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461B1 -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461B1
KR101226461B1 KR1020087004109A KR20087004109A KR101226461B1 KR 101226461 B1 KR101226461 B1 KR 101226461B1 KR 1020087004109 A KR1020087004109 A KR 1020087004109A KR 20087004109 A KR20087004109 A KR 20087004109A KR 101226461 B1 KR101226461 B1 KR 10122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air
cylinder
stem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148A (ko
Inventor
히로시 미주시마
시게오 이이주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51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002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182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105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8005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97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with means for sucking bac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the nozzle after a dispensing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출용기는 용기본체와, 토출펌프와, 장착캡을 구비하는 토출용기로서, 토출펌프는, 대경 실린더 및 소경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재와, 실린더부재에 장착되는 피스톤부재와, 노즐헤드를 구비한다. 피스톤부재는, 피스톤과, 포펫밸브와, 피스톤가이드와, 에어피스톤과, 에어피스톤 밸브와, 스템을 구비한다. 에어피스톤은, 피스톤가이드의 외주에 결합되는 내측관부와, 공기홀을 가지는 상측벽부와, 대경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슬라이딩부를 가진다. 스템은, 피스톤가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피스톤가이드의 상부 내측에 볼밸브를 가지는 기액혼합실을 형성하고, 또한, 내측관부의 상부내측관부에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관부와, 에어피스톤의 상부 내주에 장착된 메쉬링을 가진다. 스템의 외주에는 노즐헤드가 장착되어 있다.
토출용기, 토출펌프, 실린더부재, 피스톤가이드, 에어피스톤, 스템, 기액혼합실, 메쉬링

Description

토출용기{EJECTING CONTAINER}
본 발명은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용액을 기포 상태로 만들어 토출하는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7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5-222250호, 2006년 5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6-151209호, 및 2006년 6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6-18230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용기본체와, 실린더와, 피스톤과, 스템과, 노즐헤드를 구비하여 내용액을 기포 상태로 만들어 토출하는 토출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토출용기의 경우에는, 노즐헤드를 누름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액이 상방으로 흡입되어 기액혼합실 내에서 공기와 혼합되고, 메쉬링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며, 발포된 내용액이 노즐헤드의 노즐홀을 통해 토출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그 이외에도, 상기 구조를 가지는 토출용기에 있어서, 노즐 내에 잔존한 내용물이 매달려 떨어지거나 잔존하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용액을 토출시킨 후,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용기본체를 향해 흡입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토출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1997(평성 9년)-124063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027654호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토출용기(이 문헌에서는, 기포 분출 펌프)는, 기액혼합실로 공기를 보내기 위해, 그 내부가 공기실이 되는 대경 실린더부와, 제 2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의 내부가 부압(negative pressure)이 되지 않도록 용기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대경 실린더부의 내주 상부에 제 1 공기 흡입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액혼합실로 공기를 보내기 위해, 대경 실린더부에 결합되는 대경의 제 2 피스톤의 하면에 제 2 공기 흡입밸브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토출용기의 경우에는, 토출펌프의 공기 흡입밸브의 부품수가 많아지고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토출용기는, 내측에 기액혼합실이 형성된 스템의 상부에, 발포 유닛이 내측에 장착된 펌프헤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토출용기의 경우에는,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펌프헤드가 발포 유닛과 함께 스템의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펌프헤드가 스템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면, 스템의 상부 내측의 기액혼합실의 위쪽이 개구되어 기액혼합실 내에 수납되어 있는 구형의 액토출밸브가 밖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이를 분실할 경우에는, 펌프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토출용기에는, 누름헤드(노즐헤드) 내에 특수한 밸브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 공정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밸브기구를 간소화하고, 토출펌프의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토출펌프의 노즐헤드가 토출펌프의 스템 상부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간편한 구조에 의해 내용액을 토출시킨 후 노즐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형태는, 용기본체와, 노즐로부터 내용액을 토출하는 토출펌프와, 장착캡을 구비하는 토출용기로서, 상기 토출펌프는, 대경 실린더와 하단에 흡입파이프가 장착된 소경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부재와, 상기 실린더 부재에 장착되는 피스톤부재와, 노즐헤드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소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는 포펫밸브와,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는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대경 실린더 내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에어피스톤과, 내측관부의 하부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피스톤의 공기홀을 개폐하는 에어피스톤 밸브와, 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피스톤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외주에 결합되는 내측관부와, 공기홀을 가지는 상측벽부와, 상기 대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슬라이딩부를 가진다. 상기 스템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 내측에 볼밸브를 가지는 기액혼합실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내측관부의 상부내측관부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관부와, 상부 내주에 장착된 메쉬링을 가진다. 상기 스템의 외주에는, 상기 노즐헤드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대경 실린더의 측벽에 통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상 슬라이딩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통기홀이 개폐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액의 상방으로의 흡입에 의한 부압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대경 실린더의 측벽의 내주 상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상판과 관상 결합부를 가지는 내측 마개가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형태는, 용기본체와, 노즐로부터 내용액을 토출하는 토출펌프와, 장착캡을 구비하는 토출용기로서, 상기 토출펌프는, 대경 실린더와 하단에 흡입파이프가 장착된 소경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에 장착되는 피스톤부재와, 노즐헤드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소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는 포펫밸브와,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는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대경 실린더 내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에어피스톤과, 스템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피스톤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외주에 결합되는 내측관부와, 상측벽부와, 상기 상측벽부에 세워져 설치된 상부 외측관부와, 대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 슬라이딩부를 가진다. 상기 스템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 내측에 볼밸브를 가지는 기액혼합실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내측관부의 상부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관부와, 밀봉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부관부와, 상부내주에 장착된 메쉬링을 가진다. 상기 스템의 외주에는, 상기 노즐헤드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스템의 관부 외주에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밀봉관이 하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에어피스톤의 상측벽부에, 외주 상단에 공기의 유통로를 가지는 상부 외측관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상부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부 사이의 상측벽부에 공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밀봉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외측관의 외주면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기실과 용기 외부 간의 공기의 유통로가 개폐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대경 실린더의 측벽에 통기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상 슬라이딩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통기홀이 개폐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액의 흡입에 의한 부압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따르면, 노즐헤드를 누름으로써 종래의 토출용기와 마찬가지로, 용기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내용액이 흡입됨과 함께, 기액혼합실 내에서 공기실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메쉬링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고, 발포된 내용액이 노즐헤드의 노즐홀을 통해 토출된다. 그리고, 대경 실린더부에 통기홀이 설치되고, 상기 통기홀이 관상 슬라이딩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폐되므로, 용기본체 내의 공기 흡입밸브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기액혼합실이, 피스톤가이드와 스템과의 견고한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즐헤드가 스템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기액혼합실이 개방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형태는, 용기본체와, 노즐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펌프를 구비한 토출용기로서, 상기 토출펌프는 노즐헤드와, 스템과, 관상의 실린더와, 밸브부재와, 피스톤과, 제 1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노즐헤드는, 그 하단면이 개구되고, 상기 노즐에 연결되는 연결통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스템은, 상기 연결통로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헤드의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는, 상기 스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본체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밸브부재는, 상기 실린더 내의 하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개구부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탄성부재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과 상기 밸브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노즐헤드와 스템 사이에는, 상기 노즐헤드를 스템에 대해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헤드를 누름으로써, 상기 스템을 통해 상기 피스톤이 눌려져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따르면, 노즐헤드와 스템 사이에 제 2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노즐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해 노즐헤드를 누르면, 제 1 탄성부재 뿐만 아니라 제 2 탄성부재도 압축 변형되어, 노즐헤드가 스템에 대해 눌려진다. 노즐헤드의 누름을 해제하여 제 2 탄성부재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면, 노즐헤드가 스템에 대해 밀어 올려진다. 따라서, 노즐헤드 내부에 있어서, 노즐로 이어지는 내부 공간의 체적을, 노즐헤드의 누름 해제 이전보다 누름 해제 시에 더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노즐헤드의 누름을 해제하였을 시에, 내부 공간의 내부는 부압이 된다. 그 결과, 노즐헤드를 눌렀을 때 토출되지 않고, 노즐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노즐헤드의 누름을 해제함과 거의 동시에, 내부 공간이 부압이 됨으로써 노즐로부터 내부 공간 내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서는, 상기 노즐이, 그 선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연결통로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유로 단면적이 작아져도 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의하면, 노즐로 이어지는 내부 공간이 부압이 됨으로써 노즐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잔류 내용물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서는,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가압력이, 제 1 탄성부재의 가압력보다 작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을 노즐을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노즐헤드를 누르면, 먼저 제 2 탄성부재가 압축 변형되고, 그 후, 제 1 탄성부재가 압축 변형되어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토출된다. 즉,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제 2 탄성부재를 압축 변형시켜야만 하므로, 노즐헤드의 누름을 해제하였을 시의 흡입을 확실히 수행시킬 수 있다.
