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847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847A
KR20160131847A KR1020150160750A KR20150160750A KR20160131847A KR 20160131847 A KR20160131847 A KR 20160131847A KR 1020150160750 A KR1020150160750 A KR 1020150160750A KR 20150160750 A KR20150160750 A KR 20150160750A KR 20160131847 A KR20160131847 A KR 20160131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flow
discharge
control devic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우석
김영재
윤준호
조민기
김도훈
김병건
김현아
서용호
서형준
심재형
이부연
장근정
조은성
조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819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131841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18B1/ko
Priority to US15/145,199 priority patent/US9557070B2/en
Priority to EP17162999.1A priority patent/EP3258178B1/en
Priority to EP17162998.3A priority patent/EP3203157A1/en
Priority to JP2017557403A priority patent/JP6488409B2/ja
Priority to EP18210273.1A priority patent/EP3483514B1/en
Priority to ES16168418.8T priority patent/ES2652016T3/es
Priority to BR112017023237-5A priority patent/BR112017023237B1/pt
Priority to EP16168418.8A priority patent/EP3091296B1/en
Priority to RU2017134814A priority patent/RU2667590C1/ru
Priority to MYPI2017704073A priority patent/MY184543A/en
Priority to PCT/KR2016/004722 priority patent/WO2016178521A1/en
Priority to AU2016259152A priority patent/AU2016259152B2/en
Priority to CN201810373937.1A priority patent/CN108692367B/zh
Priority to CN201910207155.5A priority patent/CN109899891B/zh
Priority to CN201610302652.XA priority patent/CN106123112B/zh
Priority to CN201710134049.XA priority patent/CN106907771B/zh
Publication of KR20160131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47A/ko
Priority to US15/389,663 priority patent/US10126002B2/en
Priority to US15/389,685 priority patent/US9995494B2/en
Priority to KR1020170015440A priority patent/KR101988318B1/ko
Priority to ZA2017/06577A priority patent/ZA201706577B/en
Priority to US15/992,478 priority patent/US10203121B2/en
Priority to KR1020180069544A priority patent/KR102445160B1/ko
Priority to KR1020180069558A priority patent/KR102379031B1/ko
Priority to KR1020220112445A priority patent/KR10259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1/04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2001/00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블레이드 구조 없이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토출량이 증대되고, 유동 소음이 감소하며, 디자인 차별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블레이드 구조 없이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갖는 분리형과, 하나의 하우징 안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모두 배치되는 일체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 또는 난방된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 기류 제어 수단을 갖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토출 기류 제어 수단은 토출구에 마련되는 수직 또는 수평 블레이드와, 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로 구성된다. 즉,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이용한 토출 기류 제어 구조에 의하면 블레이드에 의해 공기 흐름이 방해 받기 때문에 토출되는 공기량이 저하되고, 블레이드 주변에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유동 소음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회전축이 직선형으로 마련되므로 토출구의 형상도 직선형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블레이드 구조 없이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흡입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흡입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 기류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다각형 형상을 갖고,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기류 제어팬이 흡입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연결하는 안내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기류 제어팬을 구동시키는 기류 제어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기류 제어 모터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팬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코안다 곡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 토출구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형상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폭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메인 유로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메인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보조 기류를 토출시키는 안내 유로를 갖는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주 기류의 방향을 상기 보조 기류 측으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 없이 토출구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 없이 토출 기류를 제어하므로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로 인한 토출량 감소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블레이드 없이 토출 기류를 제어하므로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기존의 직선형 형상에서 벗어나, 원형 및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O'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Ⅱ-Ⅱ선에 따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가 멀티 홀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의 폭이 가변하게 마련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가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7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0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0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0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1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1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O'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Ⅱ-Ⅱ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2의 측단면도는 엄밀하게 도 3의 Ⅲ-Ⅲ선에 따른 회전 단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C)에 매립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흡입구(20)와 토출구(21)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4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부 하우징(11)과, 상부 하우징(11)의 아래에 결합되는 중간 하우징(12)과, 중간 하우징(12)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 및 중간 하우징(12)의 적어도 일부분은 천장(C)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가 형성되고, 흡입구(2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21)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21)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후술하는 브릿지(70d)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원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0)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은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14)를 가질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14)는 토출구(21)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14)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의 저면에는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15)이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32,도 5)와, 외부 냉매관과 열결되어 튜브(32)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31,도 5)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32)에는 방열 면적을 확대하도록 열교환핀이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기(30)의 튜브(32)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드레인 트레이(16)에 놓여져서 열교환기(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 트레이(16)에 집수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열교환기(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는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송풍 모터(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50)를 더 포함한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를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는 것은 토출 기류의 각도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시에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기류 제어 장치(50)가 작동하여 A1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S)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량에 따라 전환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흡입량을 작게 하면 작은 각도로 전환이 되고, 흡입량을 크게 하면 큰 각도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일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D). 특히, 기류 제어 장치(50)는 흡입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기류 제어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또는 토출 기류의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50)가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므로 토출 기류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와이드하게 퍼져나갈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팬(60)과, 기류 제어팬(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61)와, 기류 제어팬(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70)를 포함한다.
