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503B1 -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03B1
KR101523503B1 KR1020130111502A KR20130111502A KR101523503B1 KR 101523503 B1 KR101523503 B1 KR 101523503B1 KR 1020130111502 A KR1020130111502 A KR 1020130111502A KR 20130111502 A KR20130111502 A KR 20130111502A KR 101523503 B1 KR101523503 B1 KR 10152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seq
skin
nos
pept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2401A (ko
Inventor
한장희
임동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1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03B1/ko
Priority to ES14846349T priority patent/ES2772179T3/es
Priority to EP14846349.0A priority patent/EP3048110B1/en
Priority to PCT/KR2014/008497 priority patent/WO2015041430A1/ko
Priority to US15/022,093 priority patent/US9624286B2/en
Priority to JP2016544285A priority patent/JP6461977B2/ja
Publication of KR2015003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03B1/ko
Priority to JP2018243012A priority patent/JP671406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264Obesity-gene products, e.g. lep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8Antiseborrhe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5759Products of obesity genes, e.g. leptin, obese (OB), tub, fa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1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21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e.g. His, Pro, Tr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1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e.g. Val, Ile, Leu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16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romatic or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bes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단편, 즉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피부재생 및 보습을 촉진하고, 피부의 주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며; 또한 알러지 또는 염증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Peptides derived from adiponecti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펩타이드는 피부재생 및 보습을 촉진하고, 피부의 주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며; 또한 알러지 또는 염증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다.
상처는 창상(創傷)이라고 칭해지기도 하며, 그 따른 증세로는 통증, 출혈, 흉터형성, 기능장애 등이 있다. 상처치유는 염증반응, 육아조직형성, 재상피화 및 혈관신생 등의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이 과정은 섬유모세포, 지방세포, 혈액 유래 세포 및 감각 뉴우런으로부터 분비되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신경호르몬 등의 작용과 이에 따른 표피세포의 증식과 세포외기질의 생성으로 이루어진다.
피부의 결합조직이 재생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온전히 그 탄성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존재하는 콜라겐 I, III (Type I, III collagens), 엘라스틴(elasti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과 같은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 단백질의 생성 및 유지가 중요하다. 자연 노화 또는 자외선에 대한 만성적인 노출은 ECM 단백질의 손실과 피부조직의 탄성과 강도를 감소시키며, 이러한 현상들은 주름형성과 같은 특징적인 피부 노화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기저막 단백질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진피 ECM을 분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효소로 작용한다.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 및 진피 섬유아세포에서의 MMPs의 과발현은 ECM 단백질을 분해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피부에 주름을 형성하게 한다.
감염, 외상 등에 의해 손상된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생체의 방어 반응을 통칭하여 염증 반응이라 한다. 염증 부위로의 백혈구 세포의 이동(mobilization)은 감염에 대한 신속한 해결(resolution) 및 다양한 외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조직 손상을 복구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잘못되거나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인체 조직의 손상과 질환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염증 질환은 뇌척수막염, 장염, 피부염, 포도막염, 뇌염,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과 같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나, 외상, 자가면역질환과 장기이식 거부 등과 같은 비감염 요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염증 질환은 증상이나 병리학적 특징이 구분되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분류된다. 알러지나 세균과 바이러스의 감염과 같은 급성 염증의 국소적 증상은 혈류 및 혈관 크기의 변화, 혈관 투과성의 변화 및 백혈구의 침윤 등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 동맥경화증. 만성 신장염, 간경화증 등을 비롯한 만성 염증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은 염증 유발 요인이 제거가 되지 않아 염증부위로 단핵구, 호중구, 림프구, 형질세포들이 지속적으로 침윤하는 것으로, 그 결과 염증 반응이 만성화된다.
염증 반응이 일어나기 위하여서는 백혈구의 염증 부위로의 침윤이 필수적이며, 이는 여러 세포 유착 분자들(cell adhesion molecules)이 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염증 부위에서 분비되는 케모카인(chemokine)의 유도에 의하여 염증부위의 혈관으로 이동한 백혈구들이 이동속도를 줄이면서 혈관 내피 세포 표면에서 회전하는 단계 (Rolling stage), 백혈구들이 회전을 멈추고 내피세포벽에 견고히 부착하는 단계 (Adhesion stage), 모세혈관과 바닥막을 침윤하는 단계 (Transmigration stage)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단계 즉 침윤하는 단계(Transmigration stage)는 혈구누출(diapedesis)로 지칭된다.