반대로, 노즐헤드를 눌렀을 때, 먼저 제 1 탄성부재가 압축 변형되어 내용물이 노즐로부터 토출되고, 그 후, 노즐헤드를 다시 눌렀을 때에 제 2 탄성부재가 압축 변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 1 탄성부재가 압축 변형되어 내용물이 노즐을 통해 토출된 시점에서 노즐헤드의 누름을 멈추고, 제 2 탄성부재를 압축 변형시킬 때까지는 노즐을 누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누름을 해제하기 전후에서 내부 공간의 체적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은 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액용 실린더, 상기 피스톤은, 액용 피스톤이고, 상기 토출펌프는, 그 내부에 공기용 피스톤이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용 실린더와, 상기 액용 실린더로부터 송출된 내용물과 공기용 실린더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합류하는 기액혼합실과, 상기 기액혼합실의 액 입구에 설치된 밸브시트(valve seat)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액토출밸브와, 상기 노즐과 상기 기액혼합실과의 사이에 설치된 발포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헤드를 누름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과 공기가 기액혼합실 내에서 합류하고, 공기와 합류된 상기 내용물이 발포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며, 발포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된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따르면, 용기본체 내의 공기 흡입밸브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줄고,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노즐헤드가 스템의 상부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기액혼합실이 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볼밸브가 기액혼합실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따르면,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 노즐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노즐로부터 액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내에 잔존한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포함된 토출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포함되는 소경 실린더부, 피스톤 및 포펫밸브 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포함되는 피스톤가이드, 에어피스톤 및 스템 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포함되는 스템 및 노즐헤드 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있어서 노즐헤드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포함되는 토출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있어서 노즐헤드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 3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포함되는 스토퍼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있어서 노즐헤드를 눌러 제 2 코일스프 링만을 압축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제 5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있어서, 노즐헤드를 눌러 제 1 코일 스프링 및 제 2 코일스프링을 압축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용기본체, B...장착캡, C...토출펌프, C1...실린더부재, C2...피스톤부재, C3...노즐헤드, 15...대경 실린더, 17...소경 실린더, 24...흡입파이프, 30...피스톤, 31...포펫밸브, 33...피스톤가이드, 35...에어피스톤, 57...볼밸브, 61...하측관부, 63...메쉬링, 72...기액혼합실, 73...내측관부, 74...상측벽부, 75...관상 슬라이딩부, 77...상부내측관부, 81...에어피스톤 밸브, 84...공기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A)와, 장착캡(B)과, 장착캡(B)에 의해 용기본체(A)의 입구관부(1)에 패킹(P)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토출펌프(C)와, 장착캡(B)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오버캡(D)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A)는, 입구관부(1)와, 보디부(2)와, 기부로 이루어진다. 입구관부(1)의 외주에는, 장착캡(B)을 장착하기 위한 숫나사(3)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캡(B)은, 상부벽(5)과, 상부벽(5)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관(6)과, 상부벽(5)의 외측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 성된 측부주벽(7)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관(6)의 내주에는, 세로홈(6a)이 형성되어 있다. 측부주벽(7)은, 상부측주(周)관부(8)와, 단턱부(9)와, 하부측주관부(10)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측주관부(8)의 내주에는 결합요부(11)가 형성되고, 상부측주관부(8)의 외주에는, 오버캡(D)과 결합되는 결합돌기선(1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측주관부(10)의 내주에는, 상부에 토출펌프(C)와 결합되어 고정 지지하는 결합부(13)가 형성되고, 하부측주관부(10)의 하부에는, 용기본체(A)의 입구관부(1)의 숫나사(3)와 결합되는 암나사(14)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펌프(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C1)와, 피스톤부재(C2)와, 피스톤부재(C2)에 장착되는 노즐헤드(C3)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부재(C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실린더(이하, "대경 실린더"로 약칭함)(15)와, 저벽(bottom wall)(16)과, 직경이 작은 실린더(이하, "소경 실린더"로 약칭함)(17)를 구비하고 있다. 대경 실린더(15)의 상측부에는 장착캡(B)의 결합부(13)와 결합되는 장착 플랜지(18)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 플랜지(18)의 상면에는, 대경 실린더(15)로부터 돌출되어 결합요부(11)와 결합되는 위치맞춤돌기(19)가 설치되어 있다. 대경 실린더(15)에는, 통기홀(20)이 뚫어져 있다.
저벽(16)의 중앙에는, 융기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서 하방을 향해 소경 실린더(17)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경 실린더(17)의 하단부에는,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원추형 관부(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추형 관부(22)의 하단에는, 유통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원추형 관부(22)의 하단에는, 흡입파이프(24)를 장착하기 위한 접속관(25)이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추형 관부(22)의 내측 하부는, 밸브시트(26)로 되어 있으며, 원추형 관부(22)의 내면에는, 복수의 스프링받이 리브(27)가 밸브시트(26)를 포위하는 형태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부재(C2)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과, 포펫밸브(31)와, 스프링(32)과, 피스톤가이드(33)와, 스템(34)과, 에어피스톤(35)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30)은, 소경 실린더(17)의 내주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포펫밸브(31)는, 피스톤(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가이드(33)는, 피스톤(3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스템(34)은, 피스톤가이드(33)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에어피스톤(35)은, 대경 실린더(15)의 내측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36)와, 관부(36)의 상부 외주에 형성된 결합플랜지(37)를 구비하고 있다. 관부(36)의 하부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소경 실린더(17)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딩하는 관상의 밀봉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관부(36)의 내주면의 중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활모양으로 굽은 결합링(39)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결합링(39)의 하면과 소경 실린더(17)의 스프링받이 리브(27)와의 사이에 스프링(32)이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되어 있다.
포펫밸브(31)는, 축부재(40)와, 축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밸브부재(41)와, 축부재(4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밸브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 재(40)는, 대경부(43)와, 대경부(43)의 상방에 형성된 소경부(44)로 이루어진다. 대경부(43)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홈(43a)이 형성되고, 소경부(44)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홈(44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밸브부재(42)는, 상방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상부 밸브부재(42)의 외주면에는, 피스톤(30)의 결합링(39)의 내주면이 결합되어 있다. 하부 밸브부재(41)의 하단에는, 소경 실린더(17)의 밸브시트(26)에 결합되고, 유통구(23)를 개폐하는 밸브부(45)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밸브부재(41)의 상부에는, 소경 실린더(17)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링받이 리브(27) 사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리브(46)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가이드(3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부(47)와, 외측관부(47)의 내주에 배치된 구획판(48)과, 구획판(48)의 하면에서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내측관부(49)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관부(47)는, 위쪽부터 차례로, 상측관부(50)와, 직경확대관부(51)와, 하측관부(52)와, 결합플랜지(53)를 구비하고 있다. 직경확대관부(51)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확대되어 있다. 하측관부(52)의 내주는, 피스톤(30)의 관부(36)의 외주 상부와 결합된다. 결합플랜지(53)는, 직경확대관부(51)의 하단에 설치되어 피스톤(30)의 결합플랜지(37) 상면과 결합된다. 상측관부(50)의 외주 하측에는, 세로 리브(54)가 복수개 세워져 설치되고, 하측관부(52)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홈(52a)이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구획판(48)은, 외측관부(47)의 상측관부(50)의 하단 내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또한,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획판(48)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관상의 밸브시트부(55)가 세워져 설치되고, 그 내측에 유통구(56)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시트부(55)의 상단에는, 볼밸브(57)가 배치되어 있다.
내측관부(49)의 외주는, 외측관부(47)의 하측관부(52)의 내주와 함께, 피스톤(30)의 관부(36)의 내주 상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피스톤가이드(33)가 피스톤(30)의 상부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내측관부(49)의 내주에는, 복수의 세로 리브(5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58)의 내측에는, 포펫밸브(31)의 상부 밸브부재(42)의 측부 둘레가 결합되어 있다. 내측관부(49)의 하단은, 벽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피스톤(30)의 결합링(39)과 결합되어 있다.
