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35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35B1
KR102370135B1 KR1020210166870A KR20210166870A KR102370135B1 KR 102370135 B1 KR102370135 B1 KR 102370135B1 KR 1020210166870 A KR1020210166870 A KR 1020210166870A KR 20210166870 A KR20210166870 A KR 20210166870A KR 102370135 B1 KR102370135 B1 KR 10237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hull
gangway
ship
rotatabl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향권
신상건
이지영
남휘민
문영준
Original Assignee
(주)금하네이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하네이벌텍 filed Critical (주)금하네이벌텍
Priority to KR102021016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Abstract

본 출원은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선저, 상기 선저에 연결되며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 상기 선저에 연결되며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 및 갑판이 구비된 선체; 상기 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2추진부; 상기 갑판에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외부와 상기 갑판을 연결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비된 갱웨이; 및 상기 갱웨이의 신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람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부;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Boat}
본 출원은 수상 이동수단, 육상 이동수단, 및 갱웨이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레저활동으로서 낚시, 갯벌 체험 등 해양 레저를 즐기는 인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연안 해역 중 갯벌 등에서 고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갯벌 고립 사고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이동 수단(구조 수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 수단은 별도의 기계 장치가 없는 뻘배이다. 뻘배는 신속한 이동이 불가하고 구조 요원의 체력 소모가 크다는 점이 문제이다. 또 다른 구조 수단은 선박이다. 선박은 공기부양정이 대표적인데, 공기부양정은 갯벌이나 모래 등의 연안 지역에서 조향 능력이 떨어지고 갯골 및 고저차가 있는 지형에서 운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4-0066992).
본 출원은 갱웨이 및 통로형성부가 구비된 선박 및 선박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디와 육지의 경계 영역(연안)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선박 및 선박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선저, 상기 선저에 연결되며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 상기 선저에 연결되며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 및 갑판이 구비된 선체; 상기 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2추진부; 상기 갑판에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외부와 상기 갑판을 연결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비된 갱웨이; 및 상기 갱웨이의 신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람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갱웨이는 상기 갑판에 고정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브릿지; 일단이 상기 제1브릿지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브릿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브릿지가 회전하게 하는 제1조절부;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브릿지가 회전하게 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갑판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는 중공 바(hollow 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갑판 또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신축바디;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바디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바디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신축바디에는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바디는 중공 원통 또는 중공 각기둥 형상의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축바디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갱웨이가 상기 이동통로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축바디는 상기 갱웨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축바디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신축바디의 외주면은 상기 갱웨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피스톤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1브릿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2브릿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피스톤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제2브릿지가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브릿지는 상기 제1브릿지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2브릿지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웨이는 일단이 상기 제2브릿지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3브릿지; 및 상기 제2브릿지의 하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2브릿지의 하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3브릿지가 회전하게 하는 제3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웨이는 상기 제3브릿지가 상기 제2브릿지의 하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3브릿지는 상기 제2브릿지의 상부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3브릿지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갱웨이 및 통로형성부가 구비된 선박 및 선박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디와 육지의 경계 영역(연안)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선박 및 선박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선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갱웨이 및 통로형성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통로형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은 선체(1), 상기 선체의 선수(11) 방향에 위치된 공기를 선미(1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1)의 수상 이동에 필요한 동력(thrust)을 발생시키는 제1추진부(2), 상기 선체(1)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면 및 육지를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추진부(3, 4, 5, 6), 상기 선체(1)에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갱웨이(7, gangway), 및 상기 갱웨이(7)의 신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람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선체(1)는 제어실(15)이 