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660B1 -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660B1
KR101248660B1 KR1020107027582A KR20107027582A KR101248660B1 KR 101248660 B1 KR101248660 B1 KR 101248660B1 KR 1020107027582 A KR1020107027582 A KR 1020107027582A KR 20107027582 A KR20107027582 A KR 20107027582A KR 101248660 B1 KR101248660 B1 KR 10124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bolt
bracket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309A (ko
Inventor
다까히꼬 하라
Original Assignee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4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114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048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4979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9Fluid interconnections, e.g. fluid connectors,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 F16L3/104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and being adapted to accommodate pipes of various di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two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실린더 튜브(2)의 외주면(2a)에 장착한 밴드(10)에 고정된 브래킷(20)이 배관(4)을 지지한다. 밴드(10)는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탭(11a)과,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11b)을 구비한다. 배관(4)을 지지하는 브래킷(20)은 1쌍의 다리판부(20a)와 다리판부(20a)를 결합하는 다리판부(20a)와 일체 형성된 정판부(20b)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1쌍의 다리판부(20a)를 제1 탭(11a)과 제2 탭(11b)에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소형이고 또한 경량인 배관 고정 구조가 실현된다.

Description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 {PIPE SECURING STRUCTURE FOR CYLINDER TUBE}
본 발명은 유체압 실린더 등의 실린더 튜브의 외주의 근방에 작동 유체의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작업기의 붐을 구동하는 유체압 실린더는 작동 유체의 배관을, 예를 들어 실린더 튜브의 측면에 고정하고 있다. 배관의 진동의 방지, 배관 접속부의 풀림 방지 멈춤 및 실린더 튜브를 포함한 배치 스페이스의 콤팩트화를 고려하면, 배관은 실린더 튜브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청이 2008년에 발행한 JP2008-057606A는, 이를 위한 배관의 실린더 튜브로의 고정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이 제안하는 배관 고정 구조는, 실린더 튜브에 체결한 1쌍의 밴드와, 한쪽의 밴드에 용접한 판금제의 브래킷을 구비하고, 브래킷에는 블록 형상의 클램프가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다. 배관은 클램프와 브래킷에 끼움 지지된다.
이 배관 구조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에 대한 배관의 설치 위치의 변경이나, 실린더 튜브의 외경의 변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때마다 부품의 치수나 밴드에 대한 브래킷의 용접 위치를 변경해야만 한다.
또한, 블록 형상의 클램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배관의 직경이 커지면 클램프의 직경도 크게 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클램프와 브래킷을 포함하여 배관 구조가 대형화되고, 중량도 증대한다. 또한, 브래킷을 밴드에 용접하므로,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밴드가 파손되지 않도록, 밴드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점도, 배관 구조의 중량 증대의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또한 경량이며, 실린더 튜브의 직경이나 배관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대한 대응 범위가 넓은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린더 튜브에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의 외주에 체결되는 밴드, 밴드는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탭과,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을 구비하고, 배관을 지지하는 브래킷, 브래킷은 1쌍의 다리판부와 다리판부를 결합하는 다리판부와 일체 형성된 정판부(頂板部)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1쌍의 다리판부는 제1 탭과 제2 탭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실린더 튜브에 배관을 지지하는 유체압 실린더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의 외주에 체결되는 밴드, 밴드는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탭과,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을 구비하고, 배관을 지지하는 브래킷, 브래킷은 1쌍의 다리판부와 다리판부를 결합하는 다리판부와 일체 형성된 정판부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1쌍의 다리판부는 제1 탭과 제2 탭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세 및 다른 특징이나 이점은 명세서의 이하의 기재 중에서 설명되는 동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배관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유체압 실린더 주요부의 절단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밴드와 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브래킷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클램프의 측면도.
도 4는 브래킷과 클램프의 정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탭과 볼트의 위치를 설명하는 밴드와 브래킷의 측면도 및 볼트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밴드의 측면도.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작업 기계의 붐 등을 구동하는 유체압 실린더(1)는 실린더 튜브(2)의 내측에 구성되어, 배관(4)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 유체압에 의해 작동한다. 작동 유체는, 예를 들어 작동유로 구성된다. 작동유 대신에, 수용성 대체액 혹은 에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관(4)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 고정 구조를 기초로 실린더 튜브(2)의 외주에 고정된다.
