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018B1 - 가스레인지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018B1
KR101244018B1 KR1020110112759A KR20110112759A KR101244018B1 KR 101244018 B1 KR101244018 B1 KR 101244018B1 KR 1020110112759 A KR1020110112759 A KR 1020110112759A KR 20110112759 A KR20110112759 A KR 20110112759A KR 101244018 B1 KR101244018 B1 KR 10124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gas
ignition
cooking vessel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6697A (ko
Inventor
세이지 모리구치
겐지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과제)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가 설치되며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가지는 가스레인지에 대해서, 환기팬 연동기능을 추가하여도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해결수단) 본 가스레인지(1)는 점화제어부(91)와 소화제어부(92)를 구비한다. 소화제어부(92)는 소화조작이 이루어지면 밸브폐색수단(7)을 폐색시키기 위한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하도록(S33~S35) 제어한다. 점화제어부(91)는 점화조작이 개시되면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적외선 출력 지령을 실행하고, 그 후, 조리용기 검지수단(15)에 의해서 조리용기가 있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폐색수단(7)을 개방시키기 위한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고,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지 않고 밸브폐색수단(7)을 소화조작시의 밸브 폐색상태로 유지시켜서 가스버너(11)에 대한 가스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점화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GAS RANGE}
본 발명은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가 설치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점화조작을 할 때, 조리용기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버너를 점화시키지 않는 기능을 가지는 가스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점화조작을 할 때에 냄비 등의 조리용기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버너를 점화시키지 않는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이 가스레인지는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를 구비한 것이며, 기구밸브의 기계적 구조상, 점화조작에 의해서 수동으로 기구밸브가 개방되어 가스버너에 가스가 공급되기 때문에, 기구밸브와 가스버너 사이의 가스통로 등에 밸브폐색수단{래치식 전자(電磁)밸브 등}을 설치해서, 점화조작을 할 때에 조리용기 검지수단에 의해서 가스버너 상에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면, 가스공급을 차단해서 가스버너가 점화되지 않도록 밸브폐색수단을 폐색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가스레인지에는 적외선신호를 발신해서 환기장치를 작동시키는 환기팬 연동기능을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이 가스레인지는 적외선신호 발신수단을 설치하고, 점화조작을 할 때에 적외선신호 발신수단에 의해서 적외선신호를 가스레인지의 전면에서 발신해서, 사용자에게 맞아 반사된 적외선신호를 환기장치에서 수신함으로써 환기운전을 개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10-13918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78144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구비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환기팬 연동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가스레인지의 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에 대한 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점화조작을 할 때에 조리용기 검지기능과 환기팬 연동기능을 동시에 실행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함과 아울러, 전력저하에 수반하여 제어부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하 출력이 중복되지 않도록 조리용기 검지기능과 환기팬 연동기능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환기팬 연동기능은 적외선신호가 사용자에게 맞아 반사되도록 해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확실하게 가스레인지 앞에 있는 점화조작의 초기에 적외선신호를 발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의 사항을 고려하면,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가지는 가스레인지에 환기팬 연동기능을 추가하는 경우, 그 동작제어는 점화조작시에 먼저 환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출력하고, 그 후,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해서 조리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밸브폐색수단에 대한 밸브 폐색제어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작제어의 경우 조리용기 검지기능의 작동은, 적외선신호의 출력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게 되므로, 점화조작시의 밸브폐색수단의 밸브 폐색동작이 지연된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수동으로 수동개폐밸브가 개방된 후에 밸브폐색수단이 밸브를 폐색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경우, 밸브폐색수단이 폐색될 때까지의 동안에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가스냄새 등의 불쾌감을 주거나, 방출된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일순간 점화되어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의 직화에 의한 위험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가 설치되며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가지는 가스레인지에 대해서, 환기팬 연동기능을 추가하여도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저해하는 일이 없고,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가스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레인지는,
가스버너의 점화조작시에 수동으로 개방되고 소화조작시에 수동으로 폐색되는 수동개폐밸브를 구비한 기구밸브를, 가스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통로에 설치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버너 상에 있어서의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하는 조리용기 검지수단과,
가스통로 또는 기구밸브에 설치되어 가스버너에 대한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밸브폐색수단과,
환기장치에서 수신하도록 해서 환기운전을 개시 또는 정지시키는 지령으로서의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신호 발신수단과,
점화조작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점화제어부와,
소화조작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화제어부와,
가스레인지의 각 부분에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소화제어부는, 수동으로 기구밸브의 수동개폐밸브를 폐색시키는 소화조작이 이루어지면, 밸브폐색수단을 폐색시키기 위한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하고, 전원공급수단에 의한 전력공급을 오프(off)하도록 제어하고,
점화제어부는, 수동으로 기구밸브의 수동개폐밸브를 개방시키는 점화조작이 개시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적외선신호 발신수단에서 환기운전 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적외선 출력 지령을 실행하고, 그 후, 조리용기 검지수단에 의해서 조리용기가 있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폐색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한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고,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지 않고 밸브폐색수단을 소화조작시의 폐색상태로 유지시켜서 가스버너에 대한 가스공급을 차단해서 점화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소화제어부는 소화조작시에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해서 밸브폐색수단을 폐색시키므로, 차회(次回)의 점화조작시에는 밸브폐색수단이 폐색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점화제어부는 점화조작시에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지 않고 밸브폐색수단의 폐색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점화조작을 할 때,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한 후에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작동시켜도,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전회(前回)의 소화조작시에서부터 밸브폐색수단이 폐색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가스버너에서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일이 없다. 조리용기가 있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적외선신호를 출력한 후에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해서 밸브폐색수단을 개방시키므로, 가스버너에 가스를 공급시켜서 점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점화조작시에는 환기장치에 대한 적외선신호의 출력과 밸브폐색수단에 대한 밸브폐색 지령이 중복되지 않으므로, 전원에 한번에 큰 부하가 걸리는 일도 없다. 따라서,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지의 소모가 억제되어 전지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저하에 수반해서 점화제어부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일도 없다.