기류 제어팬(60)은 팬 케이스(62)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류 제어팬(60)은 120도의 각도로 3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류 제어팬(60)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류 제어팬(60)으로 원심팬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축류팬, 횡류팬, 사류팬 등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안내 유로(7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72)를 연결한다. 흡입구(20)와, 토출구(21)를 연결하는 유로를 메인 유로라고 한다면, 안내 유로(70)는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유입구(71)는 하부 하우징(13)의 코안다 곡면부(1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팬(60)의 흡입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13)의 유입구(71) 측으로 휘어진 토출 기류는 코안다 곡면부(14)의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다.
유입구(71)는 원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유출구(72)는 유입구(71)의 반대측의 토출구(21)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구(72)는 팬 케이스(6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50)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일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특히, 기류 제어 장치(50)는 흡입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고, 기류 제어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안내 유로(70)는 하우징(10)의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구(71)에 연통되는 제1유로(70a)와, 제1유로(70a)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유로(70b)와, 팬 케이스(6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유로(7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70b)는 토출구(21)를 가로 지르는 브릿지(70d)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7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유로(70a)와 제2유로(70b)와 제3유로(70c)를 거쳐 유출구(7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안내 유로(7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안내 유로(70)는 유입구(71)와 유출구(72)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에 블레이드가 마련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를 제어하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량이 증대되고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 및 열교환기 등도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어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송풍팬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감안하면 기류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공기 조화기는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92)와, 동작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90)와,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 센서(91a)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온도 센서(91b)와, 증발기 온도를 감지하는 증발기 온도 센서(91c)와, 각종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83)와, 압축기(95) 구동을 위한 압축기 구동부(94)와, 전자 팽창 밸브(96)와,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송풍팬 구동부(97)와, 기류 제어팬(60)의 구동을 위한 기류 제어팬 구동부(9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는 입력부(90)와, 실외 온도 센서(91a)와, 실내 온도 센서(92b)와, 증발기 온도 센서(91c)로부터 각종 동작 명령과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표시부(93)와, 압축기 구동부(94)와, 전자 팽창 밸브(96)와, 송풍팬 구동부(97)와, 기류 제어팬 구동부(98)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기류 제어팬 구동부(98)는 제어부(92)의 제어 명령에 따라 기류 제어 모터(61)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고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200)의 기류 제어 장치(250)는 토출구(21)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S), 흡입한 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D).
