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145B1 -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145B1
KR101242145B1 KR1020110014706A KR20110014706A KR101242145B1 KR 101242145 B1 KR101242145 B1 KR 101242145B1 KR 1020110014706 A KR1020110014706 A KR 1020110014706A KR 20110014706 A KR20110014706 A KR 20110014706A KR 101242145 B1 KR101242145 B1 KR 10124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amp
door
exit
emergency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190A (ko
Inventor
김인용
정화식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1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4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wi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61D19/023Emergency ex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66D5/34Detent devices having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구의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철도차량 밖으로 펼쳐져 타단이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를 폐쇄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밀려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비상구를 개방하는 비상도어와, 상기 비상구 및 비상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비상시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의해 열리는 상기 비상도어를 들어올리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램프는 힌지부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판으로 이루어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상램프에 상기 비상도어를 잠그고 여는 로킹부가 구비되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비상램프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발판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고정구와, 상기 비상도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도어가 닫힐 경우에 상기 고정구에 잠기며 상기 핸들바를 밀 경우에 상기 고정구와 잠김이 풀리는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상시 승객이 비상탈출장치를 한 번 조작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비상램프는 펼쳐지고 비상도어는 열리게 함으로써, 비상탈출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탈출시간이 종래 보다 단축되고,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one touch emergency escape device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 승객이 비상탈출장치를 한 번의 조작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써, 승객이 철도차량에서보다 신속하게 빠져나오도록 하는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는 비상시 승객의 안전을 위해 비상탈출 장치가 설치된다. 이는 승객의 철도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을 통해 탈출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종래의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는 도 1,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1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비상구(11)와, 상기 비상구(11)를 개폐하는 비상도어(20)와, 상기 비상구(20)의 일측면에 일단이 힌지결합하고 비상도어(20)의 내면에 타단이 힌지결합하여 상기 비상도어(20)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필러(30)로 이루어졌었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11)의 가장자리에는 닫힌 비상도어(12)를 잠그는 복수 개의 잠금장치(40)가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비상시 승객이 비상구(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복수 개의 잠금장치(40)를 전부 푼 다음 비상도어(20)를 밀면, 이 비상도어(20)는 회전필러(30)를 통해 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승객은 비상구(11) 주변에 비치된 사다리를 개방된 비상구(11)에 설치하여 철도차량(10) 밖으로 탈출하면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는 승객이 위급한 상황하에서 비상도어의 잠금장치를 일일이 풀어야 하고, 사다리도 찾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승객이 탈출하는 시간이 많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객이 다급한 나머지 사다리를 설치하지 못한 경우에는 승객이 비상구에서 뛰어내려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시 승객이 비상탈출 장치를 손쉽게 조작하여 승객이 신속하게 철도차량 밖으로 탈출하게 하고,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형성된 비상구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로서, 비상구의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철도차량 밖으로 펼쳐져 타단이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를 폐쇄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밀려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비상구를 개방하는 비상도어와, 상기 비상구 및 비상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비상시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의해 열리는 상기 비상도어를 들어올리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램프는 힌지부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판으로 이루어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상램프에 상기 비상도어를 잠그고 여는 로킹부가 구비되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비상램프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발판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고정구와, 상기 비상도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도어가 닫힐 경우에 상기 고정구에 잠기며 상기 핸들바를 밀 경우에 상기 고정구와 잠김이 풀리는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상시 승객이 비상탈출장치를 한 번의 조작하면 자동으로 작동되어 비상램프는 펼쳐지고 비상도어는 열리게 함으로써, 비상탈출장치의 조작이 용이하고, 탈출시간이 종래 보다 단축되고,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에 비상램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 5b, 5c,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100)에 형성된 비상구(111)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로서,
상기 비상구(111)의 하부에는 일단이 힌지결합하여 비상구(111)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철도차량(100) 밖으로 펼쳐져 타단이 지면에 도달하도록 하는 비상램프(200)가 형성된다.
