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46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469B1
KR102513469B1 KR1020150160746A KR20150160746A KR102513469B1 KR 102513469 B1 KR102513469 B1 KR 102513469B1 KR 1020150160746 A KR1020150160746 A KR 1020150160746A KR 20150160746 A KR20150160746 A KR 20150160746A KR 102513469 B1 KR102513469 B1 KR 102513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air
passage
sub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095A (ko
Inventor
이정대
김도훈
심재형
윤준호
이광민
이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761,69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47584B2/en
Priority to EP16860080.7A priority patent/EP3330620B1/en
Priority to PCT/KR2016/009246 priority patent/WO2017073896A1/ko
Priority to CN201680063351.4A priority patent/CN108351111B/zh
Publication of KR20170051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Abstract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의 흡입력을 이용해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안내하는 서브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 토출구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갖는 분리형과, 하나의 하우징 안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모두 배치되는 일체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 또는 난방된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기류 제어 수단을 갖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토출 기류 제어 수단은 토출구에 마련되는 수직 또는 수평 블레이드와, 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로 구성된다. 즉,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이용한 토출 기류 제어 구조에 의하면 블레이드에 의해 공기 흐름이 방해받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하되고, 블레이드 주변에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유동 소음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블레이드 구조 없이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의 흡입력을 이용해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안내하는 서브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기 서브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서브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 상에서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할수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송풍팬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 상에서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할수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팬의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축 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흡입구를 향하고,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유출구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메인유로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메인유로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상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시키되 상기 메인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서브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서브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메인유로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면에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할수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면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할수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메인유로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메인유로 상에 마련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메인유로와 별도로 마련되며, 일단이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송풍팬에 인접하게 마련된 서브유로; 및 상기 서브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서브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의 타단은 상기 송풍팬의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서브유로로 흡입되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그 토출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의 타단은 상기 송풍팬의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를 향해 토출되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그 토출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메인유로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메인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서브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측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서브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서브유로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블레이드 없이 토출구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어 제품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블레이드 없이 토출기류를 제어하므로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로 인한 토출량 감소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블레이드 없이 토출기류를 제어하므로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O'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Ⅰ-Ⅰ선에 따른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O'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C)에 매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20)와 토출구(21)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천장(C)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1)의 아래에 결합되는 중간 하우징(12)과, 중간 하우징(12)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가 형성되고, 흡입구(2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21)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 조화기(1)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은 토출구(21)를 형성하는 제1 가이드면(14a) 및 제2 가이드면(14b)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a)은 흡입구(2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제2 가이드면(14b)은 제1 가이드면(14a)보다 흡입구(20)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면(14a)은 토출구(21)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면(14b)은 토출구(21)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a) 및/또는 제2 가이드면(14b)은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저면에는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15)이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흡입구(20)와 토출구(21) 사이의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미도시)와, 외부 냉매관과 연결되어 튜브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에는 방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열교환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놓여져서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열교환기(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또한, 송풍팬(40)은 축방향의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이 축방향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에는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송풍 모터(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조화기(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열교환기(30)와 