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578B1 -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578B1
KR0170578B1 KR1019950066336A KR19950066336A KR0170578B1 KR 0170578 B1 KR0170578 B1 KR 0170578B1 KR 1019950066336 A KR1019950066336 A KR 1019950066336A KR 19950066336 A KR19950066336 A KR 19950066336A KR 0170578 B1 KR0170578 B1 KR 0170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oil
cosmetic composition
g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834A (ko
Inventor
김영택
김광회
이옥섭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5006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578B1/ko
Publication of KR97003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 기제 중에서 안정성이 불량한 성분들을 내상으로 하여 유성피막으로 캡슐화함으로써 보관시 안정성을 향상시켜 각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하는 유성피막 캡슐에 관한 것이며,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수용액 기제 중에서 안정성이 불량한 성분들을 내상으로 하여 유성피막으로 캡슐화함으로써 보관시 안정성을 향상시켜 각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하는 유성피막 캡슐에 관한 것이며,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효소, 아스코르빈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코지산 같은 피부 미백원료, 동식물 추출물 성분 등 화장료에 사용하고 있는 피부 활성성분 등은 수용성 제형에서 장시간 보존시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되어 변색, 변취 등을 일으켜 화장료에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량이 매우 제한되고, 또 점차 이들의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들 활성성분들을 기제로부터 분리시켜 캡슐화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캡슐제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피막재로는 젤라틴, 알긴산, 한천, 콜라겐, 키틴 및 키토산 유도체 등이 있으며, 경화제를 사용하거나 고온에서 용해하여 저온에서 경화되게 하여 피막을 형성, 캡슐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료에서 사용시 가압붕괴성이 좋지 않아 피막의 찌꺼기가 남는 단점이 있어 사용성이 좋지 못하고, 이들 피막재들은 화장 베이스 내의 수분으로부터 활성성분들을 차단하여 안정화시키는 캡슐로서의 기능을 다하지만, 이들 피막재 자체가 수용성이기 때문에, 피막재와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피막재 내의 수분에 의한 활성성분의 산화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미국특허 제3,714,065호에는, 필름형성능력이 있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주로 이용되는 고분자가 수용성 폴리머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피막재와의 끊임없는 접촉에 의해 활성성분들은 손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막재 내의 수분에 의한 활성성분의 산화현상이 없는 캡슐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성성분들 중에서 피막 형성능이 있는 원료를 피막재로 사용하는 경우, 화장료 기제로부터 활성성분들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피막재에 의한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액 기제 중에서 안정성이 불량한 성분들을 내상으로 하여 캡슐화함으로써 보관시 안정성을 향상시켜 각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하는 유성피막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성피막 캡슐은 왁스류와 오일류의 혼합물을 피막재로 사용하고, 수용성 기제 중에서 불안정한 활성성분들을 내상으로 하는 이음새가 없는 0.1∼5㎜ 크기의 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피막재로 사용되는 왁스류는 통상적으로 지방산과 고급 1가 또는 2가의 알콜과의 에스테르를 말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알킬기를 갖는 유리물을 이른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왁스류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며, 적당한 피막 형성능과 가압붕괴성을 위해 왁스류와 오일류를 중량비(왁스류 : 오일류)로 2:8∼5:5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캡슐에서 유성성분들이 피막재로서의 유용한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왁스류와 오일류와의 중량비가 중요하며, 왁스류의 함량이 상기한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피막 형성 자체가 불가능하며, 오일류의 함량이 상기한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피막의 촉감이 불량하며, 가압붕괴성이 불량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범위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왁스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칸데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목납, 호호바유 등의 식물계 왁스; 밀납, 라놀린 등의 동물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리신 등의 광물계 왁스;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등의 석유계 왁스; 경화 피마자유 등의 수소화 왁스 등을 포함한다.
