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6224B1 - 항 이피캠 면역글로불린 - Google Patents

항 이피캠 면역글로불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224B1
KR101236224B1 KR1020067016339A KR20067016339A KR101236224B1 KR 101236224 B1 KR101236224 B1 KR 101236224B1 KR 1020067016339 A KR1020067016339 A KR 1020067016339A KR 20067016339 A KR20067016339 A KR 20067016339A KR 101236224 B1 KR101236224 B1 KR 10123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pcam
administration
delete delete
immunoglob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988A (ko
Inventor
말테 페터스
메시아스 로케
나자 프랑
코넬리아 콰트
Original Assignee
암젠 리서치 (뮌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젠 리서치 (뮌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암젠 리서치 (뮌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0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인간 EpCAM 항원에 특정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을 인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환자에게서 종양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면역 글로불린은 적어도 15일간의 혈청 반감기를 나타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면역글로불린을 매주 1회보다 더 빈번하지 않게, 바람직하게는 매 2주당 1회보다 더 빈번하지 않게 투여한다.
Figure R1020067016339
EpCAM, 면역글로불린, 혈청반감기, 종양성질환, 혈청최저수준

Description

항 이피캠 면역글로불린 {ANTI-EPCAM IMMUNOGLOBULINS}
본 발명은 면역글로불린 분자(immunoglobulin molecule)을 이용하여 종양성 질환(tumorous disease)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항 EpCAM 면역글로불린 분자들을 포함하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 생산에 있어서 이러한 면역글로불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면역글로불린 분자들을 포함하는 조성뿐만 아니라 종양성 질환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들에 관한 것이다.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투여를 포함한 치료요법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고려되어야할 여러 인자가 있다. 한편, 상기 치료 면역글로불린(therapeutic immunoglbulin)은 원하는 치료효과를 이끌어내기에 충분한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한다. 이 효과는 초기치료에서 실현되어야 하며, 두 연속되는 투여 간에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점차 환자의 몸으로부터 제거되므로, 가능한 한 크게 지속적으로 실현되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투여되는 면역글로불린의 양은 환자에 있어서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초래할 만큼 커서는 안 된다.
따라서, 부작용없이 허용될 수 있는 면역글로불린의 최대 투여량(MTD: Maximum Tolerated Dose)이 지속된 유효성을 확신하기 위해 필요한 면역글로불린의 최소 수준을 유지하기에는 불충분한 1회 투여량 수준으로 면역글로불린의 양을 한정할 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차후 면역글로불린의 투여 때까지 지속된 치료효과를 확실히 하는데 필요한 "혈청 최저수준(serum trough level)"을 유지할 수가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약제의 상기 "혈청 최저수준"은 치료효과의 손실없이 약제가 어느 때라도 환자의 혈액에 도달할 수 있는 최저의 농도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는 어떠한 치료효과라도 실현되기 위하여 환자의 혈액에 항상 존재하여야하는 약제의 최저량을 나타낸다.
치료 면역글로불린의 바람직한 최저수준을 지속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이 연구되었다. 한 방법은 환자에게 면역글로불린 최초투여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환자에게 안전한 치료 면역글로불린의 수준이 초과될 수 있어 환자는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치료 면역글로불린의 투여횟수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투여횟수의 증가로 말미암아 잦은 횟수로 병원을 방문해야 하므로,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는 특히 치료되어야 하는 질환이 초기일 때 그러하며, 그렇게 하지 않아도 환자는 정상 생활을 영위할 수가 있다.
또한, 증가한 적용횟수는 전체 치료요법에 필요한 치료 면역글로불린의 총량이 더 많아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치료 면역글로불린이 낮은 횟수로 투여되는 치료요법과 비교할 때, 주어진 치료요법에 기인한 총 비용이 더 크게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투여되어야 할 치료 면역글로불린이 건강한 세포 및 병든 조직 모두에 존재 하는 항원에 대해 특이한 경우에는 상기 항원이 건강한 조직보다 병든 조직에서 더 우세하게 되므로, 이러한 점이 고려되는 치료요법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더 중요하게 되었다. 여기서, 너무 높거나 너무 자주인 투여는 면역 글로불린과 이것이 특별히 결합하는 항원 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면역 글로불린-건강한 조직 간의 상호작용은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일으켜 상기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는 치료요법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건강한 조직 및 병든 조직 모두에 존재하는 이러한 항원 하나는 상피세포 고착분자(EpCAM: 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또는 17-1A 항원, KSA, EGP40, GA733-2, ks 1-4 및 esa로도 불린다)이다. EpCAM은 간단한 상피세포(epithelial cell) 및 이로부터 유도된 종양세포(tumorous cell)에 의해 발현된 표면 당단백질(surface glycoprotein)이다. EpCAM 분자는 건강한 조직으로부터의 세포 표면에 보이지만, 그 발현은 악성조직에서 상향조절된다. EpCAM은 배향되고 매우 정렬된 형태로 상피세포에 고착하는 기능을 한다(Litvinov, J Cell Biol. 1997, 139, 1337-1348). 그러나, 상피에 인간 EpCAM을 발현한 형질전환 마우스(transgenic mouse) 및 랫트(rat)의 실험 데이터는 전신 투여된 항체는 정상조직 상의 EpCAM에는 접근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McLaughlin, Cancer Immunol. Immunother., 1999, 48, 303-311). 상피세포의 악성 형질변환에 있어서 종양세포들은 상피의 높은 세포질서(cellular order)를 포기한다. 결과적으로, EpCAM의 표면분포는 덜 제한받게 되고 상기 분자는 종양세포들 상에 더 잘 노출된다. 이들의 상피세포 유래에 기인하여 악성종양(carcinoma)으로부터의 종양세포들은 이들 표면에 EpCAM을 여 전히 발현한다.
과거에 EpCAM은 특히 최저 잔류병(minimal residual disease)을 가지는 환자에게서 암의 단클론성 면역글로불린(monoclonal immunoglobulin) 치료를 위한 보람있는 목표로 보였으며, 상기 최저 잔류병은 나중에 고형전이(solid metastasis)를 일으켜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는 파종성 종양세포(disseminated tumor cell)로 고생하게 된다. 최저잔류 결장 직장암(minimal residual colorectal cancer)을 가지는 환자에 있어서, 원발성 종양(primary tumor)의 수술 후 4개월 이내에 전신에 5회 투여한 경우, EpCAM 분자에 특이한 마우스(murine) 단클론성 면역글로불린로 인하여 5년 사망율이 치료받지 않은 환자와 비교하여 30% 감소되었다(Riethmuller, Lancet 343 (1994), 1177-83). 더 최근에는, 강한 EpCAM 과다 발현이 유방암(breast cancer)을 가진 환자들의 40%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낮은 전체 무병 생존율과 관련된다(Spizzo 등, Int. J. Cancer 98 (2002), 883-8). 가장 최근에는, EpCAM 발현이 3,722명의 환자들에게서 분석되었다. EpCAM 발현은 상피종양(epithelial tumor)에서는 매우 흔한 것이어서, 이러한 발현은 종양 샘플의 88% 이상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EpCAM 발현은 난소암(ovarian cancer)의 94.1%, 결장암(colon cancer)의 94%, 위암(stomach cancer)의 92.3%, 전립선암(prostrate cancer)의 90.1%, 폐암(lung cancer)의 70.9%에서 관찰되었다.
EpCAM을 인식하는 (마우스) 단클론성 항체의 일 예는 Edrecolomab(Panorex)이다(Koprowski, Somatic Cell Genet. 1979, 5, 957-971 and Herlyn, Cancer Res., 1980, 40, 717-721). 그러나, 결장암의 아쥬반트 면역요법(adjuvant immunotherapy) 동안 Panorex의 최초 투여는 웨지너 육아종(Wegener's granulomatosis)의 전개 및 악화를 초래하였으며, 이는 Panorex가 자기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을 가진 환자에게는 조심스럽게 시행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Franz, Onkologie 2000, 23, 472-474). Panorex의 한계는 HAMA(Human anti-mouse antibody)의 급격한 형성과, 자신의 마우스 IgG2a Fcγ 수용체로써 인체 면역 작용기구(human immune effector mechanism)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의 제한과, 순환에 있어서 짧은 반감기이다(Frodin, Cancer Res., 1990, 50, 4866-4871). 또한, 상기 마우스 항체는 환자에게 반복된 주입시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 및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를 초래하였다(Riethmuller, Lancet 1994, 343, 1177-1183, Riethmuller, J Clin Oncol., 1998, 16, 1788-1794 and Mellstedt,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2000, 910, 254-261).
