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372B1 -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372B1
KR101224372B1 KR1020100031647A KR20100031647A KR101224372B1 KR 101224372 B1 KR101224372 B1 KR 101224372B1 KR 1020100031647 A KR1020100031647 A KR 1020100031647A KR 20100031647 A KR20100031647 A KR 20100031647A KR 101224372 B1 KR101224372 B1 KR 10122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om
outlet
cas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454A (ko
Inventor
게이치 기무라
미쓰오 모리타
가즈유키 가사하라
가쓰히로 우라노
Original Assignee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67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921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6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9944B2/ja
Application filed by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키무라코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1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in which secondary air is induced by injector action of the primar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24F5/0092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ceilings, e.g. cool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Abstract

고효율, 고능력이며, 드래프트 느낌 및 온도 불균일이 없을 뿐더러, 열방사만의 종래의 복사패널에 의한 공조와 비교해서 공조하기에 부적합한 공간이 적고, 결로대책이 불필요한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천정(C)에 설치되는 유인방사공조기이며, 케이싱(19) 내에, 기기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급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공급공기를 열교환기(20)에 통과시키는 팬(22)과,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급공기를 이용해서 실내의 공기를 유인해서 이 공급공기와 혼합한 혼합공기를 상기 실내로 층류상으로 불어내며, 또한 상기 혼합공기의 열을 상기 실내로 방사하는 냉난방유닛(1)을 일체로 구비한다.

Description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온도를 조정해서, 실내로 급기(給氣)하는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에 관한다.
냉풍 또는 온풍을 직접 실내로 불어내는 종래의 냉난방 장치(예를 들면, 멀티 에어콘, 팬 코일 유닛)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열매(熱媒) 또는 냉매를 유통시키는 복수의 파이프가 장착된 복사 패널을 구비한 냉난방유닛을 천정에 매설하여,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실시함으로써, 쾌적하게 냉난방을 실시하는 냉난방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7-19533로 공보에는, 복사 패널 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온도 매체 통류용 파이프를 상기 복사 패널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파이프 받이부와, 이 파이프 받이부에 연결되어 상기 온도 매체 통류용 파이프를 고정하는 파이프 나사 고정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온도 매체 통류용 파이프의 설치가 용이하게 됨과 함께, 설치후에도 온도 매체 통류용 파이프의 교환이 용이한 천정 냉난방 복사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멀티 에어콘 및 팬 코일 유닛과 같은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로부터의 냉풍 또는 난(暖)풍의 풍속이 빨라서 이 실내의 사람에게 드래프트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실내에 온도 분포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이용하는 상술한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는, 냉복사 또는 열복사에 의한 냉열 또는 온열뿐이므로 공조 효율이 낮고, 단열성이 나쁜 장소, 열부하가 큰 장소, 공기의 출입이 큰 장소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등, 그 이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또한, 결로대책 등이 별도 필요하며, 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천정 냉난방 복사 패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공급되어지는 공급공기 및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한 혼합공기를 층류상으로 해서 상기 실내로 급기하며, 또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하여 상기 실내로 방사해서 이 실내의 공조를 행함으로써, 고효율, 고능력이며, 드래프트 느낌 및 온도 불균일이 없을 뿐더러, 열방사만의 종래의 복사패널에 의한 공조와 비교해서 공조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공간이 적으므로 장치의 이용범위가 넓으며, 결로대책이 불필요한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공급된 공급공기 및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한 혼합공기를 이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케이스와, 상기 순환공기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로 유도하는 유도로와, 상기 혼합케이스 내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어져,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하고, 상기 실내로 복사하는 축열복사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급된 공급공기는, 상기 유도로에 의해 상기 혼합케이스로 송풍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순환공기가 상기 유도로로부터 혼합케이스 내로 흘러들고, 상기 공급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공기로 되어진다.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취득하고, 상기 실내로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공급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케이스와, 한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면이 상기 실내로 향하도록 상기 실내의 벽에 매설되며, 상기 조정케이스, 혼합케이스 및 유도로를 수용하는 상자체를 구비하며, 이 상자체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유도로로 연통하는 순환공기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자체는 내측에, 상기 조정케이스, 혼합케이스 및 유도로를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져 있다. 순환공기는,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상자체의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순환공기로를 거쳐서 상기 유도로를 통하여 혼합케이스 내로 흘러들어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분류하여 통과시키는, 병설된 복수의 분류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로 급기되는 혼합공기는,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복수의 분류핀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분류되며, 소위, 복층류상으로 실내로 급기되어지므로, 실내의 사람에게 드래프트 느낌을 주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분류핀의 병설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분류핀을 관통하는 타원형의 축열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축열관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때에 일어나는, 상기 혼합공기와 상기 축열관의 충돌에 의한 압력 손실을 경감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공기는 부드럽게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어진다. 또한, 상기 축열관은 상기 복수의 분류핀을 보강하며, 또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취득하여 축열하고 있는 열을 상기 실내로 복사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하는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가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의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더욱 분류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혼합공기의 접촉이 발생하므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의 열의 취득 및 전달이 상기 분류핀뿐만이 아니라, 돌기부에서도 발생하여,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전체에서 보다 균일하게 실행되어지도록 되어,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및 혼합공기의 급기의 경우의 온도 분포 불균일 발생이 저지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며, 이웃하는 분류핀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려는 혼합공기가 통과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상기 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상기 혼합케이스 내의 혼합공기는 상기 돌기부에 의해서 분류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개공면의 개공을 통과해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실내로 들어간다. 또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의 복사열은, 상기 돌기부에 의해서 방향변환되어, 상기 개공면의 개공을 통과해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실내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상자체는 편평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편평상자형상이며, 상기 개공면과 대향하는 한면의 외측, 및 상기 개공면과 이웃하는 어느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에는, 상기 두 대향측면의 중간에,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의 조정공기 및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흡인하는 단책형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조정공기를 불어내는 단책형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취출구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케이스 내의 조정공기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져, 이 취출구와 정합하는 위치의 상기 흡입구에 흡인되어진다. 이 때에,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의 외측 및 상기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 형성된 순환공기로로부터,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가 함께 흡인되어져, 혼합케이스 내에서 혼합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이므로, 공급공기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나오기 전,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면과의 충돌 등에 의해, 풍향,기압(풍압)등이 조절되어, 상기 조정공기로써 상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는,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케이스의 취출구로부터 불어져나오는 조정공기의 양, 및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로 흡인되어지는 상기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양을, 필요에 따라서 각각 조정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한쌍의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활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조정케이스의 취출구로부터 불어져나오는 조정공기의 양이 조정되어지고, 상기 흡입구문짝부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로 흡인되어지는 상기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양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유도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 각각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는, 공간을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가 공간을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공기가 상기 취출구문짝부재(취출구)로부터 흡입구문짝부재(흡입구)로 흘러드는 때에, 상기 유도로의 주변에서는 기압이 내려가며, 상기 유도로의 주변의 공기(순환공기)가 이 유도로를 통해서 상기 흡입구문짝부재(흡입구)로 흡인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케이스에 상기 공급공기가 공급된 경우, 이 공급공기가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의 안내편과 충돌하여 그 풍향이 변경되어짐으로써, 상기 취출구로 안내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이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수반하여, 상기 조정케이스 내에서 공급공기의 풍압 및 풍속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억제기구를 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억제기구가, 상기 입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즉, 상기 입구 부근의 풍상측으로부터 풍하측을 향해서 상기 조정케이스 내에서 공급공기의 분포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등, 상기 조정케이스의 안에 있어서 풍압, 풍속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억제기구는, 상기 취출구와의 간격이 이 취출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점차 증가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대향배치된 장방형판재이며,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억제기구의 한쪽 단부측에,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억제기구와 상기 취출구의 사이의 간격이, 상기 입구측에서 최대로 되며, 이 취출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공기의 분포가 낮아지는 것, 즉, 상기 조정케이스의 안에 있어서, 상기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풍량·풍속에 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축열관의 안에는,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해서 축열하는 축열체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축열관(축열체)가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해서 축열한다. 축열되어 있는 열은, 상기 상자체의 개구를 거쳐서 상기 실내로 복사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은, 상기 혼합케이스의 개공면은, 상기 상자체의 개구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상자체의 개구의 주연부 및 상기 개공면의 주연부의 사이에는, 상기 순환공기로로 흡인되어지는 순환공기가 통과하는 통과틈이 형성되며, 이 통과틈에는, 상기 순환공기가 통과가능하게, 상기 실내를 비추는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통과틈에 설치되어진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실내를 비춘다. 이 경우, 상기 순환공기로에 흡인되어지는 순환공기에, 상기 조명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공급공기 및 순환공기의 혼합에 있어서, 재열 또는 예열로써 이용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공급되어지는 공급공기 및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한 혼합공기를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상기 공급공기를 통과시키는 팬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처리후의 공급공기 및 상기 순환공기의 혼합공기를 정류해서 상기 실내로 급기하며, 상기 혼합공기의 열을 상기 실내로 방사하는 냉난방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팬에 의해서 상기 공급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로 통과되어지며, 이 경우, 상기 공급공기는 열교환되어진다. 이와같이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해서 열교환된 처리후의 공급공기는, 상기 냉난방유닛에서 상기 순환공기와 혼합되어서 혼합공기로 되며, 이 혼합공기는 정류되어서 상기 실내로 급기되어진다. 또한,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하며, 이 열을 상기 실내로 방사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와, 상기 순환공기를 혼합하는 혼합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순환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의 안으로 유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 및 상기 순환공기는 상기 냉난방유닛의 혼합케이스에서 혼합된다. 또한, 상기 냉난방유닛은, 예를 들면,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가 흐를때에 발생하는 이 공급공기의 부근에서의 기압의 저하를 이용하여, 상기 순환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의 안으로 유인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은 직방체상을 이루며,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은, 상기 냉난방유닛을 낀 양측에 각각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연통하는 송풍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냉난방유닛의 한쪽의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다른 쪽의 상기 팬까지 상기 송풍로를 따라서 이동시켜, 이동거리가 길어지는 것에 의한 소음의 저감을 도모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은 직방체상을 이루며, 상기 냉난방유닛의 한면 쪽에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상기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연통하는 송풍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냉난방유닛의 한면 쪽에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송풍로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치의 구성의 콤팩트화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조명장치를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에 상기 조명장치를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며,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조명장치를 떼어내고 메인터넌스를 행하며, 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장치내측의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실내의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공조능력 및 상기 조명장치의 조광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근거해서, 예를 들면, 풍량, 취출온도 등의 증감 또는 온오프 등의 공조능력의 제어, 혹은 조도의 증감 또는 온오프 등의 조명장치의 조광의 제어 중,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함께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보수점검용패널을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에 상기 보수점검용패널을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여,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보수점검용패널을 떼어내고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실내의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근거해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근거해서, 예를 들면, 풍량, 취출온도 등의 증감 또는 온오프 등의 공조능력의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공급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때에 일어나는, 상기 공급공기와 상기 전열관의 충돌에 의한 압력손실을 경감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공기는 부드럽게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가 상기 팬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로 통과되며, 이때,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는 열교환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순환공기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로 유도하는 유도로와, 상기 혼합케이스 내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어져,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하고, 상기 실내로 복사하는 축열복사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공급공기는, 상기 유도로에 의해 상기 혼합케이스로 송풍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순환공기가 유인되며, 상기 유도로를 통하여 혼합케이스 내로 흘러들고, 상기 공급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공기로 되어진다.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취득하고, 상기 실내로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케이스와,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며, 이 케이싱의 개구부측에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조정케이스, 혼합케이스 및 유도로를 수용하는 상자체를 구비하며, 이 상자체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유도로로 연통하는 순환공기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자체는 내측에, 상기 조정케이스, 혼합케이스 및 유도로를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져 있다. 순환공기는, 상기 개구를 거쳐서 상기 상자체의 내측으로 들어가, 상기 순환공기로를 거쳐서 상기 유도로를 통하여 혼합케이스 내로 흘러들어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분류하여 통과시키는, 병설된 복수의 분류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로 급기되는 혼합공기는,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복수의 분류핀에 의해 복수의 층으로 분류되며, 소위, 층류상으로 실내로 급기되어지므로, 실내의 사람에게 드래프트 느낌을 주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분류핀의 병설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분류핀을 관통하는 타원형의 축열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축열관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때에 일어나는, 상기 혼합공기와 상기 축열관의 충돌에 의한 압력 손실을 경감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공기는 부드럽게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어진다. 또한, 상기 축열관은 상기 복수의 분류핀을 보강하며, 또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취득하여 축열하고 있는 열을 상기 실내로 복사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하는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가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의 방향을 변화시켜,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더욱 분류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혼합공기의 접촉이 발생하므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의 열의 취득 및 전달이 상기 분류핀뿐만이 아니라, 돌기부에서도 발생하여,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전체에서 보다 균일하게 행하여지도록 되어,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및 혼합공기의 급기의 경우의 온도 분포 불균일 발생이 저지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며, 이웃하는 분류핀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려는 혼합공기가 통과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상기 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상기 혼합케이스 내의 혼합공기는 상기 돌기부에 의해서 분류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개공면의 개공을 통과해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실내로 들어간다. 