정점 Q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정점 Q로부터 다른 정점 Q를 향해 벽면(62)이 각각으로부터 뻗어 있다. 하나의 정점 Q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62)과, 다른 정점 Q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62)은 양 정점 Q의 중간 앞까지 뻗어 있지만 양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향하는 벽면(62, 62)(이하, 「한 쌍의 벽면(62)」이라고 칭한다)의 사이에는 개구부(63)가 형성된다. 또, 한 쌍의 벽면(62)과 격벽(61)과 베이스부(60)에 의해 홈부(64)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63) 및 홈부(64)는 지주(6)의 길이 방향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다.
이 지주(6)는 삽입공(7)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 지주(6)에 있어서,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되는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을 이용하여 임의의 높이에서 내측면(71)에 지주(6)를 고정하고, 그로써 패널이나 선반 등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6)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당해 슬라이딩 블록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딩 블록은 도 5에 나타내는 부세(付勢) 부재(82)와 도 6에 나타내는 베이스(base) 부재(83)로 구성된다. 이 둘은 완전히 별개의 부재이다. 부세 부재(82)는 윤곽 형상을 가지는 부세부(82a)와, 부세부(82a)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82b)와, 돌기부(82b)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부세부(82a)로부터 돌출한 돌기부(82c)로 구성된다. 부세부(82a)는 돌기부(82b)와 돌기부(82c)가 설치된 각 점을 잇는 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인 부세부(82a)의 형상은 각 돌기부 근방(도 중 R1로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선대칭의 중심선을 약간 따르는 형상이고, 또한 부세부(82a)의 중앙에 가까워지면(도 중 R2로 표시되는 영역) 선대칭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원호 형상을 취하고, 부세부(82a)의 중앙 근방(도 중 R3으로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선대칭의 중심선에 거의 평행한 형상으로 된다. 부세부(82a)가 이러한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R1로 표시되는 영역의 부세부를 축으로 하여, R3으로 표시되는 영역의 부세부가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휘기 쉬워지고, 그 휨에 의해 부세부(82a)가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부세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돌기부(82c)는 대체로 원기둥 모양의 돌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돌기부(82b)는 돌기부(82c)보다 약간의 가로 폭을 가지는 형상이다. 또한, 이 가로 폭은 지주(6)의 개구부(63)의 폭보다 약간 작다.
베이스 부재(83)는 도 6에 나타내듯이 베이스부(83a)의 중앙에 나사공(83b)이 3개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부(83a)의 일단면측에 계단부(83c)가 베이스부(8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계단부(83c)의 폭(도면 상하 방향의 폭)은 지주(6)의 개구부(63)의 폭보다 약간 작다.
상술한 부세 부재(82) 및 베이스 부재(83)의, 지주(6)의 홈부(64)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블록으로서의 기능의 발휘에 대해서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것은 지주(6)의 홈부(64)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블록의 모습이다. 홈부(64)는 상술한 것처럼 중심부(60)로부터 뻗어 있는 격벽(61)과 벽면(62)의 각각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고, 그 단면 형상은 대략 육각형이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듯이, 홈부(64)의 단면에 있어서의 대략 육각형의 정점을 S1 내지 S6이라고 칭함과 아울러, 개구부(63)를 구성하는 정점을 T1, T2라고 칭한다.
우선, 도 7 (a)에 나타내듯이, 홈부(64)에 대해서 부세 부재(82)를 개구부(63)로부터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이때 돌기부(82c)가 홈부(64)의 속부(정점 S3, S4의 근방)에 위치하고, 돌기부(82b)가 개구부(63)의 근방(정점 T1, T2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부세부(82a)의 영역 R3에 위치하는 부분은 홈부(64)의 정점 S1, S2간 및 정점 S5, S6간의 내벽면 근방에 위치한다. 이때 부세부(82a)와 당해 내벽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세부(82a)는 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도 7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돌기부(82b)를 통하여, 즉 상기 돌기부(82b)를 손으로 잡고 부세 부재(82)를 지주(6)의 홈부(64)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홈부(64)의 임의의 위치에 부세 부재(82)를 이동시킨 후, 도 7 (b)에 나타내듯이 홈부(64) 내에 베이스 부재(83)를 삽입시켜 상기 부세 부재(82) 상에 배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부세 부재(82)의 돌기부(82b)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83)가 지주(6)의 홈부(64) 내로 진입이 방해되기 때문에 그 반대편을 통해 상기 홈부(64) 내로 진입시킨 후 부세 부재(82)의 상부로 강제 밀어 넣기 식으로 배치시킨다. 이때 베이스 부재(83)는 부세 부재(82)의 부세부(82a)의 돌기부(82b)가 돌출해 있는 측의 면 상에, 베이스 부재(83)의 계단부(83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 접촉하고, 당해 계단부(83c)가 개구부(63)에 위치한다.
