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107B1 -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 Google Patents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107B1
KR101405107B1 KR1020120140662A KR20120140662A KR101405107B1 KR 101405107 B1 KR101405107 B1 KR 101405107B1 KR 1020120140662 A KR1020120140662 A KR 1020120140662A KR 20120140662 A KR20120140662 A KR 20120140662A KR 101405107 B1 KR101405107 B1 KR 10140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shear
shaft
projection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2014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7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involving high-viscosity liquids, e.g. asph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7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 B01F27/271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rad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 B01F27/2712Mixers with stator-rotor systems, e.g. with intermeshing teeth or cylinders or having orifices with means for mov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radially between the surfaces of the rotor and the stator provided with ribs, ridges or grooves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Mixing paints or paint ingredients, e.g. pigments, dyes, colours, lacquers or enam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6Mixing of ingredients for adhesives or glues; Mixing adhesives and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유화장치의 챔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 전단돌기가 구비된 스테이터와 회전 전단돌기가 구비된 로터를 복수의 층으로 축설하여 회전 전단돌기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와 상대적으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한 분산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IMPELLER FOR DISPERSING AND EMULS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산유화장치의 챔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 전단돌기가 구비된 스테이터와 회전 전단돌기가 구비된 로터를 복수의 층으로 축설하여 회전 전단돌기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와 상대적으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한 분산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화장품, 잉크, 페인트, 접착제, 코팅제, 정밀화학 및 나노 신소재와 첨단 전자재료에 이르기까지 기초 소재산업은 정밀한 분산( DISPERSION)과 유화(EMULSIFYING)가 완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현재 분산유화를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분산유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분산유화장치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29911호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액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와 액상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가 양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내측에 액상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모터; 상기 샤프트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고정되어 액상물의 이동경로에 설치되고, 각각은 가장자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회전임펠러; 및 상기 회전임펠러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측면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마련되고, 각각은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는 제 2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임펠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블레이드가 회전시 상기 제 2 블레이드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챔버를 통과하는 액상물에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고정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 패스 타입 분산 및 유화 장치는, 회전임펠러의 제 1 블레이드와 고정임펠러의 제 2 블레이드의 구조상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을 나노(NANO) 단위로 처리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어, 해당기술분야에서는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을 나노단위로 처리할 수 있는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산유화장치의 챔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 전단돌기가 구비된 스테이터와 회전 전단돌기가 구비된 로터를 복수의 층으로 축설하여 회전 전단돌기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와 상대적으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한 분산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분산유화장치의 챔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에 복수의 단으로 적층하여 축설되면서 샤프트의 회전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서, 중심에 천공 형성되는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와, 내부의 함몰 안치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고정 전단돌기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적층 설치된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에 축설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한쪽 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스테이터와 결합시 스테이터의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 사이에 놓이도록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와 상대적으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하여 분산유화하는 회전 전단돌기가 구비된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또한, 로터의 중심에는 샤프트에 축설 가능하도록 회전 전단돌기가 형성된 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테이터와의 결합시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공축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전단돌기는 안쪽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에서 바깥쪽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 쪽으로 갈수록 고정 전단돌기의 끝단 면이 커지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전단돌기는 양 측면이 스테이터의 중심을 향하는 “
