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755A -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755A
KR20140090755A KR1020130002744A KR20130002744A KR20140090755A KR 20140090755 A KR20140090755 A KR 20140090755A KR 1020130002744 A KR1020130002744 A KR 1020130002744A KR 20130002744 A KR20130002744 A KR 20130002744A KR 20140090755 A KR20140090755 A KR 2014009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eptide
wound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영
한장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755A/ko
Publication of KR2014009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25Fibroblast growth factor [F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모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EGF)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피부 각질세포 증식 및 콜라겐 등의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촉진하는 활성을 가짐으로써, 표피의 재상피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상처 치유, 피부 재생 및 피부노화 억제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ound-healing or inhibiting wrinkle formation on skin}
본 발명은 섬유모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로부터 유래된 펩타이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펩타이드는 피부 각질세포 증식 및 콜라겐 등의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촉진하는 활성을 갖는다.
상처는 창상(創傷)이라고 칭해지기도 하며, 그 따른 증세로는 통증, 출혈, 기능장애 등이 있다. 상처는 주변 세포, 혈액 유래 세포 및 감각 뉴우런으로부터 분비되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신경호르몬, 및 세포 외 기질로 이루어지는 특이한 미세환경(microenvironment)을 창출한다. 상처 미세환경의 일부 인자는 충분히 오랜 기간 지속하여 말초혈액으로 확산된 후, 골수의 줄기세포에 영향을 미쳐 골수 세포의 말초혈액으로의 이동, 상처 부위로의 공급, 및 상처 치유에의 참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결합조직이 파괴되지 않고 온전히 그 탄성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존재하는 콜라겐 I, III (Type I, III collagens), 엘라스틴(elastin), 파이브로넥틴(fibronectin)과 같은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 단백질이 중요하다. 자연 노화 또는 자외선에 대한 만성적인 노출은 ECM 단백질의 손실과 피부조직의 탄성과 강도를 감소시키며, 이러한 현상들은 주름형성과 같은 특징적인 피부 노화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기저막 단백질 분해 효소(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진피 ECM을 분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효소로 작용한다.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 및 진피 섬유모세포에서의 MMPs의 과발현은 ECM 단백질을 분해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피부에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섬유모세포 성장인자는 섬유모세포를 위시한 다양한 세포의 증식, 이동, 분화 및 생존을 조절하는 성장인자 중 하나로서, 23종으로 구성된 일군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FGF는 각질세포, 섬유모세포, 혈관내피세포, 민무늬근세포, 연골세포와 비만세포 등에서 생성되며,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되는 4종의 섬유모세포성장인자 수용체(FGF Receptor)를 활성화함으로써 상술한 기능을 나타낸다. 특히, 피부재생에는 FGF-2, FGF-7과 FGF-10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rrientos S, Stojadinovic O, Golinko M, Brem H, Vinay Tomic-Canic M. 2008.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in wound healing. Wound Rep Reg . 16:585). FGF-2는 급성 상처시 발현이 증가하여 표피의 재상피화의 기능을 수행하며, 진피층의 섬유모세포에 작용하여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통한 육아조직 형성과 조직재형성을 유도한다. 또한, 피부장벽구성요소의 발현과 털의 성장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GF-7과 FGF-10은 각질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재상피과정에 관여하며, 활성산소의 해독작용을 통해 각질세포를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FGF-7은 VEGF와 HGF와 같은 성장인자의 생성도 유도하여 섬유모세포와 각질세포의 성장을 촉진한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각질세포와 섬유모세포를 활성화하는 다양한 작은 펩타이드 단편을 설계하였으며, 놀랍게도 섬유모세포성장인자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이 각질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표피의 재상피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진피층의 섬유모세포에 작용하여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상처 치유, 피부 재생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가지며, 또한 피부주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피성장인자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섬유모세포성장인자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 단편이 각질세포의 증식 촉진함으로써 표피의 재상피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진피층의 섬유모세포에 작용하여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상처 치유, 피부 재생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가지며, 또한 피부주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 및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각질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진피 섬유모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상처(wound)"이라 함은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상피조직과 결합조직의 손상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손상일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상이나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노화(skin aging)"이라 함은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주름 형성을 포함한 피부의 노화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노화는 피부상에 형성된 주름(wrinkle formation on skin), 즉 피부주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즉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는 각질세포의 증식을 조절함으로써 표피의 재상피화를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진피층의 섬유모세포에 작용하여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에 대한 우수한 활성을 갖는다. 또한,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염증반응에 동반되는 피부노화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락토즈, 옥수수전분 등의 부형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유화제, 현탁제,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를 포함한 비경구 투여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 형태의 경우, 통상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제조하고,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맥내 투여의 경우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pH가 7.4인 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제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환자의 근육내 혈류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제제학적 방법에 따라 외용액제, 에멀젼, 연고제, 패치 등의 경피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상처를 갖는 환자에게 1일 약 1 내지 2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향장 제품, 화장수, 크림, 로오숀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의 함량은 상기 펩타이드의 함량은 피부노화 억제, 특히 피부주름 형성 억제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01 ∼ 1 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Phe-Leu-Glu)는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FMOC 고체-상 방법(FMOC solid-phase method)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C18 분석용 RP 컬럼(Shiseido capcell pak)을 사용한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PLC) (Prominence LC-20AB, Shimadzu사, 일본)로 정제 및 분석하였으며, 질량분석기(HP 1100 Series LC/MSD, Hewlett-Packard사, Roseville, 미국)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2.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PBS에 각각 용해시켜, 1 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얻어진 단백질 용액을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사람 각질세포주 HaCaT 의 증식 촉진 시험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3 개의 HaCaT 세포(DKFZ, Heidelberg, Germany)를 100 μL의 DMEM 배지에 분주하고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0.01, 0.1, 또는 1 μM의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용액 10 μL를 첨가하였다. 이 후 24, 48,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 웰 당 10 μL의 CCK-8 (Dojindo Laboratories, Japan)으로 1 시간 처리하고, Spectramax plus 190 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HaCaT 세포의 증식이 펩타이드의 처리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각질세포의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예 2. 사람 진피섬유모세포에서의 제1형 프로콜라겐( Procollagen type -1) 발현 평가
아교섬유 합성의 촉진은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이므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처리에 의하여 섬유모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이 촉진되는지를 사람진피 섬유모세포 Detroit 551(ATCC CCL-110, US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사람진피 섬유모세포를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0.05, 0.1, 0.5, 및 1 μM로 처리하였다. 48시간 후, 세포추출물을 대상으로 웨스턴 블롯팅 분석을 실시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형 프로콜라겐의 발현량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는 콜라겐 소실에 의한 피부의 노화, 특히 피부 주름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10>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wound-healing or inhibiting wrinkle formation on skin <130> PN0623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1 Phe Leu Glu 1

