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850B1 -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 Google Patents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850B1
KR101221850B1 KR1020120029911A KR20120029911A KR101221850B1 KR 101221850 B1 KR101221850 B1 KR 101221850B1 KR 1020120029911 A KR1020120029911 A KR 1020120029911A KR 20120029911 A KR20120029911 A KR 20120029911A KR 101221850 B1 KR101221850 B1 KR 10122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mpeller
fixed
chamb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2002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850B1/ko
Priority to JP2015501556A priority patent/JP5895282B2/ja
Priority to US14/377,505 priority patent/US10005049B2/en
Priority to PCT/KR2012/009542 priority patent/WO2013141461A1/ko
Priority to CN201280071741.8A priority patent/CN10420338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850B1/ko
Priority to TW102110233A priority patent/TWI48620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co-operating with deflectors or baffles fixed to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7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involving high-viscosity liquids, e.g. asphalt
    • B01F23/471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involving high-viscosity liquids, e.g. asphalt using a very viscous liquid and a liquid of low 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7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 B01F27/272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ax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e.g. the stator rotor system formed by conical or cylindrical surfaces
    • B01F27/2721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ax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e.g. the stator rotor system formed by conical or cylindrical surfaces provided with intermesh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3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movable by mechanical means, e.g. hoisting systems, grippers or lift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액상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내측에 액상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챔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모터; 샤프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어 액상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각각은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회전임펠러; 및 회전임펠러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챔버의 내측면에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되고, 각각은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2 블레이드가 회전임펠러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1 블레이드가 회전시 제 2 블레이드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챔버를 통과하는 액상물에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고정임펠러를 포함하도록 한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물에 대한 분산이나 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액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액상물에 대해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처리가 필요한 액상물의 유량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ONE-PASS TYPE DISPERSING AND EMULS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물에 대한 분산이나 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액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액상물에 대해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처리가 필요한 액상물의 유량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화장품, 잉크, 페인트, 접착제, 코팅제, 정밀화학 및 나노 신소재와 첨단 전자재료에 이르기까지 기초 소재산업은 정밀한 파티클(Particle) 분산과 유화 등 세밀성과 균일성이 완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될 정도로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형식의 분산 및 유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산 및 유화 장치는 전단력을 액상물에 가하여 분산(Dispersion)이나 유화(Emulsifying)가 일어나도록 하여야 하는데, 고압식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인 경우, 압력을 제트류로 변환하여 벽에 충돌시키거나 반전시킴으로써 액상물와 액상물 사이에서 제트류의 운동 에너지를 전단 에너지로 변환시키도록 하여 분산이나 유화를 행한다.
종래의 호모게나이저 타입의 분산 및 유화 장치는 제트류를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압력차나 속도차가 존재하여 액상물 안에 용해되어 있는 공기나 계 안에 잔류했던 공기가 버블(bubbe)을 발생시켜서 거칠고 큰 입자가 발생하도록 하고, 단일 패스로는 원하는 분산이나 유화 효과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액상물을 여러 번에 걸쳐서 순환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분산이나 유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호모게나이저 타입의 분산 및 유화 장치는 자흡(Self-suction) 방식 즉, 회전에 따른 압력의 차이로 인해 흡입과 배출이 일어나 순환하는 타입이며, 이런 자흡 방식은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야 하므로 유동성을 갖는 저점도(Low viscosity) 물질에만 적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점도(High viscosity) 물질의 유화에 적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공동현상(Cavitation)을 유발하여 분산이나 유화의 대상인 액상물의 유량 조절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물에 대한 분산이나 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액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액상물에 대해서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처리가 필요한 액상물의 유량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액상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내측에 액상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모터; 상기 샤프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어 액상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각각은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회전임펠러; 및 상기 회전임펠러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되고, 각각은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2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임펠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블레이드가 회전시 상기 제 2 