배관 고정 구조는 실린더 튜브(2)의 외주면(2a)에 권취되어 고정되는 1쌍의 밴드(10)와, 밴드(10)에 고정되는 브래킷(20)과, 배관(4)을 브래킷(20)과의 사이에서 끼움 지지하는 클램프(40)를 구비한다. 배관(4)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배관 고정 구조를 통해 실린더 튜브(2)와 평행하게 지지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밴드(10)는 판금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밴드(10)는, 실린더 튜브(2)의 외주면(2a)에 고정되는 띠판 형상의 본체부(10b)와, 실린더 튜브(2)의 외주면(2a)에 고정한 본체부(10b)의 축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래디얼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탭(11a)과, 한 쌍의 제1 탭(11a)으로부터 각도 간격(θ)을 두고 설치된 동일한 한 쌍의 제2 탭(11b)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b)는 실린더 튜브(2)의 대략 반주를 커버하기 위해, 대략 180도의 원호 형상 단면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0b)의 원주 방향의 양단부에는 래디얼 방향으로 절곡된 결합부(10a)가 각각 형성된다. 각 결합부(10a)에는 결합 구멍(10c)이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밴드(10)의 실린더 튜브(2)로의 고정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2조의 밴드(10)를 사용하여, 한쪽의 밴드(10)의 결합부(10a)가 다른 한쪽의 밴드(10)의 결합부(10a)에 마주 대하도록 실린더 튜브(2)를 둘러싸고, 마주 대하는 결합부(10a)의 결합 구멍(10c)에 관통시킨 볼트(5)의 선단을 너트(6)에 나사 결합시킨다. 너트(6)는 각 밴드(10)의 한쪽의 결합부(10a)에 미리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실린더 튜브(2)의 외경을 D로 하면, 밴드(10)의 본체부(10b)의 횡단면은 곡률 반경이 대략 D/2인 원호를 이룬다.
밴드(10)는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판금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본체부(10b), 결합부(10a), 한 쌍의 제1 탭(11a) 및 한 쌍의 제2 탭(11b)을 미리 일체로 형성한다. 외경이 다른 실린더 튜브(2)에 이 배관 고정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곡률 반경(R)이 실린더 튜브(2)의 외경(D)의 1/2인 밴드를 적용한다.
한 쌍의 제1 탭(11a)과 한 쌍의 제2 탭(11b)에는 브래킷(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12)이 각각 동축 상에 형성된다. 밴드(10)와 브래킷(20)의 상대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해, 고정 구멍(12)은, 바람직하게는 래디얼 방향의 긴 구멍으로 형성한다.
브래킷(20)은 1쌍의 다리판부(20a)와, 다리판부(20a)를 결합하는 다리판부(20a)와 일체 형성된 정판부(20b)로 이루어지고, 이들에 의한 역U자형 단면을 갖는다. 이 도면에서는 정판부(20b)를 편평하게 형성하고 있지만, 정판부(20b)를 아치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리판부(20a)에는 원형 단면의 제1 볼트 구멍(22)과, 타원형 단면의 제2 볼트 구멍(23)이 형성된다. 타원형 단면의 제2 볼트 구멍(23)은 제1 볼트 구멍(22)의 중심과 제2 볼트 구멍(23)의 중심을 연결하는 볼트 구멍 기준선(G)을 따라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타원형 단면의 장축이 볼트 구멍 기준선(G)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브래킷(20)의 2개의 제1 볼트 구멍(22)은 동축 상에 위치하고, 2개의 제2 볼트 구멍(23)은 동축 상에 위치한다.
브래킷(20)은 양 다리판부(20a)의 내면이 한 쌍의 제1 탭(11a)과 한 쌍의 제2 탭(11b)의 외면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횡단 방향의 치수가 설정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브래킷(20)의 양 다리판부(20a)의 2개의 제1 볼트 구멍(22)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탭(11a)의 2개의 고정 구멍(12)에 볼트(7)가 관통하고, 관통 단부에 너트(17)가 체결된다. 또한, 양 다리판부(20a)의 2개의 제2 볼트 구멍(23)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탭(11b)의 2개의 고정 구멍(12)에 볼트(8)가 관통하여, 관통 단부에 너트(18)가 체결되어 있다. 브래킷(20)은 이와 같이 하여 밴드(10)에 고정된다.
