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49B1 - 수륙 양용 보트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849B1
KR102196849B1 KR1020200087094A KR20200087094A KR102196849B1 KR 102196849 B1 KR102196849 B1 KR 102196849B1 KR 1020200087094 A KR1020200087094 A KR 1020200087094A KR 20200087094 A KR20200087094 A KR 20200087094A KR 102196849 B1 KR102196849 B1 KR 102196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frame
spiral
hull
propel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향권
하충호
신상건
Original Assignee
(주)금하네이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하네이벌텍 filed Critical (주)금하네이벌텍
Priority to KR102020008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23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screw-type ground-enga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7/00Propulsion directly actuated on air
    • B63H7/02Propulsion directly actuated on air us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선저에 고정되어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 상기 선저에 고정되어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이 구비된 선체; 선수(bow)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선미(stern)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부;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저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시 상기 선수가 위치된 방향의 흙을 상기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시 상기 선수가 위치된 방향의 흙을 상기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제2나선 추진체;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선체가 지면(groun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륙 양용 보트 {Amphibious Boat}
본 출원은 에어 보트(air boat) 형태의 수상 이동 장치 및 갯벌 이동 장치가 구비된 수륙 양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부(연안)에서 이동이 용이한 점이 특징이다.
최근 들어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 및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레저활동으로서 낚시, 갯벌 체험 등 해양 레저를 즐기는 인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연안 해역 중 갯벌 등에서 고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갯벌 고립 사고 발생 시 대응할 수 있는 이동 수단(구조 수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종래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 수단은 별도의 기계 장치가 없는 뻘배이다. 뻘배는 신속한 이동이 불가하고 구조 요원의 체력 소모가 크다는 점이 문제이다. 또 다른 구조 수단은 수륙 양용 보트이다. 수륙 양용 보트는 공기부양정이 대표적인데, 공기부양정은 갯벌이나 모래 등의 연안 지역에서 조향 능력이 떨어지고 갯골 및 고저차가 있는 지형에서 운행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디와 육지의 경계 영역(연안)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연안에서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용이한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수상을 이동할 때 육상 이동을 위한 수단(나선 추진체)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상 이동 속도의 저하 및 수상에서의 방향 전환 속도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선저에 고정되어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 상기 선저에 고정되어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이 구비된 선체; 선수(bow)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선미(stern)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부;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저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시 상기 선수가 위치된 방향의 흙을 상기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시 상기 선수가 위치된 방향의 흙을 상기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제2나선 추진체;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선체가 지면(groun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한다.
상기 수륙 양용 보트는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1나선 추진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2나선 추진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최하단과 상기 제2하우징의 최하단은 상기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보트는 일단은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전방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후방프레임;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축;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축을 회전시키는 제1연결축 구동부; 일단은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전방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후방프레임; 상기 제2전방프레임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연결축; 및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축을 회전시키는 제2연결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선수와 상기 선미를 연결한 직선에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스크류; 및 상기 제1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 추진체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선수와 상기 선미를 연결한 직선에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2스크류; 및 상기 제2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미보다 상기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제1지지부;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미보다 상기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제2지지부;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수보다 상기 선미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수보다 상기 선미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제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전방 휠 제1프레임;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전방 휠; 상기 제1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전방 휠 제2프레임;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전방 휠; 상기 제2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휠 제1프레임;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후방 휠; 상기 제1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휠 제2프레임;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후방 휠; 상기 제2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보트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선수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전방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1나선 추진체가 상기 선체의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선수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전방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2나선 추진체가 상기 선체의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륙 양용 보트는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지면(ground)과 상기 선저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지면과 상기 선저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을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 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지면과 상기 선저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 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지면과 상기 선저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거나,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이거나, 상기 선체의 속도 감속율이 기 설정된 기준 감속율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1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지면과 상기 선저의 간격이 기준간격보다 크거나,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이거나, 상기 선체의 속도 감속율이 기 설정된 기준 감속율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바디와 육지의 경계 영역(연안)에서의 이동이 용이한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갯벌이나 모래가 많은 연안에서의 이동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방향 전환이 용이한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수상을 이동할 때 육상 이동을 위한 수단(나선 추진체)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상 이동 속도의 저하 및 수상에서의 방향 전환 속도 저하를 최소화 가능한 수륙 양용 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륙 양용 보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수륙 양용 보트의 전방면과 후방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륙 양용 보트의 수상모드 및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수륙 양용 보트에 구비된 제2추진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수륙 양용 보트의 육상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수륙 양용 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수륙 양용 보트의 수상 이동 모드, 연안 이동 모드, 및 육상 이동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륙 양용 보트(100)는 선체(1), 상기 선체의 선수(11) 방향에 위치된 공기를 선미(1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1)의 이동에 필요한 추력(thrust)을 발생시키는 제1추진부(2), 상기 선체(1)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면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추진부(31, 33), 및 상기 선체(1)가 지면(ground)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선체(1)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지지부(41, 43, 51, 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1)는 제어실(15)이 구비된 갑판(14), 상기 선체의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16), 상기 선체의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17), 및 상기 선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선저(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선수(11)는 상기 선체(1)의 전방을 의미하고, 상기 선미(12)는 상기 제1선체(2)의 후방을 의미한다.