또, 적외선신호의 출력은 점화조작의 초기에 이루어지므로, 점화조작을 위해 가스레인지 앞에 확실하게 있는 사용자에게 적외선신호가 맞아 반사되도록 해서 환기장치의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통로 또는 기구밸브에는 가스버너에 대한 모든 가스공급량을 소량으로 제한하기 위한 가스량 조절수단이 형성되고,
소화제어부는 상기 가스량 조절수단을 폐색시키기 위한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점화제어부는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폐색수단에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소화제어부에 의해서 소화조작시에 가스량 조절수단을 폐색시키므로, 차회의 점화조작시에는 가스량 조절수단이 폐색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밸브폐색수단이 어떠한 원인으로 개방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밸브폐색수단의 폐색보다도 앞서 수동으로 수동개폐밸브가 개방되었다고 하여도, 가스량 조절수단이 폐색되어 있으므로 밸브폐색수단이 폐색될 때까지의 동안에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가스레인지에 의하면, 점화조작을 할 때,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한 후에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가스버너에서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가스냄새 등의 불쾌감이나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의 직화에 의한 위험상황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가 설치된 가스레인지에서도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저해하는 일 없이 환기팬 연동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해서 가스레인지의 기능을 충실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레인지의 외관구성 및 상측의 환기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조리용기 검지수단에 의해서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기구밸브 및 가스차단밸브(밸브폐색수단)에 의한 가스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가스레인지에서 발신된 적외선신호가 사용자에 반사되어 상측의 환기장치로 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제어수단에 의한 지령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소화조작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점화조작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스레인지는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에 의해서 가스버너에 대한 가스의 공급/차단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점화조작을 할 때 가스버너 상에 조리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가스버너에 대한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능(조리용기 검지기능)과, 점화/소화조작에 맞춰서 상측에 설치된 환기장치의 운전을 개시 또는 정지시키는 기능(환기팬 연동기능)을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1)는 사각형 상자형상의 레인지본체(10)를 가지며, 레인지본체(10) 상면의 상판에는 가스버너(11)와 대면하는 한편, 삼발이(12)를 배치하는 2구(복수)의 레인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레인지부(13)의 중앙에는 선단의 감열부가 냄비 등의 조리용기(A)의 바닥부에 접촉해서 조리용기 바닥의 온도를 검출하는 조리용기 온도센서(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용기 온도센서(14)는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기단부에는 상기 조리용기 온도센서(14)의 승강상태를 검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 등의 스위치수단(15)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수단(15)은 가스버너(11) 상의 조리용기(A)의 유무를 검지하는 조리용기 검지수단을 구성한다. 즉, 스위치수단(15)은 삼발이(12) 상에 조리용기(A)가 없을 때에는 조리용기 온도센서(14)가 상승위치에 있으므로 오프(off)되고{도 2(a) 참조}, 삼발이(12) 상에 조리용기(A)가 있을 때에는 조리용기 온도센서(14)가 하강위치에 있으므로 온(on)된다{도 2(b) 참조}. 따라서, 상기 스위치수단(15)의 온/오프신호에 의해서 가스버너(11) 상의 조리용기(A)의 유무가 검지된다. 또한 각 가스버너(11)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가스버너(11)의 불꽃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불꽃검지기(11a)와, 불꽃을 방전시켜서 가스버너(11)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전극(11b)이 배치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해서 레인지본체(10)의 정면부에는 각 레인지부(13)의 가스버너(11)를 점화/소화하는 조작을 위한 점화/소화버튼(3)과, 각 레인지부(13)의 가스버너(11)의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레버(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레인지본체(10)의 정면부에는 상기 가스레인지(1)의 전원(19a)이 되는 전지를 수납하는 전지박스(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1)의 전원(19a)으로서는 전지를 대신해서 상용전원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점화/소화버튼(3) 및 화력조절레버(4)는, 가스배관과 가스버너(11)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배관에서 가스버너(11)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기구밸브(2)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구밸브(2)는 점화/소화버튼(3)에 의한 점화조작을 할 때에 수동으로 개방되는 기계식의 기구밸브(2)이다. 이 기구밸브(2)에는 밸브케이스 내에 도입구(21)에서 도출구(22)까지 연이어 통하는 가스 내부통로(2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통로(23)에는 상류측에서부터 전자(電磁)안전밸브(25), 원(元) 가스밸브(24), 가스량 조절을 위한 니들밸브(26)가 수납되어 있다.