또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의 복사열은, 상기 돌기부에 의해서 방향변환되어, 상기 개공면의 개공을 통과해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실내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상자체는 편평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편평상자형상이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개공면과 대향하는 한면의 외측, 및 상기 개공면과 이웃하는 어느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에는, 상기 두 대향측면의 중간에,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의 조정공기 및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흡인하는 단책형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조정공기를 불어내는 단책형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취출구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케이스 내의 조정공기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져, 이 취출구와 정합하는 위치의 상기 흡입구에 흡인되어진다. 이 때에,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의 외측 및 상기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 형성된 순환공기로로부터,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가 함께 흡인되어져, 혼합케이스 내에서 혼합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이므로, 공급공기가 상기 취출구로부터 나오기 전,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면과의 충돌 등에 의해, 풍향,기압(풍압)등이 조절되어, 조정공기로써 상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취출구 또는 상기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한쌍의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활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조정케이스의 취출구로부터 불어져나오는 조정공기의 양이 조정되어지고, 상기 흡입구문짝부재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로 흡인되어지는 상기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양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유도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 각각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는, 공간을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가 공간을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공기가 상기 취출구문짝부재(취출구)로부터 흡입구문짝부재(흡입구)로 흘러드는 때에, 상기 유도로의 주변에서는 기압이 내려가며, 상기 유도로의 주변의 공기(순환공기)가 이 유도로를 통해서 상기 흡입구문짝부재(흡입구)로 흡인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케이스에 상기 공급공기가 공급된 경우, 이 공급공기가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의 안내편과 충돌하여 그 풍향이 변경되어짐으로써, 상기 취출구로 안내되어진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송풍로에 연통되며,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상기 취출구와의 간격이 이 취출구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점차 증가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대향배치된 장방형판재의 억제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억제기구의 한쪽 단부측에,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억제기구와 상기 취출구의 사이의 간격이, 상기 입구측에서 최대로 되며, 이 취출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즉, 상기 입구부근의 풍상측으로부터 풍하측으로 향하여 상기 조정케이스의 안에서 공급공기에 풍압, 풍속등의 차가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는,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송풍로를 통과하는 처리후의 공급공기가 상기 가습스페이스에서 가습되어지며, 상기 조정케이스의 입구를 거쳐서 조정케이스 내로 흘러들어간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공급공기가 혼합케이스로 흘러드는 때에, 상기 유도로의 주변에서의 기압 저하로 이 유도로를 통해서 들어가는 순환공기와,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 내에서 혼합시켜서 실내로 급기하므로, 노점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결로대책을 위한 배수처리설비가 불필요하게 되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급공기의 풍량당의 냉방능력 또는 난방능력을 크게하여(급기온도를 통상보다 저온화 또는 고온화) 급기풍량을 적게 함으로써, 송풍동력감소 및 덕트 등의 설비의 소형화에 의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열복사부재와, 이 축열복사부재를 거쳐서 열전도 된 혼합케이스로부터, 상기 실내로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실시함으로써, 높은 효율로 원거리까지 복사열(냉열 또는 온열)을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피조정공간인 실내의 온도 분포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하여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 한 것과 함께,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함으로써 열매의 열원이 불필요하게 되고, 열매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매체가 새는 우려가 없고, 설비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순환공기로의 순환공기가 상기 유도로를 거쳐서 상기 혼합케이스로 흡인되어서 상기 순환공기로 내의 기압이 떨어진 경우, 다시 상기 실내로부터 순환공기가 흡인되므로, 소위, 서큘레이터로써의 역할을 하여, 상기 혼합케이스에 상기 순환공기를 공급하기위한 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운전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복사패널에서는 패널면에서부터의 열방사뿐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혼합케이스로부터의 열방사에 더하여, 상기 개구를 거쳐서 축열복사부재로부터도 실내로 열방사하므로, 복사(방사) 에너지를 고효율로 원거리까지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원거리복사 작용과, 혼합공기가 천정 근처에 체류하지않도록 실내와의 온도차를 작게하여 층류상으로 방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원거리 또한 광범위한 열전달 작용과, 상기 순환공기의 흡인(유인)에 의해 발생하는 서큘레이터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실내공기의 온도분포가 균일화되며, 고효율, 고능력으로 드래프트 느낌 및 온도 분포 불균일이 없는 쾌적공조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열방사만의 공조와 비교해 공조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공간이 적고 이용범위가 넓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시켜서 층류상으로 하여 상기 실내로 급기함으로써, 실내의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드래프트 느낌을 억제함과 함께, 상기 실내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류핀으로 혼합공기의 열을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축열복사부재 전역으로 열전달시켜서 축열하여, 혼합케이스로 균일하게 열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시 안정한 열방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축열관이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취득한 열을 상기 실내로 복사하며, 이 축열관이 보강 부재로써의 역할을 행한다. 또한, 축열관에 의해 상기 분류핀 또는 축열복사부재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한 상기 혼합공기의 실내로의 공급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기가 낮은 압력 손실로 부드럽게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된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가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더더욱 분류하므로,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혼합공기의 접촉으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의 열의 취득 및 전달이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전체에서 한층 균일하게 실행되며,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및 혼합공기의 급기의 경우의 분포 불균일 발생이 저지되어, 상기 실내에서의 온도 분포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혼합케이스의 개공(開孔)의 윗쪽에, 이 개공을 가로막듯이 분류핀의 돌기부가 늘어서서 위치하며,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혼합공기의 분류가 촉진되어, 개공으로의 바이패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혼합공기의 열을 축열복사부재 전역으로 균일하게 열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에 의해서 분류핀으로부터 실내로의 열방사가 혼합케이스의 개공을 통과하여 비스듬히 아래방향으로도 행하여지므로, 넓은 범위로 복사(방사) 에너지를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분포가 한층 균일화되며, 온도 분포 불균일이 없는 쾌적공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혼합공기를 혼합케이스의 중앙을 따라서 보내어, 축열복사부재를 통해서 실내로 내보내기때문에, 축열복사부재 전역에 혼합공기를, 편재 또는 바이패스 없이 확실하게 분류해서 층류상으로 흐르게하며, 또한 혼합케이스 전역에서 균일하게 열전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유닛당의 유효공조범위가 넓고 공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체가 편평형상이므로, 예를 들면, 좁은 천정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우기, 조정케이스의 취출구가 하나로 해결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취출구의 전면에 걸쳐서, 이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정공기가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 혼합케이스로 흘러드는 경우에, 상기 유도로의 주변에서의 기압 저하로 이 유도로를 거쳐서 상기 혼합케이스로 흡인되어지는 순환공기의 양도 일정하게 되며, 안정된 냉난방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조정공기의 양을 조정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혼합공기의 급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실내로 공급하는 혼합공기의 풍량·풍속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장방형인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조정공기(및 순환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장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조정공기(및 순환공기)의 양을 조정가능하며, 상기 혼합공기의 급기에 있어서, 상기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실내로 공급하는 혼합공기의 풍량·풍속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조정공기가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 혼합케이스로 흘러드는 때에, 상기 순환공기로의 순환공기가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혼합케이스로 흡인되어지므로, 상기 혼합케이스에 상기 순환공기를 공급하기위한 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으며, 운전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조정케이스가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방형의 상기 취출구의 전면에 걸쳐서, 이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조정케이스의 안에 있어서, 상기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수반하여, 풍압·풍속의 분포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압·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조정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기 취출구의 길이방향의 풍상측으로부터 풍하측을 향해서 축소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의 길이방향 전역에서 풍압, 풍속을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균일을 발생시키지않는다. 그 때문에, 순환공기의 흡인에 있어서 분포 불균일이 없고 서큘레이터 효과가 높으며, 균등하게 순환공기를 조정공기와 혼합할 수 있고, 혼합케이스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 불균일이 없으며, 안정한 쾌적 공조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상기 축열관의 안에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해서 축열하는 축열체가 충진되어지므로,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전체적으로 열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내의 온도 불균일이 적고, 한층 안정된 냉난방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에 의하면, 별도로 상기 조명장치를 설치하기위한 설치장소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상기 냉난방유닛을 천정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이 천정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며, 상기 조명장치를 설치하기위한 설비 코스트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급공기의 풍량당의 냉방능력을 크게한(급기온도를 통상보다 저온화) 경우에, 상기 조명장치로부터의 열을 공급공기의 재열에 이용함으로써,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급기풍량을 한층 적게하여 더더욱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에는, 상기 조명장치의 열을 공급공기의 예열에 이용함으로써, 이 공급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의 소용량화 및 난방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열방사(복사)와 층류상 혼합공기에 의해, 고효율, 고능력으로 드래프트 느낌 및 온도 불균일이 없는 쾌적공조가 행하여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열방사만의 종래의 복사패널에 의한 공조와 비교하여 공조에 적합하지않은 공간이 적고, 장치의 이용범위가 넓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피공조공간인 실내의 공기를 유인해서 재열하므로 냉방시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 코스트 절약이 된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모든 장치가 기체에 집약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스페이스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장치별로 공조능력을 개별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창문 근처 등 열부하의 불균일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쾌적공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의 열원으로써 냉온수, 히트펌프 등 각종방식의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의 내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활용할 수 있어 장치전체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장치내에서의 송풍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조용하면서 쾌적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별도로 상기 조명장치를 설치하기위한 설치장소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상기 냉난방장치를 천정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이 천정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며, 상기 조명장치를 설치하기위한 설비 코스트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급공기의 풍량당의 냉방능력을 크게한(급기온도를 통상보다 저온화) 경우에, 상기 조명장치로부터의 열을 공급공기의 재열에 이용함으로써,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급기풍량을 한층 적게하여 더더욱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에는, 상기 조명장치의 열을 공급공기의 예열에 이용함으로써, 이 공급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의 소용량화 및 난방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장치전체를 천정으로부터 떼어내지않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간단히 열교환기, 팬 등의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며,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점검구로써 겸용할 수 있어, 천정에 별도로 점검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다운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조명장치의 장착 스페이스 및 점검구로써 겸용할 수 있으므로, 천정에 별도로 점검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다운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피공조공간(실내)에 사람이 없을 때에 공조 및 조명에 쓸데없이 에너지를 사용하는 일이 없어져 에너지 절약이 된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이 타원관이므로 압력손실이 적으며, 송풍동력을 늘리지않고 전열관 유효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조용 열교환기를 냉온수코일로 한 경우, 큰 온도차, 작은 수량화에 의한 펌프동력의 대폭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천정의 뒷쪽을 소위 천정쳄버로써 이용하므로, 덕트가 불필요하여 코스트다운이 가능하다. 천정의 뒷쪽의 열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냉방시에 천정면으로부터의 열방사를 방지하여 에너지절약이 된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공급공기가 상기 혼합케이스로 흘러드는 때에, 상기 유도로의 주변에서의 기압 저하로 이 유도로를 통해서 들어가는 순환공기와,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 내에서 혼합시켜서 실내로 급기하므로, 노점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결로대책을 위한 배수처리설비가 불필요하게 되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급공기의 풍량당의 냉방능력 또는 난방능력을 크게하여(급기온도를 통상보다 저온화 또는 고온화) 급기풍량을 적게 함으로써, 송풍동력감소와 덕트 등의 설비의 소형화에 의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순환공기로의 순환공기가 상기 유도로를 거쳐서 상기 혼합케이스로 흡인되어서 상기 순환공기로 내의 기압이 떨어진 경우, 다시 상기 실내로부터 순환공기가 흡인되어지므로, 소위, 서큘레이터로써의 역할을 하여, 상기 혼합케이스에 상기 순환공기를 공급하기위한 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운전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복사패널에서는 패널면에서부터의 열방사뿐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혼합케이스로부터의 열방사에 더하여, 상기 개구를 거쳐서 축열복사부재로부터도 실내로 열방사하므로, 복사(방사) 에너지를 고효율로 원거리까지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원거리복사 작용과, 혼합공기가 천정 근처에 체류하지않도록 실내와의 온도차를 작게하여 층류상으로 방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원거리 또한 광범위한 열전달 작용과, 상기 순환공기의 흡인(유인)에 의해 발생하는 서큘레이터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실내공기의 온도분포가 균일화되며, 고효율, 고능력으로 드래프트 느낌 및 온도 불균일이 없는 쾌적공조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열방사만의 공조와 비교해 공조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공간이 적고 이용범위가 넓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시켜서 층류상으로 하여 상기 실내로 급기함으로써, 실내의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드래프트 느낌을 억제함과 함께, 상기 실내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류핀으로 혼합공기의 열을 효율이 좋고 확실하게 축열복사부재 전역으로 열전달시켜서 축열하고, 혼합케이스로 균일하게 열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시 안정한 열방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축열관이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취득한 열을 상기 실내로 복사하며, 이 축열관이 보강 부재로써의 역할을 행한다. 또한, 축열관에 의해 상기 분류핀 또는 축열복사부재에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한 상기 혼합공기의 실내로의 공급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기가 낮은 압력 손실로 부드럽게 상기 축열복사부재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된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가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의 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더더욱 분류하므로, 이 때의 복수의 돌기부와 상기 혼합공기의 접촉으로, 상기 혼합공기로부터의 열의 취득 및 전달이 상기 축열복사부재의 전체에서 한층 균일하게 행하여지며, 상기 실내에서의 온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혼합케이스의 개공(개공)의 윗쪽에, 이 개공을 가로막듯이 분류핀의 돌기부가 늘어서서 위치하며,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혼합공기의 분류가 촉진되어, 개공으로의 바이패스(그대로 지나감)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혼합공기의 열을 축열복사부재 전역으로 균일하게 열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돌기부에 의해서 분류핀으로부터 실내로의 열방사가 혼합케이스의 개공을 통과하여 비스듬히 아래방향으로도 행하여지므로, 넓은 범위로 복사(방사) 에너지를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실내공기의 온도분포가 한층 균일화되며, 온도 불균일이 없는 쾌적공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혼합공기를 혼합케이스의 중앙을 따라서 보내어, 축열복사부재를 통해서 실내로 내보내기때문에, 축열복사부재 전역에 혼합공기를, 편재 또는 바이패스 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분류해서 층류상으로 흐르게하며, 또한 혼합케이스 전역에서 균일하게 열전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요소당의 유효공조범위가 넓고 공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체가 편평형상이므로, 예를 들면, 좁은 천정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우기, 조정케이스의 취출구가 하나로 해결되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취출구의 전면에 걸쳐서, 이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정공기가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 혼합케이스로 흘러드는 경우에, 상기 유도로의 주변에서의 기압 저하로 이 유도로를 거쳐서 상기 혼합케이스로 흡인되어지는 순환공기의 양도 일정하게 되며, 안정된 냉난방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장방형인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조정공기의 양을 조정하기 위한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장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상기 조정공기의 양을 조정가능하며, 상기 혼합공기의 혼합에 있어서의, 상기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실내로 공급하는 혼합공기의 풍량·풍속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정공기가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 상기 혼합케이스로 흘러드는 때에, 상기 순환공기로의 순환공기가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상기 혼합케이스로 흡인되어지므로, 상기 혼합케이스에 상기 순환공기를 공급하기위한 장치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으며, 운전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정케이스가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방형의 상기 취출구의 전면에 걸쳐서, 이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정케이스의 안에 있어서, 상기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수반하여, 풍압·풍속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압·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즉,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상기 취출구의 길이방향의 풍상측으로부터 풍하측을 향해서 축소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취출구의 길이방향 전역에서 풍압, 풍속을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하여 불균일을 발생시키지않는다. 그 때문에, 순환공기의 흡인에 있어서 불균일이 없고 서큘레이터 효과가 높으며, 균등하게 순환공기를 조정공기와 혼합할 수 있고, 혼합케이스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온도 불균일이 없으며, 안정한 쾌적 공조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송풍로를, 상기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써 겸용하므로 장치의 대형화 및 코스트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장치에 의하면, 상기 송풍로에 의해, 상기 공급공기의 가습에 있어서의 증발흡수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팬코일과 같은 소형의 공조기에서도 포화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여 습도제어범위가 넓어져 쾌적성이 향상된다.