ING-1은 알려진 다른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다(Lewis, Curr. Op. Mol. Ther. 5, 433-6, 2003). ING-1은 진전된 상피종양을 가진 환자들의 제1/2기 임상연구에서의 현재 마우스-인간 키메라 IgG1 면역글로불린(mouse-human chimeric IgG1 immunoglobulin)이다. 면역글로불린의 1mg/kg의 투여가 인간 종양세포가 미리 주사된 마우스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발견된 반면에, 투여를 더 증가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투여로 인하여 선암(denocarcinoma: 복통을 동반한 아밀라제 및 리파제의 상승)을 가진 2명의 환자 중 2명에서 췌장염(pancreatitis)을 유발하였다. ING-1의 MTD는 단지 0.3mg/kg체중임이 밝혀졌고 3주마다 정맥주입되었다. 이러한 투여량에서의 ING-1 반감기가 대략 31시간임을 고려하고, 평균 성인 체중이 75kg이고 대략 4.25리터의 혈액을 지닌다고 가정한다면, 21일 후(즉, 16.25 반감기 후) ING-1의 혈청 수준은 최대 세포용해효과(maximum cytolytic effect)에 필수적인 것으로 발견된 1㎍/mL 혈청수준보다 10의 4제곱배 이상 작은 7×10-5㎍/mL 혈액 이하로 감소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ING-1의 MTD는 항 EpCAM의 상기 필수적인 혈장 최저 수준(plasma trough level)이 유지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암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항 EpCAM 항체를 포함하는 치료요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항 EpCAM을 포함한 치료요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요구는 인간 환자에게 특히 인간 EpCAM 항체에 결합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human immunoglobulin)을 투여함으로써 종양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여 충족되며, 상기 면역글로불린은 적어도 15일의 혈청 반감기(serum half-life)를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매주 1회씩 정도의 횟수로 상기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러 유리한 효과는 적어도 15일의 혈청 반감기를 가지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하여 실현가능하다. 가장 중요하게는, 이렇게 비교적 긴 혈청 반감기를 가진다는 것은 본 발명의 일부로서 투여되는 상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더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다른 면역글로불린처럼, 예를 들어 전술한 바 있는 IMG-1처럼, 급격하게 혈액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면역글로불린의 요건들을 만족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과 상기 요건들을 만족하지못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절대량으로 인간에게 투여된다고 가정할 때, 전자의 면역글로불린이 후자의 면역글로불린보다도 주어진 시간 후에도 더 많이 혈청에 존속할 것이다. 역으로는, 상기 혈청에서의 증진된 존속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1회 투여량은, 소정의 혈청 최저 수준(serum trough level)을 유지하면서, 즉 치료제의 총 혈청농도가 두 차례의 연속된 투여 간에 지속하는 효과를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최저수준보다도 절대로 떨어지지 않으면서, 더 짧은 혈청 반감기를 가지는 다른 항 EpCAM보다도 더 작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은 어떤 주어진 투여에서도 시행을 위해 작은 양만 필요하므로, 어떠한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이라도 그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교적 긴 반감기를 가지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은 투여를 너무 자주 할 필요가 없으므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은 인간 면역글로불린이므로, 투여된 면역글로불린에 대하여 환자의 면역체계에 의해 개시되는 원하지 않은 면역반응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치료에서 많은 마우스 면역글로불린 분자나 마우스-인간 키메라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찰되는 인간 항 마우스 항체들(HAMAs: Human Anti-Mouse Antibodies)에 결부된 문제들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는 일어나지 아니한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생체 내에서 두 다른 메카니즘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치료효과를 이끌어낸다고 믿는다. 한 메카니즘은 항체의존성 세포장해(ADCC: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로 알려져 있다. ADCC에 있어서, 면역글로불린으로 덮인 세포("표적세포(target cell)")는 Fc 수용체를 가지는 세포("주효세포(effector cell)")에 의하여 살해되며, 상기 Fc 수용체는 상기 표적세포를 덮고 있는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Fc부분을 인식한다. 대부분 ADCC에 참여하는 주효세포는 자신의 표면에 Fc 수용체 Fc-γ-RIII 및/또는 분자 CD16을 가지는 자연살해(NK: Natural Killer) 세포이다. 이렇게 면역글로불린으로 덮인 세포만이 살해되므로, 세포살해의 특이성은 이러한 세포를 덮은 면역글로불린의 결합 특이성-여기서는 EpCAM-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면역글로불린이 치료효과를 이끌어내는 다른 메카니즘은 보체의존성 세포장해(CDC: 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로 알려져 있다. CDC에 있어서, 두 개의 동일한 면역글로불린이 표적세포의 표면에서 두 개의 동일한 항원들(예를 들어, 여기서는 EpCAM)에 결합함에 따라 이들의 각각의 Fc 부분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보체 단백질(complement protein), 이 중에서도 c1q, c3 및 c9을 유인하며, 후자는 상기 표적세포에 공동(pore)을 형성한다. 상기 표적세포는 이 구멍(perforation)으로 인하여 살해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표적세포(들)은 옵소닌화(opsonization)로 불리는 과정에서 자신의 표면의 다른 위치에도 장식(decorated)된다. 이러한 장식은 주효세포를 유인하며, 이들은 ADCC 메카니즘에서 기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포적세포(들)을 살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긴 반감기 덕택으로 더 짧은 반감기를 가지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하는 것보다 상기 메카니즘의 하나 또는 둘 다의 이익을 더 오랜 시간 동안 그리고 더 높은 수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상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은 1주당 1회, 바람직하기로는 2주당 1회의 횟수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관점에 있어서, 항 EpCAM의 긴 혈청 반감기가 유익하게 활용된다. 상기 투여가 매주 1회로 시행되는 경우, 이전에 투여된 면역글로불린의 반 이상이 환자의 혈액에 아직 존속할 것이므로, 작은 양의 면역글로불린만이 각 투여시마다 필요하게 된다. 이는 1주가 이전에 투여된 면역글로불린의 약 15일 반감기보다도 짧기 때문이다.
상기 투여가 2주당 대략 1회로 시행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투여횟수는 대략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반감기에 일치한다. 이로써, 두 연속되는 투여 사이에 이러한 면역 글로불린의 혈청수준은 각각 이전의 투여에 바로 뒤따르는 투여량의 대략 반 이상으로 감소하지는 않는다. 이는 주어진 모든 투여에 대한 투여은 투여 후 즉각적으로 다음 투여 때까지 도달되는 소정 혈청 최저수준의 약 2배에 이르게 하기 위해 필요한 양보다 더 높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투여시험의 두 기(phase)를 정의할 수가 있다: 면역글로불린의 어떤 일정한 혈장수준에 이르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하 투여량(loading dose)이 투여되는 처음의 "부하기(loading phase)"와, 상기 원하는 면역글로불린 혈장수준을 유지하도록 복수의 유지 투여량이 투여되는 이후의 "유지기(maintenance phase)"이다. 상기 부하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나중의 유지기보다도 더 높은 량 및/또는 더 자주 투여됨으로써 상기 부하기가 최소로 지속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본 관점에 상응하지 않는 본 투여요법에 따르면, 개업의는 두 가지 선택에 당면하게 된다: 인체로부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급격한 제거에 뒤이어서 상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다음 투여 이전에 혈장 최저수준이 유지되는지를 확실히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초기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경우, 상기 높은 초기 투여량은 췌장염과 같은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낮은 초기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경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혈장수준은 다음 투여 이전에 상기 혈장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져 치료효과의 손실을 가져온다). 절충안으로서 낮은 투여량의 투여횟수를 증가시키게 되고,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매우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방법은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 즉, 한편으로는 개별적인 투여량은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양으로 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혈장에서 치료 면역글로불린의 양이 연속되는 투여들 간에 지속된 치료효과에 필요한 상기 혈장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 두 연속되는 투여들 간의 적어도 대략 1주일 주기, 바람직하기로는 두 연이은 투여들 간의 적어도 대략 2주일 주기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과도하게 해치지 않고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다음 투여를 수행하기 이전에 이전 투여로부터 아직 존재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혈장수준이 환자의 혈액에서 검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업의는 예를 들어 이전 투여로부터 아직 충분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환자의 혈액에 존재하는데도 너무 일찍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재투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반감기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은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에 대하여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우발적인 과다투여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개업의는 중간 측정을 통하여 사용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청징속도(clearance rate)에 관한 값진 지식을 얻게 되며, 이는 어떤 경우라도 각각 이전의 투여 후 적어도 2주간에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지식은 이후 투여일정을 미세조정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조정은 유리하게도 연이은 투여들 간에 1주보다 더 길게,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2주보다 더 길게 기다림을 수반하므로, 이에 따라 환자의 삶의 질을 더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도, 환자 혈액에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혈청 수준에 대한 중간검사는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첫째로, 각각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최후 투여후 적어도 1주일 기간 후, 그러나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다음 투여 이전에, 개업의는 환자 혈액에 아직 존재하는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상기 혈청수준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중간 혈청수준 값(intermediate serum level value)을 얻을 수 있다. 만일 상기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상기 중간 혈청수준 값이 상기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 이상이라면, 개업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혈청수준이 더 감소될 때까지 더 기다리기로 유리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계들은 상기 면역글로불린의 새로운 중간 혈청수준 값을 얻기 위하여 반복될 수 있으며, 상기 값은 상기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에 근접하게 감소될 것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면역글로불린에 대해 판단되는 중간 혈청 수준이 상기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상기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너무 오랫동안 기다려서는 안 된다. 대기하고, 중간 혈청수준을 판단하고, 이 중간 혈청수준을 특정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과 비교하는 사이클을 반복함에 의하여 개업의는 이 면역글로불린의 상기 중간 혈청수준이 상기 혈청 최저수준의 특정 퍼센트 이내로 감소되었다는 결론에 도달한 경우, 다음 청징(clearance)을 위한 적절한 수준으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혈청 수준을 되돌리기 위하여 각각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다음 투여가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특정 퍼센트는 사용된 특정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의 15% 이내, 바람직하기로는 10% 이내,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5% 이내로 일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중간 면역글로불린 혈청 수준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모든 방법, 예를 들어 면역측정법(immunoassay)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면역형광측정법(immunofluorescence assay),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효소면역측정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등이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있어서,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human anti-EpCAM immunoglobulin)이 2주에 1회 횟수로 투여된다.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는, 투여가 2주의 간격을 두어 시행되며, 각 다음의 투여량은 최초 투여량과 동일하게, 즉 모든 투여량이 동일한 양으로 되도록 한다. 이 방법에 의한 투여는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동시에 회피하거나 또는 크게 회피하면서도, 면역글로불린의 혈청수준을 이러한 면역글로불린의 유익한 치료효과를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데 충분하다.
