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068B1 - 식모장치 - Google Patents

식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068B1
KR101229068B1 KR1020100083603A KR20100083603A KR101229068B1 KR 101229068 B1 KR101229068 B1 KR 101229068B1 KR 1020100083603 A KR1020100083603 A KR 1020100083603A KR 20100083603 A KR20100083603 A KR 20100083603A KR 101229068 B1 KR101229068 B1 KR 10122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inger
guide
fixed
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961A (ko
Inventor
이동하
정원교
이종훈
남영진
박창현
조행래
김태형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이동하
정원교
이종훈
김주환
박창현
조행래
김태형
남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하, 정원교, 이종훈, 김주환, 박창현, 조행래, 김태형, 남영진 filed Critical 이동하
Priority to KR102010008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0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50)는, 본 발명을 지지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송하는 수직이송부(200)와, 상기 수직이송부(200)에 장착되어 전후좌우로 이송하는 수평이송부(300)와, 상기 수평이송부(300)에 고정되어 식모기(10)를 잡기도 하고 놓기도 하며 전후좌우 회동이 자유로운 핑거(400)와, 상기 핑거(400)에 장착되어 상기 식모기(10)의 헤드(15)를 눌렀다가 놓아줌으로써 식모기(10)가 작동되도록 하는 푸시부(600)와, 상기 핑거(400)에 장착되어 두피(S)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국부카메라(510)와, 상기 국부카메라(510)에 연결되어 두피(S)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모니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시술자가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확대된 두피(S)를 보면서 상기 푸시부(600)의 작동으로 모낭(미도시)이 이식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모장치{TRANSPLANTATION INSTALLATION OF HAIR}
본 발명은 식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식모기를 두피에 근접시켜서 머리카락을 이식시키는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발명한 식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식모기의 침에 모낭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식모기의 침을 두피에 삽입하여 머리카락을 이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요즘,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서 대머리가 된 사람들을 위해서 머리카락을 이식하는 시술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식 시술은 자신의 머리카락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도 없고, 두피에 잔류하는 머리카락과 색상 및 굵기가 일치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머리카락(H) 이식 시술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두피(S)에서 머리카락(H)이 많은 부분을 선택한 후, 두피(S)를 절개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된 두피(S)에서 머리카락(H)이 심겨진 모낭(E)을 채취한다.
다음으로, 식모기(10)를 준비한다. 상기 식모기(10)는 펜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모낭(E)을 두피(S)에 식모하는 도구로서, 일측 종단부에 주사바늘처럼 생긴 침(13)이 구성되고, 상기 침(13)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6)는 침(13)의 종단부(14)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로트처럼 절개되어 머리카락(H)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침(13)의 반대측 종단부에는 내측에 수용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눌렀다가 놓으면 튀어 올라오는 헤드(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헤드(15)에 의해 침(13)의 종단부(14) 쪽으로 밀려나는 압송핀(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모기(10)는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식모기는 상기 헤드(15)를 누르게 되면, 압송핀(18)만 밀려나오는 것이 있고, 상기 침(13)이 밀려나온 후, 상기 압송핀(18)이 순차적으로 밀려나오도록 작동하는 것도 있다.
시술예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에서 언급한 대로 모낭(E)을 채취한 후, 도 2에서처럼, 모낭(E)을 식모기(10)의 침(13) 속으로 넣으면서, 머리카락(H)은 상기 삽입부(16)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침(13)을 도 3에서처럼, 두피(S)의 모공(T)에 찔러 넣는다. 이때, 상기 모공(T) 이외의 두피(S)에 찔러 넣을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헤드(15)를 누르면, 압송핀(18)이 내려오면서 모낭(E)을 침(13) 바깥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식모기(10)를 두피(S)에서 뽑아 올린 후, 모낭(E)이 삽입된 다른 식모기(10)로 상기 시술을 반복한다.