연결되며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 파이프(81) 및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파이프(81) 및 드레인 펌프(82)는 흡입구를 가리지 않도록 후술할 브리지(8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 파이프(81)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마련된 열교환기 파이프 안착부(16a)에 안착될 수 있고, 드레인 펌프(82)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마련된 드레인 펌프 안착부(16b)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21)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토출구(21)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브리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8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상호 이격되며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브리지(100)는 제1 가이드면(14a)과 제2 가이드면(14b)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21)가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모든 방향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토출구(21)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형성되고, 흡입구(20)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된다. 또한, 토출구(21)의 모든 방향에서 공기가 토출되며 에어 커튼(Air curtain)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되어야 할 공기가 흡입구(20) 측으로 공급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다시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되고, 재흡입된 공기는 하우징(10) 내부에 이슬맺힘 현상을 유발하며, 토출되는 공기가 손실되어 체감성능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80)는 토출구(21) 상에 마련되어 토출구(21)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차단한다. 이에 따라, 토출구(21)는 공기가 토출되는 제1 구간(S1) 및 브리지(100)에 차단되어 공기가 거의 토출되지 않는 제2 구간(S2)으로 구획된다. 즉, 브리지(100)는 흡입구(20)를 통해 흡입될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구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브리지(80)는 흡입구(20) 주변의 저압과 토출구(21) 주변의 고압 사이의 압력차이를 감소시켜 흡입구(20)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브리지(80)는 브리지(80)에 의해 형성된 제2 구간(S2)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한 쌍의 토출 가이드면(80a)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면(101)에 의해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21)로부터 더 넓게 퍼지며 토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는 3개의 브리지(8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즉, 120°의 각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며, 2개의 브리지가 180°의 각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브리지가 토출구(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브리지의 개수 및 배치되는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브리지(80)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브리지(80) 중 하나의 브리지(8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유닛(85)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85)은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85)은 공기조화기(1)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거나, 토출기류의 방향을 표시하거나, 공기조화기(1)가 현재 냉방모드로 구동 중인지 난방모드로 구동 중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조화기(1)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브리지(80)의 하측에는 디스플레이 유닛(85) 이외에도 리모콘 수신부(미도시), 공기조화기(1)의 입력부(미도시) 및 외부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브리지(80)에 의해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흡입구(20)로 재흡입지 않고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해 퍼지며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토출기류를 제어하는 서브유로(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기류를 제어한다는 것은 토출기류의 방향, 즉,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각도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서브유로(101)는 토출구(21)의 주변에 마련되어 토출구(21)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102)와, 유입구(102)에서 유입한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토출되는 유출구(10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유로(101)는 상부 하우징(11)의 외측에서 상부 하우징(11)의 외면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브유로(101)는 하우징(10)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서브유로(101)는 하우징(10)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구(102)에 연통되는 제1 유로(101a)와, 제1 유로(101a)에서 하우징(10)의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101a)와 제2 유로(101b)를 거쳐 유출구(103)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1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101)는 유입구(102)와 유출구(1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유입구(102)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제2 가이드면(14b)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03)는 상부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103)는 송풍팬(4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03)는 송풍팬(40)의 회전 중심에 인접한 상부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송풍팬(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20)가 마련된 하측과, 유출구(103)가 마련된 상측 모두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팬(40)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토출구(21) 주변의 공기 중 일부는 송풍팬(40)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구(102)를 통해 흡입되어 서브유로(101)를 통과한 후 유출구(103)에서 토출될 수 있다. 토출구(21) 주변의 공기 중 일부가 유입구(102)를 통해 서브유로(101)로 흡입됨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도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송풍팬(4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송풍팬(40)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구(102)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공기의 양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유입구(102)를 통해 흡입할 수 있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도 단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서브유로(101) 상에는 서브유로(1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조절장치(10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104)는 서브유로(1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스위치일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104)는 댐퍼일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104)는 서브유로(101) 상에서 송풍팬(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104)는 서브유로(1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토출구(21) 주변의 공기가 유입구(102)를 통해 선택적으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개폐조절장치(104)가 서브유로(101)를 개방하지 않는 경우, 송풍팬(40)의 흡입력이 유입구(102)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는 유입구(102)로 흡입되지 않으며, 토출기류는 A1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면, 개폐조절장치(104)가 서브유로(101)를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40)의 흡입력이 유입구(102)로 전달된다. 따라서,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는 유입구(102)로 흡입되며, 토출기류는 A2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토출기류의 진행 방향이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경되어 토출기류는 와이드하게 퍼져나갈 수 있다.