도 7 (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부세 부재(82)의 부세부(82a)는 베이스 부재(83)에 의해 홈부(64)의 속부로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부세부(82a)의 영역 R3에 위치하는 부분은 격벽(61)에 의해 형성되는 내벽면(정점 S2, S3간 및 정점 S4, S5간)에 접촉하게 된다. 이 내벽면은 홈부(64)의 속부로 나아감에 따라 폭이 좁아진다. 그 때문에 도 7 (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82)의 부세부(82a)는 상술한 것처럼 휘고, 그 휨에 기인하여 베이스 부재(83)에 대해서 그것을 개구부(63) 가까이의 벽면(62)으로 밀어붙이는 부세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부세 부재(82)와 베이스 부재(83)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블록은 지주(6)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지주(6) 내에 고정된 슬라이딩 블록의 나사공(83b)에 대해서, 삽입공(7)의 내측면(71)에 설치된 고정용의 설치공(72)을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다리부(2)에 지주(6)를 입설(立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지주(6)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부(64)를 가지고, 상기 내측면(71)은 상기 삽입공(7)에 상기 지주(6)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주 고정용의 구멍인 설치공(72)을 가지며, 상기 지주(6)는, 상기 홈부(64)의 내측 양측으로 베이스 부재(83)에 의해 부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홈부(64) 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 부재(83)와 함께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부세(付勢) 부재(82)와, 상기 지주(6)의 고정용의 구멍인 설치공(72)에 상기 베이스 부재(83)의 나사공(83b)을 일치시켜 상기 부세 부재(82)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인 나사를 마련하여, 상기 나사를 상기 베이스 부재(83)의 나사공(83b)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주(6)가 상기 내측면(71)에 고정되어, 그 결과 상기 다리부(2)에 지주(6)를 입설(立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 번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슬라이딩 블록에 대해서, 그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의 모습에 대해서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 (a)에 나타내듯이, 부세 부재(82)에 부세력이 주어지고 있는 베이스 부재(83)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완전히 부세 부재(82)로부터 부세력이 주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조금 옮긴다. 이때 홈부(64)를 단면 방향으로부터 보면 도 8 (b)에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이다. 부세 부재(82)는 베이스 부재(83)가 떼어짐으로써 도 8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때 베이스 부재(83)는 홈부(64) 내에 있어서, 부세 부재(82)가 존재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83)를 도 8 (a)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 베이스 부재(83)가 부세 부재(8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빠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83)의 상기 부세 부재(82)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그 결과 이 부세 부재(82)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러나, 도 8 (b)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재(83)는 홈부(64) 내에 있어서 부세 부재(82)의 돌기부(82c)에 간섭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은 베이스 부재(83)가 부세 부재(82)에 의한 부세력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로 되어도 홈부(64) 내에 있어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 않고, 부세 부재(82)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 부재(83)가 부세 부재(82)로부터 헛되이 떨어져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83)를 부세 부재(82)에 의한 부세력으로부터 해방시킨 후에는, 베이스 부재(83)를 개구부(63)로부터 떼어내고, 부세 부재(82)를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베이스 부재(83)를 홈부(64) 내에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딩 블록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주(6)에 빔(9)이나 패널, 선반 등의 대상 부재를 장착할 때에도, 마찬가지의 슬라이딩 블록을 이용하여 지주(6)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6)를 다리부(2)에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6)를 다리부(2)에 장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처음에, 다리부(2)에 설치된 배면 커버(27) 및 개구 커버(29)가 떼어진다(도 9a를 참조). 배면 커버(27)가 떼어짐으로써 다리부(2)의 배면에 지주(6) 고정용의 설치공(72)이 노출되고, 개구 커버(29)가 떼어짐으로써 다리부(2)의 상면에 지주(6)가 삽입되는 삽입공(7)의 개구가 노출된다(도 9b를 참조).
