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006B1 -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006B1
KR101202006B1 KR1020097005853A KR20097005853A KR101202006B1 KR 101202006 B1 KR101202006 B1 KR 101202006B1 KR 1020097005853 A KR1020097005853 A KR 1020097005853A KR 20097005853 A KR20097005853 A KR 20097005853A KR 101202006 B1 KR101202006 B1 KR 10120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present
skin
cosmetic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802A (ko
Inventor
민형근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주) 씨유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유스킨 filed Critical (주) 씨유스킨
Priority to KR102009700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006B1/ko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09/00144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116838A2/ko
Publication of KR20090104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는 피부의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HEALING THE WOUND AND IMPROVING THE SKIN WRINKLE COMPRISING THE VITAMIN U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노화되는데, 이는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피부를 이루고 있는 주요 세포인 섬유모세포와 각질형성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그에 따른 피부의 아교질 및 진피기질형성의 감소, 상처회복의 지연 등이 발생하며, 자외선에 오래 노출된 부위는 교원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증가하여 진피 내에 교원질이 분해됨으로써 피부의 부피감소와 늘어짐과 같은 미용적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피부의 노화는 광범위한 의미로 하나의 여러 요인에 의한 상처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상처회복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단백질이 피부노화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데 대표적으로 EGF, FGF등의 성장인자나 레티놀, 비타민 C 등이 이와 같은 상처회복에 도움이 되는 성분이며, 이들 성분을 함유한 주름개선 화장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 다.
피부노화의 치료를 위한 화장품에는 다양한 비타민을 이용한 것이 많은 데, 대표적인 기능성 화장료에 포함된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2,500 IU/g함유시 주름 및 여드름에 효과적인 기능성 화장품으로 인증되며, 비타민C는 미백기능과 주름개선, 비타민 P인 폴리페놀류은 항산화와 노화억제, 비타민 B류는 여드름 완화, 비타민 K는 안면홍조 감소, 비타민 D와 프로비타민 D7는 주름개선 및 미백, 비타민 E는 항산화 기능 들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류 단독 및 다른 성분과의 복합조성으로 화장품의 특허출원을 한 예가 적지 않다. 그러나 비타민 U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보고된 바가 없다.
비타민 U는 소화기계통의 궤양치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소화기 계통의 점막은 피부와 구성조직이 비교적 유사한 면이 있어서 비타민 U가 피부의 상처 및 광범위한 의미로 세월 및 자외선에 의한 상처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는 피부 주름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고 화장료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화장료에 대한 유용성을 연구한 결과, 상기의 조성물이 상처의 회복을 촉진하고, 교원질 분해 효소의 억제 기능에 의한 피부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기술적 해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타민 U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상처치유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달성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처치유 및 피부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섬유아세포에서 비타민 U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세포의 증식정도를 세포 계수(좌측) 및 MTT 분석(우측)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인간섬유아세포에서 비타민 U를 농도별 및 시간별로 처리한 다음 세포의 이동성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비타민 U에 의한 인간섬유아세포의 이동성 정도를 수치로 변환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인간 각질형성세포에서 비타민 U를 농도별 및 시간별로 처리한 다음 세포의 이동성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비타민 U에 의한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이동성 정도를 수치로 변환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무모증 생쥐를 이용한 본 발명의 비타민 U 함유 화장료의 상처 치유능 실험 시의 상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무모증 생쥐를 이용한 본 발명의 비타민 U 함유 화장료의 농도별 및 시간별 처리한 후의 상처 치유 효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타민 U 함유 화장료 처리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MMP-1 mRNA의 억제효과를 RT-PCR 결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타민 U 함유 화장료에 의한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비타민 U는 양배추, 브로콜리, 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영양소로 비타민 U의 생리학적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는 않다. 비타민 U는 머크 인덱스상에서는 메틸 메티오닌 술포니움 클로라이드로 분류되고 있다. 비타민 U는 분자량이 199.70의 저분자량 지용성 물질로서, 주로 동유럽을 중심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알려진바 소화기 계통의 궤양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궤양(ulcer)의 U자로부터 불려지게 되었으며, 항염증작용, 혈중 지질의 개선 효과, 항우울 효과,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막 손상억제기능 등이 연구되어 왔으며, 주로 경구투여에 의한 작용만을 보았다.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U는 분자량이 크지 않고 지용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피부에 발라주거나 침투시켰을 때 위점막의 궤양이나 미란을 치유되는 것과 유사한 상처회복의 촉진 및 세포보호작용 (cytoprotection)기능이 관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비타민U를 복용하였을 때 토끼의 위점막에서 뮤신분비가 촉진되고, 돼지의 위장관 점막에서 궤양 억제 효과가 관찰되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항염증 기능과 세포보호효과는 점막과 유사한 케라틴 구조를 보이는 피부에서도 관찰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비타민 U"는 양배추, 브로콜리, 김과 같은 식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열매, 씨 등)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비타민 U의 추출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c) 아세톤, (d) 에틸 아세테이트, (e) 클로로포름, (f) 부틸아세테이트 및 (g)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비타민 U에 포함되는 것이다. 통상적인 기기적인 추출법인 초임계추출과 초음파추출법에 의한 추출물형태로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타민 U는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U는 화학적으로 합성 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비타민 U 이외에 다른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처치유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에서는 다른 피부 주름개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U만으로 구성된 유효 성분으로도 상처치유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타민 U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001-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0.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이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타민 U의 함량이 상기 최소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최대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며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타민 U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상처치유 및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달성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피부의 상처치유 및 주름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의 기본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창상의 수복과정은 염증기, 교원섬유기 또는 증식기, 반흔기 3기로 구분되며 각 기별로 호중구,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및 혈관내피세포 등의 특징적인 세포 성분의 변화를 보이며, 이는 창상 수복의 진행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소견으로 사료된다. 창상의 치유과정은 수축, 표피화, 교원질의 합성, 신생혈관 생성, 육아조직(granulation tissue)의 생성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피부 전층결손 창상에는 주로 수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피부 부속 기관이 남아있는 부분 결손창상에서는 표피 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비타민 U가 상기와 같은 상처치유과정에 큰 도움이 되는 물질이라고 기대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비타민 U가 자외선 등과 같은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예방적인 효과도 함께 알아보았다.
