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914B1 -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914B1
KR101229914B1 KR1020100019984A KR20100019984A KR101229914B1 KR 101229914 B1 KR101229914 B1 KR 101229914B1 KR 1020100019984 A KR1020100019984 A KR 1020100019984A KR 20100019984 A KR20100019984 A KR 20100019984A KR 101229914 B1 KR101229914 B1 KR 101229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gf
rantes
ligand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708A (ko
Inventor
김병윤
장민열
임준만
이천구
곽택종
김미선
송혜진
허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0010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 재생, 피부탄력 개선,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튼살, 슬리밍, 상처 치유(Wound Healing), 흉터 완화, 검버섯 개선, 미백, 보습 개선, 발모촉진, 가려움증 개선 등 다양한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부주름, 탄력, 보습, 미백 등과 관련된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탁월하다.

Description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ytokine-containing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주름, 피부 처짐, 튼살, 흉터, 가려움증, 여드름, 검버섯, 눈밑그늘, 흑화, 가려움증, 피부 갈라짐, 건조 등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상태는 연령, 환경 등에 따라 주름, 피부 처짐, 튼살, 흉터, 가려움증, 여드름, 검버섯, 눈밑그늘, 흑화, 가려움증, 피부 갈라짐, 건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게 된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종래 콜라겐의 피부 보습효과로부터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은 경피 흡수되기 어렵고, 따라서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었다.
한편, 콜라겐 합성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베튤린산(betulinic acid),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주름개선, 재생, 피부탄력 개선,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튼살, 슬리밍, 상처 치유(Wound Healing), 흉터 완화, 검버섯 개선, 미백, 보습 개선 등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우수한 활성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안전할 뿐만 아니라, 여라 가지 피부 상태의 개선 효과가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ctivin A, adiponectin, Ang, BMP(BMP-4, BMP-7), EGF, CSF(G-CSF, M-CSF), FGF(FGF-2(bFGF)), FGF-4, FGF-6, FGF-7, FGF-9), Flt-3리간드, Follistatin, Fractalkine, GRO(GRO, GROα), HGF, hGH, I-309, IFN(IFNα2a, IFNβ, IFNγ, IGF(IGF-1, IGFBP-1, IGFBP-2, IGFBP-3, IGFBP-4, IGF-I, IGF-II), IL-10, IL-13, IL-15, IL-17, IL-1α, IL-1β, IL-2, IL-3, IL-4, IL-6, IP-10, Leptin, MCP(MCP-1, MCP-2, MCP-3, MCP-4), MIP(MIP-1α, MIP-1β, MIP-2, MIP-3b, MIP-3α), PDGF-AA, PDGF-BB, RANTES, Resistin, sCD40L, SCF, SDF(SDF-1, SDF-1α), TGFβ(TGFβ1, TGF-β2, TGFβ3), TGF-β3, TIMP(TIMP-1, TIMP-2), TNF(TNFα, TNFβ) 및 VEG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 배양액 및/또는 태반에 존재하는 싸이토카인에 대해 콜라겐 합성과 세포활성 정도, 미백 효능 등을 확인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시 주름개선, 재생, 피부탄력 개선,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튼살, 슬리밍, 상처 치유(Wound Healing), 흉터 완화, 검버섯 개선, 미백, 보습 개선 등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 피부 상태의 개선은 주름개선, 재생, 피부탄력 개선,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튼살, 슬리밍, 상처 치유(Wound Healing), 여드름, 눈밑그늘, 흑화, 피부 갈라짐, 흉터 완화, 검버섯 개선, 미백 또는 보습 개선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탄력 개선,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이다.