발암원(carcinogen)에 의해 변화된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빠르게 증식을 하며 종양(tumors) 덩어리를 형성하고, 주변의 조직에 침투하며 정상적인 신체 기능을 저해한다. 암세포는 혈관신생을 유도함으로써,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을 뿐 아니라, 혈관신생에 의해 암세포가 전이되게 된다. 암세포는 특정부위에서 무한 성장을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성장부위를 이탈하여 새로운 부위로 이동하여 성장을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전이(metastasis)라고 한다. 전이과정은 암세포가 이동성이 높은 중간엽성 세포로 변화하여 기존 조직에서 이탈하는 단계, 주위 결합조직과 모세혈관을 침윤하고 이동하는 단계, 혈관 내에서 이동한 후 혈관 밖으로 유출하는 단계, 결합조직 내에서의 이동 및 새로운 부위에서의 성장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인 아디포카인(adipokine)의 일종으로서, 인슐린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함으로써 고혈당, 고인슐린증, 비만,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질환 등을 조절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암세포의 전이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아디포넥틴은 각질세포의 증식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필라그린(filaggrin), 하이루론산(hyaluronic acid)과 세포외기질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치료, 섬유화 억제, 피부주름개선, 보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니포넥틴으로부터 유래된 특정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편들(peptide fragments 또는 small peptides)이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 보습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백혈구의 혈관외 유출 및 암세포의 침윤을 억제함으로써 알러지 반응 및 염증 반응(특히, 피부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알러지는 피부 알러지(skin allergy)일 수 있으며, 상기 염증 질환은 피부 염증(dermatiti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 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즉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는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또한,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 보습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들은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들은 백혈구의 혈관외 유출 및 암세포의 침윤을 억제함으로써 알러지 반응 및 염증 반응(특히, 피부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들은 알러지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알러지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암 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섬유모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섬유모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NF-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사람 단핵구 세포주 U937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U937 세포의 혈관외유출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사람 유방암 세포주 MCF-7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메트리젤에의 침윤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이라 함은 인체내 염증 반응을 제한 없이 포함하며, 급성 및/또는 만성 염증 질환;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염증"은 특히 피부 염증(즉, 피부염(dermatitis)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염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러지(allergy)"라 함은 환경 항원에 대한 제1형 과민반응(IgE에 의해 매개되는 즉시과민반응)을 말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천식(asthma), 알러지성 비염(allergic rhinitis),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음식 알러지(food allergy)와 같은 즉시과민반응과 옻과민반응과 같은 지연형 과민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부 알러지(skin allergy)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처(wound)"이라 함은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상피조직과 결합조직의 손상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손상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상이나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주름"이라 함은 피부상에 형성된 주름(wrinkle formation on skin)을 말하며, 이는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주름, 예를 들어 자외선 자극 등에 의한 피부 광노화(photoaging)에 수반되는 피부주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디포넥틴으로부터 다양한 길이의 단편을 제조하여, 그 활성을 검색하였다. 놀랍게도,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로서, 3개 내지 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짧은 길이를 갖는 특정 펩타이드 단편들이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의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피부 보습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들은 백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알러지 반응 및 염증 반응(특히, 피부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암세포의 침윤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특히 피부암 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기 펩타이드 단편들은 다음 표 1과 같다.