본 실시예에서, 기류 제어 장치(250)는 토출구(21) 주변에서 흡입한 공기를 기류 진행 방향에 따른 열교환기(30)의 상류 측으로 토출시킨다.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열교환기(30)를 거쳐 다시 냉각 또는 난방된 후에 토출구(21)를 통해 최종적으로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21) 주변에서 흡입한 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토출시키도록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271)는 하부 하우징(13)에 형성되고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27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안내 유로(270)는 유입구(271)와 유출구(272)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안내 유로(270)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구(271)에 연통되는 제1유로(270a)와, 제1유로(270a)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유로(270b)와, 팬 케이스(6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유로(270c)와, 제3유로(270c)에서 하우징(10)의 내부로 연장되고 유출구(272)에 연통되는 제4유로(270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27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유로(270a)와 제2유로(270b)와 제3유로(270c)와 제4유로(270d)를 거쳐 유출구(27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안내 유로(27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안내 유로(270)는 유입구(271)와 유출구(272)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300)의 기류 제어 장치(350)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또는 토출 기류의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또는 토출 기류의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371)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37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안내 유로(370)를 거쳐 유출구(372)로 토출될 수 있다(D).
이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350)가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므로(S), 토출 기류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반경 방향 중심부 측으로 집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400)는 흡입구와 토출구(421)를 갖는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4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440)을 포함한다.
하우징(410)은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410)의 저면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흡입구의 저면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21)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되, 그 모서리부(421a)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421)는 블레이드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이와 같이 라운드진 모서리부(421a)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토출구(421)는 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43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432)와, 외부 냉매관과 열결되어 튜브(432)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4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4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송풍팬(44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500)는 흡입구와 토출구(521)를 갖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5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540)을 포함한다.
하우징(510)은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510)의 저면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하우징(510)의 저면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21)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521)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되, 각 변은 직선형이 아니라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521)는 블레이드 구조를 갖지 않으므로 이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열교환기(53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532)와, 외부 냉매관과 열결되어 튜브(532)에 냉매를 공급하거나 회수하는 헤더(5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53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송풍팬(54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600)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600)는 흡입구(620)와 토출구(621)를 갖는 하우징(610)과, 하우징(6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6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640)을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벽(W)에 결합되는 후방 하우징(612)와, 후방 하우징(612)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 하우징(6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611)의 전면과 상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620)가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611)의 하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6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600)는 전방 및 상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하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토출구(621)는 원형, 다각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610)은 토출구(6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614)를 가질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614)는 토출구(621)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614)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송풍팬(640)은 횡류팬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60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를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650)를 더 포함한다.
기류 제어 장치(650)는 토출구(6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팬(660)과, 기류 제어팬(6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661)와, 기류 제어팬(6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67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유로(70)는 토출구(6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6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672)를 연결한다. 유입구(671)는 하우징(610)의 코안다 곡면부(61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700)는 바닥면(F) 위에 스탠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700)는 흡입구(720)와 토출구(721)를 갖는 하우징(710)과, 하우징(7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73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740)을 포함한다.
하우징(710)은 전방 하우징(711)과, 중간 하우징(712)과, 후방 하우징(7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방 하우징(713)의 상면, 측면, 후면 등에는 흡입되는 흡입구(720)가 형성되고, 전방 하우징(611)의 전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7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700)는 상방, 측방,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토출구(721)는 원형, 다각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710)은 토출구(72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714)를 가질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714)는 토출구(7621)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코안다 곡면부(714)에 밀착하여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송풍팬(740)은 사류팬이나 축류팬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700)는 토출구(7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를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750)를 더 포함한다.
