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733B1 -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733B1
KR101122733B1 KR1020090019941A KR20090019941A KR101122733B1 KR 101122733 B1 KR101122733 B1 KR 101122733B1 KR 1020090019941 A KR1020090019941 A KR 1020090019941A KR 20090019941 A KR20090019941 A KR 20090019941A KR 101122733 B1 KR101122733 B1 KR 10112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ne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444A (ko
Inventor
이성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의대벤쳐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의대벤쳐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의대벤쳐메딕스
Priority to KR102009001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7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마귀풀 추출물 또는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분비량을 조절하고 항균 및 항염작용이 뛰어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마귀풀, 어성초, 여드름, 화장료

Description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for preventing and curing acnes}
본 발명은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마귀풀 추출물 또는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분비량을 조절하고 항균 및 항염작용이 뛰어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 연령대와 같은 젊은 남녀의 얼굴이나 가슴, 목 부위에 발생하는 모 피지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면포(comedone), 구진(papule), 농포(pustule), 낭종, 또는 결절을 형성하며, 심한 경우 반흔을 남길 수 있는 병변이다. 여드름에 의한 피부 손상이 심하면, 이로 인해 우울증이나 대인관계 기피 등의 정신적 피해를 주기도 한다.
여드름의 발병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다면 다음의 세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첫번째 원인은, 피지가 비정상적으로 과잉 분비되는 경우이다. 과도한 피지 분비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테스토스테론이 피부 세포내의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DHT)으로 전환되어 피지분비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키므로써 피지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osenfield RL and Deplewski D. Role of androgen in the developmental biology of the pilosebaceous uni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995;16:80s-88s).
두번째 원인은, 모낭의 과각화(hyperkeratinzation)로 모공이 폐쇄되는 경우이다. 생성된 피지는 피부 밖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하지만, 모낭의 과각화로 인하여 모공이 막혀 피지의 원활한 배출이 억제되고 그 결과 모낭 내에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 상태가 여드름 발병의 초기 단계이다.
셋째, 모낭 내 상주하는 여드름 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생장을 촉진시키므로써 여드름 병변을 악화시키는 경우이다. 피지선 내에 여드름 균이 증식됨에 따라 피지를 구성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환되어 자극원(irritants)으로 작용하거나, 면포 유발성(comedogenic) 물질로 작용하므로써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염증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Sergio Nacht, Cosmetics Toiletries, 101, 47-55, 1986; Wei-Li Lee 등, Infection and Immunity, 35, 71-78, 1982).
즉, 모낭내에 상주하는 여드름 균은 모공벽 자극 물질을 형성하고, 미세면포는 피지의 과잉 분비가 계속되면서 크기가 점차 증가하여 면포로 발전되어 모낭벽 은 얇아지게 되고 여드름 균에 의하여 생성된 자극성 물질은 이 얇아진 모낭벽을 자극하여 면포를 점차 염증성 병변으로 악화되어 구진, 농포, 결절, 반흔으로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여드름 치료 및 완화 효과에 대한 평가방법도 전술한 작용 기전을 토대로 하여, 피지분비 조절, 과각화 억제,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력 및 여드름 균에 의해 형성된 염증의 완화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Madli Puhvel, Cosmetics Toiletries, 98, 117-119, 1983; Kathy Perisho 등, J. of Invest. Dermatol, 90, 350-353, 1988; Hyeyoung Kim 등, Korean J. Ginseng Sci., 14, 391-398, 1990; R.A. Bojar 등, British J. of Dermatology, 132, 204-208, 1995; A. M. Kligman 등, British J. of Dermatology, 100, 699-702, 1979).
약물을 이용한 여드름 치료방법은 국소도포요법과 경구요법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는데, 여드름 증상이 경미할 경우 국소도포요법 만으로도 충분히 치료될 수 있으며,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국소도포항생제로는 클린다마이신(clindarmycin)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외 에리뜨로마이신(erythromycin)과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등이 혼합된 복합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살리실산 (salicylic acid)이나 비타민A 유도체인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제제를 사용해 모공의 과각질의 형성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여 분비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여드름을 치료하거나,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트리크로산(triclosan), 황(sulfur) 또는 티트리오일(tea tree oil) 제제를 사용하여 피부 각질을 제거하고 항균작용을 통한 염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살리실산 제제는 치료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피부 발적, 부종 또는 피부 기피증 등을 일으킬수 있고, 레티노익산 제제는 과각화 억제를 통한 효과는 있으나,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건조 및 박리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벤조일 퍼옥사이드나 트리크로산 제제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및 상처를 남기고, 심한 홍반이 생기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비교적 최근에 소개된 아젤라익산(azelaic acid) 제제의 경우 약물 부작용은 감소되었으나 기존 치료제 제품에 비하여 치료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분비량을 조절하고 항균 및 항염작용이 뛰어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분비량을 줄이고 항균 및 항염작용에 시너지효과를 나타내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드름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은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과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로 각각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과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1: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비누,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분비량을 조절하고 항균 및 항염작용이 뛰어난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지 분비량을 줄이고 항균 및 항염작용에 시너지효과를 나타내어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사마귀풀 추출물 또는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사마귀풀(Aneilema keisak(Hasskarl)Hand.-Mazz)은 외떡잎식물 분질배유목 닭의 장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습지에서 자라고 10-30㎝ 크기이다. 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가지가 갈라지고 각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붉은 빛이 섞인 자주빛을 띄며 줄기에 한 줄로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윤이 난다. 전초를 말려서 생약으로 쓸 경우에는 수죽엽, 수죽채, 죽두채(Murdannia triguetra(Wall.) Bruckn.)라고 부른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다년생 목본으로 높이는 25-35cm. 줄기는 가늘고 빛은 붉은 보라빛. 잎은 심장 모양이고 끝은 뾰족하다. 잎과 줄기에서는 비린내 비슷한 특이한 냄새가 난다. 약리적 성분으로는 전체 약초의 0.0049%의 휘발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 중에는 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 (decanoil acetaldehyde),메틸 엔 노닐케톤(methyl-n-nonylketone), 미르신 (myrcene), 로릭 알데히드 (lauric aldehyde), 캐프릭 알데히드 (capric aldehyde)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사마귀풀 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사마귀풀 또는 어성초에 각각 물을 일정량 바람직하게는, 사마귀풀 또는 어성초와 같은 중량으로 첨가한 후 분쇄기로 10-200메쉬 크기로 분쇄한 다음 환류장치 하에서 약 30 분 내지 12 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량을 조정한 다음, 저온에서 1일 내지 12일 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막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고, 나아가,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 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0.001 중량 미만으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가 미미하며 10.0 중량%를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초과투입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추출물들을 0.01 내지 10.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한편, 사마귀풀 추출물이 농축하여 100배 농축액의 10% 이상에서는 사마귀풀 성분이 피부를 자극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사마귀풀 추출물의 100배 농축액을 0.2%-10% 함유하도록 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은 피지분비의 억제효과와 항균력과 항염효과가 띄어나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뛰어난 효과가 있음을 하기의 실험예에서 예상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어성초추출물이 10%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어성초 성분 중의 코다린(cordarine)이 피부를 자극하여 수포를 발생할 수 있고, 0.001%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인 피부외용제 전체 중량 중에서 어성초 추출물을 0.001-10% 함유하도록 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어성초추출물을 사마귀풀 추출물과 혼합할 경우 피지분비의 억제효과와 항균력과 항염효과에 시너지효과가 있음을 하기의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은 다양한 조성비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 직하게는 1:1 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여드름 치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데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비누,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뤼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마이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데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1,3-부틸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족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테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와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소엽맥문동 추출물의 제조
사마귀풀 100그램을 물에 잘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물 100 ㎖을 첨가한 후 환류장치 하에서 3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 100 ㎖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 ℃에서 6일간 방 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45 um막 여과를 실시하여 사마귀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어성초 추출물의 제조
어성초 100그램을 물에 잘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물 100 ㎖을 첨가한 후 환류장치 하에서 3시간 동안 끓이면서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취하고 물을 첨가하여 총 100 ㎖가 되게 조정한 다음, 조정액을 4 ℃에서 6일간 방치하여 생성된 침전물들을 0.45 um막 여과를 실시하여 어성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의 표1에서와 같이, 상기 제조예 1 및 2에서 수득한 추출물로서, 실시예 1은 사마귀풀추출물이고, 실시예 2는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한 것이고, 비교예 1은 어성초추출물로 형성하였다.

