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161B1 -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161B1
KR101936161B1 KR1020180018580A KR20180018580A KR101936161B1 KR 101936161 B1 KR101936161 B1 KR 101936161B1 KR 1020180018580 A KR1020180018580 A KR 1020180018580A KR 20180018580 A KR20180018580 A KR 20180018580A KR 101936161 B1 KR101936161 B1 KR 10193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oil
vitamin
beads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덕
손서연
김민환
김기택
민형근
문익환
최춘영
김보현
Original Assignee
(주) 씨유스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유스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씨유스킨
Priority to KR102018001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161B1/ko
Priority to PCT/KR2019/001599 priority patent/WO20191602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3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64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94Processes resulting in granules or microsphe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more than 5% of excip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공성 실리카와의 흡착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wax oil beads)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는 비타민 U의 불쾌한 냄새 및 맛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으며,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는 상온에서는 고체이나 피부에 도포시 액상으로 용해되면서 비타민 U를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위생용 화장료 조성물 혹은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Wax oil beads encapsulated with vitamin U or a salt thereof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공성 실리카와의 흡착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제품 자체의 우수한 성능뿐 아니라 제품 외관의 심미성까지 고려해야 시장 경쟁을 뚫을 수 있는 시대이다. 소비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제품이 시장에서 더 유리하기 때문에 제품 포장 또는 용기의 디자인이나 제품 자체의 색채나 형태 등을 눈에 띄게끔 제작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화장품 및 일반 의약품 시장에서도 적용된다.
왁스는 통상 40℃ 이상의 녹는점을 갖는 다양한 소수성 지방산 에스터를 총칭하여 이르는 말로 긴사슬 알케인과 지질을 포함한다. 화장 물품의 적용 후 윤기와 침착의 지속을 위해 화장품 업계에서 왁스, 오일, 페이스트형 지방 물질을 혼합한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23830호는 오일,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 입자 및 6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왁스를 포함하는 액체 화장용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왁스와 오일로 구성된 조성물은 지용성이 높은 물질을 제제화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비타민 U는 S-메틸메티오닌(S-Methylmethionine) 또는 이의 염[예를 들어,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S-Methylmethionine sulfonium chloride)]를 총칭한다. 비타민 U는 양배추, 브로콜리, 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영양소로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이 보고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00456호, 제10-2011-0000452호, 제10-2009-0104802호 등). 또한, 비타민 U는 항염증작용, 혈중 지질의 개선 효과, 항우울 효과,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막 손상억제기능 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비타민 U는 높은 수용성을 갖는 물질로서, 매우 특이한 냄새를 가지고 있어 화장품 등에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비타민 U의 악취 제거 방법(즉, 탈취 방법)으로는 악취물질을 물로 세척하여 처리하는 세정법을 비롯하여 활성탄,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흡착 제거하는 방법, 악취 물질을 연소로에서 연소 분해하거나, 촉매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산화분해시키는 방법, 또는 토양이나 활성슬러지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초임계 추출에 의해 비타민 U의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U의 악취 물질을 효과적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높은 수용성을 갖는 비타민 U를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시킴으로써 높은 효율로 왁스 오일 비드에 봉입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얻어진 비타민 U가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가 비타민 U의 불쾌한 냄새 및 맛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공성 실리카와의 흡착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를 제공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공성 실리카와의 흡착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에 있어서, 상기 흡착물은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15 ∼ 1.5 중량부가 흡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는 2.0 ∼ 5.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에 있어서,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형성에 사용되는 왁스는 세틸 스테아릴 알코올, 비즈왁스, 칸델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캐스터 왁스, 오조케라이트 왁스, 라놀린, 및 멀티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형성에 사용되는 오일은 2-옥틸도데칸-1-올,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중쇄 글리세라이드, 스쿠알렌,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아르간 오일, 바오바브 오일, 및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는 올레산, 스테아르산 아연,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a)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물에 용해시킨 후, 다공성 실리카와 혼합하여 수성 흡착물을 얻는 단계; (b) 왁스를 오일에 용해시켜 유상 용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수성 흡착물을 상기 유상 용액과 혼합한 후, 균질화하여 S/O 에멀젼(soild-in-oil emulsion)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S/O 에멀젼을 