블레이드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액상물에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고정임펠러를 포함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챔버가 하방을 향하도록 샤프트커버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샤프트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챔버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커플링이 상기 샤프트커버 내에 설치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내측에 상기 샤프트가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임펠러가 상하로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임펠러가 내주면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되며, 하단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단 측부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상기 고정임펠러가 적층되기 위한 적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공간의 일측에 상기 적층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가 상기 고정임펠러를 지지하도록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임펠러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되,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임펠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일측의 끝단에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임펠러는,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삽입되도록 링형태를 가지는 링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 2 블레이드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임펠러는, 상기 제 2 블레이드에 포개지는 상기 제 1 블레이드의 끝단이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2 블레이드와 내주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액상물을 경로를 따라 1회 통과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뛰어난 집중 능력과 효율성으로 인해 필요한 분산이나 유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자체 흡입력이 아닌 전단에 설치된 펌프에 의해 밀려오는 액상물에 대하여 고속 분산만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저점도의 액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액상물에 대해서도 처리가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여 처리가 필요한 액상물의 유량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임펠러를 다양하게 교환해서 사용하거나 추가 및 제거함으로써 용도에 맞도록 다목적(Multi-function) 사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정밀한 간극(Clearance)을 유지하면서 고속 회전이 가능하여 기포를 가진 액상물의 처리를 통한 탈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액상물에 기포 투입이 가능하다.
여섯째, 본 발명은 다단계, 예컨대 8단계 이상의 분산이나 유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용도 및 사용조건에 따라 다단계의 정밀 분산이 가능하고, 기존 공정의 여러 대 장비를 설치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100)는 챔버(110)와, 샤프트(120)와, 모터(130)와, 회전임펠러(140)와, 고정임펠러(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액상물에 대한 분산(Dispersion)이나 유화(Emulsifying)를 수행하여 토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액상물로는 소스나 마요네즈, 화장품 크림, 치약, 접착제, 잉크나 페인트의 안료, 필름코팅제, 각종 증점제, 발포재, 2차 전지 용액, 반도체웨이퍼의 화학적 폐처리 용액, 친환경 리사이클링 용액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친환경 리사이클링 용액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100)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작은 입자를 만들어 화학적 환경처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100)는 챔버(110)와 모터(130) 등의 설치를 위하여 프레임(16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프레임(160)은 일례로 챔버(110)가 하방을 향하도록 샤프트커버(161)에 의해 고정되고, 모터(130)가 샤프트커버(161)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16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모터(130)의 축(131)과 챔버(110)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샤프트(120)를 연결시키는 커플링(132; 도 3에 도시)이 샤프트커버(161) 내에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모터(130)나 기타 구성부품들이 보호커버(163) 등에 의해 덮어질 수도 있다.
챔버(110)는 액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111)와 액상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12)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내측에 액상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내측에 샤프트(120)가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회전임펠러(140)가 상하로 배열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고정임펠러(150)가 내주면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하단에 투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단 측부에 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입구(111)에는 분산이나 유화를 위한 액상물이 공급되기 위한 투입라인(10)이 연결될 수 있고, 토출구(112)에는 챔버(110) 내에서 분산이나 유화를 거친 액상물을 외부의 저장탱크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토출라인(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투입구(111)에는 외부에 설치된 액상물용 펌프의 펌핑에 의해 액상물이 투입라인(10)을 통해서 공급됨으로써 토출구(112)를 통한 액상물의 토출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챔버(110)는 후술하게 될 고정임펠러(150)가 적층되기 위한 적층공간(113)이 형성될 수 있고, 적층공간(113)의 일측, 예컨대 하단에 적층공간(113)을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114)가 고정임펠러(150)를 지지하도록 볼트(115)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14)의 착탈에 의해 고정임펠러(150)의 교체 등을 가능하도록 한다.
샤프트(120)는 챔버(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챔버(1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커플링(132)에 의해 모터(130)의 축(13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120)는 챔버(110)로부터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챔버(110)나 프레임(160)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설치될 수 있고, 챔버(110)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챔버(110)와의 결합부위에 오링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모터(130)는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도록 프레임(160)에 설치되고, 프레임(160) 또는 그 외부에 설치된 제어패널(170; 도 1에 도시)의 조작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샤프트(120)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제어패널(170; 도 1에 도시)의 조작에 의해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임펠러(140)는 샤프트(120)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어 액상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은 고정임펠러(15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141)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된다.