기류 제어 장치(750)는 토출구(6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팬(760)과, 기류 제어팬(7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761)와, 기류 제어팬(7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77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유로(770)는 토출구(7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7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772)를 연결한다. 유입구(671)는 하우징(610)의 코안다 곡면부(714)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가 멀티 홀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171)는 복수의 작은 홀들(172)이 집단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작은 홀들(172)이 집단을 이룸으로써 하나의 원호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모여 유입구(17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구(171)가 복수의 작은 홀들(172)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입구(171)를 통해 먼지, 이물 등이 흡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의 폭이 가변하게 마련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유입구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진 상태이고 도 17은 유입구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아진 상태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173)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형상의 슬릿(174)을 포함하되, 슬릿(174)의 폭(W)이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슬릿(174)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류 제어 장치는 슬릿(174)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확장 및 축소되는 가림판(175)을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175)이 최소로 축소되면 슬릿(174)의 폭(Wmax)이 최대로 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175)이 최대로 확장되면 슬릿(174)의 폭(Wmin)이 최소로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유입구(173)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유입구(173)를 통한 흡입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176)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들(177)이 모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들(177)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토출구(21)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 시에 저항이 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입에 필요한 동력, 즉 팬 회전수가 저감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의 또 다른 예를 도 4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유입구가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류 제어 장치의 유입구(178)는 원호 형상을 갖는 복수의 슬릿(179a,179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79a,179b)은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 슬릿(179a)과,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슬릿(179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 슬릿(179a)과, 외측 슬릿(179b)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흡입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하거나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슬릿(179a,179b)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슬릿은 3개 이상의 슬릿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슬릿(179a,179b)의 개수, 각각의 폭, 간격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7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송풍(Blowing)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에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 반면, 본 실시예의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에 양압을 형성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의 송풍량을 제어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방향의 제어는 토출 기류의 각도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즉, 토출 기류를 집중시킬 것인지 아니면 와이드하게 퍼지게 할 것인지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송풍할 시에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4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기류 제어 장치(450)가 작동하여 A1 방향의 일 측방에 공기를 송풍함으로써(B),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또는 토출 기류의 하측에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450)가 작동하지 않을 때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된다면, 기류 제어 장치(450)가 작동할 때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와이드하게 퍼져서 토출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450)는 토출구(21) 주변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 팬(460)과, 기류 제어팬(4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461)와, 기류 제어팬(46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470)를 포함한다. 안내 유로(470)는 토출구(21) 주변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구(472)와,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471)를 연결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0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50)는 전술한 제8실시예와 같이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송풍(Blowing)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제8실시예와 달리 기류 제어 장치(550)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또는 토출 기류의 상측에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550)가 작동하지 않을 때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와이드하게 퍼져서 토출된다면, 기류 제어 장치(550)가 작동할 때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50)는 토출구(21) 주변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 팬(560)과, 기류 제어팬(5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561)와, 기류 제어팬(56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570)를 포함한다. 안내 유로(570)는 토출구(21) 주변으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구(572)와,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571)를 연결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0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650)는 토출구(21) 주변에 공기를 송풍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20 및 도21의 기류 제어 장치가 토출 기류를 밀어서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것과 달리, 기류 제어 장치(650)는 토출 기류를 끌어 당겨서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구(21)의 주변에는 코안다 곡면부(614)가 형성되고, 기류 제어 장치(650)는 코안다 곡면부(614)의 접선 방향으로 보조 기류(X)를 토출시킬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614)는 유출구(672)를 통해 토출되는 보조 기류(X)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코안다 곡면부(614)의 표면에 밀착하여 따라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614)는 하부 하우징(13) 등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614)는 대략 토출구(21)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안다 곡면부(614)를 따라 흐르는 보조 기류(X)는 속도가 빨라지며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21)로 토출되는 주 기류는 보조 기류(X) 측으로 끌어 당겨져서 A1 방향에서 A2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유출구(672)를 통해 토출되는 보조 기류(X)의 방향은 코안다 곡면부(614)의 접선 방향이면서 동시에 대략적으로 주 기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보조 기류(X)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670)는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6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672)를 연결한다. 흡입구(20)와, 토출구(21)를 연결하는 유로를 메인 유로라고 한다면, 안내 유로(70)는 메인 유로에서 분기되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유출구(672)는 보조 기류(X)가 코안다 곡면부(614)의 접선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코안다 곡면부(614)의 근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출구(672)는 토출구(21)의 내주면(22)과, 코안다 곡면부(6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650)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또는 주 기류의 상측에서) 보조 기류(X)를 송풍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65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주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된다면, 기류 제어 장치(650)가 작동할 때 주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와이드하게 퍼져서 토출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650)는 보조 기류(X)를 생성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기류 제어 팬(660)과, 기류 제어 팬(6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6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제어 팬(660)은 메인 송풍팬(40)과는 별도로 마련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보조 기류(X)가 주 기류를 끌어당기는 힘을 크게 하기 위해 기류 제어 장치(650)는 보조 기류(X)의 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보조 기류(X)의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압력 감소가 커지므로 주 기류를 끌어당기는 힘이 커질 수 있다. 보조 기류(X)의 속도는 적어도 주 기류 보다는 고속일 수 있다.