스템(34)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부(60)와 하측관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관부(60)의 내주에는, 메쉬링(63)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관부(60)의 하단부의 내주에는, 구획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부(62)에는, 유통홀(64)이 뚫어져 있다. 구획부(62)의 상면에는, 메쉬링(63)의 지지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65)는, 유통홀(64)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62)는, 환형의 상측벽부(66)와, 상측벽부(66)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내측관(67)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관(67)의 하단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감소하는 밸브부(68)가 마련되어 있다. 볼밸브(57)의 이동범위는 밸브부(68)의 하단과 피스톤가이드(33)의 내주의 밸브시트부(55)의 상단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스템(34)의 하측관부(61) 하측의 내주면, 구획부(62)의 상측벽부(66)의 하면 및 내측관(67)의 외주면은, 피스톤가이드(33)의 상측관부(5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69)를 구성하고 있다. 하측관부(61)의 내주면 및 상측관부(50)의 외주면의 각각에는, 팽출부(61a, 50a)가 설치되어 있고, 스템(34)이 피스톤가이드(33)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스템(34)에는, 하측관부(61)의 내주면에서 구획부(62)의 내측관(67)의 외주면으로 통하는 복수의 공기홈(70)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관부(61)의 하단은 직경이 확대되어 있으며, 그 부분이 결합관(71)을 형성하고 있다. 결합관(71)의 내주는, 공기홈(70)으로 통하는 유통로를 이루고 있다. 또한, 피스톤가이드(33)의 외측관부(47)의 상측관부(50)의 내주면, 구획판(48) 및 스템(34)의 상측벽부(66)에 의해 포위되어 기액혼합실(72)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피스톤(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관부(73)와, 환형의 상측벽부(74)와, 관상의 슬라이딩부(75)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부(75)는, 상측벽부(74)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실린더부재(C1)의 대경 실린더(15)의 내주에 삽입되어 있으며, 액 누출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이동한다. 또한, 관상 슬라이딩부(75)는, 피스톤이 상승했을 때, 대경 실린더(15)에 형성된 통기홀(20)을 봉쇄한다. 내측관부(73)는, 상측벽부(74)의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형성된 하부내측관(76)와, 하부내측관(76) 상면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활모양으로 굽어지도록 상방을 향해 형성된 상부내측관(77)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내측관(76)는, 하단이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의 상면과 서로 마주 닿게 되어 있고, 내주가 외측관부(47)의 하측관부(52)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슬라이딩이동한다. 상부내측관(77)는 그 내주가, 피스톤가이드(33)의 외측관부(47)의 직경확대관부(51)와, 상측관부(50)의 하부 외주와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벽부(74)는, 내측관부(73)의 외주에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부벽(78)과, 상부벽(78)의 외측 가장자리 하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관벽에 내측 가장자리가 연결되어 설치되는 하부벽(79)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벽(78)에는, 복수의 공기홀(80)이 뚫어져 있다.
에어피스톤(35)의 하부에는, 에어피스톤 밸브(81)가 장착되어 있다. 에어피스톤 밸브(81)는, 관부(82)와 원판형의 밸브부(83)로 구성되어 있다. 관부(82)의 내주는, 하부내측관(76)의 외주에 결합되어 있다. 밸브부(83)는, 관부(82)의 외주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어, 밸브부(83) 선단의 상부가 에어피스톤(35)의 하부벽(79)의 하면과 서로 맞닿는다. 대경 실린더(15) 내에는, 에어피스톤(35)의 상측벽부(74)보다 하방에 공기실(84)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헤드(C3)는, 일측에 노즐(85)을 구비한 헤드부(86)와, 헤드부(86)의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관부(87)를 구비하고 있다. 관부(87)의 내주에는, 스템(34)의 상부관부(60)의 외주에 결합되는 결합부(88)가 설치되어 있다. 관부(87)의 외주에는, 세로 리브(89)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 리브(89)는, 장착캡(B)의 안내관(6)의 내주에 형성된 세로홈(6a)에 결합되어, 안내관(6)의 내주에서 노즐헤 드(C3)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헤드(C3) 내에는, 관부(87) 내부로부터 헤드부(86) 내부를 통과하여, 노즐(85)의 선단까지 이어지는 유통로(90)가 형성되어 있다.
오버캡(D)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91)과 측부주벽(92)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부주벽(92)의 하단부에는, 장착캡(B)의 결합돌기선(12)과 결합되는 결합돌기선(93)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출용기의 사용 시에는, 먼저, 오버캡(D)을 장착캡(B)의 상부로부터 벗긴다. 이어서, 노즐헤드(C3)를 누름으로써, 종래 공지의 용기와 마찬가지로, 스템(34), 피스톤가이드(33) 및 피스톤(30)이 눌려져, 소경 실린더(17) 내의 내용액이 위로 흡입되고, 상기 내용액이 기액혼합실(72) 내에서 공기와 혼합되고, 메쉬링(6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용액이 기포 상태가 되어 기포 상태의 내용액이 노즐(85)을 통해 토출된다. 노즐헤드(C3)가 눌려진 토출용기는,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노즐헤드(C3)가 눌려진 초기에는, 스템(34) 및 피스톤가이드(33)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지만, 에어피스톤(35)은, 대경 실린더(15)의 내주면과 에어피스톤(35)의 관상 슬라이딩부(75)가 접촉함으로써 저항을 받아, 스템(34) 및 피스톤가이드(33)와는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노즐헤드(C3)를 더 누르면, 스템(34)의 하측관부(61)의 팽출부(61a)가 에어피스톤(35)의 하부내측관(76)의 상면에 맞닿아 에어피스톤(35)를 누른다. 이에 의 해, 공기실(84) 내의 공기압이 상승한다.
공기실(84) 내의 공기는, 에어피스톤(35)의 하부내측관(76)의 하단과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 상면과의 사이를 통과하고, 피스톤가이드(33)의 하측관부(52)의 세로홈(52a)를 통과한 후 상측관부(50)의 세로 리브(54)들 사이를 통과한다. 이어서, 공기는, 피스톤가이드(33)의 외주와 스템(34)의 하측관부(61) 하단부와의 사이를 통과하고, 스템(34)의 공기홈(70)을 통과하여 기액혼합실(72)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통구(56)를 통해 기액혼합실(72) 내로 흡입된 내용액과 공기가 혼합되어, 스템(34)의 밸브부(68)의 개구를 통해 메쉬링(63)으로 보내진다. 공기와 혼합된 내용액은, 메쉬링(6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어 노즐(85)을 통해 토출된다.
에어피스톤(35)을 누르면, 에어피스톤(35)의 관상 슬라이딩부(75)에 의한 대경 실린더(15)의 통기홀(20)이 개방되어, 용기의 외부로부터 침입된 공기는, 통기홀(20)을 통해 용기본체(A) 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내용액을 상방으로 흡입함으로 인해 공기 본체(A)의 내부가 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용액의 토출이 끝나고, 노즐헤드(C3)의 누름이 해제되면, 종래 공지의 용기와 마찬가지로,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노즐헤드(C3), 스템(34), 피스톤가이드(33) 및 피스톤(30)은 상승하고, 용기본체(A) 내의 내용액이 흡입파이프(24)를 통해 소경 실린더 내로 흡입되어, 최종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템(34) 및 피스톤가이드(33)가 상승하기 시작하더라도, 에어피스톤(35)은, 대경 실린더(15)의 내주면과 에어피스톤(35)의 관상 슬라이딩부(75)가 접촉하고 있 기 때문에, 바로 상승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스템(34)의 결합관(71)의 내주면이, 에어피스톤(35)의 상부내측관(77)의 외주면에 대해 슬라이딩이동함과 아울러, 에어피스톤(35)의 하부내측관(76)의 하단이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의 상면에 결합되어 공기실(84)과 기액혼합실(72) 사이의 유로가 차단되므로, 내용액 및 공기가 기액혼합실(72)로부터 공기실(84)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가이드(33)의 상승이 더 진행되면,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의 상면이 에어피스톤(35)의 하부내측관(76)의 하단을 밀어 올리므로, 에어피스톤(35)도 상승을 시작한다.