상기 다양한 싸이토카인 중에서 PDGF-BB, IL-β, RANTES, PDGF-AA, EGF, hGH 및 IL-α가 콜라겐 생성 촉진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였으며, 특히 PDGF-BB, IL-β, RANTES 및 PDGF-AA가 콜라겐 생성 촉진 및 이를 통한 피부탄력, 주름 등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였고, 특히 PDGF-BB가 콜라겐 생성 측면 및 세포 활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또한 여러 싸이토카인 중에서 줄기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유래한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의 10종의 싸이토카인은 콜라겐 합성능 및 세포활성능이 우수하여 조합할 경우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인태반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의 8종의 싸이토카인 역시 콜라겐 합성능 및 세포활성능이 우수하여 조합할 경우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유래한 10종의 싸이토카인[C FORMULAR 1이라 함]의 조합물과, 인태반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8종의 싸이토카인[C FORMULAR 2라 함]의 조합물에 대해서 하기 실시예들과 같이 효능을 검증한 결과 매우 놀라운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의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싸이토카인은 인간 유래 물질 또는 배양물에서 분리 혹은 추출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한 것, DNA 재조합 방법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싸이토카인은 피부 침투를 위한 효율성 향상 및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싸이토카인 안정성 개선을 위하여 리포좀, 혹은 노바좀, 혹은 마이크로 플루이딕스 등을 통하여 2차 가공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싸이토카인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포좀은 인지질, 폴리올, 계면활성제, 지방산, 오일, 점증제, 용매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리포좀은 인지질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고분자 물질이 자기 스스로 회합하여 지질이중막을 형성하는 구형의 베시클이다. 리포좀을 형성하는 인지질 또는 그 유도체로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포스파딜글리세롤, 디스테라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N-폴리(에틸렌글리콜)(DSPE-PEG), 레시틴, 수첨레시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싸이토카인 용해기제 또는 용해보조제의 역할을 하는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대두유, 옥수수유, 피마자유, 면실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씨기름, 홍화유, 참기름, 낙화생유 등의 식물유, 토코페롤오일, 에틸올레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릴산트리글리세리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올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이리톨,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음이온성계면활성제(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등),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양성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계면활성제(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슈가에스테르 등)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포좀은 인지질, 오일, 계면활성제, 폴리올과 적당량의 용매를 가열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용해시키고, 균질기(homogeneizer)를 이용하거나,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리포좀은 안정성 개선의 목적으로 점증제 등 여러 가지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싸이토카인 또는 이들이 함유된 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잘 알려진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인 싸이토카인 외에도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유효성분,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린싱,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형이 크림, 로션 또는 겔인 경우에는 적당한 오일 등의 유상 성분, 계면활성제, 물, 점증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W/O 또는 O/W 타입의 유제를 제조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전술한 사이토카인들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징, 비누 등의 화장료나 연고와 같은 다양한 조성물에 유효량 첨가되어 피부 탄력 개선, 주름 개선, 미백 또는 보습 등의 피부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피부개선 효과와 경제성을 고려할 때, 사이토카인의 총 첨가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0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0001 내지 0.01중량%이다.
줄기세포배양액으로부터 유래한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의 10종의 싸이토카인은 피부상태 개선효과에 적절한 조합비가 EGF(1,000~100,000) : FGF(100~10,000) : Flt-3리간드(100~10,000) : IL-1α(100~10,000) : IL-1β(100~10,000) : IL-17(1~1,000): PDGF-AA(1,000~100,000) : PDGF-BB(100~10,000) : RANTES(100~10,000) : VEGF(1,000~100,000)이며, 이를 적절히 조합한 C FORMULAR 1은 하기 표의 조합1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인태반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의 8종의 싸이토카인은 피부상태 개선효과에 적절한 조합비가 FGF(100~10,000) : Flt-3리간드(1~1,000) : IL-10(1~1,000) : IP-10(1~1,000) : PDGF-AA(100~10,000) : PDGF-BB(1~1,000) : RANTES(100~10,000) : VEGF(1~1,000)이며 이를 적절히 조합한 C FORMULAR 2는 하기 표의 조합2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피부개선 효과와 경제성을 고려할 때, 상기 사이토카인 조합물들의 첨가량은 구성하고 있는 사이토카인을 합산한 중량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000001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0.1중량%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사이토카인 조합물은 하기의 비율로 조성한 것을 이용하였다.