상기에서 헤드(15)를 누르면 바로 침(13)이 밀려 내려오면서, 압송핀(18)이 뒤이어 내려오도록 작동하는 식모기(10)의 경우에는, 상기 침(13)의 종단부(14)를 두피(S)의 적소에 위치시킨 후, 헤드(15)를 눌렀다가 놓는다. 그러면, 순식간에 침(13)은 두피(S)를 관통하고, 뒤따라 내려온 압송핀(18)은 모낭(E)을 두피 속에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13)은 식모기(10)의 내부에 구성된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두피(S)를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식모 시술은 피부과 의사인 시술자가 수작업으로 하게 된다. 즉, 확대경을 환자의 머리 위에 오도록 설치한 후, 육안으로 일일이 두피에 상기 식모기를 찔러넣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6시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6시간 동안 동일 자세로 앉아서 단순 작업을 반복하기 때문에 시술자는 눈과 목 및 척추에 큰 무리를 가져오게 되어 각종 질환에 시달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작업에 의지하다 보니, 신속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서 시술자뿐만 아니라, 환자에게도 큰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는, 본 발명의 지지기능을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송하는 수직이송부와, 상기 수직이송부에 장착되어 전후좌우로 이송하는 수평이송부와, 상기 수평이송부에 고정되어 식모기를 잡기도 하고 놓기도 하며 전후좌우 회동이 자유로운 핑거와, 상기 핑거에 장착되어 상기 식모기의 헤드를 눌렀다가 놓아줌으로써 식모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푸시부와, 상기 핑거에 장착되어 두피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국부카메라와, 상기 국부카메라에 연결되어 두피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모니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기둥 중 일측의 기둥의 상단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축과, 상기 일측 기둥에 상대되는 기둥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된 가이드축과,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된 너트와, 상기 가이드축에 끼워진 가이드와, 상기 너트와 가이드를 연결하는 상부레일과, 상기 스크류축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이송부는 상기 상부레일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상부가이드의 하방에, 상부레일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부레일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하부가이드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는 상기 하부 가이드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아암과, 상기 아암의 하부 종단에 고정되며 회전축이 한쪽 측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전후방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종단에 고정되어, 회전축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측방모터와, 상기 측방모터의 회전축의 종단에 고정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전면에 부착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에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장착판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로드가 상기 지지판을 향하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종단부에 고정되어 로드의 전진에 의해 상기 지지판에 접촉하는 가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에 지지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송부의 모터, 상부모터, 하부모터, 그리고,전후방모터 및 측방모터를 컨트롤하여 핑거가 세팅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는, 시술자가 일일이 환자의 두피를 손으로 헤쳐가면서 이식 시술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모니터를 보면서 확대된 두피를 탐색한 후, 조이스틱이나 스위치 등을 통해 용이하게 식모기를 두피에 근접시킨 후, 한 번의 스위치 작동으로 이식 시술은 완료되기 때문에, 시술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장시간 시술에 따르는 눈의 피로와 목과 척추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신속한 시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식모기의 침에 모낭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식모기의 침을 두피에 삽입하여 머리카락을 이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의 수평이송부에 구성되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가 각각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의 상부를 국부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카트리지를 향해 핑거가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에 구성되는 핑거가 식모기를 잡기 위해 이송하는 과정을 국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의 상부를 국부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조망카메라가 본 발명의 주위에 시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핑거를 T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환자의 두상을 부가하여 시술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8에서 핑거를 K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의 수평이송부에 구성되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가 각각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의 상부를 국부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카트리지를 향해 핑거가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에 구성되는 핑거가 식모기를 잡기 위해 이송하는 과정을 국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의 상부를 국부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조망카메라가 본 발명의 주위에 시설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핑거를 T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환자의 두상을 부가하여 시술하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8에서 핑거를 K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요즘은 머리카락이 많이 빠져서 대머리가 된 사람들을 위해서 머리카락을 이식하는 시술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피이식자들의 두피(S)에 모낭을 삽입하는 기구로서 식모기(10)가 있다.