비드-형성용 겔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왁스 오일 비드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단계(d)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1 ∼ 2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0.15 ∼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세틸 스테아릴 알코올, 비즈왁스, 칸델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캐스터 왁스, 오조케라이트 왁스, 라놀린, 및 멀티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은 2-옥틸도데칸-1-올,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중쇄 글리세라이드, 스쿠알렌,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아르간 오일, 바오바브 오일, 및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단계(b)는 올레산, 스테아르산 아연,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안정화제를 추가로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c)의 상기 균질화는 5,000 ∼ 20,00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비드-형성용 겔은 폴리아크릴산, 가티검, 구아검, 트라가칸트 검,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단계(c)의 상기 교반은 50 ∼ 15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e)는 상기 세척 후 건조 전에 체로 걸러 2.0 ∼ 5.0 mm의 직경을 갖는 왁스 오일 비드를 단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높은 수용성을 갖는 비타민 U를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시킴으로써 높은 효율로 왁스 오일 비드에 봉입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는 비타민 U의 불쾌한 냄새 및 맛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비타민 U가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는 상온에서는 고체이나 피부에 도포시 액상으로 용해되면서 비타민 U를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위생용 화장료 조성물 혹은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는 또한 구슬형의 비드 형태의 외관을 가짐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시각적 즐거움을 주어 상품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의 크기 별 중량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4는 균질화 속도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다공성 실리카 사용 유무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비타민 U 사용량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올레산의 사용량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를 상온 및 냉장 조건에서 14일간 보관한 후,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왁스 오일 비드(wax oil beads)"라 함은 왁스와 오일로 구성된 구형의 비드 형태를 갖고, 상온에서는 고체이나 피부에 도포시 액상으로 변화되는 비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 5.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공성 실리카(porous silica)"라 함은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로도 지칭되며 큰 표면적-부피를 갖는 친수성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를 의미한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예를 들어 90 m2/g 이상,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410 m2/g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하며, 예를 들어 AerosilTM 200 (시그마 알드리치), FusilTM 200 (Dalian Fuchang Chemical Group Co., Ltd.)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실리카의 함량은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001 내지 8 중량%의 범위일 수 있으며, 이는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수용액의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다공성 실리카와의 흡착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의 일 예는 도 1과 같다.
상기 비타민 U(vitamin U)는 S-메틸메티오닌(S-Methylmethionine)을 의미한다. 비타민 U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S-Methylmethionine sulfonium chlorid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에 있어서,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사용량은 위생학적으로 혹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공성 실리카의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착물은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15 ∼ 1.5 중량부가 흡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형성에 사용되는 왁스는 세틸 스테아릴 알코올(예를 들어, Lanette-OTM 등), 비즈왁스(bees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캐스터 왁스(castor wax), 오조케라이트 왁스(ozokerite wax), 라놀린(lanolin), 및 멀티 왁스(multi wax 혹은 microcrystalline wa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30 ∼ 5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형성에 사용되는 오일은 2-옥틸도데칸-1-올(예를 들어, Eutanol GTM 등),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예를 들어 Cetiol CCTM 등), 중쇄 글리세라이드(medium-chain triglyceride), 스쿠알렌,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Jojoba oil),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아르간 오일(argan oil), 바오바브 오일(baobab oil), 및 카멜리나 오일(camelina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함량은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30 ∼ 5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는 필요에 따라 올레산, 스테아르산 아연,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올레산은 비타민 U의 피부투과를 증진시키는 피부투과 촉진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정화제의 함량은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 4 중량%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왁스 오일 비드는 필요에 따라 올레산, 카프릴산,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린, 인지질, 터펜 등의 피부투과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는 도 2와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물에 용해시킨 후, 다공성 실리카와 혼합하여 수성 흡착물을 얻는 단계; (b) 왁스를 오일에 용해시켜 유상 용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수성 흡착물을 상기 유상 용액과 혼합한 후, 균질화하여 S/O 에멀젼(soild-in-oil emulsion)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S/O 에멀젼을 비드-형성용 겔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왁스 오일 비드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단계(d)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물에 용해시킨 후, 다공성 실리카와 혼합하여 수성 흡착물(aqueous adsorptions)을 얻는 단계[즉, 단계(a)]를 포함한다. 