Figure 112010014322186-pat00001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개선하고자 하는 피부 상태, 화장료 조성물의 싸이토카인 함량, 도포방식, 사용자의 연령, 체중, 도포시간, 반응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그 도포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피부 국소 도포량은 바람직하게 1일당 0.001-1000 ng/cm2(피부표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 ng/cm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정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러 가지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의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싸이토카인의 콜라겐 합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싸이토카인의 세포 활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효력평가를 위해 사용한 사이토카인 중 BMP-4, EGF, Eotaxin, FGF-2(bFGF), Flt-3리간드, Fractakine, IFNα2a, IFNγ, IL-1α, IL-1β, IL-2, IL-3, IL-4, IL-5, IL-6, IL-8, IL-10, IL-12(P40, P70), IL-13, IL-15, IL-17, IP-10, sCD40L, TNFα, TNFβ, VEGF 165, TGFa, TGFb3, IGF, PIGF는 Creative Biolabs(21 Brookhaven BLVD, Port Jefferson Station, NY 11776,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GM-SCF, IL-7, IL-9, MCP-1, MIP-1α, MIP-1β, PDGF-AA, PDGF-BB, RANTES는 Helica Biosystems(231 E. Imperial Hwy. Ste 250 Fullerton, CA 92835,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실험예 1> 싸이토카인 및 싸이토카인 조합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평가
사람의 피부조직에서 분리된 인간유래 섬유아세포를 10% FBS와 항생제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여 96 well plate에 세포(1×104 cells)를 시딩(seeding)하였다. 다음날 PBS로 세포를 한번 세척한 다음, FBS-free DMEM 배지로 갈아주고, 각각의 싸이토카인 및 싸이토카인 조합물(조합1: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의 혼합물(C FORMULAR 1), 조합2: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의 혼합물(C FORMULAR 2))을 각각 1ug/ml, 0.1ug/ml, 및 0.01ug/ml로 세포에 처리하여 이틀 동안 더 배양하였다. 반응이 끝난 세포배양액을 모아 프로콜라겐(procollagen) type I에 대한 EIA assay(TaKaRa Bio Inc.)를 실시하여 각각의 콜라겐 합성 농도를 결정하였다. EIA 분석은 회사가 제공하는 키트의 방법을 따라 실시하였다. 합성농도 결과를 가지고 대조군 대비 합성 증가률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실시한 싸이토카인의 콜라겐 합성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콜라겐 합성 효과는 피부에 도포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개선, 재생, 피부탄력 개선, 튼살 개선, 흉터 완화 및 보습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싸이토카인 및 싸이토카인 조합물의 세포 활성 효과 평가
배양접시에서 배양 중인 인간 섬유아세포를 트립신 0.5%로 처리하여 배양접시에서 떨어뜨린 후에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 1×104개를 100 마이크로리터의 DMEM배양액에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함께 섞어준 후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넣어 주었다. 하루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세포가 완전히 96 well plate 바닥에 붙으면 기존 배양액을 제거한 후 1ug/ml, 0.1ug/ml, 및 0.01ug/ml의 싸이토카인 및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1 및 C FORMULAR 2)이 포함된 소태아혈청 무첨가 DMEM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사이토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DMEM 배양액을 넣어 주었다. 48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싸이토카인 및 싸이토카인 조합물이 포함된 배양액을 제거한 후, 멸균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잔여 배양액을 96 well plate에서 완전히 제거하였다. 멸균된 인산완충생리식염수에 MTT 시약(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을 0.5mg/ml 의 농도로 녹여서 각 well에 100 마이크로리터씩 처리한 후 3시간 동안 37℃에 보관하였다. MTT가 녹여진 인산완충생리식염수를 완전히 제거한 후 이소프로판올 100 마이크로리터를 처리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놔둔 후에 54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싸이토카인이 첨가되지 않은 배양액에서 자란 세포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각 사이토카인이 처리된 well의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세포활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실시한 싸이토카인 및 싸이토카인 조합물의 세포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싸이토카인 또는 싸이토카인 조합물을 피부에 적용시 주름개선, 재생, 피부탄력 개선, 항산화, 피부 노화 방지, 튼살, 슬리밍, 상처 치유(Wound Healing), 흉터 완화, 검버섯 개선, 미백, 보습 개선 등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PDGF-BB, IL-3, PDGF-AA, FGF, EGF, IL-1α, RANTES, 프락토킨(Fractokine), IL-1β, IL-10, sCD40L 및 MIP-1α에서 탁월한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싸이토카인 조합물의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싸이토카인 조합물 C FORMULAR 1 및 C FORMULAR 2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간 유래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억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싸이토카인 조합물 2종을 인간 유래 멜라노마 세포주인 MNT-1의 배양액에 최종 농도가 0.001, 0.005, 및 0.01%가 되도록 하여 각각 첨가한 후, 세포들을 세포들을 트립신 처리하여 배양 용기로부터 떼어내 원심분리한 후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용액(1N 농도) 1 mL를 가하여 10 분간 끓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00 나노미터(㎚)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단위 세포수당(106 cells) 흡광도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위 실험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멜라닌 생성량을 저해율(%)로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시료 저해율(%)
C FORMULAR 1 0.1% 41%
C FORMULAR 1 0.02% 11%
C FORMULAR 1 0.002% 7%
C FORMULAR 2 0.05% 36%
C FORMULAR 2 0.01% 13%
C FORMULAR 2 0.001% 10%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싸이토카인 조합물 2종 모두 인간유래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강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 유래 10종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1)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처방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C FORMULAR 1 2.0 -
스테아린산 15.0 15.0
세탄올 1.0 1.0
수산화칼륨 0.7 0.7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방부제 0.05 0.05