상기 제1추진체(2)는 상기 선수(11)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상기 선미(1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선미(12)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상기 선수(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부(21, 22)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추진부(2)가 제1배기부(21) 및 제2배기부(2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배기부(21)는 상기 갑판(14)에 고정된 제1지지부(211), 상기 제1지지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임펠러(213), 및 상기 제1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1임펠러 모터(215)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부(22)는 상기 갑판(14)에 고정된 제2지지부(221), 상기 제2지지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임펠러(223), 및 상기 제2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2임펠러 모터(2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부(21)는 상기 제1임펠러(21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1기류제어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부(22)에는 상기 제2임펠러(223)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2기류제어부(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류제어부(23)는 상기 선체(1)에 고정된 링 형상의 제1임펠러 하우징(231) 및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에 구비된 제1가이드(2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기류제어부(24)는 상기 선체(1)에 고정된 링 형상의 제2임펠러 하우징(241) 및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41)에 구비된 제2가이드(2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의 중앙에는 상기 제1임펠러(213)가 수용되는 제1관통홀(233)이 구비되고,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41)의 중앙에는 상기 제2임펠러(223)가 수용되는 제1관통홀(243)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235)는 상기 제1임펠러 하우징(231)의 높이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선체의 좌현에서 우현, 우현에서 좌현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245)는 상기 제2임펠러 하우징(241)의 높이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륙 양용 보트(100)는 상기 임펠러들(213, 2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선체(1)의 전진과 후진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235)와 제2가이드(245)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선체(1)의 좌우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추진부(31, 33)는 상기 선체의 제1측면(16)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면을 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나선 추진체(31), 및 상기 선체의 제2측면(17)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가 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면을 이동할 때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제2나선 추진체(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 screw-propelled thrust device)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는 상기 선체의 흘수선(L)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P1)과 상기 선저(13)의 위치(B)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추진부에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액추에이터(33),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2액추에이터(3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액추에이터(33)는 일단은 상기 제1측면(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전방프레임(331), 일단은 상기 제1측면(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후방프레임(333),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축(335), 상기 선체(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축(335)을 회전시키는 제1연결축 구동부(336, 337, 33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34)는 일단은 상기 제2측면(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전방프레임(341), 일단은 상기 제2측면(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후방프레임(343), 상기 제2전방프레임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연결축(345), 및 상기 선체(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축(345)을 회전시키는 제2연결축 구동부(346, 347, 34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축 구동부(336, 337, 338)는 상기 선체(1) 내부에 구비되어 제1주동기어(337)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36), 및 상기 제1연결축(335)에 구비되어 상기 제1주동기어(337)에 연결된 제1종동기어(33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연결축 구동부는 상기 선체(1) 내부에 구비되어 제2주동기어(347)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346), 및 상기 제2연결축(345)에 구비되어 상기 제2주동기어(347)에 연결된 제2종동기어(34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331)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33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실린더(311), 상기 제1실린더(311)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스크류(313), 및 상기 제1실린더(331)를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구동부(3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311)의 회전축은 상기 선수(11)와 상기 선미(12)를 연결한 직선에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 구동부(315)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331)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333)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크류(313)는 상기 제1실린더(311)의 원주면에 상기 제1전방프레임(331)이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1후방프레임(333)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형성된 나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341)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34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실린더(321), 상기 제2실린더(321)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2스크류(323), 및 상기 제2실린더(321)를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 구동부(3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321)의 회전축은 상기 선수(11)와 상기 선미(12)를 연결한 직선에 평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실린더 구동부(325)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341)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343)의 