펩타이드 명칭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adipo-pep A4 서열번호 1 Tyr-His-Ile-Thr
adipo-pep A3 서열번호 2 His-Ile-Thr
adipo-pep B5 서열번호 3 Leu-Phe-Thr-Tyr-Asp
adipo-pep B4 서열번호 4 Leu-Phe-Thr-Tyr
adipo-pep B3 서열번호 5 Phe-Thr-Tyr
adipo-pep C3 서열번호 6 His-Leu-Thr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알러지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알러지는 피부 알러지(skin allergy)일 수 있으며, 상기 염증 질환은 피부 염증(dermatitis)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 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바람직하게는 피부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락토즈, 옥수수전분 등의 부형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유화제, 현탁제,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 형태의 경우, 통상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제조하고,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맥내 투여의 경우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pH가 7.4인 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제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환자의 근육내 혈류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알러지 또는 염증, 상처, 또는 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1일 약 1 내지 2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또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또는 서열번호 1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향장 제품, 화장수, 크림, 로오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함량은 알러지 또는 피부 염증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1 ∼ 1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서열번호 1 내지 6의 펩타이드(상기 표 1 참조)는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FMOC solid-phase method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C18 analytical RP 컬럼 (Shiseido capcell pak)을 사용한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PLC) (Prominence LC-20AB, Shimadzu사, 일본)로 정제 및 분석하였으며, 질량분석기(HP 1100 Series LC/MSD, Hewlett-Packard사, Roseville, 미국)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2.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서열번호 1 내지 6의 펩타이드를 인산완충식염수(PBS)에 용해시켜, 1 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얻어진 단백질 용액을 PBS로 희석하여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생쥐 섬유모세포주 NIH3T3 의 증식 촉진 시험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5 X 103 개의 생쥐 섬유모세포주 NIH3T3(ATCC CRL-1658, USA)를 100 ㎕의 DMEM 배지에 분주하고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10 μM의 서열번호 1, 2, 3 및 5의 펩타이드 용액 100 ㎕를 첨가하였다. 이 후 24, 48,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 웰 당 10 ㎕의 CCK-8 (Dojindo Laboratories, Japan)으로 2 시간 처리하고, Spectramax plus 190 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로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열번호 1, 2, 3 및 5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NIH3T3 세포의 증식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상처치유 및 피부재생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예 2. 섬유모세포에서의 제1형 프로콜라겐( Procollagen type -1) 발현 활성화 평가
아교섬유 합성의 촉진은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하여 섬유모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이 촉진되는지를 생쥐 섬유모세포 NIH3T3(ATCC CRL-1658, US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섬유모세포를 서열번호 1, 2, 3 및 5의 펩타이드 0.1, 1 및 10 μM로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세포추출물을 대상으로 웨스턴 블롯팅 분석을 실시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형 프로콜라겐의 발현량은 서열번호 1, 2, 3 및 5의 펩타이드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콜라겐 소실에 의한 피부의 노화, 특히 피부 주름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사람 각질세포주 HaCaT 에서의 프로필라그린 ( Profilaggrin ) 발현 조절 평가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은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하여 각질세포에서 프로필라그린 합성이 촉진되는지를 사람표피 각질세포 HaCaT(DKFZ, Heidelberg,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사람 표피 각질세포를 서열번호 3 및 5의 펩타이드 0.1, 1.0 및 10 μM로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세포추출물을 대상으로 웨스턴 블롯팅 분석을 실시하여 프로필라그린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필라그린의 발현량은 서열번호 3 및 5의 펩타이드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필라그린의 발현 촉진에 의한 피부 보습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NF -κB 활성 억제 시험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NF-κB 전사조절 단백질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in situ proximity ligation assay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시험은 스웨덴 오링크 바이오사이언스(Olink Bioscience, Sweden)로부터 Duolink® In Situ 시약을 구입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NIH3T3 2.5 × 104개의 세포를 12mm glass가 깔린 24 웰 플레이트에 도말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하였다. 서열번호 1, 2, 3 및 5의 펩타이드 0.1, 1, 10 μM를 첨가하고 1시간 후, TNF-α(25 μg/ml)로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한 세포를 0.1% 트리톤-X로 처리한 후, 한 방울의 blocking solution을 떨어뜨리고 37℃에서 30 분간 처리하였다. NF-κB의 핵 내 이동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항-p50 생쥐단클론항체(NFκB p50 (4D1):sc-53744,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USA)와 항-p65 토끼단클론항체(NF-κB p65 (D14E12) XP® rabbit mAb, Cell signaling Technology, USA)를 37℃에서 세포에 처리하였다. 30분 후 PLA probe solution으로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ligation solution으로 30분간 추가 처리하였다. 