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688B1 - 조전지 - Google Patents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688B1
KR101248688B1 KR1020117024916A KR20117024916A KR101248688B1 KR 101248688 B1 KR101248688 B1 KR 101248688B1 KR 1020117024916 A KR1020117024916 A KR 1020117024916A KR 20117024916 A KR20117024916 A KR 20117024916A KR 101248688 B1 KR101248688 B1 KR 10124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illar
battery module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009A (ko
Inventor
가루키 하마다
다다시 쇼오지
유카리 다도코로
다이치 오야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조전지(1)는 한 쌍의 지지 부재(35)와, 지지 부재끼리(35)의 사이에 배치된 전지 모듈(3, 5, 7)과, 상기 지지 부재끼리(35)를 걸쳐서 상기 전지 모듈(3, 5, 7)을 지지하는 스택 멤버(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택 멤버(43)의 단부를 연장하여 전지 모듈(3, 5, 7)로부터 돌출되는 연장 설치부(43a)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35)가 설치된 측면 중, 상기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가 배치된 측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12)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조전지 {BATTERY PACK}
본 발명은 조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지를 복수 배열시켜 전지 모듈로 하고, 상기 전지 모듈을 복수 배열시켜 조전지를 구성하는 기술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는, 상기 조전지를 전기 자동차에 탑재하여 모터의 구동원으로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6516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조전지는 다양한 브래킷 등이 돌출되는 측과, 배터리 컨트롤러 등의 보조 기계류가 배치되는 측이 다른 경우에는, 조전지 전체적으로 용적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용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는 조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부재와, 이들 지지 부재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전지 모듈과, 상기 지지 부재끼리를 걸쳐서 상기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스택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택 멤버의 단부를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라서 연장함으로써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 돌출되는 연장 설치부를 형성하고, 이들 지지 부재 및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부를 지지 브래킷에 의해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가 설치된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부가 배치된 측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를 설치한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로 구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단체의 전지로 구성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조립 부착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조립 부착 완성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전지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와 제1 및 제2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전지와 스페이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기둥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3의 (a)는 측면도, 도 13의 (b)는 정면도, 도 13의 (c) 및 도 13의 (d)는 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기둥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4의 (a)는 측면도, 도 14의 (b)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이하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는 차량의 일례로서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조전지에 대해 설명하지만, 모터와 엔진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차 등의 다른 차량에도 탑재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전지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전지 모듈을 상하에 적중시킨 조전지에 대해 설명하지만, 단체의 전지를 상하에 적중시킨 조전지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전지(1)는 상하 방향으로 적중된 3단의 전지 모듈(3, 5, 7)과, 이들 전지 모듈(3, 5, 7)의 측부에 설치된 보조 기계류(12)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 탑재 상태에서는, 차량 전방측, 차량 후방측 및 차폭 방향의 방향은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가장 상단에 배치된 상측 전지 모듈(3)과, 높이 방향 중앙측에 배치된 중앙측 전지 모듈(5)과, 가장 하단에 배치된 하측 전지 모듈(7)로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전지 모듈(3, 5, 7)끼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11) 및 후술하는 지지 브래킷(51)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지 모듈(3, 5, 7)은 각각 판형상의 전지(9)를 차폭 방향[전지(9)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로 병렬시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보조 기계류(12)는,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컨트롤러(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컨트롤러)(13), 와이어 하네스(14) 및 배터리 컨트롤러(13)를 설치하는 설치 플레이트(16) 등이 포함된다.
도 2는 조전지의 조립 부착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바닥면에 적재한 팔레트 지그(31)에는 지지 플레이트(11)가 볼트를 통해 체결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11)에, 지지 부재(35)의 하나인 엔드 플레이트(36)를 볼트를 통해 체결하고 있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36)와 보강 부재(37)에 의해 지지 부재(35)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엔드 플레이트(36)에 보강 부재(37)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보강 부재(37)의 하단부에는 횡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굴곡부(37b, 37c)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횡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굴곡부(37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굴곡부(37b, 37c)가 지지 플레이트(11)에 볼트 체결된다.