구비된 갑판(14), 상기 선체의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16), 상기 선체의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17), 및 상기 선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선저(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선수(11)는 상기 선체(1)의 전방을 의미하고, 상기 선미(12)는 상기 제1선체(2)의 후방을 의미하며, 상기 선수와 선미는 선저(1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1측면(16)은 상기 선저(13)에서 상기 갑판(14)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고, 상기 제2측면(17)은 상기 선저(13)에서 상기 갑판(14)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저(13)는 수평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선체에서 돌출된 뾰족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선저(13)가 수평면으로 구비되면, 상기 선체(1)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형을 통과할 때 선체와 지면의 접촉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추진부(2)는 상기 선수(11)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상기 선미(1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선미(12)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상기 선수(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부(21, 2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1추진부(2)가 제1배기부(21) 및 제2배기부(2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배기부(21)는 상기 갑판(14)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211), 상기 제1고정바디(2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임펠러(213), 및 상기 제1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1임펠러 모터(215)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부(22)는 상기 갑판(14)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221), 상기 제2고정바디(2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임펠러(223), 및 상기 제2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임펠러 모터(2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부(21)에는 상기 제1임펠러(21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1기류제어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부(22)에는 상기 제2임펠러(2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2기류제어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류제어부(23)는 상기 선체(1)에 고정된 링 형상의 제1임펠러 하우징(231) 및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에 구비된 제1제어판(235)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기류제어부(24)는 상기 선체(1)에 고정된 링 형상의 제2임펠러 하우징(241) 및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41)에 구비된 제2제어판(24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의 중앙에는 상기 제1임펠러(21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관통홀(233)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41)의 중앙에는 상기 제2임펠러(22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관통홀(243)이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홀(233)은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을 관통하는 홀로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제2관통홀(243)은 상기 선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21)을 관통하는 홀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제어판(235)는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의 높이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선체의 좌현에서 우현, 우현에서 좌현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제어판(245)은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41)의 높이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박(100)는 상기 임펠러들(213, 2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선체(1)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제어판(235)과 제2제어판(245)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선체(1)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제1추진부는 상기 선저에 구비된 임펠러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선저로 물을 흡입하여 선미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는 워터젯(water jet)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추진부(3, 4, 5, 6)는 상기 선체의 제1측면(16)에 구비되는 두 개의 우현 구동부(3, 5), 상기 선체의 제2측면(17)에 구비되는 두 개의 좌현 구동부(4, 6)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현 구동부는 상기 선체의 제1측면(16)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면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우현 제1구동부(3) 및 우현 제2구동부(5)로 구비되고, 상기 좌현 구동부는 상기 선체의 제2측면(17)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면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좌현 제1구동부(4) 및 좌현 제2구동부(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현 제1구동부(3)와 좌현 제1구동부(4)는 상기 선체(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선미(12)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우현 제2구동부(5)와 좌현 제2구동부(6)는 상기 선체(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선수(11)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추진부가 상술한 4개의 구동부(3, 4, 5, 6)로 구비되면, 상기 선체(1)가 굴곡이 심한 지형을 통과할 때 선체(1)의 요동을 최소화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선체(1)에는 상기 우현 제1구동부(3) 및 우현 제2구동부(5)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161), 및 상기 좌현 제1구동부(4) 및 좌현 제2구동부(6)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챔버(1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61)는 제1인출구(161a)를 통해 상기 선체(1)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171)는 제2인출구(171a)를 통해 상기 선체(1)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출구(161a)는 상기 선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커버(161b)를 통해 개폐되고, 상기 제2인출구(171a)는 상기 선체(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커버(171b)를 통해 개폐된다.