회전임펠러(140)는 샤프트(120)의 일측, 예컨대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되, 스페이서(143)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143)는 회전임펠러(140)와는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회전임펠러(14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임펠러(140)는 샤프트(120)와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하여 제 1 블레이드(141)가 외주면에 다수로 형성되는 결합부(142; 도 4에 도시)를 가지되, 이러한 결합부(142)는 샤프트(120)가 삽입되는 홀이 샤프트(120)로부터 겉돌지 않기 위한 단면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예로서 핀에 의해 샤프트(120)가 고정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별도의 링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샤프트(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샤프트(120)는 회전임펠러(1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121)이 일측의 끝단, 예컨대 하단에 나사 결합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임펠러(150)는 회전임펠러(140)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챔버(110)의 내측면에 샤프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은 고정임펠러(15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2 블레이드(151)가 회전임펠러(140)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 1 블레이드(141)가 회전시 제 2 블레이드(151)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챔버(110)를 통과하는 액상물에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고정임펠러(150)는 챔버(110)의 내측면에 삽입되도록 링형태를 가지는 링부재(152)의 내주면을 따라 제 2 블레이드(151)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블레이드(151)가 제 1 블레이드(141)와의 간격을 2mm 정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블레이드(151)에 포개지는 제 1 블레이드(141)의 끝단이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제 2 블레이드(151)와 내주면 사이에 단턱(15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임펠러(150)와 회전임펠러(140)간의 액상물에 대한 전단력의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투입구(111)의 전단에 펌프를 설치하고, 모터(130)의 구동과 함께 펌프의 펌핑력을 이용하여 액상물을 투입구(111)로 투입하면, 투입구(111)로 투입된 액상물이 제 2 블레이드(151)간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다단으로 통과하면서, 회전하는 회전임펠러(140)의 제 1 블레이드(141)에 의해 전단력을 받아 분산 내지 유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 블레이드(141)와 제 2 블레이드(151)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이들을 통과하는 액상물이 집중적이면서도 고효율적으로 분산이나 유화되고, 나아가서 파티클 감소를 가져오는데, 이러한 액상물은 챔버(110) 내측 경로를 따라 1회 통과하는 그 자체 만으로도 필요한 분산이나 유화를 만족시키며, 분산이나 유화를 마친 액상물은 토출구(112)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흡입력이 아닌 전단에 설치된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물에 대하여 고속 분산만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저점도의 액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액상물에 대해서도 처리가 가능하고,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여 처리가 필요한 액상물의 유량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펠러(140,150)를 다양하게 교환해서 사용하거나 추가 및 제거함으로써 용도에 맞는 다목적(Multi-function)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밀한 간극(Clearance)을 유지하면서 고속 회전이 가능하여 기포를 가진 액상물의 처리를 통한 탈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액상물에 기포의 투입이 가능하며, 회전임펠러(140)와 고정임펠러(150)의 적층에 의해 다단계, 예컨대 8단계 이상의 분산이나 유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용도 및 사용조건에 따라 다단계의 정밀 분산이 가능하고, 기존 공정의 여러 대 장비를 설치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투입라인 110 : 챔버
111 : 투입구 112 : 토출구
113 : 적층공간 114 : 커버
115 : 볼트 120 : 샤프트
121 : 캡 130 : 모터
131 : 축 132 : 커플링
140 : 회전임펠러 141 : 제 1 블레이드
142 : 결합부 143 : 스페이서
150 : 고정임펠러 151 : 제 2 블레이드
152 : 링부재 153 : 단턱
160 : 프레임 161 : 샤프트커버
162 : 고정브라켓 163 : 보호커버
170 : 제어패널

Claims (8)

  1. 액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액상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내측에 액상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모터;
    상기 샤프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어 액상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은 고정임펠러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회전임펠러; 및