또, 지주(6)의 홈의 임의의 위치에 슬라이딩 블록이 고정된다. 슬라이딩 블록의 고정의 순서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이 끝났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블록은 미리 지주(6) 상부 중 얼마만큼의 길이를 다리부(2) 또는 천판(3) 상에 노출시킬지를 결정한 다음, 지주(6) 하부의, 지주(6)가 상기 결정된 노출 길이를 남기고 삽입공(7)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리부(2)에 설치된 지주(6) 고정용의 설치공(7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또한, 강도 및 안정성의 확보를 위해 슬라이딩 블록은 2 이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개구를 통하여 삽입공(7)에 지주(6)가 삽입된다(도 9c를 참조). 삽입된 지주(6)는 슬라이딩 블록이 장착된 위치와 내측면(71)의 설치공(72)의 위치가 합치하도록 위치 맞춤된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슬라이딩 블록의 나사공(83b)에 대해서, 삽입공(7)의 내측면(71)에 설치된 고정용의 설치공(72)을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삽입공(7) 내측면(71)에 지주(6)가 고정되고, 다리부(2)에 지주(6)가 입설된다. 마지막에, 다리부(2) 배면에 배면 커버(27)가 재차 장착됨으로써 지주(6)의 장착은 완료된다(도 9d를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지주 장착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딩 블록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주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9e를 참조).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리부(2)에의 지주(6)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다리부(2)의 단면도이다. 배면 커버(27)가 장착됨으로써, 다리부(2) 배면의 설치공(72)이나 걸림공(73), 지주(6)의 장착에 이용된 나사의 머리 등이 노출되는 것을 피하여 외관상 양호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1a)의 한 쌍의 다리부(2)에 지주(6)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지주(6)가 다리부(2)에 장착됨으로써, 이 지주(6)를 이용하여 패널이나 선반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책상(1a) 위에 안정적으로 임의의 높이에 패널이나 선반 등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된 지주(6)에 빔(beam)(9)을 장착하는 경우의 변형(variation)을 나타내는 도이다. 빔(9)은 도 1에 나타내듯이 1개만 설치되어도 좋고, 도 12에 나타내듯이 2개의 빔(9)이 설치되어도 좋다. 즉, 빔(9)의 개수 및 간격은 설치하고 싶은 패널이나 선반의 형상, 설치하고 싶은 조명 기구의 장착 위치 등, 여러 가지 요구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삽입공(7)에 지주(6)가 삽입되기 때문에, 종래의 천판 등에 장착 장치를 설치하는 장착 구조에 비해, 삽입공(7)과, 고정 대상인 지주(6)의 접합 부분의 면적을 넓게 취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장착 방법에 비해 강도 및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용이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공(7) 및 그 내측면(71)은 다리부(2)가 뻗어 있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접합 부분의 길이를 길게 취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주(6)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슬라이딩 블록 및 나사로서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지만, 지주(6)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내측면(71)과 일체로 설치된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내측면에 후크(hook) 등의 걺부를 설치하고 지주에 걸림부를 설치함으로써, 지주를 내측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2의 실시 형태>
또, 본 발명은 L자 책상에 지주를 설치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1c)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1c)은 전체적으로 위에서 보아 L자 모양의 천판(3B)을 구비하고, 이 L자 모양의 천판(3B)이 양단 및 중간의 굴절부에 있어서 다리부(2, 2B)에 의해 지지되는 책상(1c)이다. 여기서, 양단에 있어서 천판(3B)을 지지하는 다리부(2)의 구성은 상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L자 모양의 다리부(2)와 마찬가지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2B)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다리부(2B)는 금속판이 휨가공됨으로써 형성된 외곽(상부(21B), 몸통부(23B), 배면부(22B), 족부(24B))에 배면 커버(27B), 개구 테두리(28B), 개구 커버(29b), 및 접지족(30)이 설치됨으로써 구성된다. 굴절부에 있어서 천판(3B)을 지지하는 다리부(2B)는 L자 모양의 천판(3B)의 굴절부에 있어서 후단 부근으로부터 천판(3B) 배면에 45°의 각도를 가지고 천판(3B)을 지지한다. 이 다리부(2B)는 다리부(2)와 마찬가지로 후단에 삽입공(7B)을 가지지만, 다리부(2)와 달리 천판(3B)을 지지하는 상면에 대해서,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삽입공(7B)이 비스듬히 설치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2B)에 설치되는 삽입공(7B)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리부(2B)에 설치되는 삽입공(7B)은 단면 대략 정방형이고, 이 정방형은 삽입공(7)의 단면의 장방형의 장변과 동일한 길이의 4변을 가지는 정방형이다. 이 때문에 삽입공(7B)에는 삽입공(7)에 삽입 가능한 단면 대략 장방형의 지주(6)(도 4를 참조) 외에 단면 대략 정방형의 지주(6B)를 삽입할 수가 있다(도 16의 (a)를 참조).