안내 유로(670)의 유입구(671)는 토출구(21)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 제어 장치(650)는 토출구(2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보조 기류(X)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0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750)는 도 22의 기류 제어 장치(650)와 같이 토출구(21) 주변에 공기를 송풍하여 토출 기류를 끌어 당겨서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22의 기류 제어 장치(650)와 달리, 기류 제어 장치(750)는 토출구(21)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또는 주 기류의 하측에서) 보조 기류(X)를 송풍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75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주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와이드하게 퍼져서 토출된다면, 기류 제어 장치(750)가 작동할 때 주 토출 기류는 상대적으로 집중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구(21)의 주변에는 코안다 곡면부(714)가 형성되고, 기류 제어 장치(750)는 코안다 곡면부(714)의 접선 방향으로 보조 기류(X)를 토출시킬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714)는 유출구(772)를 통해 토출되는 보조 기류(X)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코안다 곡면부(714)의 표면에 밀착하여 따라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코안다 곡면부(714)는 대략 토출구(21)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코안다 곡면부(714)를 따라 흐르는 보조 기류(X)는 속도가 빨라지며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21)로 토출되는 주 기류는 보조 기류(X) 측으로 끌어 당겨져서 A1 방향에서 A2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유출구(772)를 통해 토출되는 보조 기류(X)의 방향은 코안다 곡면부(714)의 접선 방향이면서 동시에 대략적으로 주 기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보조 기류(X)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770)는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7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772)를 연결한다.
유출구(772)는 보조 기류(X)가 코안다 곡면부(714)의 접선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코안다 곡면부(714)의 근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출구(772)는 토출구(21)의 내주면(22)과, 코안다 곡면부(7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750)는 보조 기류(X)를 생성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기류 제어 팬(760)과, 기류 제어 팬(7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7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제어 팬(760)은 메인 송풍팬(40)과는 별도로 마련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1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850)는 도 22의 기류 제어 장치(650)와 같이 토출구(21) 주변에 공기를 송풍하여 토출 기류를 끌어 당겨서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22의 기류 제어 장치(650)와 달리, 기류 제어 장치(850)는 토출구(21)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보조 기류(X)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보조 기류(X)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30)를 거쳐 냉각된 공기 중에 일부는 안내 유로(870)를 거쳐 유출구(872)로 토출되어 보조 기류(X)를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토출구(21)로 토출되어 주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구(21)의 주변에는 코안다 곡면부(814)가 형성되고, 기류 제어 장치(850)는 코안다 곡면부(814)의 접선 방향으로 보조 기류(X)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보조 기류(X)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870)는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8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872)를 연결한다.
기류 제어 장치(850)는 보조 기류(X)를 생성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기류 제어 팬(860)과, 기류 제어 팬(8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8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요부를 도 21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950)는 도 23의 기류 제어 장치(750)와 같이 토출구(21) 주변에 공기를 송풍하여 토출 기류를 끌어 당겨서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23의 기류 제어 장치(750)와 달리, 기류 제어 장치(950)는 토출구(21)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보조 기류(X)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보조 기류(X)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열교환기(30)의 상류 측 공기 중에 일부는 안내 유로(970)를 거쳐 유출구(972)로 토출되어 보조 기류(X)를 형성하고, 나머지 일부는 토출구(21)로 토출되어 주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구(21)의 주변에는 코안다 곡면부(914)가 형성되고, 기류 제어 장치(950)는 코안다 곡면부(914)의 접선 방향으로 보조 기류(X)를 토출시킬 수 있다.
보조 기류(X)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970)는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9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972)를 연결한다.