실험예 1. 인간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인간의 진피 섬유아세포(이하 hDF)를 이용하여 비타민 U가 시험관내에서의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때, 비타민 U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 fluka, Japan)는 fluka에서 구입하여 1M로 희석한 다음 사용하였으며, 섬유아세포의 기본배양배지는 DMEM (Gibco, USA)에 10% FBS (우태아 혈청)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항생제 및 항균제)를 혼합하여 배양하였으며, 상처치유실험에 사용한 배지는 1% FBS가 함유된 DMEM이며, 이 때 최종 비타민 U의 농도는 10-2, 10-3M 로 함유되게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비타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1% FBS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배양한 인간 섬유아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비타민 U를 투여하고 추가 배양한 후 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세포 계수 및 MTT 분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수치화 하여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인간 섬유모세포의 이동성 증가 효과
인간의 진피 섬유아세포(이하 hDF)를 이용하여 비타민 U가 시험관내에서의 섬유모세포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때, 비타민 U (DL-methionine methylsulfonium chloride; fluka, Japan)는 fluka에서 구입하여 1M로 희석한 다음 사용하였으며, 섬유아세포의 기본배양배지는 DMEM (Gibco, USA)에 10% FBS (우태아 혈청)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항생제 및 항균제)를 혼합하여 배양하였으며, 상처치유실험에 사용한 배지는 1% FBS가 함유된 DMEM이며, 이 때 최종 비타민 U의 농도를 10-2, 10-3M 로 함유되게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서 비타민을 전혀 함유하지 않는 1% FBS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인간 섬유아세포를 6-웰 세포배양 디쉬에 90%이상 키운 후, 2mm-마이크로 팁 끝을 이용하여 세포를 긁어내었다. 떨어진 세포들을 PBS로 수세하여 제거한 후 다시 실험용 배지로 배양한 다음 스크래치 사이로 세포들이 얼마나 이주해 오는가를 사진으로 관찰하였다. 그에 대한 결과는 수치화하여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도 2, 3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비타민 U를 처리한 군은 비타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섬유아세포의 이동이 훨씬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인간의 각질형성세포의 이동성 증가 효과
비타민 U가 시험관내에서 인간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이하 hEK)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본 배지는 Defined Keratinocyte-SFM(Gibco, USA)에 Defined Keratinocyte-SFM(무혈청 각질형성 세포용 배지) Growth supplement 및 성장인자를 배합하여 이용하였으며, 실험군의 배지는 1/10의 성장인자 및 비타민 U를 최종 10-2, 10-3, 10-4M로 함유되게 첨가하 여 사용하였다. 이때 대조군 비타민을 함유하지 않는 1/10의 성장인자를 포함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6-웰 세포배양 디쉬에 90%이상 키운 후 2mm-마이크로 팁 끝을 이용하여 세포를 긁어내었다. 떨어진 세포들을 PBS로 수세한 후 다시 실험용 배지로 배양한 다음 스크래치 사이로 세포들이 얼마나 이주해 오는 가를 사진으로 관찰하였으며(도 4), 그에 대한 결과를 수치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도 5).
도 4, 5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비타민 U를 처리한 군은 비타민을 함유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질형성세포의 이동이 훨씬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스킨)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스킨)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표 1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1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표 2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2
제형예 3. 영양크림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표 3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3
제형예 4. 맛사지 크림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표 4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4
제형예 5. 팩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 중 팩의 제형예는 다음과 같다:
표 5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5
실험예 4. 창상 치유 효과 (생체내 동물실험)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피부상처의 치유 효과에 대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무모증 생쥐 6마리, 마취제(zoletil-50: 럼푼을 2:1로 희석하여 사용), 펀치생검기(5mm)와 상기 제형예 3의 실시예 1, 2, 3(상기 화장료는 각각 1%, 5%, 10%의 비타민 U를 함유함) 및 비타민 U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화장료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무모증 생쥐는 혼합 마취제를 40mg/kg으로 근육주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한 생쥐의 등 쪽 피부 양 쪽에 펀치 생검기(5mm)를 이용하여 전층결손의 상처를 만들었다(도 6). 국소적으로 만든 창상의 왼쪽에는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을, 오른쪽에는 비타민 U를 농도별로 1%, 5%, 10% 로 함유하는 실시예 1, 2, 3의 화장료를 바른 후 시간별로 사진을 찍었다. 그 결과를 도7에 나타내었다.