또한, 스택 멤버(43)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를 연장하여, 전지 모듈(3, 5, 7)로부터 오버 행(돌출)한 연장 설치부(43a)를 형성하고 있다. 이 스택 멤버(43)는 볼트(45)와 도시하지 않은 연결 부재를 통해 전지 모듈(3, 5, 7)을 지지하고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36)와 보강 부재(37)로 이루어지는 지지 부재(35)는 전지 모듈(3)의 차폭 방향의 양단부의 측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35)가 배치된 측의 측면 중, 적어도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가 배치된 측의 측면에는 보조 기계류(12)(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부재(35)가 차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양측에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쪽의 지지 부재(35, 35)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12)인 설치 플레이트(16), 배터리 컨트롤러(13) 및 상기 배터리 컨트롤러(13)에 접속된 와이어 하네스(14)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판형상의 전지(9)를 두께 방향으로 복수 병설하여 전지 모듈(3, 5, 7)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전지(9)의 상면측에는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51)은 상면(51a)과 상기 상면(51a)에 대해 직교하여 굴곡 형성된 측면(51b)으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 및 보강 부재(37)의 굴곡부(37a)의 하측으로부터 지지 브래킷(51)을 설치한다. 여기서,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와 보강 부재(37)의 굴곡부(37a)에서 지지 부재(35)의 측면 상단부에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코너부가 형성된다. 지지 브래킷(51)의 상면(51a)을 연장 설치부(43a) 및 굴곡부(37a)의 하측으로 압박하고, 상측으로부터 볼트로 체결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5)의 상단부 코너부에 지지 브래킷(51)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 및 보강 부재(37)의 굴곡부(37a)의 하측으로부터 지지 브래킷(51)을 설치한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조전지를 상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에 있어서의 상측 전지 모듈(3)로부터의 돌출 길이(L1)를, 상기 보조 기계류(12)의 하나인 배터리 컨트롤러(13)에 있어서의 상측 전지 모듈(3)로부터의 돌출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전지 모듈(3)의 전지(9)의 두께 방향[연장 설치부(43a)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른 단부 테두리(3a)와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의 단부 테두리(43b)의, 연장 설치부(43a)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른 길이를 L1로 한다. 또한, 상측 전지 모듈(3)의 전지(9)의 두께 방향을 따른 단부 테두리(3a)와 배터리 컨트롤러(13)의 측면(13a)의, 연장 설치부(43a)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른 길이를 L2로 한다. 여기서, L1과 L2는 L1>L2의 길이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하네스(14)의 돌출 길이도 L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실시 형태에 의한 조전지(1)에서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부재(35, 35)와, 이들 지지 부재끼리(35, 35)의 사이에 배치된 전지 모듈(3, 5, 7)과, 상기 지지 부재끼리(35, 35)를 걸쳐서 상기 전지 모듈(3, 5, 7)을 지지하는 스택 멤버(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스택 멤버(43)의 단부를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상기 전지 모듈(3, 5, 7)로부터 돌출되는 연장 설치부(43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35, 35)가 설치된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가 배치된 측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12)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가 설치된 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35)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12)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전지(1)의 전체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가 배치된 측과 다른 측면에 보조 기계류(12)를 배치하면, 연장 설치부(43a)가 배치된 측은 연장 설치부(43a)에 의해 용적이 증대되는 한편, 보조 기계류(12)가 설치된 측은 당해 보조 기계류(12)에 의해 용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연장 설치부(43a)가 배치되는 측과 동일한 측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12)를 배치함으로써, 조전지(1)의 전체 용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2) 상기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 모듈(3, 5, 7)로부터의 돌출 길이(L1)를, 상기 보조 기계류(12)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 모듈(3, 5, 7)로부터의 돌출 길이(L2)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조전지(1)에 대해 차폭 방향을 따른 충돌 하중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에 의해 보조 기계류(12)를 보호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전지(1)에서는, 엔드 플레이트(36)에 접합된 보강 부재(37)의 상단부를 횡방향으로 굴곡하여 굴곡부(37a)를 형성하고, 스택 멤버(43)의 단부를 연장하여 전지 모듈(3, 5, 7)의 단부로부터 오버 행한 연장 설치부(43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보강 부재(37)의 굴곡부(37a) 및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의 하측으로부터,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 브래킷(51)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37)의 굴곡부(37a) 및 스택 멤버(43)의 연장 설치부(43a)는 전지(9)의 단자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단자에 배선을 접속하기 쉬워져, 조전지(1) 전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37)가 설치된 조전지(1)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12)를 설치할 수 있어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 중 FR은 차량 전후 방향 전방을 나타내고, UP는 차량 상하 방향 상방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전지(102)는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어, 전기 자동차의 주행용 모터에 전기를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모터와 엔진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차 등의 다른 차량에도 탑재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의 조전지(102)는 상하 방향으로 적중된 복수의 전지 모듈(103)과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은)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전지 모듈(103)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이고, 이들 전지 모듈(103)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부재에 의해, 예를 들어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모듈(103)은 열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지(104)와, 이들 복수의 전지(104)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05)을 갖고 있다. 전지(104)는 도시하지 않은 접속 부재에 의해 직렬 접속되어 있다.