상기 우현 제1구동부(3), 우현 제2구동부(5), 좌현 제1구동부(5), 및 좌현 제2구동부(6)는 모터나 엔진이 제공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휠(바퀴) 및 무한궤도(Caterpillar)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현 제1구동부(3)는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면(16)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1지지바디(31), 상기 제1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무한궤도(33), 상기 제1지지바디(31)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액추에이터(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31)에는 링 형상의 제1무한궤도(33)를 지지하는 제1휠(311, 제1타이어)이 구비된다. 상기 제1휠(311)은 상기 제1지지바디(3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바디(31)는 제1바디 제1링크(313)와 제1바디 제2링크(314)를 통해 상기 제1챔버(16)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 제1링크(313)는 일단은 상기 제1지지바디(31)의 전단(front end)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바디 제2링크(314)는 일단은 상기 제1지지바디(31)의 후단(rear end)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35)는 상기 제1바디 제1링크(31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무한궤도(33)를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서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으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제1챔버(161) 내부로 인입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바디 제1링크(313)의 회전축은 상기 제1액추에이터(35)의 피스톤이 상기 제1바디 제1링크(313)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현 제2구동부(5)는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측면(16)의 전방(제1측면 중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제3지지바디(51), 상기 제3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3무한궤도(53), 상기 제3지지바디(31)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3액추에이터(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디(31)에는 링 형상의 제3무한궤도(33)를 지지하는 제3휠(511, 제3타이어)이 구비된다. 상기 제3휠(511)은 상기 제3지지바디(5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디(51)는 제3바디 제1링크(513)와 제3바디 제2링크(514)를 통해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 제1링크(513)는 일단은 상기 제3지지바디(5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 제2링크(514)는 일단은 상기 제3지지바디(5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액추에이터(55)는 상기 제3바디 제1링크(51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3무한궤도(53)를 상기 제1챔버(161) 내부에서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으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제1챔버(161) 내부로 인입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제3바디 제1링크(513)의 회전축은 상기 제3액추에이터(55)의 피스톤이 상기 제3바디 제1링크(513)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무한궤도(33)와 제3무한궤도(53)를 상기 제1챔버(161)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1바디 제1링크(313) 및 상기 제1바디 제2링크(314)는 상기 제1지지바디(3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3바디 제1링크(513) 및 상기 제3바디 제2링크(514)는 상기 제3지지바디(5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현 제1구동부(3)와 우현 제2구동부(5)가 수용되는 제1챔버(161)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좌현 제1구동부(4)는 상기 제2측면(17)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지지바디(41), 상기 제2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2무한궤도(43), 상기 제2지지바디(41)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액추에이터(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41)에는 링 형상의 제2무한궤도(43)를 지지하는 제2휠(411, 제2타이어)이 구비된다. 상기 제2휠(411)은 상기 제2지지바디(4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바디(41)는 제2바디 제1링크(413)와 제2바디 제2링크(414)를 통해 상기 제2챔버(17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 제1링크(413)는 일단은 상기 제2지지바디(4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챔버(17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바디 제2링크(414)는 일단은 상기 제2지지바디(4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챔버(17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45)는 상기 제2바디 제1링크(41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무한궤도(43)를 상기 제2챔버(171) 내부에서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으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제2챔버(171) 내부로 인입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제2바디 제1링크(413)의 회전축은 상기 제2액추에이터(45)의 피스톤이 상기 제2바디 제1링크(413)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현 제2구동부(6)는 상기 제2측면(1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4지지바디(61), 상기 제4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4무한궤도(63), 상기 제4지지바디(61)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4액추에이터(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바디(61)에는 링 형상의 제4무한궤도(63)를 지지하는 제4휠(411, 제4타이어)가 구비된다. 상기 제4휠(611)은 상기 제4지지바디(6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바디(61)는 제4바디 제1링크(613)와 제4바디 제2링크(614)를 통해 상기 제2챔버(17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바디 제1링크(613)는 일단은 상기 제4지지바디(6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챔버(17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4바디 제2링크(614)는 일단은 상기 제4지지바디(6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챔버(17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4액추에이터(65)는 상기 제4바디 제1링크(613)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4무한궤도(63)를 상기 제2챔버(171) 내부에서 상기 선저(13)보다 낮은 지점으로 인출시키거나, 상기 선저보다 낮은 지점에서 상기 제2챔버(171) 내부로 인입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제4바디 제1링크(613)의 회전축은 상기 제4액추에이터(65)의 피스톤이 상기 제4바디 제1링크(613)에 연결되는 지점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무한궤도(43)와 제4무한궤도(63)를 상기 제2챔버(171)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바디 제1링크(413) 및 상기 제2바디 제2링크(414)는 상기 제2지지바디(4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4바디 제1링크(613) 및 상기 제4바디 제2링크(614)는 상기 제4지지바디(6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61)에 구비된 제1인출구(161a)는 상기 제1커버(161b)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챔버(171)에 구비된 제2인출구(171a)는 상기 제2커버(171b)에 의해 개폐된다.