마지막으로 amplication solution으로 100분간 처리하고 세척한 후,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붉은점으로 나타난 NF-κB 중 세포 핵 안으로 이동한 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a 내지 도 4d와 같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열번호 1, 2, 3 및 5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NF-κB의 핵내로의 이동이 대조군의 약 25∼60 % 정도로 감소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합성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NF-κB 활성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예 5. 단핵구의 시험관 내( in vitro ) 혈관외유출 억제 시험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를 보이덴 챔버(Boyden chamber)의 위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서열번호 3 내지 5의 펩타이드 용액(30 ㎍/ml)으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거나 전처리하지 않은 사람 단핵구 (U937; Human monocyte)를 각 처리구에 2 x 105 개씩 가하였다. 이때 아래칸에는 생쥐 섬유모세포인 NIH/3T3를 0.005% 비타민 C와 0.1% 소혈청알부민이 첨가된 DMEM 무혈청배지에서 16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이 포함된 배양액을 넣어서 단핵구의 침윤을 유도하였다. 6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아래칸으로 침윤하여 이동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도 5와 같다. 대조군은 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은 인산완충식염수를 처리한 군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혈관 외로 유출된 단핵세포의 갯수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있게(대조군의 약 50∼70% 수준) 감소되었다. 백혈구가 혈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과정이 수반됨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효과적인 염증반응 억제 활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6. 암세포의 침윤 억제능 시험
바닥막 성분의 복합체인 매트리겔 (Matrigel)을 트랜스웰에서 중합반응을 일으킨 후, 1.5 x 105개의 사람 유방암 세포주 MCF-7을 트랜스웰의 상단부에 넣고 서열번호 3 내지 5의 펩타이드를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0.1% BSA를 가하고, 트랜스웰 하단부에는 침윤유도배지(NIH 3T3 세포를 0.005% 비타민 C, 1% BSA, DMEM 혈청제거 배양액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은 배양상층액)를 넣어준 후 24시간 주기로 트랜스웰의 하단부로 이동한 세포 수를 3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은 3회씩 수행하여 그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대조군은 펩타이드가 포함되지 않은 인산완충식염수만을 처리한 군이다.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열번호 3 내지 5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서 인간 유방암 세포의 바닥막을 침윤하는 정도가 약 80% 수준으로 억제된다. 혈관 밖으로 빠져나온 암세포는 바닥막이나 주위 결합조직을 침윤하는 과정을 거쳐 새로운 부위로 전이하는 것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효과적인 암세포 전이 억제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110>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120> Peptides derived from adiponecti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130> PN0659 <160> 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1 Tyr His Ile Thr 1 <210> 2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2 His Ile Thr 1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3 Leu Phe Thr Tyr Asp 1 5 <210> 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4 Leu Phe Thr Tyr 1 <210> 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5 Phe Thr Tyr 1 <210> 6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6 His Leu Thr 1

Claims (9)

  1. 서열번호 1 내지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
  2. 서열번호 1 내지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이 피부 염증(dermatit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서열번호 1 내지 3 및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
  6. 서열번호 3 내지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유방암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7. 서열번호 1 내지 3 및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8. 서열번호 1 내지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서열번호 3 또는 5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11502A 2013-09-17 2013-09-17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23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502A KR101523503B1 (ko) 2013-09-17 2013-09-17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S14846349T ES2772179T3 (es) 2013-09-17 2014-09-12 Composición que comprende un péptido derivado de adinopectina
EP14846349.0A EP3048110B1 (en) 2013-09-17 2014-09-12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derived from adiponectin
PCT/KR2014/008497 WO2015041430A1 (ko) 2013-09-17 2014-09-12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5/022,093 US9624286B2 (en) 2013-09-17 2014-09-12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derived from adiponectin
JP2016544285A JP6461977B2 (ja) 2013-09-17 2014-09-12 アディポネクチンに由来する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
JP2018243012A JP6714069B2 (ja) 2013-09-17 2018-12-26 アディポネクチンに由来する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502A KR101523503B1 (ko) 2013-09-17 2013-09-17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401A KR20150032401A (ko) 2015-03-26
KR101523503B1 true KR101523503B1 (ko) 2015-05-29

Family

ID=5268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502A KR101523503B1 (ko) 2013-09-17 2013-09-17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4286B2 (ko)
EP (1) EP3048110B1 (ko)
JP (2) JP6461977B2 (ko)
KR (1) KR101523503B1 (ko)
ES (1) ES2772179T3 (ko)
WO (1) WO2015041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244B1 (ko) * 2015-10-27 2018-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38622B1 (ko) * 2016-09-20 2018-03-14 김브라이언 아디포넥틴 수용체에 대한 작용제 펩타이드