함량 (중량비)
사마귀풀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실시예 1 2 -
실시예 2 1 1
비교예 1 - 2
*실시예1과 비교예1의 중량은 실시예2의 성분의 중량에 대한 상대적 중량비에 따른 중량으로 하기에서 사용된다.
[실험예 1] 피지분비 억제효과 실험
다음과 같이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피지분비 억제효과를 실험하였다.
인산등장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 pH 6.6) 30㎕에, 디티오쓰레이톨(dithiothreitol), NADPH, 방사성 동위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테스토스테론 (3H-1,2,4,5,6,7-testosterone) 10㎕, 5 알파-리덕타아제 효소 추출액 40㎕ 및 0.1% 농도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성분 20㎕을 각각 혼합하였다. 이어서, 2분간 항온조(incubator)에서 반응시킨후 반응 용매를 날려 보내고 남은 물질을 전개 용매에 녹여 박층크로마토그램(TLC)에 전개하고 전개된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 양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5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대조군(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5 알파-리덕타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저해율(inhibition rate(%))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저해율(%) = (크립토탄시논 미첨가 시료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전환율)×100/(크립토탄시논 첨가 시료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전환율)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율(%)
실시예 1 43.2
실시예 2 92.4
비교예 1 39.5
*상기의 결과는 5번 실험한 값의 평균값임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마귀풀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1서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억제율이 높게 측정됨을 알 수 있고,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2에서 5알파-리덕타아제의 활성억제가 매우 효과적이어서 피지분비 억제에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균력 실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균상태로 냉장 보관중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실험 시작 3일 전에 비에치아이(BHI, Brain Heart Infusion)고체 평판배지에 배양한 후, 실험 당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이 일정농도 포함된 비에치아이 고체 평판배지에 미리 배양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접종하였다. 그런 다음, 3일이 지난 후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수를 측정하여 최소억제농도(MIC)를 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최소억제농도(MIC(Mole))
실시예 1 157ppm
실시예 2 87ppm
비교예 1 468ppm
*상기의 결과는 5번 실험한 값의 평균값임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마귀풀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1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성장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2에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의 성장 저해효과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비교예1에 비해 가장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염 효과 실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의해서 염증이 형성되면 여드름이 더욱 악화되는데, 실시예1,2 및 비교예1의 항염효과(anti-inflammation effect)에 대한 평가를 하여 실시예1,2 및 비교예1의 여드름 완화 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하는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o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20:69-76)을 이용하였다.
마우스 양쪽 귀를 시료 적용 전 에탄올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시료 도포군에는 0.1% 농도의 실시예1,2 및 비교예1의 시료 20㎕를, 대조군에는 에탄올을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으로 도포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에 좌측 귀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ear 도포하였고, 도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에 대하여 5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처리군의 좌측 귀는 시료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 처리 대조군을 기준으로 실시예1,2 및 비교예1 시료 도포군의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각 처리군에 사용된 마우스 수는 각각 5마리씩이며, 측정치는 5마리에 대한 평균값이고,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억제율(%) <47> = (A?B) / A × 100
단, A :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 변화(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 시료 도포군 귀의 평균두께 변화(시료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이다.
처리군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대조군(아라키돈산) 2mg/ear 에탄올 274 498 -
실시예 1 0.3 에탄올 271 451 19.64
실시예 2 0.3 에탄올 275 418 36.7
비교예 1 0.3 에탄올 272 458 16.96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마귀풀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1은 19.64%의 높은 염증 억제율을 보이고 있고,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2는 36.7%로 가장 높은 염증 억제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예들로부터 실시예1과 2가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 피.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효과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고, 특히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2가 사마귀풀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것의 단순 합의 효과를 넘어선 우수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로인해 실시예1과 2는 여드름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사마귀풀 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마귀풀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화장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사마귀풀 추출물 1.0
어성초 추출물 1.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사마귀풀 추출물 2.0
어성초 추출물 2.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사마귀풀 추출물 1.0
어성초 추출물 1.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세안제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사마귀풀 추출물 3.0
어성초 추출물 3.0
글리세린 5.0
모노알킬포스페이트 40.0
미리스틴산 5.0
수산화나트륨(50%) 15.0
정제수 to 100