이상,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난(欄)에 있어서 기술한 실시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분명히 하는 의도의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체적 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의 범위에 기술한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의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의 혼합케이스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의 조정케이스 및 혼합케이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2의 E방향로부터 본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의 축열복사분류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4의 F방향로부터 본 조정케이스 및 혼합케이스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의 조정케이스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의 냉난방유닛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의 축열복사분류기의 일부를 생략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10의 J방향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3의 혼합케이스 및 축열복사분류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천정에 설치한 경우,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간략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의 냉난방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냉난방유닛의 혼합케이스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의, 냉난방유닛의 조정케이스 및 혼합케이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15의 E방향로부터 본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17의 F방향로부터 본 조정케이스 및 혼합케이스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유인방사유닛의 조정케이스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사시도이다.
도 21은,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유인방사유닛의 조명장치의 착탈예를 나타내는 간략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조명장치를 떼어내고 실내쪽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6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7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케이싱의 윗면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9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케이싱의 윗면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0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케이싱의 윗면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유닛이 상기 냉난방장치의 소위 공기식복사층류유닛인 경우를 예로해서, 도면에 근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냉난방유닛(공기식복사층류유닛)은, 예를들면, 실내의 천정에 매설되며, 공조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조화공기(공급공기)의 온도, 습도를 조절해서 상기 실내로 공급한다.
(실시의 형태1)
도1은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저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은 후드(13)와,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의 조화공기를 받아들이며, 이 조화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케이스(11)와, 이 조정케이스(11)로부터 보내어지는 조화공기와,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실내로 송기하는 혼합케이스(16)를 구비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혼합케이스(16)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5는 도2의 E방향로부터 본 전체의 단면도이고, 도7은 도4의 F방향로부터 본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후드(13)는, 실내(S)의 천정(C)에 매설되어 있으며, 후드(13)의 내측에는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가 수납되어 있다.
후드(13)는 한쪽 면에 하방개구부(14)를 가지는, 편평한 직방체상의 상자체이다. 후드(13)는 하방개구부(14)를 가지는 상기 한쪽 면이 천정(C)과 동일평면을 이루며 실내(S)을 향하도록 천정(C)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 한쪽 면과 대향하는 다른쪽 면의 한쪽 단부에는, 장방형의 점검구(19)를 설치하고 있다. 점검구(19)는 후드(13)를 내외로 관통하고 있으며, 덮개를 설치하여, 개폐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드(13)의 상기 한쪽 면에는, 점검구(19)와의 대향위치에, 장방형의 점검패널(17)을 붙였다 떼었다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점검패널(17)은, 후드(13)의 점검구(19) 부근의 한쪽 단부측으로 붙여서, 천정(C)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장착되어져 있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후드(13)는 이과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좁은 천정 내에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드(13)의 상기 다른쪽 면에는, 조정케이스(11)가 장착되어 있으며, 조정케이스(11)의 아래쪽에 혼합케이스(16)가 조정케이스(11)와 대향배설되며, 이것들은 후드(13)의 측벽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 그리고 후드(13)의 내측의 사이에는, 실내(S)의 순환공기를 하방개구부(14)로부터 뒤에서 기술하는 유도로(K) 로 연통(連通)하는 순환공기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순환공기로(15)는 실내(순환공기)와 연통하고 있으며, 순환공기의 순환공기로(15)로의 출입이 항상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순환공기가 순환공기로(15)를 거쳐서 유도로(K)로 흡인되어진다.
조정케이스(11)는,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의 조화공기를 받아들이는 공기입구(18)와, 공기입구(18)로부터의 조화공기를 수용하며, 조화공기의 풍향, 풍속, 풍량 등의 흐름을 조정하는 수용케이스부(11B)와, 수용케이스부(11B)에서 흐름이 조정된 조정공기를 조정케이스(11)의 외측을 향해서 불어내는 취출구(12A)를 구비하고 있다. 취출구(12A)는 단책(短冊)형이며, 수용케이스부(11B)의 아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케이스(11)는, 취출구(12A)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입구(18)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으며, 후드(13)의 점검구(19)의 부근에서, 후드(13)의 상기 다른쪽 면을 내외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냉난방유닛(1) 전체를 천정(C)으로부터 떼어내거나, 천정(C)에 별도로 점검구를 설치하지않고, 점검패널(17)로부터 간단히 냉난방유닛(1)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조정케이스(11)의 공기입구(18)가 점검구(19)의 근방에 있으므로, 점검패널(17) 및 점검구(19)를 이용하여 조화공기의 송풍덕트(미도시)의 시공 및 보수 등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점검패널(17) 및 점검구(19)를 생략하는 구성이더라도 된다.
수용케이스부(11B)는 공기입구(18)의 아래측의 주연에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아래쪽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상을 가지며, 후드(13)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어나는 상자체이다.수용케이스부(11B)의 내측에는, 공기입구(18)로부터의 조화공기를 취출구(12A)로 안내하는 복수의 벽조각부(7,7,…7)와,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한 경사판(11a)을 구비하고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조정케이스(11)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사시도이다. 수용케이스부(11B)는, 대칭적으로 경사진, 대향하는 2장의 경사벽(7B, 7B)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경사벽(7B, 7B)의 내측에는, 벽조각부(7,7,…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벽조각부(7,7,…7)는 단책(短冊)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경사벽(7B, 7B)에 간격을 끼고 병설되어 있다. 벽조각부(7,7,…7)와의 충돌에 의해, 공기입구(18)로부터의 조화공기의 풍향이 변화하며, 조화공기를 취출구(12A)의 쪽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벽조각부(7,7,…7)의 돌출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높이), 및 상기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폭)는 변경자유이지만, 벽조각부(7,7,…7)의 종단면적을, 조정케이스(11)의 폭방향의 최대 단면적의 10~30%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벽조각부(7,7,...7)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풍향을 조정할 수 없으며, 너무 높으면 공기입구(18)로부터의 조화공기가 도4의 점선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처럼 벽조각부(7,7,...7)의 풍하(風下)부로 확실히 돌아가지않으며, 점선의 굵은 화살표와 실선의 굵은 화살표의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흐름이 없는 부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4중, 실선의 화살표는, 높고 낮음에 좌우되지않고 벽조각부(7,7,...7)에 의해 발생하는 풍향을 나타내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의 냉난방유닛(1)은, 조정케이스(11)에, 경사벽(7B, 7B)의 내측면 및 벽조각부(7,7,…7)로 구성되어지는 정류기구(G)를 설치하고 있다. 공기입구(18)로부터 들어오는 조화공기는 정류기구(G)에 의해 안내되어지며, 자세하게는 경사벽(7B, 7B)의 내측면 및 벽조각부(7,7,…7)의 저항에 의해 바로 밑방향으로 풍향이 변하며, 취출구(12A)의 쪽으로 흐르게 된다.
경사판(11a)은 수용케이스부(11B)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는, 장방형의 판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판(11a)은 취출구(12A)와 대향배설되어 있으며, 취출구(12A)와의 간격이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점차 변화하도록구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경사판(11a)은, 취출구(12A)와의 간격을 공기입구(18)의 부근에서 최대로 하며, 공기입구(18)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도록, 즉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져 있다.따라서, 수용케이스부(11B)의 안에 있어서, 공기입구(18)로부터 가까운 곳과 먼 곳의 사이에 공기압의 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입구(18)의 바로 밑에는, 공기입구(18)로부터의 조화공기를 조정케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칸막이판(7a)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7a)은 공기입구(18)와 대향배설되어 있으며 칸막이판(7a)과, 경사벽(7B, 7B)의 사이에는 틈(M)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의 조화공기의 대부분은 공기입구(18)로부터 들어가서, 칸막이판(7a)과 충돌하여 조정케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풍향을 바꾸고, 일부만이 틈(M)을 통하여 취출구(12A) 쪽으로 흘러든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조정케이스(11)가 상부를 넓고 하부를 가늘게 좁힌, 취출구(12A)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형 단면(또는 테이퍼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혼합케이스(16)는 편평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후드(13)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뒤에서 기술하는 축열복사분류기(2)가 장착되어지는 장착부(16B)와, 장착부(16B)를 덮는 덮개부(16A)를 구비하고 있으며, 덮개부(16A) 및 장착부(16B)는 일체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6B)는 윗측의 한쪽 면이 개구한, 편평한 직방체상의 상자체이다.장착부(16B)의 상기 한쪽 면과 대향하는 아래측의 다른쪽 면(163)의 내측에는, 혼합공기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취득하여 실내를 향해서 복사하는 축열복사분류기(2)가, 장착부(16B)(및 덮개부(16A))와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축열복사분류기(2)에 축열되는 열은, 장착부(16B) 및 덮개부(16A)까지 전달되며, 축열복사분류기(2)로부터뿐만이 아니라, 장착부(16B) 및 덮개부(16A)로부터도, 실내(S)로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실행함으로써, 높은 효율로 원거리까지 복사열(냉열 또는 온열)을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장착부(16B)는 다른쪽 면(163)에 상기 혼합공기를 외측(실내(S))로 불어내는 복수의 개공(9,9,…9)을 설치하고 있다. 개공(9,9,…9)은 타원구멍이며, 혼합케이스(16)(장착부(16B))를 내외로 관통하고 있다. 혼합케이스(16) 내의 혼합공기는,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여, 개공(9,9,…9)을 통해서 실내로 급기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서는, 개공(9,9,…9)이 타원구멍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장방형 등의 형상이더라도 된다. 또한, 개공(9,9,…9)의 분포, 수 등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내(S)로의 축열복사분류기(2) 및 혼합케이스(16)의 열방사 작용, 그리고 혼합케이스(16)로부터의 혼합공기 방출에 의한 열전달 작용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 혼합케이스(16)(장착부(16B))의 다른쪽 면(163) 전체에 대한 개공(9,9,…9) 전체의 총면적비는 3할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축열복사분류기(2)는, 복수의 전열판(8,8,…8)과, 전열판(8,8,…8) 으로부터 전달되어지는 냉열 또는 온열을 축열하는 복수의 타원상축열관(99,99,…99)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판(8,8,…8)은, 단책상이며,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취득해서 장착부(16B) 및 덮개부(16A) 그리고 타원상축열관(99,99,…99)으로 전달한다. 타원상축열관(99,99,…99)은, 종단면에서 보아 타원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타원의 장경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장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혼합케이스(16) 내의 혼합공기가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는 경우, 낮은 압력 손실로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전열판(8,8,…8)은, 예를 들면, 열전도성 및 열방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동, 운모, 티탄, 카보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장착부(16B)의 폭방향으로, 적절 간격을 끼고 상호 대향하도록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타원상축열관(99,99,…99)은, 복수의 전열판(8,8,…8)의 병설방향으로, 복수의 전열판(8,8,…8)을 관통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타원상축열관(99,99,…99)은 동, 운모, 티탄, 카보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전열판(8)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병설되어 있으며, 축열복사분류기(2)는 전체로써, 장착부(16B)의 내측형상을 닮은 편평한 직방체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혼합케이스(16) 내의 혼합공기가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는 경우, 복수의 전열판(8,8,…8)에 의해, 풍속이 저하함과 함께, 복수의 층으로 분류되며, 소위, 복층류상으로 되어, 실내(S)로 급기되어지므로, 실내(S)의 사람에게 드래프트 느낌을 주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례에 있어서는, 타원상축열관(99,99,…99)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긴 하나의 타원상축열관(99)을 꾸불꾸불하게 꺽어 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타원상축열관(99,99,…99)은 종단면에서 보아 타원상이 아니라, 원상이라도 된다.