전지(10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4개의 코너부의 각각에 삽입 관통 구멍(104a)이 판 두께 방향을 따라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전지(104)는 2차 전지이며,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나, 니켈 수소 2차 전지, 니켈카드늄 2차 전지 등이다. 이들 복수의 전지(104)는 열 형상으로[전지(104)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 전지(104) 사이에는 연결 부재로서의 제1 연결 부재(107), 연결 부재로서의 제2 연결 부재(108), 스페이서(109)가 개재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107) 및 제2 연결 부재(108)는 이웃하는 전지(104) 사이에 모두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1 연결 부재(107)가, 전지(104)의 열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복수의 제2 연결 부재(108)도 전지(104)의 열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107)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전지(104)에 끼워 넣어지는 판부(107a)와, 이 판부(107a)를 관통하고 있는 한 쌍의 원통부(107b)와, 판부(107a)로부터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설치부(107c)와, 이 설치부(107c)에 고정된 볼트부(107d)를 갖고 있다. 이 제1 연결 부재(107)는 전지(104)의 전방측의 삽입 관통 구멍(104a)에 원통부(107b)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동시에, 이웃하는 전지(104)에 판부(107a)가 끼워 넣어져 전지(104)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연결 부재(108)는 이웃하는 전지(104)에 끼워 넣어지는 판부(108a)와, 이 판부(108a)를 관통하고 있는 한 쌍의 원통부(108b)와, 판부(108a)로부터 절곡 형성된 설치부(108c)와, 이 설치부(108c)에 고정된 볼트부(108d)를 갖고 있다. 이 제2 연결 부재(108)는 전지(104)의 후방측의 삽입 관통 구멍(104a)에 원통부(108b)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동시에, 이웃하는 전지(104)에 판부(108a)가 끼워 넣어져 전지(104)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웃하는 전지(104) 사이에 배치된 제1 연결 부재(107) 및 제2 연결 부재(108)는 이웃하는 전지(104)끼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전지(10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스페이서(109)는 제1 연결 부재(107)와 제2 연결 부재(108)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전지(10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09)는 원통부(109a)와 이 원통부(109a)의 주위면에 설치된 플랜지부(109b)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서(109)는 이웃하는 전지(104) 사이에 전지(104)의 삽입 관통 구멍(104a)에 대응시켜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109)는 전지(104)의 삽입 관통 구멍(104a)에 원통부(109a)의 단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동시에, 이웃하는 전지(104)에 플랜지부(109b)가 끼워 넣어져 전지(104)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스페이서(109)는 이웃하는 전지(104)끼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전지(104)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또한, 전지(104)와 엔드 플레이트(111) 사이에는 다른 스페이서(110)가 개재되어 있다.
프레임(105)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상태의 복수의 전지(104)를 끼워 넣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1)와, 전지(104)의 열방향으로 엔드 플레이트(111) 및 복수의 전지(104)에 삽입 관통된 복수의 관통 볼트(112)와, 전지(104)의 외측에 위치하여 전지(104)의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택 멤버(43) 및 스택 플레이트(114)를 갖고 있다.
관통 볼트(112)는 전지(104)의 삽입 관통 구멍(104a)에 대응시켜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의 2개의 관통 볼트(112)는 제1 연결 부재(107)의 원통부(107b) 및 스페이서(109)의 원통부(109a)에도 삽입 관통되어 있는 한편, 전방측의 2개의 관통 볼트(112)는 제2 연결 부재(108)의 원통부(108b) 및 스페이서(109)의 원통부(109a)에도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 볼트(112)는 너트(115)와 나사 결합하고 있고, 이에 의해, 관통 볼트(112)가 복수의 전지(104)를 지지하는 동시에,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1)가 복수의 전지(104)를 끼움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후방측의 2개의 관통 볼트(112)와 제1 연결 부재(107)가 연결되는 동시에, 전방측의 2개의 관통 볼트(112)와 제2 연결 부재(108)가 연결되어 있다.
스택 멤버(4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지 모듈(103)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택 멤버(43)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연장 설치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택 멤버(43)에는 제1 연결 부재(107)에 대응시켜 복수의 제1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제1 연결 부재(107)의 볼트부(107d)가 삽입 관통되어, 볼트부(107d)와 너트(116)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 연결 부재(107)가 스택 멤버(43)에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연결 부재(107)는 스택 멤버(43)와 전방측의 관통 볼트(112)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도 7의 중심선(CL)은 전지 모듈(103)의 열방향(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를 나타낸다.
스택 플레이트(114)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지 모듈(103)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스택 플레이트(114)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설치부(114a)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부(114a)에는 전지(104)의 열방향을 따라서 삽입 관통 구멍(114b)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너트(114c)가 고정되어 있다. 너트(114c)는 삽입 관통 구멍(114b)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스택 플레이트(114)에는 제2 연결 부재(108)에 대응시켜 복수의 제2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제2 연결 부재(108)의 볼트부(108d)가 삽입 관통되어, 볼트부(108d)와 너트(117)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2 연결 부재(108)가 스택 플레이트(114)에 고정되어 있다. 즉, 제2 연결 부재(108)는 스택 플레이트(114)와 전방측의 관통 볼트(112)를 연결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111)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1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보강 플레이트(118)에는 스택 멤버(43)측의 단부에 제1 설치부(118a)가 절곡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스택 플레이트(114)측의 단부에 한 쌍의 제2 설치부(118b)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제2 설치부(118b)의 각각에는 제1 결합부로서의 결합 구멍(118c)이 1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지(104)와 프레임(105)에 의해 구성된 전지 모듈(103)에서는, 전지(104)의 열방향에서 이웃하는 연결 부재끼리[제1 연결 부재(107)끼리, 제2 연결 부재(108)끼리]의 간격이, 전지 모듈(103)의 전지(104)의 열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할수록 좁게 되어 있다.