또한, 개폐조절장치(104)는 서브유로(1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입구(102)를 통해 흡입하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유입구(102)를 통해 흡입하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변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90)를 통해 개폐조절장치(104)를 전부 개방하도록 제어부(91)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91)는 개폐조절장치(104)가 서브유로(101)를 전부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최대한 퍼지게 된다. 즉, 토출기류는 A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부(90)를 통해 개폐조절장치(104)를 일부만 개방하도록 제어부(91)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91)는 개폐조절장치(104)가 서브유로(101)를 일부만 개방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A2 방향보다 덜 퍼지게 된다. 즉, 토출기류는 A2 방향과 A1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104)의 개방 정도를 더 세밀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방향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21)에 블레이드가 마련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토출기류를 제어하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량이 증대되고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를 설명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2)의 서브유로(201)는 하부 하우징(13)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202)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제1 가이드면(14a)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203)는 흡입구(20)와 연통되도록 흡입구(2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203)가 흡입구(20)와 연통됨에 따라, 송풍팬(40)의 흡입구(20) 측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은 서브유로(201)로 전달되어 유입구(202)가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서브유로(201)는 유입구(202)와 유출구(203)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서브유로(20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유입구(202)와 연통되는 제1 유로(201a)와, 제1 유로(201a)에서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유로(2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2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201a)와 제2 유로(201b)를 거쳐 유출구(203)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2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201)는 유입구(202)와 유출구(2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아울러, 서브유로(201)는 토출구(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서브유로(201)는 토출구(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2)는 송풍팬(40)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제1 가이드면(14a)에 형성된 유입구(202)를 통해 흡입하여 흡입구(20) 측에 형성된 유출구(203)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조절장치(204)가 서브유로(201)를 개방하지 않는 경우, 송풍팬(40)의 흡입력이 유입구(202)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는 유입구(202)로 흡입되지 않으며,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A1 방향으로 토출된다. 반면, 개폐조절장치(204)가 서브유로(201)를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40)의 흡입력이 유입구(202)로 전달된다. 따라서, 토출구(21) 주변의 공기 중 일부는 유입구(202)를 통해 서브유로(201)로 흡입되며,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A2 방향으로 토출된다. 즉, 토출기류의 진행 방향이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경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개폐조절장치(204)는 서브유로(2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입구(202)를 통해 흡입하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유입구(202)를 통해 흡입하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변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조절장치(204)가 서브유로(201)를 전부 개방하는 경우, 유입구(202)를 통해 흡입되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양이 최대가 되므로, 토출기류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최대한 모일 수 있다. 즉, 토출기류는 A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개폐조절장치(204)가 서브유로(201)를 일부만 개방하는 경우, 유입구(202)를 통해 흡입되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양이 적으므로, 토출기류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A2 방향보다 덜 모이게 된다. 즉, 토출기류는 A1 방향과 A2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204)의 개방 정도를 더 세밀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방향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3)는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서브유로(301)로 우회시킨 후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3)는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는 서브유로(301)를 포함한다. 서브유로(301)는 송풍팬(4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하기 전에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301)는 메인유로(P)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302)와 유입구(302)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30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유로(301)는 중간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서브유로(301)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301)는 유입구(302)와 연통되는 제1 유로(301a)와, 제1 유로(301a)와 유출구(303)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3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3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301a)와 제2 유로(301b)를 거쳐 유출구(303)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301a)를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301b) 전체로 분기된 후 유출구(303)를 통해 토출된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3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301)는 유입구(302)와 유출구(3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유입구(302)는 송풍팬(40)과 열교환기(30) 사이의 메인유로(P)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는 유입구(302)를 통해 서브유로(301)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302)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303)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된 제1 가이드면(14a)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303)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서브유로(301)를 통과한 후 유출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은 메인유로(P)를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보다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을 더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서브유로(301)를 통과한 후 유출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메인유로(P)를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유입구(302)에 인접한 서브유로(301) 상에는 서브유로(3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조절장치(30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조화기(3)는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조절장치(304)가 서브유로(301)를 개방하지 않는 경우,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모두 열교환기(30)를 통과한 후 메인유로(P) 및 토출구(21)를 통해 A1 방향으로 토출된다.
반면, 개폐조절장치(304)가 서브유로(301)를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하기 전 메인유로(P)의 상류에서 서브유로(301)로 분기된다. 서브유로(301)로 유입된 공기는 유출구(303)를 통해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어내며 토출된다. 즉,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은 A2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토출기류는 와이드하게 퍼져나갈 수 있다.