에어피스톤(35)이 상승하면, 공기실(84) 내부가 부압이 되지만, 에어피스톤(35)의 하부에 장착된 에어피스톤 밸브(81)의 밸브부(83)가 변형되어, 에어피스톤(35)의 하부벽(79)과의 결합이 풀려서 밸브부(83)가 개방되어, 공기실(84) 내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에어피스톤(35)이 상승하면, 에어피스톤(35)의 관상 슬라이딩부(75)에 의해 대경 실린더(15)의 통기홀(20)이 봉쇄된다.
노즐헤드(C3)의 누름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노즐(85)을 통해 원하는 양의 기포 상태의 내용액을 토출할 수 있다. 토출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버캡(D)을 장착캡(B)의 상부로부터 감싸지도록 끼워서, 용기 내로 먼지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토출펌프(C)의 노즐헤드(C3)가 용기의 낙하 충격이나,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해 토출펌프(C)의 상부로부터 벗겨지더라도, 스템(34)이 피스톤가이드(33)의 상부에 견고히 끼워져 있으므로, 스템(34)이 기액혼합실(72)의 마개 부재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볼밸브(75)가 기액혼합실(72)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A)와, 장착캡(Ba)과, 장착캡(Ba)에 의해 용기본체(A)의 입구부에 패킹(P)을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토출펌프(Ca)와, 장착캡(Ba)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오버캡(D)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캡(Ba)은, 상부벽(5)과, 상부벽(5)의 내측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안내관(6)과, 상부벽(5)의 외측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측부주벽(7)을 구비하고 있다. 측부주벽(7)의 상부측주관부(8)의 내주 상부에는, 결합돌기부(100)가 설치되고, 상부측주관부(8)의 외주에는, 오버캡(D)와 결합되는 결합돌기선(12)이 설치되어 있다.
토출펌프(Ca)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C1a)와, 피스톤부재(C2a)와, 피스톤부재(C2a)에 장착된 노즐헤드(C3)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부재(C1a)는, 대경 실린더(15)와, 저벽(bottom wall)(16)과, 소경 실린더(17)를 구비하고 있다. 대경 실린더(15)의 상단부에는, 장착캡(Ba)의 결합돌기부(100)와 결합되는 위치맞춤 요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부재(C2a)는, 피스톤(30)과, 포펫밸브(31)와, 스프링(32)과, 피스톤가 이드(33)와, 피스톤가이드(33)의 상단에 장착된 스템(102)과, 대경 실린더(15)의 내주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피스톤(103)을 구비하고 있다.
스템(102)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스톤가이드(33)의 관상의 상측관부(5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69)에 의해 피스톤가이드(33)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끼워 고정되어 있다. 스템(102)은, 상부관부(60)와 하측관부(61)를 구비하며, 상부관부(60)의 하단부 내주에는 구획부(62)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관부(61)의 외주에는, 플랜지(104)가 설치되고, 플랜지(104)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밀봉관(105)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밀봉관(105)의 하단에는, 직경확대부(105a)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피스톤(103)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측관부(73)와, 환형의 상측벽부(74)와, 관상의 슬라이딩부(75)를 구비하고 있다. 관상의 슬라이딩부(75)는, 상측벽부(74)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실린더부재(C1a)의 대경 실린더(15)의 내주에 삽입되어 있어, 액 누출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이동한다.
상측벽부(74)는, 상부벽부(106)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벽부(106)의 내측 가장자리는, 내측관부(73)의 외주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벽부(106)의 상면에는, 상부 외측관(107)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상부 외측관(107)의 상단 외주는, 약간 넓어져 밀봉부(108)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외측관(107)과 내측관부(73)와의 사이에는, 복수의 공기홀(80)이 뚫어져 있다.
상부 외측관(107) 및 밀봉부(108)는, 스템(102)의 밀봉관(105)의 내주와 자 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스템(102)이 상승했을 때, 밀봉관(105) 하단의 직경확대부(105a)와 밀봉부(108) 사이로는 공기가 유통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즐헤드(C3)가 상승될 때, 장착캡(Ba)의 안내관(6)의 내주와 노즐헤드(C3)의 관부(87)의 외주 사이의 간극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스템(102)의 밀봉관(105) 하단의 직경확대부(105a)와 에어피스톤(103)의 상부 외측관(107)의 밀봉부(108) 사이를 통과하여, 공기홀(80)을 통해 공기실(84)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에어피스톤(103)의 하부내측관(76) 하단과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의 상면이 결합됨과 아울러, 에어피스톤(103)의 상부내측관(77)의 상단과 스템(102)의 하측관부(61)의 하부 내주가 결합됨으로써, 공기실(84) 내의 공기가 기액혼합실(72) 내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된다.
노즐을 통해 내용액을 토출시킬 때, 노즐헤드(C3)가 눌려지는 초기에는, 스템(102) 및 피스톤가이드(33)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지만, 에어피스톤(103)은, 실린더부재(C1a)의 대경 실린더(15)의 내주면과 에어피스톤(103)의 관상의 슬라이딩부(75)가 접촉함으로써 저항을 받게 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스템(102)의 밀봉관(105)의 내주면이 에어피스톤(103)의 상부 외측관(107)의 밀봉부(108)와 결합되어 공기의 유입이 정지됨과 아울러, 에어피스톤(103)의 하부내측관(76)의 하단과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의 상면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하부내측관(76)의 하단과 결합플랜지(53)의 상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때, 밀봉부(108)는, 상방으로 확장되어 있으므로, 밀봉 관(105)의 내주벽에 의해 밀봉부(108)가 눌려짐으로써, 밀봉관(105)과 밀봉부(108)간의 봉합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헤드(C3)를 더 누르면, 스템(102)의 하측관부(61)의 팽출부(61a)가 에어피스톤(103)의 하부내측관(76)의 상면에 맞닿아 에어피스톤(103)을 누른다. 이에 의해, 공기실(84) 내의 공기압이 상승한다.
노즐헤드(C3)의 누름이 해제되어, 스템(102) 및 피스톤가이드(33)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에어피스톤(103)은, 실린더부재(C1a)의 대경 실린더(15)의 내주면과 에어피스톤(103)의 관상의 슬라이딩부(75)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승하지 않는다.
그리고, 스템(102)의 밀봉관(105)의 내주면이 에어피스톤(103)의 상부내측관(77)의 외주면에 대해 슬라이딩이동함과 아울러, 에어피스톤(103)의 하부내측관(76)의 하단이 피스톤가이드(33)의 결합플랜지(53)의 상면에 맞닿아 공기실(84)과 기액혼합실(72)과의 사이의 유로가 차단되므로, 내용액 및 공기가 기액혼합실(72)로부터 공기실(84)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템(102)의 밀봉관(105)이 상승함으로써, 밀봉관(105) 하단의 직경확대부(105a)로부터 에어피스톤(103)의 상부 외측관(107)의 밀봉부(108)가 이격되어 공기실(84) 내로 공기가 공급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에 있어서는, 에어피스톤(103)의 상부 외측관(107) 외주 상단에 밀봉부(108)가 설치되고, 스템(102)의 밀봉관(105)의 하단에 직경확대 부(105a)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노즐헤드(C3)를 누르기 전에, 밀봉관(105)과 상부 외측관(107) 사이에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면 되므로, 밀봉관(105)의 하단과 상부 외측관(107)의 상단 중 어느 쪽이든 유통홈, 절결, 테이퍼부 등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달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A)와, 장착캡(Bb)과, 장착캡(Bb)에 의해 용기본체(A)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토출펌프(Cb)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캡(Bb)은, 상부벽(5)과, 상부벽(5)의 내측 가장자리에 상부가 돌출하도록 연결되어 설치된 내측관(120)과, 상부벽(5)의 외측 가장자리에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측부주벽(7)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펌프(Cb)의 노즐헤드(C3b)는, 헤드부(122)와, 내측관부(123)와, 외측관부(124)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부(122)의 일측에는, 노즐(121)이 설치되어 있다. 내측관부(123)는, 헤드부(122)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측관부(124)는, 헤드부(122)의 하면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헤드(C3b) 내에는, 내측관부(123)의 내주로부터 헤드부(122) 내를 통과하여 노즐(121)의 선단까지 이어지는 유통로(125)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관부(123)의 내주 하부에는, 스템(34)의 상부관부(60)에 결합되는 결합 부(126)가 설치되어 있고, 내측관부(123)의 외주는, 장착캡(Bb)의 내측관(120) 내주에 삽입되어 있다. 용기를 조립할 시에, 외측관부(124)의 내주에는, 장착캡(Bb)의 내측관(120)의 상부가 삽입된다. 내측관(120)의 외주에는 스토퍼(127)가 끼워져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용기를 조립할 시에, 장착캡(Bb)의 내측관(120)의 상부가, 토출펌프(Cb)의 노즐헤드(C3b)의 내측관부(123)와 외측관부(124) 사이에 삽입되므로, 오버캡을 씌우지 않더라도, 내측관(120)의 내주를 통해 용기 내로 먼지나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를 조립한 후, 토출펌프(Cb)의 헤드부(122)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127)를, 장착캡(Bb)의 내측관(120)의 외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스토퍼(127)를 장착함으로써, 조작 에러에 의한 헤드부(122)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달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A)와, 장착캡(Bc)과, 장착캡(Bc)에 의해 용기본체(A)의 입구관부에 장착된 토출펌프(Cc)를 구 비하고 있다.