이러한 식모기(10)는 펜과 유사하게 형성되는데, 일측 종단부에 주사바늘처럼 생긴 침(13)이 구성되고, 상기 침(13)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는 침(13)의 종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로트처럼 절개되어 머리카락(H)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침(13)의 반대측 종단부에는 내측에 수용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눌렀다가 놓으면 튀어 올라오는 헤드(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1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헤드(15)에 의해 침(13)의 종단부 쪽으로 밀려나는 압송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모기(10)를, 상기 헤드(15)를 누르면 바로 침(13)이 밀려 내려오면서, 압송핀(18)이 뒤이어 내려오도록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도 7에서 도시한 것처럼, 상하로 이격된 플랜지(17)가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모기(10)를 사람의 손처럼 잡고서 환자(M)의 두피(S)에 모낭(미도시)을 찔러 넣을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모장치(50)의 지지기능을 하는 프레임(10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송하는 수직이송부(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이송부(200)에 장착되어 전후좌우로 이송하는 수평이송부(300)가 구성되며, 상기 수평이송부(300)에 고정되어 상기 식모기(10)를 잡기도 하고 놓기도 하며 전후좌우 회동이 자유로운 핑거(4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400)에 장착되어 상기 식모기(10)의 헤드(15)를 눌렀다가 놓아줌으로써 식모기(10)가 작동되도록 하는 푸시부(6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핑거(400)에 장착되어 두피(S)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국부카메라(510)가 구성되고, 상기 국부카메라(510)에 연결되어 두피(S)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모니터(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수직이송부(200) 및 수평이송부(300) 그리고 핑거(400)는 전기의 인가에 의해 모터의 구동으로 작동되는 것으로서 조이스틱(미도시) 또는 스위치에 의해 전기의 인가를 단속함으로써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시술자는 상기 핑거(400)를 통해서 상기 식모기(10)를 잡은 후, 수직이송부(200)를 통해서 식모기(1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수평이송부(300)를 통해서 식모기(10)의 수평 이송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M)의 두피(S)의 적소에 식모기(10)의 침(13)을 근접시킬 수 있다. 이때, 두피(S)의 경사에 따라 핑거(400)가 회동하도록 하여 침(13)이 두피(S)에 직각이 되도록 조정한 후, 상기 핑거(400)를 통해서 식모기(10)의 헤드(15)를 눌렀다가 놓음으로써, 상기 침(13)은 두피(S)를 뚫고 들어간 후, 뒤이어 압송핀(미도시)이 내려와서 모낭(미도시)을 두피(S) 속에 떨어뜨리고 나서, 상기 침(13)은 두피(S)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리고나서, 핑거(400)가 식모기(10)를 놓도록 하고, 다시 모낭(미도시)이 삽입된 식모기(10)를 잡도록 한 후, 상기 공정을 반복하도록 한다. 물론, 이때, 시술자는 상기 국부카메라(510)를 통해서 두피(S) 표면을 모니터(미도시)를 통해서 확대해서 보면서 시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는 의자에 편하게 앉은 상태에서 모니터(미도시)를 통해서, 두피(S)를 용이하게 탐색하면서 상기 핑거(400)의 작동을 통해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동일 자세로 장시간 시술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
상기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100)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세워진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의 하부종단에 부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20)가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20)는 일례로 판상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서처럼, 양측 기둥(110)에 분리되어 결합된 블록(123)과, 상기 블록(123)을 연결하여 양측 기둥(11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연결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송부(200)는 상기 기둥(110) 중 일측의 기둥(110)의 상단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축(210)과, 상대측 기둥(110)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된 가이드축(23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축(210)에 체결된 너트(220)와, 상기 가이드축(230)에 끼워진 가이드(2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220)와 가이드(240)를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레일(250)이 구성된다. 