상기 비상램프(200)는 복수 개의 발판(210, 220, 230)이 힌지부(P1)로 연결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비상램프(200)의 일단에 형성된 발판(210)의 단부에는 램프연결암(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111)의 상부에는 상단이 힌지결합하여 평상시 비상구(111)를 폐쇄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펼쳐지는 비상램프(200)에 밀려 상부로 회전하면서 비상구(111)를 개방하는 비상도어(3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111)와 비상도어(300) 사이에는 비상시 펼쳐지는 비상램프(200)에 의해 열리는 비상도어(300)를 들어올리는 가스 스프링(400)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 스프링(400)은 비상도어(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에서 길이가 신축되며 단부가 비상구(111)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4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111)의 하부 내측에는 접혀진 상기 비상램프(200)를 수용하는 수납부(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500) 내측에는 수직으로 장공(51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500)의 하부 선단에는 상기 램프연결암(211)의 단부가 힌지결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램프(200)의 측면에는 이 비상램프(200)의 접고 펼침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6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수단(600)은 힌지핀(P2)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610, 620, 630)로 이루어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수단(600)의 일단에 형성된 링크(610)의 단부는 상기 수납부(500)의 장공(510)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수단(600)의 타단에 형성된 링크(630)의 단부는 상기 비상램프(200)의 타단에 형성된 발판(230)의 측면에 힌지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수단(600)의 중앙에 형성된 나머지 링크(620)는 각각 인접하는 발판(210, 22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500) 및 상기 비상램프(200)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수납부(500)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비상램프(200)의 하측에 형성된 발판(220)에 고정되어 펼쳐진 비상램프(200)를 다시 접혀지게 하는 와이어로프(W)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500)에는 상기 와이어로프(W)의 일단이 고정되어 이 와이어로프(W)를 풀거나 감는 권상기(7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권상기(700)는 도 5b,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5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710)과, 상기 브래킷(7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기어(720)와, 상기 래치기어(720)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W)를 고정하는 드럼(730)과, 상기 래치기어(720)에 물려 이 래치기어(720)를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치폴(7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상램프(200)에 상기 비상도어(300)를 잠그고 여는 로킹부(8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로킹부(8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램프(200)의 타단에 위치한 발판(230)의 힌지부(P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810)와, 상기 핸들바(810)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고정구(820)와, 상기 비상도어(3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이 비상도어(300)가 닫힐 경우에 상기 고정구(820)에 잠기며 상기 핸들바(810)를 밀 경우에 고정구(820)에 잠김이 풀리는 홀더(830)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램프(200)의 저면부에는 상기 비상램프(200)가 펼쳐지는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비상램프(20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9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900)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절곡된 파이프의 양단부가 상기 비상램프(200)의 타단 쪽에 형성된 발판(200)의 저면부에 힌지결합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비상램프(200)는 접혀진 상태로 비상구(111) 내측에 수용되고, 비상도어(300)는 몸체(410)에서 수축된 로드(420)를 구비한 가스 스프링(400)에 의해 비상구(111)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비상시 승객이 비상구(111)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된 비상램프(200)를 밀면, 상기 비상램프(200)는 힌지부(P1)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판(210, 220, 230)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비상램프(200)는 미는 힘에 의해 일단이 비상구(111)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펼쳐지게 된다.
즉, 비상램프(200)의 일단에 형성된 발판(210)은 램프연결암(211)에 의해 비상구(111) 측에 고정되고, 비상램프(200)의 중간에 형성된 발판(220)은 철도차량(100) 밖으로 펼쳐지며, 비상램프(200)의 타단에 형성된 발판(230)은 지면에 닿게 되므로, 철도차량(100) 밖으로 펼쳐진 비상램프(200)는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구(111)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결합하여 비상구(111)를 폐쇄한 비상도어(300)는 펼쳐지는 비상램프(200)의 타단에 밀려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비상구(111)와 비상도어(200) 사이에 설치된 가스 스프링(400)은 몸체(410)에서 신장하는 로드(420)를 통해 열린 비상도어(300)를 상부로 회전시키면서 들어올리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 스프링(400)은 완전히 들어 올려진 비상도어(300)의 하중도 지지하게 되므로, 비상도어(300)를 다시 닫지 않는 이상, 비상도어(300)는 가스 스프링(40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로 들어 올려진 비상도어(300)에 의해 비상구(111)는 개방되고, 비상램프(200)의 타단 또한 철도차량(100) 밖으로 펼쳐져 지면에 안착하게 되므로, 승객은 펼쳐진 비상램프(200)를 통해 철도차량(100) 밖으로 탈출하면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500)는 비상구(111)의 하부 내측에 형성되어 접혀진 비상램프(200)를 비상구(111)에 수용되도록 하고, 비상램프(200)의 램프연결암(211) 및 가이드수단(600)의 링크(61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비상램프(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수단(600)은 이 비상램프(200)가 접고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즉, 비상시 승객이 비상구(111)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된 비상램프(200)를 밀면, 가이드수단(600)의 링크들(610, 620, 630)은 힌지핀(P2)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펼쳐지게 되고, 펼쳐지는 링크(610, 620, 630)들은 인접한 발판(210, 220, 230)들을 각각 회전시킴으로써, 비상램프(200)는 가이드수단(600)에 의해 용이하게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수납부(500) 및 상기 비상램프(200) 사이에 형성된 와이어로프(W)는 비상시 펼쳐진 비상램프(200)의 울타리 역할을 수행하고, 비상 종료시 펼쳐진 비상램프(200)를 접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W)를 당기면, 펼쳐진 비상램프(200)는 다시 접혀 수납부(500)의 내측에 수용된다.