또, 단면 대략 장방형의 지주(6)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그 방향(설치 상태)을 선택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16의 (b) 및 (c)를 참조). 즉,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L자 책상(1c)은 패널이나 선반이 설치되는 면을 2면 가지지만, 패널이나 선반을 전체면에 장착할지, 일측의 면에만 장착할지를 선택 가능하고, 또한 일측의 면에만 장착하는 경우, 어느 측의 면에 장착할지를 선택할 수가 있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주(6, 6B)를 삽입공(7B)에 고정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다. 장착 순서는 도 9a 내지 도 9e를 이용하여 설명한 순서와 개략 마찬가지이다. 처음에, 배면 커버(27B) 및 개구 커버(29b)가 떼어지고, 지주(6, 6B) 고정용의 설치공(72B), 배면 커버를 걸고 있던 걸림공(73B), 및 삽입공(7B)의 개구가 노출된다(도 17a 및 도 17b를 참조).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이 설치된 지주(6 또는 6B)가 삽입되어 나사 고정되고, 배면 커버가 장착된다(도 17c 및 도 17d를 참조).
여기서, 도 17d의 (a) 내지 (d)는 삽입공(7B)에의 지주 장착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공(7B)에는 단면 대략 장방형의 지주(6)를 다른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슬라이딩 블록 장착 위치의 조정에 의해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e를 이용하여 설명한 방법에서는, 책상(1a)의 배면측의 1방향만으로부터 나사 고정을 행하였지만, 삽입공(7B)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경우, 2방향으로부터 나사 고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삽입공(7B)에 단면 대략 정방형의 지주(6B)를 삽입하여 고정하고(도 17d의 (d)를 참조), L자 책상(1c)의 양 사이드에 선반이나 패널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삽입공(7B)의 지주(6B)가 3개 설치되는 지주(6, 6, 6B) 중 부하가 가장 높은 중심의 지주(6B)로 되기 때문에, 2방향으로부터 고정을 행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은 효과적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L자 책상(1c)의 다리부(2, 2B)에 지주(6, 6B)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L자 책상(1c)에 3개의 지주(6, 6, 6B)를 설치하여, 그 천판(3B) 상부 모두를 패널이나 선반 등의 대상 부재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도 18의 (a)를 참조), L자 책상(1c)에 2개의 지주(6, 6)를 설치하여, 그 천판(3B) 상부 중 한 쪽 사이드만을 대상 부재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8의 (b)를 참조). 당연히 한 쪽 사이드만을 대상 부재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L자 책상(1c)의 어느 쪽의 사이드를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할지는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치된 지주(6, 6B)에 빔(9)을 장착하는 경우의 변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a는 2면에 빔(9)을 설치하고, 한 면만 빔을 2개로 한 경우의 책상(1d)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한 면에 선반을 설치하고, 한 면에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19b는 한 면에 빔(9)을 설치한 경우의 책상(1e)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이다. 예를 들면, 한 면에만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빔(9)의 개수 및 간격은 설치하고 싶은 패널이나 선반의 형상, 설치하고 싶은 조명 기구의 장착 위치 등, 여러 가지 요구에 따라 적당히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 형태>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평면에 있어서의 천판(3B)의 굴절각은 직각이었지만, 이 굴절각은 직각보다도 큰 각, 예를 들면, 120°나 135°라는 각도로 해도 좋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1f)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책상(1f)은 전체적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굴절각이 120°인 천판(3C)을 구비하고, 이 L자 모양의 천판(3C)이 양단 및 중간의 굴절부에 있어서 다리부(2, 2C)에 의해 지지되는 책상(1f)이다. 여기서, 양단에 있어서 천판(3C)을 지지하는 다리부(2)의 구성은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L자 모양의 다리부(2)와 마찬가지이다.