원 가스밸브(24)는 로드(27)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부착되고, 전자안전밸브(25)는 상기 로드(27)의 선단부에 압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로드(27)의 기단부는 점화/소화버튼(3)의 슬라이더부(30)에 대향되어 있다. 원 가스밸브(24)와 전자안전밸브(25)는 코일스프링(28,29)에 의해서 밸브폐색측(점화/소화버튼(3)이 배치된 쪽)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점화/소화버튼(3)이 압입조작(점화조작)되어 있지 않은 시단(始端)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원 가스밸브(24)와 전자안전밸브(25)가 밸브시트에 맞닿은 밸브폐색상태에 있으므로 내부통로(23)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점화/소화버튼(3)이 압입조작(점화조작)되면, 먼저 원 가스밸브(24)가 코일스프링(28)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밸브시트로부터 이반되어 개방되고, 이어서 전자안전밸브(25)가 로드(27)에 의해서 압압되어 코일스프링(29)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밸브시트로부터 이반되어 개방된다. 전자안전밸브(25)는 후단에 흡착편(25a)이 부착되어 있고, 그 내측에 배치되는 전자석(25b)에 흡착편(25a)이 흡착되는 것에 의해서 개방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서 기구밸브(2)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내부통로(23)에서 가스가 흐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 가스밸브(24)와 전자안전밸브(25)에 의해서, 가스버너(11)의 점화조작시에 수동으로 개방되는 수동개폐밸브가 구성되며, 이 원 가스밸브(24)와 전자안전밸브(25)의 양방이 모두 개방되었을 때 수동개폐밸브가 개방되었다고 정의한다.
니들밸브(26)는 캠판(26a)을 통해서 화력조절레버(4)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화력조절레버(4)의 조작에 의해서 캠판(26a)을 통하여 니들밸브(26)가 진퇴 이동됨으로써 내부통로(23)에서 유통하는 가스의 유량조절이 이루어져서 가스버너(11)의 화력이 조절된다.
또, 기구밸브(2)의 내부통로(23)에는 통로의 폭이 좁게 이루어진 오리피스 통로(23a)와, 오리피스 통로(23a)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통로(23b)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바이패스 통로(23b)를 개폐하는 가스량 조절밸브(6)(가스량 조절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량 조절밸브(6)는 가스버너(11)의 연소중에 조리용기(A)가 가스버너(11) 상에서 멀어져서 조리용기 검지수단{스위치수단(15)}에 의하여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면 폐색된다. 이와 같이 되면, 기구밸브(2)에 있어서 가스가 내부통로(23)의 오리피스 통로(23a)에서만 유통되어 가스버너(11)로 공급되는 모든 가스공급량이 소량으로 줄어들고, 그 결과, 화력조절레버(4)의 화력설정에 관계없이 가스버너(11)의 화력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하여, 가스버너(11)의 연소중에 있어서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의 화력이 큰 직화에 의한 위험상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조리용기 검지수단에 의해서 조리용기가 있는 것이 검지되면, 가스량 조절밸브(6)가 개방되어 화력조절레버(4)에 의해 설정된 화력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가스버너 연소중에 냄비를 흔드는 등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조리용기(A)가 들어올려졌을 경우에는 화력이 작아질 뿐이고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소화에 의해서 재점화시키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조리 사용시의 편의성이 좋다.
