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213B1 -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 Google Patents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213B1
KR102284213B1 KR1020190158074A KR20190158074A KR102284213B1 KR 102284213 B1 KR102284213 B1 KR 102284213B1 KR 1020190158074 A KR1020190158074 A KR 1020190158074A KR 20190158074 A KR20190158074 A KR 20190158074A KR 102284213 B1 KR102284213 B1 KR 10228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ousing
piece
support tube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145A (ko
Inventor
박형규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Priority to KR102019015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2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1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having means to prevent foreign material from clogging fluid passage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B63H21/213Levers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engine or the transmission, e.g. single hand control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 B63H11/08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 B63H2011/081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of rotary type with axial flow, i.e. the axis of rotation being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제1, 2수용공간(12, 17) 각각이 형성되는 제1, 2하우징(11, 16), 유입구(14) 및 배출구(15) 각각이 형성되는 덕트(13)로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제1수용공간(12)에 장착되는 모터(21), 일단부위는 모터(21)의 구동축(22)과 축 연결되는 회동봉(24), 회동봉(24)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임펠러(25), 일측부위가 배출구(15)와 결합되는 노즐(26), 제2수용공간(17)에 마련되는 제어박스(28)가 구비되는 구동부; 일단부위는 제2하우징(16)의 일측부위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관(31), 지지관(31)의 하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편(32), 제1고정편(32)의 일측부위 상하에서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편(33), 돌출편(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34), 일단부위는 회동편(34)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바(35), 연결바(35)의 타단부위에 형성되는 클램프(35)가 구비되는 선체연결부; 지지관(31)의 상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고정편(41), 일단부위는 제2고정편(41)의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지지관(3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조작봉(42), 제어박스(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봉(42)의 타단부위에 장착되는 조작레버(43)가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Water jet propulsion unit of portable type having attachable func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추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작동하는 워터 젯 방식의 추진기를 제안함으로써 수심이 낮은 저수지나 해안가 등에서도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추진기 자체를 소형화하고 선체에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차량에 적재하여 선박이 위치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선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젯 추진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 수상 레저 분야에 관심이 증대하면서 소형 선박을 이용한 낚시 인구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으로 조업 허가를 받은 낚시 선박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선박의 경우 출항 시간의 제한 및 높은 비용 등이 이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선박이 아닌 일반적인 수상 레저 기구를 이용하거나 또는 무동력 패달에 의해 기동되는 부유체를 이용하여 낚시를 즐기고 있으며, 근래에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소형 선외기를 소형 선박이나 해양 레저 기구 등에 연결하여 낚시를 즐기는 경향도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외기들은 그 구조 및 작동 특성상 선박 운항 과정에서 프로펠러가 저수지의 수초에 걸리거나 또는 바닥의 돌 등과 부딪히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고로 인해 프로펠러가 훼손되면 선외기 자체를 작동하거나 통제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한다. 때문에, 다양한 수상 레저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소형 선박의 추진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4202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목적은 이동성 및 다양한 선박에의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음은 물론 저수심에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한 워터 젯 추진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크기의 제1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11), 제1하우징(11)의 후측부위에 구비되되 일단부위에 형성되는 유입구(14)는 제1하우징(11)의 하면 중앙부위에 마련되고 타단부위에 마련되는 배출구(15)는 제1하우징(11)의 후면부위에 마련되는 덕트(13), 일정크기의 제2수용공간(17)이 형성되어 제1하우징(11)의 상면부위에 마련되는 제2하우징(16)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제1수용공간(12)에 장착되는 모터(21), 일단부위는 모터(21)의 구동축(22)과 축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배출구(15)로 연장되는 회동봉(24), 회동봉(24)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임펠러(25), 양측부위가 개구되며 일측부위가 배출구(15)와 결합되는 노즐(26), 제2수용공간(17)에 마련되는 제어박스(28)가 구비되는 구동부; 일단부위는 제2하우징(16)의 일측부위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관(31), 지지관(31)의 하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편(32), 제1고정편(32)의 일측부위 상하에서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편(33), 돌출편(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34), 일단부위는 회동편(34)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바(35), 연결바(35)의 타단부위에 형성되는 클램프(35)가 구비되는 선체연결부; 지지관(31)의 상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고정편(41), 일단부위는 제2고정편(41)의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지지관(3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조작봉(42), 제어박스(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봉(42)의 타단부위에 장착되는 조작레버(43)가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13)의 유입구(14)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142)이 마련되는 덮개판(14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작동하는 워터 젯 방식의 추진기를 제안함으로써 수심이 낮은 저수지나 해안가 등에서도 외부 환경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추진기 자체를 소형화하고 선체에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차량에 적재하여 선박이 위치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선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젯 추진기의 개략적인 외측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젯 추진기의 개략적인 하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젯 추진기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젯 추진기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젯 추진기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및 단면 구성도 각각을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부, 구동부, 선체연결부,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하우징부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 젯 추진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제1, 2하우징(11, 16) 및 덕트(13)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제1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의 하측부위는 물과 접하는 부분으로 도면과 같이 유선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하우징(16)은 제1하우징(11)의 상면부위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제2수용공간(17)이 형성된다. 제2하우징(16)은 하측부위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부의 모서리부위가 제1하우징(11)의 상면부위에 결합된다.