전지 모듈(103)은 전지(104)의 열방향에서의 양단부(103b)가 지지된다. 또한, 스택 멤버(43), 스택 플레이트(114), 관통 볼트(112)가 고정보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하에서 이웃하는 전지 모듈(10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최하단의 전지 모듈(103)의 하방에도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을 흐르는 공기에 의해, 전지(104)를 냉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본체 프레임은 전지 모듈(103)의 열방향의 단부마다 대응하여 설치된 한 쌍의 기둥 부재인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 등을 갖고 있고, 차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는 각각이 대응하는 전지 모듈(103)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1 기둥 부재(121)는, 도 13의 (a),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둥 본체(123)와, 이 기둥 본체(123)에 고정된 제2 결합부로서의 복수의 핀 부재(124)를 갖고 있다.
핀 부재(124)의 선단부에는,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해 직경 축소하는 원추대 형상의 테이퍼부(124a)가 형성되어 있고, 보강 부재(118)의 결합 구멍(118c)에 삽입 관통되어 그 결합 구멍(118c)과 결합한다. 이 핀 부재(124)는, 구체적으로는 나사이다. 또한, 도 13의 (c)와 같이, 테이퍼부(124a)를 핀 부재(124)에 일체 형성해도 좋지만, 도 13의 (d)에 도시하는 핀 부재(224)와 같이, 핀 부재(224)의 선단에 테이퍼 형상의 별체의 캡(224a)을 끼워 맞추도록 해도 좋다.
기둥 본체(123)는 제1 평판부(123a)와, 이 제1 평판부(123a)의 측부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 평판부(123b)와, 이 제2 평판부(123b)의 측부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3 평판부(123c)와, 이 제3 평판부(123c)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4 평판부(123d)로 구성되어, 단면 대략 W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평판부(123a)에는 핀 부재(124)가 제1 기둥 부재(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핀 부재(124)와는 다른 핀 부재(126)도 제1 평판부(123a)에 고정되어 있다.
제4 평판부(123d)에는 삽입 관통 구멍(123e)이 기둥 부재(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삽입 관통 구멍(123f)이 기둥 부재(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123f)은 이웃하는 삽입 관통 구멍(123e)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한쪽의 삽입 관통 구멍(123f)에 대해서는 너트(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너트(125)는 제4 평판부(123d)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한쪽의 삽입 관통 구멍(123f)과 연통하고 있다.
제2 기둥 부재(122)는, 기본적으로는 제1 기둥 부재(121)와 동일하고, 제1 기둥 부재에 대해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기둥 부재(122)는, 도 14의 (a),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둥 본체(128)와, 이 기둥 본체(128)에 고정된 제2 결합부로서의 복수의 핀 부재(129)를 갖고 있다.
핀 부재(129)의 선단부에는 핀 부재(124)와 마찬가지로, 선단을 향해 직경 축소하는 테이퍼부(12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부(129a)에 보강 부재(118)의 결합 구멍(118c)이 삽입 관통되어 결합 구멍(118c)과 결합한다. 이 핀 부재(129)는 나사이다. 또한, 테이퍼부(129a)를 핀 부재(129)에 일체 형성해도 좋지만,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핀 부재의 선단에 테이퍼 형상의 별체의 캡(도시하지 않음)을 끼워 맞추도록 해도 좋다.
기둥 본체(128)는 제1 평판부(128a)와, 이 제1 평판부(128a)의 측부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2 평판부(128b)와, 이 제2 평판부(128b)의 측부 테두리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3 평판부(128c)와, 이 제3 평판부(128c)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4 평판부(128d)로 구성되어, 단면 대략 W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평판부(128a)에는 핀 부재(129)가 제2 기둥 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핀 부재(129)와는 다른 핀 부재(130)도 제1 평판부(128a)에 고정되어 있다.
제4 평판부(128d)에는 삽입 관통 구멍(128e)이 기둥 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삽입 관통 구멍(128f)이 기둥 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128f)은 이웃하는 삽입 관통 구멍(128e)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2 기둥 부재(122)에는 제1 기둥 부재(121)의 너트(125)에 대응하는 너트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전지 모듈의 위치 결정 방법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지 모듈의 위치 결정 방법은 복수의 전지(104)를 열 형상으로 갖는 전지 모듈(103)과 전지 모듈(103)의 열방향의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 부재인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의 상대적인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다. 전지 모듈(103)과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는, 도 15에 도시하는 지그 장치(200)를 사용하여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그 장치(200)는 팔레트(201)와, 기둥 부재(221, 222)의 회전 멈춤을 하는 회전 멈춤 부재인 볼트(204, 205)를 갖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팔레트(201)의 횡방향(좌우 방향) 및 종방향을 단순히, 횡방향 및 종방향이라고 한다.