자유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크류(323)는 상기 제2실린더(321)의 원주면에 상기 제2전방프레임(341)이 위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후방프레임(343)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형성된 나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제2추진부는 상기 스크류들(313, 323)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 지표면에 있는 흙(갯벌, 모래 등)은 상기 선수(11)에서 선미(12) 방향(또는 선미에서 선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선체(1)는 갯벌이나 모래 위를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상기 제1배기부(21) 및 제2배기부(22)가 작동 중이라면, 상기 선체(1)는 보다 쉽게 갯벌이나 모래 위를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1)에는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18), 및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하우징(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8)과 제2하우징(19)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가 선체(1)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나 이물질이 각 나선 추진체(31, 32)에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선체(1)가 수상을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8)과 제2하우징(19)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하우징(18) 중 상기 선저(13)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스크류(313)가 출입하는 제1스크류 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19) 중 상기 선저(13)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스크류(323)가 출입하는 제2스크류 출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체(1)가 수상을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들(18, 19)에 의한 마찰 저항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8)의 최하단과 상기 제2하우징(19)의 최하단은 상기 흘수선(L)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 43, 51, 53)는 상기 제1측면(16)과 제2측면(17)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 제1지지부(41) 및 전방 제2지지부(43), 상기 제1측면(16)과 제2측면(17)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1)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제1지지부(51) 및 후방 제2지지부(5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제1지지부(41) 및 전방 제2지지부(43)는 선체(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선미(12)보다 상기 선수(11)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후방 제1지지부(51) 및 후방 제2지지부(53)는 상기 선체(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선수(11)보다 선미(12)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전방 제1지지부(41)는 상기 제1측면(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전방 휠 제1프레임(411),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4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전방 휠(413), 상기 제1전방 휠(413)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411)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4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제2지지부(43)는 상기 제2측면(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전방 휠 제2프레임(431),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43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전방 휠(433), 상기 제2전방 휠(433)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431)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 휠(413)과 제2전방 휠(433)은 별도의 구동부(모터, 또는 엔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통해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411)과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431) 각각에 단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 제1지지부(51)는 상기 제1측면(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휠 제1프레임(511),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5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후방 휠(513), 및 상기 제1후방 휠(513)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511)의 위치를 제어하는 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515)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제2지지부(53)는 상기 제2측면(1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휠 제2프레임(531),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53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후방 휠(533), 및 상기 제2후방 휠(533)이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531)의 위치를 제어하는 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5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 휠(513)과 제2후방 휠(533)은 별도의 구동부(모터, 또는 엔진)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통해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511)과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531) 각각에 단순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415), 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435), 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515), 및 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535)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프레임 구동부들(415, 435, 515, 535)들이 상기 선체(1) 내부에 구비된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각 휠 프레임(411, 431, 511, 531)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된 종동기어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전방 휠(413), 제2전방 휠(433), 제1후방 휠(513), 및 제2후방 휠(533)이 제2지점(P2)에 위치하면, 상기 선체(1)는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선저는 지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배기부(21) 및 제2배기부(23)가 작동하면, 상기 선체(1)는 연안 지역(갯벌이나 모래로 덮인 지역)보다 지표면이 딱딱한 지역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선체(1)에는 지면과 상기 선저(13)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지면과 상기 선저(13)의 간격에 근거하여, 상기 제1액추에이터(33), 제2액추에이터(34), 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415), 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435), 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515), 및 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535)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수륙 양용 보트(100)가 수상을 이동하는 경우(수상 이동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수륙 양용 보트(100)가 바다와 육지의 경계 지역(연안, 지면이 갯벌과 모래 등으로 덮힌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연안 이동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수륙 양용 보트(100)가 육상(갯벌이나 모래보다 딱딱한 지표면을 가진 지역)을 이동하는 경우(육상 이동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체(1)가 수상을 이동할 때,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 제2나선 추진체(33), 전방 제1지지부(41), 전방 제2지지부(43), 후방 제1지지부(51), 및 후방 제2지지부(53)는 모두 흘수선(L)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한다. 