단계(a)에서,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다공성 실리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0.15 ∼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1 ∼ 2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용해 공정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과 같은 다가 알코올, 킬레이트화제,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왁스를 오일에 용해시켜 유상 용액을 얻는 단계[즉, 단계(b)]를 포함한다. 단계(b)에서 왁스 및 오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용해는 필요에 따라 완전한 용액이 얻어지도록 가온, 예를 들어 약 70℃ 이상으로 가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b)는 올레산, 스테아르산 아연,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안정화제를 추가로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올레산, 카프릴산, 폴리소르베이트, 글리세린, 인지질, 터펜 등의 피부투과 촉진제; 향료; 또는 색소를 추가로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성 흡착물을 상기 유상 용액과 혼합한 후, 균질화하여 S/O 에멀젼(soild-in-oil emulsion)을 형성하는 단계[즉, 단계(c)]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수용성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용해된 수용액을 상기한 바와 같이 고형화하여, 즉 수성 흡착물의 형태로 제조한 후, 균질화를 수행하면 수층과 유층이 상분리되지 않는 에멀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균질화는 통상의 균질화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5,000 ∼ 20,00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균질화에 의해 수성 흡착물이 왁스/오일 내에 분산된 S/O 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S/O 에멀젼을 비드-형성용 겔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왁스 오일 비드를 형성시키는 단계[즉, 단계(d)]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형성용 겔로는 수용성의 고점도 겔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드-형성용 겔은 폴리아크릴산(예를 들어, CarbopolTM, CarbomerTM, 등), 가티검(gum ghatti), 구아검(guar gum), 트라가칸트 검(tragacanth gum), 및 카라기난(carrageen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드-형성용 겔은 왁스 오일 비드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S/O 에멀젼 1 중량부에 대하여 5 ∼ 8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드-형성용 겔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점도(예를 들어, 2000 ∼ 2500 cps)를 제공하기 위하여, pH 조절제 등을 추가로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을 비드-형성용 겔로서 사용하는 경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염기성 물질을 가하여 약 pH 6으로 조절함으로써, 약 2100 ∼ 2200 cps의 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예를 들어 통상의 교반날개식 교반기를 사용하여, 50 ∼ 150 rpm의 속도로, 바람직하게는 50 ∼ 100 rpm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왁스 오일 비드의 분리 단계, 즉 단계(d)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즉, 단계(e)]를 포함한다. 즉, 상기 분리 단계는 상기 냉각은 비드-형성용 겔과 생성된 비드가 분리되지 않은 채로 그대로 냉각/세척/건조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예를 들어 영하 20℃에서 1시간, 2 ∼ 4℃에서 약 하루 동안 방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 공정의 수행에 의해 왁스 오일 비드가 완전히 굳어지게 되며, 이는 이어지는 세척 공정, 예를 들어 차가운 물을 사용한 세척 공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세척 공정에 의해, 비드 표면에 묻은 비드 형성용 겔과 미봉입된 활성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는 통상의 건조 방법, 예를 들어 상온 건조, 감압 건조, 동결건조 등의 건조방법에 따라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왁스 오일 비드를 얻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온에서 건조공정을 수행한 후, 동결건조하여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단계(e)의 분리 단계는 상기 세척 후 건조 전에, 예를 들어 격자 크기가 2.0 mm인 10호체 등의 체로 걸러 2.0 ∼ 5.0 mm의 직경을 갖는 왁스 오일 비드를 단리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는 위생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형, 예를 들어 겔, 크림, 로션, 페이스트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거나 혹은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아이 크림 또는 에센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은 색소, 보존제, 방향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서 비타민 U로서 염 형태의 물질 즉,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언급된 비타민 U는 모두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의미한다.
실시예 1 내지 4. 비드 -형성용 겔 중의 교반속도에 따른 비타민 U(S- 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비타민 U로서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증류수에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완전히 녹인 후, 다공성 실리카(AerosilTM 200)을 첨가하여 수성 흡착물을 얻었다. 왁스, 오일, 안정화제 및 피부투과증진제를 혼합하여 70∼80℃로 중탕으로 가온하여 유상 용액을 얻었다. 상기 유상 용액을 상기 수성 흡착물에 붓고, 15,000 rpm으로 2분간 균질화하여 왁스 오일에 흡착물이 고르게 분산된 S/O 에멀젼(soild-in-oil emulsion)을 형성시켰다. 얻어진 S/O 에멀젼을, 약 70℃로 중탕한 카보폴 수용액(400 ml)(0.33% 카보폴 수용액 중 트리에탄올아민 1.25 ml 함유)에 붓고, 표 1에 따른 교반속도로 2분간 교반하여 카보폴 수용액에 구형의 왁스 오일 비드가 떠다니는 혼합물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물을 -20℃에 1시간 방치한 뒤, 4℃에 24시간 방치하여 왁스 오일 비드를 완전히 굳혔다. 굳은 왁스 오일 비드가 담긴 카보폴 수용액을 찬물로 세척한 다음, 10호체, 16호체, 및 20호체로 걸러 상온에서 24시간 건조하여, 비타민 U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하였다.