브래킷(20)에는 배관(4)을 수납하기 위한 절결부(20d)가 형성된다. 절결부(20d)는 브래킷(20)을 밴드(10)를 통해 실린더 튜브(2)에 고정한 상태로, 실린더 튜브(2)의 중심축(O2)의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래디얼 방향 외향의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다.
브래킷(20)은 절결부(20d)를 포함하여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판금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된다.
클램프(40)는 정판부(20b)에 볼트(9)와 너트(19)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기부(40a)와, 기부(40a)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40b)로 이루어진다. 브래킷(20)의 정판부(20b)에는 기부(40a)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20e)이 형성된다. 너트(19)는 미리 구멍(20e)의 주위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선단부(40b)는 브래킷(20)의 절결부(20d)에 마주 대하는 원호 형상 단면으로 형성된다. 클램프(40)는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판금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배관(4)을 브래킷(20)에 고정할 때에는, 배관(4)을 절결부(20d)에 위치시킨 상태로 클램프(40)의 기부(40a)를 정판부(20b)에 볼트(9)와 너트(19)로 고정한다. 이에 의해, 배관(4)은 브래킷(20)과 브래킷(20)에 외팔보 지지된 클램프(40)에 끼움 지지되어, 절결부(20d)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여기서, 브래킷(20)의 절결부(20d)의 원호 형상 단면과 클램프(40)의 선단부(40b)의 원호 형상 단면은 모두 반경(R)으로 설정된다. 이 배관 고정 구조는 반경(R)의 배관(4A)과, 그것보다 소경인 배관(4B) 혹은 더욱 소경인 배관(4C)을 지지하는 것을 상정하여 설계된다. 즉, 반경(R)은 브래킷(20)이 지지 가능한 배관의 최대 직경과 동등하게 설정된다. 이 배관 고정 구조를 배관(4B) 또는 배관(4C)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선단부(40b)의 원호 형상 단면의 반경(R)을 보다 작게 한 클램프(40)를 사용한다. 즉, 이 배관 고정 구조에 따르면, 클램프(40)의 교환만으로 브래킷(20)을 교환하지 않고 반경(R)이 다른 복수의 배관(4)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40)를 도면의 래디얼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재로 형성하면, 동일한 클램프(40)를 사용하여 절결부(20d)에 직경이 다른 배관(4)을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클램프(40)를, 기부(40a)를 고정한 외팔보 구조로 하는 것은, 클램프(40)의 래디얼 방향의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실린더 튜브(2)의 중심축(O2)과 한 쌍의 제1 탭(11a)의 고정 구멍(12)의 중심(O7)을 연결하는 직선(F1)과, 실린더 튜브(2)의 중심축(O2)과 한 쌍의 제2 탭(11b)의 고정 구멍(12)의 중심(O8)을 연결하는 직선(F2)은 각도(θ)를 이룬다. 각도(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탭(11a)과 한 쌍의 제2 탭(11b)의 각도 간격에 상당한다.
이 배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는, 실린더 튜브(2)의 외경(D)의 변화에 따라서 다른 직경의 밴드(10)가 사용된다. 한편, 브래킷(20)에 관해서는, 다른 직경의 밴드(10)에 대해 동일한 브래킷(20)이 사용된다.
도면에 있어서, 제2 볼트(8)는 타원형의 제2 볼트 구멍(23)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다. 이때의 실린더 튜브(2)의 외경(D)을 표준 직경으로 한다. 표준 직경보다 큰 외경(D)의 실린더 튜브(2)에 밴드(1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응하여 직경이 큰 밴드(10)가 사용된다. 이 경우에, 제2 볼트(8)의 제2 볼트 구멍(23)의 관통 위치는, 제2 볼트 구멍(23)의 중앙보다도 제1 볼트 구멍(2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반대로 표준 직경보다 작은 외경(D)의 실린더 튜브(2)의 경우에는, 대응하여 직경이 작은 밴드(10)가 사용된다. 이 경우에, 제2 볼트(8)의 제2 볼트 구멍(23)의 관통 위치는, 제2 볼트 구멍(23)의 중앙보다도 제1 볼트 구멍(2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 튜브(2)의 외경(D)의 차이에 따라서 다른 직경의 밴드(10)가 사용된다. 어떤 직경의 밴드(10)에 있어서도, 직선(F1과 F2)의 각도(θ)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1 탭(11a)과 제2 탭(11b)의 형성 위치를 미리 설정한다.