Figure 112012101119617-pat00001
”와 같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전단돌기는 안쪽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에서 바깥쪽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 쪽으로 갈수록 회전 전단돌기의 끝단 면이 커지면서 저면에서 볼 때 로터의 중심과 회전 전단돌기의 안쪽 중심을 연결한 선상과 예각을 이루도록 한쪽으로 틀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터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융기된 환상의 돌출턱이 형성되고, 돌출턱을 대응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스테이터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함몰된 환상의 끼움부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에 의하면, 분산유화장치의 챔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에 고정 전단돌기가 구비된 스테이터와 회전 전단돌기가 구비된 로터를 복수의 층으로 축설하여 회전 전단돌기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와 상대적으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한 분산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유화대상물이 경로를 따라 1회 통과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분산유화대상물을 원화는 상태로 분산유화할 수 있고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여 분산유화대상물의 유량을 원하는 대로 처리할 수 있으며 다단계의 분산이나 유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용도 및 사용 조건에 따라 정밀 분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 공정의 여러 대의 장비를 설치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전단돌기의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는 분산유화장치(1)의 챔버(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3)에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어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하여 분산유화를 수행하여 챔버(2)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유화대상물은 소스, 마요네즈, 화장품의 크림, 치약, 접착제, 잉크나 페인트의 안료, 필름코팅제, 각종 증점제, 발포제, 2차 전지 용액, 반도체웨이퍼의 화학적 폐처리 용액, 친환경 리사이클링 용액 등이다. 친환경 리사이클링 용액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에 의해 물리적으로 작은 입자를 만들어 화학적 환경처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는, 고정날개인 스테이터(10)와 회전날개인 로터(20)가 샤프트(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층으로 축설된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터(10)는, 챔버(2)에 부합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분산유화장치(1)의 챔버(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3)에 복수의 층으로 축설된다. 이러한 스테이터(10)는 도 1과 같이 최상단의 스테이터(10)와 최하단의 스테이터(10)가 챔버(2)의 단부 또는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샤프트(3)의 회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테이터(10)는 중앙에 분산유화대상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11)가 천공형성된다. 따라서, 챔버(2) 내부로 유입된 분산유화대상물은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11)를 통해 복수의 층을 이루는 스테이터(10) 내부로 유입된다.
스테이터(10)의 내부는 로터(20)가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함몰된 바닥의 안치면(15)에는 스테이터(10)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전단돌기(12)가 형성된다. 고정 전단돌기(12)는 안치면(15)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고정 전단돌기(12)는 스테이터(10)의 내부를 벗어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12)에서 바깥쪽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12) 쪽으로 갈수록 고정 전단돌기(12)의 끝단 면(121)은 점점 커지고, 고정 전단돌기(12)의 양 측면은 스테이터(10)의 중심을 향한다. 고정 전단돌기(12)의 형상은 “
Figure 112012101119617-pat00002
”와 같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상에는 안치면(15)의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11) 가장자리와 이 가장자리와 중심이 동일하면서 더 큰 원주 등 2개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고정 전단돌기(1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한 분산유화 정도에 따라 2개 그 이상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고정 전단돌기(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10)의 내부에는 로터(2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 전단돌기(12)의 끝단 면(121)은 스테이터(10)의 상면보다 낮도록 하고, 스테이터(10)의 고정 전단돌기(12)와 로터(20)의 회전 전단돌기(22)는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터(10)를 견고하게 쌓을 수 있도록 스테이터(10)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융기된 환상의 돌출턱(1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스테이터(10) 저면 가장자리에는 돌출턱(13)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턱(13)에 부합하는 함몰된 환상의 끼움부(14)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테이터(10) 상면의 돌출턱(13)에 다른 스테이터(10) 저면의 끼움부(14)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스테이트(10)를 견고하게 쌓을 수 있다.
로터(20)는 다층으로 적층된 스테이터(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3)에 축설되는 것으로서 샤프트(3)와 함께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로터(20)는 스테이터(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한쪽 면의 중심에는 샤프트(3)에 축설 가능한 중공축(21)이 회전 전단돌기(22)보다 높게 한쪽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중공축(21)은 스테이터(10)와의 결합시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11)의 중심에 위치된다.