분류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함량(g) 함량(g) 함량(g) 함량(g)
활성성분 비타민 U 3 3 3 3
왁스 Lanette-OTM 15 15 15 15
비즈왁스 5 5 5 5
칸델릴라 왁스 6 6 6 6
멀티 왁스 4 4 4 4
오일 EutanolTM G 14.5 14.5 14.5 14.5
스쿠알렌 3 3 3 3
Cetiol CCTM 10 10 10 10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3 3 3 3
안정화제/피부투과증강제
스테아르산 아연 0.5 0.5 0.5 0.5
PMMA-S 2 2 2 2
올레산 5 5 5 5
고형화제 AerosilTM 200 3 3 3 3
증류수 4 4 4 4
균질화 속도(rpm) 15,000 15,000 15,000 15,000
카보폴 수용액 중에서의 교반속도(rpm) 10 50 90 130
상기와 같이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을 때, 카보폴 수용액과 액상의 비드 조성물(즉, S/O 에멀젼)을 10 rpm으로 교반한 실시예 1은 왁스 오일 비드가 형성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왁스 오일 비드를 10호체, 16호체, 및 20호체로 걸러 비드를 크기별로 수집하고, 건조한 다음, 회수한 비드의 총 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크기별 비드 중량을 얻어진 총 비드 중량으로 나누어 중량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비드 크기별 중량 백분율(%) = (각 크기별 비드 중량/회수된 총 비드 중량) X 100].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의 결과로부터, 직경 2.0 mm 이상의 크기를 제공하는 10호체 크기의 비드 수득율을 고려하였을 때 50 내지 150 rpm의 교반속도 범위에서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적 교반속도는 50 내지 100 rpm이 바람직하며, 원하는 비드 크기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교반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실시예 5 내지 7. 균질화 속도에 따른 비타민 U(S- 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균질화 속도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찬물 세척 후, 10호체로 걸러 상온에서 24시간 건조하여, 비타민 U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하였으며, 이를 동결건조하여 보관하였다.
분류 성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함량(g) 함량(g) 함량(g)
활성성분 비타민 U 3 3 3
왁스 Lanette-OTM 15 15 15
비즈왁스 5 5 5
칸델릴라 왁스 6 6 6
멀티 왁스 4 4 4
오일 EutanolTM G 14.5 14.5 14.5
스쿠알렌 3 3 3
Cetiol CCTM 10 10 10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3 3 3
안정화제/피부투과증강제
스테아르산 아연 0.5 0.5 0.5
PMMA-S 2 2 2
올레산 5 5 5
고형화제 AerosilTM 200 3 3 3
증류수 4 4 4
균질화 속도(rpm) 0 5,000 15,000
카보폴 수용액 중에서의 교반속도(rpm) 90 90 90
동결건조한 왁스 오일 비드를 증류수 1 ml에 넣고, 약 70℃에서 왁스 오일 비드가 모두 녹을 때까지 중탕하였다. 왁스 오일 비드가 모두 녹으면, 볼텍싱(vortexing) 한 뒤에 0.2 μm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사용하여 비타민 U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의 분석 조건은 다음 표 3과 같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Synergi Max-RP 5μ(Phenomenex)
이동상 아세토니트릴: 0.2 v/v% 포름산(formic acid) 수용액=73:27
유속 0.5 mL/min
주입량 3 μL
질량분석기 기체상 온도 300℃
기체상 유속 11 L/min
Nebulizer 15 psi
Capillary voltage 4500 V, (+) charge mode
m/z 163.9 (wide) → 102.0 (unit)
Fragment voltage 73 V
상기와 같이 실시예 5 내지 7의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 함량 측정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4에서 비타민 U의 함량은 왁스비드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비타민 U의 함량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비타민 U의 함량(%) =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 중량/ 왁스 오일 비드의 중량) X 100]. 도 4의 결과로부터, 비드 내 비타민 U 함량은 분쇄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성 있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다공성 실리카 사용 유무에 따른 비타민 U(S- 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
하기 표 4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공성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분류 성분 실시예 8
함량(g)
활성성분 비타민 U 3
왁스 Lanette-OTM 15
비즈왁스 5
칸델릴라 왁스 6
멀티 왁스 4
오일 EutanolTM G 14.5
스쿠알렌 3
Cetiol CCTM 10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3
안정화제/피부투과증강제
스테아르산 아연 0.5
PMMA-S 2
올레산 5
고형화제 AerosilTM 200 0
증류수 4
균질화 속도(rpm) 15,000
카보폴 수용액 중에서의 교반속도(rpm) 90