점화/소화버튼(3)에는 하트형 캠홈(31)과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자(32)로 이루어지는 하트캠식의 푸시푸시기구가 형성되고, 점화/소화버튼(3)을 종단위치까지 밀어넣은 후에 압압을 해제하면, 점화/소화버튼(3)이 시단위치 바로 앞의 유지위치에서 걸린다. 점화/소화버튼(3)의 유지위치에서는 원 가스밸브(24)가 개방 유지되는 한편, 로드(27)에 의한 전자안전밸브(25)의 압압이 해제되지만, 흡착편(25a)이 코일스프링(29)에 저항해서 전자석(25b)에 흡착 유지되어 개방 유지된다.
또, 점화/소화버튼(3)에는 캠(33)이 고정되어 있고, 이 캠(33)의 근방에는 캠(33)에 의해서 온/오프되는 마이크로스위치(5)가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5)는 점화/소화버튼(3)의 시단위치에서부터 종단위치까지의 수동조작 위치를 2 단계로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을 구성한다. 이 마이크로스위치(5)는 내부에 독립된 2개의 접점을 가지는 2접점식의 것이며, 캠(33)의 표면에 맞닿는 가동편(51)을 구비하고, 점화/소화버튼(3)이 압입되어 가동편(51)이 중간위치까지 압입되면 첫번째의 접점이 온(on)되고, 점화/소화버튼(3)이 더욱 압입되어 가동편(51)이 더욱 압입되면 두번째의 접점이 온(on)된다. 첫번째 접점이 온되는 1단째의 수동조작위치는 원 가스밸브(24)의 개방 전후 부근의 위치로 설정되고, 두번째 접점이 온되는 2단째의 수동조작위치는 전자안전밸브(25)의 개방 전후 부근의 위치로 설정된다. 그리고, 첫번째 접점이 온되면 전원이 들어가고, 두번째 접점이 온되면 이그나이터(93)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점화전극(11b)에서 불꽃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5)는 2접점식의 것으로 하였지만, 단접점의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5)를 사용해서 점화/소화버튼(3)의 수동조작 위치를 2단계로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기구밸브(2)와 가스버너(11)의 사이에 있어서의 기구밸브(2)의 하류 위치에는 가스차단밸브(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차단밸브(7)는 점화조작시에 조리용기가 없는 경우에 가스통로를 차단하는 밸브폐색수단을 구성한다. 가스차단밸브(7)는 래치식 전자밸브{자기(自己) 유지형 전자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래치식 전자밸브는 밸브체(73)에 플런저(71)가 부착되고, 이 플런저(71)의 주위에 전자코일(75)을 배치해서, 전자코일(75)에 여자(勵磁) 전류를 통전하여 플런저(71)를 이동시킴으로써 밸브체(73)를 개폐 동작시킨다. 그리고, 밸브체(73)의 폐색상태에서는 밸브개구(72)를 폐색하도록 밸브체(73)를 스프링(76)에 의해서 탄지하여 폐색 유지하고, 밸브체(73)의 개방상태에서는 영구자석(74)에 의해서 플런저(71)를 흡착하여 밸브개구(72)를 개방하도록 밸브체(73)를 개방 유지시킨다. 따라서, 래치식 전자밸브는 밸브개방상태 및 밸브폐색상태의 유지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지 수명 등의 성능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구밸브(2)에 형성되는 가스량 조절밸브(6)도 래치식 전자밸브로 구성되며, 가스차단밸브(7)와 같이 플런저(61), 밸브개구(62), 밸브체(63), 영구자석(64), 전자(電磁)코일(65), 스프링(66)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해서, 레인지본체(10)의 정면부에는 상측의 환기장치(8)에 대해서 운전개시 또는 운전정지를 지령하기 위한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신호 발신부(16)(적외선신호 발신수단)가 형성되어 있다. 적외선신호 발신부(16)는 레인지본체(10)의 정면부에 형성된 투광판의 이면측에 위치하며 레인지본체(10) 내에 배치된 발광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적외선신호 발신부(16)는 레인지본체(10)의 정면부의 좌우 2개소에 형성되고, 각 적외선신호 발신부(16)는 좌우의 각 점화/소화버튼(3) 부근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화/소화버튼(3)을 조작하고 있을 때에는, 적외선신호 송신부(16)에서 발신된 적외선신호가 사용자에게 맞아서 반사되어 상측의 환기장치(8)에 적외선신호가 도달된다. 또한 각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적외선신호가 발사되는 방향은 수평방향보다 약간 상측(예를 들면 15° 상측)으로 경사짐과 아울러, 가스레인지(1)의 정면 중앙방향을 향하도록 약간 기울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발신되는 적외선신호가 점화조작이나 소화조작을 행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맞도록 해서 환기장치(8)를 향하여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환기장치(8)는 내부에 형성된 팬(82)과, 전면에 설치된 조작부(83)와, 전면 및 전면 내측에 설치된 적외선신호 수신부(81a,81b)와, 도시하지 않는 환기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환기장치(8)는 가스레인지(1)의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발신된 적외선신호를 적외선신호 수신부(81a,81b)에 의해서 수신했을 때에, 환기제어부에 의해서 팬(82)의 작동을 개시 또는 정지시키도록 제어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1)는 CPU나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유닛이며, 전지 등의 전원(19a)으로부터의 급전(給電)에 의해서 작동하는 제어수단(9)을 구비한다. 제어수단(9)은 점화조작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점화제어부(91)와, 소화조작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화제어부(92) 등을 가진다. 그리고, 제어수단(9)은 스위치수단(15), 마이크로스위치(5), 불꽃 검지기(11a) 등으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거해서, 적외선신호 발신부(16), 가스차단밸브(7), 가스량 조절밸브(6), 전자안전밸브(25), 이그나이터(93) 등의 각 부분이나 가스레인지(1)의 각 부분에 전원(19a)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행하는 전원공급수단(18)을 제어한다.