기류 제어 장치(950)는 보조 기류(X)를 생성하도록 공기를 송풍하는 기류 제어 팬(960)과, 기류 제어 팬(9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9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200,300,400,500,600,700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 하우징 14 : 코안다 곡면부
15 : 그릴 16 : 드레인 트레이
20 : 흡입구 21 : 토출구
30 : 열교환기 31 : 헤더
32 : 튜브 40 : 송풍팬
41 : 송풍 모터 50 : 기류 제어 장치
60 : 기류 제어팬 61 : 기류 제어 모터
62 : 팬 케이스 70 : 안내 유로
70a,70b,70c : 제1,2,3유로 71 : 유입구
72 : 유출구 90 : 입력부
A1,A2 : 토출 기류

Claims (40)

  1.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키는 상기 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흡입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흡입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 기류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원형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원형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형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다각형 형상을 갖고,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곡선 형상을 갖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8. 제1항에 있어서,
    벽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19.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0.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류 제어팬; 및
    상기 기류 제어팬이 흡입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구 주변의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연결하는 안내 유로;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팬을 구동시키는 기류 제어 모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모터의 구동 여부 및 속도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팬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토출구의 주변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코안다 곡면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반대측 토출구 주변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형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폭이 가변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릿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0.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송풍량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송풍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4. 흡입구와 토출구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메인 유로 상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와 열교환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메인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고 보조 기류를 토출시키는 안내 유로를 갖는 기류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주 기류의 방향을 상기 보조 기류 측으로 전환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보조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 제어 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주변에는 상기 보조 기류를 안내하는 코안다 곡면부가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의 유출구는 상기 토출구의 내주면과 상기 코안다 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류는 상기 주 기류 보다 고속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50160750A 2015-05-07 2015-11-1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131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26A KR101707618B1 (ko) 2015-05-07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15/145,199 US9557070B2 (en) 2015-05-07 2016-05-03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U2016259152A AU2016259152B2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7557403A JP6488409B2 (ja) 2015-05-07 2016-05-04 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7162998.3A EP3203157A1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7162999.1A EP3258178B1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indoor unit
EP18210273.1A EP3483514B1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ES16168418.8T ES2652016T3 (es) 2015-05-07 2016-05-04 Acondicionador de aire
BR112017023237-5A BR112017023237B1 (pt) 2015-05-07 2016-05-04 Aparelho de ar condicionado
EP16168418.8A EP3091296B1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RU2017134814A RU2667590C1 (ru) 2015-05-07 2016-05-04 Кондиционер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MYPI2017704073A MY184543A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6/004722 WO2016178521A1 (en) 2015-05-07 2016-05-04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810373937.1A CN108692367B (zh) 2015-05-07 2016-05-09 空调
CN201710134049.XA CN106907771B (zh) 2015-05-07 2016-05-09 空调
CN201910207155.5A CN109899891B (zh) 2015-05-07 2016-05-09 空调
CN201610302652.XA CN106123112B (zh) 2015-05-07 2016-05-09 空调
US15/389,663 US10126002B2 (en) 2015-05-07 2016-12-23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389,685 US9995494B2 (en) 2015-05-07 2016-12-23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70015440A KR101988318B1 (ko) 2015-05-07 2017-02-03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ZA2017/06577A ZA201706577B (en) 2015-05-07 2017-09-29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992,478 US10203121B2 (en) 2015-05-07 2018-05-30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180069544A KR102445160B1 (ko) 2015-05-07 2018-06-18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69558A KR102379031B1 (ko) 2015-05-07 2018-06-18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112445A KR102590118B1 (ko) 2015-05-07 2022-09-0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809 2015-05-07
KR20150063809 2015-05-07
KR1020150148190 2015-10-23
KR1020150148190A KR20160131841A (ko) 2015-05-07 2015-10-23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47A true KR20160131847A (ko) 2016-11-16

Family

ID=5754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50A KR20160131847A (ko) 2015-05-07 2015-11-16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3121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516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13469B1 (ko) 공기조화기
US11708979B2 (en) Air conditioner
CN108291727B (zh) 空调的室内机
JP6429204B2 (ja) 空気調和機
KR201601318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13184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672881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US20230204227A1 (en) Air conditioner
KR20230096515A (ko) 공기조화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JP2010084690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