또, 피막재를 구성하는 유성성분에 지용성 비타민류, 식물성 유성활성물질, 동물성 유성활성물질, 광물유, 합성유, 지방산, 지방알콜, 유용성 색소, 안료, 펄 등을 혼합 할 수 있으며, 이때 유성성분 혼합물의 융점을 30∼70℃로 조정하여 실온에서 연고상 또는 고상으로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천연 유성 활성물질을 색상이나 기능별로 구별하기 위해 친유처리된 펄, 유성염료, 안료 등을 피막재를 구성하는 유성성분에 혼합하여 황색, 백색, 녹색, 청색, 적색 등 다양한 색상의 친유성 캡슐을 제조할 수 있으며, 기능성 뿐만 아니라 독특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캡슐에서 내상으로 함유되는 활성성분들은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등의 미백원료, 동식물 추출물, 알파히드록시산 등의 유기산 등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을 들 수 있으며, 캡슐 총 중량의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피막 캡슐은 피막재가 유성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유의 유연함과 풍부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산뜻함이 부족하여 사용감에 있어 불량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성피막 캡슐은 젤상 제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젤상 제품은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이 있으나, 극히 소량의 기름성분을 제외하고는 유성물질을 함유시킬 수가 없어 유성성분 고유의 유연함과 풍부한 보습효과를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상호보완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피막 캡슐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젤상 베이스에 0.05∼70중량%의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점증제로는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룰로스, 산탄검, 소듐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며, 이들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캡슐을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는 물, 열, 공기 등에 불안정하고 제형의 안정도에 많은 영향을 주는 수용성 활성물질을 친유성 캡슐에 내장시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젤상제품의 장점인 산뜻함과 유성제품의 장점인 유연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피부에 대한 사용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친유성 캡슐의 제조방법으로는 이중 원통 오리퍼스에서 캡슐의 내용물과 캡슐 피막물질을 압출하여 냉매 응고액 중에서 냉각하여 구형의 액적을 형성시키는 액중경화피복법을 이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성피막 캡슐의 제조]
[제조방법]
원료 1∼10을 60∼70℃로 가열, 용해시킨 유성성분을 벽재로 하고, 원료 11, 12를 혼합, 용해시킨 베이스를 내상으로 하여, 이중노즐을 이용하여 흐르고 있는 냉매중에 가압토출하여 입경 1∼3㎜ 크기의 피막이 연고상 유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이음새 없는 백색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유성피막 캡슐의 제조]
[제조방법]
원료 1∼9를 60∼70℃로 가열, 용해시킨 유성성분을 벽재로 하고, 원료 10을 내상으로 하여, 이중노즐을 이용하여 흐르고 있는 냉매중에 가압토출하여 입경 2∼4㎜ 크기의 피막이 연고상 유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이음새 없는 청색 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콜라겐 캡슐의 제조]
아텔로 콜라겐의 1% 수용액 100g과 아스코르빈산 5g을 고르게 교반 혼합하였다. 유동파라핀 800g을 혼합기를 이용하여 6,000rpm으로 교반하면서 여기에 상기 용액을 적가시킨 후 교반을 계속하였다. 여기에 가교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 에테르 5%의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용액 200g을 가한 후, 6,000rpm으로 교반하면서 2시간 동안 가교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수회를 걸쳐 수세한 후 여과하였다. 평균 직경 30㎛의 캡슐을 얻었다.
[실시예 3]
[젤상 화장료]
[제조방법]
원료 1∼10을 혼합, 용해시켜 수용액 파트로 하였다. 별도로 원료 11∼13을 혼합, 용해시켜 알콜 파트로 하였다. 알콜 파트를 수용액 파트에 첨가하여 젤상의 베이스를 만들고, 원료 14를 젤상 베이스에 가하여 유성입자가 함유된 젤상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젤상 화장료]
[제조방법]
원료 1∼10을 혼합, 용해시켜 수용액 파트로 하였다. 별도로 원료 11∼13을 혼합, 용해시켜 알콜 파트로 하였다. 알콜 파트를 수용액 파트에 첨가하여 젤상의 베이스를 만들고, 원료 14를 젤상 베이스에 가하여 유성입자가 함유된 젤상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해 아래의 비교예 2∼4를 제조하였다. 먼저 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 측정을 위해 비교예 1의 콜라겐 캘슐을 함유하는 젤상화장료와 아스코르빈산을 캡슐화하지 않고 외상에 첨가한 비교예 3와, 유기산 함유시 점도의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외상에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4, 젖산을 외상에 첨가한 비교예 5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젤상 화장료]
[제조방법]
원료 1∼10을 혼합, 용해시켜 수용액 파트로 하였다. 별도로 원료 11∼13을 혼합, 용해시켜 알콜 파트로 하였다. 알콜 파트를 수용액 파트에 첨가하여 젤상의 베이스를 만들고, 원료 14를 젤상 베이스에 가하여 유성입자가 함유된 젤상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스코르빈산을 외상에 첨가]
[제조방법]
원료 1∼11을 혼합, 용해시켜 수용액 파트로 하고, 원료 12∼14를 혼합, 용해시켜 알콜파트로 하였다. 알콜파트를 수용액 파트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젖산을 외상에 첨가하지 않음]
[제조방법]
원료 1∼10을 혼합, 용해시켜 수용액 파트로 하고, 원료 11∼13을 혼합, 용해시켜 알콜파트로 하였다. 알콜파트를 수용액파트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젖산을 외상에 첨가]
[제조방법]
원료 1∼11을 혼합, 용해시켜 수용액 파트로 하고, 원료 12∼14를 혼합, 용해시켜 알콜파트로 하였다. 알콜파트를 수용액파트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아스코르빈산 함량측정]
[측정방법]
HPLC를 이용하여 기록된 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여 측정.