이어서, 이상의 구성의 가스레인지(1)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소화제어부(92)에 의한 가스레인지(1)의 소화조작시의 동작부터 설명한다.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소화조작을 위한 점화/소화버튼(3)을 압입한 후에 압입을 해제해서 마이크로스위치(5)에서 첫번째 기구밸브 수동조작 위치가 검출되면(S31), 전자안전밸브(25)의 전자석(25b)에 대한 전류인가를 정지하고(S32), 전자안전밸브(25)를 폐색해서 기구밸브(2)의 내부통로(23)를 차단함으로써 기구밸브(2)에서 가스버너(11)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가스버너(11)가 소화된다.
이어서, 환기장치(8)의 환기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적외선 출력지령을 실행해서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환기운전정지용 적외선신호를 소정 시간(T10)(예를 들면, 230ms) 발신시킨다(S33~S35). 이것에 의해서, 가스레인지(1) 정면부의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발신된 적외선신호가 소화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맞아서 반사되어 환기장치(8)에서 수신된다. 환기장치(8)는 상기 환기운전정지용 적외선신호를 수신부(81a,81b)에서 수신하면, 환기제어부에서의 처리에 의해서 즉시 팬(82)을 구동 정지시킴으로써 환기운전을 종료하거나, 일정시간 경과한 후에 팬(82)을 구동 정지시켜서 환기운전을 종료한다.
그리고, 가스차단밸브(7)를 폐색상태로 하기 위한 밸브 폐색신호를 소정 시간(T11)(예를 들면, 100ms) 출력하고(S36~S38), 또한, 기구밸브(2)의 가스량 조절밸브(6)를 폐색상태로 하기 위한 밸브폐색신호를 소정 시간(T12)(예를 들면, 100ms) 출력한다(S39~S41). 상기 각 밸브 폐색신호에 의하여,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를 구성하는 래치식 전자밸브의 전자코일(75,65)에 대해서, 플런저(71,61)를 밸브체(73,63)의 밸브 폐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여자 전류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가 폐색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제어전원을 차단하고(S42), 전원공급수단(18)에 의한 전원(19a)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끊어서 가스버너(11)의 소화조작을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가스버너(11)의 소화조작시에는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를 폐색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점화제어부(91)에 의한 가스레인지(1)의 점화조작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점화조작을 개시하기 위한 점화/소화버튼(3)을 압입해 가면 기구밸브(2)의 원 가스밸브(24)가 개방된다(S1). 이 점화/소화버튼(3)의 압입에 의하여 마이크로스위치(5)에서 첫번째 기구밸브 수동조작 위치가 검출되면(S2), 전원(19a)에서 제어수단(9)으로 급전되고 이 제어전원을 유지해서 기구밸브(2)의 전자안전밸브(25)의 전자석(25b)에 여자 전류를 인가한다(S3).
그리고, 환기장치(8)의 환기운전을 개시시키기 위한 적외선 출력 지령을 실행해서,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소정 시간(T1)(예를 들면, 230ms) 발신시킨다(S4~S6). 이것에 의하여, 가스레인지(1) 정면부의 적외선신호 발신부(16)에서 발신된 적외선신호가 점화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맞아서 반사되어 환기장치(8)에서 수신된다. 환기장치(8)는 상기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수신부(81a,81b)에서 수신하면 환기제어부에서의 처리에 의하여 팬(82)을 작동시켜서 환기운전을 개시한다.