팔레트(201)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다이부(201g)와, 이 다이부(201g)의 하부에 일체 형성된 다리부(201p)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다이부(201g)의 상면에는 횡방향의 양 테두리부에 한 쌍의 지지부(201a, 201b)가 종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지지부(201a, 201b) 사이에 블록부(201c)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부(201g)에 있어서의 한 쌍의 지지부(201a, 201b)와 블록부(201c) 사이에는 한 쌍의 홈부(201d, 201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홈부(201d, 201e)는 종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횡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01a, 201b)에는 횡방향을 따른 복수의 가로 홈부(201f, 201i)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 홈부(201f)끼리, 가로 홈끼리(201i)는 서로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201a, 201b)에는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201h, 201k, 201j)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201h)끼리, 삽입 관통 구멍(201k와 201j)은 종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각 삽입 관통 구멍(201h, 201k, 201j)은 지지부(201a, 201b)를 횡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각 삽입 관통 구멍(201h, 201k, 201j)에는 볼트(204 또는 205)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지지부(201a, 201b)의 외측면에는 보강판(201m)이 설치되어 있고, 삽입 관통 구멍(201h, 201k, 201j)은 이 보강판(201m)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지지부(201b)의 상면(201r)은 전지(104)의 열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간격 및 전지(104)의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고 제2 기둥 부재(12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블록부(201c)의 양측부에는 지지부(201a, 201b)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201h, 201k, 201j)과 동축 상에 위치하는 나사 구멍(201n)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201n)은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전지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지(104)의 열방향과 팔레트(201)의 횡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는 동시에, 전지(104)의 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팔레트(201)의 종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전지 모듈(103)이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를 통해 팔레트(201)에 적재된다.
이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 장치(200)에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를 조립 부착한다(기둥 부재의 조립 부착 공정).
상세하게는, 제1 기둥 부재(121)를 한쪽(좌측)의 지지부(201a)에 적재하는 동시에, 제2 기둥 부재(122)를 다른 쪽(타면)(우측)의 지지부(201b)에 적재한다. 이때,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의 제3 평판부(123c, 128c)를 지지부(201a, 201b)의 상면(201q, 201r)에 적재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의 제4 평판부(123d, 128d)를 지지부(201a, 201b)의 내측면(201s)[지지부(201b)의 내주면은 도시하지 않음]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한쪽(좌측)의 지지부(201a)의 안측의 삽입 관통 구멍(201h) 내로 및 제1 기둥 부재(121)의 안측의 삽입 관통 구멍(123f) 내로 볼트(204)를 삽입 관통하고, 그 볼트(204)를 너트(125)에 나사 결합시킨다. 다음에, 지지부(201a)의 전방측의 삽입 관통 구멍(201h) 내로 및 제1 기둥 부재(121)의 전방측의 삽입 관통 구멍(123f) 내로 볼트(205)를 삽입 관통하고, 그 볼트(205)를 나사 구멍(201n)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제1 기둥 부재(121)는 팔레트(201)에 고정된다.
다음에, 다른 쪽(우측)의 지지부(201b)의 안측의 삽입 관통 구멍(201j) 내로 및 제2 기둥 부재(122)의 안측의 삽입 관통 구멍(128f) 내로 볼트(205)를 삽입 관통하고, 그 볼트(205)를 대응하는 나사 구멍(201n)에 나사 결합시킨다. 또한 이와 함께, 지지부(201b)의 전방측의 삽입 관통 구멍(201k) 내로 및 제2 기둥 부재(122)의 전방측의 삽입 관통 구멍(128f) 내로 볼트(205)를 삽입 관통하고, 그 볼트(205)를 나사 구멍(201n)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제2 기둥 부재(122)는 지지부(201b)의 상면(201r)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기둥 부재(122)는 횡방향으로 하고, 제1 기둥 부재(12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횡방향[전지(104)의 열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간격 및 종방향[전지(104)의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고, 제2 기둥 부재(122)가 지지부(201b)의 상면(201r)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의 삽입 관통 구멍(123f, 128f)의 직경은 볼트(205)의 축부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삽입 관통 구멍(123f, 128f)은 볼트(205)에 대해 헐거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삽입 관통 구멍(128f)은 볼트(205)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횡방향[전지(104)의 열방향] 및 종방향[전지(104)의 열방향의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른 제2 기둥 부재(122)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1 기둥 부재(121)의 회전, 구체적으로는 종방향을 따른 가상축 주위의 회전이 볼트(204, 205)에 의해 저지되어 있는 동시에, 제2 기둥 부재(122)의 회전, 구체적으로는 종방향을 따른 가상축 주위의 회전이, 볼트(205)에 의해 저지되어 있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모듈(103)의 양단부에 슬링거(206)를 볼트(207, 208)에 의해 고정한다.