그런데,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2주보다 크거나 매우 큰 투여횟수가 가능하다는 것도 상정된다. 면역글로불린이 2주보다 큰 시간간격으로 투여되는 경우, 초기 투여량에 이어서 언제라도 투여되는 항체의 양은 2주 내에 다음 투여를 예상하여 초기 행해진 투여량보다 더 커야한다. 2주 이상 후에 투여되는 추후 투여량이 2주 후에 투여되는 투여량보다 얼마나 더 클 수 있는가는 사례별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예들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약물동태적 시뮬레이션(pharmacokinetic simulation) (예를 들어, WinNolin 4.0.1(Pharsight Corporation, 미국; 2001))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구축하고 및/또는 적용할 것인지 이해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각각의 투여 후에 환자의 혈청에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수준이 치료효과를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혈청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리하게 구축된다.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긴 혈청 반감기 덕분에 투여들 간의 더 긴 기간, 즉 3주 또는 심지어 4주, 또는 2주 내지 5주의 중간기간에 걸쳐 치료효과를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긴 혈청 반감기(즉, 대략 15일)로 인하여 이전 투여로부터의 상기 면역글로불린 상당량이 혈청에 계속 존재할 것임이 보장된다. 그 결과, 대략 15일의 반감기를 갖는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은 이렇게 긴 혈청 반감기를 갖지 못하는 항체에 필요한 것보다도 더 작은 양이 시행되는데 필요하다. 이는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연장된 투여체제는 -그리고, 이에 기인한 여러 이점들(상기 참조)- 여전히 치료효과를 유지하는 반면(예를 들어, 항 EpCAM 면역글로불린 ING-1의 경우는 인간에게서 혈청 반감기가 17 내지 31시간으로 측정된 바 있다), 더 짧은 반감기를 갖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으로는 불가능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적어도 소정의 혈청 최저수준 량이 다음 투여 때까지 혈청 내에 존속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많은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투여되어야 할 것이므로,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클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렇게 단명하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더 작은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이러한 해로운 부작용 및/또는 유독한 부작용을 피하게 되면, 혈액 내에 존속하는 면역글로불린의 양이 상기 혈청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 상기 두 투여 간의 어느 시점에서 치료효과의 손실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물론, 만일 임상적으로 필수적이거나 유리하다면, 추후 구현예에서 대략 15일의 혈청 반감기를 갖는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2주 이하의 간격, 즉, 1주 간격이나, 또는 1주 내지 2주의 중간 기간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약 15일이라는 긴 혈청 반감기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투여가 바람직할 수 있는 임상적 상황이 있다. 시간이 지나 환자에게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바람직하지 않게 체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서는, 2주 간격으로 투여가 요구되는 양에 비교하여 더 짧은 간격으로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양을 줄이는 것이 여기서는 바람직하다. 2주 이내에 투여되는 다음 투여량이 2주 후에 투여되는 투여량보다 얼마나 작아야하는가는 사례별로 판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예들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약물동태적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구축하고 및/또는 적용할 것인지 이해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각각의 투여 후에 환자의 혈청에서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수준이 치료효과를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혈청 최저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유리하게 구축된다.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투여는 정맥(intravenous) 투여, 복강내(intraperitoneal) 투여, 피하(subcutaneous) 투여, 근육내(intramuscular) 투여, 국소(topical) 투여, 피내(intradermal) 투여로 될 수 있다. 또는, 이들 투여방법들을 조합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화합물, 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항체 구축물(bispecific antibody construct), 표적독소(targeted toxin) 또는 기타 화합물과 함께 공동투여(co-administration)하는 실험계획이 상정되며, 상기 화합물들은 T 세포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통하여 작용하는 항종양제(antineoplastic agent)와 같은 기타 화합물을 통하여 작용한다. 상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공동투여를 위한 치료요법은 기타 성분의 투여와 동시에, 이전 또는 이후에 하는 공동투여를 망라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종양성 질환은 유방암(breast cancer), 상피암(epithelial cancer),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쓸개관 세포암(cholangiocellular cancer), 위암(stomach cancer), 결장암(colon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피부암(skin cancer: 흑색종(melanoma)), 요로생식기 계(urogenital tract)의 암, 예를 들어 난소암(ovarian cancer),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자궁경부암(cervix cancer) 및 신장암(kidney cancer); 폐암(lung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소장(small intestine)의 암, 간암(liver cancer), 췌장암(pancreas cancer), 담낭암(gall bladder cancer), 담관(bile duct)의 암, 식도암(esophagus cancer), 침분비샘(salivatory glands)의 암 또는 갑상선(thyroid gland)의 암에서 선택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또한 최저 잔류병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기 고형종양(early solid tumor), 진전된 고형종양(advance solid tumor) 또는 전이 고형종양(metastatic solid tumor)일 수 있으며, 이는 단세포들의 생존에 의해 야기된 상기 종양의 국소 및 비국소 재발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는, 상기 종양성 질환은 전립선암 또는 유방암이다. 여기서, 투여된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은 SEQ ID NO: 1에서 시작하는 아미노산 배열(amino acid sequence)을 지닌 면역글로불린 중쇄(heavy chain)와 SEQ ID NO: 2에서 시작하는 아미노산 배열을 지닌 면역글로불린 경쇄(light chain)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 투여되는 경우, 2주마다 1회 정도로 각각 1-7mg/kg체중의 투여량, 더 바람직하기로는 2-6mg/kg체중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특히 인간 EpCAM 항원에 결합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사용을 제공하며, 상기 면역글로불린은 종양성 질환의 약제 조제에 대하여 적어도 15일의 혈청 반감기를 나타낸다. 또는, 이러한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하는 조성이 상기 약제를 조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는 종양성 질환의 치료방법을 위해 상기 약술한 투여 예정에 따라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조제된 상기 약제는 정맥, 복강내, 피하, 근육내, 국소 또는 피내 경로에 의한 투여에 적합하다. 또는, 이들 경로들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화합물, 예를 들어 이중특이성 항체 구축물, 표적독소 또는 기타 화합물과 함께 공동투여하는 방안이 상정되며, 상기 화합물들은 T 세포 또는 다른 메카니즘을 통하여 작용하는 항종양제와 같은 기타 화합물을 통하여 작용한다. 상기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공동투여를 위한 치료요법은 기타 성분의 투여와 동시에, 이전 또는 이후에 하는 공동투여를 망라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종양성 질환은 유방암, 상피암, 간세포암, 쓸개관 세포암, 위암, 결장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피부암(흑색종), 요로생식기 계의 암, 예를 들어 난소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및 신장암; 폐암, 위암, 소장의 암, 간암, 췌장암, 담낭암, 담관의 암, 식도암, 침분비샘의 암 또는 갑상선의 암에서 선택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또한 최저 잔류병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기 고형종양, 진전된 고형종양 또는 전이 고형종양일 수 있으며, 이는 단세포들의 생존에 의해 야기된 상기 종양의 국소 및 비국소 재발로 특징지어진다.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특히 인간 EpCAM 항원에 결합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면역글로불린이 인간 환자에게 투여된 후 적어도 15일의 혈청 반감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긴 혈청 반감기에 따른 이점들은 종양성 질환의 치료방법에 있어 항체 사용의 틀 안에서 상술한 바 있다. 상기 면역글로불린은 20일, 19일, 18일, 17일, 16일 또는 15일의 혈청 반감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약 15일의 혈청 반감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반감기는 15일이고,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은 SEQ ID NO: 1에서 시작하는 아미노산 배열을 지닌 면역글로불린 중쇄와 SEQ ID NO: 2에서 시작하는 아미노산 배열을 지닌 면역글로불린 경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인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하는 조성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성은 질환 치료를 위한 치료요법의 일부로서 인간 환자에게 유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종양성 질환에 있어서 상기 EpCAM 분자 발현의 발병률을 고려할 때, 특히 바람직하게 이러한 조성은 상기와 같은 종양성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요법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에 따라 상기 조성의 투여로써 유리하게 치료될 수 있는 종양성 질환은 유방암, 상피암, 간세포암, 쓸개관 세포암, 위암, 결장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피부암(흑색종), 요로생식기 계의 암, 예를 들어 난소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및 신장암; 폐암, 위암, 소장의 암, 간암, 췌장암, 담낭암, 담관의 암, 식도암, 침분비샘의 암 또는 갑상선의 암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또한 최저 잔류병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초기 고형종양, 진전된 고형종양 또는 전이 고형종양일 수 있으며, 이는 단세포들의 생존에 의해 야기된 상기 종양의 국소 및 비국소 재발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종양성 질환들이 혼자 또는 조합으로 치료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에 속하며, 이러한 질환들의 상기 조합은 예를 들어 1차 종양성 질환의 전이확산으로 인해 발생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2차 종양성 질환(들)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인 "항체(antibody)", "항체분자(antibody molecule)", "img" 및 "img 분자"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타당하다면, 복수형의 어떠한 사용이라도 단수를 뜻하고 단수의 어떠한 사용이라도 복수를 뜻한다.
다음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부분을 형성하며 본 발명의 소정의 면들을 더 증명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 나타내는 특정 구현예들의 상세한 기재와 조합하여 이들 도면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제1기 코호트(cohort)의 투여량 계획.
도 2는 코호트당 항 EpCAM 면역글로불린 대 시간의 혈장농도.
도 3은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1회 투여량 이후 환자 코호트들의 약물동태 매개변수.