회전 전단돌기(22)의 반대편인 로터(20)의 다른 쪽 면은 스테이터(10) 내부에 결합시 스테이터(10) 상면에 부합하도록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중공축(21)을 제외한 한쪽 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22)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회전 전단돌기(22)는 스테이터(10)와 로터(20)의 결합시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22)가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 6에는 로터(20)의 중심으로부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점점 커지는 3개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회전 전단돌기(22)가 돌출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분산유화대상물의 분산유화 정도에 따라 3개 이상의 동심원을 이루도록 회전 전단돌기(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회전 전단돌기(22) 역시 안쪽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22)에서 바깥쪽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22) 쪽으로 갈수록 회전 전단돌기(22)의 끝단 면(221)이 점점 커진다. 그리고 회전 전단돌기(22)는 로터(20)의 중심과 회전 전단돌기(22) 중심을 연결한 선상(23)에서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전단돌기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전단돌기(22)는 로터(20)를 저면에서 보았을 때 로터(20) 중심과 회전 전단돌기(22)의 안쪽 중심을 연결한 선상(23)으로부터 회전 전단돌기(22)가 로터(20)의 한쪽 방향으로 틀어지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회전 전단돌기(22)는 도 7과 같이 로터(20) 중심과 회전 전단돌기(22)의 안쪽 중심을 연결한 선상(23)과 예각(θ)을 이루도록 회전방향으로 틀어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전단돌기(22)는 로터(20) 중심 및 회전 전단돌기(22)의 안쪽 중심을 연결한 선상(23)과 회전 전단돌기(22)의 중심선(24)이 30도 내지 45도의 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회전 전단돌기(22)가 기울어진 상태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할 경우 회전 전단돌기(22)가 기울어지지 않고 로터(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될 때보다 분산유화대상물의 저항은 감소되고 반면 전단력은 높아져 분산유화에 대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 전단돌기(22)의 길이는 로터(20)가 스테이터(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전단돌기(12)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터(10)와 로터(20)의 결합시 회전 전단돌기(22)의 끝단 면(221)은 스테이터(10)의 안치면(15)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회전이 자유롭도록 스테이터(10)의 안치면(15)에 밀착하는 것보다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테이터(10)를 복수의 층으로 쌓을 시 스테이터(10) 간에 밀착되는 부위에는 오링, 패킹 등을 끼워 압축결합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결합된 스테이터(10)의 밀착부위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사유화장치용 임펠러는, 분산유화장치(1)의 챔버(2)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3)에 고정 전단돌기(12)가 구비된 스테이터(10)와 회전 전단돌기(22)가 구비된 로터(20)를 복수의 층으로 축설하여 회전 전단돌기(22)가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12)와 상대적으로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함으로써, 분산유화대상물에 대한 분산유화의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고 저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구동과 함께 펌프의 펌핑력을 이용하여 분산유화대상물을 투입구(4)로 투입한다. 투입구(4)를 통해 챔버(2) 내부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은 최하단에 설치된 스테이터(10)의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11)를 통해 복수의 층으로 결합된 스테이터(10)의 고정 전단돌기(12)와 로터(20)의 회전 전단돌기(22) 간격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산유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스테이터(10)를 복수의 층으로 쌓을 시 스테이터(10) 상면에 형성된 환상의 돌출턱(13)에 다른 스테이터(10) 저면에 형성된 환상의 끼움부(14)를 대응 결하여 쌓는 방식으로 스테이터(10)의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스테이터(10) 간에 견고한 결합상태가 이루어진다.
도 3과 같이 로터(20)의 회전 전단돌기(22)는 동심원을 이루는 스테이터(10)의 고정 전단돌기(12) 사이에 위치되고,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12)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전단돌기(12)의 간격 사이를 통과해 로터(20) 쪽으로 유입되는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하여 분산유화대상물을 분산유화한다.
여기서, 분산유화대상물은 복수의 동심원을 이루고 있는 로터(20)의 회전 전단돌기(22)를 통과하면서 수차례에 걸쳐 분산유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분산유화장치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시어링(SHEARING) 효과가 높아 유동성이 낮은 고점도의 분산유화대상물을 미크론 단위는 물론 나노 단위로 분산유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7과 같이 회전 전단돌기(22)가 로터(20)의 중심으로부터 로터(20)의 회전방향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회전 전단돌기(22)가 기울어지지 않고 로터(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될 때보다 분산유화대상물이 회전 전단돌기(22)에 부딪칠 때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전단력은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 전단돌기(12)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전단돌기(22)에 의해 이들을 통과하는 분산유화대상물을 집중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분산유화할 수 있다.