각 커버(161a, 171a)가 각 챔버(161, 171)를 개방한 때 상기 제1커버(161b)의 자유단 및 제2커버(171b)의 자유단은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수상과 육상의 경계 영역을 통과할 때 상기 선체(1)에 작용하는 물의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선저(13)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우현 제1구동부(3)와 상기 좌현 제1구동부(4)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선저(13)와 지면(G)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위치감지부, 및 상기 선저(13) 중 상기 우현 제2구동부(5)와 좌현 제2구동부(6)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선저(13)와 지면(G)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2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위치감지부가 감지한 간격과 상기 제2위치감지부가 감지한 간격이 동일해지도록 각 액추에이터(35, 45, 55, 6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동부(3, 4, 5, 6)가 선체(1)에 구비된 각 챔버(161, 171)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배기부(21) 및 제2배기부(22)가 작동하면, 상기 선체(1)는 수상 이동이 가능하다. 수상을 이동하는 상기 선체(1)의 방향 전환은 각 기류제어부(23, 24)에 구비된 제어판(235, 245)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동부(3, 4, 5, 6)가 각 챔버(161, 171)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각 구동부에 구비된 휠(311, 411, 511, 611)이 작동하면, 상기 선체(1)는 육상 이동이 가능하다. 육상을 이동하는 상기 선체(1)의 방향 전환은 상기 우현 구동롤러(311, 511)와 좌현 구동롤러(411, 611)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실행된다.
상기 선체(1)가 수상에서 육상으로 이동하기 위해 각 구동부(3, 4, 5, 6)가 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연안지역을 통과할 때 구동부가 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선체(1)의 좌초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선저(13)와 지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하가 되면, 각 무한궤도(33, 43, 53, 63)가 각 챔버(161, 171)에서 인출되도록 각각의 액추에이터(35, 45, 55, 65)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위치감지부 및 제2위치감지부가 모두 구비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두 위치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한 선저와 지면의 간격이 상기 기준거리 이하일 때 각 무한궤도(33, 43, 53, 63)를 선체(1)의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체(1)가 육상을 이동할 때 및 연안지역(또는 육지와 물의 경계지역)을 이동할 때, 상기 제어부는 각 구동부에 구비된 휠(311, 411, 511, 611)만을 작동시킬 수도 있고, 각 휠(311, 411, 511, 611) 및 배기부(21, 22)를 모두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갱웨이(7)는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갑판(14)을 상기 선체(11)의 외부와 연결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갱웨이(7)는 상기 갑판(14)에 고정된 베이스(71), 상기 베이스(71)에 고정된 다수의 브릿지(7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릿지(72)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71)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 형상(bar)의 제1브릿지(721), 일단이 상기 제1브릿지(721)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 형상의 제2브릿지(722), 및 상기 제2브릿지(722)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바 형상의 제3브릿지(7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릿지(721)는 제1축(724)를 통해 상기 베이스(7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7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축(724)을 고정하는 축 지지부(7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릿지(722)는 제2축(725)를 통해 상기 제1브릿지(721)에 연결되고, 상기 제3브릿지(723)는 제3축(727)을 통해 상기 제2브릿지(7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은 3개의 브릿지(721, 722, 723)가 구비된 갱웨이(7)를 도시하고 있지만, 브릿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릿지(721)는 두 개의 마주보는 바가 제1지지판(721a)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브릿지(722)는 두 개의 마주보는 바가 제2지지판(722a)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3브릿지(723)는 두 개의 마주보는 바가 제3지지판(723a)을 통해 연결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갱웨이(7)에는 상기 베이스(7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71)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브릿지(721)가 회전하게 하는 제1조절부(73), 상기 제1브릿지(72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1브릿지(721)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브릿지(722)가 회전하게 하는 제2조절부(74), 및 상기 제2브릿지(722)의 하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2브릿지(722)의 하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3브릿지(723)가 회전하게 하는 제3조절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들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면, 인명의 구조에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1조절부(73)는 상기 베이스(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실린더(731), 및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731)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7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피스톤(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74)는 상기 제1브릿지(7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실린더(741), 및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741)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2브릿지(7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피스톤(74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조절부(75)는 상기 제2브릿지(72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3실린더(751), 및 일단은 상기 제3실린더(751)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3브릿지(72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3피스톤(7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릿지(722)에는, 상기 제2브릿지가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브릿지(721)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2브릿지 절곡부(726)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브릿지(723)에는, 상기 제3브릿지(723)가 상기 제2브릿지(722)의 하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브릿지(722)의 상부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3브릿지 절곡부(7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릿지 절곡부(726)와 상기 제3브릿지 절곡부(728)는 상기 브릿지들(721, 722, 723)이 접힌 경우(도 4의 상태), 상기 갱웨이(7)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제2브릿지 절곡부(726)의 방향과 상기 제3브릿지 절곡부(728)의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71)는 상기 갑판(14)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판(plat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로형성부(8)는 상기 브릿지들(721, 722, 723)의 길이가 늘어나는 방향(Z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며, 사람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수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형성부(8)는 중공 바(hollow 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갑판(14) 또는 상기 베이스(71)에 고정되는 신축바디(81), 및 상기 선체(1)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바디(81)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8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축바디(81)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신축바디(81)의 내부에는 사람 등이 이동 가능한 이동통로(82)가 형성될 것이다.