Claims (2)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약학 조성물.
  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02744A 2013-01-10 2013-01-10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400907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44A KR20140090755A (ko) 2013-01-10 2013-01-10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744A KR20140090755A (ko) 2013-01-10 2013-01-10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755A true KR20140090755A (ko) 2014-07-18

Family

ID=5173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744A KR20140090755A (ko) 2013-01-10 2013-01-10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07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6892A (zh) * 2014-11-14 2015-08-26 广州远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生长因子的化妆品或护肤品制剂及其制备方法
WO2020204317A1 (ko) * 2019-04-03 2020-10-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올리고펩타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6892A (zh) * 2014-11-14 2015-08-26 广州远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生长因子的化妆品或护肤品制剂及其制备方法
WO2020204317A1 (ko) * 2019-04-03 2020-10-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올리고펩타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KR20200117266A (ko) * 2019-04-03 2020-10-1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올리고펩타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7072A1 (en) Plant-derived elastin binding protein ligan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458197B2 (en) Elastin digest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same
KR101668803B1 (ko) 보호용 피부 관리 테트라펩티드
US9624286B2 (en)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derived from adiponectin
US20160089415A1 (en) Elastin protective polyphenolic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BRPI0713153A2 (pt) fragmentos de peptìdeo para induzir a sìntese de proteìnas de matriz extracelular
KR102254260B1 (ko) 다양한 피부 병태의 치료에 유용한 인간 c-x-c 케모카인으로부터 유래된 테트라펩타이드
KR101772045B1 (ko) 표피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772048B1 (ko) 섬유모세포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472476B1 (ko) 콜라겐 합성능이 있는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101753874B1 (ko) 데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0755A (ko)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WO2016006733A1 (ko) 섬유모세포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041803B1 (ko) 염증 또는 피부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염증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0752A (ko)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1796678B1 (ko) 피부 각질 줄기세포 증식 및 활성화 활성을 갖는 트리펩티드 및 이의 용도
WO2016006732A1 (ko) 표피성장인자 유래의 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용 조성물
JP2023519935A (ja) 皮膚症状に用いるための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のc末端に由来するポリペプチ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