상기 수납부(500)에 설치된 권상기(700)는 와이어로프(W)를 감기 위한 것으로, 비상램프(200)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드럼(730)에 감긴 와이어로프(W)는 자동으로 풀리게 된다.
만약, 비상램프(200)를 접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폴(740)이 래치기어(720)를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기 때문에 와이어로프(W)를 감을 경우에는 래치폴(740)을 상부로 회전시켜 래치기어(720)와 래치폴(740)의 물림을 해제하고, 래치기어(720)를 와이어로프(W)가 풀리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럼(730)을 통해 와이어로프(W)를 감으면 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부(800)는 상기 비상도어(300)를 잠그고 여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 승객이 로킹부(800)에 형성된 핸들바(810)를 비상도어(300) 쪽으로 밀면, 상기 핸들바(810)는 상기 비상램프(200)의 타단에 위치한 발판(230)의 힌지부(P1)를 통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핸들바(810)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고정구(820)는 핸들바(810)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비상도어(300)의 내면에 형성된 홀더(830)로부터 잠김이 해제됨으로써, 비상램프(200)는 펼쳐지고 비상도어(300)는 열리게 된다.
만약, 비상도어(300)를 닫고 핸들바(8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고정구(820)와 홀더(830)는 맞물려 다시 잠기게 된다. 이때, 비상램프(200)는 비상구(111)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고 비상도어(300) 또한 닫히게 된다.
한편, 받침대(900)는 상기 비상램프(200)의 타단 쪽에 형성된 발판(200)의 저면부에 힌지결합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었기 때문에, 평상시 발판(220) 내측에 접혀져 있다가 비상시 비상램프(200)의 펼쳐짐과 연동하여 펼쳐짐으로써, 펼쳐진 받침대(900)는 비상램프(2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10: 철도차량 11: 비상구
20: 비상도어 30: 회전필러
40: 잠금장치 100: 철도차량
111: 비상구 200: 비상램프
210, 220, 230: 발판 211: 램프연결암
300: 비상도어 400: 가스 스프링
410: 몸체 420: 로드
500: 수납부 510: 장공
600: 가이드수단 610, 620, 630: 링크
700: 권상기 710: 브래킷
720: 래치기어 730: 드럼
740: 래치폴 800: 로킹부
810: 핸들바 820: 고정구
830: 홀더 900: 받침대
P1: 힌지부 P2: 힌지핀
W: 와이어로프

Claims (8)

  1. 철도차량에 형성된 비상구에 설치되는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로서,
    상기 비상구의 하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의 내측에 접혀져 수용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철도차량 밖으로 펼쳐져 타단이 지면에 도달하는 비상램프와,
    상기 비상구의 상부에 상단이 힌지 결합하여 상기 비상구를 폐쇄하며 비상시 미는 힘에 의해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밀려 상부로 회전하여 상기 비상구를 개방하는 비상도어와,
    상기 비상구 및 비상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비상시 펼쳐지는 상기 비상램프에 의해 열리는 상기 비상도어를 들어올리는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상램프는 힌지부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판으로 이루어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비상램프에 상기 비상도어를 잠그고 여는 로킹부가 구비되되,
    상기 로킹부는 상기 비상램프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발판의 힌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바와,
    상기 핸들바에 형성되는 후크 형상에 고정구와,
    상기 비상도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비상도어가 닫힐 경우에 상기 고정구에 잠기며 상기 핸들바를 밀 경우에 상기 고정구와 잠김이 풀리는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의 하부 내측에는 접혀진 상기 비상램프를 수용하는 수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비상램프의 일단에 형성된 발판의 단부에는 램프연결암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하부 선단에는 상기 램프연결암의 단부가 힌지 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비상램프의 발판에는 상기 비상램프의 접고 펼침을 유도하는 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링크로 이루어져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의 일단에 형성된 링크의 단부는 상기 수납부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타단에 형성된 링크의 단부는 상기 비상램프의 타단에 형성된 발판의 측면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중앙에 형성된 나머지 링크는 각각 인접하는 발판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비상램프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비상램프의 하측에 형성된 발판에 고정되어 펼쳐진 상기 비상램프를 다시 접혀지게 하는 와이어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로프를 풀거나 감는 권상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는