* HPLC 측정조건 : 컬럼, 뉴클레오실 C7㎛; 모빌페이스, 2mM의 테트라부틸암모늄히드록사이드수용액, pH2.92; 유속 1.5㎖/분; UV검출 254㎚
* A : 90% 초과
B : 50∼90%
C : 10∼50%
D : 10% 미만
[시험예 2]
[점도측정]
[측정방법]
Brookfield점도계 LVT 100423을 이용하여 30℃에서 1일 경과후에 측정
실시예 4, 비교예 4는 스핀들 No. 4, rpm 12로 측정하였고, 비교예 3은 스핀들 No. 1, rpm 60으로 조정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 1,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으로 제조된 화장료는 시험예 1에서와 같이 실온에서 6개월 경과 후에도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90%이상 함유되어 있고, 시험예 2에서와 같이 점도의 변화가 외상에 젖산을 첨가한 비교예 3에 비해 외상에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와 차이가 없어 아스코르빈산의 안정화 및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한 내용물의 안정화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피막재로 왁스류와 오일류를 중량비로 2:8∼5:5로 혼합한 상온에서 고상 또는 연고상인 혼합물을 함유하고; 내상으로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파히드록시산 또는 젖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캡슐 총 중량의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여 0.1∼5㎜의 크기로 제조된 유성피막 캡슐을 조성물 총 중량의 0.05∼7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KR1019950066336A 1995-12-29 1995-12-29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KR0170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336A KR0170578B1 (ko) 1995-12-29 1995-12-29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336A KR0170578B1 (ko) 1995-12-29 1995-12-29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34A KR970032834A (ko) 1997-07-22
KR0170578B1 true KR0170578B1 (ko) 1999-02-18

Family

ID=1944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336A KR0170578B1 (ko) 1995-12-29 1995-12-29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288B1 (ko) * 1999-12-15 2002-12-26 주식회사 대웅 표피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KR101936161B1 (ko) * 2018-02-14 2019-01-08 (주) 씨유스킨 비타민 u 또는 이의 염이 봉입된 왁스 오일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34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0547A (en) Colored cosmetic sticks
US6280746B1 (en) Dry emollient compositions
US5087446A (en) Skin cosmetics
US6517818B1 (en) Lip or care stick which contains vitamins
US4795631A (en) Water based lip color comprising an alkali soluble film-forming agent
JP3217056B2 (ja) 非親水性、リポイド状物質のスフィロイドを懸濁状で含む水性ゲル化粧用組成物
US7993677B2 (en) Density-controlled particulate suspensions for foodstuff, cosmetic, pharmaceutical and other uses
US5674504A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aqueous gel containing in suspension spheroids of a non-hydrophilic, lipoidal substance
KR101965883B1 (ko)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US4664909A (en) Stable suspension of powder in alcoholic media
US4534962A (en) Sodium bicarbonate suspension as deodorant product
KR102261590B1 (ko)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0170578B1 (ko) 유성피막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조성물
JP3201914B2 (ja) W/o型マイクロカプセル状エマルジョン。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JP3746260B2 (ja) 皮膚外用剤
USRE38141E1 (en) Dry emollient compositions
KR100308769B1 (ko) 동결건조 레티놀 미세소구체 및 이를 함유하는 입술화장료 조성물
KR970001206B1 (ko) 액정 함유 캡슐 화장료
JPH0440324B2 (ko)
KR20150033218A (ko) 실크 피브로인 미세입자를 함유하는 입술 보호제 조성물
KR20190140604A (ko) 투명성상의 이중구조를 갖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920002281B1 (ko) 유성 물질을 함유하는 젤상 화장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174859A (ko) 컬러파우더의 캡슐 액정이 포함된 톤 업 기능의 세럼
JPH0262817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