또한, 타원상축열관(99,99,…99)의 구성은 상기의 기재내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의 축열복사분류기(2)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타원상축열관(99,99,…99)의 내부에는, 타원상축열관(99,99,…99)을 거쳐서 상기 혼합공기의 열을 취득해서 축열 하는 축열체(T)가 충진되어 있다. 축열체(T)는, 열을 비축하여 장시간 방열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이면 되며, 액체상이라도 되며, 고체상이라도 된다.
또한, 혼합공기의 실내(S)로의 분류확산, 열전달 작용 등을 최적으로 기능시키기위해서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기전의 혼합공기의 속도는,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한 후의 혼합공기의 속도의 반이하, 바람직하게는 20%~30% 이하로 감속하도록 전열판(8,8,…8) 및 개공(9,9,…9)의 형상, 수, 핏치 등을 구성한다.
한편, 덮개부(16A)는 장착부(16B)의 윗측의 상기 한쪽 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16A)는, 축열복사분류기(2)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진 상판(161)의 주연을 아래 방향으로 꺽어 굽혀서 늘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혼합케이스(16)의 안에서는, 덮개부(16A)의 내측면과, 축열복사분류기(2)에 둘러싸여진 공간이 형성되어진다. 이 공간에서는, 조정케이스(11)로부터의 조정공기와, 순환공기로(15)로부터의 순환공기가, 뒤에서 기술하는 수법에 의해 혼합되며, 혼합공기로 되어진다.
또한, 덮개부(16A)는, 상판(16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도3중L로 표시)에, 조정케이스(11)로부터의 조정공기를 흡인함과 함께, 순환공기로(15)로부터 순환공기를 유인해서 흡인하는 유인구(162)를 설치하고 있다. 유인구(162)는 상판(161)의 길이 방향으로 긴 단책형이며, 조정케이스(11)의 취출구(12A)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인구(162)는, 상판(161)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두 측면의 중간에 형성되며, 취출구(12A)와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 측면 및 상판(161)의 외측에는, 순환공기로(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은, 조정케이스(11)의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를 혼합케이스(16)로 유도하는 유도로(K) 를 형성하고 있다. 유도로(K)는, 취출가이드(12)(또는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의 일부와, 유인가이드(10)(또는 유인구풍량조정부재(5))의 일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도로(K)는, 취출가이드(12)(또는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의 가이드차양(32)과, 공간(N)과, 유인가이드(10)(또는 유인구풍량조정부재(5))의 가이드차양(51)으로 이루어지며,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도로(K)에 의해서 유도되어, 유인구(162)로 흘러든다. 이 때, 실내(S)로부터의 순환공기는 순환공기로(15) 를 거쳐서 공간(N)으로부터 유도로(K) 를 통과해서 유인구(162)로 빨아들여진다.
취출가이드(12)는, 취출구(12A)의 부근이며, 조정케이스(11)의 경사벽(7B, 7B)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져,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인구(162)로 흘러들도록, 풍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취출가이드(12)는, 이 조정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풍량조정기구(A)를 구비하고 있다. 풍량조정기구(A)는, 경사벽(7B, 7B)의 하단부의 외측에 활동(滑動)가능하게 장착되어진 한쌍의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와,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를 활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나사고정부재(4,4)로 이루어진다.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는, 취출구(12A)의 길이방향치수와 대략 동일한 길이방향치수를 가지는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폭방향의 상단부는, 취출구(12A)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 나사고정부재(4,4)에 의해 활동가능하게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하단부는 유인구(162)를 향해서 꺽어 굽혀서 늘여, 가이드차양(32,32)을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상단부에는 관통타원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통타원구멍의 단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나사, 리벳과 같은 나사고정부재(4)로 나사고정함으로써, 취출구풍량조정부재(3)는 상기 관통타원구멍의 장경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한쌍의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가 각각 경사벽(7B, 7B)의 외면을 따라서, 그 경사방향으로 활동하여, 취출구(12A)를 개폐함으로써, 즉,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간격(HA)을 증감함으로써,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는, 취출구(12A)로부터 나온 뒤, 가이드차양(32,32)에 의해 풍향이 안내되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취출가이드(12)는, 상기 조정공기의 풍량의 조정 및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유인가이드(10)는, 유인구(162)의 부근이며, 상판(161)의 중앙부에 장착되어지며,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인구(162)로 흡인되어지도록, 그리고, 순환공기로(15)로부터 순환공기가 유인되어서 흡인되어지도록, 가이드한다. 유인가이드(10)는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공간(N)을 끼고 취출가이드(12)와 대향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인가이드(10)는, 흡인되어지는 풍량을 조정하는 풍량조정기구(B)를 구비하고 있다. 풍량조정기구(B)는, 상판(161)의 외측에 활동가능하게 장착되어진 한쌍의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와,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를 활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나사고정부재(6,6)로 이루어진다.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는, 유인구(162)의 길이방향치수와 대략 동일한 길이방향치수를 가지는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의 외측단부가, 유인구(162)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 각각 나사고정부재(6,6)에 의해 활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의 내측단부는 혼합케이스(16)의 내측을 향해서 꺽어 굽혀서 늘여, 가이드차양(51,51)을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의 외측단부에는 관통타원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통타원구멍의 단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나사, 리벳과 같은 나사고정부재(6)로 나사고정함으로써, 유인구풍량조정부재(5)는 상기 관통타원구멍의 장경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한쌍의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가 각각 상판(161)의 외면을 따라서 활동하여, 유인구(162)를 개폐함으로써, 즉,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의 간격(HB)을 증감함으로써, 유인구(162) 내에 흡인되어지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인구(162)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차양(51,51)에 의해 풍향이 안내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에 있어서는,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의 하단부 및 유인구풍량조정부재(5) 내측단부가 꺽어 굽혀진 형상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취출가이드(12) 및 유인가이드(10)의 어느 한쪽을 생략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하, 순환공기로(15)의 순환공기를 혼합케이스(16)의 안으로 유인하여 흡인하며, 조정케이스(11)로부터의 조정공기와 혼합해서 혼합공기로 하는 수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취출구(12A)(취출가이드(12))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인구(162)(유인가이드(10))로 흡인되어지는 경우, 취출구(12A)로부터 유인구(162)까지의 공기의 흐름의 주위에서는 기압이 내려간다. 한편, 실시의 형태1에서는, 취출가이드(12)(취출구(12A)) 및 유인가이드(10)(유인구(162))가 공간(N)을 끼고 대향배치되어지며, 주위의 공기(순환공기로(15) 내의 순환공기)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의 흐름의 주위에서 기압이 내려간 경우, 순환공기로(15) 내의 순환공기가 상기 공기의 흐름에 말려들게 된다.(도5중에는, 점선화살표(W1)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인된 순환공기는, 조정공기와 함께, 혼합케이스(16)의 안으로 흡인되어져 혼합되어지면서, 분류되어, (도5중에는, 점선화살표(W2)로 표시하고 있다.) 실내(S)로 급기되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조정공기 및 순환공기의 비율은 약 6:4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경우 순환공기로(15) 내에는, 혼합케이스(16)의 안으로 흡인되어진 순환공기량만큼 기압이 내려가지만, 상술한 것처럼, 순환공기로(15)는 실내(순환공기)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실내로부터 순환공기가 급기되어진다.(도5중에는, 점선화살표(W3)로 표시하고 있다. )
이상의 작용을 반복하여 실내(S)와 냉난방유닛(1)의 사이에서 공기가 대류순환하여 교반되어진다. 냉방시에는 실내(S) 보다도 온도가 낮은 혼합공기 및 냉열방사에 의해 실내(S)를 공조하며, 난방시에는 실내(S) 보다도 온도가 높은 혼합공기 및 온열방사에 의해 실내(S)를 공조한다. 조화공기는, 예를 들면, 결로방지 및 공조효율화를 위해서, 순환공기와 혼합된 지점에서 실내(S)의 노점온도보다 고온이며 절대습도가 낮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도로(K)는 이과 같은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취출가이드(12) 및 유인가이드(10)을 생략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취출구(12A) 및 유인구(162)가, 주름상자와 같은 유도로재료에 의해 연결되며, 이 유도로재료에 순환공기로(15)의 순환공기와 연통하는 구멍을 마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2)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의 냉난방유닛(1)의 요부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2의 냉난방유닛(1)은 후드(13)의 하방개구부(14)의 주연부에, 실내(S)를 비추는 조명장치(R)을 설치하고 있다.
장착부(16B)의 타면(163)의 크기는 후드(13)의 하방개구부(14)의 크기 보다 작으며, 냉난방유닛(1)의 설치의 경우에는, 후드(13)의 하방개구부(14) 및 장착부(16B)의 다른쪽 면(163)의 사이에 틈(141)(통과틈)이 형성되어진다. 실내(S)로부터의 순환공기는 틈(141)을 통과해서 순환공기로(15)로 흡인되어진다.
조명장치(R)는 틈(141)에 적절히 설치되어 있다. 조명장치(R)는, 틈(141)을 통과하는 순환공기를 방해하지 않으며, 순환공기의 통과가 자유롭게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조명장치(R)는 틈(141)을 통과하는 순환공기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공기는 틈(141)을 통과하는 경우, 조명장치(R)와 접하게 되며, 조명장치(R)가 발하는 열을 취득한다. 취득된 열은, 상기 조화공기 및 순환공기의 혼합에 있어서, 재열 또는 예열로써 이용되어진다. 즉, 상기 조화공기의 풍량당의 냉방능력을 크게(급기온도를 통상보다 저온화)한 냉방의 경우에는, 조명장치(R)로부터의 열을 조화공기의 재열에 이용하여,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조화공기의 급기풍량을 한층 적게하여 더더욱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에는, 조명장치(R)로부터의 열을 조화공기의 예열에 이용함으로써, 이 조화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의 소용량화 및 난방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조명장치(R)는 예를 들면, 형광등, 백열등 및 LED이며, 이의 수, 위치 등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실시의 형태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3)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의 축열복사분류기(2)의 일부를 생략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11은 도10의 J방향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3의 혼합케이스(16) 및 축열복사분류기(2)의 요부 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3의 냉난방유닛(1)은, 전열판(8)의 한쪽 면에 돌출설치된 단통상의 돌기부(98,98,98,…98)를 구비하고 있다.
전열판(8)의 한쪽 면에는, 복수의 돌기부(98,98,98,…98)가 전열판(8)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적절히 사이를 띄워 병설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도10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돌기부(98)의 아래쪽에는, 개공(9)이 위치하도록 소정간격을 끼고 병설되어 있다. 돌기부(98)은 종단면에서 보아 타원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타원의 장경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되어있다. 또한, 전열판(8,8,8,…8)의 병설방향에 있어서는, 복수의 돌기부(98,98,98,…98)는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또한 병설되어 있다.
돌기부(98)는 축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열판(8)을 거쳐서 혼합공기의 열을 취득해서 축열하며, 실내(S)을 향해서 복사한다. 하나의 전열판(8)의 돌기부(98)는 이웃하는 다른 전열판(8)에 접할때까지 뻗어나 이웃하는 전열판(8)을 지지하며, 이웃하는 전열판(8)의 휨을 방지한다.