덕트(13)는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통로로서, 유입구(14) 및 배출구(15) 각각이 마련되어 제1하우징(12)의 후측부위에 구비된다. 유입구(14)는 덕트(13)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1하우징(11)의 하면 중앙부위에 마련된다. 배출구(15)는 덕트(13)의 타단부위에 형성되어 제1하우징(11)의 후면부위에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142)이 마련되는 덮개판(141)이 덕트(13)의 유입구(14)에 마련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추진기가 선체(1)에 연결되면 덕트(13) 부위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데, 이로 인해 수초나 부유물 들이 덕트(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덕트(14)의 유입구(14)에 덮개판(141)을 마련하되, 도면과 같이 덮개판(141)에 복수 개의 유입공(142)을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형성시키면, 수초나 수면을 따라 부유하는 이물질 등이 유입구(14)로 유입되어 추진기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유입공이 일정길이를 가지는 유입장공 형태로 형성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유입공이 철망과 같은 네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동부는 추진기에 추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모터(21), 회동봉(24), 임펠러(25), 노즐(26), 제어박스(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21)는 제1수용공간(11)에 장착되며, 도 1과 같이 선체(1)의 후측부위에 마련되는 배터리(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동봉(24)은 그 일단부위가 모터(21)의 구동축(22)과 축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배출구(15)로 연장된다. 도면부호 23은 회동봉(24)의 일단부위와 모터(21)의 구동축(22) 상호 간을 동축으로 연결하는 커플링이다.
임펠러(25)는 회동봉(24)의 타측부위에 결합된다. 노즐(26)은 양측부위가 개구되며, 개구된 일측부위가 배출구(15)와 결합된다. 도면부호 27은 임펠러(25)의 타단부위에 마련되는 배출가이드이다. 제어박스(28)는 제2수용공간(17)에 마련된다.
선체연결부는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를 선체와 연결하는 부분으로, 지지관(31), 제1고정편(32), 돌출편(33), 회동편(34), 연결바(35), 클램프(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관(31)은 그 일단부위가 제2하우징(16)의 일측부위 상면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수직으로 연장된다. 지지관(31)의 일단부위와 제2하우징(16) 상면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밀폐판이 매개될 수 있다.
제1고정편(32)은 지지관(31)의 하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된다. 제1고정편(32)은 도면과 같이 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편(33)은 제1고정편(32)의 일측부위 상하에서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된다.
회동편(34)은 돌출편(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편(34)은 도면과 같이 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양단부위가 회동편(34)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연결바(35)는 그 일단부위가 회동편(33)에 결합되고, 그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클램프(36)는 연결바(35)의 타단부위에 형성된다. 클램프(36)는 도 4와 같이 추진기를 선체(1)의 후측부위에 결합시키는 수단으로, 통상적인 가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부는 모터(21)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추진기의 추력 방향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제2고정편(41), 조작봉(42), 조작레버(43)를 포함한다. 제2고정편(31)은 지지관(31)의 상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된다.
조작봉(42)은 그 일단부위가 제2고정편(41)의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지지관(3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그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조작봉(42)은 내부로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레버(43)는 조작봉(42)의 타단부위에 장착된다. 조작레버(43)는 제어박스(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작레버(43)를 통해 모터(21)의 작동을 ON/OFF 하거나 그 회전력 정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조작레버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추진기를 차량에 적재한 다음, 낚시나 수상 레저 활동을 위해 선박이 위치한 장소로 이동한다. 선박이 위치한 장소에 도착하면, 차량으로부터 추진기를 내린 다음, 선박의 후방부위에 추진기를 위치시킨다.
추진기가 선박의 후방부위에 위치하면, 도 4와 같이 클램프(36)를 선체(1)에 결합하고, 선체(1)의 전선(3)을 추진기의 지지관(31)을 통해 제어박스(28)와 연결한다. 전선(3)이 제어박스(28)와 연결되면, 모터(21), 제어박스(28), 조작레버(28)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28)를 작동하면, 그 작동 신호가 제어박스(28)를 통해 모터(21)로 전달되고, 모터(21)의 작동에 의한 회전력이 회동봉(24)을 통해 임펠러(25)를 회전시킨다. 이때, 덕트(13)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임펠러(25)의 회전에 따라 덕트(13)를 통한 물은 배출구(15)를 통해 일정 속도로 배출되면서 선체(1)는 전진하게 된다.
한편, 선체(1)와 연결된 추진기에 있어 연결바(35)는 회동편(3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동편(34)은 돌출편(33)에 매개되어 제1고정편(32)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고정편(32)은 지지관(31)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조작봉(42) 역시 제2고정편(32)을 매개로 지지관(31)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때문에,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조작봉(42)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별도의 방향타가 없더라도 추진기 자체가 타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선체(1)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전진하게 된다.