한편, 밴드(10)의 직경의 차이에 의하지 않고 동일한 브래킷(20)을 사용하므로, 이 배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는, 제1 볼트(7)의 중심(O7)을 지나고, 직선(F1)과 직교하는 직선(E)과, 전술한 볼트 구멍 기준선(G)이 이루는 각도(α)를, 직선(F1과 F2)이 이루는 각도(θ)의 1/2로 설정한다.
도면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2)의 중심축(O2)으로부터 제1 볼트(7)의 중심(O7)에 이르는 거리와, 실린더 튜브(2)의 중심축(O2)으로부터 제2 볼트(8)의 중심(O8)에 이르는 거리는 동등하게 설정된다. 이 거리를 L로 한다. 거리(L)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0080781245-pct00001
단, 거리(H) = 실린더 튜브(2)의 외주면(2a)으로부터 제1 볼트(7)의 중심(O7) 또는 제2 볼트(8)의 중심(O8)까지의 거리.
거리(H)는 배관(4)이 실린더 튜브(2)와 간섭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다. 거리(H)는 밴드(10)의 직경에 의하지 않고 일정하게 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직선(F1)에 따른 제1 볼트(7)의 중심(O7)과 제2 볼트(8)의 중심(O8)의 거리(X)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0080781245-pct00002
직선(F1)과 직교하는 직선(E)에 따른 제1 볼트(7)의 중심(O7)과 제2 볼트(8)의 중심(O8)의 거리(Y)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0080781245-pct00003
또한, 제1 볼트(7)의 중심(O7)과 제2 볼트(8)의 중심(O8)의 거리(Z)는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0080781245-pct00004
다른 직경의 밴드(10)를 사용하면, 거리(Z)도 변화된다. 따라서, 제2 볼트 구멍(23)의 길이(P)는, 거리(Z)의 최대치와 최소치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배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는, 직경이 다른 밴드(10)에 관하여, 각도(θ)와 거리(H)가 각각 일정치로 유지되도록, 제1 탭(11a)과 제2 탭(11b)을 배치하는 한편, 브래킷(20)의 제2 볼트 구멍(23)을 볼트 구멍 기준선(G)을 따른 긴 구멍으로 형성한다.
이 설정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밴드(10)에 고정된 브래킷(20)은, 항상 밴드(10)에 대해 도 5a에 도시하는 각도(α)와 거리(H)를 유지한다. 따라서, 외경(D)이 다른 실린더 튜브(2)에 배관(4)을 고정하는 경우라도, 동일한 브래킷(20)을 사용하여 실린더 튜브(2)와 배관(4)의 거리와 위치 관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볼트 구멍(23)을 긴 구멍으로 형성하는 대신에, 둥근 구멍으로 형성하고, 제1 볼트 구멍(22)을 볼트 구멍 기준선(G)을 따른 긴 구멍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배관 고정 구조에 따르면, 다른 직경의 밴드(10)와, 1종류의 브래킷(20)을 사용하여, 다양한 외경(D)의 실린더 튜브(2)에 다양한 반경(R)의 배관(4)을 거리와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고정 구조가 필요로 하는 부품 수를 절감시킬 수 있어, 배관(4)의 실린더 튜브(2)로의 고정에 필요로 하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밴드(10), 브래킷(20), 클램프(40)는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판금을 각각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므로, 배관 고정 구조의 구성 부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가 가능하다. 브래킷(20)은 탭(11a, 11b)에 고정되는 양 다리판부(20a)와 양 다리판부(20a)를 결합하는 정판부(20b)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배관(4)의 지지에 관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브래킷(20)은 1개의 배관(4)을 지지하고 있지만, 브래킷(20)이 복수의 배관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쌍의 탭[11a(11b)]과 브래킷(20)의 양 다리판부(20a)를 관통하는 볼트[7(8)]에 너트[17(18)]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브래킷(20)을 밴드(10)에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쪽의 탭[11a(11b)]과 한쪽의 다리판부(20a)를 볼트와 너트로 결합하도록 하여, 합계 4개의 볼트와 4개의 너트로, 브래킷(20)을 밴드(10)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 다리판부(20a)가 각 탭[11a(11b)]에 개별로 고정되므로, 다리판부(20a)의 쓰러짐 방향에 관한 지지 