도 4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복수 투여량 이후 환자 코호트들의 약물동태 매개변수.
도 5는 3 구획 모델(compartment model)의 개략도.
도 6은 30㎍/mL의 표적 최저수준을 갖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피크 및 최저 혈장 수준.
도 7은 10㎍/mL의 표적 최저수준을 갖는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의 피크 및 최저 혈장 수준.
도 8 A-F는 항 EpCAM 발현조직들의 면역학적 염색.
도 9는 다양한 간질환을 갖는 환자들에 있어서 EpCAM 반정량적 조직학적 점수의 중앙값(median value).
다음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증명하기 위하여 포함된 것이다. 아래 실시예들에 개시된 기술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잘 기능하는 것으로 발견된 기술을 나타내며, 따라서 그 실행을 위해 바람직한 형태들을 구성한다고 생각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응당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에 비추어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많은 변경이 행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유사한 결과를 여전히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응당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제1기 임상시험에서 측정된 약물동태적 데이터의 획득
코호트(cohort)
SEQ ID NO: 1 및 SEQ ID NO: 2에 의하여 특징지어진 항 EpCAM 면역글로불린(이후 "항 EpCAM"이라 한다)의 약물동태가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hormone refractory prostate cancer)을 가진 환자에게 14일 간격의 두 번의 1회 정맥 주입 이후 조사되었다. 상기 투여량은 10, 20, 40, 64, 102, 164, 262 mg/m2 체표면적(body surface area)이었다. 각 투여량 수준마다 2 또는 3명의 환자가 제1일 및 제15일에 치료되었다. 혈액시료들은 제1일부터 제70일(제2 투여에서 56일 후) 간에 29 - 31 추출시점들에서 채취되었다. 항 EpCAM의 혈청농도는 특정 ELISA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ELISA는 일반적 샌드위치(sandwitch) ELISA로 설정되었고, 여기서 랫트 항-항 EpCAM 항체(rat anti-Anti-EpCAM antibody)가 포착항체(capture antibody)로 사용되었으며, 닭 항-항 EpCAM 항체(chicken anti-Anti-EpCAM antibody)가 검출항체(detection antibody)로 사용되었다(Sambrook,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기 환자 코호트들에 사용된 투여계획은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의 3행에 있는 기호 "~"는 mg/kg 단위를 갖는 투여량 계산값이 평균 투여량(각 코호트의 환자 수에 대하여 얻은)을 평균 체중(각 코호트의 환자 수에 대하여 얻은)으로 나눈 결과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투여량 값은 두 평균값의 비율을 나타낸다.
혈청농도(serum concentration)
항 EpCAM의 혈청 수준(2-3 측정치(determination)로부터의 평균값 ±SD)은 항 EpCAM의 두 번의 1회 정맥주입 후에 개개의 환자들에게서 측정되었다. 단일 코호트들 내의 개인 특성의 비교를 도 2에 나타낸다. 14일 간격으로 두 번의 1회 정맥주입 이후,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을 가진 환자들의 모든 투여그룹들에게서 획득한 평균농도/시간 특성 (산술평균)을 도 2에 나타낸다.
단일화된 투여계획
환자들은 개인전용의 투여량을 투여받았으며, 상기 투여량은 mg 항 EpCAM/m2 체표면적으로 계산되었다. 1 투여량 그룹 내의 다른 환자들에게서 관찰된 혈청특성의 일관성에 기인하여, 상기 투여계획의 단일화가 가능한지가 분석되었다. 이를 위하여, 제 5, 6, 7 코호트의 특성들이 총투여량 500mg과 동일하게 정규화(normalization)되었고, 그 결과가 혈청수준의 가변성(variability)에 대하여 비교되었다.
9명의 환자에 대하여, 총 투여량 500mg으로의 투여량 정규화로 인하여 혈청 수준은 평균계수(mean coefficient: %CV) 26.6%로 변화하였다. 상기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의 범위는 14.8 내지 67.3%였고, 최고의 변이는 더 낮은 혈청수준들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에 기초하여볼 때, 상기 투여요법의 단일화는 가능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약물동태: 비구획적 평가(non-compartmental evaluation)
항 EpCAM의 1차 정맥 주입(1회 투여량) 이후, 호르몬 불응성 전립선암을 가지는 7개 코호트 모두의 환자들에 대해 계산된 주된 약물동태 매개변수들(산술평균)을 도 3에 나타낸다. 제14일의 2차 정맥 투여(복수 투여량) 이후, 항 EpCAM의 상기 주된 약물동태 매개변수들(산술평균)은 도 4에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 사용된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Cmax는 최대(측정)농도를 가리킨다. AUCτ는 14일 내지 28일(복수 투여량)에서 사다리꼴 방식(trapezoidal rule)으로 계산된 하나의 투여량 구간(τ=14일)에서 관찰된 농도/시간 곡선(AUC) 하의 면적을 가리킨다. AUCINF는 공식 AUC∞=AUCz+Cz/ke에 따라 0시간부터 무한대까지 사다리꼴 방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AUC를 가리킨다. t1 /2는 평균 겉보기 종단 반감기(mean apparent terminal half-life: ln2/λz)를 가리키며, 상기 "평균"은 혈청 반감기에 대해 정해진 복수값들의 평균을 나타내며, 상기 "겉보기"는 환자의 혈청에 존재하는 면역글로불린 량이 무한대 시간에서 점근적으로 0으로 되도록 무한대 시간으로 선택된 약물동태값들에 적합한 곡선의 외삽(extrapolation)을 나타내며, 상기 "종단"은 상기 무한대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매개변수 τ는 일정한 증배계수(multiplication factor)로서 사용되는 표준 약물동태 매개변수(standard pharmacokinetic parameter)이고, 상기 매개변수 z는 시점 z를 나타낸다. Clss는 공식 투여량/AUC에 따라 계산된 총 전신 청징율(total body clearance)을 나타낸다. Vss는 겉보기 분배용적(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을 나타낸다. Vz는 평균 분배용적(mean volume of distribution)을 나타낸다. CL은 평균 청징용적(mean volume of clearance)을 나타낸다.
평균 겉보기 종단 반감기(t1 /2)는 1회 투여량(7-14일로부터 계산됨) 이후에는 6.72±0.88일로, 복수 투여량 투여(마지막 3개 추출점, 즉 28-42일 또는 35-70일로부터 계산됨) 이후에는 14.74±4.23일로 산정되었다. 상기 반감기값들이 다른 것은 2차 투여량 이후 분명하게 더 긴 관찰기간에 기인하며, 측정된 반감기값들이 더 정확할수록 곡선 적합도의 향상된 양호도로 인하여 더 긴 값들이 측정된다. 그리하여, 14.74±4.23일의 t1 / 2값은 오랜 기간 동안 측정되었으므로 t1 /2의 더 정확한 값을 나타낸다.
1차 투여 이후, 10.4L인 Vz와 1.1L/일인 평균 청징용적이 산정되었다. 이들 데이터는 2차 투여량에 대해 계산된 결과값들, 즉 11.5L인 Vz와 1.0L/일인 평균 청징용적(CL)과 잘 일치하였다. 또한, 이들 데이터는 모든 투여량 그룹들 간에 공통점을 가진다(8.2 내지 14.8%의 변이계수). 그 결과, 투여량 의존성은 매개변수 Vz나 매개변수 CL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투여량 선형도(dose linearity)
매개변수 Cmax, AUClast (0-14)/AUCτ(14-28) 및 AUCinf에 대한 투여량 관계가 산정되었다. 모든 매개변수(Cmax, AUClast (0-14)/AUCτ(14-28) 및 AUCinf)에 대하여 하나는 상기 조사된 투여량 범위에서 투여량에 대한 선형 증가를 가질 수 있다.
약물동태: 구획적 평가(compartmental evaluation)
구획적 평가는 약제의 일정한 주입을 요하는 2개의 다른 모델에 기초로 하였다. 최선의 구획모델을 위하여 평균농도(mean concentration) 대 시간에 관하여 제6 코호트로부터 획득한 데이터가 선택되었다. 양자 모두의 평가를 위하여, 투여 후 더 길어진 관찰시간으로 인해 2차 투여량 이후의 특성이 적용되었다.
최선의 적합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획모델들이 사용되었다:
· 2-구획적 평가
· 3-구획적 평가
두 모델 모두 평가는 가능했지만, 가장 좋은 적합도는 3-구획적 분석에서 얻어졌다. 관찰된 Y 및 예측된 Y 간의 일치는 3-구획적 분석 후에 두드러지게 더 좋았다. 이러한 이유로 추후 모든 평가는 이 3-구획적 모델에 기초하여 수행되었다.
항 EpCAM의 약물동태는 10, 20, 40, 102, 164, 262 mg/m2 체표면적의 정맥 단기주입(intravenous short-term infusion) 후에 환자들에게서 조사되었다. 1 코호트당 2, 3명의 환자가 다루어졌다. 혈액시료들은 42일 또는 70일의 기간에 걸쳐 채취되었다. 항 EpCAM의 혈청농도는 ELISA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42일 또는 70일에 이르는 완전한 혈청특성이 얻어질 수 있었고 모든 환자들에 대하여 평가될 수 있었 다.
청징용적 및 분배용적은 투여량 의존성을 보이지 않으며, 1차 투여량 및 2차 투여량 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개 코호트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사된 투여량 범위에서 Cmax, AUCτ1, AUClast및 AUCinf에 대한 투여량 선형도가 가정될 수 있었다.