복수의 층을 이루는 스테이터(10)와 로터(20)를 통과하면서 나노 단위로 분산유화가 이루어진 분산유화대상물은 최종 토출구(5)를 통해 챔버(2) 밖으로 배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분산유화대상물이 경로를 따라 1회 통과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분산유화대상물을 원화는 상태로 분산유화할 수 있으며 공동현상을 방지하여 분산유화대상물의 유량을 원하는 대로 처리할 수 있고, 다단계의 분산이나 유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용도 및 사용조건에 따라 정밀 분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 공정의 여러 대의 장비를 설치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분산유화장치 2:챔버 3:샤프트
4:투입구 5:토출구 10:스테이터
11: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 12:고정 전단돌기 13:돌출턱
14:끼움부 15:안치면 20:로터
21:중공축 22:회전 전단돌기 23:선상
24:중심선 121:끝단 면 221:끝단 면
θ:예각

Claims (6)

  1. 분산유화장치의 챔버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샤프트에 복수의 단으로 적층하여 축설되면서 샤프트의 회전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서, 중심에 천공 형성되는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와, 내부의 함몰 안치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는 고정 전단돌기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적층 설치된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샤프트에 축설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한쪽 면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스테이터와 결합시 스테이터의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 사이에 놓이도록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는 고정 전단돌기와 상대적으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하여 분산유화하는 회전 전단돌기가 구비된 로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분산유화장치 하단의 투입구를 통해 챔버 내부로 투입된 분산유화대상물은 최하단에 설치된 스테이터의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를 통해 복수의 층으로 결합된 스테이터의 고정 전단돌기와 로터의 회전 전단돌기 간격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산유화가 이루어지고 분산유화대상물은 최종 토출구를 통해 챔버 밖으로 배출되고,
    로터의 중심에는,
    샤프트에 축설 가능하도록 회전 전단돌기가 형성된 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테이터와의 결합시 분산유화대상물 유입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공축이 구비되며,
    고정 전단돌기는,
    안쪽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에서 바깥쪽 동심원을 이루는 고정 전단돌기 쪽으로 갈수록 고정 전단돌기의 끝단 면이 커지는 형상이고,
    고정 전단돌기는,
    양 측면이 스테이터의 중심을 향하는 “
    Figure 112013115369474-pat00003
    ”와 같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 전단돌기는,
    안쪽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에서 바깥쪽 동심원을 이루는 회전 전단돌기 쪽으로 갈수록 회전 전단돌기의 끝단 면이 커지면서 저면에서 볼 때 로터의 중심과 회전 전단돌기의 안쪽 중심을 연결한 선상과 예각을 이루도록 한쪽으로 틀어지도록 형성되고,
    스테이터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융기된 환상의 돌출턱이 형성되고, 돌출턱을 대응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스테이터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함몰된 환상의 끼움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40662A 2012-12-06 2012-12-06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KR10140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62A KR101405107B1 (ko) 2012-12-06 2012-12-06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62A KR101405107B1 (ko) 2012-12-06 2012-12-06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107B1 true KR101405107B1 (ko) 2014-06-10

Family

ID=5113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662A KR101405107B1 (ko) 2012-12-06 2012-12-06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1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17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
WO2016178518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의 설치 운용방법
CN107930426A (zh) * 2017-11-22 2018-04-20 深圳市国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水力动力学气蚀现象重油乳化泵及其乳化方法
CN109456783A (zh) * 2018-12-26 2019-03-12 长安大学 一种带保温炉腔的高剪切分散乳化装置