강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브래킷(20)의 밴드(10)로의 고정 구조는 볼트와 너트에 의한 고정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클램프(40)는 기부(40a)를 정판부(20b)에 볼트(9)와 너트(19)로 고정한 외팔보 구조로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클램프(40)의 기부(40a)와 반대측의 선단부(40b)의 선단에 별도의 기부를 설치하여, 2개의 기부를 각각 개별로 볼트로 브래킷(2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밴드(10)의 구성에 관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밴드(10)의 본체부(10b)의 외주에는 동등한 각도 간격(θ)으로 5쌍의 탭(11a-11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10b)의 외주에 3쌍 이상의 탭을 형성함으로써, 브래킷(20)의 밴드(10)로의 둘레 방향의 설치 위치에 관한 선택지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b)의 외주에 4쌍 이상의 탭을 형성하면, 1개의 밴드(10)에 2기의 브래킷(20)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 관하여 2009년 4월 23일을 출원일로 하는 일본에 있어서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04887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04889호의 내용을 여기에 인용에 의해 합체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개의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 있어서는, 클레임의 기술 범위에서 이들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 혹은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작업 기계용 유체압 실린더에 적합하지만, 적용 대상은 이에 머무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포함하는 배타적 성질 혹은 특징은 이하와 같이 클레임 된다.

Claims (10)

  1. 실린더 튜브(2)에 배관(4)을 지지하는 배관 고정 구조에 있어서,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탭(11a)과, 래디얼 방향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11b)을 구비하고, 실린더 튜브(2)의 외주(2a)에 체결되는 밴드(10)와,
    제1 탭(11a)과 제2 탭(11b)에 고정되는 다리판부(20a)와, 다리판부(20a)와 일체로 형성된 정판부(20b)를 구비하는 브래킷(20)과,
    정판부(20b)에 고정되는 기부(40a)와, 브래킷(20)과의 사이에 배관(4)을 끼움 지지하고 기부(40a)와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40b)를 구비하는 클램프(40)
    를 구비하는, 배관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브래킷(20)은 1쌍의 다리판부(20a)가 제1 탭(11a)과 제2 탭(11b)에 고정된 상태로, 실린더 튜브(2)의 축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외향의 원호 형상 단면을 갖고, 배관(4)을 지지하는 절결부(20d)를 갖는, 배관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밴드(10)와 브래킷(20)은 각각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배관 고정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2)는 중심축(O2)을 갖고, 브래킷(20)은 제1 볼트 구멍(22)과 제2 볼트 구멍(23)을 갖고, 제1 탭(11a)과 제2 탭(11b)에는 고정 구멍(12)이 각각 형성되고, 제1 탭(11a)의 고정 구멍(12)과 제2 탭(11b)의 고정 구멍(12)은 중심축(O2)을 중심으로 각도(θ)를 이루고, 제1 볼트 구멍(22)과 제1 탭(11a)의 고정 구멍(12)을 관통하여 브래킷(20)을 제1 탭(11a)에 고정하는 제1 볼트(7)와, 제2 볼트 구멍(23)과 제2 탭(11b)의 고정 구멍(12)을 관통하여 브래킷(20)을 제2 탭(11b)에 고정하는 제2 볼트(8)를 구비하고, 제1 볼트 구멍(22)과 제2 볼트 구멍(23) 중 적어도 한쪽을, 제1 볼트 구멍(22)의 중심과 제2 볼트 구멍(23)의 중심을 연결하는 볼트 구멍 기준선(G)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형성하고, 중심축(O2)과 제1 탭(11a)의 고정 구멍(1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F1)에 직교하고, 또한 제1 볼트(7)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E)과, 볼트 구멍 기준선(G)이 이루는 각도(α)를, α = 1/2ㆍθ로 설정하는, 배관 고정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밴드(10)는 고정 구멍(12)이 중심축(O2)과 평행한 축 상에 포개어지도록 배치된 1쌍의 제1 탭(11a)과, 고정 구멍(12)이 중심축(O2)과 평행한 축 상에 포개어지도록 배치된 