토출펌프(Cc)는, 실린더부재(C1c)와, 피스톤부재(C2c)와, 피스톤부재(C2c)에 장착되는 노즐헤드(C3c)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부재(C1c)의 대경 실린더(15)의 상단부에는 결합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130)에는, 대경 실린더(15)의 상면을 덮는 내측 마개(131)가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내측 마개(131)는, 대경 실린더(15)의 상면에 접합되는 상판(132)과, 상판(132)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고, 결합부(130)에 끼워지는 결합관(133)과, 상판(132)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측관(134)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부재(C2c)의 스템(135)의 하측관부(136)에는, 플랜지(137)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137)는, 내측 마개(131)의 내측관(134)의 하단에 맞닿음으로써, 피스톤부재(C2c)가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장착캡(Bc)의 안내관(138)은, 제 1 실시형태의 안내관(6)보다 짧아 내측 마개(131)에 접하지 않도록 되어있으나, 내측 마개(131)에 강하게 눌리지 않으면 문제없으므로 본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출펌프(Cc)를 조립할 시에, 노즐헤드(C3c)를 제외한 피스톤부재(C2c)를 실린더부재(C1c) 내에 장착하고, 이어서 내측 마개(131)를 대경 실린더(15)의 상단에 끼워 고정시키고, 이로써 일체화된다. 이어서 토출펌프(Cc)를 장착캡(Bc)을 이용하여 용기본체(A)의 입구관부에 장착하고 노즐헤드(C3c)를 장착한다. 이에 의해 토출용기가 조립된다.
따라서, 내측 마개(131)에 의해 실린더부재(C1c)와 피스톤부재(C2c)를 세팅시켜 둘 수 있으므로 장착캡(Bc)이 바뀌어도 토출용기을 간단히 조립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토출용기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용기(210)는, 용기본체(211)와, 이 용기본체(211)의 입구부(211a)에 장착되어 노즐을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펌프(213)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펌프(213)는, 누름헤드(노즐헤드)(213c)와, 스템(214)과, 액용 실린더(실린더)(216)와, 하부 밸브부재(밸브부재)(215)와, 액용 피스톤(피스톤)(217)과, 제 1 코일스프링(제 1 탄성부재)(218)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헤드(213c)는, 하단면이 개구되고, 노즐에 형성된 노즐홀(212)과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통로구멍(213a)이 형성되어 있다. 스템(214)은, 연결통로구멍(213a) 내부로부터 누름헤드(213c)의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216)는, 관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템(214)의 하측에 배치되어 용기본체(211) 내에 삽입되어 있다. 하부 밸브부재(215)는, 액용 실린더(216) 내의 하단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개구부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217)은, 액용 실린더(216)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코일스프링(218)은, 액용 실린더(216)의 내부에서 액용 피스톤(217)과 하부 밸브부재(21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액용 피스톤(217)을 상방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는, 누름헤드(213c)를 누름으로써, 스템(214)을 통해 제 1 코일스프링(218)이 압축 변형되면서, 액용 피스톤(217)이 눌려져 용기본체(211)로부터 내용물이 노즐홀(212)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토출펌프(213)는, 공기용 실린더(220)와, 기액혼합실(221)과, 액토출밸브(222)와, 발포부재(223)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용 실린더(220)의 내측에는, 공기용 피스톤(219)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액혼합실(221)에서는, 액용 실린더(216)로부터 송출된 내용물과 공기용 실린더(220)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합류된다. 액토출밸브(222)는, 기액혼합실(221)의 액입구에 설치된 밸브시트(221a)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시트(221a)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발포부재(223)는, 노즐홀(212)과 기액혼합실(221)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토출펌프(213)는, 소위, 포머 펌프(foamer pump)로서, 누름헤드(213c)를 누름으로써 내용물과 공기가 기액혼합실(221) 내에서 혼합되고, 공기와 혼합된 내용물이 발포부재(2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어 기포 상태의 내용물이 연결통로구멍(213a)을 통과하여 노즐홀(212)을 통해 토출된다. 노즐홀(212)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될 시에, 노즐홀(212)의 유로 단면 전체에 내용물이 채워진다. 또한, 노즐홀(2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통로구멍(213a)의 상단부로부터 펌프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각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용 실린더(220)는, 용기본체(211)의 입구부(211a)로부터 이 용기본체(211)의 내부, 즉,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공기용 실린더(220)의 직경은, 액용 실린더(216)의 직경보다 크다. 액용 실린더(216)는, 공기용 실린더(220)의 기 판부(224)로부터 동심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접속관(225)은, 액용 실린더(216)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공기용 실린더(220)의 상부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2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입구부(211a)의 상면에 배치된 패킹(227) 상에 공기용 실린더(220)의 플랜지부(226)를 위치시키도록 하고, 용기본체(211)의 내측에 공기용 실린더(220)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입구부(211a)에 관상 장착부재(228)가 스크류 방식으로 장착됨으로써, 플랜지부(226)가 입구부(211a)의 상면을 향해 눌러 붙여진다. 이에 의해, 공기용 실린더(220), 액용 실린더(216) 및 접속관(225)이 용기본체(211)에 장착되어 있다. 접속관(225)에는, 흡입파이프(229)가 연결되어 있다. 흡입파이프(229)는, 그 하단 개구부가 용기본체(211) 내의 기부에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관상 장착부재(228)의 상판부(228a)의 반경방향의 중앙부에는, 중앙관부(228b)가 하방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누름헤드(213c)는, 중앙관부(228b)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판부(228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관상 장착부재(228)의 상판부(228a)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거의 하방으로 상부 측벽부(228d)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부 측벽부(228d)의 외주면에는, 오버캡(230)의 개방 단부와 결합되는 캡 결합부(228c)가 형성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216) 내의 하단 개구부에 배치된 하부 밸브부재(215)의 상면에는, 축부(231)가 연결되어 있으며, 축부(231)의 상단부에, 역원추형의 상부 밸브부재(232)가 설치되어 있다. 액용 실린더(216)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액용 피스톤(217)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상 부재로서, 액용 피스톤(217)의 내주면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 밸브관부(217a)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관부(217a)의 하면과 하부 밸브부재(215)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제 1 코일스프링(218)이 그 내측에 축부(231)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217)은, 제 1 코일스프링(218)에 의해 하부 밸브부재(215)에 대하여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누름헤드(213c)를 누르기 전의 대기상태에서는, 액용 피스톤(217)의 밸브관부(217a)의 내주면이, 역원추형의 상부 밸브부재(232)의 외주면에 하방으로부터 눌려지므로, 액용 실린더(216)의 내부와 액용 피스톤(217)의 내부에서 밸브관부(217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차단되어 있다.
액용 피스톤(217)의 상부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17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누름헤드(213c)를 누르면 플랜지부(217b)의 하면이, 공기용 실린더(220)의 기판부(224)의 내면에서 액용 실린더(216)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액용 피스톤(217)의 하강이 규제된다. 또한, 액용 피스톤(217)의 하단부 외주면은, 아래쪽으로 점차 직경이 확대되고 있으며, 액용 피스톤(217)이 액용 실린더(216) 내에서 올라가고 내려갈 시에, 액용 피스톤(217)이 액용 실린더(216)의 내주면을 따라 액 누출을 방지하면서 상하 슬라이딩이동한다.