또, 다리부(2C)(본 발명의 지주 지지 장치에 상당한다)는 상기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다리부(2B)와 개략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단, 다리부(2C)는 그 다리부(2C)에 설치된 삽입공(7C)의 형상이 단면 대략 직사각형인 다리부(2B)와 달리, 단면 대략 오각형인 점에서 특징적이다.
다리부(2C)에는 천판의 직각이 아닌 굴절각에 대응하기 위해서, 단면 대략 오각형의 삽입공(7C)이 설치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다리부(2C)에 설치되는 삽입공(7C)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삽입공(7C)에는 삽입공(7C)의 내벽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는 단면 대략 오각형의 지주(6C)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22의 (a)를 참조).
이 단면 대략 오각형의 지주(6C)의 구성은 측면에 홈을 가지는 점 등, 단면이 대략 오각형인 것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지주(6, 6B)와 개략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단면 대략 오각형의 지주(6C)를 삽입함으로써, 굴절된 천판(3C) 상의 양 사이드에 패널이나 선반 등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리부(2C)에 설치되는 삽입공(7C)은 단면 대략 오각형이다. 이후, 천판(3C)의 굴절각과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삽입공(7C)의 2개의 내측면을 제1의 내측면(71a) 및 제2의 내측면(71b)이라고 칭한다. 이 오각형은 제1의 내측면(71a) 및 제2의 내측면(71b)에 대응하는 2변이 각각 삽입공(7)의 단면의 장방형의 단변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오각형이다. 이 때문에 삽입공(7C)에는 지주(6C) 외에 삽입공(7)에 삽입 가능한 단면 대략 장방형의 지주(6)(도 4를 참조)를 삽입할 수가 있다.
또, 단면 대략 장방형의 지주(6)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천판(3C)의 어느 쪽의 사이드에 패널이나 선반을 설치할지에 따라서, 지주(6)의 방향(설치 상태)을 선택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22의 (b) 및 (c)를 참조). 즉,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L자 책상(1f)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책상(1c)과 마찬가지로, 패널이나 선반을 전체면에 장착할지, 일측의 면에만 장착할지를 선택 가능하고, 또한 일측의 면에만 장착하는 경우, 어느 쪽의 면에 장착할지를 선택할 수가 있다.
다리부(2C)에 지주(6 또는 6C)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지주의 설치 방법과 개략 마찬가지이다. 즉, 처음에 배면 커버(27C) 및 개구 커버가 떼어지고, 지주(6, 6C) 고정용의 설치공, 배면 커버(27C)를 걸고 있던 걸림공, 및 삽입공의 개구가 노출된다(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이 설치된 지주(6 또는 6C)가 삽입되어 나사 고정되고, 배면 커버(27C)가 장착된다(도시는 생략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L자 책상(1f)의 다리부(2, 2C)에 지주(6, 6C)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L자 책상(1f)에 3개의 지주(6, 6, 6C)를 설치하여, 그 천판(3C) 상부 모두를 패널이나 선반 등의 대상 부재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도 23의 (a)를 참조), L자 책상(1f)에 2개의 지주(6, 6)를 설치하여, 그 천판(3C) 상부 중 한 쪽 사이드만을 대상 부재의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23의 (b)를 참조).