1쌍의 제2 탭(11b)을 구비하고, 제1 볼트 구멍(22)은 1쌍의 다리판부(20a)의 각각에 형성되고, 제2 볼트 구멍(23)은 1쌍의 다리판부(20a)의 각각에 형성되고, 제1 볼트(7)는 1쌍의 다리판부(20a)의 제1 볼트 구멍(22)과 1쌍의 제1 탭(11a)의 고정 구멍(12)을 관통하고, 제2 볼트(8)는 1쌍의 다리판부(20a)의 제2 볼트 구멍(23)과 1쌍의 제2 탭(11b)의 고정 구멍(12)을 관통하는, 배관 고정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밴드(10)는 원주 방향으로 각도(θ)를 두고 배치된 3쌍 이상의 탭(11a-11e)을 구비하는, 배관 고정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제1 탭(11a)의 고정 구멍(12)과 제2 탭(11b)의 고정 구멍(12)은 모두 래디얼 방향의 긴 구멍으로 형성되는, 배관 고정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정판부(20b)는 편평하게 형성되고, 배관 고정 구조는 정판부(20b)에 고정되는 기부(40a)와, 절결부(20d)에 마주 대하는 원호 형상 단면을 갖는 기부(40a)와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40b)를 구비하고, 절결부(20d)와 선단부(40b) 사이에서 배관(4)을 끼움 지지하는 클램프(40)를 더 구비하는, 배관 고정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밴드(10)는 대략 180도의 원호 형상 단면을 이루고, 둘레 방향의 양단부에 결합 구멍(10c)을 갖는 동시에, 1쌍의 밴드(10)를 결합 구멍(10c)이 마주 대하도록 실린더 튜브(2)의 외주에 배치하고, 마주 대하는 결합 구멍(10c)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실린더 튜브(2)의 외주에 고정되는, 배관 고정 구조.
  10. 실린더 튜브(2)에 배관(4)을 지지하는 유체압 실린더(1)에 있어서,
    래디얼 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탭(11a)과, 래디얼 방향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탭(11b)을 구비하고, 실린더 튜브(2)의 외주(2a)에 체결되는 밴드(10)와,
    제1 탭(11a)과 제2 탭(11b)에 고정되는 다리판부(20a)와, 다리판부(20a)와 일체로 형성된 정판부(20b)를 구비하는 브래킷(20)과,
    정판부(20b)에 고정되는 기부(40a)와, 브래킷(20)과의 사이에 배관(4)을 끼움 지지하고 기부(40a)와 일체로 형성된 선단부(40b)를 구비하는 클램프(40)
    를 구비하는, 유체압 실린더.
KR1020107027582A 2009-04-23 2010-03-26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 KR101248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4889A JP5111429B2 (ja) 2009-04-23 2009-04-23 流体圧シリンダ及び配管固定構造
JPJP-P-2009-104887 2009-04-23
JPJP-P-2009-104889 2009-04-23
JP2009104887A JP5344979B2 (ja) 2009-04-23 2009-04-23 流体圧シリンダ及び配管固定構造
PCT/JP2010/056042 WO2010122891A1 (ja) 2009-04-23 2010-03-26 シリンダチューブの配管固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9A KR20110005309A (ko) 2011-01-17
KR101248660B1 true KR101248660B1 (ko) 2013-03-28

Family

ID=4301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82A KR101248660B1 (ko) 2009-04-23 2010-03-26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3934B2 (ko)
EP (1) EP2423516B1 (ko)
KR (1) KR101248660B1 (ko)
CN (1) CN102084137B (ko)
WO (1) WO2010122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1774B2 (en) * 2011-12-22 2015-03-31 Panduit Corp. Cable tie mount
US9093830B2 (en) * 2012-07-12 2015-07-2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able clamp assembly with double captive screw
JP6070213B2 (ja) * 2013-01-24 2017-02-01 Kyb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配管固定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3773B2 (ja) * 2013-03-28 2016-09-14 Kyb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配管固定具
JP5993774B2 (ja) * 2013-03-28 2016-09-14 Kyb株式会社 流体圧シリンダの配管固定具
US8857084B2 (en) 2013-05-20 2014-10-14 Gary Courter Mobile advertising displays
US20150176822A1 (en) * 2013-12-23 2015-06-25 Chien-Ting Lin Light reflector clamp