이하, 돌기부(98)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축열복사분류기(2)에 의한 실내(S)로의 열복사는, 개공(9,9,9,…9)을 거쳐서 아래 방향을 향해서 실시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도11의 점선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처럼, 열이 돌기부(98)를 피하듯이 진행하므로, 돌기부(98)의 아래쪽 부근에서는 열복사가 국소적으로 개공(9) 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 방향을 향하게 되어진다. 즉, 돌기부(98) 부근에서의 열복사는, 열이 돌기부(98)의 외주면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개공(9)의 바로 밑 방향 및 비스듬히 아래 방향으로 넓게 이동한다. 따라서, 실내(S)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개공(9,9,9,…9)을 통과하는 혼합공기가, 전열판(8,8,…8)뿐만이 아니라, 돌기부(98,98,98,…98)에 의해서도 또한 분류되어지기 때문에, 혼합공기의 풍속이 한층 저하함과 함께, 보다 세세한 복층류상으로 실내(S)에 급기되어지므로, 실내(S)의 사람에게 줄수 있는 드래프트 느낌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3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열판(8)의 돌기부(98)가 이웃하는 다른 전열판(8)에 접할 때까지 뻗어나있는 구성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열판(8) 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전열판(8)의 부근까지, 적절히 뻗어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98)는 전열판(8)과 일체형성해도 되며, 착탈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3에 있어서는, 돌기부(98)가 타원상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하는 냉난방장치가 소위 유인방사공조기인 경우를 예로하여, 도면에 근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4)
도12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천정에 설치한 경우,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13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14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간략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는, 실내(S)의 천정(C)에 매설되는 케이싱(19)을 구비하고 있으며, 케이싱(19)의 내측에는, 기기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급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20)와, 상기 공급공기를 열교환기(20)로 통과시키는 팬(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9)의 내측에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급공기를 이용해서 실내(S)의 공기를 유인하여 혼합한 혼합공기를 실내(S)로 층류상으로 불어내며, 또한 상기 혼합공기의 열을 실내(S)로 방사하는 냉난방유닛(1)과, 실내(S)를 비추는 조명장치(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9)의 내측에는, 열교환기(20), 팬(22) 및 냉난방유닛(1)을 연통연결하는 송풍로(24)와, 실내(S)의 인체의 유무, 위치 등을 검출해서 검출결과에 관련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인감(人感)센서 등의 검출기(28)와, 이 검출기(2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공조능력(풍량, 취출온도 등의 증감 또는 온오프) 및 조명장치조광(조도 등의 증감 또는 온오프)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하는 제어기(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은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인방사공조기는 이와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뒷쪽이 좁은 천정에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정(C)의 뒷쪽의 공간은 소위 천정쳄버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천정(C)의 뒷쪽(천정쳄버)의 공기를 공급공기로써 열교환기(20)로 통과시킨다. 이 공급공기는, 도시를 생략하는 외부기기 등으로 온습도조정된 처리외기, 온습도의 조정이 실시되지않은 미처리의 외기, 상기 처리외기와 실내(S)로부터의 순환공기의 혼합공기, 상기 미처리의 외기와 상기 순환공기의 혼합공기, 또는 상기 순환공기 등이다.
또한, 열교환기(20)는 전열관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전열관은 타원관이다. 열교환기(20)로써는, 냉수 또는 온수로 급기용 공기를 열교환하는 냉온수코일, 수열원 또는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냉매로 급기용 공기를 열교환하는 직팽코일 등, 각종방식의 것이 이용가능하며,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중, 부호31은 드레인팬이다.
케이싱(19)은 평면시 장방형의 편평한 직방체형상이며, 한 측면에 공급공기를 빨아들이는 도입구(30)를 설치하고 있다. 저면시 장방형인 냉난방유닛(1)의 양단 중에, 한쪽에 열교환기(20)를 배설함과 아울러, 다른 쪽에 송풍을 행하는 팬(22)을 배설하고 있다.
케이싱(19) 내의 냉난방유닛(1)은, 폭방향의 치수가 케이싱(19) 보다 약간 짧고, 편평한 직방체형상이며, 그 길이방향이 케이싱(19)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난방유닛(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에는 조명장치(R)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조명장치(R)는, 열교환기(20) 및 팬(22)의 아래측에 각각 배설되어있다.
냉난방유닛(1)의 윗측에는 송풍로(24)를 형성하고 있다. 송풍로(24)는, 열교환기(20)와 팬(22)을 연통연결하는 풍상측풍로(25), 그리고 팬(22)과 냉난방유닛(1)을 연통연결하는 풍하측풍로(26)를 가지고 있다.
풍상측풍로(25)와 풍하측풍로(26)는 배열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풍향이 반대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풍하측풍로(26)로부터의 공급공기는, 공기입구(18)를 거쳐서 냉난방유닛(1)으로 흘러든다. 공기입구(18)는, 팬(22)과 사이를 두고 떨어져있는 열교환기(20)의 근방이며, 냉난방유닛(1)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입구(30)로부터 공기입구(18)까지의 공급공기의 송풍거리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도시예에서는, 연통구 달린 칸막이판(21) 및 덕트상부재(23) 등으로 구획하여 풍상측풍로(25) 및 풍하측풍로(26)로 이루어진 송풍로(24)를 구성하고 있으나, 구성의 변경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팬(22)의 구동에 의해 공급공기가, 도입구(30)→열교환기(20)→풍상측풍로(25)→팬(22)→풍하측풍로(26)→공기입구(18)→냉난방유닛(1)의 순서로 흐른다. 도시예의 경우, 팬(22)과 도입구(30)가 멀리 떨어져있으며, 또한 송풍거리가 긴 구성이므로 쾌적한 저소음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것들의 구성의 변경은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도시를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풍상측풍로(25) 및 풍하측풍로(26)의 연통위치와 도입구(30)의 위치를 변경해서 팬(22) 쪽으로부터 공급공기를 도입하여, 팬(22)→열교환기(20)→냉난방유닛(1)의 순서로 흐르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의 냉난방유닛(1)의 평면도이다. 냉난방유닛(1)은 후드(13)와, 상기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며, 이 공급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케이스(11)와, 이 조정케이스(11)로부터 보내어지는 조정공기와,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하여 이 실내로 송기하는 혼합케이스(16)를 구비하고 있다.
도16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냉난방유닛(1)의 혼합케이스(16)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평면도이며,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의, 냉난방유닛(1)의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18은 도15의 E방향로부터 본 전체의 단면도이고, 도19는 도17의 F방향로부터 본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의 후드(13)는, 케이싱(19)의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후드(13)의 내측에는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가 수납되어 있다.
후드(13)는 한쪽 면에 하방개구부(14)를 가지는, 편평한 직방체상의 상자체이다. 후드(13)는 하방개구부(14)를 가지는 상기 한쪽 면이 천정(C)과 동일평면을 이루며 실내(S)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있다.
또한, 후드(13)의 상기 한쪽 면과 대향하는 다른쪽 면에는, 조정케이스(11)가 장착되어 있으며, 조정케이스(11)의 아래쪽에 혼합케이스(16)가 조정케이스(11)와 대향배설되며, 이것들은 후드(13)의 측벽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조정케이스(11) 및 혼합케이스(16), 그리고 후드(13)의 내측의 사이에는, 실내(S)의 순환공기를 하방개구부(14)로부터 앞에서 기술한 유도로(K) 로 연통(連通)하는 순환공기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순환공기로(15)는 실내(순환공기)와 연통하고 있으며, 순환공기의 순환공기로(15)로의 출입이 항상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순환공기가 순환공기로(15)를 거쳐서 유도로(K)로 흡인되어진다.
조정케이스(11)는, 송풍로(24)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공기입구(18)와, 공기입구(18)로부터의 공급공기를 수용하며, 공급공기의 풍향, 풍속, 풍량 등의 흐름을 조정하는 수용케이스부(11B)와, 수용케이스부(11B)에서 흐름이 조정된 조정공기를 조정케이스(11)의 외측을 향해서 불어내는 취출구(12A)를 구비하고 있다. 취출구(12A)는 단책(短冊)형이며, 수용케이스부(11B)의 아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케이스(11)는, 취출구(12A)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케이스부(11B)는 아래쪽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taper)상을 가지며, 후드(13)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어나는 상자체이다.수용케이스부(11B)의 내측에는, 공기입구(18)로부터의 공급공기를 취출구(12A)로 안내하는 복수의 벽조각부(7,7,…7)와,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한 경사판(11a)을 구비하고 있다.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냉난방유닛(1)의 조정케이스(11)의 윗면의 일부를 파단시킨 사시도이다. 수용케이스부(11B)는, 대칭적으로 경사진, 대향하는 2장의 경사벽(7B, 7B)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경사벽(7B, 7B)의 내측에는, 벽조각부(7,7,…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벽조각부(7,7,…7)는 단책(短冊)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하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경사벽(7B, 7B)에 간격을 끼고 병설되어 있다. 벽조각부(7,7,…7)와의 충돌에 의해, 공기입구(18)로부터의 공급공기의 풍향이 변화하며, 공급공기를 취출구(12A)의 쪽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벽조각부(7,7,…7)의 돌출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높이), 및 상기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폭)는 변경자유이지만, 벽조각부(7,7,…7)의 종단면적을, 조정케이스(11)의 폭방향의 최대 단면적의 10~30%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벽조각부(7,7,...7)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풍향을 조정할 수 없으며, 너무 높으면 공기입구(18)로부터의 공급공기가 도17의 점선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처럼 벽조각부(7,7,...7)의 풍하(風下)부로 확실히 돌아가지않으며, 점선의 굵은 화살표와 실선의 굵은 화살표의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흐름이 없는 부분이 단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17중, 실선의 화살표는, 높고 낮음에 좌우되지않고 벽조각부(7,7,...7)에 의해 발생하는 풍향을 나타내고 있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냉난방유닛(1)은, 조정케이스(11)에, 경사벽(7B, 7B)의 내측면 및 벽조각부(7,7,…7)로 구성되어지는 정류기구(G)를 설치하고 있다. 공기입구(18)로부터 들어오는 공급공기는 정류기구(G)에 의해 안내되어지며, 자세하게는 경사벽(7B, 7B)의 내측면 및 벽조각부(7,7,…7)의 저항에 의해 바로 밑방향으로 풍향이 변하며, 취출구(12A)의 쪽으로 흐르게 된다.
경사판(11a)은 수용케이스부(11B)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는, 장방형의 판상을 이루고 있다. 경사판(11a)은 취출구(12A)와 대향배설되어 있으며, 취출구(12A)와의 간격이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점차 변화하도록구성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경사판(11a)은, 취출구(12A)와의 간격을 공기입구(18)의 부근에서 최대로 하며, 공기입구(18)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도록, 즉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져 있다.따라서, 수용케이스부(11B)의 안에 있어서, 공기입구(18)로부터 가까운 곳과 먼 곳의 사이에 공기압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풍속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입구(18)의 바로 밑에는, 공기입구(18)로부터의 공급공기를 조정케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칸막이판(7a)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7a)은 공기입구(18)와 대향배설되어 있으며 칸막이판(7a)과, 경사벽(7B, 7B)의 사이에는 틈(M)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공기입구(18)로부터의 들어가는 공급공기의 대부분은, 칸막이판(7a)과 충돌하여 조정케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풍향을 바꾸고, 일부만이 틈(M)을 통하여 취출구(12A) 쪽으로 흘러든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처럼, 조정케이스(11)가 상부를 넓고 하부를 가늘게 좁힌, 취출구(12A)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형 단면(또는 테이퍼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혼합케이스(16)는 도6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1의 혼합케이스(16)와 마찬가지이다. 자세하게는, 실시의 형태4의 혼합케이스(16)는 편평상자형상을 이루고 있고, 후드(13) 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앞에서 기술한 축열복사분류기(2)가 장착되어지는 장착부(16B)와, 장착부(16B)를 덮는 덮개부(16A)를 구비하고 있으며, 덮개부(16A) 및 장착부(16B)는 일체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6참조)
장착부(16B)는 윗측의 한쪽 면이 개구한, 편평한 직방체상의 상자체이다.장착부(16B)의 상기 한쪽 면과 대향하는 아래측의 다른쪽 면(163)의 내측에는, 혼합공기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취득하여 실내를 향해서 복사하는 축열복사분류기(2)가, 장착부(16B)(및 덮개부(16A))와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축열복사분류기(2)에 축열되는 열은, 장착부(16B) 및 덮개부(16A)까지 전달되며, 축열복사분류기(2)로부터뿐만이 아니라, 장착부(16B) 및 덮개부(16A)로부터도, 실내(S)로 냉복사 또는 열복사를 실행함으로써, 높은 효율로 원거리까지 복사열(냉열 또는 온열)을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장착부(16B)는 다른쪽 면(163)에 상기 혼합공기를 외측(실내(S))로 불어내는 복수의 개공(9,9,…9)을 설치하고 있다. 개공(9,9,…9)은 긴 구멍이며, 혼합케이스(16)(장착부(16B))를 내외로 관통하고 있다. 혼합케이스(16) 내의 혼합공기는,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여, 개공(9,9,…9)을 통해서 실내로 급기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서는, 개공(9,9,…9)이 긴 구멍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 장방형 등의 형상이더라도 된다. 또한, 개공(9,9,…9)의 분포, 수 등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내(S)로의 축열복사분류기(2) 및 혼합케이스(16)의 열방사 작용, 그리고 혼합케이스(16)로부터의 혼합공기 방출에 의한 열전달 작용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 혼합케이스(16)(장착부(16B))의 다른쪽 면(163) 전체에 대한 개공(9,9,…9) 전체의 총면적비는 3할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축열복사분류기(2)는, 복수의 전열판(8,8,…8)과, 전열판(8,8,…8) 으로부터 전달되어지는 냉열 또는 온열을 축열하는 복수의 타원상축열관(99,99,…99)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판(8,8,…8)은, 단책상이며,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취득해서 장착부(16B) 및 덮개부(16A) 그리고 타원상축열관(99,99,…99)으로 전달한다. 타원상축열관(99,99,…99)은, 종단면에서 보아 타원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타원의 장경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장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혼합케이스(16) 내의 혼합공기가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는 경우, 낮은 압력 손실로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전열판(8,8,…8)은, 예를 들면, 열전도성 및 열방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동, 운모, 티탄, 카보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장착부(16B)의 폭방향으로, 적절 간격을 끼고 상호 대향하도록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타원상축열관(99,99,…99)은, 복수의 전열판(8,8,…8)의 병설방향으로, 복수의 전열판(8,8,…8)을 관통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타원상축열관(99,99,…99)은 동, 운모, 티탄, 카보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전열판(8)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병설되어 있으며, 축열복사분류기(2)는 전체로써, 장착부(16B)의 내측형상을 닮은 편평한 직방체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혼합케이스(16) 내의 혼합공기가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는 경우, 복수의 전열판(8,8,…8)에 의해, 풍속이 저하함과 함께, 복수의 층으로 분류되며, 소위,층류상으로 되어, 실내(S)로 급기되어지므로, 실내(S)의 사람에게 드래프트 느낌을 주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례에 있어서는, 타원상축열관(99,99,…99)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긴 하나의 타원상축열관(99)을 꾸불꾸불하게 꺽어 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타원상축열관(99,99,…99)은 종단면에서 보아 타원상이 아니라, 원상이라도 된다.