Claims (5)

  1.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과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로 각각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마귀풀 추출물과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1:1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비누,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19941A 2009-03-09 2009-03-09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941A KR101122733B1 (ko) 2009-03-09 2009-03-09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941A KR101122733B1 (ko) 2009-03-09 2009-03-09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444A KR20100101444A (ko) 2010-09-17
KR101122733B1 true KR101122733B1 (ko) 2012-03-23

Family

ID=43006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941A KR101122733B1 (ko) 2009-03-09 2009-03-09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91A (ko) * 2019-12-13 2021-06-23 한국콜마주식회사 백량금 추출물 및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779B1 (ko) * 2012-12-12 2014-01-03 (주) 씨유스킨 켈로이드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877478B1 (ko) * 2016-12-26 2018-07-13 수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935A (ja) 2001-04-17 2002-10-31 Spirulina Biological Lab Ltd 血糖上昇抑制剤
KR20030092515A (ko) *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 아주의대벤쳐메딕스 사마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마귀,건선 및 어리선과같은 피부 표피 증식에 의한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6935A (ja) 2001-04-17 2002-10-31 Spirulina Biological Lab Ltd 血糖上昇抑制剤
KR20030092515A (ko) * 2002-05-30 2003-12-06 주식회사 아주의대벤쳐메딕스 사마귀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마귀,건선 및 어리선과같은 피부 표피 증식에 의한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91A (ko) * 2019-12-13 2021-06-23 한국콜마주식회사 백량금 추출물 및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306745B1 (ko) 2019-12-13 2021-09-30 한국콜마주식회사 백량금 추출물 및 사마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444A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22B1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3787566B2 (ja) 男性の皮膚および毛髪を手入れするための化粧品組成物
KR20100061881A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4848517A (zh) 一种保湿控油消炎抑菌祛痘组合物和包含该组合物的祛痘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2733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2245A (ko) 전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918666B2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methods of treatment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71980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9620B1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20B1 (ko)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렴 화장료조성물
KR20090055956A (ko) 오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및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1387B1 (ko) 히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475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2131A (ko)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