구획적 분석은 0.565일(t1 /2a), 3.78(t1 /2β) 및 13.3일(t1 /2λz)의 반감기와 함께 항 EpCAM 혈청 농도의 3차 저하(third-order decline)를 보였다.
종단 반감기(terminal half-life: 대략 2주)로부터 예상되듯이, 여러 투여량 요법들의 시뮬레이션은 격주의 계획에서 최선의 결과를 산출하였다. 4주당 1회의 투여가 항 EpCAM 혈청수준의 감소를 초래한 반면에, 격주 투여의 시뮬레이션은 체류(accumulation)로 되었다. 목표 최저수단에 가능한 한 빨리 도달하는 관점에 있어서는 유지 투여량에 비교하여 2배의 양인 부하 투여량이 추천된다.
실시예 2: 제1기 임상시험에서 획득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항 EpCAM 투여전략의 모델링
본 연구를 위해 선택된 투여요법(dosage regimen) 및 치료시간(treatment duration)은 전립선암을 가진 환자들에 있어서 항 EpCAM의 제1/2기 연구결과의 약물동태적 모델링에 기초한다. 시뮬레이션의 목적은 각각 10㎍/mL 및 30㎍/mL의 혈청 최저수준을 달성하기 위하여 항 EpCAM 투여 일정을 찾아내는 데 있다.
전임상 실험(preclinical experiment)에 기초하여, 10㎍/mL의 혈청 최저수준 이 항 EpCAM의 함암작용에 효과적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더 높은 투여량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은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30㎍/mL의 혈청 최저수준을 달성하도록 계산된 2차 투여량이 임상시험에서 평가될 것이다. Cmax값 및 AUC값이 제1기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Cmax값 및 AUC값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혈청 최저농도로는 부가적인 독성은 예상되지 않는다.
적합도가 더 좋으므로, 모든 시뮬레이션은 5개 내지 7개 코호트로부터의 3-구획적 평가 데이터에 기초하였다.
상기 시뮬레이션의 목적은 최적의 투여계획과, 횟수(1주당, 격주당, 4주당)를 고려한 필요한 투여량과, 다른 최저수준(10㎍/mL 항 EpCAM, 30㎍/mL 항 EpCAM)을 산정하고, 항 EpCAM의 부하 투여량의 이점을 평가하는 데 있다.
대략 2주의 종단 반감기로부터 예상되듯이, 격주 투여요법이 최선의 결과를 가져왔다. 7일 및 28일의 투여횟수를 가하면, 상기 시뮬레이션은 각각 혈청수준의 체류 또는 약간의 감소로 나왔다. 부하 투여량(LD)을 시행함으로써 요구된 최저수준을 즉각적으로 도달하였다. 다음의 투여량과 대응하는 최소 및 최대 혈청수준들이 항 EpCAM의 정맥투여에 대해 시뮬레이션되었다.
매 14일 투여
항 EpCAM의 상기 종단 반감기로부터 예상되듯이, 격주 투여는 일정한 Cmin값과 Cmax값을 갖는 시뮬레이션된 특성으로 나왔고, 따라서 추천되는 투여요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주 모델은 항 EpCAM의 10㎍/mL 및 30㎍/mL 혈청 최 저수준으로 이르기 위해 요구되는 투여량을 계산하는데 선택되었다.
상기 계산을 위한 초기 매개변수는 구획적 평가에 의해 얻어졌다.
· 연구 데이터: 전립선암 제1/2기 임상시험에서 얻어진 약물동태 측정값.
· 소프트웨어: WinNonlin 4.0.1 (Pharsight Corporation, USA; 2001)
· 모델: PK Model 19 (3 구획 IV-주입, 매크로 상수(macro-constant), 지연시간 없음, 1차 제거(1st order elimination), 균일칭량(uniform weighting)).
도 5는 상기 3 구획모델의 개요도이며, 여기서 '1'은 중앙구획이고, '2' 및 '3'은 다른 두 개의 주변구획이다. 상기 중앙구획은 상기 혈장과 즉각 평형을 이룬다. 상기 주변구획은 약제투입 후 상기 중앙구획과 평형에 도달하는데에는 약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K13, K31, K12, K21, K10은 각각의 속도상수(velocity constant)이고, 여기서 상기 숫자 13, 31 등은 항 EpCAM의 통과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상기 원래의 연구 데이터가 70일의 기간으로 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20일의 기간 동안으로 연장되었다. 상기 시뮬레이션은 부하기(즉, 제1일, 제8일 및 제15일에 약제 투여)와 유지기(즉, 제29일 및 그 후 매 14일마다 약제 투여)에 기초하였다:
· 그룹 A(낮은 투여량): 매주(제1일, 제8일, 제15일) 2mg 항 EpCAM/kg체중의 부하기와, 이후 매 2번째주마다 23번의 2mg 항 EpCAM/kg체중의 유지 투여량
· 그룹 B(높은 투여량): 매주(제1일, 제8일, 제15일) 6mg 항 EpCAM/kg체중의 부하기와, 이후 매 2번째주마다 23번의 6mg 항 EpCAM/kg체중의 유지 투여량.
본 연구에서 의도된 상기 투여량으로써 약물동태 매개변수(즉, Cmax 및 AUC)는 제1기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에게 투여된 최고 투여량으로 측정된 약물동태 매개변수들을 초과하지 않는다. 부하기 및 유지기는 단기간 내에 목표로 하는 혈청 최저수준에 도달하고 제1기 임상시험에서 산정한 최대 혈장농도(maximum plasma concentration)을 초과하는 최대 혈장농도를 회피하기 위하여 약물동태적 모델링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도 6은 항 EpCAM의 상술한 격주 투여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며, 이는 30㎍/mL의 목표 혈청 최저수준을 지니는 부하기를 포함한다. 도 7은 상술한 항 EpCAM의 격주 투여의 시뮬레이션을 나타내며, 이는 10㎍/mL의 목표 혈청 최저수준을 지니는 부하기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120일의 시간척도에서 약제의 개별적 투여들을 나타낸다. 최고 혈청농도와 최저 혈청농도가 나타내어지며, 상기 최고수준은 상기 곡선의 윗부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상기 최저수준은 상기 곡선의 아랫부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그래프들은 각각 10㎍/mL 및 30㎍/mL의 상기 다른 최저수준에 도달하는 시뮬레이션을 나타낸다.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최고 혈청농도 및 최저 혈청농도는 두 시뮬레이션에 있어서 다르다.
실시예 3: 항 EpCAM 독성 데이터, ING -1과의 비교, 외삽
다음은 여러 환자 코호트들을 대상으로 관찰한 유해사례(AE: Adverse Event)을 기술한다.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AE는 약품이 투여되고 본 치료와 인과관계를 반드시 가지는 것은 아닌 환자 또는 임상조사 대상에게서의 모든 바람직하지 않은 의료사건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이는 상기 조사제품과 관련된다고 고려되건 되지않건 간에 상기 조사제품의 사용에 연관된 모든 순조롭지 않으면서도 의도하지 않은 신호(비정상적인 실험 발견을 포함하는), 증상 또는 질환일 수 있었다.
약물 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즉, 조사자에 의하여 연구 약제와 적어도 관련될 수 있다고 고려된 AE)은 NCI 공통 독성 표준(CTC: Common Toxicity Criteria, version 2.0)에 의하여 조사자에 의하여 등급이 매겨졌다. NCI CTC 일람표에 기재되지 않은 약물 유해반응에 대하여 유해사례의 심각성 등급을 매기는데에는 일반적인 정의를 따랐다. 이에 의하면, "경미(mild)"한 AE는 환자에게 거의 눈에 띄지 않는 증상을 나타낸다. 이는 환자의 평상시 활동이나 업무를 방해하지 않고 및/또는 이는 임상적으로 중요하지는 않다. "보통(moderate)"의 AE는 상기 대상의 평상시 활동을 방해하며 족히 상기 대상을 불편하게 한다. 이는 약간 임상적으로 중요하며; 증상의 치료가 요구될 수 있다. "심각(severe)"한 AE는 극도의 불편함을 유발하며 너무 심각하여 상기 연구치료가 중단되어야 한다. 상기 대상은 정상적으로 일을 할 수 없거나 또는 평상시 활동을 할 수 없고 및/또는 상기 AE는 확실한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증상에 대한 치료가 요구될 수 있다. "심각한 유해사례(SAE: Severe Adverse Event)"는 어떤 투여량에 있어서도 사망초래, 생명위협, 입원, 입원기간의 연장, 지속적이거나 중대한 불구(disability)/기능저하(incapacity), 선천성 이상(congenital anomaly)/출생결함(birth defect) 등의 모든 바람직하지 않은 의료사건으로 정의된다.
치료 및, 최종 주입 이후 28일간의 안전 추적기간(safety follow-up period) 동안에 연구 약제와 관계없이 총 120건의 유해사례(AE)가 19명(95%)의 환자에게서 보고되었다. 더 낮은 투여량 코호트(코호트 1: 7; 코호트 2: 9; 코호트 3: 12; 코호트 4: 7; 코호트 5: 12)에 비교하여 더 많은 유해사례들이 코호트 6(38개 사례) 및 코호트 7(35개 사례)의 환자들에게서 보고되었다. 상기 코호트들은 실시예 1에서 상술한 도 1에 나타내어진다.