액용 피스톤(217)의 상부에는, 관상의 피스톤가이드(233)가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가이드(233)의 상부 내측은 기액혼합실(221)로서, 피스톤가이드(233)의 하부에 액용 피스톤(217)의 상부가 끼워져 있다. 피스톤가이드(233)의 내주면에서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는, 평면으로 볼 때, 링형인 단턱부(233a)가 설치되어 있으며, 단턱부(233a)의 내주 가장자리에 밸브시트(221a)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가이드(233)의 하부는, 단턱부(233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내측관부(233b)와, 단턱부(233a)로부터 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관부(233c)로 이루어지는 2중 구조를 가지며, 내측관부(233b)와 직경확대관부(233c)와의 사이에 액용 피스톤(217)의 상부가 끼워져 있다. 직경확대관부(233c)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33d)가 설치되어 있으며, 플랜지부(233d)의 하면과 액용 피스톤(217)의 플랜지부(217b)의 상면이 누름헤드(213c)의 누름 여부와 관계없이 서로 맞대어 있다.
공기용 피스톤(219)은, 관상 슬라이딩부(234)와, 내측관부(235)와, 공기밸브(236)를 구비하고 있다. 관상 슬라이딩부(234)는, 공기용 실린더(220)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액 누출을 방지하면서,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내측관부(235)는, 관상 슬라이딩부(234)의 상판부(234a)에 형성된 관통홀 내에, 상판부(234a)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공기밸브(236)는, 내측관부(235)의 하부(235b)의 외주면에 끼워져 있다. 공기용 피스톤(219)에 의해 공기용 실린더(220)의 내부는 상측실과 하측실로 분단되어 있으며, 이들 상측실 및 하측실은, 공기밸브(236)에 의해 연결되어 통하거나 차단되거나 할 수 있다.
내측관부(235)는, 상부(235a)와, 하부(235b)와, 단턱부(235c)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235a)는, 관상 슬라이딩부(234)의 상판부(234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부(235b)는 상판부(234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235b)의 직경은 상부(235a)의 직경보다 크다. 단턱부(235c)는 상부(235a)와 하부(235b)를 연결시키고 있다. 내측관부(235)는 상부(235a)의 내주면을 피스톤가이드(233)의 외주면를 따르도록 형성하고, 또한 하부(235b)의 내주면을 직경확대관부(233c)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내측관부(235)의 하부(235b)의 하단은 피스톤가이드(233)의 플랜지부(233d)의 상면과 서로 마주 닿게 되어 있다.
스템(214)의 내주면의 상하방향의 중앙부에는, 평면으로 볼 때 링형인 구획부(214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구획부(214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관부(214b)의 내측에는, 하측관부(214b)의 상하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 피스톤가이드(233)의 상부가 삽입되어 있다. 누름헤드(213c)를 누르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스템(214)의 하단부의 내주면과 피스톤가이드(233)의 상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내측관부(235)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내측관부(235)의 상단부의 외주면은, 그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간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스템(214)의 내주면과 서로 마주 닿게 되어 있다. 스템(214)의, 구획부(214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관부(214c) 내에는, 발포부재(223)가 설치되어 있다. 스템(214)은, 그 하단부를 제외한 전체가 누름헤드(213c)의 연결통로구멍(213a) 내에 끼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토출용기에 있어서, 누름헤드(213c)를 누르면, 스템(214)의 하단이 내측관부(235)의 단턱부(235c)에 맞닿는다. 더욱이, 누름헤드(213c)를 누르면, 내측관부(23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 슬라이딩부(234), 공기밸브(236), 피스톤가이드(233) 및 액용 피스톤(217)과 함께, 제 1 코일스프링(218)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하강한다. 이 때, 액용 피스톤(217)이 하강함 과 함께, 하부 밸브부재(215)에 의해 액용 실린더(216)의 하단 개구부가 폐쇄됨으로써 액용 실린더(216)의 내압이 상승하고, 상승된 액용 실린더(216)의 내압이 밸브시트(221a)에 정착되어 있는 액토출밸브(222)에 작용함으로써, 액토출밸브(222)가 밸브시트(221a)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액용 실린더(216) 내의 내용물이 기액혼합실(221) 내에 유입된다.
누름헤드(213c)를 누름으로써, 누름헤드(213c)의 외주면과, 관상 장착부재(228)의 중앙관부(228b)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통해, 공기용 실린더(220)의 상측실로 공기가 유입된다. 그 후, 상측실로 유입된 공기는, 내측관부(235)의 외주면과 관상 슬라이딩부(234)의 관통홀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 및 공기밸브(236)와 관상 슬라이딩부(234)의 상판부(234a)의 내면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공기용 실린더(220)의 하측실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용 피스톤(219)이 하강함으로써, 하측실 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하측실의 내압이 상승된다. 하측실 내의 내압의 상승에 의해, 공기밸브(236)가 관상 슬라이딩부(234)의 상판부(234a)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측실로부터 하측실로의 공기 유입이 정지된다. 더욱이, 내측관부(235)의 하단과 피스톤가이드(233)의 플랜지부(233d) 사이의 간극을 경유하여, 내측관부(235)의 내주면과 피스톤가이드(233)의 외주면 간의 간극을 통해 하측실 내의 공기가 기액혼합실(221)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내용물과 공기가 기액혼합실(221) 내에서 혼합되고, 공기와 혼합된 내용물이 발포부재(22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어,기포 상태의 내용물이 연결통로구멍(213a)을 통과하여 노즐홀(212)을 통해 토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헤드(213c)와 스템(214)과의 사이에, 누름헤드(213c)를 스템(214)에 대해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 2 코일스프링(제 2 탄성부재)(237)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코일스프링(237)은, 누름헤드(213c)의 연결통로구멍(213a)의 내주면과 스템(2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통로구멍(213a), 스템(214) 및 제 2 코일스프링(237)은,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통로구멍(213a)의 하부 내주면에는 제 1 단턱부(213b)가 형성되고, 스템(214)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 2 단턱부(214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턱부(213b)는, 연결통로구멍(213a)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단턱부(214d)는, 제 1 단턱부(213b)와 동일하게 연결통로구멍(213a)의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단턱부(213b)와 제 2 단턱부(214d)는,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코일스프링(237)은, 제 1 단턱부(213b)와 제 2 단턱부(214d)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코일 스프링(237)의 가압력은, 제 1 코일스프링(218)의 가압력보다 작다. 또한, 노즐홀(212)은, 그 선단 개구부(212a)에서 연결통로구멍(213a)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직경이 축소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210)에 의하면, 제 2 코일스프링(23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노즐의 노즐홀(212)을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누름헤드(213c)를 누르면, 제 1 코일스프링(218) 뿐만 아니라 제 2 코일스프링(237)도 압축 변형되어, 누름헤드(213c)가 스템(214)에 대해 눌려진다. 누름헤 드(213c)의 누름을 해제하여 제 2 코일스프링(237)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면, 누름헤드(213c)가 스템(214)에 대해 밀어 올려진다. 따라서, 누름헤드(213c) 내부에 있어서 노즐홀(212)로 이어지는 내부 공간의 체적이, 누름헤드(213c)의 누름을 해제하기 전보다 누름헤드(213c)의 누름을 해제하였을 시에 더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누름헤드(213c)의 누름을 해제하였을 시에, 내부공간의 내부는 부압이 된다. 그 결과, 누름헤드(213c)를 눌렀을 때 토출되지 않고, 노즐홀(212)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누름헤드(213c)의 누름을 해제함과 거의 동시에, 내부공간이 부압이 됨으로써 노즐홀(212)로부터 내부 공간 내에 흡입된다.