US9640095B2 (en) * 2013-12-23 2017-05-02 Chien-Ting Lin Photography light panel reflector clamp
JP6408808B2 (ja) * 2014-07-10 2018-10-1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圧縮機
CN107000527B (zh) * 2014-12-03 2019-08-27 爱康车辆动力学有限公司 减震器
GB201610790D0 (en) * 2016-06-21 2016-08-03 Advanced Insulation Plc Mounting arrangement
CN106143651A (zh) * 2016-08-09 2016-11-23 南京创源天地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客车中的储气筒抱箍
JP2018155408A (ja) * 2018-05-22 2018-10-04 Kyb−Ys株式会社 機器取付構造
CN112856234B (zh) * 2021-03-01 2024-03-29 西安奥腾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高压管道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844B1 (ko) * 1994-12-14 1999-03-20 차노 다카시 너클브래킷
JP2004364358A (ja) * 2003-06-02 2004-12-24 Iwabuchi Corp 円筒体で成る機器装柱用腕金の縦部の支持装置
JP2008057606A (ja) * 2006-08-30 2008-03-13 Kayaba Ind Co Ltd 流体圧シリンダ及び配管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398A (en) * 1910-03-11 1910-12-13 Joseph J Rischard Hose-clamp.
US1774775A (en) * 1929-05-09 1930-09-02 Jr John A Weitz Bracket for electric lights and flash lights
US3385545A (en) * 1966-02-09 1968-05-28 Robert P. Patton Conduit hanging apparatus
GB1427922A (en) 1972-03-03 1976-03-10 Unilever Ltd Stabilized additive
JPS5322681Y2 (ko) * 1972-03-13 1978-06-13
US4103853A (en) * 1976-12-22 1978-08-01 Mcgraw-Edison Company Aluminum cluster mount
JPS61187861A (ja) 1985-02-14 1986-08-21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JPS61187861U (ko) * 1985-05-14 1986-11-22
DE3766531D1 (de) * 1986-03-26 1991-01-17 Siemens Ag Einrichtung zur mechanischen entkopplung eines rohrleitungssystems.
DE3621484A1 (de) * 1986-06-24 1988-01-21 Hubert Combe Rohrschelle zur wahlweisen pendelnden und starren aufhaengung von rohren
JP2700006B2 (ja) 1987-10-19 1998-0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US6408492B1 (en) * 1988-03-21 2002-06-25 Ronald V. Sparks Holder for slender elongated articles such as fishing rod sections
US5035383A (en) * 1989-02-16 1991-07-3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pace saver service clamp
US5193774A (en) * 1992-05-26 1993-03-16 Rogers J W Mounting bracket apparatus
JPH0656506A (ja) 1992-06-05 1994-03-01 Veitscher Magnesitwerke Ag 微粒の耐火酸化物微紛末を使用するセラミツク素地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US5703330A (en) * 1992-11-16 1997-12-30 Bundy Corporation Wire harness conduit and tube bundle
JPH0656506U (ja) * 1993-01-20 1994-08-0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シリンダの配管固定構造
US5320312A (en) * 1993-05-05 1994-06-14 Stainless, Inc. Cable cluster mount
US5405113A (en) * 1994-01-24 1995-04-11 Jaw; Chin-Woei Bicycle padlock holder
DE4432781A1 (de) * 1994-09-15 1996-03-21 Hilti Ag Rohr- und Kabelschelle mit Fußteil und Aufnahmebügel
DE4432780A1 (de) * 1994-09-15 1996-03-21 Hilti Ag Rohr- und Kabelschelle mit Fußteil und Aufnahmebügel
US5689862A (en) * 1996-05-02 1997-11-25 Spm, Inc. Safety clamp