또한, 모터(263)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210)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60)는 일례로서 상기 일측 기둥(110)에 고정된 브래킷(261)과, 상기 브래킷(261)에 로딩된 모터(263)와, 상기 모터(263)의 회전축에 고정된 구동회전체(265)와, 상기 구동회전체(265)에 평행하도록 스크류축(210)에 고정된 종동회전체(267)와, 상기 구동회전체(265)와 종동회전체(267)에 감기어서 동력을 전달하는 밴드 형상의 전달수단(269)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구동회전체(265)와 종동회전체(267)는 벨트풀리 또는 스프로킷이 될 수 있고, 상기 전달수단(269)은 벨트 또는 체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송부(300)는 상기 상부레일(250)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상부가이드(310)와 상기 상부가이드(310)의 하방에, 상부레일(250)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부레일(250)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레일(3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레일(330)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하부가이드(340)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310)와 하부가이드(34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일례로 내부에 롤러(313)가 구성되어 상기 상부레일(250)과 하부레일(330)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310)와 하부가이드(340)에 각각 상부모터(320) 및 하부모터(350)가 장착되어 상기 롤러(313)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310)와 상부레일(250) 그리고 하부가이드(340)와 하부레일(330)의 장착례를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레일(250)과 하부레일(330)은 양 측면(317)에 후술하는 롤러(313)가 수용되는 홈(335)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310)와 하부가이드(340)는 상부가 개방된 U형상으로서 개방부가 상부레일(250)과 하부레일(330)을 하방에서 수용하는 바디(31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310)와 하부가이드(340)의 내측면(312)에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상기 홈(335)에 수용되는 롤러(31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311)의 일측 외측면에 고정되어 일측 롤러(31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부모터(320) 및 하부모터(35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터(320)와 하부모터(350)에 의해 상부가이드(310) 및 하부가이드(340)는 자발로 상부레일(250)과 하부레일(330)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핑거(400)는 상기 하부 가이드(340)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아암(410)과, 상기 아암(410)의 하부 종단에 고정되며 회전축(421)이 한쪽 측방(좌우 기둥(110) 방향을 측방으로 지정함)을 향하도록 전후방모터(420)가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모터(420)는 다른 모터와 구분 짓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편의 상, 명명한 것으로서 회전축(421)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또한, 상기 회전축(421)의 종단에 회전축(431)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측방모터(430)를 고정한다. 상기 측방모터(430)는 다른 모터와 구분 짓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편의상, 명명한 것으로서 회전축(431)이 좌측방 또는 우측방으로 회전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상기 측방모터(430)의 회전축(431)의 종단에 고정되는 회전판(440)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판(440)의 전면(443)에 후술하는 에어실린더(460)가 부착되는 장착판(450)이 구성된다. 상기 장착판(45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443)에 식모기(10)를 잡기 위한 지지판(480)이 구성되고, 상기 장착판(450)의 외측면(455)에 부착되어 로드(463)가 상기 지지판(480)을 향하는 에어실린더(46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463)의 종단부에 고정됨으로써 로드(463)의 전진에 의해 상기 지지판(480)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식모기(10)를 잡는 가동판(470)이 구성된다. 상기 가동판(470)과 지지판(480)의 상호 대응면(473, 483)에는 상기 식모기(10)를 수용하는 홈(475, 48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동판(470)과 지지판(480)은 동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식모기(10)의 플랜지(17)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식모기(10)의 견고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시부(600)는 상기 핑거(400)에 지지되는 모터(620)와, 상기 모터(620)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핑거(400)에 의해 잡혀진 식모기(10)의 헤드(15)를 눌렀다가 놓는 캠(63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회전판(440) 및 장착판(450) 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610, BAR)가 구성되고, 상기 바(610)의 종단부에는 회전축(625)이 지지판(480)을 향하도록 고정된 모터(62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25)의 종단부에는 상기 식모기(10)가 핑거에 잡혔을 때, 식모기(10)의 헤드(15) 상부에 위치하는 캠(6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캠(630)의 높이는 캠(630)이 회전하였을 때, 헤드(15)가 눌러졌다가 올라올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일례로, 캠(630)이 헤드(15) 상면에 접한 상태이고, 이때 헤드(15)는 상향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캠(630)이 일회전하면 헤드(15)는 눌러졌다가 상향하여 복원된다.