아울러, 개폐조절장치(304)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서브유로(3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브유로(301)를 통과한 후 유출구(3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유출구(3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변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조절장치(304)가 서브유로(301)를 전부 개방하는 경우, 서브유로(301)를 통해 유출구(3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가 되고,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최대한 퍼지게 된다. 즉, 토출기류는 A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개폐조절장치(304)가 서브유로(301)의 일부만 개방하는 경우, 서브유로(301)를 통해 유출구(3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A2 방향보다 덜 퍼지게 된다. 즉, 토출기류는 A1 방향과 A2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304)의 개방 정도를 더 세밀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방향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4)는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서브유로(401)로 우회시킨 후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브유로(401)는 송풍팬(4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한 후에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401)는 유입구(402)와 유출구(40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유로(401)는 하우징(10)의 외벽을 따라 별도의 덕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서브유로(401)는 유입구(402)와 연통되는 제1 유로(401a)와, 제1 유로(401a)와 유출구(403)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40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4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401a)와 제2 유로(401b)를 거쳐 유출구(403)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401a)를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401b) 전체로 분기된 후 유출구(403)를 통해 토출된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4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401)는 유입구(402)와 유출구(4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유입구(402)는 열교환기(30)와 토출구(21) 사이의 메인유로(P)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되어 열교환기(3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유입구(402)를 통해 서브유로(401)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541)는 상부 하우징(11)에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403)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 제2 가이드면(14b)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403)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서브유로(401)를 통과한 후 유출구(4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은 메인유로(P)를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보다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을 더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서브유로(401)를 통과한 후 유출구(4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메인유로(P)를 통과한 후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유입구(402)에 인접한 서브유로(401) 상에는 서브유로(4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조절장치(40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기조화기(4)는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조절장치(404)가 서브유로(401)를 개방하지 않는 경우,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한 후 모두 메인유로(P) 및 토출구(21)를 통해 A1 방향으로 토출된다.
반면, 개폐조절장치(404)가 서브유로(401)를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열교환기(30)를 통과한 후 서브유로(401)로 분기된다. 서브유로(401)로 유입된 공기는 유출구(403)를 통해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내며 토출된다. 즉,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은 A2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토출기류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폐조절장치(404)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서브유로(4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브유로(401)를 통과한 후 유출구(4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유출구(4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변경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조절장치(404)가 서브유로(401)를 전부 개방하는 경우, 서브유로(4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출구(403)에서 토출하는 공기는 토출구(21)에서 토출하는 공기를 강하게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며 토출되므로, 토출기류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최대한 모이게 된다. 반면, 개폐조절장치(404)가 서브유로(401)를 일부만 개방하는 경우, 서브유로(4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유출구(403)에서 토출하는 공기가 토출구(21)에서 토출하는 공기를 밀어내는 힘도 약해지므로, 토출기류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폭 모이게 된다. 즉, 토출기류는 A1 방향과 A2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404)의 개방 정도를 더 세밀하게 제어하여, 다양한 방향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5)는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서브유로(501)로 우회시킨 후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서브유로(601)는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유사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5)는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는 서브유로(501)를 포함한다. 서브유로(501)는 송풍팬(4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하기 전에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501)는 메인유로(P)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502)와, 유입구(502)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50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유로(501)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501)는 유입구(502)와 연통되는 제1 유로(501a)와, 제1 유로(501a)와 유출구(503)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5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501)는 유입구(502)와 유출구(5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유입구(502)는 송풍팬(40)과 열교환기(30) 사이의 메인유로(P)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는 유입구(502)를 통해 서브유로(501)로 유입될 수 있다.
유출구(503)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대략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503)는 토출구(21)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출구(503)의 반경 방향 내측면은 유출구(50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대략 하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코안다 곡면부(50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면(14a)과 코안다 곡면부(503a)는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유출구(503)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5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은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보다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을 더 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출구(503)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고속으로 토출되며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유출구(503) 측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즉,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A1 방향에서 A2 방향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된다.
