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131A -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131A
KR20110022131A KR1020090079547A KR20090079547A KR20110022131A KR 20110022131 A KR20110022131 A KR 20110022131A KR 1020090079547 A KR1020090079547 A KR 1020090079547A KR 20090079547 A KR20090079547 A KR 20090079547A KR 20110022131 A KR20110022131 A KR 20110022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bum secretion
cosmetic composition
acne
se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강규
석창현
김홍래
Original Assignee
배강규
김홍래
석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강규, 김홍래, 석창현 filed Critical 배강규
Priority to KR1020090079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2131A/ko
Publication of KR20110022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통해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내는 창이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과다한 피지 분비를 억제하여 피지 분비 관련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다.
창이자, 피지 분비 억제, 5α-리덕테이즈, 여드름

Description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secretion of sebum comprising extract of Xanthium strumarium}
본 발명은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통해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내는 창이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에 모낭, 모근, 피지선 등으로 구성되어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장벽 기능을 담당한다. 이중 피지선은 피부 부속기의 하나로서 모낭선, 지선이라고도 하는데 태생기에 표피가 분화하여 생기며, 진피층에 위치하고 모공을 통해 외부로 지질을 배출시킨다. 피지선의 기능이 필요 이상으로 활성화되면 피지 분비량이 많은 지성 피부가 되며, 이때 과잉 피지가 정상적으로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여드름으로 발전하거나, 과 잉 피지에 의해 지루성 피부염 등 다양한 피부 질환을 야기한다. 지성피부는 피부가 늘 번들거리며 모공은 넓고 각질층이 두꺼워 마치 피부가 두터운 것처럼 보이는 반면에 다른 피부에 비해 자외선에 의한 기미 발생이 적고 건조로 인한 주름이 잘 생기지 않으며 쉽게 노화되지 않는 특성도 나타낸다.
여드름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데, 사춘기의 남성 호르몬 기능항진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의 상피세포가 이상각화증을 일으켜 모낭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의 기본 병변인 면포가 형성된다. 모낭 내에 상주하는 Propionibacterium acnes(P. acnes)균은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을 생성하며 이것이 모낭을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여드름으로의 진행은 피지 과분비로 인해 더욱 악화된다.
과잉의 피지 분비가 일어나는 데는 여러 가지 원인이 관여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에 의해서 피지선의 세포가 활성화되어 피지 과분비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남성 호르몬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α-리덕테이즈에 의하여 활성 남성호르몬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며, 이 호르몬의 비정상적인 과잉작용은 남성형 탈모를 야기하는 물질로 작용하면서 동시에 피지세포에서 피지를 과잉생성하는 주원인 물질로 작용한다. 5α-리덕테이즈는 주로 피지선, 모낭, 전립선, 부고환 등의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서 존재하며, 테스토스테론을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켜 피지를 비정상적으로 과다분비시켜 피지관련 질환, 즉,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을 일으킨다. 따라 서, 5α-리덕테이즈 활성 억제제를 사용하여 피지 분비 억제제 및 여드름 치료제를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남성 호르몬 억제로 인한 여드름 치료를 위해, 종래에는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이나, 화학적 제제 등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 호르몬 등은 여드름 치료 효과 외에, 피부 염증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이 보고되고 있어, 현재는 사용을 중단하거나 아주 극미량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피지 과분비를 억제하는 여드름 치료제로서, 5α-리덕테이즈의 억제제인 아젤레익산(azelaic acid)을 15-20% 과량 함유한 제제가 알려져 있기는 하나, 그 농도가 너무 높아 인체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유발되는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피부염 등의 피지 분비 관련 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해, 인체 안정성이 높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던 중, 창이자 추출물이 저농도에서도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강력히 억제함으로써, 피지 분비를 억제하고 여드름을 개선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에서 선택되는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에서 선택되는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창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창이자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초본으로, 도꼬마리, 시이실, 호시, 재규 및 상사라도도 한다. 창이자의 잎은 어긋나게 붙으며 줄기 끝에 수꽃이 붙고 그 아래 암꽃이 피며, 각지의 들판, 길섶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창이자의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들의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으며 폐경(肺經), 간경(肝經)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창이자는 땀이 나게 하고 풍습(風濕)을 없애며 통증을 멈추고 살충하며 약리실험에서 억균작용이 확인되었다. 감기로 머리가 아픈 데, 치통, 비증(痺證)으로 팔다리에 경련이 일며 아픈 데, 비연(鼻淵), 연주창, 옴, 마풍(문둥병) 등에 사용한다.