도면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 제2나선 추진체(33), 전방 제1지지부(41), 전방 제2지지부(43), 후방 제1지지부(51), 및 후방 제2지지부(53)가 모두 제2지점(P2)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는 상기 제1하우징(18)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나선 추진체(33)는 상기 제2하우징(19)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배기부(21) 및 제2배기부(22)가 작동하면, 상기 선체(1)는 수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선체(1)가 수상을 이동 중 상기 위치감지부(6)에서 측정된 선저(13)와 지면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를 상기 제1하우징(18)과 제2하우징(19)에서 인출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감지부(6)에서 측정된 선저와 지면 사이의 간격(P와 B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의 최하점(제1스크류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의 최하점(제2스크류의 최하점)을 상기 제2지점(P2)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기준간격은 편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실린더(311)의 지름(제2실린더의 지름과 동일) 또는 상기 제1스크류의 지름(제2스크류 지름과 동일)의 2 내지 3배로 설정될 수 있다.
선저(13)와 지면 사이의 간격에 따라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위치를 제어하면, 상기 선저(13)가 연안의 표면에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상 이동 모드에서 연안 이동 모드로 변경하는 시간을 최소화 가능하다(골든 타임 내 인명 구조 가능성을 높임).
한편, 최저점이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스크류와 제2스크류가 지면에 접촉한 때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수륙 양용 보트에는 스크류들이 지면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접촉센서 및 제2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1)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거나,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측정된 선저와 지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추진부(31, 32) 및 상기 지지부(41, 43, 51, 5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1)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거나,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측정된 선저와 지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41)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43)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51)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53)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P2)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33)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P2)보다 높은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1)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거나, 상기 선체(1)의 감속율이 기준 감속율보다 커지거나, 선저와 지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진다는 것은, 선체(1)가 연안에서 육지로 거의 다 이동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체의 속도나 선체와 지면의 간격에 근거하여 제2추진부(31, 32)와 지지부(41, 43, 51, 53)의 위치를 미리 제어하면, 연안 이동 모드에서 육상 이동 모드로 전환시간 단축 및 제2추진부(31, 32)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와 제2나선 추진체(32)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1)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거나, 상기 선체(1)의 감속율이 기준 감속율보다 커지거나, 선저와 지면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제어부는 일시적으로(연안 이동 모드에서 육상 이동 모드로 완전히 전환될 때까지, 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이 물에서 벗어날 때까지)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 및 제2나선 추진체(33)의 위치를 제2지점(P2),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으로 유지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2추진부(31, 32)와 지지부(41, 43, 51, 53)가 모두 제2지점(P2)에 있으면, 상기 제2추진부(31, 32)의 추력을 통해 선체(1)를 보다 빨리 연안에서 육지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수륙 양용 보트(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하우징(18)에는 제1커버(181)가 구비되고, 상기 제2하우징(19)에는 제2커버(191)가 구비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기 제1커버(181)는 상기 제1하우징(18)의 전단과 상기 선수(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기 전방 제1지지부(41) 및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기 제1나선 추진체(31)가 상기 선체(1)의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커버(191)는 상기 제2하우징(19)의 전단과 상기 선수(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기 전방 제2지지부(43) 및 상기 제1지점(P1)에 위치된 상기 제2나선 추진체(32)가 상기 선체(1)의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181)는 상기 선수(11)와 상기 제1하우징(18)의 전단을 연결하는 곡면들이 연결되어 하부면(지면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고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커버(191)는 상기 선수(11)와 제2하우징(19)의 전단을 연결하는 곡면들이 연결되어 하부면이 개방된 고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체(1)가 수상 이동 모드, 연안 이동 모드로 이동할 때 상기 선체(1)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수륙 양용 보트 1: 선체
11: 선수 12: 선미
13: 선저 16: 제1측면
17: 제2측면 18: 제1하우징
181: 제1커버 19: 제2하우징
191: 제2커버 2: 제1추진부
21: 제1배기부 211: 제1지지부
213: 제1임펠러 215: 제1임펠러 모터
22: 제2배기부 221: 제2지지부
223: 제2임펠러 225: 제2임펠러 모터
23: 제1기류제어부 231: 제1임펠러 하우징
235: 제1가이드 24: 제2기류제어부
241: 제2임펠러 하우징 245: 제2가이드
31: 제1나선 추진체 311: 제1실린더
313: 제1스크류 315: 제1실린더 구동부
32: 제2나선 추진체 321: 제2실린더