유입구(502)에 인접한 서브유로(501) 상에는 서브유로(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조절장치(50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504)를 통해 서브유로(5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에 따라,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A1 방향과 A2 방향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개폐조절장치(504)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서브유로(5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브유로(501)를 통과한 후 유출구(5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전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6)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6)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6)는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서브유로(601)로 우회시킨 후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서브유로(601)는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유사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서브유로(601)는 송풍팬(4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한 후에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601)는 유입구(602)와 유출구(60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유로(601)는 하우징(10)의 외벽을 따라 별도의 덕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서브유로(601)는 유입구(602)와 연통되는 제1 유로(601a)와, 제1 유로(601a)와 유출구(603)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60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6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601)는 유입구(602)와 유출구(6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유입구(602)는 열교환기(30)와 토출구(21) 사이의 메인유로(P)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되어 열교환기(30)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유입구(602)를 통해 서브유로(601)로 유입될 수 있다.
유출구(603)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603)는 토출구(21)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603)가 형성된 제2 가이드면(14b)는 유출구(603)를 기준으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14b)은 유출구(603)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코안다 곡면부(603a)를 포함할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603a)는 제2 가이드면(14b)과 대략 평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상이한 기울기 및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출구(603)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6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은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보다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을 더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출구(603)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고속으로 토출되며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유출구(603) 측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즉,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A1 방향에서 A2 방향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된다.
유입구(602)에 인접한 서브유로(601) 상에는 서브유로(6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조절장치(60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604)를 통해 서브유로(6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에 따라,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A1 방향과 A2 방향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개폐조절장치(604)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서브유로(6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브유로(601)를 통과한 후 유출구(6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전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7)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표시된 'O''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7)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7)는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를 서브유로(701)로 우회시킨 후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방향으로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서브유로(601)는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유사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토출기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7)는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는 서브유로(701)를 포함한다. 서브유로(701)는 송풍팬(4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열교환기(30)를 통과하기 전에 메인유로(P)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701)는 메인유로(P)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유입되는 유입구(702)와, 유입구(702)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703)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유로(701)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브리지(80)의 내부를 지나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마련될 수 있다. 서브유로(701)는 유입구(702)와 연통되는 제1 유로(701a)와, 제1 유로(701a)와 유출구(703)를 연결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유로(70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구(70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701a)를 지나 브리지(80)의 내부를 통과하고, 이후, 제2 유로(701b)를 지나 유출구(703)로 토출된다. 다만, 이러한 서브유로(701)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서브유로(701)는 유입구(702)와 유출구(703)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유입구(70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40)과 열교환기(30) 사이의 메인유로(P)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40)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는 유입구(702)를 통해 서브유로(701)로 유입될 수 있다.
유출구(70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703)는 토출구(21)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출구(703)가 형성된 제2 가이드면(14b)은 유출구(703)를 기준으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면(14b)은 유출구(703)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가이드하는 코안다 곡면부(70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출구(703)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7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은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보다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을 더 향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구(703)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고속으로 토출되며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유도하여 유출구(703) 측으로 끌어당기게 된다ㅓ. 즉,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A1 방향에서 A2 방향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된다.
유입구(702)에 인접한 서브유로(701) 상에는 서브유로(7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조절장치(70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조절장치(704)를 통해 서브유로(701)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에 따라, 토출구(2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A1 방향과 A2 방향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개폐조절장치(704)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서브유로(70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서브유로(701)를 통과한 후 유출구(70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구(2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의 전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 5, 6, 7; 공기조화기 10; 하우징