본 실시형태의 토출용기(210)에 의하면,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 노즐홀(212) 내에 내용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노즐로부터 액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212)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홀(212)의 유로 단면적이, 그 선단 개구부(212a)로부터 내부공간을 구성하는 연결통로구멍(213a)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므로, 노즐홀(212)에 이어지는 내부공간이 부압이 됨으로써, 노즐홀(212)로부터 내부공간으로 흡입되는 잔류 내용물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코일스프링(237)의 가압력이 제 1 코일스프링(218)보다 작으므로, 내용물을 노즐홀(212)을 통해 토출시키기 위해 누름헤드(213c)를 누르면,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코일스프링(237)이 압축 변형되고, 이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코일 스프링(218)이 압축 변 형되어 내용물이 노즐홀(212)을 통해 토출된다. 즉,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제 2 코일스프링(237)을 압축 변형시켜야 하므로, 누름헤드(213c)의 누름을 해제하였을 시의 흡입을 확실히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토출용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노즐홀(212)의 유로 단면적을, 선단 개구부(212a)로부터 연결통로구멍(213a)을 향함에 따라 점차 크게 할 수도 있고, 선단 개구부(212a)에서 연결통로구멍(213a)에 걸친 전역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코일스프링(237)의 가압력이 제 1 코일스프링(218)의 가압력보다 작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 1 코일스프링(218)의 가압력이 제 2 코일스프링(237)의 가압력보다 작게 할 수도 있으며, 제 1, 제 2 코일 스프링(218, 237)의 가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발포부재(223)를 누름헤드(213c) 내에 배치하고, 누름헤드(213c)를 스템(214) 내에 삽입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즐홀(212)을 통해 내용물을 기포 상태로 만들어 토출하는 소위 포머 펌프로서의 토출용기(2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토출용기는, 포머 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공기용 피스톤(219), 공기용 실린더(220), 기액혼합실(221) 및 발포부재(223) 등을 배제하여 내용물을 발포시키지 않고 토출하는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 1, 제2 탄성부재로서, 예를 들면, 플렉시블한 수지 스프링, 고무 부재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을 누름헤드(213c)와는 별도로 성형하거나, 누름헤드(213c)와 일체로 성형하거나 해도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

  1. 용기본체와, 노즐을 통해 내용액을 토출시키는 토출펌프와, 장착캡을 구비하는 토출용기로서,
    상기 토출펌프가, 대경 실린더와 하단에 흡입파이프가 장착된 소경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부재와, 상기 실린더 부재에 장착되는 피스톤부재와, 노즐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부재가, 관부와 상기 관부의 상부 외주에 형성된 제1 결합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소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는 포펫밸브와,
    외측관부와, 상기 외측관부의 내주에 배치된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측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는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외주에 결합되는 내측관부와, 공기홀을 가지는 상측벽부와, 상기 대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 슬라이딩부를 가지며, 상기 대경 실린더 내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에어피스톤과,
    상기 내측관부의 하부 외주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피스톤의 상기 공기홀을 개폐하는 에어피스톤 밸브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 내측에 볼밸브을 가지는 기액혼합실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내측관부의 상부내측관부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관부와, 상부 내주에 장착된 메쉬링을 가지는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의 상기 외측관부는 상방으로부터 상측관부와, 직경확대관부와, 하측관부와, 제2 결합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관부의 내주는 상기 피스톤의 관부의 외주상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2 결합플랜지는, 상기 하측관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제1 결합플랜지의 상면과 결합하고, 상기 내측관부의 외주와 상기 하측관부의 내주와의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의 상기 관부의 상부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상기 피스톤 가이드가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스템의 외주에 상기 노즐헤드가 장착되고,
    상기 대경 실린더의 주벽에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통기홀이 개폐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액의 흡입에 의한 부압 발생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실린더의 측벽의 내주 상단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상판과 결합관을 가지는 내측 마개가 끼워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4. 용기본체와, 노즐을 통해 내용액을 토출하는 토출펌프와, 장착캡을 구비하는 토출용기로서,
    상기 토출펌프가, 대경 실린더와 하단에 흡입파이프가 장착된 소경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에 장착되는 피스톤부재와, 노즐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소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는 포펫밸브와,
    상기 피스톤의 상단에 결합되는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외주에 결합되는 내측관부와, 상측벽부와, 상기 상측벽부에 세워져 설치된 상부 외측관과, 대경 실린더 내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 슬라이딩부를 가지며, 상기 대경 실린더 내에 공기실을 형성하는 에어피스톤과,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가이드의 상부 내측에 볼밸브를 가지는 기액혼합실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내측관부의 상부에 자유자재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관부와, 밀봉관이 연결되어 설치된 상측관부와, 상부 내주에 장착된 메쉬링을 가지는 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스템의 관부 외주에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로부터 밀봉관이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어피스톤의 상부벽부에, 외주 상단에 공기의 유통로를 형성한 상부 외측관이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상부 외측관과 상기 내측관부와의 사이의 상부벽부에 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밀봉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외측관의 외주면이 접하여 슬라이딩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기실과 용기 외부와의 사이의 공기의 유통로가 개폐되고,
    상기 스템의 외주에 상기 노즐헤드가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실린더의 측벽에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상 슬라이딩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통기홀이 개폐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액의 흡입에 의한 부압 발생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7. 용기본체와, 노즐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펌프를 구비한 토출용기로서,
    상기 토출펌프가, 하단면이 개구되고, 상기 노즐과 연결되어 통하는 연결통 로구멍이 형성된 노즐헤드와,
    상기 연결통로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헤드의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된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본체 내에 삽입된 관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의 하단 개구부에, 상기 하단 개구부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부재와,
    상기 실린더 내에 상하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과 상기 밸브부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 1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헤드와 스템과의 사이에는, 상기 노즐헤드를 스템에 대해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 2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노즐헤드를 누름으로써, 상기 스템을 통해 상기 피스톤이 눌려져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그 선단 개구부로부터 상기 연결통로구멍 쪽으로 갈수록 점차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부재의 가압력은, 제 1 탄성부재의 가압력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가압력은 제1 탄성 부재의 가압력보다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액용 실린더, 상기 피스톤은 액용 피스톤으로서,
    상기 토출펌프는, 그 내부에 공기용 피스톤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용 실린더와,
    상기 액용 실린더로부터 송출된 내용물과 공기용 실린더로부터 송출된 공기가 합류하는 기액혼합실과,
    상기 기액혼합실의 액입구에 설치된 밸브시트에,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 액토출밸브와,
    상기 노즐과 상기 기액혼합실과의 사이에 설치된 발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헤드를 누름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과 공기가 기액혼합실내에서 합류되고, 공기와 합류된 상기 내용물이 발포부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포되어, 발포된 상기 내용물이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토출용기.
KR1020087004109A 2005-07-29 2006-07-27 토출용기 KR101226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2250 2005-07-29
JP2005222250 2005-07-29
JP2006151209A JP5000200B2 (ja) 2006-05-31 2006-05-31 吐出容器
JPJP-P-2006-00151209 2006-05-31
JPJP-P-2006-00182302 2006-06-30
JP2006182302A JP5101053B2 (ja) 2005-07-29 2006-06-30 泡状の内容液吐出容器
PCT/JP2006/314867 WO2007013549A1 (ja) 2005-07-29 2006-07-27 吐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148A KR20080056148A (ko) 2008-06-20
KR101226461B1 true KR101226461B1 (ko) 2013-01-28

Family

ID=3768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109A KR101226461B1 (ko) 2005-07-29 2006-07-27 토출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056767B2 (ko)
EP (3) EP1911525B1 (ko)
KR (1) KR101226461B1 (ko)
CN (1) CN101232949B (ko)
AT (2) ATE556781T1 (ko)
CA (1) CA2616469C (ko)
TW (1) TWI295983B (ko)
WO (1) WO20070135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0200B2 (ja) * 2006-05-31 2012-08-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2008213849A (ja) * 2007-02-28 2008-09-18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GB2472235B (en) * 2009-07-29 2011-07-06 Brightwell Dispensers Ltd Dispensing device with a disposable pump
JP5624156B2 (ja) * 2009-12-18 2014-11-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起泡製品及び起泡式ディスペンサ
EP2612649A4 (en) * 2010-08-30 2017-03-29 Kao Corporation Method for dyeing or bleaching hair and kit for dyeing or bleaching hair
KR101511659B1 (ko) * 2011-01-31 2015-04-1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거품 토출기
US8360283B1 (en) * 2011-08-17 2013-01-29 Zhejiang JM Industry Co., Ltd Liquid foaming pump
GB2506182B (en) * 2012-09-25 2018-05-30 Derjin Hong Kong Holding Company Ltd Lotion spray head assembly
GB2507313B (en) * 2012-10-25 2015-09-30 Tristel Plc Pump apparatus
WO2014099243A1 (en) 2012-12-20 2014-06-26 Rieke Corporation Foam dispenser with reversible valve
WO2014099228A1 (en) * 2012-12-20 2014-06-26 Arminak & Associates, Llc Foam dispenser with an integral piston valve
KR101306511B1 (ko) * 2013-05-01 2013-09-09 김용범 흘러내림 예방 디스펜스 펌프 장치
CA2919672C (en) * 2013-07-17 2017-10-31 Yoshino Kogyosho Co., Ltd. Foamer dispenser
AU2014291498B2 (en) 2013-07-17 2016-12-22 Yoshino Kogyosho Co., Ltd. Foamer dispenser, and container with foamer dispenser
JP6138613B2 (ja) * 2013-07-17 2017-05-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JP6138614B2 (ja) * 2013-07-17 2017-05-3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およびフォーマーディスペンサー付き容器
WO2015048698A1 (en) * 2013-09-30 2015-04-02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s, refill units and pumps having suck-back features
US10823161B2 (en) 2015-05-12 2020-11-03 Gregory L. Indruk Foam pump and dispenser employing same
US10359031B2 (en) 2015-05-12 2019-07-23 Gregory L. Indruk Foam pump and dispenser employing same
CN105035505B (zh) * 2015-08-06 2017-09-29 浙江正庄实业有限公司 外置弹簧香水泵
CN105197389B (zh) * 2015-09-24 2017-08-15 浙江金马实业有限公司 泡沫泵
USD816498S1 (en) 2015-12-08 2018-05-01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Foam pump dispenser
CN106395120B (zh) * 2016-08-24 2017-11-28 宁波奥邦喷雾器有限公司 发胶喷雾器
DE112018006366T5 (de) * 2017-12-15 2020-10-01 Kao Corporation Schaumspender
CN108433322B (zh) * 2018-03-29 2019-11-05 江苏孚日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乳液瓶
KR102171859B1 (ko) * 2019-01-07 2020-10-29 (주)연우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WO2021051058A1 (en) * 2019-09-13 2021-03-18 Rieke Llc Valve and gasket tolerant to pressure-differentials
CN110918041B (zh) * 2019-12-03 2021-06-18 齐鲁理工学院 一种微纳米溶胶速配反应瓶体装置及其使用方法
WO2021136836A1 (en) * 2019-12-31 2021-07-08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Low temperature reciprocating pump
KR102356611B1 (ko) * 2020-09-10 2022-02-08 주식회사 삼화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CN114644174B (zh) * 2022-03-14 2024-02-20 兴必盛塑业(南通)有限公司 容器及其泵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425A (ja) * 2003-09-30 2005-04-21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8855B2 (ja) 1995-10-27 2001-12-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噴出ポンプ付き容器
ES409434A1 (es) * 1971-12-16 1976-01-01 Pfeiffer Kunststofftech Gmbh Perfeccionamientos en los dispositivos para emitir liquidoso productos pastosos o cremosos.
