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884B1 -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884B1
KR102093884B1 KR1020180063526A KR20180063526A KR102093884B1 KR 102093884 B1 KR102093884 B1 KR 102093884B1 KR 1020180063526 A KR1020180063526 A KR 1020180063526A KR 20180063526 A KR20180063526 A KR 20180063526A KR 102093884 B1 KR102093884 B1 KR 102093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aging
cosmetic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402A (ko
Inventor
김동현
김태억
김아람
손수지
김하연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06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8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시키면서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는 바, 주름 개선 등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skin comprising skin growth factor and cytokine as active ingredient}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들을 온도·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 물질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 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요한 피부 역시 인체의 다른 장기와 마찬가지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노화가 진행되게 되고, 그 결과로서 피부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 생성, 피부 위축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하며, 이러한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하여 세포 내부에 활성 산소 라디칼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활성 산소 라디컬은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 (MMP-1, MMP-3, MMP-9, 등)의 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을 방지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있어 왔다. 대표적으로 광노화 피부의 개선을 위한 치료제로 트레티노인 (trans-retinoic acid)이 미국 FDA 허가를 받았으며, 이보다 부작용이 적은 레티놀이 화장품 원료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주름 개선 화장품이 출시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 여성 호르몬 유사 물질, 각종 식물에서 추출한 항산화제 등이 주름 개선 원료로서 화장품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자극, 트러블 등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26303호). 특히, 최근 들어 단순한 피부 미용을 위한 화장품이 아닌, 세포 자체의 재생에 초점을 맞춘 메디컬용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 중 하나로서, 피부 노화의 빠른 진행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 효과를 부여하고자, 상피 세포 성장인자 (Epithelial growth factor, EGF)와 같은 세포 성장인자를 담지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적용한 다수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유효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EGF (Epidermal growth factor), FGF-2 (Fibroblast growth factor-2), Fractalkine, 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PDGF-AA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AA), 및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EGF, FGF-2, Fractalkine, GM-CSF, PDGF-AA, 및 VEG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켜 탁월한 피부 항노화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을 감소시켜 종래부터 지적되어 온 피부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10000 내지 15000 pg/mL의 EGF, 250 내지 450 pg/mL의 FGF-2, 300 내지 3300 pg/mL의 Fractalkine, 150 내지 1600 pg/mL의 GM-CSF, 1400 내지 13000 pg/mL의 PDGF-AA, 및 3000 내지 5000 pg/mL의 VEGF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000 내지 15000 pg/mL의 EGF, 250 내지 450 pg/mL의 FGF-2, 1500 내지 3300 pg/mL의 Fractalkine, 600 내지 1600 pg/mL의 GM-CSF, 5000 내지 13000 pg/mL의 PDGF-AA, 및 3000 내지 5000 pg/mL의 VEGF; 예를 들어, 10000 내지 15000 pg/mL의 EGF, 250 내지 450 pg/mL의 FGF-2, 1500 내지 1700 pg/mL의 Fractalkine, 600 내지 900 pg/mL의 GM-CSF, 5000 내지 7000 pg/mL의 PDGF-AA, 및 3000 내지 5000 pg/mL의 VEGF; 및 예를 들어, 12000 내지 13000 pg/mL의 EGF, 300 내지 400 pg/mL의 FGF-2, 1550 내지 16500 pg/mL의 Fractalkine, 650 내지 850 pg/mL의 GM-CSF, 5500 내지 6500 pg/mL의 PDGF-AA, 및 3500 내지 4500 pg/mL의 VEGF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성분의 함량 또는 농도가 전술한 함량 범위를 초과할 경우, 피부 항노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능이 미약해질 우려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전술한 함량 범위 미만인 경우, 예기치 못한 피부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항노화 효능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 효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희석시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항노화 효능의 증진시키기 위하여 농축시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노화는 피부 항노화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증식능을 증진시켜 항노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의 발현을 억제시키고,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켜 항노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콜라게네이즈 (collagenase)는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세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썬크림, 또는 썬스프레이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유효성분들 외에, 항노화 효능을 더 증진시키기 위한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수용성 용매,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면,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시키면서,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는 바, 주름 개선 등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샘플 1, 샘플 2, 샘플 3, 및 샘플 4)을 진피 섬유아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독성 및 증식능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샘플 1, 샘플 2, 샘플 3, 및 샘플 4)을 진피 섬유아세포에 처리하고, 여기에 자외선 B를 조사한 후 (10mJ/cm2), 세포 증식능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샘플 3)을 삼차원 배양된 인공피부에 처리하고, 여기에 자외선 B를 조사한 후 (50mJ/cm2),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양 변화를 q-PCR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샘플 3)을 삼차원 배양된 인공피부에 처리하고, 여기에 자외선 B를 조사한 후 (50mJ/cm2), 콜라겐의 발현양 변화를 q-PCR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샘플 1 내지 샘플 4). PBS를 용매로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성분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54252359-pat00001
실시예 2. 세포 독성 및 증식능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 독성 및 증식능을 진피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우선, 48-웰 배양 접시에 4 ×105 개의 진피 섬유아세포를 배양한 뒤, 여기에 48시간 동안 상기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을 처리하였다. 이후, 샘플 각각에 대한 웰 당 세포 수를 산출하여 독성 및 증식능을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비처리군을 이용하였다 (Control).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전체는 유의적인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샘플 3, 및 샘플 4 처리군은 샘플 1, 및 샘플 2에 비해 우수한 세포 증식능을 보여주었다. 흥미롭게도, 샘플 3 처리군은 샘플 4 처리군에 비해 fractalkine, GM-CSF, 및 PDGF-AA의 함량이 2배 가량 낮음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수준의 세포 증식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항노화 기능성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의 처리에 따른 항노화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진피 섬유아세포의 증식능 변화와 삼차원 배양된 인공피부에서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 및 콜라겐의 발현양 변화를 비교하였다.