조사자에 의한 연구 약제의 관련 평가에 관계없이, 가장 빈번한 치료 후 발생(treatment-emergent) 임상적 AE는 체온(모든 환자에서의 30%로 보고됨)의 상승, 구역질(30%), 열(20%), 설사(15%), 피로(15%), 오한(15%) 및 구토(15%)였다. 조사자에 의한 연구 약제의 관련 평가에 관계없이, 유해사례로서 보고된 가장 빈번한 치료 후 발생 실험변화는 상승한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모든 환자에서의 30%로 보고됨),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30%), 상승한 LDH(25%), PTT 감소(20%), 헤모글로빈(hemoglobin) 감소(20%), WBC 장애(WBC disorder: 15%), 당뇨(glycosuria: 15%) 및 상승한 트랜스아미나제(transaminase: 15%)였다.
유해사례의 대부분은 경미(70%) 또는 보통 정도였다(25%). 6건의 심각한 유해사례(제3 등급)는 다음과 같이 4명의 환자들에게서 보고되었다; 1명의 환자에 있어서 치료에 우선한 보통(제2 등급) 값으로 상승한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1명의 환자에 있어서 알려진 당뇨병(diabetes mellitus)과 함께 당뇨; 1명의 환자에 있어서 감소한 헤모글로빈과 RBC 및 체중감소; 1명의 환자에 있어서 추간판 탈출증(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조사자에 의하여 평가되었듯이 상기 사례들 은 모두 상기 연구 약제와는 관계가 없었다. 제4 등급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4건의 심각한 유해사례(SAE)가 상기 연구기간 동안 4명의 환자들에게서 보고되었다. 1건은 약물치료 연구와 관련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자에 의하여 고려되었다: 코호트 3(40mg/m2 체표면적)의 환자에게서 항 EpCAM의 2차 주입 이후 제1 등급의 열로 인하여 입원기간의 연장.
마우스-인간 키메라성의 높은 친화성(KD: 2×10-9) 항 EpCAM 항체 ING-1의 임상연구들은 1mg/kg의 투여량으로 췌장염을 유발하였다. 이들 유해사례는 분명한 MTD를 갖는 투여량 의존성(dose dependent)이었다. 항 EpCAM에 비교하여 10의 2제곱배 정도 높은 EpCAM 항원에 대한 면역글로불린 ING-1의 친화성은 ING-1에 대해 관찰된 독성특성과 관련된다. ING-1(1mg/kg)의 MTD와 항 EpCAM 실험계획(6mg/kg)에서 의도된 최고 투여량은 유사하므로, 상술한 연구들의 면역글로불린인 항 EpCAM은 그의 훨씬 낮은 친화성으로 인하여 매우 더 높은 안전역(safety margin)을 가진다고 예상된다.
실시예 4: 질환에 있어서 EpCAM 발현
여기서 기술된 치료방법의 응용범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 EpCAM 항원이 다수의 다른 질환들에 있어서 연구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EpCAM 발현이 주어진 조직의 건강상태에 비례하여 질환상태에 있어서 높아지는 모든 질병에 대해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특히, 간 조직에서의 EpCAM 항원의 합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환자 및 조직
모두 254개의 다른 간 조직 표본이 아래 기술된 바와 같이 항 EpCAM과 관련된 형태학적 매개변수(morphological parameter)에 대한 면역조직학(immunohistology)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5개의 정상 간 표본뿐만 아니라 63개의 HCC, 5개의 간 쓸개관암종(cholangiocarcinomas) 및 30개의 이형성 결절(dysplastic nodules; 전암성 간세포 전구체 병변(pre-malignant hepatocellular precursor lesion))을 포함하는 다른 암 시료들이 분석되었다. 33개의 생검(biopsy)이 C형 만성간염(chronic hepatitis C)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되었고, 27개의 생검이 B형 만성간염(chronic hepatitis B)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되었고, 28개의 생검이 만성 알콜성 간질환(chronic alcoholic liver disease: ALD)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되었으며, 9명의 환자가 자가면역성 간염(autoimmune hepatitis: AIH)를 가졌다. 간 조직은 Menghini needle을 사용하는 생검에 의하여 획득되었고, HCC의 경우에는 절제(resection) 또는 간 외식(liver explantation)에 의하여 획득되었다. 조직들은 4% 중성 완충액 포름알데히드(neutral buffered formaldehyde)에 즉시 고정시켰고 표준 연구계획서에 따라 진행하였다.
형태학적 평가
형태학적 평가가 H&E(암종 및 만성간염의 등급화)로 염색된 단면을 기초로 수행되었다. HCC의 등급화는 Nzeako 등, Cancer 76, 1995, 579-88에 기재된 대로 수행되었다. 비종양성 간 질환은 형태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되었다: B형 및 C형 만성간염 경우의 괴사성염증 작용(necroinflammatory activity)이 Ishak, Mod. Pathol. 7, 1994, 690-713에 기재된 대로 수정된 간 활동 지수(modified hepatic activity index)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면역학적 평가
면역학이 이른바 ABC 방법과 색소원(chromogen)으로서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Prange 등, J. Pathol. 201, 2003, 250-9)와 같이 수행되었다. 마우스 단클론성 항 인간 EpCAM 항체(mouse monoclonal anti-human EpCAM antibody; 클론 VU-1D9; Novocastra, Newcastle, UK)가 1/50로 희석되고 30분 트립신 전처리(trypsin pre-treatment; 0.1%, pH 7.8) 이후 가해졌다. 사이클린 D1(cyclin D1; DCS-6; 1:100; DAKO, Hamburg, Germany), p53(FL-393; 1:50; Santa Cruz, Santa Cruz, USA) 및 유비퀴틴(ubiquitin; 70458; 1:200; DAKO)에 대한 면역학이 그에 상응하게 수행되었다. 1차 항체(primary antibody)의 생략(omission)을 포함하여 음제어(negative control)가 수행되었다.
HCC에 있어 EpCAM 염색의 평가를 위해 단지 강도만이 반정량적으로(0=음성, +(1)=약한 약성, ++(2)=보통 양성, +++(3)=강한 양성(적어도 쓸개관 염색과 동일한 강도) 등급이 매겨졌다. 비종양성 생검표본(non-neoplastic biopsy specimen)에 있어 EpCAM의 간세포성 발현은 다음과 같이 등급이 매겨졌다: 0=간세포 염색 없음; (+)(0.5)=산재해 있는 양성 간세포가 거의 없음; +(1)=수개 또는 대부분의 사이막(septum) 또는 문맥역(portal tract)을 따라 간세포의 작은 그룹; ++(2)=수개 또는 대부분의 문맥역 또는 사이막을 따라, 그리고 midacinar 영역으로 연장되어 양성 간세포의 큰 그룹; +++(3)=전형적으로 세엽(acinus)의 적어도 50%를 덮는 광범위한 간세포성 양성도(hepatocellular positivity).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평균값(mean), 중앙값(median), 최대값(maximum), 빈도(frequency))와 Spearman 상관관계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of Spearman)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p<0.05 수준이 의미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HCC에 있어서 EpCAM의 신생 발현(neo-expression)
간세포들은 완전히 음성(데이터 미도시)인 반면에, 정상적인 간조직은 모든 쓸개관 상피세포(bile duct epithelia)의 강한 염색을 보였다. EpCAM에 대한 면역학은 63개의 분석된 HCC 중 9개에서(14.3%; 도 8 A-F), 그리고 상기 간의 모든 분석된 쓸개관암종에서(n=5) 특별한 막 염색(membranous staining)을 보였다. HCC에 있어서, 단 하나의 양호하게 분화된 HCC만이 양성인 반면에, 발현은 약함 내지 강함의 범위로 보통 및 불량하게 분화된 HCC들에서는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전암성 병변(pre-malignant lesions)을 나타내는 30개의 이형성 결절 중에 단 3개만이 경미한 EpCAM 발현을 보였다. 상기 동일한 조직들이 다수의 다른 종양 관련성 항원들에 대해 분석되었고, 상기 발현 데이터가 상관분석에 제시되었다. p53 및 유비퀴틴(p<53)의 핵 체류(nuclear accumulation)를 갖는 HCC들에서는 EpCAM 발현의 보통이면서도 의미있는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의심되었던 상류 조절인자(upstream regulator) 사이클린 D1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괴사성염증(necroinflammatory) 간 질환에서의 간세포성 EpCAM의 신생 발현(neo-expression)
간세포의 특정 막 양성도(membranous positivity)가 상기 분석된 비종양성 간조직들(도 8 C-E)에서 높은 퍼센트로 검출되었다. 두드러진 양성도가 만성간염인 경우에 발견되었으며 ALD의 경우에는 낮은 정도로 발견되었다. 또한, 모든 세관증식(ductular proliferation)의 양성도 및 문맥주위 실질(periportal parenchyma; 잠재력있는 전구세포(potential precursor cells))에 산재된 단일 소세포들의 양성도가 발견되었다. 간세포성 양성도는 강한 문맥주위/중격주위 현저형(periportal/periseptal predominance)를 나타냈고 일부의 경우 상기 쓸개관 염색의 강도에 도달하였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EpCAM에 대한 어떠한 특정 작용도 비실질 간세포(non-parenchymal liver cell)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 반정량적인 면역학적 점수(방법 참조)의 평균값 및 중앙값을 분석할 때, EpCAM 발현은 다음을 갖는 조직들에서 가장 높았다: HBV-감염(평균값 점수: 0.93; 중앙값 점수: 0.5; 최대값 점수: 3; 양성인 EpCAM 염색(+/++/+++) 빈도: 55.6%;); ALD(평균값 점수: 0.88; 중앙값 점수: 0.75; 최대값 점수: 2.5; 양성인 EpCAM 염색(+/++/+++) 빈도: 78.6%;); HCV 감염(평균값 점수: 0.86; 중앙값 점수: 0.5; 최대값 점수: 3; 양성인 EpCAM 염색(+/++/+++) 빈도: 63.6%). AIH를 갖는 환자들은 중간의 EpCAM 염색(평균값 점수: 0.72; 중앙값 점수: 0.5; 최대값 점수: 3; 양성인 EpCAM 염색(+/++/+++) 빈도: 55.6%)를 가졌다. 간세포성 EpCAM 발현은 만성 담도질환 PBC(chronic biliary disease PBC; 평균값 점수: 0.13; 중앙값 점수: 0; 최대값 점수: 0.5; 양성인 EpCAM 염색(+/++/+++) 빈도: 25.0 %)와 만성 담도질환 PSC(평균값 점수: 0.04; 중앙값 점수: 0; 최대값 점수: 0.5; 양성인 EpCAM 염색(+/++/+++) 빈도: 7.7%)를 가진 환자들에서는 거의 없었다(도 9: 통계변수들이 도표 우측에 기재되어있음).