예를 들면, 마주보고 좌측의 사이드에 패널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지주(6)는 도 23의 (b)에 나타내듯이, 좌단의 다리부(2)에 삽입된 지주(6)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의 내측면(71a)에 고정된다(제1의 설치 상태). 또, 마주보고 우측의 사이드에 패널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 우단의 다리부(2)에 삽입된 지주(6)와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2의 내측면(71b)에 고정된다(제2의 설치 상태). 즉, 삽입공(7C)에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지주(6)를 삽입하는 경우, 이 지주(6)는 지주(6)를 이용하여 대상 부재를 설치할 때에 쌍으로 이용되는 대향하는 지주(6)와 평행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제1의 설치 상태에 있는 지주(6)의 방향과 제2의 설치 상태에 있는 지주(6)의 방향이 이루는 각은 천판(3C)의 굴절각과 보각의 관계이다. 예를 들면, 천판(3C)의 굴절각이 120°인 경우, 제1의 설치 상태에 있는 지주(6)가 향하는 방향과 제2의 설치 상태에 있는 지주(6)가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은 60°이고, 천판(3C)의 굴절각이 135°인 경우, 제1의 설치 상태에 있는 지주(6)의 방향과 제2의 설치 상태에 있는 지주(6)의 방향이 이루는 각은 45°이다(도 23의 (b) 및 도 24의 (b)를 참조).
또, 삽입공(7C)은 제1의 내측면(71a)과 직각을 이룸으로써 제1의 내측면(71a)과 함께 제1의 설치 상태에서 삽입된 지주(6)를 따르는 제3내측면(71c)과, 제2의 내측면(71b)과 직각을 이룸으로써 제2의 내측면(71b)과 함께 제2의 설치 상태에서 삽입된 지주(6)를 따르는 제4내측면(71d)을 가진다. 이러한 제3내측면(71c) 및 제4내측면(71d)을 가짐으로써, 삽입공(7C)에 삽입된 지주(6)는 2방향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으로 되어 높은 안정성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천판의 굴절각이 120°인 L자 책상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각도는 예시이고, 그 각도는 실시의 형태마다 적당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는 위에서 보았을 때 굴절각이 135°인 천판을 구비하는 L자 책상의 다리부에 지주(6, 6C)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고정 방법, 즉 슬라이딩 블록 및 나사를 이용하여 제1의 내측면(71a) 또는 제2의 내측면(71b)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단, 고정에는 또한 제3내측면(71c) 또는 제4내측면(71d)이 이용되어도 좋고, 슬라이딩 블록 및 나사를 이용하지 않는 고정 방법, 즉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것 같은, 내측면에 설치된 걺부와 지주에 설치된 걸림부를 이용하여 지주를 내측면에 고정하는 방법 등이 채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면 대략 직사각형의 지주(6)를 설치하는 경우에, 지주(6)의 방향을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느 쪽의 설치 상태(지주(6)의 방향)를 선택한 경우라도 안정성이 높은 지주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책상면으로서 사용되는 천판과,
    상기 천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천판의 상방에 대상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와,
    상기 다리부에 설치된, 상기 지주가 삽입되는 삽입공으로서, 적어도 상기 지주의 측면의 일부를 따르는 내측면을 가지는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지주는 상기 내측면에 고정되는 책상으로서,
    상기 지주는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삽입공에 상기 지주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지주 고정용의 구멍인 설치공을 가지며,
    상기 홈부 내에 베이스부재와 부세부재를 삽입 배치하되, 상기 부세부재 상에 베이스부재가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를 홈부에 삽입하면, 베이스 부재에 의해 부세부가 홈부의 속부로 밀어넣어지게 되면서 부세 부재의 부세부의 영역(R3)이 격벽의 내벽면(정점S2, S3사이 및 정점S4, S5 사이)에 접촉하여 부세부가 휘어지고, 이 부세부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부세 부재가 베이스 부재를 상방을 향해 부세하는 부세력이 발생하며, 개구부 근방의 벽면(홈부 내부측의 면)에 베이스 부재가 가압되어, 내벽과 벽면 사이에, 부세 부재가 휘어진 상태로 해당 부세 부재와 베이스 부재가 끼워지게 되면서, 부세 부재와 베이스 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동시에 홈부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며,