0.05 0.05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상기 인태반 유래 8종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2)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처방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2 비교예 2
C FORMULAR 2 1.0 -
스테아린산 15.0 15.0
세탄올 1.0 1.0
수산화칼륨 0.7 0.7
글리세린 5.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방부제 0.05 0.05
0.05 0.05
정제수 To 100 To 100
<실험예 4> 본 발명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영상분석을 통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5-55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2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실시예 1의 크림과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2군은 실시예2의 크림과 비교예 2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나눠서 1일 2회씩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 밑의 레플리카(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실험이 종료된 직후 레플리카를 눈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피부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피부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피부 주름 밀도의 감소율은 크림의 사용전 피부 주름밀도에 대한 사용후 피부 주름밀도의 비를 평균한 값이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구분 피부 주름 밀도 감소율(%)
실시예 1 25.2
비교예 1 -2.5
실시예 2 25.7
비교예 2 -3.2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세포 배양액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1)을 포함한 실시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태반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2)을 포함한 실시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 과정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크림에 의한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화장료의 보습개선 효과
전기전도도로서 피부 내 수분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장치(Corneometer, C&K)를 통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보습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5-55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2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실시예 1의 크림과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2군은 실시예 2의 크림과 비교예 2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나눠서 1일 2회씩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안면 부위에서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내 수분함유량을 측정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 안면의 동일 부위에서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내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Corneometer에 의한 피부 수분함유량의 증가율은 크림의 사용전 피부 수분함유량에 대한 사용후 피부 수분함유량의 비를 평균한 값이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구분 피부 수분함유량 증가율(%)
실시예 1 8.4
비교예 1 0.2
실시예 2 8.3
비교예 2 1.6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세포 배양액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1)을 포함한 실시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 보습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태반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2)을 포함한 실시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 보습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 과정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크림에 의한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예 6> 본 발명의 화장료의 피부색 개선 효과
피부색을 측정할 수 있는 광학기기장치(Chromameter)를 통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피부색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5-55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2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실시예 1의 크림과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2군은 실시예 2의 크림과 비교예 2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나눠서 1일 2회씩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안면 부위에서 Chromameter(CR-300, Minolta)를 이용하여 피부의 밝기(L value)를 측정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 안면의 동일 부위에서 Chroma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밝기(L value)를 측정하였다. Chromameter에 의한 피부 밝기의 증가율은 크림의 사용전 L value에 대한 사용후 피부 L value를 평균한 값이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구분 피부 밝기(L value) 증가율(%)
실시예 1 1.5
비교예 1 -0.5
실시예 2 1.6
비교예 2 0.3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세포 배양액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1)을 포함한 실시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색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태반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2)을 포함한 실시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색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 과정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크림에 의한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예 7> 본 발명의 화장료의 탄력 개선 효과
피부표면에 음압을 주었을 때 피부의 형태변화로서 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기기장치(Cutometer, C&K)를 통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탄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35-55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25명씩 2개의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실시예 1의 크림과 비교예 1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2군은 실시예 2의 크림과 비교예 2의 크림을 각각 양쪽 안면부에 나눠서 1일 2회씩 2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이 시작되기 전, 안면 부위에서 Cutometer 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도(R5, net elasticity)를 측정하고, 실험이 종료된 직후 안면의 동일 부위에서 Cutometer를 이용하여 피부의 탄력도(R5, net elasticity)를 측정하였다. Cutometer에 의한 피부 탄력의 증가율은 크림의 사용전 R5 값에 대한 사용후 피부 R5 값을 평균한 값이며,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7에 정리하였다.