결론
조직 시료들이 C형 만성간염(chronic hepatitis C: HCV) 및 B형 간염 바이러스(cepatitis B virus: HBV), 자가면역성 간염(autoimmune hepatitis: AIH), 만성 알콜성 간질환(chronic alcoholic liver disease: ALD) 및 간세포 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HCC)와 같은 만성 간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괴사성염증 작용의 면역학적 및 생화학적 매개변수들뿐만 아니라 간 섬유증(liver fibrosis)와 관련되어 EpCAM에 대하여 반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정상 성인 간세포에서 EpCAM-음성인 간세포들은 만성 간질환들을 가진 환자들로부터 많은 간조직들에서 드 노보(de novo) EpCAM 발현을 나타냈다. 간세포성 EpCAM 발현은 괴사성염증 질환(HCV 간염, HBV 간염, AIH, ALD)을 갖는 환자들에서 가장 높았다. 간세포성 EpCAM 발현은 염증작용의 면역학적 및 생화학적 매개변수와 섬유증의 강도에 의미있게 상관되었으며, 이는 특히 HBV 감염을 지닌 환자들에게서 두드러졌다. 또한, 상기 HCC의 14.3%는 종양세포들 상에 EpCAM 발현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pCAM의 드 노보 발현이 간세포 암종(HCC)의 한 단편에서만 발생하지만, 만성 괴사성염증 간질환에 있어서 간세포들 상에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사실이 실증된다. 이러한 발현은 질환작용 및 섬유화에 양성적으로 상관된다. 특히, 만성 괴사성염증 간질환과 섬유화 및 괴사성염증 작용에 있어서 간세포성 EpCAM 신생 발현의 상관관계가 실증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악성종양에 있어 EpCAM을 표적으로 하는 단클론성 항체(monoclonal antibody)와 같은 장래의 치료 사양을 의미하며 또한 일부 HCC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HCC의 단편은 EpCAM 지향 항체 치료를 위한 유효한 표적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5: "항 EpCAM "에 대한 제2기 임상시험에서 얻은 환자 데이터를 사용하는 약물동태적 예측의 입증
본 발명에 따라 항 EpCAM이 투여된 뒤이은 제2기 임상시험에서 획득한 실제 환자 데이터를 사용하여 약물동태적 모델링에 기초한 예측들(항 EpCAM에 대한 제1기 임상시험에서 획득한 약물동태 데이터에 기초하는 예측들; 상기 실시예 1 및 2를 참조)의 정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제2기 임상시험은 두 병행치료 그룹들로 국제적(international), 개방표지적(open-label), 다기관(multicenter), 무작위(randomized) 제2기 임상시험이었다. 항 EpCAM 제2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들은 두 그룹으로 무작위 추출되었고,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그룹은 항 EpCAM의 낮은 투여량(2mg/kg체중)을 투여받았고, 제2 그룹은 항 EpCAM의 높은 투여량(6mg/kg체중)을 투여받았다. 항 EpCAM 제2기 임상시험 과정에 있어서, 각 환자는 초기에 부하기 동안 1주일 간격으로 3회 항 EpCAM 부하투여량을 투여받았고, 그 이후 23회 항 EpCAM 후속 유지투여량에까지 투여받았으며(다시, 환자그룹에 따라 2mg/kg체중 또는 6mg/kg체중의 어느 하나), 여기서 1회 유지투여량은 매 2주마다 투여받았다.
항 EpCAM 제1기 임상시험 데이터에 기초한 약물동태적 예측에 따르면, 항 EpCAM의 높은 투여량을 투여받은 제2 환자그룹의 혈청 최저수준이 대략 30㎍/ml(도 6에 나타내는 최저수준과 상관됨)으로 예상되는 반면, 항 EpCAM의 낮은 투여량을 투여받은 제1 환자그룹의 혈청 최저수준은 대략 10㎍/ml(도 7에 나타내는 최저수준과 상관됨)으로 예상될 것이다.
분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가 HD4A4(항 EpCAM에 대한 항 이디오타입 항체(anti-idiotype Antibody); 100ml 부피에 5㎍/ml)로 코팅시킨 후, 차단 및 세척 단계를 수행하였다. 교정기준, 정도 관리 시료들 및 항 EpCAM 시료들이 상기 세척 단계 이후 가해졌다(적절한 희석으로 100ml). HD4A4로 속박된 항 EpCAM은 비오틴결합 항 인간 IgG(biotinylated anti-human IgG)로 검출되었고, 이후 다시 세척단계가 수행되었다.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이 가해졌고(100㎕ 부피에 0.5mg/ml), 상기 96 웰 플레이트가 다시 세척되었으며 마지막 단계로서 pNPP 180㎕이 가해졌다. 상기 시료는 3M NaOH 50㎕로 정지되었고 405nm 및 490nm에서 ELISA Reader로 측정되었다. 낮은 투여량 시료들의 희석은 1:100으로 수행되었다. 높은 투여량 시료들의 희석은 1:300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은 낮은 투여량 그룹(환자번호 401001; 사각형으로 표시된 데이터 포인트)의 1명의 환자와 높은 투여량 그룹(환자번호 101002; 다이아몬드로 표시된 데이터 포인트)의 1명의 환자에 대해 측정된 각각의 최저수준을 포인트로 나타낸다. 각 환자의 데이터 포인트들을 연결한 수평선의 평균 수직수준값이 그 환자에 대해 관찰된 혈청 최저수준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높은 투여량 환자 101002(다이아몬드 포인트)에 대한 수평선이 이 투여량에 대해 예측된 값인 30㎍/ml과 잘 일치하는 항 EpCAM의 최저수준 농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도 6에 있어서 그래프의 예측된 최저값들을 연결한 수평선과 비교하시오). 마찬가지로, 상기 낮은 투여량 환자 401001(사각형 포인트)에 대한 수평선은 이 투여량에 대해 예측된 값인 10㎍/ml과 잘 일치하는 항 EpCAM의 최저수준 농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도 7에 있어서 그래프의 예측된 최저값들을 연결한 수평선과 비교하시오).