상기 적외선신호를 출력한 후, 조리용기 검지수단{스위치수단(15)}에서 가스버너(11) 상에 조리용기(A)가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7). 그리고, 조리용기가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에는 가스차단밸브(7)를 개방상태로 하기 위한 밸브 개방신호를 소정 시간(T2)(예를 들면, 100ms) 출력하고(S8~S10), 또한, 기구밸브(2)의 가스량 조절밸브(6)를 개방상태로 하기 위한 밸브 개방신호를 소정 시간(T3)(예를 들면, 100ms) 출력한다(S11~S13). 상기 각 밸브 개방신호에 의하여,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를 구성하는 래치식 전자밸브의 전자코일(75,65)에 대해서, 플런저(71,61)를 밸브체(73,63)의 개방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여자 전류가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서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가 개방상태가 된다.
또, 마이크로스위치(5)에 의하여 두번째 기구밸브 수동조작위치가 검출될 때까지의 동안에 점화/소화버튼(3)이 더욱 압입되는 것에 의해서 전자안전밸브(25)가 개방되면(S14), 기구밸브(2)가 개방되어 가스차단밸브(7)를 통해서 가스버너(11)에 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스위치(5)에 의해서 두번째 기구밸브 수동조작위치가 검출되면(S15), 이그나이터(93)에 전압을 인가하고(S16), 점화전극(11b)에서 불꽃을 방전시켜서 가스버너(11)를 점화시킨다. 가스버너(11)의 불꽃을 검지하는 불꽃 검지기(11a)의 출력전압이 착화레벨 이상이 되면(S17), 이그나이터(93)에 대한 전압인가를 정지한다(S18). 그 후, 점화/소화버튼(3)의 압입이 해제되면 점화/소화버튼(3)이 유지위치에서 유지되고, 기구밸브(2)의 원 가스밸브(24) 및 전자안전밸브(25)가 개방 유지됨과 아울러, 가스차단밸브(7)가 개방 유지되어 가스버너(11)의 연소가 계속된다. 이상으로 가스버너(11) 상에 조리용기(A)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점화조작이 완료된다.
한편, 스텝 S7에서 가스버너(11) 상에 조리용기(A)가 없다고 판정되면, 전자안전밸브(25)의 전자석(25b)에 대한 전류 인가를 정지한다(S19). 이것에 의해서, 점화/소화버튼(3)의 압입이 해제된 후의 전자안전밸브(25)의 개방 유지가 저지된다.
그리고, 가스버너(11) 상에 조리용기(A)가 없다고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에 대한 개방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전회(前回)의 소화조작시에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를 폐색시킨 밸브 폐색상태(도 6의 S36~S41 참조)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점화조작을 할 때,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한 후에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작동시켜도,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전회의 소화조작시에서부터 가스차단밸브(7)가 폐색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가스버너(11)에서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일이 없고, 또한 가스버너(11)는 점화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조리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가스차단밸브(7) 및 가스량 조절밸브(6)에 대해서 아무런 지령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 가스버너(11) 상에 조리용기(A)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전자안전밸브(25)에 대한 전류 인가를 정지시킨 후, 만약을 위해서 가스차단밸브(7)를 폐색 제어하기 위한 밸브 폐색신호를 소정 시간(T4)(예를 들면, 100ms) 출력시키도록 하고 있다(S20~S22). 상기 밸브 폐색신호에 의하여, 가스차단밸브(7)를 구성하는 래치식 전자밸브의 전자코일(75)에 대해서, 플런저(71)를 밸브체(73)의 폐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여자 전류가 인가되므로, 어떠한 원인으로 가스차단밸브(7)가 개방상태로 되어 있더라도 폐색된다. 따라서,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가스차단밸브(7)가 어떠한 원인으로 개방상태로 되어 있었을 경우, 적외선신호를 출력(S4~S6)한 후에 이루어지는 가스차단밸브(7)의 폐색보다 앞서서 수동으로 기구밸브(2)의 원 가스밸브(24)와 전자안전밸브(25)가 개방되었다고 하여도, 전회의 소화조작시에 가스량 조절밸브(6)가 폐색(도 6의 S39~S41 참조)되어 있으므로, 가스차단밸브(7)가 폐색될 때까지의 동안에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조리용기가 없는 것을 버저나 표시기 등의 통지수단(도시생략)에 의해서 통지하고(S23), 그 후, 제어전원을 차단해서(S24), 전원공급수단(18)에 의한 전원(19a)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끊어서 점화 동작제어를 종료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점화/소화버튼(3)을 조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버너(11)가 점화되지 않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가 가스레인지(1)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조리용기(A)를 가스버너(11) 상에 올려놓고 가스버너(11)를 점화조작할 필요가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점화전극(11b)에서 불꽃이 방전되지 않으므로 그만큼의 전력소비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스레인지(1)에 의하면, 점화조작을 할 때,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한 후에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작동시켜도, 조리용기가 없는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전회의 소화조작시에서부터 가스차단밸브(7)가 폐색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가스버너(11)에서 연소되지 않은 가스가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가스버너(11)도 점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스냄새와 같은 불쾌감이나 점화조작시 조리용기(A)가 없을 때의 직화에 기인한 위험상황(손 등이 불꽃에 접촉하거나 옷의 소매 등에 불이 인화하는 등)을 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동 개폐식의 기구밸브(2)가 설치된 가스레인지(1)에서도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저해하는 일 없이 환기팬 연동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해서 가스레인지(1)의 기능을 충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점화조작시 및 소화조작시에는 환기장치(8)에 대한 적외선신호의 출력과 가스차단밸브(7)에 대한 지령(밸브폐색 지령 또는 밸브개방 지령)이 중복되지 않으므로, 전원(19a)에는 일시에 큰 부하가 걸리는 일도 없다. 따라서, 전지를 전원(19a)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지의 소모가 억제되어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고, 또한, 전력 저하에 수반해서 점화제어부(91)나 소화제어부(92)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일도 없다.