상기 신축바디(81)는 중공 원통 형상 또는 중공 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되, 신축이 용이하도록 주름관(corrugated tube)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신축바디(81)에 공기가 주입된 때 상기 신축바디(81)의 외주면이 상기 갱웨이(7)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상기 신축바디(81)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갱웨이(7)가 상기 이동통로(82) 내부에 위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실시예에 구비된 상기 신축바디(81)는 내부의 공기가 모두 배출된 경우에도 상기 갱웨이(7)를 감싸는 구조가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갱웨이(7) 및 통로형성부(8)가 구비된 선박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갱웨이(7)는 두 개의 브릿지(721, 722)가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선박(100)은 상기 제1브릿지(721)가 상기 베이스(7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1조절부(73)를 제어하는 연장1단계, 상기 제2브릿지(722)가 상기 제1브릿지(721)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2조절부(74)를 제어하는 연장2단계, 및 각 브릿지들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신축바디(81)가 상기 제3브릿지(723)의 자유단을 향해 신장되도록 상기 에어펌프(83)를 제어하는 연장3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연장1단계와 상기 연장2단계는 동시에 개시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실행(연장1단계의 완료 후 연장2단계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갱웨이(7) 및 통로형성부(8)가 빠르게 형성되어야 할 경우라면, 상기 연장1단계와 상기 연장2단계는 동시에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연장3단계는 상기 연장1단계 및 상기 연장2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3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에어펌프(83)가 상기 신축바디(81) 내부의 압력을 기 설정된 기준압력으로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유지단계는, 상기 신축바디(8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압력센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기준압력과 비교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지단계의 진행 중 상기 신축바디 내부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미만인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신축바디(81) 내부의 공기를 전부 배출시키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압력이 낮은 상태의 신축바디(81)는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압력이 낮은 상태의 신축바디는 이동통로를 형성하기 어려움).
구조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신축바디(81)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에어펌프(83)를 제어하는 축소1단계, 상기 제2브릿지(722)가 상기 제1브릿지(721)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2조절부(74)를 제어하는 축소2단계, 및 상기 제1브릿지(721)가 상기 베이스(71)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하도록 상기 제1조절부(73)를 제어하는 축소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들을 상기 베이스(71)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축소2단계와 상기 축소3단계는 상기 축소1단계의 완료 후 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축소2단계와 상기 축소3단계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선박 1: 선체 11: 선수
12: 선미 13: 선저 14: 갑판
16: 제1측면 161: 제1챔버 17: 제2측면
171: 제2챔버 2: 제1추진부 21: 제1배기부
22: 제2배기부 23: 제1기류제어부 24: 제2기류제어부
3: 우현 제1구동부 31: 제1지지바디 311: 제1휠
313: 제1바디 제1링크 314: 제1바디 제2링크 33: 제1무한궤도
35; 제1액추에이터 4: 좌현 제1구동부 41: 제2지지바디
411: 제2휠 413: 제2바디 제1링크 414: 제2바디 제2링크
43: 제2무한궤도 45: 제2액추에이터 5: 우현 제2구동부
51: 제3지지바디 511: 제3휠 513: 제3바디 제1링크
514: 제3바디 제2링크 53: 제3무한궤도 55: 제3액추에이터
6: 좌현 제2구동부 61: 제4지지바디 611: 제4휠
613: 제4바디 제1링크 614: 제4바디 제2링크 63: 제4무한궤도
65: 제4액추에이터 7: 갱웨이 71: 베이스
711: 축 지지부 721: 제1브릿지 724: 제1축
722: 제2브릿지 725: 제2축 726: 제2브릿지 절곡부
723: 제3브릿지 727: 제3축 728: 제3브릿지 절곡부
721a: 제1지지판 722a: 제2지지판 723a: 제3지지판
73: 제1조절부 731: 제1실린더 732: 제1피스톤
74: 제2조절부 741: 제2실린더 742: 제2피스톤
75: 제3조절부 751: 제3실린더 752: 제3피스톤
8: 통로형성부 81: 신축바디 82: 이동통로
83: 에어펌프

Claims (10)

  1.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선저, 상기 선저에 연결되며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 상기 선저에 연결되며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 및 갑판이 구비된 선체;
    상기 선체가 수상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1추진부;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육상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2추진부;
    상기 갑판에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외부와 상기 갑판을 연결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비된 갱웨이; 및
    상기 갱웨이의 신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람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갱웨이는
    상기 갑판에 고정된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브릿지;
    일단이 상기 제1브릿지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브릿지;
    일단이 상기 제2브릿지의 자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3브릿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브릿지가 회전하게 하는 제1조절부;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브릿지가 회전하게 하는 제2조절부; 및