창이자의 주요 성분으로는 지방유 9.2%가 있으며 그의 지방산으로서는 리놀산, 올레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이 있고, 추출물 중에는 세릴알콜, β-, γ- 및 α-시토스테롤이 있으며 유지중에는 레시틴, 세팔린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창이자는 건조상태 또는 자연그대로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절 또는 분쇄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이자 추출물은 도꼬마리의 지상부에 있는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열매, 잎, 꽃, 줄기, 가지 및 껍질 등에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꼬마리의 열매로부터 추출한다.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에틸 알코올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창이자 건조 중량의 1 내지 10배 정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배이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온도는 창이자 유용성분의 유효활성이 제거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침적시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창이자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a) 건조된 창이자에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가한 후, 상온에서 침적시켜 추출하는 단계; (b) 단계 (a)의 추출된 창이자를 여과한 뒤 감압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농축된 성분을 여과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은 통상의 정제과정을 통해 정제시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 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및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 상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의 활성화를 통해 생성되는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에 의해 유발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특히 여드름 개선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는 피지선이 발달한 부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피지분비가 많은 얼굴, 두피 또는 등 부위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여드름"은 당업계에서 여드름으로 통칭되는 모든 피부 질환, 또는 여드름과 유사한 기전을 통해 발명되는 모든 피부 질환을 포함하며, 예컨대, 집합성 여드름, 일반적 여드름, 응괴 여드름(congoblate acne), 화장품 사용에 의한 여드름, 디터지칸 여드름(acne dtergicans), 청춘기 여드름, 섬광모양의 여드름(acne fulminans), 절성 여드름(acne furunculoid), 할로겐에 의한 여드름, 경결성 여드름, 켈로이드성 여드름, 물리적 자극에 의한 여드름(mechanical acne), 약물성 여드름, 괴사성 여드름, 속립성 여드름, 신생아 여드름(acne neonatorum), 지성 여드름(acne oil), 구진성 여드름, 적창(pomade acne), 월경전 여드름, 주사 여드름(acne rosacea), 모창성 여드름, 열대성 여드름(tropical acne), 중독성 여드름(acne venenata), 및 심상성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창이자 추출물의 함량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충분한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낼 정도의 양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창이자 건조중량 기준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이다. 이때, 창이자 추출물의 총 함량이 0.00001% 미만일 때에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30% 이상일 때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상기한 창이자 추출물이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또한, 또한, 이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가 피부자극이 거의 없이 피지분비를 억제시키고(실험예 2), 여드름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한 창이자 추출물 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공지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피지분비 관련 질환, 즉,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 증진을 위한, 항염증제 또는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창이자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헤어토닉, 샴푸, 린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은 5α- 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지 분비 관련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은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내므로, 5α-리덕테이즈에 의해 야기되는 과다한 피지분비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지분비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창이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창이자 100g을 분쇄하여 80% 에틸 알코올 1.0ℓ에 넣어 상온에서 3일 동안 침적시키고, 200 메쉬에 여과하여 1주일간 방치한 다음 침전물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진공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건조하여 완전히 건조하여 건조 중량 17.48 g의 창이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 창이자 추출물의 5α- 리덕테이즈 억제 효능 평가
5α-리덕테이즈 억제 실험에 사용된 5α-리덕테이즈는 쥐의 간(adult, Sprague -Dawley, male rat(8-10weeks old), liver)에서 얻었으며 단백질 정량을 통하여 일정량의 단백 현탁액(protein suspension)을 준비하였다. 5α-리덕테이즈의 농도가 0.1, 0.01, 0.001, 0.0001%가 되도록 각각 준비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효소반응용액(enzyme reaction solution)을 준비하였다. 5α-리덕테이즈의 반응 기질(substrate)로는 방사선 표지(radio labeled)된 테스토스테론(3H-testosterone)을 사용하였으며 효소반응용액 : 단백질 현탁액 : 창이자추출물 = 70 : 20 : 10의 비율로 2분간 항온조(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반응 용매를 제거하고 남은 물질을 전개 용매에 녹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에 전개하고 전개된 테스토스테론의 양과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양을 덴시토미터(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여 5α-리덕테이즈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conversion rate)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대조군(창이자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전환율)과 비교하여 5α-리덕테이즈 억제율을 평가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억제율 평가 계산 방법은 하기 수학 식 1과 같다.