또, 환기장치(8)에 대한 적외선신호의 출력은 점화조작이나 소화조작의 초기에 이루어지므로, 점화조작이나 소화조작을 위해서 가스레인지(1) 앞에 있는 사용자에게 적외선신호가 확실하게 맞아서 반사되므로, 환기장치(8)의 작동 또는 작동 정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시행하는 것이 가능이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리용기 검지기능을 해제하는 해제버튼(도 1에서 부호 17로 나타낸 버튼)을 형성하고, 이 해제버튼(17)을 켬으로써 조리용기(A)의 유무에 관계없이 점화조작에 의해서 가스버너(11)를 점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가스버너(11)의 연소정지중에 해제버튼(17)을 켜면 일시적으로 제어수단(9)에 전원이 공급되고, 도 7의 점화제어부(91)의 동작 플로우로서의 S7을 스킵해서 S8로 동작처리를 이행시켜서, S19~S24의 동작처리를 실행시키지 않는 제어로 하는 마크를 기억시키는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서, 가스버너(11) 상에 조리용기(A)가 없는 상태이더라도 점화조작하면 가스버너(11)가 점화되므로, 직화로 김을 굽는 등의 조리목적에도 대응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좋아진다. 또한, 해제버튼(17)이 켜진 경우, 가스버너(11)의 연소중에 조리용기(A)가 멀어져도 가스량 조절밸브(6)가 폐색되지 않고 화력이 작아지지 않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해제버튼(17)이 켜지면, 압입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해제버튼(17)의 색이 변화하는 등, 외관상, 해제버튼(17)이 켬조작된 것을 알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가스차단밸브(7)나 가스량 조절밸브(6)는 래치식 전자밸브를 대신해서 전동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모터밸브로 하여도 좋다. 이 모터밸브에 의해서도 래치식 전자밸브와 같이 밸브 폐색유지 및 밸브 개방유지를 위한 유지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원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스차단밸브(7)는 기구밸브(2) 및 기구밸브(2)의 상류위치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가스량 조절밸브(6)는, 기구밸브(2)의 하류위치 또는 상류위치의 가스통로에 있어서, 오리피스 통로와 이것을 우회한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 통로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점화/소화버튼(3)은 압입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회전식이어도 좋다.
1 - 가스레인지 2 - 기구밸브
3 - 점화/소화버튼
6 - 가스량 조절밸브(가스량 조절수단)
7 - 가스차단밸브(밸브폐색수단) 8 - 환기장치
11 - 가스버너
15 - 스위치수단(조리용기 검지수단)
16 - 적외선신호 발신부(적외선신호 발신수단) 19a - 전원
24 - 원 가스밸브(수동개폐밸브)
25 - 전자안전밸브(수동개폐밸브) 91 - 점화제어부
92 - 소화제어부 93 - 전원공급수단
A - 조리용기

Claims (2)

  1. 가스버너의 점화조작시에 수동으로 개방되고 소화조작시에 수동으로 폐색되는 수동개폐밸브를 구비한 기구밸브를, 가스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통로에 설치한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버너 상에 있어서의 조리용기의 유무를 검지하는 조리용기 검지수단과,
    가스통로 또는 기구밸브에 설치되어 가스버너에 대한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밸브폐색수단과,
    환기장치에서 수신하도록 해서 환기운전을 개시 또는 정지시키는 지령으로서의 적외선신호를 발신하는 적외선신호 발신수단과,
    점화조작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점화제어부와,
    소화조작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화제어부와,
    가스레인지의 각 부분에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소화제어부는, 수동으로 기구밸브의 수동개폐밸브를 폐색시키는 소화조작을 행하면, 밸브폐색수단을 폐색시키기 위한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해서, 전원공급수단에 의한 전력공급을 오프(off)하도록 제어하고,
    점화제어부는, 수동으로 기구밸브의 수동개폐밸브를 개방시키는 점화조작이 개시되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적외선신호 발신수단에서 환기운전개시용 적외선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적외선 출력 지령을 실행하고, 그 후, 조리용기 검지수단에 의해서 조리용기가 있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폐색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한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고,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개방 지령을 실행하지 않고 밸브폐색수단을 소화조작시의 폐색상태로 유지시켜서 가스버너에 대한 가스공급을 차단해서 점화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통로 또는 기구밸브에는 가스버너에 대한 모든 가스공급량을 소량으로 제한하기 위한 가스량 조절수단이 형성되고,