    상기 회전임펠러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각각은 고정임펠러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2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임펠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블레이드가 회전시 상기 제 2 블레이드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액상물에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고정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가 하방을 향하도록 샤프트커버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샤프트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의 축과 상기 챔버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를 연결시키는 커플링이 상기 샤프트커버 내에 설치되도록 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내측에 상기 샤프트가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임펠러가 상하로 배열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임펠러가 내주면에 상하로 적층되도록 고정되며, 하단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단 측부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고정임펠러가 적층되기 위한 적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공간의 일측에 상기 적층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가 상기 고정임펠러를 지지하도록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임펠러는,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되, 스페이서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임펠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일측의 끝단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임펠러는,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삽입되도록 링형태를 가지는 링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 2 블레이드가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임펠러는,
    상기 제 2 블레이드에 포개지는 상기 제 1 블레이드의 끝단이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2 블레이드와 내주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KR1020120029911A 2012-03-23 2012-03-23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KR10122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911A KR101221850B1 (ko) 2012-03-23 2012-03-23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JP2015501556A JP5895282B2 (ja) 2012-03-23 2012-11-13 ワンパスタイプの分散及び油化装置
US14/377,505 US10005049B2 (en) 2012-03-23 2012-11-13 One-pass type dispersing and emulsifying apparatus
PCT/KR2012/009542 WO2013141461A1 (ko) 2012-03-23 2012-11-13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CN201280071741.8A CN104203383B (zh) 2012-03-23 2012-11-13 一次通过式分散乳化装置
TW102110233A TWI486207B (zh) 2012-03-23 2013-03-22 單程式分散及乳化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911A KR101221850B1 (ko) 2012-03-23 2012-03-23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850B1 true KR101221850B1 (ko) 2013-01-15

Family

ID=4784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911A KR101221850B1 (ko) 2012-03-23 2012-03-23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5049B2 (ko)
JP (1) JP5895282B2 (ko)
KR (1) KR101221850B1 (ko)
CN (1) CN104203383B (ko)
TW (1) TWI486207B (ko)
WO (1) WO20131414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17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
WO2016178518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의 설치 운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296B1 (ko) 2000-06-27 2003-03-10 조용래 분산장치
KR100499199B1 (ko) 2003-03-20 2005-07-01 조용래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갖는 바스켓 형태의 분산장치
KR100517025B1 (ko) 2003-11-10 2005-09-26 조용래 바스켓 형태의 분산장치
KR100570330B1 (ko) 2002-06-05 2006-04-12 미츠루 나카노 교반장치 및 이 교반장치를 사용한 분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3412A (en) * 1932-04-23 1936-03-10 Kraft Phenix Cheese Corp Emulsifying apparatus
US2115123A (en) * 1937-07-20 1938-04-26 Gas Fuel Corp Apparatus for making emulsified compounds and colloidal compounds