KR101967630B1 (ko) 2017-03-03 2019-04-11 서울대학교병원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15385B1 (ko) 2017-03-03 2018-11-08 서울대학교병원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0050429A1 (ko) * 2018-09-03 2020-03-12 주식회사 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JP7418437B2 (ja) * 2018-09-03 2024-01-19 ジョンジンホ エフェクト インク アディポネクチン由来ペプチドを含む発毛促進用組成物
WO2020050427A1 (ko) * 2018-09-03 2020-03-12 (주)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68921B1 (ko) * 2019-12-10 2021-06-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53을 활성화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67644B1 (ko) * 2020-06-08 2023-08-17 김재환 리젠타이드-034 및 리젠타이드-041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86996B1 (ko) * 2020-09-04 2023-01-10 서울대학교병원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6480A (ko) * 2021-12-08 2023-06-15 한미약품 주식회사 신규한 아디포넥틴 아날로그 및 결합체
WO2023106897A1 (ko) * 2021-12-10 2023-06-15 서울대학교병원 신규 아디포넥틴 유래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590A (ja) * 2003-05-08 2004-11-25 Yuji Matsuzawa 急性創傷治療剤及び急性創傷治癒遅延非ヒトモデル動物
JP2004345968A (ja) * 2003-05-20 2004-12-09 Takashi Kadowaki アディポネクチンの新規用途
WO2005042007A1 (ja) * 2003-11-04 2005-05-12 Sankyo Company, Limited 抗腫瘍剤
JP2009523173A (ja) * 2006-01-09 2009-06-18 チルドレンズ ホスピタル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様々な病気の治療用のアディポネクチ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9907A (en) * 1989-05-10 1997-02-04 Somatogen, Inc. Production and use of multimeric hemoglobins
US7026443B1 (en) * 1999-12-10 2006-04-11 Epimmune Inc. Inducing cellular immune responses to human Papillomavirus using peptide and nucleic acid compositions
JP2001302690A (ja) * 2000-04-19 2001-10-31 Miyagi Kagaku Kogyo Kk 皮膚浸透性トリペプチド、皮膚浸透性コラーゲンペプチド、皮膚浸透性外用剤および高吸収性食品
US20060258562A1 (en) * 2000-07-31 2006-11-16 Healor Ltd.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aling wounds
NZ545318A (en) * 2003-07-15 2009-06-26 Univ Bar Ila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healing wounds comprising insulin and PKC alpha inhibitor
US7931899B2 (en) * 2007-05-14 2011-04-26 Medtronic, Inc Humanized anti-amyloid beta antibodies
US7807180B2 (en) * 2007-08-21 2010-10-05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oxvirus methods and compositions
KR101229914B1 (ko) 2009-03-06 2013-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8637035B2 (en) * 2010-07-16 2014-01-28 Academia Sinica Anti-dengue virus antibodies
PE20140964A1 (es) * 2011-03-30 2014-08-17 Boehringer Ingelheim Int Antidotos anticoagulan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590A (ja) * 2003-05-08 2004-11-25 Yuji Matsuzawa 急性創傷治療剤及び急性創傷治癒遅延非ヒトモデル動物
JP2004345968A (ja) * 2003-05-20 2004-12-09 Takashi Kadowaki アディポネクチンの新規用途
WO2005042007A1 (ja) * 2003-11-04 2005-05-12 Sankyo Company, Limited 抗腫瘍剤
JP2009523173A (ja) * 2006-01-09 2009-06-18 チルドレンズ ホスピタル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様々な病気の治療用のアディポネクチ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72179T3 (es) 2020-07-07
JP2016540825A (ja) 2016-12-28
US20160222077A1 (en) 2016-08-04
EP3048110B1 (en) 2019-12-11
US9624286B2 (en) 2017-04-18
WO2015041430A1 (ko) 2015-03-26
JP6461977B2 (ja) 2019-01-30
EP3048110A4 (en) 2017-03-29
JP2019073524A (ja) 2019-05-16
KR20150032401A (ko) 2015-03-26
JP6714069B2 (ja) 2020-06-24
EP3048110A1 (en)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503B1 (ko)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20090062187A1 (en) Use of Hmgb1 for Wound Healing
Hakuta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llagen tripeptide in atopic dermatitis
US20080050346A1 (en) Elastin producing fibroblast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2254260B1 (ko) 다양한 피부 병태의 치료에 유용한 인간 c-x-c 케모카인으로부터 유래된 테트라펩타이드
CA2608747C (en) Elastin producing fibroblast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94032B1 (ko) 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2045B1 (ko) 표피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017026B1 (ko) 염증 또는 알러지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알러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513B1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041803B1 (ko) 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6196A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6006733A1 (ko) 섬유모세포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976633B1 (ko) 폐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90755A (ko)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ohyama et al. Clarithromycin inhibits fibroblast migration
KR101772048B1 (ko) 섬유모세포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WO2016006732A1 (ko) 표피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115557B1 (ko) 폐 섬유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imball et al. Absence of pyrogenicity by urinary IL-1 activity
KR20140090752A (ko)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10128496A (ko) 면역 조절 리간드
US20070110711A1 (en) Agent for enhancing the production of cytokines and/or chemok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