323: 제2스크류 325: 제2실린더 구동부
33: 제1액추에이터 331: 제1전방프레임
333: 제1후방프레임 335: 제1연결축
336: 제1모터 337: 제1주동기어
338: 제1종동기어 34: 제2액추에이터
341: 제2전방프레임 343: 제2후방프레임
345: 제2연결축 346: 제2모터
347: 제2주동기어 348: 제2종동기어
41: 전방 제1지지부 411: 전방 휠 제1프레임
413: 제1전방 휠 415: 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
43: 전방 제2지지부 431: 전방 휠 제2프레임
433: 제2전방 휠 435: 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
51: 후방 제1지지부 511: 후방 휠 제1프레임
513: 제1후방 휠 515: 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
53: 후방 제2지지부 531: 후방 휠 제2프레임
533: 제2후방 휠 535: 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
6: 위치감지부

Claims (10)

  1. 선저에 고정되어 우현을 형성하는 제1측면, 상기 선저에 고정되어 좌현을 형성하는 제2측면이 구비된 선체;
    선수(bow)가 위치된 방향의 공기를 선미(stern)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기부;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저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1지점과 상기 선저보다 낮은 지점으로 설정된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시 상기 선수가 위치된 방향의 흙을 상기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제1나선 추진체;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 시 상기 선수가 위치된 방향의 흙을 상기 선미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체의 이동 동력을 발생하는 제2나선 추진체;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하며, 상기 제2지점에 위치하면 상기 선체가 지면(groun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지지부;
    일단은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전방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후방프레임;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연결축;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축을 회전시키는 제1연결축 구동부;
    일단은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전방프레임;
    일단은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후방프레임;
    상기 제2전방프레임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연결축; 및
    상기 선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축을 회전시키는 제2연결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1나선 추진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2나선 추진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점은 상기 선체의 흘수선보다 높은 지점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 추진체는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선수와 상기 선미를 연결한 직선에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1스크류; 및 상기 제1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 추진체는 상기 제2전방프레임과 상기 제2후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선수와 상기 선미를 연결한 직선에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 제2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의 원주면에 구비된 제2스크류; 및 상기 제2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미보다 상기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제1지지부;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미보다 상기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제2지지부;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수보다 상기 선미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수보다 상기 선미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전방 휠 제1프레임;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전방 휠; 상기 제1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휠 제1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전방 휠 제2프레임;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전방 휠; 상기 제2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휠 제2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제1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휠 제1프레임;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후방 휠; 상기 제1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휠 제1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후방 휠 제1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 휠 제2프레임;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후방 휠; 상기 제2후방 휠이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를 왕복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 휠 제2프레임의 위치를 제어하는 후방 휠 제2프레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미보다 상기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제1지지부;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미보다 상기 선수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전방 제2지지부; 상기 제1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수보다 상기 선미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선수보다 상기 선미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는 후방 제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선수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전방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1나선 추진체가 상기 선체의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선수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전방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점에 위치된 상기 제2나선 추진체가 상기 선체의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지면(ground)과 상기 선저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및
    지면과 상기 선저의 간격이 기 설정된 기준간격에 도달하면,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을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 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지면과 상기 선저의 간격이 상기 기준간격보다 커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선 추진체 및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작동 중 측정된 상기 선체의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 상기 후방 제1지지부의 최하점, 및 상기 후방 제2지지부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제1나선 추진체의 최하점과 상기 제2나선 추진체의 최하점은 상기 제2지점, 또는 상기 제1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에 위치된 지점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 양용 보트.