또한, 타원상축열관(99,99,…99)의 구성은 상기의 기재내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타원상축열관(99,99,…99)의 내부에는, 타원상축열관(99,99,…99)을 거쳐서 상기 혼합공기의 열을 취득해서 축열하는 축열체(T)가 충진되어 있다. 축열체(T)는, 열을 비축하여 장시간 방열하는 것이 가능한 재질이면 되며, 액체상이라도 되며, 고체상이라도 된다.
또한, 혼합공기의 실내(S)로의 분류확산, 열전달 작용 등을 최적으로 기능시키기위해서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하기전의 혼합공기의 속도는, 축열복사분류기(2)를 통과한 후의 혼합공기의 속도의 반이하, 바람직하게는 20%~30% 이하로 감속하도록 전열판(8,8,…8) 및 개공(9,9,…9)의 형상, 수, 핏치 등을 구성한다.
한편, 덮개부(16A)는 장착부(16B)의 윗측의 상기 한쪽 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16A)는, 축열복사분류기(2)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진 상판(161)의 주연을 아래 방향으로 꺽어 굽혀서 늘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혼합케이스(16)의 안에서는, 덮개부(16A)의 내측면과, 축열복사분류기(2)에 둘러싸여진 공간이 형성되어진다. 이 공간에서는, 조정케이스(11)로부터의 조정공기와, 순환공기로(15)로부터의 순환공기가, 앞에서 기술한 수법에 의해 혼합되며, 혼합공기로 되어진다.
또한, 덮개부(16A)는, 상판(16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도16중L로 표시)에, 조정케이스(11)로부터의 조정공기를 흡인함과 함께, 순환공기로(15)로부터 순환공기를 유인해서 흡인하는 유인구(162)를 설치하고 있다. 유인구(162)는 상판(161)의 길이 방향으로 긴 단책형이며, 조정케이스(11)의 취출구(12A)와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인구(162)는, 상판(161)의 폭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두 측면의 중간에 형성되며, 취출구(12A)와 정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 측면 및 상판(161)의 외측에는, 순환공기로(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은, 조정케이스(11)의 취출구(12A) 부근에 장착되어진 취출가이드(12)와, 공간(N)을 끼고 취출가이드(12)에 대향배치되며, 혼합케이스(16)의 유인구(162) 부근에 장착되어진 유인가이드(10)를 구비하고 있다.
취출가이드(12)는, 취출구(12A)의 부근이며, 조정케이스(11)의 경사벽(7B, 7B)의 하단부에 장착되어져,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인구(162)로 흘러들도록, 풍향을 가이드한다. 또한, 취출가이드(12)는, 이 조정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풍량조정기구(A)를 구비하고 있다. 풍량조정기구(A)는, 경사벽(7B, 7B)의 하단부의 외측에 활동(滑動)가능하게 장착되어진 한쌍의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과,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를 활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나사고정부재(4,4)로 이루어진다.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는, 취출구(12A)의 길이방향치수와 대략 동일한 길이방향치수를 가지는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폭방향의 상단부는, 취출구(12A)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 나사고정부재(4,4)에 의해 활동가능하게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하단부는 유인구(162)를 향해서 꺽어 굽혀서 늘여, 가이드차양(32,32)을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상단부에는 관통타원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통타원구멍의 단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나사, 리벳과 같은 나사고정부재(4)로 나사고정함으로써,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은 상기 관통타원구멍의 장경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한쌍의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가 각각 경사벽(7B, 7B)의 외면을 따라서, 그 경사방향으로 활동하여, 취출구(12A)를 개폐함으로써, 즉, 취출구풍량조정부재(3,3)의 간격(HA)을 증감함으로써,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는, 취출구(12A)로부터 나온 뒤, 가이드차양(32,32)에 의해 풍향이 안내되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취출가이드(12)는, 상기 조정공기의 풍량의 조정 및 가이드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유인가이드(10)는, 유인구(162)의 부근이며, 상판(161)의 중앙부에 장착되어지며,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인구(162)로 흡인되어지도록, 그리고, 순환공기로(15)로부터 순환공기가 유인되어서 흡인되어지도록, 가이드한다. 유인가이드(10)는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공간(N)을 끼고 취출가이드(12)와 대향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인가이드(10)는, 흡인되어지는 풍량을 조정하는 풍량조정기구(B)를 구비하고 있다. 풍량조정기구(B)는, 상판(161)의 외측에 활동가능하게 장착되어진 한쌍의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와,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를 활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나사고정부재(6,6)로 이루어진다.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는, 유인구(162)의 길이방향치수와 대략 동일한 길이방향치수를 가지는 장방형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의 외측단부가, 유인구(162)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 각각 나사고정부재(6,6)에 의해 활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의 내측단부는 혼합케이스(16)의 내측을 향해서 꺽어 굽혀서 늘여, 가이드차양(51,51)을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의 외측단부에는 관통타원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관통타원구멍의 단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나사, 리벳과 같은 나사고정부재(6)로 나사고정함으로써, 유인구풍량조정부재(5)는 상기 관통타원구멍의 장경방향으로 활동할 수 있다. 한쌍의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가 각각 상판(161)의 외면을 따라서 활동하여, 유인구(162)를 개폐함으로써, 즉, 유인구풍량조정부재(5,5)의 간격(HB)을 증감함으로써, 유인구(162) 내에 흡인되어지는 공기의 풍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인구(162)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차양(51,51)에 의해 풍향이 안내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난방유닛(1)은, 조정케이스(11)의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를 혼합케이스(16)로 유도하는 유도로(K) 를 형성하고 있다. 유도로(K)는, 취출가이드(12)(또는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의 일부와, 유인가이드(10)(또는 유인구풍량조정부재(5))의 일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도로(K)는, 취출가이드(12)(또는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의 가이드차양(32)과, 공간(N)과, 유인가이드(10)(또는 유인구풍량조정부재(5))의 가이드차양(51)으로 이루어지며, 취출구(12A)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조정공기가 유도로(K)에 의해서 유도되어, 유인구(162)로 흘러든다. 이 때, 실내(S)로부터의 순환공기는 순환공기로(15) 를 거쳐서 공간(N)으로부터 유도로(K) 를 통과해서 유인구(162)로 빨아들여진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에 있어서는, 취출구풍량조정부재(3)의 하단부 및 유인구풍량조정부재(5) 의 내측단부가 꺽어 굽혀진 형상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취출가이드(12) 및 유인가이드(10)의 어느 한쪽을 생략한 구성이어도 된다.
한편, 장착부(16B)의 타면(163)의 크기는 후드(13)의 하방개구부(14)의 크기보다 작으며, 후드(13)의 하방개구부(14) 및 장착부(16B)의 다른쪽 면(163)의 사이에 틈(141)이 형성되어진다. 실내(S)로부터의 순환공기는 틈(141)을 통과해서 순환공기로(15)로 흡인되어진다.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4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 냉난방유닛(1)의 조명장치(R)의 착탈예를 나타내는 간략 측면도이며, 도22는 조명장치(R) 를 떼어내고 실내(S)쪽에서 본 저면도이다.
케이싱(19)은 아랫면이 제거되어, 실내(S)로부터 열교환기(20)와 팬(22)을 마주할 수 있는 개구부(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명장치(R)는 개구부(27)를 거쳐서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것처럼, 조명장치(R)는, 틈(141)의 근방인, 냉난방유닛(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측에 각각 설치되어있다. 바꾸어 말하면, 순환공기가 틈(141)을 통과하는 때에, 그 일부가 조명장치(R)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공기는 틈(141)을 통과하는 경우, 조명장치(R)가 발하는 열을 취득한다. 취득된 열은, 상기 공급공기 및 순환공기의 혼합에 있어서, 재열 또는 예열로써 이용되어진다. 즉, 상기 공급공기의 풍량당의 냉방능력을 크게(급기온도를 통상보다 저온화)한 냉방의 경우에는, 조명장치(R)로부터의 열을 공급공기의 재열에 이용하여, 결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공급공기의 급기풍량을 한층 적게하여 더더욱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에는, 조명장치(R)로부터의 열을 공급공기의 예열에 이용함으로써, 이 공급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의 소용량화 및 난방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조명장치(R)는 예를 들면, 형광등, 백열등 및 LED이며, 이의 수, 위치 등은 적절히 변경가능하다.
실시의 형태4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5)
실시의 형태5의 유인방사공조기의 냉난방유닛(1)은, 전열판(8)의 한쪽 면에 돌출설치된 단통상의 돌기부(98,98,98,…98)를 구비하고 있다.(도10 및 도11 참조)
전열판(8)의 한쪽 면에는, 복수의 돌기부(98,98,98,…98)가 전열판(8)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적절히 사이를 띄워 병설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도10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 돌기부(98)의 아래쪽에는, 개공(9)이 위치하도록 소정간격을 끼고 병설되어 있다. 돌기부(98)은 종단면에서 보아 타원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타원의 장경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되어있다. 또한, 전열판(8,8,8,…8)의 병설방향에 있어서는, 복수의 돌기부(98,98,98,…98)는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또한 병설되어 있다.
돌기부(98)는 축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열판(8)을 거쳐서 혼합공기의 열을 취득해서 축열하며, 실내(S)를 향해서 복사한다. 하나의 전열판(8)의 돌기부(98)는 이웃하는 다른 전열판(8)에 접할때까지 뻗어나 이웃하는 전열판(8)을 지지하며, 이웃하는 전열판(8)의 휨을 방지한다.
돌기부(98)의 작용에 대해서는 위에서 기술한대로이며,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5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열판(8)의 돌기부(98)가 이웃하는 다른 전열판(8)에 접할 때까지 뻗어나있는 구성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열판(8) 으로부터 이웃하는 다른 전열판(8)의 부근까지, 적절히 뻗어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98)는 전열판(8)과 일체형성해도 되며, 착탈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의 형태5에 있어서는, 돌기부(98)가 타원상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의 형태4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6)
도23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6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S)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6에 있어서는, 케이싱(19)의 개구부(27)이며, 냉난방유닛(1)의 길이방향의 양단쪽에 보수점검용패널(17)을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수점검의 때에는, 패널(17)을 떼어내고, 보수점검의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패널(17)을 불투명한 재료로하여 조명장치(R)를 생략한 구성이어도 되고, 패널(17)을 투명한 재료로하고, 패널(17)의 윗쪽에 조명장치(R)를 설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어느 한쪽의 패널(17)에는 검출기(28)와, 검출기(28)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공조능력 또는 조명장치 조광을 제어하는 제어기(29)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4과 마찬가지이며, 실시의 형태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7)
도24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7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S)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7에 있어서는, 실시의 형태6의 패널(17)을 생략한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실시의 형태6의 패널(17)(및 조명장치(R))을 생략하고, 케이싱(19)의 개구부(27)의 크기가, 냉난방유닛(1)의 하방개구부(14)와 대략 같은 크기로 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되는 것과 아울러, 천정(C)을 통해서 실내(S)로 노출되는 부분이 감소되어, 실내(S)로부터의 외형미가 좋아진다.
실시의 형태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8)
도25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케이싱(19)의 윗면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를 실내(S)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는, 냉난방유닛(1)의 양단 중의, 어느 한쪽에 열교환기(20) 및 팬(22)을 함께 배치하고 있으며, 케이싱(19) 내의 냉난방유닛(1)의 위에, 열교환기(20) 및 팬(22)과 냉난방유닛(1)을 연통연결하는 송풍로(24)를 설치하고 있다. 송풍로(24)는 팬(22)과 연결된 연통구 달린 칸막이판(33)과, 연통구 달린 칸막이판(33)을 거쳐서 팬(22)에 연통되는 덕트상부재(3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난방유닛(1)에 공급공기를 흘러들게하는 공기입구(18)는 냉난방유닛(1)의 양단 중의, 다른 쪽의 근방에 설치하여, 공급공기의 송풍거리가 길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5 및 도26에 있어서는, 케이싱(19) 내면을 연통구 달린 칸막이판(33) 및 덕트상부재(34)로 구획하여 송풍로(24)를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덕트상부재(34)를 생략하고, 냉난방유닛(1)의 윗쪽의 케이싱(19) 내면을 송풍로로 하는 등 여러가지 구성의 변경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4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는, 팬(22)의 구동에 의해 공급공기가, 도입구(30)→열교환기(20)→팬(22)→송풍로(24)→냉난방유닛(1)의 공기입구(18)의 순서로 흐르며, 냉난방유닛(1)으로부터의 층류상 혼합공기와 방사에 의해 실내(S)를 공조한다.