JPH04102666A (ja) 1990-08-22 1992-04-03 Kajima Corp 窓なし居室の壁構造
CA2073256C (en) * 1990-11-07 1999-01-26 Shoji Uehira Foam dispensing pump container
JPH0647577Y2 (ja) * 1991-02-18 1994-12-07 東洋製罐株式会社 泡噴出器
IT1251684B (it) 1991-10-11 1995-05-19 Carlo Mancini Pompetta ad azionamento manuale per dispensare sostanze liquide o cremose a pressione costante e prestabilita.
JP2961127B2 (ja) 1992-05-13 1999-10-12 株式会社大阪造船所 吐出容器
US5570819A (en) * 1992-07-07 1996-11-05 Daiwa Can Company Foam dispensing pump container
JP2664840B2 (ja) 1992-07-09 1997-10-22 有限会社鈴木紙巧社 プラスチック製組立箱用シ−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2386Y2 (ja) * 1992-10-01 1998-05-20 大和製罐株式会社 泡出しポンプ容器
US5358149A (en) * 1992-12-17 1994-10-25 Neill Richard K O Pressure build-up pump sprayer having anti-clogging means
JPH0669161U (ja) * 1993-03-05 1994-09-27 大和製罐株式会社 ポンプ式泡出し容器
DE9309443U1 (de) 1993-06-25 1994-11-03 Finke Robert Gmbh Behälter zur Ausgabe von Flüssigkeit
JP3596053B2 (ja) 1994-10-31 2004-12-02 東洋製罐株式会社 泡噴出ポンプ
EP0736462B1 (en) * 1994-11-17 2005-09-14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equipped with bubble injection pump
JP3112636B2 (ja) 1995-06-14 2000-11-27 プレスコ株式会社 泡生成ポンプ式流体分与容器および気液混合部材
NL1001366C2 (nl) * 1995-10-06 1997-04-08 Airspray Int Bv Inrichting voor het afgeven van een luchtvloeistofmengsel, in het bijzonder schuim en daarvoor bestemde bedieningseenheid.
JP3906953B2 (ja) * 1998-03-30 2007-04-18 株式会社資生堂 噴霧容器
FR2779129B1 (fr) * 1998-05-26 2000-08-18 Sofab Diffuseur de produits liquides sous forme d'aerosols
JP4236748B2 (ja) 1998-12-02 2009-03-11 株式会社ユー・ピー・シー 液体射出器
TW409719U (en) 1999-04-19 2000-10-21 Jang Jin Shuen Improved structure of skin milk pressing head
NL1012419C2 (nl) * 1999-06-23 2000-12-28 Airspray Nv Spuitbus voor het afgeven van een vloeistof.
US6446840B2 (en) * 2000-05-18 2002-09-10 Ophardt Product Kg Apparatus for making and dispensing foam
US6612468B2 (en) * 2000-09-15 2003-09-02 Rieke Corporation Dispenser pumps
TW554917U (en) 2001-12-07 2003-09-21 Sheng-Ming Tian Container structure suitable for installing atomizer
US6644516B1 (en) * 2002-11-06 2003-11-11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Foaming liquid dispenser
US6840408B1 (en) * 2003-08-25 2005-01-11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Air foam pump with shifting air piston
JP2005222250A (ja) 2004-02-04 2005-08-18 Toshiba Corp 捜索装置
JP2006027654A (ja) 2004-07-15 2006-02-02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6151209A (ja) 2004-11-30 2006-06-15 R & D Taro:Kk リ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111191B2 (ja) 2004-12-28 2008-07-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舵装置
JP4701879B2 (ja) * 2005-07-05 2011-06-15 東洋製罐株式会社 ポンプディスペンサ、並びに、吐出弁機構、吸入弁機構、及びバル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425A (ja) * 2003-09-30 2005-04-21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ンプ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6469C (en) 2017-06-06
CN101232949A (zh) 2008-07-30
US8056767B2 (en) 2011-11-15
ATE552915T1 (de) 2012-04-15
US8393500B2 (en) 2013-03-12
EP2236214A1 (en) 2010-10-06
EP1911525A4 (en) 2009-12-23
EP2316577A1 (en) 2011-05-04
WO2007013549A1 (ja) 2007-02-01
US20110031276A1 (en) 2011-02-10
TW200714525A (en) 2007-04-16
US20090255957A1 (en) 2009-10-15
EP2236214B1 (en) 2012-05-09
CA2616469A1 (en) 2007-02-01
KR20080056148A (ko) 2008-06-20
TWI295983B (en) 2008-04-21
EP1911525A1 (en) 2008-04-16
ATE556781T1 (de) 2012-05-15
CN101232949B (zh) 2011-02-09
EP2316577B1 (en) 2013-01-09
EP1911525B1 (en)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461B1 (ko) 토출용기
KR20120107862A (ko) 펌프식 거품토출용기
JPH10324357A (ja) ポンプ式泡出し容器
JP5101053B2 (ja) 泡状の内容液吐出容器
JP5000200B2 (ja) 吐出容器
JPH08133318A (ja) 泡噴出ポンプ
JP2015227197A (ja) 泡吐出器
JP5126815B2 (ja) 泡付着用噴出容器
JP4381689B2 (ja) 液体噴出ポンプ
JP4931057B2 (ja) 泡噴出容器
JP3836312B2 (ja) 液体噴出ポンプ
JP3238855B2 (ja) 泡噴出ポンプ付き容器
JPH09183451A (ja) 泡噴出ポンプ容器
JP6240498B2 (ja) フォーマディスペンサ
JP7433199B2 (ja) 吐出器
JP6910879B2 (ja) 吐出器
JP7386696B2 (ja) 泡吐出器
JP6647146B2 (ja) 液体噴出容器
JP6240522B2 (ja) フォーマディスペンサ
JP7076304B2 (ja) 泡吐出器
JPH0657843U (ja) 泡噴出ポンプ容器
JP7236960B2 (ja) 吐出容器
CA2533233C (en) Container with pump for discharging bubbles
JP2022073034A (ja) 吐出器
JP2023174003A (ja) 蓄圧式吐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