    상기 지주의 고정용의 구멍인 설치공에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나사공을 일치시켜 상기 부세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인 나사를 마련하여, 상기 나사를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나사공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주가 상기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상기 다리부가 뻗어 있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금속판을 구부려 형성된 외곽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은 상기 외곽을 이루는 금속판의 내벽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당해 지주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피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지주는 상기 피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부에 있어서 소정의 전후 폭을 가지고, 당해 상부의 후단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천판을 지지하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다리부 상부의 후단에 개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KR1020107010149A 2007-11-09 2008-07-16 책상 KR101250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1859A JP5235386B2 (ja) 2007-11-09 2007-11-09
JPJP-P-2007-291859 2007-11-09
PCT/JP2008/062838 WO2009060643A1 (ja) 2007-11-09 2008-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792A KR20100082792A (ko) 2010-07-19
KR101250630B1 true KR101250630B1 (ko) 2013-04-03

Family

ID=4062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149A KR101250630B1 (ko) 2007-11-09 2008-07-16 책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235386B2 (ko)
KR (1) KR101250630B1 (ko)
CN (1) CN101854831B (ko)
MY (1) MY159113A (ko)
TW (1) TWI461161B (ko)
WO (1) WO2009060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356B1 (ko) * 2010-01-15 2013-01-11 오서연 가변선반책상
JP5954956B2 (ja) * 2011-10-28 2016-07-20 株式会社イトーキ
CN102907904B (zh) * 2012-07-28 2014-11-05 无锡市世一电力机械厂 一种双层多功能办公桌
CN104545005B (zh) * 2015-01-05 2017-04-12 北京林业大学 一种多功能生态家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679A (ja) * 2005-01-31 2006-08-10 Okamura Corp 天板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93Y2 (ja) * 1991-05-22 1995-03-06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締結装置
JP3856254B2 (ja) * 1997-12-08 2006-12-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机上棚装置
JP2000333738A (ja) * 1999-05-26 2000-12-05 Kokuyo Co Ltd テーブル
JP4558993B2 (ja) * 2001-09-12 2010-10-06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机上への支杆の取付構造
JP3105699U (ja) * 2004-06-03 2004-11-25 株式会社インテリアセンター 組立式自立型家具
JP4332148B2 (ja) * 2005-11-11 2009-09-16 株式会社内田洋行 空間構造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679A (ja) * 2005-01-31 2006-08-10 Okamura Corp 天板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0643A1 (ja) 2009-05-14
TW200936079A (en) 2009-09-01
JP5235386B2 (ja) 2013-07-10
TWI461161B (zh) 2014-11-21
MY159113A (en) 2016-12-15
CN101854831B (zh) 2012-08-22
JP2009112693A (ja) 2009-05-28
CN101854831A (zh) 2010-10-06
KR20100082792A (ko) 2010-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630B1 (ko) 책상
US11039686B2 (en)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US20100242808A1 (en) Table
JP2006204318A (ja) 物品保管棚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KR101694923B1 (ko) 연결브라켓이 구비된 가구용 프레임
JP2005139805A (ja)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JP2009112694A (ja) 支柱支持装置および机
JP4219256B2 (ja) 共有空間構造体
JP2011213476A (ja) 設置機構
TWM466234U (zh) 太陽能板固定支架
JP6725102B2 (ja) 枠構造、及び空間構造体
KR101313415B1 (ko) 프로파일 연결체의 하부 지지구조
JP2019093036A (ja) 組立式ラック
JP2009003367A (ja) 表示装置
CN215181125U (zh) 一种扩束镜座
JP2021166167A (ja) 照明器具
JP2004346514A (ja) ランナー
JP6506224B2 (ja) 手摺取付具
JP2016106887A (ja) 落下防止構造、および棚
JP201611981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架台及びそれを備え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体
KR200229915Y1 (ko) 조립식 책상의 보강용 지지다리
TWM509598U (zh) 展示架承板之側板補強結構
JP5923210B1 (ja) 組立家具
JP2017042318A (ja) 組立式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