실시의 형태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9)
도27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9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케이싱(19)의 윗면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9의 유인방사공조기는, 냉난방유닛(1)의 윗쪽이며, 열교환기(20)의 근방에, 증기방식의 가습기(35)를 설치하고 있다. 즉, 송풍로(24)(풍상측풍로(25)) 내에 가습기(35)를 배치하며, 송풍로(24)(풍상측풍로(25))를 공급공기의 가습스페이스로 겸용시킨 구성이다. 증기는, 도시를 생략한 증기발생기로부터 가습기(35)로 보내어져 송풍로(24) 내로 분무되며, 열교환기(20)를 통과하여 흘러드는 공급공기에 가습이 실시되어진다.
또한, 실시의 형태4의 경우와 달리, 공기입구(18)를 팬(22)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풍상측풍로(25)가 넓어져, 가습기(35)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기(20)와 팬(22)의 사이를 띄워서 송풍로(24)(풍상측풍로(25))를 길게하여, 증발흡수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송풍로(24)의 구성의 변경은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증기발생기는 기기외부, 기기내부의 어느쪽에 설치하던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습방식은 도시예 이외의 증기방식, 기화방식, 수분무방식 등으로 구성변경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10)
도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10의 유인방사공조기의 케이싱(19)의 윗면 일부를 파단시켜서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실시의 형태10의 유인방사공조기는, 실시의 형태8의 유인방사공조기로부터 덕트상부재(34)를 생략한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실시의 형태10의 유인방사공조기에 있어서는, 덕트상부재(34)를 생략하여 송풍로(24)를 넓히고, 그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습기(35)를 설치하고 있다. 가습기(35)는 팬(22)의 부근에 설치되어 있으며, 팬(22)과 사이를 띄워서 공기입구(18)가 설치되어, 송풍로(24)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증발흡수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기(20), 팬(22) 및 도입구(30)는 냉난방유닛(1)의 양단 중의 , 어느 한쪽에 함께 설치되어 있다. 송풍로(24)의 구성의 변경은 자유롭게 가능하며, 증기발생기는 기기외부, 기기내부 어느쪽에 설치하던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습방식은 도시예 이외의 증기방식, 기화방식, 수분무방식 등으로 구성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4과 마찬가지이므로 실시의 형태4와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지지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않는 범위에서 설계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장치(R) 및 패널(17)의 위치 또는 수의 변경, 검출기(28) 및 제어기(29)의 수 또는 위치의 변경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입구(30)의 위치의 변경도 자유롭게 가능하며, 조명장치(R) 또는 패널(17)의 대신에 도입구(30)를 설치하여 열교환기(20)에 공급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8 및 실시의 형태10에 있어서는, 어느 한쪽의 패널(17) 대신에 조명장치(R)를 개폐가 자유롭도록 또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해도 되며, 패널(17)을 생략해서 도24의 예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각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혼합케이스(16)의 아랫면을 실내(S)로 노출시켜서 케이싱(19)을 천정(C)의 뒷쪽에 매설하고 있으나, 장치 전체를 실내(S)로 노출시켜서 천정(C)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1 냉난방유닛
2 축열복사분류기(축열복사부재)
3 취출구풍량조정부재(취출구문짝부재)
5 유인구풍량조정부재(흡인구문짝부재)
7 벽조각부(안내편)
8 전열판(분류핀)
9 개공
10 유인가이드
11 조정케이스
11a 경사판(억제기구)
12 취출가이드
12A 취출구
13 후드(상자체)
14 하방개구부(개구)
15 순환공기로
16 혼합케이스
17A 점검패널
17 패널
18 공기입구(입구)
19 케이싱
20 열교환기
22 팬
24 송풍로
27 개구부
28 검출기
29 제어기
35 가습기
98 돌기부
99 타원상축열관
141 틈(통과틈)
161 상판
162 유인구(흡입구)
163 타면(개공면)
C 천정(벽)
K 유도로
R 조명장치
S 실내
T 축열체
N 공간

Claims (92)

  1. 공급된 공급공기 및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한 혼합공기를 이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케이스와,
    상기 순환공기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로 유도하는 유도로와,
    상기 혼합케이스 내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어져,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하고, 상기 실내로 복사하는 축열복사부재와,
    상기 공급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케이스와,
    한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면이 상기 실내로 향하도록 상기 실내의 벽에 매설되며, 상기 조정케이스, 혼합케이스 및 유도로를 수용하는 상자체를 구비하며,
    이 상자체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유도로로 연통하는 순환공기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분류하여 통과시키는, 병설된 복수의 분류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분류핀의 병설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분류핀을 관통하는 타원형의 축열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하는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며, 이웃하는 분류핀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려는 혼합공기가 통과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공(開孔)면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상기 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편평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편평상자형상이며, 상기 개공면과 대향하는 한면의 외측, 및 상기 개공면과 이웃하는 어느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에는, 상기 두 대향측면의 중간에,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의 조정공기 및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흡인하는 단책형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조정공기를 불어내는 단책형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취출구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는,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한쌍의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활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 각각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는, 공간을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이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수반하여, 상기 조정케이스 내에서 공급공기의 풍압 및 풍속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억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기구는, 상기 취출구와의 간격이 이 취출구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점차 증가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대향배치된 장방형판재이며,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억제기구의 한쪽 단부측에,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관의 안에는,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해서 축열하는 축열체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5. 제5항, 제6항, 제7항,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케이스의 개공면은, 상기 상자체의 개구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상자체의 개구의 주연부 및 상기 개공면의 주연부의 사이에는, 상기 순환공기로로 흡인되어지는 순환공기가 통과하는 통과틈이 형성되며,
    이 통과틈에는, 상기 순환공기가 통과가능하게, 상기 실내를 비추는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유닛.
  16. 공급되어지는 공급공기 및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혼합한 혼합공기를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냉난방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에 상기 공급공기를 통과시키는 팬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처리후의 공급공기 및 상기 순환공기의 혼합공기를 정류해서 상기 실내로 급기하며, 상기 혼합공기의 열을 상기 실내로 방사하는 냉난방유닛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와, 상기 순환공기를 혼합하는 혼합케이스와,
    상기 순환공기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공기를 상기 혼합케이스로 유도하는 유도로와,
    상기 혼합케이스 내에 열전도 가능하게 장착되어져, 상기 혼합공기로부터 열을 취득하고, 상기 실내로 복사하는 축열복사부재와,
    상기 공급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는 조정케이스와,
    한면에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한면이 상기 실내로 향하도록 상기 실내의 벽에 매설되며, 상기 조정케이스, 혼합케이스 및 유도로를 수용하는 상자체를 구비하며,
    이 상자체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유도로로 연통하는 순환공기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직방체상을 이루며,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은, 상기 냉난방유닛을 낀 양측에 각각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연통하는 송풍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직방체상을 이루며,
    상기 냉난방유닛의 한면 쪽에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팬이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상기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연통하는 송풍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조명장치를 개폐가 가능하게 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조명장치를 개폐가 가능하게 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조명장치를 개폐가 가능하게 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공조능력 및 상기 조명장치의 조광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공조능력 및 상기 조명장치의 조광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보수점검용패널을 개폐가 가능하게 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보수점검용패널을 개폐가 가능하게 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상기 팬 및 상기 냉난방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이 케이싱에는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구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에 보수점검용패널을 개폐가 가능하게 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인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이 검출기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공조능력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6.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5항 또는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열관은 타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2.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5항, 제26항, 제27항, 제31항 또는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정의 뒷쪽의 공기를 상기 공급공기로 하여, 이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분류하여 통과시키는, 병설된 복수의 분류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분류하여 통과시키는, 병설된 복수의 분류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는 혼합공기를 분류하여 통과시키는, 병설된 복수의 분류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복사부재는,
    상기 분류핀의 병설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분류핀을 관통하는 타원형의 축열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하는 복수의 단통상(短筒狀)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하는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분류핀의 면에 돌출설치되고, 상기 실내로의 열복사 방향을 변화시키며, 상기 혼합공기를 분류하는 복수의 단통상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며, 이웃하는 분류핀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려는 혼합공기가 통과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상기 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며, 이웃하는 분류핀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려는 혼합공기가 통과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상기 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분류핀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되며, 이웃하는 분류핀에 접촉 내지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상기 실내로 급기하려는 혼합공기가 통과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실내로 향하는 개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의 아래쪽에 상기 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편평(扁平)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편평상자형상이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개공면과 대향하는 한면의 외측, 및 상기 개공면과 이웃하는 어느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에는, 상기 두 대향측면의 중간에,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의 조정공기 및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흡입하는 단책(短冊)형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조정공기를 불어내는 단책형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취출구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편평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편평상자형상이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개공면과 대향하는 한면의 외측, 및 상기 개공면과 이웃하는 어느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에는, 상기 두 대향측면의 중간에,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의 조정공기 및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흡입하는 단책형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조정공기를 불어내는 단책형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취출구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는 편평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는 편평상자형상이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개공면과 대향하는 한면의 외측, 및 상기 개공면과 이웃하는 어느 두 대향측면의 외측에는, 상기 순환공기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케이스의 상기 한면에는, 상기 두 대향측면의 중간에, 상기 조정케이스로부터의 조정공기 및 상기 실내로부터의 순환공기를 흡입하는 단책형의 흡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조정공기를 불어내는 단책형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취출구는 상기 혼합케이스의 흡입구에 정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7.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취출구를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상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8.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한쌍의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활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59.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의 양쪽 장변측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취출구 또는 흡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한쌍의 취출구문짝부재 및 한쌍의 흡입구문짝부재를 각각 활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는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 각각의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취출구문짝부재 및 흡입구문짝부재는, 공간을 끼고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2.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3.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상기 취출구로 안내하는 안내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송풍로로 연통되며,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상기 취출구와의 간격이 이 취출구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점차 증가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대향배치된 장방형판재의 억제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억제기구의 한쪽 단부측에,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송풍로로 연통되며,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상기 취출구와의 간격이 이 취출구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점차 증가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대향배치된 장방형판재의 억제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억제기구의 한쪽 단부측에,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6. 제54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케이스는,
    상기 송풍로로 연통되며,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와,
    상기 취출구와의 간격이 이 취출구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점차 증가 또는 점차 감소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대향배치된 장방형판재의 억제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간격이 최대로 되는 상기 억제기구의 한쪽 단부측에, 상기 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6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3.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5.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6. 제20항, 제21항, 제25항, 제26항, 제44항, 제45항, 제48항, 제49항, 제51항, 제52항, 제54항 또는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로가, 상기 처리후의 공급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스페이스로 겸용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장치.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KR1020100031647A 2009-04-13 2010-04-07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 KR101224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6725 2009-04-13
JP2009096725 2009-04-13
JPJP-P-2009-138717 2009-06-09
JP2009138717 2009-06-09
JPJP-P-2009-167201 2009-07-15
JP2009167201A JP4792101B2 (ja) 2009-06-09 2009-07-15 空気式輻射層流ユニット
JP2009286684 2009-12-17
JPJP-P-2009-286684 2009-12-17
JPJP-P-2010-016962 2010-01-28
JP2010016962A JP4999944B2 (ja) 2009-12-17 2010-01-28 誘引放射空調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454A KR20100113454A (ko) 2010-10-21
KR101224372B1 true KR101224372B1 (ko) 2013-01-21

Family

ID=4263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647A KR101224372B1 (ko) 2009-04-13 2010-04-07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44608B2 (ko)
EP (1) EP2244021B1 (ko)
KR (1) KR101224372B1 (ko)
CN (2) CN101858619B (ko)
AU (1) AU2010201383B9 (ko)
CA (1) CA2699436C (ko)
SG (1) SG1660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123B1 (ko) 2019-02-28 2019-08-23 주식회사 하이옥스 천정형 멀티 항온항습기
KR20200105364A (ko) 2019-05-17 2020-09-07 주식회사 하이옥스 천정형 멀티 항온항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961B (fi) * 2009-07-03 2012-09-14 Halton Oy Tuloilmalaite
FI122953B (fi) * 2009-12-18 2012-09-14 Halton Oy Tuloilmalaite
SG10201500549WA (en) * 2010-01-24 2015-03-30 Halton Group Ltd Oy Chilled beam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130196588A1 (en) * 2012-01-26 2013-08-01 Chang LIAO Ceiling fan
WO2013136177A2 (en) 2012-03-16 2013-09-19 Oy Halton Group Ltd. Chilled beam with multiple modes
WO2013188759A1 (en) * 2012-06-15 2013-12-19 Global Plasma Solutions, Llc Ion generation device
CN103836435A (zh) * 2012-11-20 2014-06-04 海森实业股份有限公司 照明与风扇装置及其制造方法
CH707246A1 (de) * 2012-11-29 2014-05-30 Barcol Air Deckenelement für eine Heiz- und Kühldecke sowie Heiz- und Kühldecke.