Figure 112009052521211-PAT00001
A=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추출물 미첨가군, 대조군)
B=테스토스테론에서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율(추출물 첨가군, 시험군)
창이자추출물 농도(%) 0.1 0.01 0.001 0.0001
억제율(%) 98.4 93.5 76.2 36.7
표 1에서 보듯이, 창이자추출물은 저농도에서도 5α-리덕테이즈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창이자 추출물이 피지 분비의 원인이 되는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지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여드름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창이자 추출물이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 효과를 갖는지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이하 아래의 제조예를 통하여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예를 제시하나 모든 처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창이자 추출물 함유 유연 화장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창이자추출물을 다음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창이자추출물 0.5
1,3-부틸렌 글리콜 6.0
소디움 히알루로네이트 2.0
글리세린 4.0
피이지 4000 1.0
폴리 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0.0
방부제 적량
벤조페논-9 0.05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2. 창이자 추출물 함유 밀크 로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창이자추출물을 다음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창이자추출물 0.5
스테아린산 0.4
1,3-부틸렌 글리콜 6.0
세토스테아릴 알콜 1.2
글리세린 4.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트리에탄올 아민 0.2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유동 파라핀 5.0
스쿠아렌 3.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6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3. 창이자 추출물 함유 영양 크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창이자추출물을 다음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창이자추출물 0.2
바셀린 7.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스테아린산 1.5
유동 파라핀 10.0
밀납 2.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스쿠알란 3.0
1,3-부틸렌 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 아민 0.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4. 창이자 추출물 함유 에센스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창이자추출물을 다음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창이자추출물 0.5
글리세린 10.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판테놀 0.3
이.디.티이.에이(EDT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디움 히알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세스-25 0.6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5. 창이자 추출물 함유 맛사지 크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창이자추출물을 다음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창이자추출물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세토스테아릴 알콜 2.5
스테아린산 1.0
폴리 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렌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1.0
산탄검 0.1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 아민 0.5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6. 창이자 추출물 함유 팩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창이자추출물을 다음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창이자추출물 1.0
폴리비닐 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 1500 2.0
판테놀 0.4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 40 경화 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비교예 1. 창이자 추출물 비함유 밀크 로션 제조
제조예 2에서 창이자추출물의 함유량만 전분으로 바꾸어 밀크 로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창이자 추출물 비함유 영양 크림 제조
제조예 3에서 창이자추출물의 함유량만 전분으로 바꾸어 영양 크림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 피지 분비 억제 효과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실제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피지 분비량이 많은 2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A, B, C 세 그룹으로 나누어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A 그룹에는 창이자 추출물이 함유된 밀크 로션(제조예 2)를, B 그룹에는 상기 제조예에서 창이자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밀크 로션(비교예 1)을, C 그룹에는 창이자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영양 크림(비교예 2)을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피지 측정은 세안 후 30분간 항온, 항습실에서 피부를 안정시킨 후 피지측정기 (Sebumeter)를 이용하여, 이마에서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화장료를 사용하기 전 피지량을 초기값으로 설정하였다. 창이자 추출물이 함유된 밀크로션(제조예 2)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매주 1회 4주간 이마, 뺨의 피지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초기값과 비교하여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피지 억제 효능 여부를 판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기간 피지량 (g/㎠/h)
창이자 추출물 함유 밀크로션 (제조예2) 창이자 추출물을 비함유 밀크로션 (비교예 1) 창이자 추출물 비함유 영양크림 (비교예 2)
초기값 146.5±25.3 139.7±23.6 143.5±18.4
1주 140.2±18.4 136.5±21.7 141.2±20.7
2주 132.1±16.3 137.9±19.4 137.6±15.4
3주 125.8±14.2 135.1±16.5 138.1±19.8
4주 113.6±14.6 135.3±14.2 137.7±20.3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한 밀크 로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지 분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한 밀크 로션은 창이자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의 밀크 로션 및 비교예 2의 영양 크림과 비교하여 더 좋은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은 피지의 과잉 분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여드름 개선 효과
여드름이 발생한 남녀 10명으로 대상으로 제조예 4의 에센스를 아침, 저녁으로 4주간 얼굴 전체에 고루 바르도록 하였다.