상기 국부카메라(510)는 상기 회전판(440) 및 장착판(450) 중 선택된 하나에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송부(200)의 모터(263), 상부모터(320), 하부모터(350), 그리고 전후방모터(420) 및 측방모터(430), 푸시부(600)의 모터(620)는 모두 하나의 조이스틱(미도시)을 통해 전기의 인가가 단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각 모터의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제어를 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M)의 두상을 실시간으로 모든 방향에서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5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520)는 따로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하여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기둥(110)에 프레임(미도시)을 고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캠(630)의 회전에 의해 식모를 완료한 후, 상기 수직이송부(200)의 모터(263), 상부모터(320), 하부모터(350), 그리고 전후방모터(420) 및 측방모터(430)를 컨트롤하여 핑거(400)가 세팅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이송부(200)의 모터(263), 상부모터(320), 하부모터(350), 그리고 전후방모터(420) 및 측방모터(430)에는 회전수 감지센서(미도시)가 장착되어 정역방향의 회전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처음 세팅 상태에서의 위치를 제로(ZERO)로 잡고, 상기 정역 방향의 회전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세팅 상태에서 핑거(400)의 X좌표, Y좌표, Z좌표를 항상 실시간으로 계산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이다. 따라서, 복귀를 명령하면 상기 핑거(400)가 원위치로 돌아가도록 상기 제어부는 프로그램된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기둥(110) 사이에 환자(M)가 착석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520)를 통해서 여러 방향에서 환자(M)의 두상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확인된다. 이렇게 환자(M)의 두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이유는 이식으로 인한 변화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핑거(400)의 가동판(470)과 지지판(480)의 사이에 식모기(10)가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460)를 작동시켜서 로드(463)가 전진하여 가동판(470)이 식모기(10)를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식모기(10)의 침(13)에 모낭(미도시)이 삽입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핑거(400)는 식모기(10)를 잡은 상태가 된다. 이때, 식모기(10)는 가동판(470)과 지지판(480)의 홈(475, 487)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식모기(10)의 플랜지(17) 사이에 가동판(470)과 지지판(480)이 개재됨으로써, 식모기(10)는 상하로 이송되는 현상 없이 견고하게 파지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수직이송부(200)의 모터(263)를 정역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스크류축(21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너트(220)가 상하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240)는 가이드축(230)에 지지되어 너트(220)를 따라 이송하면서 너트(220) 상하방으로 이송하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220)와 가이드(240)에 연결된 상부레잉(250)이 상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식모기(1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높이 조정이 된 후, 시술자는 상기 국부카메라(510)를 통해서 환자(M)의 두피(S)를 확대해서 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모터(320)와 하부모터(35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부가이드(310)와 하부가이드(340)의 내부에 장착된 롤러(313)가 상부레일(250)과 하부레일(330)에 형성된 홈(335)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굴러감으로써, 각각 상부레일(250)과 하부레일(330)을 따라서 자유롭게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400)는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이송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수직이송부(200)를 통해서 높이도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서, 시술자는 국부카메라(510)를 통해서 두피(S)를 탐색하다가 이식에 가장 적합한 포인트를 선정한다. 그러면, 상기 수직이송부(200)를 통해서 식모기(10)의 침(13) 종단부가 포인트에 근접하도록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모터(450)와 측방모터(430)를 정역으로 구동하여 침(13)에 두피(S)에 적합한 각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푸시부(600)의 모터(620)가 일회전 하도록 전기를 인가하는데, 이것은 일례로 한 번의 누름으로 전기를 인가한 후 끊어버리는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모터(620)가 일회전 하면 캠(630)이 한 바퀴 돌면서 상기 식모기(10)의 헤드(15)는 눌러진 후 상향하여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침(13)이 두피(S)를 관통한 후, 침(13) 속에 내장된 압송핀(미도시)이 내려오면서 모낭(미도시)을 두피(S) 속에 떨어뜨린다. 