    상기 수납부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가 고정되는 드럼과
    상기 래치기어에 물려 이 래치기어를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래치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비상램프의 저면부에 상기 비상램프가 펼쳐지는 경우에 지면으로부터 상기 비상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1020110014706A 2011-02-18 2011-02-18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10124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706A KR101242145B1 (ko) 2011-02-18 2011-02-18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706A KR101242145B1 (ko) 2011-02-18 2011-02-18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90A KR20120095190A (ko) 2012-08-28
KR101242145B1 true KR101242145B1 (ko) 2013-03-11

Family

ID=4688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706A KR101242145B1 (ko) 2011-02-18 2011-02-18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715B1 (ko) * 2012-10-04 2013-08-2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비상문 록킹장치
CN107685740B (zh) * 2017-09-30 2023-10-31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应急逃生疏散坡道装置的可伸缩搭轨
CN107600089B (zh) * 2017-09-30 2023-09-15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应急逃生疏散坡道的回收机构
CN107697085B (zh) * 2017-09-30 2024-02-27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车辆应急逃生疏散坡道结构
KR102370136B1 (ko) * 2021-11-29 2022-03-08 (주)금하네이벌텍 선박 및 선박의 제어방법
KR102370135B1 (ko) * 2021-11-29 2022-03-08 (주)금하네이벌텍 선박
CN114932922A (zh) * 2022-06-16 2022-08-23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门系统的多阶折叠踏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6808A1 (en) 1995-11-29 1997-06-04 Fine Products S.A.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KR100817906B1 (ko) 2007-05-03 2008-03-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 차량을 위한 비상 탈출용 램프
WO2010069032A1 (en) 2008-12-18 2010-06-24 Curtis Canada, Inc. Ramp for evacu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6808A1 (en) 1995-11-29 1997-06-04 Fine Products S.A.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KR100817906B1 (ko) 2007-05-03 2008-03-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 차량을 위한 비상 탈출용 램프
WO2010069032A1 (en) 2008-12-18 2010-06-24 Curtis Canada, Inc. Ramp for evacu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90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145B1 (ko)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EP2373509B1 (en) Ramp for evacuation device
CA2562409C (en) Loft ladder assembly
JP6182497B2 (ja) エレベータ用救出支援装置
JP6975455B2 (ja) マンホール用安全柵装置
KR100817906B1 (ko) 철도 차량을 위한 비상 탈출용 램프
KR200453229Y1 (ko) 오토바이 수리용 리프트
ES2715757T3 (es) Sistema de bloqueo para escalera plegable
JP4623579B2 (ja) 避難装置
JP200915509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下作業台装置
KR101098225B1 (ko)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CN104418199B (zh) 电梯装置及其作业台装置
JP5583835B1 (ja) トラックの荷台
JP2001262963A (ja) 梯 子
JP5453162B2 (ja) 車両用昇降機の格納ロック用ハンドル装置
US2063434A (en) Convertible railway freight car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CN210854848U (zh) 一种轿厢安全门
CN212958431U (zh) 一种方便折叠的电梯底坑爬梯
JP5286008B2 (ja) 跳ね上げ式扉の開放保持装置
JP2008100838A (ja)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
JP3172791U (ja) 収納式タラップ
JPH06190073A (ja) 避難装置
JPH11182167A (ja) 安全タ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