CN110523307A (zh) * 2019-10-08 2019-12-03 江西科伦药业有限公司 一种低温纳米级高剪切乳化装置
CN110575765A (zh) * 2019-10-18 2019-12-17 太仓中新宝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双入口的卧式乳化机及其工作方法
KR20210151060A (ko) * 2019-04-15 2021-12-13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교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433U (ja) * 1993-01-22 1994-08-23 三井鉱山株式会社 乳化分散機
JPH08117578A (ja) * 1994-10-20 1996-05-14 Nittetsu Mining Co Ltd 熱可塑性樹脂の水系乳化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1514959A (ja) 1997-08-18 2001-09-18 ナイコムド イメージング エーエス 小胞の調製方法
JP2005177701A (ja) * 2003-12-22 2005-07-07 Mizuho Kogyo Kk 二段式ホモジナイザ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433U (ja) * 1993-01-22 1994-08-23 三井鉱山株式会社 乳化分散機
JPH08117578A (ja) * 1994-10-20 1996-05-14 Nittetsu Mining Co Ltd 熱可塑性樹脂の水系乳化分散液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1514959A (ja) 1997-08-18 2001-09-18 ナイコムド イメージング エーエス 小胞の調製方法
JP2005177701A (ja) * 2003-12-22 2005-07-07 Mizuho Kogyo Kk 二段式ホモジナイザ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8517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
WO2016178518A1 (ko) * 2015-05-06 2016-11-1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의 설치 운용방법
CN106110966A (zh) * 2015-05-06 2016-11-16 开恩爱思有限公司 转子-转子方式分散乳化装置叶轮结构系统
KR101780331B1 (ko) * 2015-05-06 2017-09-2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의 설치 운용방법
KR101780329B1 (ko) * 2015-05-06 2017-09-20 주식회사 케이엔에스컴퍼니 로터-로터 방식 분산유화장치 임펠러 구조 시스템
US10406491B2 (en) 2015-05-06 2019-09-10 K&S Company Inc. Impeller-structured system for rotor-rotor-type dispersion and emulsification apparatus
CN107930426A (zh) * 2017-11-22 2018-04-20 深圳市国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水力动力学气蚀现象重油乳化泵及其乳化方法
CN109456783A (zh) * 2018-12-26 2019-03-12 长安大学 一种带保温炉腔的高剪切分散乳化装置
KR20210151060A (ko) * 2019-04-15 2021-12-13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교반기
KR102649462B1 (ko) 2019-04-15 2024-03-20 엠. 테크닉 가부시키가이샤 교반기
CN110523307A (zh) * 2019-10-08 2019-12-03 江西科伦药业有限公司 一种低温纳米级高剪切乳化装置
CN110575765A (zh) * 2019-10-18 2019-12-17 太仓中新宝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双入口的卧式乳化机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107B1 (ko)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US10258944B2 (en) Cavitation pump
WO1996033011A1 (fr) Procede de conditionnement de liquides hydrocarbures et appareil de mise en oeuvre dudit procede
US20200238234A1 (en) Stirring device
KR101658410B1 (ko) 고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KR101405108B1 (ko) 냉각수단이 구비된 분산유화장치
KR101455629B1 (ko) 원 패스 타입 분산유화장치
JP2022000306A (ja) 攪拌機
US8876369B1 (en) Apparatus for mixing liquids and/or solids with liquids
EP19853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iquids under cavitation conditions
JP5263877B2 (ja) 混合装置及び混合システム
AU2013393533B2 (en) Integrated rotary mixer and disperser head
US10005049B2 (en) One-pass type dispersing and emulsifying apparatus
JP2013163184A (ja) 混合方法、混合装置、及び混合流体
JP2007253095A (ja) 脱泡装置および塗布装置
KR101707814B1 (ko) 저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JP6726003B2 (ja) スラリーの混練・分散装置
JP6388981B2 (ja) ダイナミックミキサー及びダイナミックミキサーを使用した2つの成分の混合方法
RU2156648C1 (ru) Роторный диспергатор
RU2818216C1 (ru) Роторно-пульс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EP2719448B1 (en) Treatment apparatus for highly viscous fluid
JP6448717B1 (ja) ロータ・ステータ構造の分散機
JP2019081167A (ja) ディスク及び分散機
EP3793717A1 (en) Mixing apparatus comprising a rotor and a stator
JP2006283574A (ja) 乳化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