다음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도시하지 않음)에 슬링거(206)를 걸고, 크레인에 의해 전지 모듈(103)을 지그 장치(200)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 장치(200)에 조립 부착된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를 향해 전지 모듈(103)을 강하(이동)시키고,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의 핀 부재(124, 129)에 전지 모듈(103)의 삽입 관통 구멍(118b)을 결합시켜,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와 전지 모듈(103)의 상대 위치 결정을 행한다(상대 위치 결정 공정). 이때, 핀 부재(129)의 테이퍼부(129a)가 삽입 관통 구멍(118b)에 접촉하면서 삽입 관통 구멍(118b)에 삽입됨으로써, 제2 기둥 부재(122)가 자동적으로 전지 모듈(103)에 대해 위치 정렬된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을 한 후에, 핀 부재(124, 129)에 너트(209)를 나사 결합시켜, 전지 모듈(103)을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에 고정한다(고정 공정). 상기한 공정을 반복하여, 나머지 2개의 전지 모듈(103)을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한다(도 20 참조).
다음에, 각 전지 모듈(103)의 제2 지지 부재(113)의 연장 설치부(43a)의 너트(114c)에 볼트(210)를 나사 결합시켜, 연장 설치부(43a)를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에 고정한다(도 21 참조). 이때, 볼트(210)를 가로 홈부(201f, 201i)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그 볼트(210)를 너트(114c)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전지 모듈(103)로부터 슬링거(206)를 제거하고,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 이외의 프레임 부재나 제어 장치 등을 전지 모듈(103)에 설치함으로써 조전지(102)가 조립된다. 조전지(102)는 볼트(204, 205)를 제거함으로써, 팔레트(20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104)의 열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의 간격 및 그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상대 위치가 조정 가능하므로, 전지(104)의 열방향에서의 전지 모듈(103)의 치수 공차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멈춤 부재는 볼트(204, 205)이고, 기둥 부재인 제2 기둥 부재(122)는 볼트(205)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전지(104)의 열방향 및 이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른 당해 기둥 부재(122)의 이동을 허용하는 삽입 관통 구멍(128f)을 갖는다. 따라서, 비교적 간소한 구성으로, 제2 기둥 부재(122)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제2 기둥 부재(122)의 회전 멈춤을 행할 수 있다.
(3)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결합부는 결합 구멍(118c)이고, 결합부는 선단부를 향해 직경 축소하는 테이퍼부(124a, 129a)가 형성된 핀 부재(124, 129)인 것에 의해, 결합 구멍(118c)과 핀 부재(124, 129)를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06895호(출원일:2009년 4월 24일)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06856호(출원일:2009년 4월 24일)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실시 형태를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지지부로서는, 다른 쪽의 지지부(201b)의 상면(201r)으로 한정되지 않고, 한쪽의 지지부(201a)의 상면(201q)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너트(125)를 설치하지 않고, 대신에 나사 구멍(201n)을 형성하면 좋다. 이 경우, 상면(201q)은 횡방향[전지(104)의 열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간격 및 종방향[전지(104)의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제1 및 제2 기둥 부재(121, 122)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고, 제1 기둥 부재(12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슬라이드 지지부를, 양쪽의 지지부(201a, 201b)의 상면(201q, 201r)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즉, 슬라이드 지지부는 전지 모듈의 열방향에서의 한 쌍의 기둥 부재끼리의 간격 및 그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의 한 쌍의 기둥 부재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고 한 쌍의 기둥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기둥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점을 포함한다.
(1) 복수의 전지(104)를 열 형상으로 갖는 전지 모듈(103)과 상기 전지 모듈(103)의 열방향의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의 상대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전지 모듈(103)의 위치 결정 방법이며,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끼리(121, 122)의 상기 열방향을 따른 간격 및 상기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른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끼리(121, 122)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지그 장치(200)에,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를 조립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지그 장치(200)에 조립 부착된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와 상기 전지 모듈(103)을 상대 이동시키고, 상기 전지 모듈(103)의 피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의 결합부를 결합시켜, 상기 기둥 부재(121, 122)의 간격 및 상대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기둥 부재(121, 122)와 상기 전지 모듈(103)의 상대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위치 결정 방법.
(2) 상기 지그 장치(200)에는 상기 기둥 부재의 회전 멈춤 부재인 볼트(204, 205)가 설치되고, 상기 기둥 부재는 볼트(204, 205)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열방향 및 상기 직교 방향을 따른 당해 기둥 부재(121, 122)의 이동을 허용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고, 이들 볼트(204, 205)와 삽입 관통 구멍에 의해 기둥 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전지 모듈의 위치 결정 방법.
(3) 상기 피결합부는 결합 구멍이고, 상기 결합부는 선단부를 향해 직경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핀 부재(129)인 전지 모듈의 위치 결정 방법.