11; 상부 하우징 12; 중간 하우징
13; 하부 하우징 14a; 제1 가이드면
14b; 제2 가이드면 20; 흡입구
21; 토출구 30; 열교환기
40; 송풍팬 80; 브리지
101, 201, 301, 401, 501, 601, 701; 서브유로
102, 202, 302, 402, 502, 602, 702; 유입구
103, 203, 303, 403, 503, 603, 703; 유출구
104, 204, 304, 404, 504, 604, 704; 개폐조절장치

Claims (26)

  1.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켜 열교환 시킨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송풍팬의 흡입력을 이용해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여 안내하는 서브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열교환기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일 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연통되는 타 단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메인유로와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서브유로는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 중 일부를 흡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 상에서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서브유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장치가 상기 서브유로를 개방할수록,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변경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송풍팬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공기조화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송풍팬의 반경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 축 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흡입구를 향하고,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이 상기 유출구를 향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50160746A 2015-10-30 2015-11-16 공기조화기 KR102513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61,690 US11047584B2 (en) 2015-10-30 2016-08-22 Air conditioner
EP16860080.7A EP3330620B1 (en) 2015-10-30 2016-08-22 Air conditioner
PCT/KR2016/009246 WO2017073896A1 (ko) 2015-10-30 2016-08-22 공기조화기
CN201680063351.4A CN108351111B (zh) 2015-10-30 2016-08-22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349 2015-10-30
KR20150152349 2015-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095A KR20170051095A (ko) 2017-05-11
KR102513469B1 true KR102513469B1 (ko) 2023-03-24

Family

ID=5874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46A KR102513469B1 (ko) 2015-10-30 2015-11-1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7584B2 (ko)
EP (1) EP3330620B1 (ko)
KR (1) KR102513469B1 (ko)
CN (1) CN1083511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60097A3 (en) * 2016-12-21 2023-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543848B1 (ko) * 2017-07-21 2023-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591170B2 (en) * 2017-07-21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207422394U (zh) 2017-09-12 2018-05-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KR102490965B1 (ko) * 2017-09-12 2023-01-19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공기 조화기
KR102401527B1 (ko) * 2017-09-28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20029186A (ko) * 2020-09-01 202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3566287B (zh) * 2021-07-30 2022-06-24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天花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385A (ja) * 2001-10-25 2003-05-08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4360951A (ja) * 2003-06-03 2004-12-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
JP2007040617A (ja) * 2005-08-03 2007-02-15 Hitachi Ltd 空調用室内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696B2 (ja) * 1992-12-22 2000-10-30 松下精工株式会社 空調用吹出し装置
KR20000055145A (ko) 1999-02-03 2000-09-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방법
US6168517B1 (en) * 1999-10-29 2001-01-02 E. F. Cook Recirculating air mixer and fan with lateral air flow
FI117682B (fi) * 2000-11-24 2007-01-15 Halton Oy Tuloilmalaite
JP4052264B2 (ja) * 2004-03-05 2008-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6336961A (ja)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EP2206988B1 (en) 2007-10-25 2019-04-24 Toshiba Carrier Corporatio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EP2196738B1 (en) * 2008-12-10 2013-10-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uction hood
WO2010114702A1 (en) * 2009-03-30 2010-10-07 Airius Ip Holdings, Llc Columnar air mo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
AU2010201383B9 (en) * 2009-04-13 2011-06-02 Kimura Kohki Co., Ltd. Heating and cooling unit, and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US8087878B2 (en) * 2009-05-28 2012-01-03 Chen Yung-Hua Powerless diversion plate of a ceiling air-conditioning circulation machine
KR20130088582A (ko) 2012-01-31 2013-08-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2128584B1 (ko) 2013-09-16 2020-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0385A (ja) * 2001-10-25 2003-05-08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2004360951A (ja) * 2003-06-03 2004-12-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
JP2007040617A (ja) * 2005-08-03 2007-02-15 Hitachi Ltd 空調用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0620B1 (en) 2022-09-28
US20180356107A1 (en) 2018-12-13
EP3330620A1 (en) 2018-06-06
US11047584B2 (en) 2021-06-29
KR20170051095A (ko) 2017-05-11
CN108351111B (zh) 2020-10-27
CN108351111A (zh) 2018-07-31
EP3330620A4 (en)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469B1 (ko) 공기조화기
KR10244516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6415B1 (ko) 공기조화기
KR20180125425A (ko) 공기조화기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CN106164597B (zh) 空调机
KR20200119576A (ko) 공기조화기
KR20180055156A (ko) 공기 조화기
CN108291727B (zh) 空调的室内机
KR100541471B1 (ko) 에어컨 실내기
JP6429204B2 (ja) 空気調和機
WO2016063397A1 (ja) 空気調和機
KR201601318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11630327B (zh) 空调机的室内机
KR102025993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0071021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KR10092558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672881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WO2019123743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722939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1037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230096515A (ko) 공기조화기
KR2016013184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