US5897082A (en) * 1997-07-08 1999-04-27 Losada; Al Power actuated fastener for pipe
US6095386A (en) * 1999-06-29 2000-08-01 Kuo; Lambert Bicycle lock mounting bracket
JP2001314012A (ja) 2000-02-21 2001-11-09 Inoac Corp 車両用電線保持部材
DE10115373C1 (de) * 2001-03-28 2002-10-17 Zf Sachs Ag Gelenkstütze für ein Kolben-Zylinderaggregat
US6486402B2 (en) * 2001-04-18 2002-11-26 Harger, Inc. Cable grounding clamp
US20050045786A1 (en) * 2003-08-25 2005-03-03 Tupper Robert Roy Framework for supporting plants
US7140579B2 (en) 2004-04-20 2006-11-28 Automatic Fire Control, Incorporated Sway brace clamp
GB0512243D0 (en) * 2005-06-16 2005-07-27 Aube Francois Medical bag support
ITPD20050248A1 (it) * 2005-08-05 2007-02-06 Moretto P A Srl Dispositivo di fissaggio di tubazioni a strutture portanti
US7481401B2 (en) * 2005-08-23 2009-01-27 Trw Automotive U.S. Llc Tube assembly one piece bracket
JP2008056506A (ja) * 2006-08-29 2008-03-13 Toda Kogyo Corp 珪酸被覆ハイドロタルサイト類化合物粒子粉末、該粒子粉末を用いた含塩素樹脂安定剤及び含塩素樹脂組成物
NL1033138C2 (nl) * 2006-12-27 2008-06-30 Walraven Holding Bv J Van Pijpbeugel.
CN200998551Y (zh) * 2007-01-25 2008-01-02 向丽如 跳床围网管固定组件
ES2712700T3 (es) 2007-06-13 2019-05-14 Exfo Oy Un detector de hombre-en-el-medio y un método que lo usa
US8608121B2 (en) * 2007-07-06 2013-12-17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 reactor metering pipe
US7835715B2 (en) 2007-10-17 2010-11-16 Broadcom Corporation Log-antilog mixer circuit and method for producing frequency conver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844B1 (ko) * 1994-12-14 1999-03-20 차노 다카시 너클브래킷
JP2004364358A (ja) * 2003-06-02 2004-12-24 Iwabuchi Corp 円筒体で成る機器装柱用腕金の縦部の支持装置
JP2008057606A (ja) * 2006-08-30 2008-03-13 Kayaba Ind Co Ltd 流体圧シリンダ及び配管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309A (ko) 2011-01-17
CN102084137B (zh) 2013-10-16
US20110073719A1 (en) 2011-03-31
EP2423516B1 (en) 2016-03-16
WO2010122891A1 (ja) 2010-10-28
CN102084137A (zh) 2011-06-01
EP2423516A1 (en) 2012-02-29
US8413934B2 (en) 2013-04-09
EP2423516A4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660B1 (ko) 실린더 튜브의 배관 고정 구조
CN102444752B (zh) 电缆固定部件
US6883761B2 (en) Support for tubular members
US4899965A (en) Apparatus for collectively fixing pipes
KR900007978B1 (ko) 파이프 라인을 조립하기 위한 파이프와 클램프 조합
CN203823287U (zh) 用于内燃机的排气管道系统的夹元件和夹组件以及用于内燃机的排气管道
KR920002317B1 (ko) 배관 고정 장치
JP6001495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JP6070213B2 (ja) 流体圧シリンダの配管固定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5111429B2 (ja) 流体圧シリンダ及び配管固定構造
KR20150136479A (ko) 유체압 실린더의 배관 고정구
JP5344979B2 (ja) 流体圧シリンダ及び配管固定構造
CN113864417A (zh) 一种固定支架
JP6671658B2 (ja) 固定金具
CN111922958A (zh) 汽车排气金属软管的安装夹具及其使用方法
JPH0741981Y2 (ja) クランプ部材による配管固定構造
JP3240670U (ja) 固定具
JP5993773B2 (ja) 流体圧シリンダの配管固定具
CN214514501U (zh) 一种反应釜釜体的固定结构
JP2023041411A (ja) 取付装置
JP4306418B2 (ja) ケーブル支持装置
JP4670766B2 (ja) 分岐管取付用スペーサ
WO2013080423A1 (ja) 取付具
JP2016211691A (ja) ゴムブッシュ
JP2012122583A (ja) 配管結束用バンドクリ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