    소화제어부는 상기 가스량 조절수단을 폐색시키기 위한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고,
    점화제어부는 조리용기가 없는 것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폐색수단에 밸브폐색 지령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
KR1020110112759A 2010-11-02 2011-11-01 가스레인지 KR101244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45953A JP5204196B2 (ja) 2010-11-02 2010-11-02 ガスコンロ
JPJP-P-2010-245953 2010-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697A KR20120046697A (ko) 2012-05-10
KR101244018B1 true KR101244018B1 (ko) 2013-03-15

Family

ID=4626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759A KR101244018B1 (ko) 2010-11-02 2011-11-01 가스레인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04196B2 (ko)
KR (1) KR101244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8329B (zh) * 2015-11-18 2018-09-07 梁觐和 一种用于燃气灶具的红外线燃烧器
CN105627385B (zh) * 2016-04-05 2017-12-26 王红军 一种自动控制节能燃气灶及自动控制燃气灶的方法
JP6142048B2 (ja) * 2016-06-16 2017-06-07 株式会社ハーマン ガスコンロ
JP6948962B2 (ja) * 2018-02-15 2021-10-13 リンナイ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CN108548195B (zh) * 2018-04-17 2019-08-30 宁波金名片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燃气灶的防炸膛结构
US11357080B2 (en) 2019-09-30 2022-06-07 Midea Group Co., Ltd. Cooking container sensing for ignition triggering and programmed cook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355A (ja) * 1995-11-09 1997-05-20 Rinnai Corp ガス燃焼装置
KR20040019912A (ko) * 2002-09-02 2004-03-06 알비 콘트롤즈 가부시키 가이샤 연소제어장치
JP2009186124A (ja) 2008-02-08 2009-08-20 Rinnai Corp 加熱調理器
JP2010139189A (ja) 2008-12-12 2010-06-24 Rinnai Corp 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943B2 (ja) * 1999-04-23 2006-05-17 大阪瓦斯株式会社 換気制御システム
JP2002174422A (ja) * 2000-12-07 2002-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調理機器のラッチ電磁弁の制御回路
JP2007285534A (ja) * 2006-04-12 2007-11-01 Rinnai Corp 加熱調理装置
JP4976155B2 (ja) * 2007-02-08 2012-07-18 株式会社パロマ 加熱調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355A (ja) * 1995-11-09 1997-05-20 Rinnai Corp ガス燃焼装置
KR20040019912A (ko) * 2002-09-02 2004-03-06 알비 콘트롤즈 가부시키 가이샤 연소제어장치
JP2009186124A (ja) 2008-02-08 2009-08-20 Rinnai Corp 加熱調理器
JP2010139189A (ja) 2008-12-12 2010-06-24 Rinnai Corp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697A (ko) 2012-05-10
JP2012097959A (ja) 2012-05-24
JP5204196B2 (ja)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018B1 (ko) 가스레인지
JP5134520B2 (ja) ガスコンロ
JP5134677B2 (ja) ガスコンロ
JP5412250B2 (ja) ガスコンロ
JP5819246B2 (ja) ガスコンロ
JP5175762B2 (ja) ガスコンロ
JP5557809B2 (ja) グリル付ガスコンロ
JP5175766B2 (ja) ガスコンロ
JP6084525B2 (ja) ガスコンロ
JP5080836B2 (ja) グリル装置
JP6532698B2 (ja) ガスコンロ
JP5175784B2 (ja) ガスコンロ
JP5319495B2 (ja) ガスコンロ
JP5377716B2 (ja) ガスコンロ
JP5175792B2 (ja) ガスコンロ
JP6512629B2 (ja) ガスコンロ
JP3375757B2 (ja) 加熱調理器
JP5175795B2 (ja) ガスコンロ
JP6130227B2 (ja) ガスコンロ
JP2024000786A (ja) 燃焼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6534266B2 (ja) ガスコンロ
JP4064594B2 (ja) ガス炊飯器
JP2024000785A (ja) 燃焼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H08254320A (ja) 調理器の安全装置
JP2006200791A (ja) ガスコ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