(4) 슬라이드 지지부를 갖는 팔레트(201)와 회전 멈춤 부재인 볼트(204, 205)를 구비하고, 전지 모듈(103)의 열방향의 양단부를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에 의해 지지한 조전지(102)에 대해, 상기 전지 모듈(103)과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를 위치 결정 가능한 조전지(102)의 지그 장치(200)이며,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 중 적어도 한쪽의 기둥 부재는 상기 회전 멈춤 부재가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열방향 및 상기 열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른 당해 기둥 부재(121, 122)의 이동을 허용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열방향을 따른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121, 122)의 간격 및 상기 직교 방향을 따른 상기 한 쌍의 기둥 부재끼리(121, 122)의 상대 위치를 조정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멈춤 부재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는 조전지의 지그 장치.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부가 설치된 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전지의 전체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부가 배치된 측과 다른 측면에 보조 기계류를 배치하면, 연장 설치부가 배치된 측은 연장 설치부에 의해 용적이 증대되는 한편, 보조 기계류가 설치된 측은 당해 보조 기계류에 의해 용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연장 설치부가 배치되는 측과 동일한 측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를 배치함으로써, 조전지의 전체 용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1 : 조전지
3 : 상측 전지 모듈(전지 모듈)
5 : 중앙측 전지 모듈(전지 모듈)
7 : 하측 전지 모듈(전지 모듈)
9 : 전지
12 : 보조 기계류
13 : 배터리 컨트롤러(보조 기계류)
14 : 와이어 하네스(보조 기계류)
16 : 설치 플레이트(보조 기계류)
35 : 지지 부재
36 : 엔드 플레이트(지지 부재)
37 : 보강 부재(지지 부재)
43 : 스택 멤버
43a : 연장 설치부
51 : 지지 브래킷

Claims (2)

  1.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부재와, 이들 지지 부재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전지 모듈과, 상기 지지 부재끼리를 걸쳐서 상기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스택 멤버를 구비한 조전지에 있어서,
    상기 스택 멤버의 단부를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 방향을 따라서 연장함으로써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 돌출되는 연장 설치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스택 멤버의 상기 연장 설치부를 지지 브래킷에 의해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가 설치된 상기 조전지의 측면 중, 적어도 상기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부가 배치된 측의 측면에 보조 기계류를 설치한, 조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멤버의 연장 설치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상기 보조 기계류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 모듈로부터의 돌출 길이보다도 크게 설정한, 조전지.
KR1020117024916A 2009-04-24 2010-04-23 조전지 KR101248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6895 2009-04-24
JPJP-P-2009-106856 2009-04-24
JP2009106856 2009-04-24
JPJP-P-2009-106895 2009-04-24
PCT/JP2010/057216 WO2010123091A1 (ja) 2009-04-24 2010-04-23 組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09A KR20120007009A (ko) 2012-01-19
KR101248688B1 true KR101248688B1 (ko) 2013-04-01

Family

ID=4301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916A KR101248688B1 (ko) 2009-04-24 2010-04-23 조전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592068B2 (ko)
EP (1) EP2423999A4 (ko)
JP (1) JP5413457B2 (ko)
KR (1) KR101248688B1 (ko)
CN (1) CN102414866B (ko)
BR (1) BRPI1014493A2 (ko)
IL (1) IL215779A0 (ko)
MX (1) MX2011011002A (ko)
RU (1) RU2495517C2 (ko)
WO (1) WO2010123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2268B2 (ja) * 2009-01-28 2014-03-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KR101191662B1 (ko) * 2010-11-05 2012-10-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734309B2 (ja) * 2010-11-17 2015-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
KR101303416B1 (ko) * 2011-02-15 2013-09-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US8968912B2 (en) * 2011-12-21 2015-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attery for a vehicle
AT513127B1 (de) * 2012-08-21 2014-02-15 Avl List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EP2899773B1 (en) * 2012-09-18 2018-01-03 Nissan Motor Co., Ltd. Assembled battery
JP6132284B2 (ja) * 2013-05-30 2017-05-24 Fdk株式会社 スペーサ
EP3031647B1 (en) 2013-08-07 2018-09-05 Nissan Motor Co., Ltd Structure for mounting battery on vehicle
US9543556B2 (en) 2013-10-18 2017-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assembly
JP6206308B2 (ja) * 2014-04-11 2017-10-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6318862B2 (ja) * 2014-05-29 2018-05-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US9911951B2 (en) 2014-09-30 2018-03-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compressed cell assembly
KR101805650B1 (ko) * 2015-08-28 2017-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101805652B1 (ko) * 2015-08-28 2017-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102091767B1 (ko) * 2015-10-22 2020-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보호 구조물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10497998B2 (en) 2016-05-09 2019-12-03 Nikola Corporation Electric battery assembly
US10308132B2 (en) 2016-05-09 2019-06-04 Nikola Corporation Electric utility terrain vehicle
US10581126B2 (en) 2016-05-09 2020-03-03 Nikola Corporation Electric battery assembly