그리고, 상기 침(13)은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두피(S)를 빠져나오게 되고, 상기 압송핀(미도시)도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핑거(400)를 환자(M)의 두피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에어실린더(460)의 로드(463)를 후진시킨 후, 사용된 식모기(10)를 이탈시킨 후, 모낭(미도시)이 삽입된 다른 식모기(10)를 상기 핑거(400)에 파지시킨 후, 상기 작업이 반복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제어부가 구성된 경우에는 시술 후에, 핑거(400)가 환자(M)로부터 이격된 거리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서처럼, 식모기(10)가 장착된 카트리지(80)가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 핑거(400)가 카트리지(80)를 향해 전진한 후, 식모기(10)를 잡고서 후진하면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시술한 후에 핑거(400)가 제로세팅되도록 복귀하게 되면 자연히 카트리지(80)에 식모기(10)를 끼운 후에 식모기(10)를 놓고 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카트리지(80)가 모터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하도록 하면 상기 핑거(400) 앞에 다시 모낭(미도시)이 삽입된 식모기(1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400)는 다시 전진하여 식모기(10)를 잡고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는 일일이 환자(M)의 두피를 손으로 헤쳐가면서 이식 시술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모니터(미도시)를 보면서 확대된 두피를 탐색한 후, 조이스틱이나 스위치 등을 통해 용이하게 식모기(10)를 두피에 근접시킨 후, 한 번의 스위치 작동으로 이식 시술은 완료됨으로써 시술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모니터를 보면서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시술에 따르는 눈의 피로와 목과 척추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신속한 시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0: 프레임 110: 기둥
120: 받침대 123: 블록
125: 연결대 200: 이송부
210: 스크류축 220: 너트
230: 가이드축 240: 가이드
250: 상부레일 260: 구동부
261: 브래킷 263: 모터
265: 구동회전체 267: 종동회전체
269: 전달수단 300: 수평이송부
310: 상부가이드 311: 바디
312: 내측면 313: 롤러
320: 상부모터 330: 하부레일
335: 홈 340: 하부가이드
350: 하부모터 400: 핑거
410: 아암 420: 전후방모터
421, 431: 회전축 430: 측방모터
440: 회전판 443: 전면
450: 장착판 460: 에어실린더
470: 가동판 480: 지지판
510: 국부카메라 520: 카메라
600: 푸시부 610: 바
620: 모터 630: 캠
700: 제어부

Claims (6)

  1. 지지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송하는 수직이송부(200)와,
    상기 수직이송부(200)에 장착되어 전후좌우로 이송하는 수평이송부(300)와,
    상기 수평이송부(300)에 고정되어 식모기(10)를 잡기도 하고 놓기도 하며 전후좌우 회동이 자유로운 핑거(400)와,
    상기 핑거(400)에 장착되어 상기 식모기(10)의 헤드(15)를 눌렀다가 놓아줌으로써 식모기(10)가 작동되도록 하는 푸시부(600)와,
    상기 핑거(400)에 장착되어 두피(S)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국부카메라(510)와,
    상기 국부카메라(510)에 연결되어 두피(S)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모니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세워진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의 하부종단에 부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2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송부(200)는 상기 기둥(110) 중 일측의 기둥(110)의 상단에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스크류축(210)과,
    상기 일측 기둥(110)에 상대되는 기둥(110)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된 가이드축(230)과,
    상기 스크류축(210)에 체결된 너트(220)와,
    상기 가이드축(230)에 끼워진 가이드(240)와,
    상기 너트(220)와 가이드(240)를 연결하는 상부레일(250)과,
    상기 스크류축(210)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300)는 상기 상부레일(250)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상부가이드(310)와,
    상기 상부가이드(310)의 하방에, 상부레일(250)과 직각 방향이 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부레일(250)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레일(330)과,
    상기 하부레일(330)에 장착되어 이송하는 하부가이드(340)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310)와 하부가이드(34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400)는 상기 하부 가이드(340)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아암(410)과,
    상기 아암(410)의 하부 종단에 고정되며 회전축(421)이 한쪽 측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전후방모터(420)와,
    상기 회전축(421)의 종단에 고정되어, 회전축(431)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측방모터(430)와,
    상기 측방모터(430)의 회전축(431)의 종단에 고정되는 회전판(440)과,
    상기 회전판(440)의 전면(443)에 부착되는 장착판(450)과,
    상기 장착판(450)에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443)에 고정되는 지지판(480)과,
    상기 장착판(450)의 외측면(455)에 부착되어 로드(463)가 상기 지지판(480)을 향하는 에어실린더(460)와,
    상기 로드(463)의 종단부에 고정되어 로드(463)의 전진에 의해 상기 지지판(480)에 접촉하는 가동판(4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장치.