낚시나 수상 레저 활동이 끝나면, 간단히 클램프(36)를 해제하여 선체(1)로부터 추진기를 분리한 다음 추진기는 육상으로 이동시켜 차량에 다시 적재하고, 선박은 원래 위치에 정박시킴으로써, 추진기를 이용한 모든 활동을 매우 용이하게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16 : 제1, 2하우징 12, 17 : 제1, 2수용공간
13 : 덕트 14 : 유입구
15 : 배출구 21 : 모터
22 : 구동축 23 : 커플링
24 : 회동축 25 : 임펠러
26 : 노즐 27 : 배출가이드
28 : 제어박스 31 : 지지관
32, 41 : 제1, 2고정편 33 : 돌출편
34 : 회동편 35 : 연결바
36 : 클램프 42 : 조작봉
43 : 조작레버 141 : 덮개판
142 : 유입공

Claims (2)

  1. 일정크기의 제1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11), 제1하우징(11)의 후측부위에 구비되되 일단부위에 형성되는 유입구(14)는 제1하우징(11)의 하면 중앙부위에 마련되고 타단부위에 마련되는 배출구(15)는 제1하우징(11)의 후면부위에 마련되는 덕트(13), 일정크기의 제2수용공간(17)이 형성되어 제1하우징(11)의 상면부위에 마련되는 제2하우징(16)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부;
    제1수용공간(12)에 장착되는 모터(21), 일단부위는 모터(21)의 구동축(22)과 축 연결되고 타단부위는 배출구(15)로 연장되는 회동봉(24), 회동봉(24)의 타측부위에 결합되는 임펠러(25), 양측부위가 개구되며 일측부위가 배출구(15)와 결합되는 노즐(26), 제2수용공간(17)에 마련되는 제어박스(28)가 구비되는 구동부;
    일단부위는 제2하우징(16)의 일측부위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지관(31), 지지관(31)의 하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1고정편(32), 제1고정편(32)의 일측부위 상하에서 수평하게 일정길이 돌출되는 돌출편(33), 돌출편(3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34), 일단부위는 회동편(34)에 결합되고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바(35), 연결바(35)의 타단부위에 형성되는 클램프(35)가 구비되는 선체연결부;
    지지관(31)의 상측부위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고정편(41), 일단부위는 제2고정편(41)의 일측부위를 관통하여 지지관(3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타단부위는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조작봉(42), 제어박스(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봉(42)의 타단부위에 장착되는 조작레버(43)가 구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3)의 유입구(14)에는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142)이 마련되는 덮개판(14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KR1020190158074A 2019-12-02 2019-12-02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KR10228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074A KR102284213B1 (ko) 2019-12-02 2019-12-02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074A KR102284213B1 (ko) 2019-12-02 2019-12-02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45A KR20210069145A (ko) 2021-06-11
KR102284213B1 true KR102284213B1 (ko) 2021-08-03

Family

ID=7637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074A KR102284213B1 (ko) 2019-12-02 2019-12-02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2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290A (ja) 2001-06-26 2003-01-08 Ishigaki Co Ltd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船外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797U (ja) * 1993-01-22 1994-08-12 泰典 吉田 水噴射型船外機
JPH08253196A (ja) * 1995-03-16 1996-10-01 K B Shokuhin Kk ウォータージェット型船外機
JPH09309492A (ja) * 1996-05-22 1997-12-02 Fumio Nagata ウォータージェット船外機
KR20090042029A (ko) 2007-10-25 2009-04-29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워터젯 추진기를 구비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290A (ja) 2001-06-26 2003-01-08 Ishigaki Co Ltd ウオータージェット推進式船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45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4385B2 (ja) 船舶用の複合ノズル・ベンチュリ・システム
KR20190083606A (ko) 선박용 추진 시스템
US7121219B1 (en) Boat control system
US5282763A (en) Steerable bow thruster for swath vessels
KR102196849B1 (ko) 수륙 양용 보트
US20040255836A1 (en) Watercraft
TW200844002A (en) Propulsion system for a powered boat
KR102284213B1 (ko) 착탈 방식의 포터블 워터 젯 추진기
US20070017431A1 (en) Watercraft
US20070028824A1 (en) Boat control system
DE60016066D1 (de) Überwasserschiff mit einem Wasserstrahl-Propulsionssystem
US20060079140A1 (en) Watercraft
US20120178318A1 (en) Inlet Grate Cleaning System for a Water Jet Propulsion System
US5376027A (en) Marine propulsion mechanism for water craft
US5910032A (en) Marine propulsion system
JPH04292295A (ja) 水噴射式推進船の航行安定装置
JP3360710B2 (ja) 小型船舶における操船装置。
JPS6296193A (ja) 救難用小型舟艇
JPH0712839B2 (ja) 小型ジエツト推進艇
US20110275257A1 (en) Jet drive system powered by a 4-cycle engine to propel shallow water boats
US3791334A (en) Boat reverse
US20220348300A1 (en) Integrated thruster apparatus for a marine vessel
JP3174157B2 (ja) 小型船舶の上部構造
JP2005231407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型の小型滑走艇
JP2001071993A (ja) 潜水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