구분 피부 탄력도(R5) 증가율(%)
실시예 1 40.1
비교예 1 5.0
실시예 2 42.9
비교예 2 3.1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세포 배양액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1)을 포함한 실시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태반 유래 싸이토카인 조합물(C FORMULAR 2)을 포함한 실시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크림을 사용한 경우 보다 피부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시험 과정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크림에 의한 피부자극이나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Claims (8)

  1. 액티빈(Activin) A, 아디포넥틴(adiponectin), 앤지오텐신(angiotensin, Ang), 골형성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에프엠에스-유사티로신카이네이즈-3리간드(fms-like tyrosine kinase-3 ligand, Flt-3 ligand), 폴리스타틴(Follistatin), 프락탈킨(Fractalkine), 성장조절암유전자(growth regulated oncogene, GRO), 염증성싸이토카인309(inflammatory cytokine 309, I-309), 인터페론(interferon, IFN), 인터루킨-10(interleukin-10, IL-10), 인터루킨-13(interleukin-13, IL-13), 인터루킨-15(interleukin-15, IL-15), 인터루킨-17(interleukin-17, IL-17), 인터루킨-1α(interleukin-1α, IL-1α),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 인터루킨-2(interleukin-2, IL-2), 인터루킨-3(interleukin-3, IL-3), 인터루킨-4(interleukin-4, IL-4),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감마인터페론-유도성싸이토카인(gamma interferon-inducible cytokine, IP-10), 렙틴(Leptin), 단핵구주화성단백질(monocyte chemotactic protein, MCP), 대식세포염증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 란테스(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레시스틴(Resistin), 수용성CD40리간드(soluble CD40 ligand, sCD40L), 줄기세포인자(stem cell factor, SCF), 기질세포-유래인자(stromal cell-derived factor, SDF), 금속단백질분해효소조직저해제(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 및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액티빈(Activin) A, 아디포넥틴(adiponectin), Ang, BMP, Flt-3리간드, 폴리스타틴(Follistatin), 프락탈킨(Fractalkine), GRO, I-309, IFN, IL-10, IL-13, IL-15, IL-17, IL-1α, IL-1β, IL-2, IL-3, IL-4, IL-6, IP-10, 렙틴(Leptin), MCP, MIP, RANTES, 레시스틴(Resistin), sCD40L, SCF, SDF, TIMP, 및 TNF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액티빈(Activin) A, 아디포넥틴(adiponectin), Ang, BMP, Flt-3리간드, 폴리스타틴(Follistatin), 프락탈킨(Fractalkine), GRO, I-309, IFN, IL-10, IL-13, IL-15, IL-17, IL-1α, IL-1β, IL-2, IL-3, IL-4, IL-6, IP-10, 렙틴(Leptin), MCP, MIP, RANTES, 레시스틴(Resistin), sCD40L, SCF, SDF, TIMP, 및 TNF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액티빈(Activin) A, 아디포넥틴(adiponectin), Ang, BMP, Flt-3리간드, 폴리스타틴(Follistatin), 프락탈킨(Fractalkine), GRO, I-309, IFN, IL-10, IL-13, IL-15, IL-17, IL-1α, IL-1β, IL-2, IL-3, IL-4, IL-6, IP-10, 렙틴(Leptin), MCP, MIP, RANTES, 레시스틴(Resistin), sCD40L, SCF, SDF, TIMP, 및 TNF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싸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2)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또는
    3) IL-1β, 또는 RANTES.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2)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또는
    3) IL-1β, 또는 RANTES.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2)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또는
    3) IL-1β, 또는 RANTES.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1) 내지 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 EGF, FGF, Flt-3리간드, IL-1α, IL-1β, IL-17,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2) FGF, Flt-3리간드, IL-10, IP-10, PDGF-AA, PDGF-BB, RANTES 및 VEGF로 이루어진 싸이토카인 조합물; 또는
    3) IL-1β, 또는 RANTES.