JPS58216726A (ja) * 1982-06-10 1983-12-16 Toshio Araki エマルジヨン流体の製造装置
US5670087A (en) * 1985-04-24 1997-09-23 Intevep, S.A. Method of preparing HIPR bituminous emulsions
JPH01263012A (ja) * 1988-04-14 1989-10-1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連続式二液混合装置
JPH0660433U (ja) * 1993-01-22 1994-08-23 三井鉱山株式会社 乳化分散機
JP2781162B2 (ja) * 1995-10-09 1998-07-30 ブラザー精密工業株式会社 生ゴミ処理装置における羽根の支持構造
JPH1130337A (ja) * 1997-07-08 1999-02-02 Toyo Denki Kogyosho:Kk 水中機械の軸封装置
JP4808842B2 (ja) * 1997-08-18 2011-11-02 ジーイー・ヘルスケア・アクスイェ・セルスカプ 小胞の調製方法
CN2389711Y (zh) * 1999-08-31 2000-08-02 高启仁 节能乳化机
JP2001179084A (ja) * 1999-12-24 2001-07-03 Akira Suzuki 液体処理装置
JP2003181279A (ja) * 2001-12-19 2003-07-02 Akira Suzuki 液体反応装置
DE10357520A1 (de) * 2003-12-08 2005-07-07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Rotationsscherfilter
FR2871711B1 (fr) * 2004-06-18 2006-09-22 Pcm Pompes Sa Dispositif de melange dynamique en ligne
JP2006159043A (ja) * 2004-12-03 2006-06-22 Ricoh Co Ltd 回転型マイクロチャンネル乳化方法、これを実施する装置、作成された乳化懸濁液および微粒子
KR101004016B1 (ko) * 2008-09-03 2010-12-31 주식회사 한국에너지관리 유화장치
CN201287038Y (zh) * 2008-10-29 2009-08-12 湖南金能科技股份有限公司 工业用立式乳化器
SG163454A1 (en) * 2009-01-30 2010-08-30 Neftech Pte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of mixed fuels
KR101832519B1 (ko) * 2010-05-05 2018-04-13 바스프 에스이 용융 유화에 의한 미립자 현탁액의 제조 방법
JP2013063378A (ja) * 2011-09-16 2013-04-11 Oji Holdings Corp 水性発泡液の調製装置及び調製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296B1 (ko) 2000-06-27 2003-03-10 조용래 분산장치
KR100570330B1 (ko) 2002-06-05 2006-04-12 미츠루 나카노 교반장치 및 이 교반장치를 사용한 분산장치
KR100499199B1 (ko) 2003-03-20 2005-07-01 조용래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갖는 바스켓 형태의 분산장치
KR100517025B1 (ko) 2003-11-10 2005-09-26 조용래 바스켓 형태의 분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17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
WO2016178518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의 설치 운용방법
US10406491B2 (en) 2015-05-06 2019-09-10 K&S Company Inc. Impeller-structured system for rotor-rotor-type dispersion and emulsif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5282B2 (ja) 2016-03-30
JP2015516288A (ja) 2015-06-11
US10005049B2 (en) 2018-06-26
TWI486207B (zh) 2015-06-01
WO2013141461A1 (ko) 2013-09-26
CN104203383A (zh) 2014-12-10
CN104203383B (zh) 2015-12-09
US20150009777A1 (en) 2015-01-08
TW201338858A (zh)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04661A1 (en) Rapid stirring machine
KR101658410B1 (ko) 고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US20200238234A1 (en) Stirring device
EP3020552B1 (en) Ink cleaning device and ink cleaning method of flexographic press
KR101221850B1 (ko)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
KR101405107B1 (ko)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CA2587174C (en) Paint producing method and paint producing system
KR100769294B1 (ko) 교반장치, 교반장치에 부착되는 순환세정장치 및순환세정장치를 구비하는 순환라인시스템
KR101455629B1 (ko) 원 패스 타입 분산유화장치
CN204276075U (zh) 卧式砂磨机
CN204841831U (zh) 自动循环式纳米砂磨机
CN203955066U (zh) 定、转子轴向间隙可调型直连卧式高剪力分散均质机
WO2017088466A1 (zh) 印刷电路板湿化学处理设备和印刷电路板湿化学处理方法
RU2296007C1 (ru) Аппарат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химических реакций и массообменных процессов в гетерогенных системах
KR101615562B1 (ko)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KR101707814B1 (ko) 저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KR101006981B1 (ko) 컴파운드 혼합 및 주입 장치
CN107998967B (zh) 一种纳米级真空乳化搅拌机
JP2013163184A (ja) 混合方法、混合装置、及び混合流体
CN206304979U (zh) 消泡器及淋涂机
CN210229664U (zh) 一种用于制备复合维生素微乳的乳化设备
CN208130849U (zh) 一种搅拌式乳化机
KR102285949B1 (ko) 전동식 스프레이 장치
KR100769298B1 (ko) 교반장치, 교반장치에 부착되는 순환세정장치 및순환세정장치를 구비하는 순환라인시스템
JP2017113687A (ja) 気液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