여드름 개선 효과의 판정은 실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하기 판정 기준을 참고로 1-3점으로 시험전 상태를 평가한 뒤 여드름 치유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
<시험전 상태의 평가>
1 = 여드름 조금 있음 2 = 여드름 약간 있음 3 = 여드름 심함
<여드름 효과 판정>
- : 효과 거의 없음 + : 약간의 효과 있음
++ : 상당히 완화 +++ : 깨끗이 치유됨
피험자 시험전 상태 2주 경과 4주 경과
피험자1 2 + +
피험자2 3 ++ +++
피험자3 2 + ++
피험자4 1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1 + ++
피험자8 3 + ++
피험자9 1 - +
피험자10 2 + +++
상기의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창이자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를 4주간 사용한 후 대다수 피험자들에서 여드름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여드름 치료 조성물의 문제점인 피부자극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조예 1-6과 비교예 1의 화장료를 대상으로 이들의 피부 자극성을 조사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 여 30명을 대상으로 양팔 하박부의 5×20 cm 부위에 각 시료를 일정량 (약 0.1 g)으로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제거하고 1시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하기의 판정기준에 따라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자극률을 계산해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Figure 112009052521211-PAT00002
실험군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율(%)
++ + +- -
제조예1 30 2 28 2.2
제조예2 30 1 29 1.1
제조예3 30 1 29 1.1
제조예4 30 2 28 2.2
제조예5 30 2 28 2.2
제조예6 30 1 29 1.1
비교예1 30 2 28 2.2
상기 표 4의 피부 자극성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형은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제형과 마찬가지로 자극율이 상당히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이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형은 기존의 여드름 치료제가 갖고 있는 피부자극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여드름 치료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자 추출물은 여드름, 탈모 및 지루성 피부염에서 선택되는 피지 분비 관련 질환 개선을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자 추출물은 5α-리덕테이즈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자 추출물이 건조중량 기준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이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79547A 2009-08-27 2009-08-27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2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47A KR20110022131A (ko) 2009-08-27 2009-08-27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47A KR20110022131A (ko) 2009-08-27 2009-08-27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31A true KR20110022131A (ko) 2011-03-07

Family

ID=4393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47A KR20110022131A (ko) 2009-08-27 2009-08-27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21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88B1 (ko) * 2012-03-21 2013-07-15 정인숙 도꼬마리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90843B1 (ko) * 2020-11-05 2022-04-26 이민아 창이자를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88B1 (ko) * 2012-03-21 2013-07-15 정인숙 도꼬마리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90843B1 (ko) * 2020-11-05 2022-04-26 이민아 창이자를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25867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KR101422830B1 (ko) 피부 pH 조절 및 유지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56521A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7B1 (ko) 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32583A (ko)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억제하는 양강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또는 여드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9888A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2131A (ko) 창이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2733B1 (ko)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KR20080097314A (ko) 참나무 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수축용 화장료조성물
KR100829717B1 (ko)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렴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