3-1. 진피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기능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을 처리한 후, 여기에 자외선 B (ultraviolet B)를 10mJ/cm2 의 광량으로 조사하였다. 이후, 샘플 각각에 대한 웰 당 세포 수를 산출하여 항노화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및 자외선 비처리군 (Control), 비교군으로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비처리 및 자외선 처리군 (UV 10mJ/cm2)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1, 및 샘플 2 처리군은 비교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샘플 3, 및 샘플 4 처리군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샘플 3 처리군은 보다 낮은 유효성분 함량에도 불구하고, 샘플 4 처리군과 동등한 수준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3-2. 삼차원 배양된 인공피부를 이용한 기능성 평가
삼차원 배양된 인공피부에 실시예 1의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샘플 3)을 처리한 후, 여기에 자외선 B (ultraviolet B)를 50mJ/cm2 의 광량으로 조사하였다. 이후, 샘플 각각에 대한 q-PCR을 통해 MMP-1 및 콜라겐의 발현양 변화를 비교하여 항노화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및 자외선 비처리군 (Control), 비교군으로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비처리 및 자외선 처리군 (UV 50mJ/cm2)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 3 처리군은 비교군에 비해,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피부 내 콜라겐의 생합성을 유의적으로 증진시켰다.
상기의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시키면서,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의 생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개선 등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조성물 전체의 부피에 대하여, 10000 내지 15000 pg/mL의 EGF, 250 내지 450 pg/mL의 FGF-2, 1500 내지 3300 pg/mL의 프렉탈카인(Fractalkine), 600 내지 1600 pg/mL의 GM-CSF, 5000 내지 13000 pg/mL의 PDGF-AA, 및 3000 내지 5000 pg/mL의 VEG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10000 내지 15000 pg/mL의 EGF, 250 내지 450 pg/mL의 FGF-2, 1500 내지 1700 pg/mL의 프렉탈카인(Fractalkine), 600 내지 900 pg/mL의 GM-CSF, 5000 내지 7000 pg/mL의 PDGF-AA, 및 3000 내지 5000 pg/mL의 VEGF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증식능을 증진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증진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MP-1 (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세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썬크림, 또는 썬스프레이로 제형화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63526A 2018-06-01 2018-06-01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9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526A KR102093884B1 (ko) 2018-06-01 2018-06-01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526A KR102093884B1 (ko) 2018-06-01 2018-06-01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02A KR20190137402A (ko) 2019-12-11
KR102093884B1 true KR102093884B1 (ko) 2020-03-26

Family

ID=6900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526A KR102093884B1 (ko) 2018-06-01 2018-06-01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14B1 (ko) * 2009-03-06 2013-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싸이토카인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02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886052B (zh) 含永久花精油和永久花蒸馏残留物的油性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CN101466264A (zh) 抗微生物组合物
KR102187653B1 (ko) 피부 개선을 위한 동결 건조 화장품
KR102301123B1 (ko) 혼합 항산화제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킨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329830B2 (ja) Scf分泌抑制剤、及び皮脂分泌抑制剤
US20170035687A1 (en) Skin treatment formulations
KR20060124044A (ko) 피부세포 재생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7987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3884B1 (ko) 피부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KR20210055455A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0453A (ko) 부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34579B1 (ko) 버블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101122733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2297B1 (ko) 식물성 단백질 유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2006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80368B1 (ko) 다이메틸설폰, 캐비어 추출물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5952A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0619B1 (ko) 겐티스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세포 재생용 조성물
EP3366273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containing same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0588B1 (ko) 모발 및 두피 케어용 화장료와 모발 및 두피 케어용 토닉
EP3760184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tabilized phycocyanin and its 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