KR1020200087094A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보트 KR102196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94A KR102196849B1 (ko)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094A KR102196849B1 (ko)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849B1 true KR102196849B1 (ko) 2020-12-30

Family

ID=7408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94A KR102196849B1 (ko) 2020-07-14 2020-07-14 수륙 양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8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2839A (zh) * 2022-07-12 2022-09-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适应海况的水陆两栖可变片体艇
CN116773275A (zh) * 2022-04-15 2023-09-19 李玉霞 一种应用于土地资源管理的稀泥取样器
CN116901631A (zh) * 2023-09-14 2023-10-20 威海人合机电股份有限公司 高叶片小轮毂绞龙推进滩海两栖作业船
CN117400674A (zh) * 2023-09-22 2024-01-1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水陆两栖的搜救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878A (ja) * 2003-02-21 2004-09-09 Universal Shipbuilding Corp 水陸両用の移動体
KR101473570B1 (ko) * 2013-07-11 2014-12-24 (주)포스엠 엔진내장형 수륙양용 에어보트
JP201607877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特機システム株式会社 浮体取付装置、無人水上艇及び無人移動体制御システム
KR101703873B1 (ko) * 2015-12-17 2017-02-0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나선형 상반구동 원통추진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9878A (ja) * 2003-02-21 2004-09-09 Universal Shipbuilding Corp 水陸両用の移動体
KR101473570B1 (ko) * 2013-07-11 2014-12-24 (주)포스엠 엔진내장형 수륙양용 에어보트
JP2016078770A (ja) * 2014-10-21 2016-05-16 三菱電機特機システム株式会社 浮体取付装置、無人水上艇及び無人移動体制御システム
KR101703873B1 (ko) * 2015-12-17 2017-02-0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나선형 상반구동 원통추진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73275A (zh) * 2022-04-15 2023-09-19 李玉霞 一种应用于土地资源管理的稀泥取样器
CN115122839A (zh) * 2022-07-12 2022-09-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适应海况的水陆两栖可变片体艇
CN116901631A (zh) * 2023-09-14 2023-10-20 威海人合机电股份有限公司 高叶片小轮毂绞龙推进滩海两栖作业船
CN116901631B (zh) * 2023-09-14 2023-11-21 威海人合机电股份有限公司 高叶片小轮毂绞龙推进滩海两栖作业船
CN117400674A (zh) * 2023-09-22 2024-01-1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水陆两栖的搜救机器人
CN117400674B (zh) * 2023-09-22 2024-04-3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水陆两栖的搜救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849B1 (ko) 수륙 양용 보트
US4832642A (en) Outboard boat propulsion installation
JP2010254283A (ja) 船舶
US7121219B1 (en) Boat control system
US2213611A (en) Boat propelling and stabilizing apparatus
KR102227079B1 (ko) 갱웨이가 구비된 선박
US5282763A (en) Steerable bow thruster for swath vessels
US100594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ilt-trim position of a marine propulsion device
KR100852538B1 (ko) 잠수함용 수평타 기능을 겸비한 포드 추진장치
US10442516B2 (en) Marine propulsion system
KR102268113B1 (ko) 보트 추진장치
US20070028824A1 (en) Boat control system
US3954083A (en) Twin-propeller stern drive
US20060079140A1 (en) Watercraft
US3407774A (en) Steering device for boats
KR102284213B1 (ko)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JP2013529151A (ja) 水上での船の移動方法および前記方法により水上移動する船
JP2011088540A (ja) 水中翼を設けた船舶
US2732819A (en) Outboard motor rotatable on an in-
JP4443003B2 (ja) ジェット推進型滑走艇
KR102409221B1 (ko) 수륙 양용 보트
KR102060178B1 (ko) 워터제트의 조향장치
US20220348300A1 (en) Integrated thruster apparatus for a marine vessel
KR200398203Y1 (ko) 아웃 엔진을 부착한 워터젯 장치
US3791334A (en) Boat reve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