  5. 제1항부터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400)에 지지되는 모터(620)와,
    상기 모터(620)에 의해 회전하는 캠(6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부(200)의 모터(263), 상부모터(320), 하부모터(350), 그리고 전후방모터(420) 및 측방모터(430)를 컨트롤하여 핑거(400)가 세팅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제어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모장치.
KR1020100083603A 2010-08-27 2010-08-27 식모장치 KR10122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603A KR101229068B1 (ko) 2010-08-27 2010-08-27 식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603A KR101229068B1 (ko) 2010-08-27 2010-08-27 식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61A KR20120019961A (ko) 2012-03-07
KR101229068B1 true KR101229068B1 (ko) 2013-02-04

Family

ID=4612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603A KR101229068B1 (ko) 2010-08-27 2010-08-27 식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0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29A (ko) * 2017-12-20 2019-06-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이식 수술용 식모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8563A (ko) * 2021-04-29 2022-11-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자유도 초정밀 조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473B1 (ko) * 2012-06-21 2013-12-06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제어장치
KR102158499B1 (ko) * 2013-06-24 2020-09-23 큐렉소 주식회사 중재시술용 바늘 삽입 엔드이펙터
KR101603970B1 (ko) * 2014-05-12 2016-03-25 정용철 모발 자동 식모기
KR102425251B1 (ko) * 2015-06-03 2022-07-26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장치
KR102527391B1 (ko) * 2015-07-22 2023-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EP3773314B1 (en) * 2018-04-09 2024-02-21 Lütfi Keçici Direct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hair transplantation
KR102457429B1 (ko) * 2020-05-13 2022-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리지 교체형 전자동 식모기
KR102495863B1 (ko) * 2021-10-13 2023-02-07 주식회사 오대 멀티채널 식모기를 장착하는 장착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자동 식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0298A1 (en) 2000-04-20 2003-06-26 Gildenberg Philip L. Hair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49793A (ko) * 2005-09-30 2008-06-04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낭 유닛들을 채취하여 이식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방법들
JP2009279430A (ja) 1999-04-23 2009-12-03 Restoration Robotics Inc 毛髪移植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430A (ja) 1999-04-23 2009-12-03 Restoration Robotics Inc 毛髪移植法および装置
US20030120298A1 (en) 2000-04-20 2003-06-26 Gildenberg Philip L. Hair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49793A (ko) * 2005-09-30 2008-06-04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모낭 유닛들을 채취하여 이식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방법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29A (ko) * 2017-12-20 2019-06-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이식 수술용 식모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070456B1 (ko) * 2017-12-20 2020-01-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발 이식 수술용 식모기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8563A (ko) * 2021-04-29 2022-11-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자유도 초정밀 조작장치
KR102576237B1 (ko) 2021-04-29 2023-09-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자유도 초정밀 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61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068B1 (ko) 식모장치
ES2882484T3 (es) Aparato y método de colocación de esquejes y unidad contenedora de esqueje para plantar esquejes en un medio de cultivo
US105486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follicular unit transplantation
JP5000135B2 (ja) 自動化プランター
JP3205181B2 (ja) 接ぎ木苗製造装置
KR20160142691A (ko) 자동 식모 장치
JP5303775B2 (ja) ニンニク等の球根植え付け機
JPH069442B2 (ja) 苗植え付け装置
JP4168200B2 (ja) 苗移植機
KR100576067B1 (ko) 정식기의 플러그묘 취출장치
JP3581216B2 (ja) 人力田植機
JP3898200B2 (ja) 移植機の苗取出装置
JP4636237B2 (ja) 苗挿し機
JP4381562B2 (ja) 苗移植機
JP4100559B2 (ja) 苗挿し機
JP3238593B2 (ja) 移植機の苗取出・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3210011A (ja) 苗移植機
JP3569045B2 (ja) 野菜移植機の苗株取出方法
JP3820200B2 (ja) 移植機の苗取り出し装置
JP3737799B2 (ja) 種駒供給装置及び種駒植込機
JP3057327B2 (ja) 移植機における移植装置
KR20200133991A (ko) 좌우 그리퍼를 가진 식모기 이송장치
JP2004081162A (ja) 移植機の苗取り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314713A (ja) かつら植毛機
JP2004208519A (ja) 苗挿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