    상기 제2브릿지의 하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제2브릿지의 하부면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3브릿지가 회전하게 하는 제3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부는 중공 바(hollow 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갑판 또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신축바디;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바디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바디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신축바디에는 상기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바디는 중공 원통 또는 중공 각기둥 형상의 주름관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바디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갱웨이가 상기 이동통로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축바디는 상기 갱웨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바디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신축바디의 외주면은 상기 갱웨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1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브릿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피스톤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1브릿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실린더, 및 일단은 상기 제2실린더 내부를 왕복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2브릿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피스톤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릿지가 상기 제1브릿지의 상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브릿지는 상기 제1브릿지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2브릿지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브릿지가 상기 제2브릿지의 하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3브릿지는 상기 제2브릿지의 상부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제3브릿지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210166870A 2021-11-29 2021-11-29 선박 KR10237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870A KR102370135B1 (ko) 2021-11-29 2021-11-29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870A KR102370135B1 (ko) 2021-11-29 2021-11-29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135B1 true KR102370135B1 (ko) 2022-03-08

Family

ID=8081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870A KR102370135B1 (ko) 2021-11-29 2021-11-29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5190A (ko) * 2011-02-18 2012-08-28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20140066992A (ko) * 2011-06-30 2014-06-03 카일 딕 선박 또는 램프와 가변가능한 상부구조물을 구비한 수륙양용 선박
JP2014156179A (ja) * 2013-02-15 2014-08-28 Sakurai Giken Kogyo Kk 浮体連結装置及び連結体を備える船
KR102227079B1 (ko) * 2020-11-25 2021-03-15 (주)금하네이벌텍 갱웨이가 구비된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5190A (ko) * 2011-02-18 2012-08-28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20140066992A (ko) * 2011-06-30 2014-06-03 카일 딕 선박 또는 램프와 가변가능한 상부구조물을 구비한 수륙양용 선박
JP2014156179A (ja) * 2013-02-15 2014-08-28 Sakurai Giken Kogyo Kk 浮体連結装置及び連結体を備える船
KR102227079B1 (ko) * 2020-11-25 2021-03-15 (주)금하네이벌텍 갱웨이가 구비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079B1 (ko) 갱웨이가 구비된 선박
US4823722A (en) Semi-submersible marine craft
US20110094433A1 (en) Underwater posture stabilization system and div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20070125285A1 (en) Portable Personal Watercraft
KR102135784B1 (ko) 수륙양용 보트
KR102196849B1 (ko) 수륙 양용 보트
KR102370135B1 (ko) 선박
KR102370136B1 (ko) 선박 및 선박의 제어방법
US6941883B2 (en) Submerged underwater observation booth
CN213566378U (zh) 一种防倾斜的船舶平衡装置
US5809923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and draft of a vessel
GB2151560A (en) Amphibious equipment for hauling ashore and launching of hydrofoil and small coastal crafts
US20020124783A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CN110341910A (zh) 一种水下钢结构表面海生物清洗机器人及其全景成像系统
US4303034A (en) Vehicles for operating over water
US6571725B1 (en) Watercraft with anticavitation control
KR102409221B1 (ko) 수륙 양용 보트
KR102287576B1 (ko) 워터제트식 수상운송장치
US3791334A (en) Boat reverse
US20220348300A1 (en) Integrated thruster apparatus for a marine vessel
RU75368U1 (ru)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RU2172699C1 (ru)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US2380220A (en) Boat
RU22772U1 (ru) Амфибийное судно на воздушной подушке (варианты)
US20230294813A1 (en) Manoeuvring system for a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