실시예 7 및 8에서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의 함량을 실시예 5 내지 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도 4 및 도 5의 결과로부터, 다공성 실리카를 사용하여 제조된 비드가 이를 사용하지 않고 얻어진 비드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비타민 U 함량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내지 11. 비타민 U의 함량에 따른 비타민 U(S- 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분류 성분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함량(g) 함량(g) 함량(g)
활성성분 비타민 U 0.5 1 5
왁스 Lanette-OTM 15 15 15
비즈왁스 5 5 5
칸델릴라 왁스 6 6 6
멀티 왁스 4 4 4
오일 EutanolTM G 14.5 14.5 14.5
스쿠알렌 3 3 3
Cetiol CCTM 10 10 10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3 3 3
안정화제/피부투과증강제
스테아르산 아연 0.5 0.5 0.5
PMMA-S 2 2 2
올레산 5 5 5
고형화제 AerosilTM 200 3 3 3
증류수 4 4 4
균질화 속도(rpm) 15,000 15,000 15,000
카보폴 수용액 중에서의 교반속도(rpm) 90 90 90
실시예 7 및 상기 실시예 9 내지 11에서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의 함량을 실시예 5 내지 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6의 결과로부터, 비타민 U의 양이 0.5g에서부터 3g까지는 초기에 사용된 비타민 U의 양이 많을수록 비드 중의 함량도 증가하지만 3g을 사용하여 얻어진 비드 및 5g을 사용하여 얻어진 비드 중의 비타민 U의 함량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한 비타민 U의 사용량은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2 및 13. 올레산의 양에 따른 비타민 U(S- 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
하기 표 6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왁스 오일 비드를 제조하였다.
분류 성분 실시예 12 실시예 13
함량(g) 함량(g)
활성성분 비타민 U 3 3
왁스 Lanette-OTM 15 15
비즈왁스 5 5
칸델릴라 왁스 6 6
멀티 왁스 4 4
오일 EutanolTM G 14.5 14.5
스쿠알렌 3 3
Cetiol CCTM 10 10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3 3
안정화제/피부투과증강제
스테아르산 아연 0.5 0.5
PMMA-S 2 2
올레산 0 1
고형화제 AerosilTM 200 3 3
증류수 4 4
균질화 속도(rpm) 15,000 15,000
카보폴 수용액 중에서의 교반속도(rpm) 90 90
실시예 7 및 상기 실시예 12 및 13에서 얻어진 왁스 오일 비드 중의 비타민 U의 함량을 실시예 5 내지 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과 같다. 도 7의 결과로부터, 올레산을 5g까지 사용할 경우 비드 중의 비타민 U의 함량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 왁스 오일 비드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7 및 12에서 제조한 왁스 오일 비드를 실온 및 냉장 조건에서 14일 동안 보관한 후, 비드 중의 S-메틸메티오닌 술포늄 클로라이드의 함량을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과 같다. 도 8의 결과로부터, 비드 중의 비타민 U 함량은 7일째까지는 실시예 7 및 12 모두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4일째의 함량은 실시예 7의 비드는 안정성 시험을 시작한 날과 비교했을 때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상온 보관한 실시예 13은 유의성 있는 함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보관이 필요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서는, 안정화제로서 올레산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물에 용해시킨 후, 다공성 실리카와 혼합하여 수성 흡착물을 얻는 단계;
    (b) 왁스를 오일에 용해시켜 유상 용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수성 흡착물을 상기 유상 용액과 혼합한 후, 균질화하여 S/O 에멀젼(soild-in-oil emulsion)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S/O 에멀젼을 비드-형성용 겔에 첨가한 후, 교반하여 왁스 오일 비드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단계(d)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냉각,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척 후 건조 전에 체로 걸러 2.0 ∼ 5.0 mm의 직경을 갖는 왁스 오일 비드를 단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왁스 오일 비드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이 상기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1 ∼ 2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U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다공성 실리카 1 중량부에 대하여 0.15 ∼ 1.5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세틸 스테아릴 알코올, 비즈왁스, 칸델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캐스터 왁스, 오조케라이트 왁스, 라놀린,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2-옥틸도데칸-1-올,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중쇄 글리세라이드, 스쿠알렌,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아르간 오일, 바오바브 오일, 및 카멜리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단계(b)에서 올레산, 스테아르산 아연,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안정화제를 추가로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단계(c)의 상기 균질화가 5,000 ∼ 20,000 rpm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형성용 겔이 폴리아크릴산, 가티검, 구아검, 트라가칸트 검, 및 카라기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단계(d)의 상기 교반이 50 ∼ 150 rpm의 속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삭제