이러한 데이터는 상기 항 EpCAM 제2기 임상시험 동안 획득한 실제 환자 데이터와 함께 상기 항 EpCAM 제1기 임상시험 동안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한 약물동태적 모델링에 의한 상기 최저수준 예측의 정확성을 입증한다. 따라서, 상기 약물동태적 모델링의 상기 가정들 및 결과들이 정확하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치료요법이 여기서 상술한 효과와 이득을 가진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되고 청구된 모든 조성 및 방법은 본 개시에 비추어 부당한 실험 없이 제조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들 및 방법들은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의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여기 기술된 단계나 상기 방법들의 단계공정에서의 상기 조성들 및 방법들에 변형들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관련되는 소정의 약제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여기 기술된 약제들을 치환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이러한 모든 유사한 치환 및 수정은 여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범주 및 사상 내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110> Micromet AG <120> Anti-EpCAM Immunoglobulins <130> MIC-022 PCT <140> unknown <141> 2005-02-09 <150> US10/778,915 <151> 2004-02-13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5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EpCAM Heavy Chain <400> 1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Arg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Gly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Val Ile Ser Tyr Asp Gly Ser Asn Lys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Lys Asp Met Gly Trp Gly Ser Gly Trp Arg Pro Tyr Tyr Tyr Tyr 100 105 110 Gly Met Asp Val Trp Gly Gln Gly Thr Thr Val Thr Val Ser Ser Ala 115 120 125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130 135 140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145 150 155 160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165 170 175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180 185 190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195 200 205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Lys 210 215 220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225 230 235 240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245 250 255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260 265 270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275 280 285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290 295 300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305 310 315 320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325 330 335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340 345 350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Leu 355 360 365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370 375 380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385 390 395 400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405 410 415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420 425 430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435 440 445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50 455 <210> 2 <211> 2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EpCAM Light Chain <400> 2 Glu Leu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Thr Ser Gln Ser Ile Ser Ser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Pro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rp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Ser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Tyr Asp Ile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100 105 110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115 120 125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130 135 140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145 150 155 160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165 170 175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180 185 190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195 200 205 Phe Asn Arg Gly Glu Cys 210

Claims (2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인간 EpCAM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에 있어서,
    인간환자에게 투여 후 적어도 15일 내지 20일의 혈청 반감기를 나타내고 SEQ ID NO: 1에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을 지닌 면역글로불린 중쇄 및 SEQ ID NO: 2에 나타내는 아미노산 배열을 지닌 면역글로불린 경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혈청 반감기는 20일, 19일, 18일, 17일, 16일 또는 15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감기는 15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의한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매 2주당 1회를 상회하지 않는 빈도의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약학적 조성물.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매 3주당 또는 매 4주당 1회를 상회하지 않는 빈도의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약학적 조성물.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매 2주마다 투여용으로 제제화되고,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이 투여되는 용량은 1회 투여 후 그 다음 회의 투여까지 불변하는 약학적 조성물.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매 2주당 1회를 하회하는 빈도의 투여용으로 제제화되고,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이 투여되는 용량은 각기 두 투여 간의 중간기간의 최종시점에서 상기 혈청에 존속하는 상기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양이 치료유효성에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혈청 최저수준보다 저하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약학적 조성물.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맥내 투여용, 복강내 투여용, 피하 투여용, 근육내 투여용, 국소 투여용 또는 피내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약학적 조성물.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성 질환은 유방암, 상피암, 간세포암, 쓸개관 세포암, 위암, 결장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피부암(흑색종); 난소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및 신장암을 포함하는 요로생식기 계의 암; 폐암, 위암, 소장의 암, 간암, 췌장암, 담낭암, 담관의 암, 식도암, 침분비샘의 암 또는 갑상선암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067016339A 2004-02-13 2005-02-09 항 이피캠 면역글로불린 KR101236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78,915 2004-02-13
US10/778,915 US20050180979A1 (en) 2004-02-13 2004-02-13 Anti-EpCAM immunoglobulins
PCT/EP2005/001307 WO2005080428A2 (en) 2004-02-13 2005-02-09 Anti-epcam immunoglobul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988A KR20070009988A (ko) 2007-01-19
KR101236224B1 true KR101236224B1 (ko) 2013-02-22

Family

ID=3483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339A KR101236224B1 (ko) 2004-02-13 2005-02-09 항 이피캠 면역글로불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3) US20050180979A1 (ko)
EP (2) EP1713830B1 (ko)
JP (1) JP5220315B2 (ko)
KR (1) KR101236224B1 (ko)
CN (1) CN1976951B (ko)
AT (1) ATE437186T1 (ko)
AU (1) AU2005215874B2 (ko)
BR (1) BRPI0507660A (ko)
CA (1) CA2555694C (ko)
DE (1) DE602005015544D1 (ko)
DK (1) DK1713830T3 (ko)
EA (1) EA011951B1 (ko)
ES (1) ES2328159T3 (ko)
HK (1) HK1096103A1 (ko)
IL (1) IL177069A (ko)
MX (1) MXPA06008942A (ko)
NO (1) NO339364B1 (ko)
NZ (1) NZ549125A (ko)
PL (1) PL1713830T3 (ko)
PT (1) PT1713830E (ko)
SI (1) SI1713830T1 (ko)
UA (1) UA87128C2 (ko)
WO (1) WO2005080428A2 (ko)
ZA (1) ZA2006060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6493B2 (ja) 2003-01-24 2015-03-18 ユニバーシティ・オブ・ユタUniversity Of Utah テロメアの長さを決定することによって死亡の危険性を予測する方法
RU2434640C2 (ru) 2006-02-09 2011-11-27 Микромет Аг Лечение метастатического рака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EP1865001A1 (en) * 2006-06-08 2007-12-12 Gsf-Forschungszentrum Für Umwelt Und Gesundheit, Gmbh Specific protease inhibitors and their use in cancer therapy
US20100226922A1 (en) * 2006-06-08 2010-09-09 Dorothea Maetzel Specific protease inhibitors and their use in cancer therapy
EA023679B1 (ru) * 2007-04-04 2016-06-30 Сигма-Тау Индустрие Фармасьютике Риуните С.П.А. АНТИ-EpCAM АНТИТЕЛО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EP2379747B1 (en) 2008-12-22 2013-07-03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onochrome multiplex quantitative pcr
JP6048660B2 (ja) * 2009-09-21 2016-12-21 ランジュ ラルハン 甲状腺癌を診断および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WO2013131001A1 (en) * 2012-03-02 2013-09-06 Academia Sinica ANTI-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 (EpCAM)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3387988B (zh) * 2012-09-24 2016-01-06 厦门大学 上皮细胞粘附分子的核酸适体EpCAM Ccut及其制备方法
EP2999800B1 (en) 2013-05-22 2019-09-25 Telomere Diagnostics Inc. Measures of short telomere abundance
CN103275226B (zh) * 2013-06-09 2017-08-29 中国科学技术大学 特异性抗人上皮细胞粘附分子(EpCAM)的单克隆抗体的制备、鉴定及应用
US9944978B2 (en) 2014-12-30 2018-04-17 Telomere Diagnostics, Inc. Multiplex quantitative PCR
ES2873846T3 (es) * 2015-11-19 2021-11-04 Revitope Ltd Complementación de fragmento de anticuerpo funcional para un sistema de dos componentes para eliminación redirigida de células no deseadas
EP3490589A1 (en) 2016-07-26 2019-06-05 Tessa Therapeutics Pte. Ltd. Chimeric antigen receptor
WO2020018964A1 (en) 2018-07-20 2020-01-23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ed expression of antigen-specific recepto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697A (en) * 1995-10-25 1998-12-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Methods of treating established colitis using antibodies against IL-12
PL193780B1 (pl) * 1997-04-14 2007-03-30 Micromet Ag Sposób wytwarzania receptora przeciw ludzkim antygenom, ludzkie przeciwciało i środek farmaceutyczny
US6855544B1 (en) * 1999-04-15 2005-02-15 Crucell Holland B.V.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in a human cell
US7605238B2 (en) * 1999-08-24 2009-10-20 Medarex, Inc. Human CTLA-4 antibodies and their uses
CA2446087C (en) * 2001-05-03 2013-06-18 Stephen D. Gillies Recombinant tumor specific antibody and use thereof
US20030175268A1 (en) * 2002-01-11 2003-09-18 Saint-Remy Jean-Marie R.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US20040033543A1 (en) * 2002-05-20 2004-02-19 Gisela Schwab Treatment of renal carcinoma using antibodies against the EGF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eoplasia, Vol. 5, No. 6, Pages 489-494(2003. Nov/De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39364B1 (no) 2016-12-05
DK1713830T3 (da) 2009-10-12
SI1713830T1 (sl) 2009-10-31
US20070274982A1 (en) 2007-11-29
JP2008500277A (ja) 2008-01-10
CN1976951A (zh) 2007-06-06
ZA200606083B (en) 2007-10-31
AU2005215874A1 (en) 2005-09-01
DE602005015544D1 (de) 2009-09-03
MXPA06008942A (es) 2007-01-26
IL177069A0 (en) 2006-12-10
EP2107071A2 (en) 2009-10-07
ATE437186T1 (de) 2009-08-15
EP1713830A2 (en) 2006-10-25
EP1713830B1 (en) 2009-07-22
ES2328159T3 (es) 2009-11-10
BRPI0507660A (pt) 2007-07-17
HK1096103A1 (en) 2007-05-25
NO20064136L (no) 2006-11-07
PT1713830E (pt) 2009-10-19
EP2107071A3 (en) 2009-12-30
CA2555694A1 (en) 2005-09-01
UA87128C2 (ru) 2009-06-25
WO2005080428A2 (en) 2005-09-01
JP5220315B2 (ja) 2013-06-26
AU2005215874B2 (en) 2011-01-27
IL177069A (en) 2010-11-30
CA2555694C (en) 2013-04-16
EA011951B1 (ru) 2009-06-30
KR20070009988A (ko) 2007-01-19
EA200601386A1 (ru) 2007-06-29
NZ549125A (en) 2008-09-26
US20120294873A1 (en) 2012-11-22
US20050180979A1 (en) 2005-08-18
PL1713830T3 (pl) 2010-01-29
CN1976951B (zh) 2012-03-14
WO2005080428A3 (en)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224B1 (ko) 항 이피캠 면역글로불린
RU2650869C2 (ru) Антитела к родственной раково-эмбриональному антигену молекуле клеточной адгезии (сеасам)
JP2022174167A (ja) Ror1癌の治療および転移の阻害に使用するための抗体およびワクチン
US9512211B2 (en) Anti-clusterin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and their use to reduce tumor volume
US20110274688A1 (en) Prevention of tumors with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neu
WO1994022478A1 (en) PREVENTION OF TUMORS WITH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i(NEU)
KR20140020922A (ko) 종양 개시 세포를 인지하는 항체와 항원 및 이의 용도
KR20200108868A (ko)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il-8 항체 및 항-pd-1 항체와의 조합 요법
JP2024026138A (ja) プラチナベースの薬剤と抗組織因子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の組み合わせを用いるがんの治療方法
CN112105388A (zh) 抗组织因子抗体-药物偶联物及其在癌症治疗中的应用
JP2022502411A (ja) 非小細胞肺がんの処置のためのaxl特異的抗体
ITRM20090081A1 (it) Uso di inibitori della proteina 90k per la preparazione di un medicamento per la cura o prevenzione dei tumori.
AU2019266203A1 (en) Methods of treating cancer with a combination of an anti-PD-1 antibody and an anti-tissue factor antibody-drug conjugate
CN114650846A (zh) 用基于铂的试剂和抗组织因子抗体-药物偶联物的组合治疗癌症的方法
KR20220002098A (ko) Lgals3bp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Garrett Peptide-based B-cell epitope vaccines targeting HER-2/neu
CN117750980A (zh) Her2靶向抗体-药物偶联物用于治疗her2低表达乳腺癌的用途
KR20240038204A (ko)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내분비 신생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164662A1 (en) Treatment of squamous non small cell lung cancer
CN115607662A (zh) 抗pd-1抗体在治疗腺泡状软组织肉瘤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