ES2764398T3 (es) 2013-01-21 2020-06-03 Carrier Corp Terminal de aire avanzado
US9713289B2 (en) * 2013-01-28 2017-07-18 Ch2M Hill Engineers, Inc. Modular pod
BE1021395B1 (fr) * 2013-03-05 2015-11-16 W Properties Sprl Climatiseur
US9341387B2 (en) * 2013-05-30 2016-05-17 Nortek Air Solutions, Llc Illuminating airflow panel assembly
WO2014201281A1 (en) * 2013-06-12 2014-12-18 7Ac Technologies, Inc. In-ceiling liquid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JP5679012B2 (ja) * 2013-07-29 2015-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装置
CN103712322B (zh) * 2013-12-26 2016-05-18 联方云天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多管进风混风仓
USD736903S1 (en) * 2014-05-01 2015-08-18 Broan-Nutone Llc Down draft grill
CN106461264B (zh) * 2014-06-13 2019-06-21 三菱电机株式会社 天花板嵌入型空调机
JP5989855B1 (ja) * 2015-05-15 2016-09-07 木村工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5995337B1 (ja) * 2015-05-15 2016-09-21 木村工機株式会社 加湿ユニット
JP1559090S (ko) * 2015-10-20 2016-09-20
CA171067S (en) * 2015-10-20 2017-01-09 Kimura Kohki Co Air-conditioning outlet
JP1560175S (ko) * 2015-10-20 2016-10-03
CA171065S (en) * 2015-10-20 2017-01-09 Kimura Kohki Co Air-conditioning outlet
CA171066S (en) * 2015-10-20 2017-01-09 Kimura Kohki Co Air-conditioning outlet
CA168044S (en) * 2015-10-20 2017-01-09 Kimura Kohki Co Air-conditioning outlet
JP1560177S (ko) * 2015-10-20 2016-10-03
KR102513469B1 (ko) * 2015-10-30 2023-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GB2545758A (en) * 2015-12-22 2017-06-28 Linde Ag Apparatus for generation of pulsed flow for impingement hoods
US10883753B2 (en) 2016-04-29 2021-01-05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Radiant cooling apparatus and system
JP6335419B2 (ja) 2016-08-26 2018-05-30 木村工機株式会社 空気式誘引放射ユニット
CN106678960A (zh) * 2016-11-15 2017-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设备
US10006619B1 (en) * 2016-12-28 2018-06-26 WLC Enterprises, Inc. Combination LED lighting and fan apparatus
NL2018837B1 (nl) * 2017-05-03 2018-11-14 Nijburg Invest B V Hybride klimaatplafond, plafond voorzien daarvan en werkwijze voor het beïnvloeden van een klimaat in een ruimte of gebouw
DE202017103113U1 (de) * 2017-05-23 2017-07-31 Erwin Müller GmbH Decken-Klimatisierungsvorrichtung mit Tragkonstruktion
KR102401527B1 (ko) * 2017-09-28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742634B2 (ja) * 2017-12-11 2020-08-19 株式会社Fhアライアンス 空調ユニット
USD891603S1 (en) * 2018-03-07 2020-07-28 Schott Corporation Burner cover
USD890913S1 (en) * 2018-03-07 2020-07-21 Scott Corporation Burner cover
AU2019201473B2 (en) * 2018-03-13 2020-10-29 Kimura Kohki Co., Ltd. Pneumatic radiation unit
CN108344027A (zh) * 2018-04-13 2018-07-31 龚长山 一种热泵蓄热散热器供暖空调
PL235206B1 (pl) * 2018-04-16 2020-06-15 Adamski Bartlomiej Indukcyjne panele klimatyzacyjne (ścienne, sufitowe, podłogowe)
CN108592265B (zh) * 2018-05-10 2020-05-15 安徽工程大学 一种吊顶式加湿加热消毒装置
USD921879S1 (en) * 2018-05-21 2021-06-08 Trane International Inc. HVACR louver
USD941976S1 (en) 2018-05-21 2022-01-25 Trane International Inc. HVACR enclosure
US11204192B2 (en) * 2018-06-15 2021-12-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justable duct for HVAC system
JP2020041749A (ja) * 2018-09-11 2020-03-19 木村工機株式会社 空気式放射空調機
PL234364B1 (pl) * 2018-10-08 2020-02-28 Mysza Jozef Firma Uslugowo Elektryczna Kocioł grzewczy elektryczno-węglowo-gazowy
CN111380137B (zh) * 2018-12-28 2022-09-30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混风装置
CN110006156A (zh) * 2019-03-05 2019-07-1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和空调器
CN110006158A (zh) * 2019-03-05 2019-07-1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和空调器
CN110017539B (zh) * 2019-03-05 2022-02-2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及其控制方法和空调器
CN110006157A (zh) * 2019-03-05 2019-07-1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和空调器
JP7335723B2 (ja) * 2019-05-08 2023-08-30 株式会社フジタ 放射空調装置
CN112178763B (zh) * 2019-07-02 2023-06-1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
US11560043B2 (en) * 2019-07-31 2023-01-24 The Boeing Company Passenger cabin ai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CN110608473A (zh) * 2019-09-05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带贯流风机的蓄能辐射末端及辐射换热设备
JP7022287B2 (ja) * 2019-12-23 2022-0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静電気防止構造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11089379A (zh) * 2019-12-31 2020-05-01 深圳约顿科技有限公司 加湿气膜结构
CN111412614B (zh) * 2020-03-31 2022-03-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涡环生成方法、空调器、存储介质及装置
CN111322676A (zh) * 2020-04-08 2020-06-23 桂林沣泱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623499B (zh) * 2020-12-11 2023-07-2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SE2150360A1 (en) * 2021-03-26 2022-09-27 Swegon Operations Ab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 terminal device for control of air flow in a ventilation system
WO2023281390A1 (en) * 2021-07-09 2023-01-12 Giacomini S.P.A. Aeraulic device and radiant ceiling thermal system with internal air mixing
USD1003421S1 (en) * 2021-08-12 2023-10-31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Front panel of a heat pump
CN114087742B (zh) * 2021-11-24 2023-05-26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新风机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383229B (zh) * 2021-12-03 2023-04-28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一种蓄冷和换热两用的中空肋板及房间系统
CN115406061B (zh) * 2022-10-31 2023-03-10 广东呼研菲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辐射空调去凝露送风方式的切换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335U (ja) * 1983-07-30 1985-02-26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空気吹出口
JPS62192169U (ko) * 1986-05-27 1987-12-07
JP2007225199A (ja) * 2006-02-23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冷暖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4466A (en) * 1937-03-13 1939-01-17 B F Sturtevant Co Heat exchange unit
US2205716A (en) * 1938-02-04 1940-06-25 C A Dunham Co Unit heater and air conditioner
US2442963A (en) * 1945-03-31 1948-06-08 Westinghouse Electric Corp Air distributing unit
FR1545745A (fr) * 1966-09-09 1968-11-15 Luwa Ag Climatiseur à induction
US3823870A (en) * 1970-07-14 1974-07-16 Kilpatrick & Co Air conditioning with mixing duct
CA994553A (en) * 1975-05-16 1976-08-10 Canada Square Management Ltd.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4281522A (en) * 1979-10-30 1981-08-04 Carrier Corporation Makeup air preconditioner for use with an air conditioning unit
JPS6028335A (ja) 1983-07-26 1985-02-13 Nec Corp 表示付選択呼出受信機
JPS62192169A (ja) 1986-02-18 1987-08-2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紫外線硬化充填剤
JPS63700A (ja) 1986-06-19 1988-01-05 日本鋼管株式会社 衝突予防援助装置
DE3644590A1 (de) * 1986-12-27 1988-07-14 Ltg Lufttechnische Gmbh Lufttechnisches geraet zum einblasen von zuluft in einen raum
US5029451A (en) * 1988-09-12 1991-07-09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083384B2 (ja) * 1988-09-13 1996-01-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552366A (ja) * 1991-08-27 1993-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輻射式冷房装置
JPH0719533A (ja) 1993-06-29 1995-01-20 Jdc Corp 天井冷暖房輻射パネル
JP2946169B2 (ja) 1993-12-30 1999-09-06 株式会社イナックス 二層形タイルの成形方法
SE9400096L (sv) * 1994-01-17 1995-07-18 Flaekt Ab Sätt att ventilera/temperera ett rum och en anordning för utförande av sättet
AUPO532397A0 (en) * 1997-02-26 1997-03-20 I.D.E.A. (Industrial Design And Engineering Associates) Pty Ltd Combined light source/air purifier
JPH11201501A (ja) * 1998-01-08 1999-07-30 Kubota Corp 空調設備
JP2000121167A (ja) * 1998-10-14 2000-04-28 Maeda Corp 蓄熱パネル及び蓄熱式空調システム
FI113891B (fi) * 1999-02-19 2004-06-30 Halton Oy Tuloilmalaite
JP4439676B2 (ja) 2000-04-17 2010-03-24 パナソニック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人体検知空調空気吹出口の制御装置
SE517998E5 (sv) * 2000-09-13 2020-10-06 Flaektgroup Sweden Ab Ventilationsaggregat där tilluft medinducerar rumsluft, vilken passerar kylnings./ uppvärmningselement, och där utblåshål för tilluft har reglerbar area via förskjutbar reglerpanel
SE523648C2 (sv) * 2001-12-07 2004-05-04 Flaekt Woods Ab Tilluftbaffel för placering invid ett rumstak för tillförsel av luft till ett rum
US6569010B1 (en) * 2002-04-25 2003-05-27 Nuclimate Air Quality Systems, Inc. Induced air distribution system
CA2488276A1 (en) * 2002-06-03 2003-12-11 Rubitherm Gmbh Method for heating and cooling a room and a building with a plurality of rooms
US20060211365A1 (en) * 2003-03-24 2006-09-21 Vladimir Petrovic Induction diffuser
JP4424532B2 (ja) * 2003-08-08 2010-03-03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放射方式併用の対流型空調システム
JP2005315462A (ja) * 2004-04-27 2005-11-10 Sanki Eng Co Ltd 蓄熱式放射冷暖房パネル
FI20075226L (fi) * 2007-04-03 2008-10-04 Valtion Teknillinen Tuloilmalaite ja menetelmä ilman puhdistamiseksi tuloilmalaitteessa
US20080283621A1 (en) * 2007-05-16 2008-11-20 Inncom International, Inc. Occupant controll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in a multi-unit building
TWI328668B (en) * 2007-07-25 2010-08-11 Chunghwa Telecom Co Ltd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2009036409A (ja) * 2007-07-31 2009-02-19 Akira Yokota 湿気除去システム
JP5052366B2 (ja) * 2008-02-20 2012-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高効率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335U (ja) * 1983-07-30 1985-02-26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空気吹出口
JPS62192169U (ko) * 1986-05-27 1987-12-07
JP2007225199A (ja) * 2006-02-23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冷暖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123B1 (ko) 2019-02-28 2019-08-23 주식회사 하이옥스 천정형 멀티 항온항습기
KR20200105364A (ko) 2019-05-17 2020-09-07 주식회사 하이옥스 천정형 멀티 항온항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454A (ko) 2010-10-21
AU2010201383B9 (en) 2011-06-02
EP2244021B1 (en) 2017-06-14
CA2699436A1 (en) 2010-10-13
AU2010201383B2 (en) 2011-04-21
AU2010201383A1 (en) 2010-10-28
SG166063A1 (en) 2010-11-29
EP2244021A3 (en) 2012-04-11
US8844608B2 (en) 2014-09-30
US20100263829A1 (en) 2010-10-21
CN101858619B (zh) 2013-10-09
CN201885316U (zh) 2011-06-29
CA2699436C (en) 2013-04-30
CN101858619A (zh) 2010-10-13
EP2244021A2 (en)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372B1 (ko) 냉난방유닛 및 냉난방장치
JP4999944B2 (ja) 誘引放射空調機
JP4907687B2 (ja) ヒートポンプ式中温空調システム
JP4792101B2 (ja) 空気式輻射層流ユニット
KR101763267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CN105928102B (zh) 一种辐射顶板与置换通风联合空调系统
JP3936962B1 (ja) 輻射空調ユニット
JP2012154611A (ja) ワンスパン空調システム
JP2005172309A (ja) 送風装置および室用空調システム
JP2006214696A (ja) 空調システム
JP6825900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8758818A (zh) 利用气膜换热的固壁辐射对流空调
EP394030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6811543B2 (ja) 放射冷暖房装置
JPH037821A (ja) 空調設備
JP2989054B2 (ja) ペリメータゾーン用空調設備
US20180003398A1 (en) Variable refrigerant flow (VRF) air conditioning and related methods
JP7223508B2 (ja) 空調設備
CN208536150U (zh) 利用气膜换热的固壁辐射对流空调
JP685839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014844B1 (ko) 환기와 가열 및 냉각 겸용 실내 공기조화기
JP4557207B2 (ja) 換気置換空調装置
JP4953743B2 (ja) 輻射空調ユニット
JP2004324992A (ja) 冷風換気システム
KR102251194B1 (ko) 가축사용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