KR1020180018580A 2018-02-14 2018-02-14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6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580A KR101936161B1 (ko) 2018-02-14 2018-02-14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9/001599 WO2019160276A1 (ko) 2018-02-14 2019-02-11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580A KR101936161B1 (ko) 2018-02-14 2018-02-14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161B1 true KR101936161B1 (ko) 2019-01-08

Family

ID=6502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580A KR101936161B1 (ko) 2018-02-14 2018-02-14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161B1 (ko)
WO (1) WO20191602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76A1 (ko) * 2018-02-14 2019-08-22 (주) 씨유스킨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159A (ja) * 2008-09-30 2012-02-16 イントリンシツク・マテリアルズ・グローバル・リミテツド 多孔質ケイ素を含む化粧品製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578B1 (ko) * 1995-12-29 1999-02-18 이능희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KR101202006B1 (ko) * 2008-03-20 2012-11-15 (주) 씨유스킨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2884B1 (ko) * 2009-06-26 2016-03-14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0540B1 (ko) * 2017-03-28 2017-12-19 (주) 씨유스킨 비타민 u가 봉입된 복합 코아세르베이트 입자의 제조방법
KR101936161B1 (ko) * 2018-02-14 2019-01-08 (주) 씨유스킨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4159A (ja) * 2008-09-30 2012-02-16 イントリンシツク・マテリアルズ・グローバル・リミテツド 多孔質ケイ素を含む化粧品製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76A1 (ko) * 2018-02-14 2019-08-22 (주) 씨유스킨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0276A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32940A (ja) カンナビノイドの希釈可能な製剤及びその調整方法
JPH072644A (ja) 好ましくは微小球体の形をしたガレヌス製剤マトリツクス
TW200902084A (en) Topical composition
JP2000507594A (ja) 経口の生物学的利用率増大のための親油性化合物の固形脂質組成物
JPH0348604A (ja) 非親水性、リポイド状物質のスフィロイドを懸濁状で含む水性ゲル化粧用組成物
JP2006521334A (ja) 有効成分輸送のための新規なガレヌス製剤系、調製方法及び使用
JP5324755B2 (ja) 粒子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76134B2 (ja) 凍結乾燥成形品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並びにそのパーツキット製品
JP2013529629A (ja) 多孔性ポリマービーズとナノエマルジョン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レチノール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WO2005102291A1 (ja) 水溶性活性成分含有シームレスカプセル
JP4298158B2 (ja) カプセル化した長鎖アルコ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91435A1 (en)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controlled release system
JP2016008181A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CN109640935A (zh) 包含(e)-3-苯并[1,3]二氧杂环戊烯-5-基-n,n-二苯基-2-丙烯酰胺的混合物
KR20140073902A (ko)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61B1 (ko)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4630658B2 (ja) 疎水性薬剤の吸収および胃腸の生物学的利用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調剤
CN106753789B (zh) 一种释放控释型纳米醇质体香精及其制备方法
WO1993013754A1 (de) Pflanzenextrakt(e) enthaltende formkörper, insbesondere pellets und ihre pharmazeutische oder kosmetische verwendung
KR102060421B1 (ko) 난용성 항진균제가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6851646B2 (ja) 皮膚外用剤用キット
US20230147292A1 (en) Improved formulations of lipophilic subtances for cosmetic uses
JPS63145210A (ja) 化粧料
JP6122815B2 (ja) 経口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Anukanon et al. Masking the Bitter Taste of Pills by Coating with a Fat Emulsion made from Irvingia malay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