도 7의 결과에서 보듯이, 비타민 U를 함유하는 실시예 1, 2, 3의 화장료는 비타민 U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창상치유율이 눈에 띄게 차이가 났으며, 특히 함유된 비타민 U의 농도가 높을수록 창상치유율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교원질 분해 효소 억제효과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교원질 분해 효소에 대한 억제 효과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4주간 무모증 생쥐 집단을 각 군당 10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어서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10% 농도의 크림 타입으로 만든 비타민 U 화장품을 등 쪽 피부에 매일 도포하였고, 대조군은 비타민 U를 포함하지 않은 단순 기제만을 도포하였다. 두 군 모두 4주 후 생쥐의 등 피부를 채취하여 조직에서 RNA을 얻어내어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교원질 분해 효소 mRNA의 전사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도 8). 도 8의 결과와 같이 비타민 U를 도포하면 대조군에 비해 교원질 분해효소 mRNA의 전사정도를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같은 조직 시료를 사용하여 교원질 분해효소의 감소로 인한 콜라겐의 증가를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결과표기 안함).
실험예 6.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포함하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은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함유하고 있는 제형예 1의 스킨과 제형예 3의 실시예 1의 크림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0명의 30-40세 여성 중 외부 활동을 많이 하는 여성을 무작위로 2개 군으로 나누어 제형예 1의 비타민 U를 함유하고 있는 스킨과 제형예 3의 실시예 1의 크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적당량을 눈가를 중심으로 2개월간 연속적으로 바르게 하였다.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숙련된 의사의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실험 결과는 도 9 및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본 발명의 화장료의 주름 개선 효과(육안평가)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6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7
실험예 7. 제형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비타민 U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한 제형의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실험하기 위해 제형예 3의 실시예 1의 크림(비타민 U 1% 함유 크림)을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상온, 4℃℃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4주 동안 물성(점도, pH)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광변색 정도는 표준과 색상을 비교 측정하였고,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제품 변색 및 향취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2: 조금 3: 조금 심하게
4: 심하게 5: 극히 심하게
표 7
제형의 안정성 시험
Figure 112009017126943-pct00008
* 표준품은 불투명초장용기에 밀봉하여 암실에서 보관함.
* 점도측정조건: Brookfiele Helipath #6, 30 rmp, 1분후 측정(단위: cps)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 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U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01-30.0%(w/w)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U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7005853A 2008-03-20 2009-03-20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5853A KR101202006B1 (ko) 2008-03-20 2009-03-20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972 2008-03-20
KR1020097005853A KR101202006B1 (ko) 2008-03-20 2009-03-20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09/001441 WO2009116838A2 (ko) 2008-03-20 2009-03-20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802A KR20090104802A (ko) 2009-10-06
KR101202006B1 true KR101202006B1 (ko) 2012-11-15

Family

ID=4153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853A KR101202006B1 (ko) 2008-03-20 2009-03-20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84B1 (ko) * 2009-06-26 2016-03-14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61B1 (ko) * 2018-02-14 2019-01-08 (주) 씨유스킨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760A (ja) 2002-02-26 2003-11-11 Junichi Arita 抗肥満作用を有する亜鉛含有物
JP2004254515A (ja) 2003-02-24 2004-09-16 Sceti Co Ltd ビタミンuと硫黄含有酵母からなる抗関節炎食品
JP2008019170A (ja) 2006-07-10 2008-01-31 Unitika Ltd 胃腸障害改善・予防作用を有する飲食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760A (ja) 2002-02-26 2003-11-11 Junichi Arita 抗肥満作用を有する亜鉛含有物
JP2004254515A (ja) 2003-02-24 2004-09-16 Sceti Co Ltd ビタミンuと硫黄含有酵母からなる抗関節炎食品
JP2008019170A (ja) 2006-07-10 2008-01-31 Unitika Ltd 胃腸障害改善・予防作用を有する飲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802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2471A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90011054A (ko)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함유하는 상처 치유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43784A (ja) 細胞増殖促進剤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2006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07B1 (ko) 황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4B1 (ko) 천궁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5572B1 (ko)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242310A (ja) インボルクリン産生促進剤、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1産生促進剤、e−カドヘリン産生促進剤、及び毛穴目立ち軽減用皮膚外用剤
KR20160024675A (ko) 수국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2376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u as active ingredient for healing wounds and reducing wrinkles
KR102397918B1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9114A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8716B1 (ko) 악티게닌 또는 악티게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3223A (ko) 소엽맥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8621A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041033A9 (en)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u as active ingredient for healing skin wound
JP6114488B2 (ja) 線維芽細胞増殖因子産生促進剤、血管内皮細胞増殖因子産生促進剤、及び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