JP6310990B1 (ja) * 2016-10-26 2018-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固定構造
KR102249896B1 (ko) * 2016-11-08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이차 전지 팩
CN209401684U (zh) * 2018-12-29 2019-09-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11384325B (zh) * 2018-12-29 2021-02-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US11258128B2 (en) * 2020-01-22 2022-02-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reinforcement assemblies
EP4128429A1 (en) * 2020-04-01 2023-02-08 TVS Motor Company Limited A battery block
JP7380728B2 (ja) 2022-03-15 2023-11-1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のバッテリボックス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CN115714227A (zh) * 2022-11-15 2023-02-24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及电池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170A (ja) * 1995-03-27 1996-10-11 Yuasa Corp 集合電池装置
JP2004311290A (ja) * 2003-04-09 2004-11-04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温度差低減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JP2006120489A (ja) 2004-10-22 2006-05-11 Yazaki Corp バッテリ用樹脂カバー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
JP2008186725A (ja) * 2007-01-30 2008-08-1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600393A (ko) * 1968-12-31 1970-07-20
FR2344133A1 (fr) * 1976-03-09 1977-10-07 Accumulateurs Fixes Chassis pour batterie d'accumulateurs
GB1537108A (en) * 1976-08-20 1978-12-29 Chloride Group Ltd Cell racks for holding electric cells
SU1762343A1 (ru) * 1990-04-02 1992-09-15 С.А.Ивашков Аккумул торна батаре
JP3365577B2 (ja) * 1994-05-27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形ニッケル−水素蓄電池の単電池および単位電池
JP3271494B2 (ja) * 1995-10-24 2002-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積層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
JP4088360B2 (ja) * 1997-10-20 2008-05-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集合型密閉二次電池
JP3702149B2 (ja) * 2000-05-31 2005-10-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0857021B1 (ko) * 2004-12-10 2008-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결착식 전지팩
JP4783137B2 (ja) 2005-12-15 2011-09-2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023969B2 (ja) 2007-10-30 2012-09-12 マツダ株式会社 排ガス成分浄化用触媒材及び同触媒材付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
JP5040594B2 (ja) 2007-10-31 2012-10-0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脱水有機廃棄物の含水率低減方法と低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並びに脱水有機廃棄物の含水率低減設備
RU76169U1 (ru) * 2008-04-04 2008-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циональная инновационная компания "Новые энергетические проекты" (ООО "Национальная инновационная компания "НЭП") Корпус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170A (ja) * 1995-03-27 1996-10-11 Yuasa Corp 集合電池装置
JP2004311290A (ja) * 2003-04-09 2004-11-04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の温度差低減装置および電池パック
JP2006120489A (ja) 2004-10-22 2006-05-11 Yazaki Corp バッテリ用樹脂カバーの組付構造及び組付方法
JP2008186725A (ja) * 2007-01-30 2008-08-1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0210B2 (en) 2015-09-08
EP2423999A1 (en) 2012-02-29
JP5413457B2 (ja) 2014-02-12
CN102414866B (zh) 2015-11-25
KR20120007009A (ko) 2012-01-19
US20120040237A1 (en) 2012-02-16
RU2495517C2 (ru) 2013-10-10
US20140065458A1 (en) 2014-03-06
WO2010123091A1 (ja) 2010-10-28
IL215779A0 (en) 2012-01-31
BRPI1014493A2 (pt) 2016-04-05
CN102414866A (zh) 2012-04-11
MX2011011002A (es) 2011-11-02
RU2011147728A (ru) 2013-07-27
JPWO2010123091A1 (ja) 2012-10-25
US8592068B2 (en) 2013-11-26
EP2423999A4 (en)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688B1 (ko) 조전지
EP3412486B1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08630851B (zh) 电池组
EP2402193B1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EP2402192A1 (en) Battery installation structure
JP2010272520A (ja) 組電池
CN110182035B (zh) 牵引电池
US11990635B2 (en) Frame structure assembly kit,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KR20220068237A (ko) 연결 어셈블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장치
EP3748718B1 (en) Battery pack
JP5663937B2 (ja) 電池モジュールの位置決め方法及び組電池の組付治具
JP2001088564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取付構造
US11351851B2 (en) Fastening apparatus for fastening a high-voltage storage housing to a bodyshell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and high-voltage storage housing
CN112531247A (zh) 包括托盘和横向构件的电池结构
KR20220054323A (ko) 자동차용 전력 공급 조립체
KR20200048207A (ko) 연결용 플레이트가 구비된 배터리
CN213799215U (zh) 动力电池安装装置及新能源汽车
CN114074733B (zh) 用于车辆的副框架组件
JP7367594B2 (ja) バッテリーの車体アース構造、及びバッテリーの車体アース方法
KR101293643B1 (ko) 패치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JP6724504B2 (ja) 電池パック、及び、車両
DE102023114334A1 (de) Rückhaltestrategien für variable arrays
DE102023123365A1 (de) Zellenstapel-zu-zellenstapel-verbindungen für traktionsbatteriepacks
DE102023123397A1 (de) Sammelschienenführungskonfigurationen für traktionsbatteriepacks
KR20230072443A (ko) 전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