KR1020100019984A 2009-03-06 2010-03-05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9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9247 2009-03-06
KR1020090019247 2009-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708A KR20100100708A (ko) 2010-09-15
KR101229914B1 true KR101229914B1 (ko) 2013-02-05

Family

ID=4300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984A KR101229914B1 (ko) 2009-03-06 2010-03-05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9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241A (ko) 2015-09-07 2017-03-15 이효종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제
WO2019117633A1 (ko) * 2017-12-14 2019-06-20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90100138A (ko) * 2017-12-14 2019-08-28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3443B2 (ja) * 2010-09-17 2016-06-08 株式会社 資生堂 Pdgf−bb活性亢進による皮膚賦活化
WO2013032248A2 (ko) * 2011-08-31 2013-03-07 재단법인 제이씨비 공동생물과학연구소 인간 골형성 단백질 수용체 1a의 세포외 도메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21171B1 (ko) * 2011-08-31 2014-07-22 재단법인 제이씨비 공동생물과학연구소 인간 골형성 단백질 수용체 1a의 세포외 도메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04918B1 (ko) * 2011-11-09 2018-10-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색소 침착 조절물질을 스크리닝하는 방법
KR101965592B1 (ko) * 2011-11-22 2019-08-13 (주)아모레퍼시픽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제
KR102011826B1 (ko) * 2012-12-18 2019-08-19 (주)아모레퍼시픽 인터루킨 13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0951B1 (ko) * 2012-12-27 2019-08-14 (주)아모레퍼시픽 인터루킨 27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45247B1 (ko) * 2013-01-08 2019-11-15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면역세포를 이용하는 피부 활성물질을 탐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트
KR101551728B1 (ko) * 2013-07-09 2015-09-09 휴먼바이오텍 주식회사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55385B1 (ko) * 2013-09-10 2014-02-06 주식회사 위노바 피부재생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 방법
KR101523503B1 (ko) 2013-09-17 2015-05-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29504B1 (ko) * 2014-04-14 2016-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U2016312510A1 (en) * 2015-08-25 2018-03-08 Armo Biosciences, Inc. Methods of using Interleukin-10 for treating diseases and disorders
KR102093884B1 (ko) * 2018-06-01 2020-03-26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US20240173237A1 (en) * 2019-09-06 2024-05-30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ibroblast growth factor 17
CN113491643B (zh) * 2020-03-20 2024-04-12 湖州美易得生物科技有限公司 血管生成素的止痒用途
KR102279755B1 (ko) * 2020-11-20 2021-07-20 주식회사 울트라브이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313A (ja) * 2002-05-20 2004-02-12 Bio Igaku Kenkyusho Kk 皮膚外用剤
JP2007099677A (ja) * 2005-10-04 2007-04-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チロシナーゼ阻害剤、美白剤および美白外用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313A (ja) * 2002-05-20 2004-02-12 Bio Igaku Kenkyusho Kk 皮膚外用剤
JP2007099677A (ja) * 2005-10-04 2007-04-1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チロシナーゼ阻害剤、美白剤および美白外用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241A (ko) 2015-09-07 2017-03-15 이효종 성장인자 및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제
WO2019117633A1 (ko) * 2017-12-14 2019-06-20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90071432A (ko) * 2017-12-14 2019-06-24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014467B1 (ko) 2017-12-14 2019-08-26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90100138A (ko) * 2017-12-14 2019-08-28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311057B1 (ko) 2017-12-14 2021-10-08 (주)녹십자웰빙 아토피성 피부염, 탈모, 상처 또는 피부 주름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708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914B1 (ko)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5010A (ko) 고함량의 성장인자를 함유한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US20090202654A1 (en) Skin Care Compositions and Treatments
JP7291427B2 (ja) hPL含有培地で培養された中間葉幹細胞の培養液を含む化粧料組成物
TWI625134B (zh) 間質幹細胞萃取物及其用途
KR101716680B1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0693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7375906B (zh) 一种疤痕修复剂及其制备方法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5592B1 (ko) 성장 인자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제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4316A (ko) 인태반 유래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함유하는 유사 인태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8293287B2 (en) Use of a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orchid extract as an active agent to prevent or delay the appearance of signs of cutaneous aging
KR20180053601A (ko)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1518503A (zh) 基于生长因子和丝氨酸的新型化妆品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2297B1 (ko) 식물성 단백질 유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8447B1 (ko) 케모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1145814B1 (ko)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10076419A (ko) 자주개자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이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두발용 화장품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578265A (zh) 修护原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108254A (ko) 파리신 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721136A (zh) 修护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108253A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